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971A -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971A
KR20150067971A KR1020130153633A KR20130153633A KR20150067971A KR 20150067971 A KR20150067971 A KR 20150067971A KR 1020130153633 A KR1020130153633 A KR 1020130153633A KR 20130153633 A KR20130153633 A KR 20130153633A KR 20150067971 A KR20150067971 A KR 20150067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control
informat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수
박승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971A/ko
Publication of KR2015006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장치의 효율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수행을 위한 차량의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를 제어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부, 운전자가 입력한 원격 제어 명령을 차량의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어부의 차량 장치 제어 요청에 따라 운전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자 위치정보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의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차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장치들이 장착되어 있고,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차량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들이 적용되고 있다.
간단한 예로, 차량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무선 리모콘(Remote Controller)들이 제품으로 출시되어 있다.
차량 소유자들은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하여 미리 시동을 걸어놓거나 미리 실내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고, 도어 잠금이나 트렁크 오픈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 제어는 차량 소유자에게 필수적인 행위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한편, 무선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수준을 넘어 이동통신 단말기나 운전자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6183호(2013.6.20.)(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5814호(2007.2.6.)(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3565호(2006.6.12.)(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2959호(2009.10.1.)(특허문헌 4)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3의 발명에서는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해 운전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고 있고, 특허문헌 4는 운전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의 발명에서는 원격시동 신호 전송시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운전자 체온을 함께 전송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운전자 체온에 따라 공기조화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운전자로부터 원격 시동 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 내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때까지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공기조화를 수행하므로, 변수가 발생하였을 경우 효율적인 장치 제어가 어렵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원격 시동 신호를 전송한 후에 곧바로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거나 다른 이유로 차량 탑승이 지연될 경우,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한 상태로 차량 내 공기조화장치가 계속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불필요한 작동으로 인해 연료 소모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위치에 따라 차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3에는 운전자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원격 제어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특허문헌 4는 운전자 체온을 감지하여 차량에 송신하고 차량에서 운전자 체온에 따라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운전자와 차량 간 거리에 따른 제어에 대한 내용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6183호(2013.6.20.)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5814호(2007.2.6.)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3565호(2006.6.12.)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2959호(2009.1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운전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장치의 효율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 수행을 위한 차량의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를 제어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부, 운전자가 입력한 원격 제어 명령을 차량의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어부의 차량 장치 제어 요청에 따라 운전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자 위치정보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의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적정 시점에서 차량 장치들의 원격 제어 및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 장치의 불필요한 작동을 줄이고, 차량 장치의 효율적인 제어 및 작동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폴트값에 따라 차량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10) 내 구성요소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11),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14)를 제어하는 제어부(12), 및 차량(10)의 무선통신 수행을 위한 송수신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와,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를 통해 운전자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자 위치정보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14)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31)를 통해 차량으로 무선 전송하는 서버(30)를 포함한다.
먼저, 차량의 센서부(11)가 수집하는 환경정보는 차량 내부 온도 제어와 관련된 차량 장치(공조장치, 시트 온도조절장치, 스티어링휠 히터 등)의 원격 제어를 위하여 온도정보가 될 수 있고, 이때 센서부(11)는 온도센서, 예를 들어 차량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 센서와 외기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환경정보로 공조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변수로 이용되고 있는 차량의 습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때 센서부(11)는 차량의 습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1)를 통해 수집되는 온도정보 또는 습도정보를 활용하여 공조장치의 냉방 및 난방, 환기, 제습 기능의 선택 제어가 가능해진다.
차량의 제어부(12)는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14)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여기서 차량 장치(1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공조장치(공조 히터/에어컨), 시트 온도조절장치(예, 시트 히터), 스티어링휠 히터, 이오나이저(Ionizer)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센서부(11)를 통해 차량에서 수집된 온도/습도 등 환경정보를 송수신부(13)를 통해 서버(30)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더불어 서버(3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송수신부(13)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14)를 제어한다.
차량의 송수신부(13)는 운전자 통신 단말기(20) 및 서버(3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송수신부(13)에 의해 차량의 제어부(12)가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 및 서버(30)에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운전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기(20)에서 차량 장치(14)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되며, 예로 운전자가 통신 단말기(20)를 조작하여 원격지에서 차량 시동을 걸 수 있다.
운전자가 이러한 원격 시동 조작을 행하게 되면, 통신 단말기(20)가 출력하여 전송되는 원격 시동 명령에 의해 공조장치, 시트 온도조절장치, 스티어링휠 히터, 이오나이저 등의 차량 장치(14)가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는 운전자가 원격 시동 조작을 행할 경우 원격 시동 명령을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구비되고, 그 밖에 차량 장치(14)의 제어와 관련된 특별한 조작이 있을 경우 해당 제어 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으로 전송한다.
이때, 차량의 제어부(12)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에서 전송되는 제어 명령, 예컨대 원격 시동 명령이 수신되면, 엔진의 작동을 제어함과 더불어(엔진 시동), 원격 시동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서버(30)에 통지하여 차량 장치 제어를 요청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20)는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운전자 원격 제어 조작에 따라 무선통신으로 차량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20)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바람직하게는 체온과 같은 생체정보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인체 장착형 스마트 기기나 착용식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를 통해 운전자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와, 차량에서 전송되는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서버(30)는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 장치(14)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 뒤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데,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원격 시동 명령이 수신되면, 확인된 운전자 위치정보로부터 운전자가 차량에 도달하기까지의 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도달예상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차량 장치(14)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운전자 도달예상시간은 차량으로부터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확인된 운전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장치(14)의 제어를 위해 서버(30)는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환경정보(실내/실외온도, 습도 등)를 더 이용할 수 있는데, 서버(30)가 상기 도달예상시간과 더불어 환경정보에 기초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운전자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집되는 생체정보(운전자 체온 등)를 더 이용할 수 있으며, 운전자 생체정보는 차량 장치(14)(공조장치, 시트 온도조절장치 등)의 작동모드나 작동온도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위치정보 및 그로부터 산출된 도달예상시간을 이용하는 예로서, 서버(30)는 운전자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된 도달예상시간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차량에서 수집된 환경정보, 즉 현재의 차량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에 상응하는 각 차량 장치(14)별 작동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작동시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차량 도달 예상 시점 이전의 적정 시점에서 선택된 차량 장치(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하기 표 1은 작동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에 따른 공조장치(에어컨,히터)의 작동시간, 그리고 시트 온도조절장치(히팅/쿨링)와 스티어링휠 히터, 이오나이저 등 차량 장치(14)의 작동시간이 설정된다.
Figure pat00001
또한, 서버(30)가 차종, 연식, 기타 특이사항 등 운전자가 등록한 차량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작동시간을 산출하도록, 표 1과 같이 차량 장치(14)의 작동시간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상기 차량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선택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서 차량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20)에서 원격 시동 조작을 행할 경우 통신 단말기(20)가 차량으로 원격 시동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차량의 제어부(12)가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원격 시동 명령을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시동을 위해 엔진의 작동을 제어함과 더불어, 서버(30)로 원격 시동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어 상기 서버(30)는 통신 단말기(20)를 통해 운전자 위치를 수집하고, 등록된 운전자 차량에 무선으로 정보 요청하여 센서부(11)에 의해 검출된 실내온도, 실외온도 등의 환경정보를 차량으로부터 수신받는다.
이와 함께 통신 단말기(20)에 무선으로 정보 요청하여 측정된 운전자 생체정보, 예컨대 운전자 체온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상기 서버(30)는 확인된 운전자 위치정보로부터 현재의 차량과 운전자 위치 간 거리가 반영된 도달예상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위치가 현재 차량으로부터 약 200m 떨어진 지점이라면, 거리 200m를 반영하여 운전자가 현 위치로부터 차량에 도달할 수 있는 도달예상시간을 산출한다.
이후 서버(30)는 산출된 도달예상시간에 따라 차량 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으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서버(30)는 차량 정보(차종, 연식 등)가 반영된 표 1과 같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차량 장치(14)의 작동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작동시간은 차량의 센서부(11)를 통해 검출된 환경정보, 예를 들어 차량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에 따라서 차량 장치(14)의 작동모드가 정해질 수 있고, 더불어 통신 단말기(20)를 통해 수집된 운전자 생체정보에 따라서 차량 장치(14)의 작동모드나 작동온도가 정해질 수 있다.
이어 결정된 운전자 도달예상시간과 차량 장치(14)의 작동시간, 작동모드, 작동온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각 차량 장치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다.
이때, 도달예상시간과 작동시간을 참조하여 각 차량 장치(14)의 작동시점을 계산한 뒤, 도달예상시간 내에서 해당 작동시점에 맞추어 해당 차량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이에 차량의 제어부(12)는 서버(3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며, 운전자 도달예상시간 내에 정해진 각 작동시점에 맞추어 차량 장치들을 작동시킨다.
일례로, 산출된 운전자 도달예상시간이 12분일 경우, 원격 시동 명령을 수신한 후 4분이 되는 시점에서 히터 작동, 약 9분이 되는 시점에서 이오나이저 작동, 약 10분이 되는 시점에서 시트 예열, 약 11분이 되는 시점에서 스티어링휠 예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시동 명령 후 서버(30)가 통신 단말기(20)의 위치 확인이 불가한 상태라면, 즉 위치 확인이 불가한 지역에 운전자가 위치하고 있다면, 서버가 정해진 디폴트값(기본 설정값)에 따라 차량 장치(14)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설정시간(도달예상시간)이 10분으로 정해져 있고, 기본 설정시간인 10분 이내에 각 차량 장치(14)의 작동시점이 미리 정해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폴트값이 이용되는 예에서 차량이 운전자로부터 원격 시동 명령을 수신하면,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고, 원격 시동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서버(30)에 통지한다.
이때, 운전자 위치정보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서버(30)는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 10분 내에서 각 차량 장치(14)의 작동시점에서 히터, 이오나이저, 시트 온도조절장치, 스티어링휠 히터 등의 장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원격 시동 명령 후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약 2분이 되는 시점에서 히터 작동, 약 7분이 되는 시점에서 이오나이저, 약 8분이 되는 시점에서 시트 예열, 약 9분이 되는 시점에서 스티어링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설정시간과 각 차량 장치(14)의 작동시점 등은 운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값들이며, 이는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11 : 센서부
12 : 제어부 13 : 송수신부
14 : 차량 장치 20 : 통신 단말기
30 : 서버 31 : 송수신부

Claims (8)

  1. 무선통신 수행을 위한 차량의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장치를 제어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부,
    운전자가 입력한 원격 제어 명령을 차량의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어부의 차량 장치 제어 요청에 따라 운전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자 위치정보에 따라 차량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의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차량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위치정보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또는 차량의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는 온도정보 또는 습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운전자 위치정보로부터 운전자가 차량에 도달하기까지의 도달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운전자 위치정보와 환경정보로부터 차량 장치별 작동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도달예상시간과 작동시간에 따라 구해지는 차량 장치별 작동시점에서 각 차량 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운전자 위치정보로부터 운전자가 차량에 도달하기까지의 도달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도달예상시간 내에서 각 차량 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원격 시동 명령이 전송된 경우,
    제어부가 원격 시동 명령에 따라 차량 시동을 위한 엔진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제어부의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도달예상시간 내에서 구해지는 작동시점에 따라 엔진을 제외한 나머지 각 차량 장치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통신 단말기는 운전자 생체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운전자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운전자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통신 단말기에서 검출되는 운전자 체온정보이고,
    상기 서버는 운전자 체온정보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장치의 작동모드 또는 작동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30153633A 2013-12-11 2013-12-11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50067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33A KR20150067971A (ko) 2013-12-11 2013-12-11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33A KR20150067971A (ko) 2013-12-11 2013-12-11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71A true KR20150067971A (ko) 2015-06-19

Family

ID=5351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33A KR20150067971A (ko) 2013-12-11 2013-12-11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79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8313B2 (en) 2015-09-21 2019-06-11 Hyundai Moto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power in vehicle
KR20190080253A (ko) * 2017-12-28 201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탑승 예측을 통한 자동차의 편의기능 사전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8313B2 (en) 2015-09-21 2019-06-11 Hyundai Moto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power in vehicle
KR20190080253A (ko) * 2017-12-28 201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탑승 예측을 통한 자동차의 편의기능 사전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5996B2 (ja) リモート空調始動システム、サーバ
US8868292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ior temperature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08501653B (zh) 车辆用空调机控制系统及方法
US20070144723A1 (en) Vehicle remote control and air climate system
CN107942746B (zh) 车辆远程控制系统与方法
JP5660349B2 (ja) 車両情報取得装置、車両情報供給装置、車両情報取得装置及び車両情報供給装置を備えた車両の情報通信システム
CN108025692B (zh) 机动车的运行状态与车辆外部的设备的运行状态的耦联
MX370534B (es) Control adaptable de sistema de calefaccion, ventilacion y aire acondicionado automaticos (hvac) que utiliza datos de fuentes colectivas.
CN105599703A (zh) 汽车钥匙探测方法及装置
US20140074320A1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terminal, server, and vehicle
CN104842743A (zh) 一种车载空调远程控制方法及系统
CN109249878A (zh) 基于天气和用户习惯的汽车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05102247A (zh) 用于远程激活机动车功能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JP2013238184A (ja) リモートエンジン始動装置および車載機
US9684304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JP5949401B2 (ja) 宅内空調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
CN112261749B (zh) 车辆除霜除雾控制电路、方法及车辆
WO2018157525A1 (zh) 车载空调控制方法及系统
JP2019182231A (ja) 車載端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CN109788023A (zh) 基于温度的嵌入式调制解调器特征扩展
JP2022028697A (ja) 少なくとも一つの空気調和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移動端末
JP2023027348A (ja) 連携制御システム、連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2007192416A (ja) 環境制御システム
CN115128985A (zh) 一种车辆的远程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0738993B (zh) 车辆管理系统、存储有车辆管理程序的存储介质以及车辆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