KR20150068847A -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47A
KR20150068847A KR1020130154981A KR20130154981A KR20150068847A KR 20150068847 A KR20150068847 A KR 20150068847A KR 1020130154981 A KR1020130154981 A KR 1020130154981A KR 20130154981 A KR20130154981 A KR 20130154981A KR 20150068847 A KR20150068847 A KR 2015006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put
short
sens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035B1 (ko
Inventor
박인기
엄현철
신용상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035B1/ko
Priority to US14/567,693 priority patent/US10241143B2/en
Publication of KR2015006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47A/ko
Priority to US16/266,194 priority patent/US2019017080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2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27Measuring means of, e.g. currents through or voltages across the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감지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한다. 전류 모드에서는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이 설정되고, 전압 모드에서는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이 설정된다.

Description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SENSING RESISTOR SHORT DETERMINATOR, SWITCH CONTROL CIRCUIT COMPRIS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COMPRIS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실시 예들은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는 감지 저항을 사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저항에 스위치 전류가 흘러 감지 전압이 발생한다. PWM 제어기는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데 감지 전압을 이용한다.
그런데, 감지 저항이 단락된 경우 감지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 스위치의 온 타임이 최대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전력 공급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을 통해 감지 저항의 단락을 감지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 및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감지 저항에 흘러 발생하는 감지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전압 비교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블랭킹 기간을 나타내는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는 블랭킹 기간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랭킹 기간 설정부는, 상기 검출된 입력 전압 조건에서 상기 감지 저항이 정상 상태일 때,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블랭킹 기간을 설정한다.
상기 블랭킹 기간 설정부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변화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기 블랭킹 기간을 설정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블랭킹 신호와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비교 신호, 상기 블랭킹 신호,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논리 게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이 상기 피크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나타내는 입력 하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비교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결정 시점에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하이 신호, 상기 비교 신호,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결정 시점에 동기되어 발생하는 온 타임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논리 게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검출기, 및 상기 피크 전압에 소정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피크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멀티플라이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랭킹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회로는, 입력 전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가 감지 저항에 흘러 발생하는 감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 제어부, 및 상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상기 상기 감지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 스위치,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 저항, 및 상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상기 상기 감지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랭킹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전력 공급 장치.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입력 전압에 연결된 1차측 권선과 절연 커플링되어 있는 보조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권선의 양단 전압인 보조 전압은 상기 입력 전압에 따르는 음의 전압이다.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권선에 연결된 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보조 권선으로 공급되는 전압 감지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을 통해 감지 저항의 단락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감지저항단락 판단기가 적용된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전압, 비교 신호, 게이트 제어 신호, 블랭킹 신호, 셧다운 신호, 및 단락 검출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4 보다 입력 전압이 더 낮아 졌을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전압, 비교 신호, 게이트 제어 신호, 블랭킹 신호, 셧다운 신호, 및 단락 검출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정상 상태에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감지 전압, 감지 전압, 입력 하이 신호, 및 피크 기준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8은 감지 저항의 단락이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벗어나서 발생한 경우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감지 전압, 감지 전압, 입력 하이 신호, 피크 기준 전압, 및 단락 보호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9는 감지 저항의 단락이 단락 저항 검출 기간 내에서 발생한 경우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감지 전압, 감지 전압, 입력 하이 신호, 피크 기준 전압, 및 단락 보호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전압, 비교 신호, 온 기간 신호, 입력 하이 신호, 셧다운 신호, 및 단락보호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입력 전압에 따라 블랭킹 기간을 조절하여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한다. 교류 입력이 정류된 입력 전압은 변하고, 입력 전압에 따라 스위치 전류의 상승 기울기가 변한다. 감지 저항이 정상적인 경우, 감지 전압은 스위치 전류에 따라 결정되므로, 입력 전압에 따라 감지 저항의 상승 기울기도 변한다.
감지 저항이 정상 상태인 것을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입력 전압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감지 전압의 상승 기울기가 급할수록 감지 전압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진다. 반대로 감지 전압의 상승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감지 전압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입력 전압을 감지하여, 입력 전압에 따라 블랭킹 기간을 조절하고, 블랭킹 기간이 경과한 후에 감지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감지 저항이 단락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설명한다.
도 1은 감지저항단락 판단기가 적용된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장치(1)는 정류 회로(10), 커패시터(C1), 트랜스포머(20), 정류 다이오드(D1), 출력 커패시터(C2), 전력 스위치(SW), 감지 저항(RS), 및 스위치 제어 회로(30)를 포함한다.
교류 입력(AC)은 정류 회로(10)를 통해 정류되고, 정류된 교류 입력은 커패시터(C1)를 통해 입력 전압(Vin)이 된다. 정류 회로(10)는 전파 정류 회로인 풀-브릿지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전압(Vin)은 전파 정류된 정현파일 수 있다.
트랜스포머(20)는 입력 전압(Vin)에 연결된 1차측 권선(CO1)과 출력 전압(Vout)에 연결된 2차측 권선(CO2)을 포함한다. 1차측 권선(CO1)과 2차측 권선(CO2)는 소정의 권선비(1차측 권선의 권선수: 2차측 권선의 권선수)로 절연 커플링되어 있다.
1차측 권선(CO1)의 일단은 입력 전압(Vin)에 연결되어 있고, 1차측 권선(CO1)의 타단은 전력 스위치(SW)의 일전극(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다. 1차측 권선(CO1)에는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동안 흐르는 전류가 흘러 에너지가 저장된다.
2차측 권선(CO2)의 일단은 정류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연결되어 있고, 2차측 권선(CO2)의 타단은 2차측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SW)의 오프 기간 동안, 1차측 권선(CO1)에 저장된 에너지가 2차측 권선(CO2)으로 전달된다.
전력 스위치(SW)는 입력 전압(Vin)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력 공급장치(1)의 출력 전력을 제어한다. 전력 스위치(SW)의 게이트는 스위치 제어 회로(3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전압(VG)이 연결되어 있고, 전력 스위치(SW)의 타전극(소스)는 감지 저항(RS)을 통해 1차측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SW)는 하이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에 의해 턴 온 되고, 로우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에 의해 턴 오프 된다.
감지 저항(RS)는 전력 스위치(SW)의 소스와 1차측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전력 스위치(SW)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감지 전압(VCS)이 감지 저항(RS)에 발생한다.
출력 커패시터(C2)는 전력 공급 장치(1)의 양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출력 커패시터(C2)의 일전극은 정류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커패시터(C2)의 타전극은 2차측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다.
2차측 권선(CO2)에 흐르는 전류가 정류 다이오드(D1)를 통과한다. 정류 다이오드(D1)를 통과한 전류는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거나, 출력 커패시터(C2)를 충전시킬 수 있다.
스위치 제어 회로(30)는 PWM 제어부(200) 및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를 포함한다.
PWM 제어부(200)는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오실레이터 신호에 동기되어 전력 스위치(SW)를 턴 온 시키고, 감지 전압(VCS)이 출력 전압(VOUT)에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에 도달할 때 전력 스위치(SW)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이하, 전류 모드). 또는 PWM 제어부(200)는 오실레이터 신호에 동기되어 전력 스위치(SW)를 턴 온 시키고,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톱니파 신호가 피드백 전압에 도달할 때 전력 스위치(SW)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이하, 전압 모드).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입력 전압(Vin)을 감지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고, 입력 감지 전압(VIS)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이하, 블랭킹 기간 또는 단락 저항 검출 기간)과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감지 전압(VCS)과 소정의 기준 전압(VR)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감지 저항(RS)의 단락 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전류 모드에서는 입력 감지 전압(VIS)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이 설정되는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입력 감지 전압(VIS)에 따라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고,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중 블랭킹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 기준 전압(VR)이 감지 전압(VCS) 보다 높을 때 감지 저항(RS)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감지 저항(RS)이 단락되지 않은 정상 상태일 때,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검출된 입력 전압 조건에서 감지 전압(VCS)이 기준 전압(VR)에 도달하는 제1 기간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랭킹 기간은 제1 기간에 소정의 마진을 더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식으로 블랭킹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검출된 입력 전압 조건에서 허용되는 최대 듀티에 대해 소정 비율을 가지도록 블랭킹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소정 비율은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전류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입력 전압(Vin)을 검출하기 위해 보조 권선(CO3)을 이용할 수 있다. 보조 권선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의 1차측에 위치하고, 1차측 권선(CO1)과 소정의 권선비로 절연 커클링 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1차측 권선(CO1)와 보조 권선(CO3)의 권선비는 1:1인것으로 가정한다.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동안 1차측 권선(CO1)의 양단 전압은 입력 전압(Vin)이다. 보조 권선(CO3)의 양단 전압(이하, 보조 전압)(VAUX)의 극성은 1차측 권선(CO1)의 양단 전압의 극성과 반대이므로, 온 기간 동안 보조 권선(CO3)의 양단 전압은 -Vin이다.
전력 스위치(SW)의 오프 기간 동안, 1차측 권선(CO1)의 양단 전압은 출력 전압(VOUT) 전압에 비례하는 음의 전압이고, 오프 기간 동안 보조 전압(VAUX)은 출력 전압(VOUT)에 비례하는 양의 전압이다.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동안 보조 권선(CO3)으로 공급되는 전압감지 전류(IVS)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Vin)을 검출할 수 있다.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검출된 입력 전압(Vin)에 대응하는 입력 감지 전압(VIS)에 따라 블랭킹 기간을 나타내는 블랭킹 신호(BLK)를 생성하고, 감지 전압(VCS)과 소정의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한 결과 및 블랭킹 신호(BLK)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중 감지 저항(RS)의 단락 여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중 감지 전압(VCS)이 기준 전압(RS)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감지 저항(RS)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는 입력 전압 검출기(110), 블랭킹 기간 설정부(120), 감지전압 비교기(130), AND 게이트(140), 및 신호 생성부(150)를 포함한다. 보조 권선(CO3)의 일단은 1차측 그라운드 사이에는 두 개의 저항(R1, R2)가 직렬 연결되어 있고, 보조 권선(CO3)의 타단은 1차측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전압 검출기(110)는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중 발생하는 보조 전압(VAUX)에 따라 전압감지 전류(IVS)를 생성하고, 전압감지 전류(IVS)의 크기에 따라 입력 전압(Vin)에 대응하는 입력 감지 전압(VIS)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입력전압 검출기(110)는 노드(N1)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 이상으로 클램핑하기 위한 전압감지 전류(IVS)를 생성한다. 소정의 전압이 1차측 그라운드 전압인 경우, 온 기간 동안 전압감지 전류(IVS)은 Vin/R1이다. 즉, 온 기간 동안 전압감지 전류(IVS)는 입력 전압(Vin)에 비례할 수 있다. 오프 기간 동안에는 보조 전압(VAUX)이 1차측 그라운드 전압 보다 높으므로 전압감지 전류(IVS)가 흐르지 않는다.
입력전압 검출기(110)는 전압감지 전류(IVS)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입력 감지전압(VIS)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전압 검출기(110)는 전압감지 전류(IVS)를 미러링하고, 미러링된 전류를 저항에 흐르게 하여 발생하는 입력 감지 전압(VIS)을 생성할 수 있다.
블랭킹 기간 설정부(120)는 입력 감지 전압(VIS)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고, 블랭킹 기간을 나타내는 블랭킹 신호(BLK)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블랭킹 기간 설정부(120)는 블랭킹 기간동안 디스에이블 레벨을 가지는 블랭킹 신호(BLK)를 생성할 수 있다.
블랭킹 기간 설정부(120)는 입력 감지 전압(VIS)의 변화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블랭킹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 전압(VIS)이 증가하면 블랭킹 기간은 짧아지고, 입력 감지 전압(VIS)이 감소하면 블랭킹 기간은 길어진다. 블랭킹 기간 설정부(120)는 블랭킹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을 가지는 블랭킹 신호(BLK)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전압 비교기(130)의 소정의 기준 전압(VR)과 감지 전압(VCS)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CV)를 생성한다. 감지전압 비교기(130)는 기준 전압(VR)이 공급되는 비반전단자(+)와 감지 전압(VCS)이 공급되는 반전 단자(-)를 포함하고, 비반전단자(+)의 입력이 반전 단자(-)의 입력 이상일 때 하이 레벨의 비교 신호(CV)를 생성하고, 그 반대의 경우 로우 레벨의 비교 신호(CV)를 생성한다.
AND 게이트(140)는 블랭킹 신호(BLK), 게이트 제어 신호(VC), 및 비교 신호(CV)를 논리곱 연산하여 셧다운 신호(SD)를 생성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VC)는 전력 스위치(SW)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중 하나로서,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중 인에이블 레벨인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압(VG)이 게이트 제어 신호(VC)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감지 저항(RS)의 단락 여부를 지시하는 셧다운 신호(SD)를 생성하기 위해 AND 게이트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랭킹 신호(BLK), 게이트 제어 신호(VC), 및 비교 신호(CV)에 따라 적절한 논리 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셧다운 신호(SD)에 의해 트리거 되어 감지저항단락검출신호(SRSD)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150)는 셧다운 신호(SD)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인에이블 레벨의 감지저항단락보호신호(SRSP)를 생성할 수 있다. 인에이블 레벨의 감지저항단락보호신호(SRSP)에 의해 PWM 제어부(200)는 보호 동작으로서 전력 스위치(SW)를 턴 오프 시키는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서는 입력 전압(Vin)을 검출하기 위해 보조 권선(CO3)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권선(CO3)없이, 감지저항단락 판단기가 입력 전압(Vin)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저항단락 판단기(300)는 입력 전압(Vin)과 1차측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저항(R3, R4)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N2)에 연결되어 있다. 노드(N2)의 전압은 Vin*(R4/(R3+R4))이므로, 입력 전압(Vin)에 비례한다.
감지저항단락 판단기(300)는 블랭킹 기간 설정부(310), 감지전압 비교기(130), AND 게이트(140), 및 신호 생성부(150)를 포함한다. 감지전압 비교기(130), AND 게이트(140), 및 신호 생성부(150)에 대한 설명은 앞선 일 실시 예에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블랭킹 기간 설정부(310)는 노드(N2)의 전압(이하, 입력 감지 전압)(VN2)을 입력받고, 입력 감지 전압(VN2)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며, 블랭킹 기간 동안 디스에이블 레벨을 가지는 블랭킹 신호(BLK)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블랭킹 기간 설정부(310)는 입력 감지 전압(VN2)의 변화와 반대 방향으로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고, 블랭킹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을 가지는 블랭킹 신호(BLK)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전압, 비교 신호, 게이트 제어 신호, 블랭킹 신호, 셧다운 신호, 및 단락 검출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4 보다 입력 전압이 더 낮아 졌을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전압, 비교 신호, 게이트 제어 신호, 블랭킹 신호, 셧다운 신호, 및 단락 검출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0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하이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고, 감지 전압(VCS)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시점 T1에 블랭킹 신호(BLK)가 로우 레벨이 되고, 시점 T4에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기간 T1-T4은 블랭킹 기간(BT1)이다. 블랭킹 기간 BT1은 시점 T0 직전의 전력 스위치(SW)의 오프 기간 동안 측정된 입력 전압(Vi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시점 T1은 시점 T0에 동기된 시점이다. 예를 들어 시점 T0 및 시점 T1은 동일한 시점일 수 있다.
시점 T2에 상승하던 감지 전압(VCS)이 기준 전압(VR)에 도달하여, 비교 신호(CV)는 로우 레벨이 된다. 시점 T3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로우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오프 되고, 감지 전압(VCS)은 발생하지 않으며, 비교 신호(CV)는 하이 레벨이 된다.
시점 T5에 다시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하이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고, 감지 전압(VCS)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시점 T6에 블랭킹 신호(BLK)가 로우 레벨이 되고, 시점 T7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기간 T6-T7은 블랭킹 기간(BT2)이다. 블랭킹 기간 BT2은 전력 스위치(SW)의 오프 기간 T3-T5 동안 측정된 입력 전압(Vi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감지 저항(RS)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동작이 유지된다.
시점 T8에 감지 저항(RS)의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시점 T9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하이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더라도, 감지 전압(VCS)은 앞선 정상 상태와 같이 정상적인 기울기로 상승하지 않는다. 단락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낮은 기울기로 증가하는 감지 전압(VCS)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시점 T10에 블랭킹 신호(BLK)가 로우 레벨이 되고, 시점 T11에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기간 T10-T11는 블랭킹 기간(BT3)이다.
블랭킹 기간 BT3이 종료된 시점 T11에, 감지 전압(VCS)은 기준 전압(VR)보다 작으므로, 비교 신호(CV)는 하이 레벨이고, 감지 전압(VCS)은 피드백 전압보다 낮으므로, 게이트 제어 신호(VC)는 하이 레벨이다.
시점 T11부터 블랭킹 기간(BT3)이 종료되고,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따라서 시점 T11부터 AND 게이트(140)의 모든 입력이 하이 레벨이 되어 셧다운 신호(SD)가 하이 레벨이 된다. 그러면 시점 T13에 단락 검출 신호(SRSP)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즉, 단락 검출에 따른 보호 동작이 트리거 되어, 시점 T12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로우 레벨이 되고, 전력 스위치(SW)는 턴 오프 되고, 셧다운 신호(SD)는 로우 레벨이 된다.
도 4에서는 시점 T11 이후의 보호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전압(Vin)이 낮아지면, 블랭킹 기간은 길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20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하이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고, 감지 전압(VCS)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시점 T21에 블랭킹 신호(BLK)가 로우 레벨이 되고, 시점 T24에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기간 T21-T24은 블랭킹 기간(BT4)이다. 블랭킹 기간 BT4은 시점 T20 직전의 전력 스위치(SW)의 오프 기간 동안 측정된 입력 전압(Vi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시점 T21은 시점 T20에 동기된 시점이다. 예를 들어 시점 T0 및 시점 T1은 동일한 시점일 수 있다.
시점 T22에 상승하던 감지 전압(VCS)이 기준 전압(VR)에 도달하여, 비교 신호(CV)는 로우 레벨이 된다. 도 5의 입력 전압 레벨이 앞서 설명한 도 4에 비해 낮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감지 전압(VCS)의 상승 기울기는 도 4에 비해 완만한다. 시점 T23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로우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오프 되고, 감지 전압(VCS)은 발생하지 않고, 비교 신호(CV)는 하이 레벨이 된다.
블랭킹 기간(BT5) 및 블랭킹 기간(BT6)는 직전 전력 스위치(SW)의 오프 기간 (OFF1, OFF2)동안 측정된 입력 전압(Vi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감지 저항(RS)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동작이 유지된다.
시점 T25에 감지 저항(RS)의 단락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시점 T26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하이 레벨이 되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더라도, 감지 전압(VCS)은 앞선 정상 상태와 같이 상승하지 않는다.
시점 T27에 블랭킹 신호(BLK)가 로우 레벨이 되고, 시점 28에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블랭킹 기간(BT6)이 종료된 시점 T28에, 감지 전압(VCS)은 기준 전압(VR)보다 작으므로, 비교 신호(CV)는 하이 레벨이고, 감지 전압(VCS)은 피드백 전압보다 낮으므로, 게이트 제어 신호(VC)는 하이 레벨이다.
시점 T28부터 블랭킹 기간(BT6)이 종료되고, 블랭킹 신호(BLK)가 하이 레벨이 된다. 따라서 시점 T28부터 AND 게이트(140)의 모든 입력이 하이 레벨이 되어 셧다운 신호(SD)가 하이 레벨이 된다. 그러면 시점 T30에 단락 검출 신호(SRSP)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즉, 단락 검출에 따른 보호 동작이 트리거 되어, 시점 T29에 게이트 제어 신호(VC)가 로우 레벨이 되고, 전력 스위치(SW)는 턴 오프 되고, 셧다운 신호(SD)는 로우 레벨이 된다.
이와 같이, 입력 전압에 따라 블랭킹 기간이 가변하고, 블랭킹 기간이 경과한 후의 감지 전압에 따라 감지 저항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전압 모드에서의 감지 저항의 단락을 판단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모드에서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기준 전압(VR)이 감지 전압(VS)보다 높을 때 감지 저항(RS)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감지저항단락 판단기(400)는 입력 전압(Vin)을 검출하고, 검출된 입력 전압(Vin)에 대응하는 입력 감지 전압(VIS)의 피크 전압(VP)을 검출하며, 피크 전압(VP)에 기초하여 피크 기준 전압(VPR)을 설정한다. 감지저항단락 판단기(400)는 입력 감지 전압(VIS)과 피크 기준 전압(VPR)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동안 감지 전압(VCS)이 기준 전압(VR)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감지 저항(RS)을 단락으로 판단한다.
도 6에 도시된 감지저항단락 판단기(400)는 보조 권선(CO3)으로 공급되는 전압 감지 전류(IVS)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Vin)을 검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감지저항단락 판단기(400)는 입력 전압(Vin)에 연결될 수 있다.
감지저항단락 판단기(400)는 입력 전압 검출기(410), 피크 검출기(420), 멀티플라이어(430), 입력 비교기(440), 감지전압 비교기(450), AND 게이트(460), 및 신호 생성부(470)를 포함한다.
입력 전압 검출기(410)는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중 발생하는 보조 전압(VAUX)에 따라 전압감지 전류(IVS)를 생성하고, 전압감지 전류(IVS)의 크기에 따라 입력 전압(Vin)에 대응하는 입력 감지 전압(VIS)을 생성한다. 입력 전압 검출기(410)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전압 검출기(110)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크 검출기(420)는 입력 감지 전압(VIS)을 입력받고, 입력 감지 전압(VIS)의 피크를 검출하여 피크 전압(VP)을 생성한다.
멀티플라이어(430)는 피크 전압(VP)에 소정 게인을 곱하여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결정하는 피크 기준 전압(VPR)을 생성한다. 실시 예에 따른 게인은 입력 전압(Vin)이 낮은 전압일 때 감지 저항(RS)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지 않기 위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감지 저항(RS)의 단락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입력 전압(Vin)의 레벨에 의해, 감지 전압(VCS)이 전력 스위치(SW)의 온 기간 동안 기준 전압(VR) 보다 작을 수 있다. 입력 전압(Vin)이 소정 전압 이상일 때 감지 저항(RS)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이 설정되도록 멀티플라이어(430)의 게인이 설정될 수 있다.
입력 비교기(440)는 입력 감지 전압(VIS)과 피크 기준 전압(VPR)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지시하는 입력 하이 신호(VIH)을 생성한다.
감지전압 비교기(450)의 기준 전압(VR)과 감지 전압(VCS)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CV)를 생성한다. 감지전압 비교기(450)는 기준 전압(VR)이 공급되는 비반전단자(+)와 감지 전압(VCS)이 공급되는 반전 단자(-)를 포함하고, 비반전단자(+)의 입력이 반전 단자(-)의 입력 이상일 때 하이 레벨의 비교 신호(CV)를 생성하고, 그 반대의 경우 로우 레벨의 비교 신호(CV)를 생성한다.
AND 게이트(460)는 입력 하이 신호(VIH), 온 타임 신호(TON), 및 비교 신호(CV)를 논리곱 연산하여 셧다운 신호(SD)를 생성한다. 온 타임 신호(TON)는 전력 스위치(SW)가 턴 오프 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발생하는 신호이다. 온 타임 신호(TON)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신호 생성부(470)는 셧다운 신호(SD)에 의해 트리거 되어 감지저항단락검출신호(SRSD)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470)는 셧다운 신호(SD)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인에이블 레벨의 감지저항단락보호신호(SRSP)를 생성할 수 있다. 인에이블 레벨의 감지저항단락보호신호(SRSP)에 의해 PWM 제어부(200)는 보호 동작으로서 전력 스위치(SW)를 턴 오프 시키는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감지저항단락 판단기(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정상 상태에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감지 전압, 감지 전압, 입력 하이 신호, 및 피크 기준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7에서는 전파 정류된 정현파를 따르는 입력 전압(Vin)에 대응하여, 입력 감지 전압(VIS)도 전파 정류된 정현파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입력 전압(Vin)의 파형이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 전압(VCS)은 전력 스위치(SW)의 턴 온 기간 동안 입력 전압(Vin)에 따르는 기울기로 상승하고, 전력 스위치(SW)의 턴 오프 시점에 영전압으로 하강하는 파형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감지 전압(VCS)은 매 스위칭 주기마다 발생하는 감지 전압(VCS)의 피크들을 연결한 파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 기준 전압(VPR)은 피크 전압(VP)에 멀티플라이어(430)의 게인이 곱해져 피크 전압(VP)보다 낮은 레벨이다.
입력 감지 전압(VIS)이 피크 기준 전압(VPR) 보다 높은 기간인 P1, P2, 및 P3가 단락 저항 검출 기간으로 설정되고, 입력 하이 신호(VIH)은 기간 P1, P2, 및 P3에서 하이 레벨이다.
도 8은 감지 저항의 단락이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벗어나서 발생한 경우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감지 전압, 감지 전압, 입력 하이 신호, 피크 기준 전압, 및 단락 보호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8에서, 감지 저항(RS)의 단락은 단락 저항 검출 기간(P12)이 종료된 후, 시점 T31에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상 상태에서 입력 감지 전압(VIS)이 발생하고, 입력 감지 전압(VIS)은 피크 기준 전압(VPR) 보다 단락 저항 검출 기간(P11, P12) 동안 높다. 따라서 입력 하이 신호(VIH)은 단락 저항 검출 기간(P11, P12) 동안 하이 레벨이다.
시점 T31에 감지 저항(RS)의 단락에 의해 감지 전압(VCS)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단락 저항 검출 기간(P12)이 종료되고, 입력 하이 신호(VIH)이 로우 레벨이므로, AND 게이트(460)의 출력인 셧다운 신호(SD)는 로우 레벨이다. 따라서 단락보호신호(SRSP)는 트리거 되지 않는다.
시점 T32부터 입력 감지 전압(VIS)이 피크 기준 전압(VPR)보다 높고, 입력 하이 신호(VIH)이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그러면, 온 타임 신호(TON)가 하이 레벨이 되는 시점(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에 AND 게이트(460)의 모든 입력이 하이 레벨이 되고, 셧다운 신호(SD)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그러면, 시점 T33에 단락보호신호(SRSP)가 하이 레벨로 트리거 되고, 보호 동작이 시작된다. 보호 동작에 의해 전력 스위치(SW)의 스위칭 동작이 정지된다. 그러면 시점 T33 이후부터 입력 감지 전압(VIS)은 발생하지 않고, 입력 하지 전압(VIH)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입력 전압(Vin)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감지 전압(VIS) 및 입력 하이 신호(VIH)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감지 저항의 단락이 단락 저항 검출 기간 내에서 발생한 경우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감지 전압, 감지 전압, 입력 하이 신호, 피크 기준 전압, 및 단락 보호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정상 상태에서 입력 감지 전압(VIS)이 발생하고, 입력 감지 전압(VIS)은 피크 기준 전압(VPR) 보다 단락 저항 검출 기간(P21, P22) 동안 높다. 따라서 입력 하이 신호(VIH)은 단락 저항 검출 기간(P21, P22) 동안 하이 레벨이다.
시점 T41에 감지 저항(RS)의 단락에 의해 감지 전압(VCS)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면, 시점 T41 이후에, 온 타임 신호(TON)가 하이 레벨이 되는 시점(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에 AND 게이트(460)의 모든 입력이 하이 레벨이 되고, 셧다운 신호(SD)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그러면, 시점 T42에 단락보호신호(SRSP)가 하이 레벨로 트리거 되고, 보호 동작이 시작된다. 보호 동작에 의해 전력 스위치(SW)의 스위칭 동작이 정지된다. 그러면 시점 T42부터 입력 감지 전압(VIS)은 발생하지 않고, 입력 하이 신호(VIH)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입력 전압(Vin)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감지 전압(VIS) 및 입력 하이 신호(VIH)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단락 저항이 발생한 경우의 단락보호신호(SRSP)의 발생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전압, 비교 신호, 온 기간 신호, 입력 하이 신호, 셧다운 신호, 및 단락보호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0은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50에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고, 감지 전압(VCS)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시점 T51에 상승하던 감지 전압(VCS)이 기준 전압(VR)에 도달하여, 비교 신호(CV)는 로우 레벨이 된다. 시점 T52에 전력 스위치(SW)가 턴 오프 되고, 감지 전압(VCS)은 발생하지 않으며, 비교 신호(CV)는 하이 레벨이 된다.
시점 T53에 전력 스위치(SW)의 턴 오프가 결정되면, 온 타임 신호(TON)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 후 시점 T54에 로우 레벨로 하강한다. 턴 오프가 결정된 시점 T53과 전력 스위치(SW)가 턴 오프 되는 시점 T52 사이에는 소정의 지연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WM 제어부(200)에서 전력 스위치(SW)의 턴 오프가 결정되는 시점 T53과 로우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에 의해 전력 스위치(SW)가 턴 오프 되는 시점 T52 사이에는 전달 지연(△d)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AND 게이트(460)의 입력 모두가 하이 레벨이 되는 구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시점 T55에 감지 저항(RS)이 단락되었다고 가정한다. 전력 스위치(SW)가 턴 온 되더라도 감지 전압(VCS)은 도 10에 되시된 바와 같이, 턴 온 기간(P30) 동안 기준 전압(VR)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면, 비교 신호(CV)가 하이 레벨로 유지된 상태에서, 온 타임 신호(TON)가 기간 T56-T57 동안 하이 레벨 펄스로 발생한다. 시점 T56에 AND 게이트(460)의 모든 입력이 하이 레벨이 되고, 셧다운 신호(SD)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며, 온 타임 신호(TON)가 로우 레벨로 하강하는 시점 T57에 셧다운 신호(SD)도 로우 레벨로 하강한다.
시점 T56에 셧다운 신호(SD)의 상승에 의해 단락보호신호(SRSP)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보호 동작이 기동된다.
이와 같이, 실시 예들에 의해 감지 저항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력 공급 장치(1)
정류 회로(10)
커패시터(C1)
트랜스포머(20)
정류 다이오드(D1)
출력 커패시터(C2)
전력 스위치(SW)
감지 저항(RS)
스위치 제어 회로(30)
감지저항단락 판단기(100, 300, 400)
PWM 제어부(200)
입력 전압 검출기(110, 410)
블랭킹 기간 설정부(120, 310)
감지전압 비교기(130, 450)
AND 게이트(140, 460)
신호 생성부(150, 470)
보조 권선(CO3)
피크 검출기(420)
멀티플라이어(430)
입력 비교기(440)
저항(R1, R2, R3, R4)
1차측 권선(CO1)
2차측 권선(CO2)

Claims (21)

  1.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 및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감지 저항에 흘러 발생하는 감지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전압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블랭킹 기간을 나타내는 블랭크 신호를 생성하는 블랭킹 기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랭킹 기간 설정부는,
    상기 검출된 입력 전압 조건에서 상기 감지 저항이 정상 상태일 때,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기간 설정부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변화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기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블랭킹 신호와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신호, 상기 블랭킹 신호,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논리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이 상기 피크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나타내는 입력 하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결정 시점에 상기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하이 신호, 상기 비교 신호,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결정 시점에 동기되어 발생하는 온 타임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논리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을 검출하는 피크 검출기, 및
    상기 피크 전압에 소정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피크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멀티플라이어를 더 포함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랭킹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
  13. 입력 전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가 감지 저항에 흘러 발생하는 감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 제어부, 및
    상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상기 상기 감지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랭킹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고,
    상기 검출된 입력 전압 조건에서 상기 감지 저항이 정상 상태일 때,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변화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기 블랭킹 기간을 설정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결정 시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18. 입력 전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 스위치,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 저항, 및
    상기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간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에 기초한 시점에 상기 상기 감지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의 단락을 검출하는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중 상기 입력 감지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랭킹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전력 공급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입력 감지 전압과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의 피크 전압에 기초한 소정의 피크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단락 저항 검출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락 저항 검출 기간에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기준 전압이 상기 감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감지 저항을 단락으로 판단하는 전력 공급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입력 전압에 연결된 1차측 권선과 절연 커플링되어 있는 보조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권선의 양단 전압인 보조 전압은 상기 입력 전압에 따르는 음의 전압이며,
    상기 감지저항단락 판단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온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권선에 연결된 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보조 권선으로 공급되는 전압 감지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30154981A 2013-12-12 2013-12-12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와 전력 공급 장치 KR10206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81A KR102066035B1 (ko) 2013-12-12 2013-12-12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와 전력 공급 장치
US14/567,693 US10241143B2 (en) 2013-12-12 2014-12-11 Sensing resistor short determiner, switch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includ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US16/266,194 US20190170803A1 (en) 2013-12-12 2019-02-04 Sensing resistor short determiner, switch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includ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81A KR102066035B1 (ko) 2013-12-12 2013-12-12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와 전력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65A Division KR102167860B1 (ko) 2020-01-08 2020-01-08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감지저항단락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47A true KR20150068847A (ko) 2015-06-22
KR102066035B1 KR102066035B1 (ko) 2020-01-14

Family

ID=5336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81A KR102066035B1 (ko) 2013-12-12 2013-12-12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와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241143B2 (ko)
KR (1) KR102066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406A (ko) * 2014-04-07 2015-10-1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부하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력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372B1 (ko) * 2013-03-15 2019-11-28 온세미컨덕터코리아 주식회사 스위치 제어 회로,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US10134550B2 (en) * 2015-05-21 2018-11-20 Asco Power Technologies, L.P. Short circuit detection circuit
CN106803666B (zh) * 2015-11-26 2019-04-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开关电源控制装置及开关电源
WO2017098624A1 (ja) * 2015-12-10 2017-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駆動回路
US11108222B2 (en) * 2018-03-16 2021-08-31 Littelfuse, Inc. Monitor device, 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and techniques
US11539200B2 (en) 2018-03-16 2022-12-27 Littelfuse, Inc. Monitor device, 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and techniques
CN111010039B (zh) * 2018-10-05 2023-06-06 罗姆股份有限公司 开关控制装置、驱动装置、绝缘型dc/dc转换器、ac/dc转换器、电源适配器
CN113661397A (zh) * 2019-08-28 2021-11-16 爱德万测试公司 测试布置、自动化测试设备、以及用于测试包括电路和耦合到该电路的天线的被测装置的方法
US11223283B2 (en) * 2020-04-20 2022-01-11 Dialog Semiconductor Inc. Universal output current regulation for a flyback converter
KR20210150190A (ko) * 2020-06-03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장 진단 장치 및 고장 진단 방법
CN111856330A (zh) * 2020-09-24 2020-10-30 深圳英集芯科技有限公司 电源适配电路、电源适配芯片及电源适配器
JP7261989B2 (ja) * 2021-07-30 2023-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短絡検知方法及び負荷短絡検知装置
EP4340195A1 (en) * 2022-09-19 2024-03-20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ter controller,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a power conver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258A (en) * 1992-08-26 1994-06-28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ower transistor driver circuit with current sensing and current overprotec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power transistor from overcurrent
KR20080017697A (ko) * 2006-08-22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호회로
JP2009212704A (ja) * 2008-03-03 2009-09-17 Nec Electronics Corp 電源スイッチ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309A (en) * 1974-09-30 1975-10-28 S & C Electric Co Short circuit capacity measuring device
US6130813A (en) * 1999-01-11 2000-10-10 Dell U.S.A., L.P.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onic devices
US6859087B2 (en) * 2002-10-31 2005-02-22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Half-bridge high voltage gate driver providing protection of a transistor
JP4751108B2 (ja) * 2005-06-06 2011-08-17 ローム株式会社 他励式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発光装置、電子機器
US7489483B2 (en) * 2006-09-19 2009-02-10 Flextronics Automo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look ahead detection of electrical problems at a motor of a vehicle
US7619909B2 (en) * 2007-12-07 2009-11-17 Leadtrend Technology Corp.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leading edge blanking time and power converting system using the same control circuit
US8786297B2 (en) * 2009-04-28 2014-07-2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and circuit for brown-out detection
TWI422840B (zh) * 2009-06-16 2014-01-11 Richpower Microelectronics Output Short Circuit Detection Method for Chi - back Power Supply
WO2011138276A2 (en) * 2010-05-04 2011-11-10 Stmicroelectronics S.R.L.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a switch of a current path with leading edge blanking device of the current signal.
TW201225461A (en) * 2010-12-06 2012-06-16 Leadtrend Tech Corp Protection circuits and methods
US9184653B2 (en) * 2012-06-20 2015-11-10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Short sensing circuit, short sensing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the short sensing circuit
WO2014115272A1 (ja) * 2013-01-23 2014-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駆動装置、半導体装置
US9431386B2 (en) * 2014-05-22 2016-08-3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urrent sensing of emitter sense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IGBT)
US10222422B2 (en) * 2014-10-30 2019-03-05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Short-circuit detection circuits,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258A (en) * 1992-08-26 1994-06-28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ower transistor driver circuit with current sensing and current overprotec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power transistor from overcurrent
KR20080017697A (ko) * 2006-08-22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호회로
JP2009212704A (ja) * 2008-03-03 2009-09-17 Nec Electronics Corp 電源スイッチ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406A (ko) * 2014-04-07 2015-10-1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부하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력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1143B2 (en) 2019-03-26
US20190170803A1 (en) 2019-06-06
US20150168476A1 (en) 2015-06-18
KR102066035B1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035B1 (ko)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와 전력 공급 장치
US202003673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utput current regulation in power conversion systems
US9397577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with primary side regulation and associated methods of control
US101222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power conversion systems with output detection and synchronized rectifying mechanisms
US9985533B2 (en) Control circuit having adaptive blanking tim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JP4040056B2 (ja) 出力電圧検出回路、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半導体装置
US20160322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power conversion systems with output detection and synchronized rectifying mechanisms
US201402189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power conversion systems with output detection and synchronized rectifying mechanisms
US9490714B1 (en) Switching power supply
TW201406031A (zh) 用於電源變換系統的電流控制的系統和方法
TW201340561A (zh) 用於定電壓控制和定電流控制的系統和方法
KR101858059B1 (ko)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95771A (ko) 스위치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스위치 제어방법
US20180241314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circuit for improving dynamic response of switching power supply
KR20160134562A (ko) 과전류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 회로
CN111884512A (zh) 一种开关电源、电源适配器及充电器
KR102167860B1 (ko) 감지저항단락 판단 회로 및 감지저항단락 검출 방법
JP200703737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停電検出回路
CN212752140U (zh) 一种反激式开关电源及其同步整流驱动电路
CN104950161A (zh) 一种开关电源的输出电压检测方法和电路及其开关电源
US11563374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preventing false triggering of a switch
JP2013021756A (ja) 電源装置
KR101816290B1 (ko) 전원 공급 시스템
US9680455B2 (en) Clamping circuit,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of power supply device
KR20150112838A (ko) 전력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