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266A - 악교정 벤딩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악교정 벤딩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266A
KR20150067266A KR1020157011474A KR20157011474A KR20150067266A KR 20150067266 A KR20150067266 A KR 20150067266A KR 1020157011474 A KR1020157011474 A KR 1020157011474A KR 20157011474 A KR20157011474 A KR 20157011474A KR 20150067266 A KR20150067266 A KR 2015006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base
implant
bending tool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528B1 (ko
Inventor
로게르 코히
로베르트 요트. 샤유텐스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5006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3Apparatus for shaping or cutting osteosynthesis equipment by medical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5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pliable or malleable elements or having a mesh-like structure, e.g. small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벤딩 공구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기부, 및 제1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기부, 및 제2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교정 벤딩 플라이어{ORTHOGNATHIC BENDING PLIERS}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orthopedic implant)를 조작하기 위한 공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악교정 판(orthognathic plate)을 구부리기 위한 공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격 부조화에 의해 초래되는 구조, 성장, 수면 무호흡, 부정교합 교정 문제들, 또는 브레이스(brace)로 쉽게 치료될 수 없는 다른 치과교정 문제들에 관련된, 턱과 안면의 다수의 상태를 교정하는 데 두개안면 수술이 사용될 수 있다. 두개안면 수술 동안, 절골술이 종종 수행되는데, 여기서 골(bone)들이 커팅되고, 재정렬되고, 스크류(screw) 또는 판(plate)과 스크류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몇몇 두개안면 외과적 시술이 수년 간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상악골 전진술로 알려진 외과적 시술이 턱과 안면의 상태를 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악골 전진술은 환자의 상악골이 하악골과 정확히 정렬되도록 상악골을 재위치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구체적으로, 상악골 전진술은 "르포르(Lefort) I" 절골술(두개골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의 상악골의 절제)을 수행하는 단계; 상악골을 전방으로(또는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골 세그먼트(bone segment)들이 함께 성장하고 유합할 때까지 골판(bone plate) 및 스크류를 사용하여 상악골을 두개골의 나머지 부분에 재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가 골절부와 같은 두개안면 결손부 위에, 그러한 결손부에 의해 분리된 골 세그먼트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이식될 수 있다. 두개안면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면, 모든 해부학적 형상 및 크기에 적합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대신에, 골판이 사례별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일치하도록 커팅되고 형상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수술의 목적은 골 해부학적 구조물을 재건하고 그것의 기능을 복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골판을 구부릴 수 있는 기구, 공구,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골판과 같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기 위한 공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벤딩 공구(bending tool)는 제1 임플란트 부분 및 제2 임플란트 부분을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벤딩 공구는 제1 조오 조립체(first jaw assembly), 및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맞물림 표면(engagement surface)을 한정하는 제1 조오를 포함한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조오를 포함한다. 제2 조오는 기부(base), 및 제2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제2 맞물림 표면이 제1 맞물림 표면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제1 맞물림 표면과 제2 맞물림 표면 사이에 간극(gap)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간극은 측방향을 따라 제2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제1 맞물림 표면까지 한정되는 가변 조절 거리를 갖는다. 작동 시에,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조오 및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조절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1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제1 조오 및 제2 조오가 간극 내에 배치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에 힘을 인가하게 하여서,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조절 거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만큼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린다.
오프셋 거리는 측방향을 따른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의 두께와 조절 거리 사이의 차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조절 부재는 기부에 대해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프셋 거리는 복수의 오프셋 거리들 중 제1 오프셋 거리일 수 있다. 기부는 복수의 기부 마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부 마킹은 복수의 오프셋 거리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조절 부재는 조절 마킹을 포함한다. 조절 마킹은 복수의 기부 마킹들 중 하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들 중 하나만큼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다.
조절 부재는 기부에 대해 증분식으로(incrementally)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 부재는 조절 몸체, 및 조절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조절 치형부(too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부는 기부 몸체, 및 기부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기부 치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부 치형부들은 조절 치형부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조절 부재가 기부에 대해 증분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조오는 제1 조절 부재, 및 제1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는 제1 기부에 대해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는 제1 기부에 대해 증분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오의 기부는 제1 맞물림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조오 및 제2 조오는 측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조오에 결합된 제1 손잡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조오에 결합된 제2 손잡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1 손잡이 부재 및 제2 손잡이 부재의 서로를 향한 이동은, 제1 조오 및 제2 조오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벤딩 공구는 제1 손잡이 부재 및 제2 손잡이 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편의(biasing)시키기 위해 제1 손잡이 부재와 제2 손잡이 부재 사이에 연결된 편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조절 부재와 기부 사이에 연결된 조오 체결구(fastener)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오 체결구는 기부에 대한 조절 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로킹해제된 위치(unlocked position)와 로킹된 위치(lock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조오 및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측방향과 반대인 제2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조절 거리를 증가시킨다.
실시예에서, 벤딩 공구는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조오를 포함한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조오를 포함한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제1 조오가 제2 조오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간극은 제1 조오와 제2 조오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 시에,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조오 및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를 향해 측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1 조오 및 제2 조오가 간극 내에 배치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에 힘을 인가하게 하여,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오프셋 거리만큼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린다. 측방향은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하는 벤딩 공구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기부, 및 제1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제1 기부는 제1 맞물림 표면을 한정한다. 제2 조오 조립체는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기부, 및 제2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조절 부재는 제2 맞물림 표면을 한정한다. 조절 거리가 측방향을 따라 제2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제1 맞물림 표면까지 한정된다. 본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 제2 조절 부재를 제2 기부에 대해 초기 위치로부터 조절된 위치(adjusted position)로 이동시켜 조절 거리를 설정하여서, 벤딩 공구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조절 거리에 의해 한정되는 오프셋 거리로 구부리도록 구성되게 하는 단계; (b)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일부분을 제1 조오 조립체와 제2 조오 조립체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c)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일부분을 제1 형상으로부터 제1 형상과는 상이한 제2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상기의 개요뿐만 아니라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개략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된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도면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특정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제1 형상을 한정하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1b는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하는 벤딩 공구의 사시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개방된 위치에 있고, 도 1a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가 제1 조오 조립체와 제2 조오 조립체 사이의 임플란트 수용 간극 내에 배치됨.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골판이 골판 수용 간극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폐쇄된 위치에 있어서, 골판이 제2 형상을 획득할 수 있음.
도 1d는 제2 형상을 한정하는, 도 1a에 도시된 골의 사시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사시도이며, 벤딩 공구는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기부, 및 제1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기부, 및 제2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절 부재를 포함함.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평면도.
도 2c는 도 2b의 단면선 2C-2C를 따라 취해진,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 단면도.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개방된 위치에 있고, 제1 조절 부재가 제1 초기 위치에 위치된 것을 도시함.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개방된 위치에 있고, 제1 조절 부재가 제1 조절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3c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폐쇄된 위치에 있고, 제2 조절 부재가 제2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3d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폐쇄된 위치에 있고, 제2 조절 부재가 제2 조절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3e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개방된 위치에 있고, 제1 조절 부재가 제1 조절된 위치에 있으며, 제2 조절 부재가 제2 조절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3f는 도 2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정면도이며, 제1 조오 조립체 및 제2 조오 조립체가 폐쇄된 위치에 있고, 제1 조절 부재가 제1 조절된 위치에 있으며, 제2 조절 부재가 제2 조절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4a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벤딩 공구의 제1 조오 및 제2 조오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에 예시된 제2 조오의 맞물림 표면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딩 공구의 측면도이며, 벤딩 공구는 제1 조오 및 제2 조오와,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갖는 벤딩 기구(bending mechanism)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조오 및 제2 조오는 제1 또는 개방된 위치에 있고, 롤러들은 제1 위치에 있음.
도 5b는 도 5a의 벤딩 공구의 측면도이며, 제1 조오 및 제2 조오가 제2 또는 폐쇄된 위치에 있고 롤러들이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5c는 도 5a의 벤딩 공구의 측면도이며, 제1 조오 및 제2 조오가 제2 또는 폐쇄된 위치에 있고 롤러들이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벤딩 기구의 평면도.
도 5e는 도 5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벤딩 기구의 저면도.
도 5f는 도 5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벤딩 기구의 사시도이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가 제1 조오와 제2 조오 사이의 간극 내에 배치된 것을 예시함.
도 5g는 도 5a에 도시된 벤딩 공구의 벤딩 기구의 사시도이며, 롤러들에 의해 구부러진 후의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예시함.
도 5h는 도 5g에 도시된 벤딩 기구의 평면도이며, 롤러가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
도 5i는 도 5g에 도시된 벤딩 기구의 평면도이며, 제2 위치에 있는 롤러 및 구부러진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예시함.
도 5j는 도 5h 및 도 5i에 도시된 롤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기구의 사시도.
소정 용어가 오직 편의를 위해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단어 "우측", "좌측", "하부" 및 "상부"는 참조하는 도면에서의 방향들을 가리킨다. 단어 "근위방향으로(proximally)" 및 "원위방향으로(distally)"는 각각 외과용 장치를 사용하는 외과의를 향하는 방향 및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사전결정된 오프셋으로 구부리기 위한 벤딩 공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는 골판, 와이어, 벤딩 템플릿(bending template), 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는 악교정 판과 같은 골판(12)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는 임플란트 몸체(14), 및 임플란트 몸체(14)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 구멍(16)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구멍(16)은 골 스크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될 수 있다. 골 스크류는 임플란트 구멍(16)을 통해 그리고 골 내로 삽입되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상기 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몸체(14)는 제1 임플란트 부분(18), 제2 임플란트 부분(20), 제1 임플란트 부분(18)과 제2 임플란트 부분(20) 사이에 배치된 제3 임플란트 부분(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임플란트 부분(18)은 제2 임플란트 부분(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임플란트 부분(20) 및 제3 임플란트 부분(26)은 제1 임플란트 방향(24)을 따라 길 수 있고, 제1 임플란트 부분(18)은 제2 임플란트 방향(22)을 따라 길 수 있다. 제1 임플란트 방향(24)은 제2 임플란트 방향(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임플란트 방향(24)은 제2 임플란트 방향(22)으로부터 사각(oblique angle)으로 각도 오프셋될 수 있다.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는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제1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제1 형상을 가질 때, 임플란트 몸체(14)는 임플란트 몸체(14)가 실질적으로 제1 임플란트 평면(F)을 따라 연장되도록 실질적으로 평면형(planar)인 구성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제1 형상을 가질 때, 제1 임플란트 부분(18), 제2 임플란트 부분(20), 및 제3 임플란트 부분(26)은 제1 임플란트 평면(F)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제1 형상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제1 형상은 다른 적합한 형상을 지칭할 수 있다. 외과용 키트(kit)가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벤딩 공구(100) 및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과용 키트는 악교정 수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 공구(100)는 벤딩 플라이어(bending plier)(101)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것의 특정 구성과 관계없이, 벤딩 공구(100)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임플란트를 사전결정된 오프셋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된다. 벤딩 공구(100)는 금속과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벤딩 공구(100)는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1 조오 조립체(10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오 조립체(10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조오 조립체(103)는 제2 조오 조립체(105)에 피벗가능하게(pivotally)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벤딩 기구(102)를 집합적으로 형성한다. 벤딩 기구(102)는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의 이동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특히,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아치-형상의 경로를 따라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개방된 위치에서,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을 집합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조오(106)와 제2 조오(104) 사이에 한정된다. 폐쇄된 위치에서, 제1 조오(106)와 제2 조오(104)는 개방된 위치에서보다 서로 더 가깝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조오 조립체(103)와 제2 조오 조립체(105) 사이의 피벗 연결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시된 실시예가 피벗 연결을 도시하지만,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합한 연결에 의해, 제1 조오 조립체(103)가 제2 조오 조립체(10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예를 들어, 벤딩 공구(100)는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가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동안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임플란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원하는 오프셋으로 구부리기 위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있는 동안)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벤딩 기구(102)는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힘을 인가하여,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제1 형상(도 1a)으로부터 제2 형상(도 1d)으로 변형되게 한다.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제2 형상(도 1d)은 제1 형상(도 1a)과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제2 형상을 가질 때, 제3 임플란트 부분(26)은, 제1 임플란트 부분(18)이 실질적으로 제1 임플란트 평면(A)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임플란트 부분(20)이 실질적으로 제2 임플란트 평면(B)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1 아치(28) 및 제2 아치(30)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임플란트 평면(A)은 제2 임플란트 평면(B)에 대해 각도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플란트 평면(A)은 제2 임플란트 평면(B)에 대해 직각으로 각도 오프셋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임플란트 평면(A)은 제2 임플란트 평면(B)에 대해 사각으로 각도 오프셋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각"은 직각 또는 직각의 배수가 아닌, 예각 또는 둔각과 같은, 각도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1 임플란트 부분(18)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제2 형상을 가질 때, 제2 임플란트 부분(20)에 대해 각도 오프셋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제2 형상은 제1 형상과는 상이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형상, 제2 형상, 또는 둘 모두는 형태가 해부학적인 것일 수 있다. 즉,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해부학적 구조물의 일부분 위에 맞춰지도록 윤곽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해부학적 구조물의 특정 부분 위에 맞춰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제2 임플란트 부분(20)에 대한 제1 임플란트 부분(18)의 각도 오프셋은, 벤딩 공구(100)를 사용하여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리기 전에 제1 조오(106), 제2 조오(104), 또는 둘 모두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벤딩 공구(100)는 벤딩 기구(102)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 기구(110)를 포함하여서, 작동 기구(110)의 작동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는 작동 기구(110)를 한정하도록 상호작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는 벤딩 기구(102)를 한정하도록 상호작용할 수 있다. 작동 기구(110)는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에 연결된 손잡이(11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손잡이(112)의 작동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112)는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 부재(114)는 제1 조오(106)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손잡이 부재(116)는 제1 조오(106)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103)는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1 조오(106)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제2 조오 조립체(105)는 제2 손잡이 부재(116) 및 제2 조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 부재(114)는 제1 또는 근위(proximal) 손잡이 단부(122), 및 제1 손잡이 단부(122)로부터 이격된 제2 또는 원위(distal) 손잡이 단부(124)를 한정한다. 유사하게, 제2 손잡이 부재(116)는 제1 또는 근위 단부(126), 및 제1 손잡이 단부(126)로부터 이격된 제2 손잡이 단부(128)를 한정할 수 있다. 피벗 핀(pivot pin)과 같은 피벗 부재(118)가 제1 손잡이 부재(114)를 제2 손잡이 부재(116)에 피벗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벗 부재(118)는 제1 조오 조립체(103)를 제2 조오 조립체(105)와 피벗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재(114)는 제2 손잡이 부재(116)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는 피벗 부재(118)에 의해 한정되는 피벗축(P)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벗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벗 부재(118)는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를 피벗가능하게 상호연결하는 피벗 핀(120)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벗 부재(118)는, 제1 손잡이 단부(122)와 제2 손잡이 단부(124) 사이의 그리고 제1 손잡이 단부(126)와 제2 손잡이 단부(128) 사이의 위치에서, 제1 손잡이 부재(114)를 제2 손잡이 부재(116)에 피벗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서로를 향한,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부재(114, 116)의 제1 손잡이 단부(122, 126)의 이동은,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부재(114, 116)의 제2 손잡이 단부(124, 128)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역으로,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의,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부재(114, 116)의 제1 손잡이 단부(122, 126)의 이동은,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부재(114, 116)의 제2 손잡이 단부(124, 128)가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는 제1 손잡이 위치와 제2 손잡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손잡이 위치에서, 제1 손잡이 단부(122) 및 제1 손잡이 단부(126)는 제1 손잡이 위치에서보다 서로 더 가깝다. 또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가 제2 손잡이 위치에 있을 때, 제2 손잡이 단부(124) 및 제2 손잡이 단부(128)는 제1 손잡이 위치에서보다 서로 더 가깝다. 제1 손잡이 위치는 또한 비-작동된 위치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손잡이 위치는 또한 작동된 위치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는 비-작동된 위치와 작동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손잡이 부재(114)의 제2 손잡이 단부(124)는 제1 조오(106)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손잡이 부재(116)의 제2 손잡이 단부(128)는 제2 조오(10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 위치와 제2 손잡이 위치 사이에서의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의 이동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손잡이 위치로부터 제2 손잡이 위치로의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의 이동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역으로, 제2 손잡이 위치로부터 제1 손잡이 위치로의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의 이동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작동 시에, 힘(H)이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 인가되어 제1 손잡이 단부(122) 및 제1 손잡이 단부(126)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켜서, 제2 손잡이 단부(124) 및 제2 손잡이 단부(128)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의 힘(H)의 인가는,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손잡이(112)는 제1 손잡이 부재(114)와 제2 손잡이 부재(116) 사이에 연결된 편의 부재(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편의 부재(130)는 스프링(132)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를 제1 손잡이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 편의력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편의 부재(130)는 제1 손잡이 단부(122) 및 제1 손잡이 단부(126)를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편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를 제1 손잡이 위치로부터 제2 손잡이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 인가되는 힘(H)이 편의 부재(130)에 의해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 가해지는 편의력을 극복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편의 부재(130)는 제1 손잡이 부재(114)에 부착된 제1 편의 부분(131),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 부착된 제2 편의 부분(133)을 포함한다. 제1 편의 부분(131) 및 제2 편의 부분(133)은 제1 손잡이 부재(114)와 제2 손잡이 부재(116) 사이의 위치에서 서로 결합된다.
벤딩 공구(100)는 제1 손잡이 부재(114)를 제1 조오(106)에 결합시키는 제1 연결 아암(13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핀, 스크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136)가 제1 손잡이 부재(114)의 제2 손잡이 단부(124)를 제1 연결 아암(134)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연결 아암(134)은 또한 벤딩 공구(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손잡이 부재(11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138)가 제1 연결 아암(134)을 제2 손잡이 부재(11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연결 아암(134)은, 체결구(138)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 제1 홈(groove)(135)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의 피벗 운동은, 체결구(138)가 제1 홈(135) 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기 때문에, 제1 연결 아암(134)이 체결구(13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제1 연결 아암(134)에 더하여, 벤딩 공구(100)는 제2 손잡이 부재(116)를 제2 조오(104)에 결합시키는 제2 연결 아암(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핀, 스크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142)가 제2 손잡이 부재(116)의 제2 손잡이 단부(128)를 제2 연결 아암(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연결 아암(140)은 또한 벤딩 공구(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손잡이 부재(11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구(144)가 제2 연결 아암(140)을 제1 손잡이 부재(11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연결 아암(140)은, 체결구(144)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 제2 홈(145)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조오 조립체(103) 및 제2 조오 조립체(105)의 피벗 운동은, 체결구(144)가 제2 홈(145) 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기 때문에, 제2 연결 아암(140)이 체결구(144)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제2 홈(145)과 체결구(144) 사이의 연결 및 제1 홈(135)과 체결구(138) 사이의 연결은, 하기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횡방향 및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조오(106)는 제1 손잡이 부재(114)에 결합되며, 제1 조절 부재(246), 및 제1 조절 부재(24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기부(2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측방향 또는 제1 측방향과 반대인 제2 측방향과 같은,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는 제1 조절 몸체(250)를 포함한다. 제1 조절 몸체(250)는 제1 조절 저부 표면(252) 및 대향하는 제1 조절 상부 표면(254)을 한정한다. 제1 조절 상부 표면(254)은, 제1 횡방향 또는 제1 횡방향과 반대인 제2 횡방향과 같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1 조절 저부 표면(252)으로부터 이격된다. 횡방향(170)은 측방향(17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조절 저부 표면(252)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기부(248)의 적어도 일부분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조절 몸체(250)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조절 치형부(25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치형부(256)들은 제1 조절 저부 표면(252)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 치형부(256)들은 측방향(17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246)는 횡방향(170)을 따라 제1 조절 저부 표면(252)과 제1 조절 상부 표면(254)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조절 구멍(258)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조절 구멍(258)은 나사형성된(threaded) 구멍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조절 구멍(258)을 한정하는 제1 조절 내측 표면(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내측 표면(260)은 제1 조절 암나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부(248)는 제1 조절 부재(24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연결 아암(134)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기부(248)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는 제1 기부 몸체(264)를 포함한다. 제1 기부 몸체(264)는 제1 기부 저부 표면(276) 및 대향하는 제1 기부 상부 표면(278)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기부 저부 표면(276)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1 기부 상부 표면(27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기부(248)는 제1 기부 저부 표면(276)과 제1 기부 상부 표면(278)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기부 내측 표면(280)을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제1 기부 내측 표면(280)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1 기부 저부 표면(276)과 제1 기부 상부 표면(278) 사이에서 제1 기부 몸체(264) 내로 연장되는 제1 기부 슬롯(282)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기부 슬롯(282)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1 기부 저부 표면(276)으로부터 제1 기부 상부 표면(278)까지 제1 기부 몸체(26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기부 슬롯(282)은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다. 제1 기부 슬롯(282) 외에, 제2 기부(148)는 제1 기부 몸체(264)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기부 치형부(28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부 치형부(284)들은 측방향(17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기부 치형부(284)는 제1 조절 치형부(256)와 정합하도록 구성되어서, 제1 조절 부재(246)가 제1 기부(248)에 대해 증분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기부(248)에 대해 약 1 밀리미터 증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조오(106)는 제1 조절 부재(246)를 제1 기부(248)에 결합시키는 제1 조오 체결구(286)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조오 체결구(286)는 로킹 스크류(288)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조오 체결구(286)는 제1 체결구 헤드(290), 및 제1 체결구 헤드(290)에 연결된 제1 체결구 샤프트(292)를 포함한다. 제1 체결구 헤드(290)는 육각형 헤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 헤드(290)는 제1 기부 슬롯(282) 내부에 끼워맞춤될 수 없다. 대조적으로, 제1 체결구 샤프트(292)는 제1 기부 슬롯(282) 내부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될 수 있다. 제1 체결구 헤드(290)는 제1 체결구 샤프트(292) 상에 배치된 제1 체결구 수나사(29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구 수나사(294)는 제1 조절 암나사(262)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제1 체결구 샤프트(292)가 제1 조절 부재(246)에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제1 조오 체결구(286)의 회전은,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해제된 위치와 제1 로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제1 로킹해제된 위치에서, 제1 조오 체결구(286)는 제1 조절 부재(246)에 결합되지만, 제1 체결구 샤프트(292)는 제1 기부 슬롯(282)을 따라 측방향(17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체결구 헤드(290)를 통해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기부(248)에 대한 제1 조절 부재(24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1 체결구 헤드(29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역으로,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조절 부재(246)의 위치는 제1 기부(248)에 대해 고정된다.
제1 조오 체결구(286)를 제1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제1 로킹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조오 체결구(286)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조오 체결구(286)의 회전은, 제1 조오 체결구(286)가 횡방향(170)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1 조오 체결구(286)를 제1 조절 부재(246)와 제1 기부(248) 사이에서 조인다.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체결구 헤드(290)는 제1 기부 저부 표면(276)에 압력을 가하여서, 제1 조절 부재(246)가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한다.
제1 조오 체결구(286)를 제1 로킹된 위치로부터 제1 로킹해제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조오 체결구(286)는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1 조오 체결구(286)의 회전은, 제1 조오 체결구(286)가 횡방향(170)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1 조오 체결구(286)를 제1 조절 부재(246)로부터 푼다. 이 시점에서, 제1 체결구 샤프트(292)는 제1 기부 슬롯(282) 내에서 측방향(17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기부 슬롯(282)을 따른 측방향(172)으로의 제1 체결구 샤프트(292)의 이동은, 제1 조절 부재(246)가 제1 초기 위치와 제1 조절된 위치 사이에서 대응 측방향(172)으로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제1 조절 부재(246)는 구부러질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오프셋을 설정하기 위해 제1 초기 위치와 제1 조절된 위치 사이에서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기부(248)는 제1 측방향 또는 제2 측방향(274)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기부 마킹(29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부 마킹(296)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사전결정된 오프셋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246)는, 구부러질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오프셋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기부 마킹(296)들 중 임의의 것과 정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조절 마킹(298)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조절 맞물림 표면, 및 측방향(172)을 따라 제1 조절 맞물림 표면(247)으로부터 이격된 대향하는 제1 외측 표면(245)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조절 맞물림 표면(247)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조절 맞물림 표면(247)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제1 조절 저부 표면(252)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맞물림 부분(2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맞물림 부분(253)은 치형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부(248)는 제1 기부 맞물림 표면(249), 및 측방향(172)을 따라 제1 기부 맞물림 표면(249)으로부터 이격된 대향하는 외측 기부 표면(251)을 한정한다. 제1 기부 맞물림 표면(249)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기부 맞물림 표면(249)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의 구조 및 작동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조오(104)는 제2 손잡이 부재(116)에 결합되며, 제2 조절 부재(146), 및 제2 조절 부재(14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기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146)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는 제2 조절 몸체(150)를 포함한다. 제2 조절 몸체(150)는 제2 조절 저부 표면(152) 및 대향하는 제2 조절 상부 표면(154)을 한정한다. 제2 조절 상부 표면(154)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2 조절 저부 표면(152)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조절 저부 표면(152)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기부(148)의 적어도 일부분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146)는 제2 조절 몸체(150)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조절 치형부(15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 치형부(156)들은 제2 조절 저부 표면(152)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절 치형부(156)들은 측방향(17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146)는 횡방향(170)을 따라 제2 조절 저부 표면(152)과 제2 조절 상부 표면(154)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조절 구멍(158)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조절 구멍(158)은 나사형성된 구멍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절 부재(146)는 제2 조절 구멍(158)을 한정하는 제2 조절 내측 표면(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 내측 표면(160)은 제2 조절 암나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부(148)는 제2 조절 부재(14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연결 아암(1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기부(148)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는 제2 기부 몸체(164)를 포함한다. 제2 기부 몸체(164)는 제2 기부 저부 표면(176) 및 대향하는 제2 기부 상부 표면(178)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기부 저부 표면(176)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2 기부 상부 표면(17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기부(148)는 제2 기부 저부 표면(176)과 제2 기부 상부 표면(178)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기부 내측 표면(180)을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제2 기부 내측 표면(180)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2 기부 저부 표면(176)과 제2 기부 상부 표면(178) 사이에서 제2 기부 몸체(164) 내로 연장되는 제2 기부 슬롯(182)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기부 슬롯(182)은 횡방향(170)을 따라 제2 기부 저부 표면(176)으로부터 제2 기부 상부 표면(178)까지 제2 기부 몸체(16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기부 슬롯(182)은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다. 제2 기부 슬롯(182)에 더하여, 제2 기부(148)는 제2 기부 몸체(164)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부 치형부(18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부 치형부(184)들은 측방향(17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기부 치형부(184)는 제2 조절 치형부(156)와 정합하도록 구성되어서, 제2 조절 부재(146)가 제2 기부(148)에 대해 증분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절 부재(146)는 제2 기부(148)에 대해 약 1 밀리미터 증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조오(104)는 제2 조절 부재(146)를 제2 기부(148)에 결합시키는 제2 조오 체결구(186)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조오 체결구(186)는 로킹 스크류(188)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조오 체결구(186)는 제2 체결구 헤드(190), 및 제2 체결구 헤드(190)로부터 돌출하는 제2 체결구 샤프트(192)를 포함한다. 제2 체결구 헤드(190)는 육각형 헤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구 헤드(190)는 제2 기부 슬롯(182) 내부에 끼워맞춤될 수 없다. 대조적으로, 제2 체결구 샤프트(192)는 제2 기부 슬롯(182) 내부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될 수 있다. 제2 체결구 헤드(190)는 제2 체결구 샤프트(192) 상에 배치된 제2 체결구 수나사(19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구 수나사(194)는 제2 조절 암나사(162)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제2 체결구 샤프트(192)가 제2 조절 부재(146)에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한 제2 조오 체결구(186)의 회전은, 제2 조오 체결구(186)가 제2 로킹해제된 위치와 제2 로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한다. 제2 로킹해제된 위치에서, 제2 조오 체결구(186)는 제2 조절 부재(146)에 결합되지만, 제2 체결구 샤프트(192)는 제2 기부 슬롯(182)을 따라 제1 측방향 또는 제2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오 체결구(186)가 제2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조절 부재(146)는 제2 체결구 헤드(190)를 통해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조오 체결구(186)가 제2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기부(148)에 대한 제2 조절 부재(14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2 체결구 헤드(19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역으로, 제2 조오 체결구(186)가 제2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조절 부재(146)는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제2 조오 체결구(186)가 제2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조절 부재(146)의 위치는 제2 기부(148)에 대해 고정된다.
제2 조오 체결구(186)를 제2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제2 로킹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조오 체결구(186)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2 조오 체결구(186)의 회전은, 제2 조오 체결구(186)가 횡방향(170)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2 조오 체결구(186)를 제2 조절 부재(146)와 제2 기부(148) 사이에서 조인다. 제2 조오 체결구(186)가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체결구 헤드(190)는 제2 기부 저부 표면(176)에 압력을 가하여서, 제2 조절 부재(146)가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한다.
제2 조오 체결구(186)를 로킹된 위치로부터 제2 로킹해제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조오 체결구(186)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한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2 조오 체결구(186)의 회전은, 제2 조오 체결구(186)가 횡방향(170)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2 조오 체결구(186)를 제2 조절 부재(146)로부터 푼다. 이 시점에서, 제2 체결구 샤프트(192)는 제2 기부 슬롯(182) 내에서 측방향(17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기부 슬롯(182)을 따른 측방향(172)으로의 제2 체결구 샤프트(192)의 이동은, 제2 조절 부재(146)가 제2 초기 위치와 제2 조절된 위치 사이에서 대응 측방향(172)으로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제2 조절 부재(146)는 제2 조절 맞물림 표면(147), 및 측방향(172)을 따라 제2 조절 맞물림 표면(147)으로부터 이격된 대향하는 제2 외측 표면(141)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조절 맞물림 표면(147)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2 조절 맞물림 표면(147)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제2 기부(148)는 제2 기부 맞물림 표면(149), 및 측방향(172)을 따라 제2 기부 맞물림 표면(149)으로부터 이격된 대향하는 외측 기부 표면(151)을 한정한다. 제2 기부 맞물림 표면(149)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2 조절 맞물림 표면(147)은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벤딩 공구(100)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사전결정된 오프셋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O)는 제2 조절 맞물림 표면(147)으로부터 제1 기부 맞물림 표면(249)까지 한정되는 조절 거리(A)에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두께(T)를 뺀 것에 의해 정의된다. 두께(T)는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배치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부분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따라서,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O)는 조절 거리(A)에서 두께(T)를 뺀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조절 거리(A)는 제2 조절 부재(146)를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조절 거리(A)는 또한 제1 조절 부재(246)를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즉, 조절 거리(A)는 가변 조절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벤딩 공구(100)는 제1 임플란트 부분(18)이 제2 임플란트 부분(20)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O)만큼 오프셋될 수 있도록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릴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벤딩 공구(100)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사전결정된 오프셋으로 구부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사용자는 하기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처음에, 제1 조오 체결구(286)는 제1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어야 하고, 제2 조오 체결구(186)는 제2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 부재(246)는 제2 초기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개방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제2 조절 부재(146)가 제2 기부(148)에 대해 제2 초기 위치(도 3a)로부터 제2 조절된 위치(도 3b)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우선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원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원하는 오프셋에 대응하는 마킹(196)이 식별된다. 제2 조절 부재(146)를 제2 초기 위치로부터 제2 조절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동안 조절 마킹(198)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원하는 오프셋에 대해 식별된 기부 마킹(196)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까지, 제2 조절 부재(146)가 측방향(172)을 따라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동안 조절 마킹(198)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대한 원하는 오프셋에 대해 식별된 기부 마킹(196)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까지, 제2 조절 부재(146)가 측방향(172)을 따라 제2 기부(148)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일단 제2 조절 부재(146)가 제2 조절된 위치(도 3b)에 위치되면, 제2 기부(148)에 대한 제2 조절 부재(146)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조오 체결구(186)가 제2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제2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2 조오 체결구(186)는 그것을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제2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횡방향(170)으로 그리고 측방향(17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 기구(110)는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힘(H)이 제1 손잡이 부재(114) 및 제2 손잡이 부재(116)에 인가되어,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112)가 다른 방식으로 작동되어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12)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제2 기부(148)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기부(248)의 적어도 일부분에 맞닿을 수 있지만, 제2 조절 부재(146)는 제1 조절 부재(246)에 반드시 맞닿지는 않는다.
다음에, 제1 조절 부재(246)가 제1 초기 위치(도 3c)로부터 제1 조절된 위치(도 3d)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초기 위치에서, 제1 조절 부재(246)는 제2 조절 부재(146)와 반드시 접촉하지는 않는다. 역으로, 제1 조절된 위치에서, 제1 조절 부재(246)는 제2 조절 부재(146)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 부재(246)를 제1 초기 위치로부터 제1 조절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조절 부재(246)는, 제1 조절 부재(246)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조절 부재(146)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할 때까지, 측방향(172)으로 제1 기부(248)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기부(248)에 대한 제2 조절 부재(246)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조오 체결구(286)가 제1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제1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조오 체결구(286)는 그것을 제2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로킹해제된 위치로부터 제1 로킹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벤딩 공구(100)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사전결정된 오프셋으로 구부릴 준비가 된다.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조오(106)와 제2 조오(104) 사이의 임플란트 수용 간극(10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에, 손잡이(112)가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 조오(106) 및 제2 조오(104)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에 힘을 인가하여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제1 형상(도 1a)으로부터 제2 형상(도 1d)으로 변형시킨다.
도 4a를 참조하면, 벤딩 공구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제1 조오(306) 및 제2 조오(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벤딩 공구의 구조 및 작동은 도 1a 내지 도 3f에 관하여 상기에 기술된 벤딩 공구(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간략함을 위해, 제1 조오(306) 및 제2 조오(304)의 구조 및 작동만이 상세히 기술된다.
제1 조오(306)는 제1 기부(348), 및 제1 기부(348)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조절 부재(346)를 포함한다. 제1 기부(348)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는 제1 기부 몸체(364), 및 제1 기부 몸체(364)로부터 돌출하는 기부 지지 부재(368)를 포함한다. 제1 기부 몸체(364)는 제1 기부 맞물림 표면(349), 및 측방향(172)을 따라 제1 기부 맞물림 표면(349)으로부터 이격된 대향하는 제1 기부 외측 표면(351)을 한정한다. 또한, 기부 몸체(364)는 제1 기부 저부 표면(376), 및 횡방향(170)을 따라 제1 기부 저부 표면(376)으로부터 이격된 제1 기부 상부 표면(378)을 한정한다. 기부 지지 부재(368)는 제1 기부 몸체(364)로부터 횡방향(170)으로 돌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부 지지 부재(368)는 제1 기부 상부 표면(378)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또한, 기부 지지 부재(368)는 횡방향(170)을 따라 길 수 있다. 제1 기부(348)는 기부 지지 부재(368)를 통해 연장되는 제1 보어(bore)(370)를 추가로 한정한다. 제1 보어(370)는 측방향(172)을 따라 기부 지지 부재(368)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기부 지지 부재(368)의 제1 내측 기부 표면(372)이 제1 보어(370)를 한정할 수 있으며, 제1 조절 부재(346)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내측 기부 표면(372)은 나사형성된 내측 표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부(348)는 제1 보어(370) 주위에 배치된 암나사(374)를 포함한다. 제1 조절 부재(346)는 제1 조절 몸체(350) 및 제1 조절 몸체(350)에 병진가능하게 고정된 제1 긴 부재(302)를 포함하여서, 제1 긴 부재(302)가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긴 부재(302)는 제1 긴 부재(302)와 동시에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한다. 더욱이, 제1 긴 부재(302)는 측방향(17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제1 조절 몸체(350)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 제1 긴 부재(302)는 기부 지지 부재(368)의 나사(374)와 정합하는 나사를 갖는 나사형성된 스크류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한 제1 방향으로의 기부 지지 부재(368)에 대한 제1 긴 부재(302)의 회전은, 제1 조절 몸체(350)가 측방향(172)을 따라 전방으로 또는 제2 조절 몸체(450)를 향해 전진하게 하고,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기부 지지 부재(368)에 대한 제1 긴 부재(302)의 회전은, 제1 조절 몸체(350)가 측방향(172)을 따라 후방으로 또는 제2 조절 몸체(45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후퇴하게 한다. 제1 긴 부재(302)의 나사들은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긴 부재의 각각의 완전 회전은 제1 조절 몸체(350)를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거리만큼, 예를 들어 1 mm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기부(348)는 제1 내측 기부 표면(372)으로부터 그리고 제1 보어(370)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기부(348)는 측방향(172) 및 횡방향(17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보어(370) 내로 연장되는 하나의 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1)는, 평평한 표면 또는 제1 긴 부재(302)의 외측 표면의 나머지와는 상이한 곡률을 갖는 표면일 수 있는 맞물림 표면(373)을 따라 라이딩(riding)할 수 있는 볼 디텐트(ball detent)와 같은 디텐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긴 부재(302)가 기부 지지 부재(368)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311)와 맞물림 표면 사이의 맞물림은 사전결정된 회전 간격으로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부재가 하나의 돌출부(311) 및 하나의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경우, 촉각 피드백은 각각의 회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346)가 한 쌍의 등거리로 이격된 돌출부 및/또는 맞물림 표면(373)을 포함하는 경우, 촉각 피드백은 각각의 절반-회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조절 몸체(350)는 제1 맞물림 표면(353), 및 제1 맞물림 표면(353)에 대향하고 측방향(172)을 따라 제1 맞물림 표면(353)으로부터 이격된 제1 외측 표면(355)을 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 몸체(350) 및 제1 긴 부재(302)는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긴 부재(302)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으며, 샤프트(304), 또는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긴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긴 부재(302)는 외측 표면(313), 및 외측 표면(313) 상에 배치된 수나사(315)를 한정한다. 수나사(315)는 제1 기부(348)의 암나사(374)와 정합하여서, 제1 긴 부재(302)가 제1 기부(3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수나사(315)는 돌출부(311)와 정합하여서, 제1 긴 부재(302)가 제1 기부(3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1 긴 부재(302)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긴 부재(302)가 측방향을 따라 제2 조오(304)를 향해 제1 기부(34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역으로, 제1 긴 부재(302)를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긴 부재(302)가 측방향(172)을 따라 제2 조오(304)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제1 기부(34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그러나, 제1 긴 부재(302)의 수나사(315)와 제1 암나사(374) 및/또는 돌출부(311) 사이의 맞물림은, 회전력이 제1 긴 부재(302)에 인가될 때까지 제1 긴 부재(302)가 제1 기부(3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한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조절 부재(346)는 제1 긴 부재(302)에 결합된 제1 조절 몸체(350)를 포함한다. 작동 시에, 제1 긴 부재(302)는 제1 조절 몸체(350)를 측방향(172)을 따라 제2 조오(304)를 향해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346)는 제1 긴 부재(30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3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319)는 노브(knob)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긴 부재(302)의 단부에 부착된다. 손잡이(319)는 회전축(333)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1 긴 부재(302)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는 쇼울더(shoulder)(321)와 같은 정지 부재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쇼울더(321)는 제1 긴 부재(30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를 통해 제1 긴 부재(3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319) 대신에, 조절 부재(349)는, 구동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 소켓일 수 있다. 손잡이(319) 및 제1 긴 부재(302)는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구동 공구를 소켓 내로 삽입하고 이어서 구동 공구를 사용하여 제1 긴 부재(3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조절 몸체(350)는 측방향(172)을 따라 제1 기부 상부 표면(378)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제1 조절 몸체(350)는 쇼울더(321)가 기부 지지 부재(368), 예를 들어 기부 지지 부재(368)의 내측 맞닿음 표면(371)에 맞닿을 때까지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는데, 그 맞닿음 시점에서 제1 조절 몸체(350)는 완전히 연장된다. 제1 조절 몸체(350)는 제1 조절 몸체(350)가 기부 지지 부재(368)에 맞닿을 때까지, 그리고 특히 제1 외측 표면(355)이 기부 지지 부재(368)의 전방 에지에 맞닿을 때까지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는데, 그 맞닿음 시점에서 제1 조절 몸체(350)는 완전히 후퇴된다. 제1 조절 몸체(350)가 완전히 후퇴된 때, 제1 맞물림 표면(353)은 제1 기부 맞물림 표면(349)에 대해 사전결정된 위치 관계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맞물림 표면(353)은 제1 기부 맞물림 표면(349)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거나, 제1 기부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어서, 제1 및 제2 기부 맞물림 표면(349, 449)이 서로 맞닿을 때 제1 맞물림 표면(353)이 제2 맞물림 표면(453)에 맞닿는다.
제2 조오(304)는 제2 기부(448), 및 제2 기부(448)에 결합된 제2 조절 부재(446)를 포함한다. 제2 기부(448)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는 제2 기부 몸체(464), 및 제2 기부 몸체(464)로부터 돌출하는 기부 지지 부재(468)를 포함한다. 제2 기부 몸체(464)는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 및 측방향(172)을 따라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으로부터 이격된 대향하는 제2 기부 외측 표면(451)을 한정한다. 또한, 제2 기부 몸체(464)는 제1 기부 저부 표면(476), 및 횡방향(170)을 따라 제2 기부 저부 표면(476)으로부터 이격된 제2 기부 상부 표면(478)을 한정한다. 기부 지지 부재(468)는 제2 기부 몸체(464)로부터 횡방향(170)으로 돌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부 지지 부재(468)는 제2 기부 상부 표면(478)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또한, 기부 지지 부재(468)는 횡방향(170)을 따라 길 수 있다. 제2 기부(448)는 기부 지지 부재(468)를 통해 연장되는 제2 보어(470)를 추가로 한정한다. 제2 보어(470)는 측방향(172)을 따라 기부 지지 부재(468)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기부 지지 부재(468)의 제2 내측 기부 표면(472)이 제2 보어(470)를 한정할 수 있으며, 제2 조절 부재(446)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내측 기부 표면(472)은 나사형성된 내측 표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부(448)는 제2 보어(470) 주위에 배치된 암나사(474)를 포함한다.
제2 조절 부재(446)는 제2 조절 몸체(450) 및 제2 조절 몸체(450)에 병진가능하게 고정된 제2 긴 부재(402)를 포함하여서, 제2 긴 부재(402)가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 긴 부재(402)는 제2 긴 부재(402)와 동시에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한다. 더욱이, 제2 긴 부재(402)는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제2 조절 몸체(450)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 제2 긴 부재(402)는 기부 지지 부재(468)의 나사(474)와 정합하는 나사를 갖는 나사형성된 스크류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한 제1 방향으로의 기부 지지 부재(468)에 대한 제2 긴 부재(402)의 회전은, 제2 조절 몸체(450)가 측방향(172)을 따라 전방으로 또는 제1 조절 몸체(350)를 향해 전진하게 하고,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기부 지지 부재(468)에 대한 제2 긴 부재(402)의 회전은, 제2 조절 몸체(450)가 측방향(172)을 따라 후방으로 또는 제1 조절 몸체(35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후퇴하게 한다. 제2 긴 부재(402)의 나사들은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피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긴 부재(302)의 나사들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2 긴 부재(402)의 각각의 완전 회전은 제2 조절 몸체(450)를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거리만큼, 예를 들어 1 mm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기부(448)는 제2 내측 기부 표면(472)으로부터 그리고 제2 보어(470)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기부(448)는 측방향(172) 및 횡방향(17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보어(470) 내로 연장되는 하나의 돌출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11)는, 평평한 표면 또는 제2 긴 부재(402)의 외측 표면의 나머지와는 상이한 곡률을 갖는 표면일 수 있는 맞물림 표면(473)을 따라 라이딩할 수 있는 볼 디텐트와 같은 디텐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긴 부재(402)가 기부 지지 부재(468)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411)와 맞물림 표면(473) 사이의 맞물림은 사전결정된 회전 간격으로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부재가 하나의 돌출부(411) 및 하나의 맞물림 표면(473)을 포함하는 경우, 촉각 피드백은 각각의 회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446)가 한 쌍의 등거리로 이격된 돌출부 및/또는 맞물림 표면(473)을 포함하는 경우, 촉각 피드백은 각각의 절반-회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2 조절 몸체(450)는 제2 맞물림 표면(453), 및 제2 맞물림 표면(453)에 대향하고 측방향(172)을 따라 제2 맞물림 표면(453)으로부터 이격된 제2 외측 표면(455)을 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절 몸체(450) 및 제2 긴 부재(402)는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긴 부재(402)는 측방향(172)을 따라 길 수 있으며, 샤프트(404), 또는 측방향(172)을 따라 이동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긴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2 긴 부재(402)는 외측 표면(413), 및 외측 표면(413) 상에 배치된 수나사(415)를 한정한다. 수나사(415)는 제2 기부(448)의 암나사(474)와 정합하여서, 제2 긴 부재(402)가 제2 기부(4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수나사(415)는 돌출부(411)와 정합하여서, 제2 긴 부재(402)가 제2 기부(4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제2 긴 부재(402)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긴 부재(402)가 측방향(172)을 따라 제1 조오(306)를 향해 제2 기부(44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역으로, 제2 긴 부재(402)를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긴 부재(402)가 측방향(172)을 따라 제1 조오(306)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제2 기부(448)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그러나, 제2 긴 부재(402)의 수나사(415)와 제2 암나사(474) 및/또는 돌출부(411) 사이의 맞물림은, 회전력이 제2 긴 부재(402)에 인가될 때까지 제2 긴 부재(402)가 제2 기부(44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한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2 조절 부재(446)는 제2 긴 부재(402)에 결합된 제2 조절 몸체(450)를 포함한다. 작동 시에, 제2 긴 부재(402)는 제2 조절 몸체(50)를 측방향(172)을 따라 제1 조오(306)를 향해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446)는 제1 긴 부재(30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4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419)는 소켓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긴 부재(402)의 단부에 부착된다. 손잡이(419)는 회전축(333)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2 긴 부재(402)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는 쇼울더(421)와 같은 정지 부재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쇼울더(421)는 제2 긴 부재(40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419)를 통해 제2 긴 부재(4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419)는 소켓, 노브, 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대안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손잡이(419) 및 제2 긴 부재(402)는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구동 공구를 소켓 내로 삽입하고 이어서 구동 공구를 사용하여 제2 긴 부재(4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조절 몸체(450)는 측방향(172)을 따라 제2 기부 상부 표면(478)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제2 조절 몸체(450)는 쇼울더(421)가 기부 지지 부재(468), 예를 들어 기부 지지 부재(468)의 내측 맞닿음 표면(471)에 맞닿을 때까지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는데, 그 맞닿음 시점에서 제2 조절 몸체(450)는 완전히 연장된다. 제2 조절 몸체(450)는 제2 조절 몸체(450)가 기부 지지 부재(468)에 맞닿을 때까지, 그리고 특히 제2 외측 표면(455)이 기부 지지 부재(468)의 전방 에지에 맞닿을 때까지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는데, 그 맞닿음 시점에서 제2 조절 몸체(450)는 완전히 후퇴된다. 제2 조절 몸체(450)가 완전히 후퇴된 때, 제2 맞물림 표면(453)은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에 대해 사전결정된 위치 관계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맞물림 표면(453)은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거나,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어서, 제1 및 제2 기부 맞물림 표면(349, 449)이 서로 맞닿을 때 제2 맞물림 표면(453)이 제2 맞물림 표면(453)에 맞닿는다.
제2 조절 몸체(450)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456)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부 몸체(464)는 측방향(172)을 따라 사전결정된 거리, 예를 들어 1 mm만큼 서로 이격된 마킹들을 포함하는 스케일(scale)(466)을 한정할 수 있다. 마커(456)가 스케일(466)의 첫 번째 마킹과 정렬되어 0의 오프셋을 지시할 때 제2 맞물림 표면(453)과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이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도록, 스케일(466)은 제2 기부 맞물림 표면(449)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마커(456)는 제2 맞물림 표면(453)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조절 몸체(450)가 후방으로 후퇴됨에 따라, 마커(456)가 스케일(466)에 대해 이동하여서, 마커(456)와 정렬된 스케일(466)의 마킹에 기초하여 오프셋이 측정될 수 있다.
도 4b를 또한 참조하면, 제2 맞물림 표면(453)이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한정할 수 있고, 제1 맞물림 표면(453)이 제2 맞물림 표면(453)의 역(inverse)인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원하는 바에 따라 한정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맞물림 표면(453)은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거나, 비-평면형일 수 있고,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비-평면형 해부학적 또는 유기적 기하학적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평면형 기하학적 형상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거나, 제1 맞물림 표면과 제2 맞물림 표면(453) 사이에 수용되는, 판(12)과 같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 상에 부여될, 예를 들어 스탬핑(stamping)될 임의의 다른 비-평면형 기하학적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맞물림 표면(353, 453)이 모일 때, 제1 및 제2 맞물림 표면(353, 453)의 기하학적 형상이, 각각, 제1 맞물림 표면 및 제2 맞물림 표면(453)을 향하는 판(12)의 각자의 제1 및 제2 대향 표면들 상에 부여된다. 따라서, 제1 표면 상에 부여된 기하학적 형상은 제2 표면 상에 부여된 기하학적 형상의 역이다.
도 5a 내지 도 5j를 참조하면, 벤딩 공구(500)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임플란트를 사전결정된 오프셋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벤딩 공구(500)는 공구 몸체(502), 및 공구 몸체(502)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508)를 포함한다. 손잡이(508)는 횡방향(512)으로 돌출할 수 있고, 손잡이(508)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체공학적 설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508)는 횡방향(512)을 따라 길다. 그러나, 손잡이(508)가 다른 방향을 따라 길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508)는 횡방향(512)에 대해 사각을 한정하는 방향을 따라 길 수 있다.
벤딩 공구(500)는 벤딩 기구(501)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는 공구 지지 부재(510)를 추가로 포함한다. 공구 지지 부재(510)는 공구 몸체(502)로부터 돌출하며, 횡방향(5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종방향(515)을 따라 길 수 있다. 그러나, 공구 지지 부재(510)가 다른 방향을 따라 길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여하튼, 공구 지지 부재(510)는 벤딩 기구(501)뿐만 아니라 벤딩 공구(500)의 다른 부품을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벤딩 공구(500)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벤딩 기구(501)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를 포함한다. 벤딩 기구(501)는 공구 지지 부재(5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를 포함한다. 공구 지지 부재(510)는 제1 조오(504)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2 조오(506)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구 지지 부재(510)는 제2 조오(506) 전체 및 제1 조오(504)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는 제1 또는 개방된 위치(도 5a)와 제2 또는 폐쇄된 위치(도 5b 및 도 5c)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조오(504)만이 제2 조오(506)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반면, 제2 조오(506)는 공구 몸체(502)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제2 조오(506)만이 이동할 수 있는 반면 제1 조오(504)가 공구 몸체(502)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는 것이 구상된다. 또 추가로,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 둘 모두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가 서로에 대해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무관하게,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는, 적어도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을 집합적으로 한정한다.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은 제1 조오(506)와 제2 조오(506) 사이에 한정되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다.
제1 조오(504)는 맞물림 부분(516), 및 종방향(515)을 따라 맞물림 부분(516)으로부터 이격된 커플링 부분(518)을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부분(516)은 제2 조오(5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리기 위해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 내에 배치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커플링 부분(518)은 제1 조오(504)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actuator)(520)에 결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20)는 트리거(trigger)(522)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커플링 부분(518)에 결합된다. 핀 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526)가 액추에이터(520)를 제2 조오(504)의 커플링 부분(518)과 결합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520)는 또한 공구 몸체(50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벗 핀과 같은 피벗 부재(524)가 액추에이터(520)를 공구 몸체(502)에 피벗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액추에이터(520)가 제1 위치(도 5a 및 도 5b)와 제2 위치(도 5c) 사이에서 피벗 부재(524)를 중심으로 피벗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520)는 공구 몸체(502)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액추에이터(520)는 비-작동된 위치와 작동된 위치 사이에서 공구 몸체(502)에 대해 피벗할 수 있다. 벤딩 공구(500)는 액추에이터(250)를 제1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같은, 편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 부재는, 예를 들어 피벗 부재(524) 주위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작동 시에, 액추에이터(52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조오(50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역으로, 액추에이터(520)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은, 제1 조오(504)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250)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제1 조오(504)의 이동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오(504)는 계단형 형상(stepp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오(504)는 실질적으로 계단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제1 조오(504)는 상부 표면(536), 및 상부 표면(536)에 대향하는 저부 표면(538)을 한정한다. 상부 표면(536)은 횡방향(512)을 따라 저부 표면(53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부 표면(536), 저부 표면(538), 또는 둘 모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표면(536), 저부 표면(538), 또는 둘 모두는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측방향(528)은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더욱이, 제1 조오(504)는 제1 측부(530), 및 측방향(528)을 따라 제1 측부로부터 이격된 제2 측부(532)를 포함한다. 제1 측부(530)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제1 측부 표면(534)을 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부 표면(534)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측부(532)는 측방향(528) 및 횡방향(512)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계단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측부(532)는 횡방향(512) 및 측방향(528)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 계단형 부분(540), 제2 계단형 부분(542), 및 제3 계단형 부분(5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단형 부분(540)은 제1 상부 벽(546), 및 제1 상부 벽(546)에 실질적으로 직교로 배향될 수 있는 제1 측벽(54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벽(546)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측벽(548)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계단형 부분(524)은 제2 상부 벽(550), 및 제2 상부 벽(550)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는 제2 측벽(55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제2 상부 벽(550)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측벽(552)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3 계단형 부분(544)이 또한 제3 상부 벽(554), 및 제3 상부 벽(554)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는 제3 측벽(55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제3 상부 벽(554)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3 측벽(556)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계단형 부분(542)은 제1 계단형 부분(540)과 제3 계단형 부분(5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형 부분(540, 542, 544) 각각은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마킹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그 마킹을 갖는 계단형 부분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구부러질 오프셋 거리를 나타낸다. 도면이 3개의 계단형 부분을 도시하지만, 제1 조오(504)는 대안적으로 더 많거나 더 적은 계단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오(504)는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 및 제1 맞물림 표면(558)에 대향하는 제1 외측 표면(560)을 추가로 한정한다.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1 외측 표면(56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외측 표면(560)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은 계단형 부분(540, 542, 544)의 상이한 길이들로 인해 계단형 구성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계단형 부분(540)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1 외측 표면(560)으로부터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까지 연장되는 제1 길이(L1)를 한정한다. 제2 계단형 부분(542)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1 외측 표면(560)으로부터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까지 연장되는 제2 길이(L2)를 한정한다. 제3 계단형 부분(544)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1 외측 표면(560)으로부터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까지 연장되는 제3 길이(L3)를 한정한다. 제3 길이(L3)는 제2 길이(L2) 및 제1 길이(L1)보다 클 수 있다.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보다 클 수 있다.
제2 조오(506)는 제2 조오(506)의 일부분이 공구 몸체(502)에 대해 고정되도록 공구 지지 부재(5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조오(506)는 계단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오(506)는 실질적으로 계단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제2 조오(506)는 상부 표면(562), 및 상부 표면(562)에 대향하는 저부 표면(564)을 한정한다. 상부 표면(562)은 횡방향(512)을 따라 저부 표면(564)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저부 표면(562), 상부 표면(562), 또는 둘 모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부 표면(562), 상부 표면(562), 또는 둘 모두는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조오는 제1 측부(566), 및 제1 측부(566)에 대향하는 제2 측부(568)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측부(568)는 측방향(528)을 따라 제1 측부(566)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부(566)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측부 표면(570)을 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부 표면(570)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측부(568)는 횡방향(512) 및 측방향(528)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계단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측부(568)는 횡방향(512) 및 측방향(528)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 계단형 부분(572), 제2 계단형 부분(574), 및 제3 계단형 부분(5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단형 부분(572)은 제1 상부 벽(578), 및 제1 상부 벽(578)에 실질적으로 직교로 배향될 수 있는 제1 측벽(58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벽(578)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측벽(580)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계단형 부분(574)은 제2 상부 벽(582), 및 제2 상부 벽(582)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는 제2 측벽(58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제2 상부 벽(582)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측벽(584)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3 계단형 부분(576)은 제3 상부 벽(586), 및 제3 상부 벽(586)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는 제3 측벽(58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제3 상부 벽(586)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3 측벽(588)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고,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도면이 제2 조오(506)가 3개의 계단형 부분을 갖는 것을 도시하지만, 제2 조오(506)는 대안적으로 더 많거나 더 적은 계단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오(506)는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 및 제2 맞물림 표면(590)에 대향하는 제2 외측 표면(592)을 추가로 한정한다.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2 외측 표면(59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외측 표면(592)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은 계단형 부분(572, 574, 576)의 상이한 길이들로 인해 계단형 구성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계단형 부분(572)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2 외측 표면(592)으로부터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까지 연장되는 제1 길이(L6)를 한정한다. 제2 계단형 부분(574)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2 외측 표면(592)으로부터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까지 연장되는 제2 길이(L5)를 한정한다. 제3 계단형 부분(576)은 종방향(515)을 따라 제2 외측 표면(592)으로부터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까지 연장되는 제3 길이(L4)를 한정한다. 제1 길이(L6)는 제2 길이(L5) 및 제3 길이(L4)보다 클 수 있다. 제2 길이(L5)는 제1 길이(L4)보다 클 수 있다.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에 더하여, 벤딩 기구(501)는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59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롤러(594)는 종방향(515)으로 제1 조오(506)의 제2 측부(532)를 따라 그리고 제2 조오(506)의 제2 측부(568)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롤러(594)는 실질적으로 계단형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롤러(594)는 횡방향(512)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 롤러 부분(596), 제2 롤러 부분(598), 및 제3 롤러 부분(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594)가 3개보다 적거나 많은 롤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롤러 부분의 수에 무관하게, 제1 롤러(594)는 제1 회전축(R3)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롤러 부분(596), 제2 롤러 부분(598), 및 제3 롤러 부분(600)은 제1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 부분(596)은 디스크 또는 원통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직경과 같은 제1 롤러 단면 치수(D1)를 한정한다. 제1 롤러 단면 치수(D1)는 직경일 수 있다. 제2 롤러 부분(598)은 디스크 또는 원통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직경과 같은 제2 롤러 단면 치수(D2)를 한정한다. 제2 단면 치수(D2)는 직경일 수 있다. 제3 롤러 부분(600)은 디스크 또는 원통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직경과 같은 제3 롤러 단면 치수(D3)를 한정한다. 제3 롤러 단면 치수(D3)는 직경일 수 있다. 또한, 제3 롤러 단면 치수(D3)는 제2 롤러 단면 치수(D2) 및 제1 롤러 단면 치수(D1)보다 클 수 있다. 제2 롤러 단면 치수(D2)는 제1 롤러 단면 치수(D1)보다 클 수 있다. 제1 롤러(594)의 상이한 단면 치수들은 제1 롤러(594)가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의 계단형 측부들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제1 롤러(594)는 제1 조오(504)의 제2 측부(532) 및 제2 조오(506)의 제2 측부(568)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롤러 부분(596)은 종방향(515)으로, 각각,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의 제1 측벽(548) 및 제1 측벽(580)을 따라 롤링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다. 제2 롤러 부분(598)은 종방향(515)으로 제2 측벽(552) 및 제2 측벽(584)을 따라 롤링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다. 제3 롤러 부분(600)은 종방향(515)으로 제3 측벽(556) 및 제3 측벽(588)을 따라 롤링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다. 작동 시에, 제1 롤러(594)는 그것이 종방향(515)으로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를 따라 전진하는 동안 제1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일부분을 구부릴 수 있다.
벤딩 기구(501)는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롤러(602)를 포함한다. 특히, 제2 롤러(602)는 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종방향(515)으로 제1 조오(506)의 제1 측부(530) 및 제2 조오(506)의 제1 측부(56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롤러(60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롤러 몸체(604)를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몸체(604)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한정할 수 있다. 작동 시에, 롤러(60)는 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종방향(515)으로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를 따라 이동하여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의 일부분을 구부릴 수 있다.
도 5j를 참조하면, 벤딩 기구(501)는 제1 롤러(594) 및 제2 롤러(602)를 종방향(515)으로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를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기구(606)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기구(606)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rack and pinion mechanism)(608)로서 구성될 수 있고, 제1 구동 부재(610), 제2 구동 부재(612), 및 제3 구동 부재(6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614)는 제1 구동 부재(610)와 제2 구동 부재(612) 사이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작동 시에, 제3 구동 부재(614)를 회전시키는 것은, 제1 구동 부재(610) 및 제2 구동 부재(612)가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부재(610) 및 제2 구동 부재(612)는 제3 구동 부재(614)의 회전 시에 병진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610)는 제1 랙(616)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롤러(594)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구동 부재(610)를 종방향(515)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1 롤러(594)가 또한 종방향(515)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구동 부재(610)는 종방향(515)을 따라 긴 제1 구동 몸체(6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몸체(618)는 제1 단부(620), 및 제1 단부(620)에 대향하는 제2 단부(622)를 한정한다. 제2 단부(622)는 종방향(515)을 따라 제1 단부(6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롤러(594)는 제1 구동 몸체(618)의 제1 단부(620)에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롤러(594)의 제1 롤러 부분(596)은, 예를 들어 제1 롤러 커플러(621)를 통해 제1 구동 몸체(618)의 제1 단부(620)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롤러 커플러(621)는 로드(rod)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구동 몸체(618)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롤러 커플러(621)는 횡방향(512)을 따라 길 수 있고, 제1 구동 몸체(618)의 제1 단부(620)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롤러(594)는 제1 롤러 커플러(62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 제1 롤러 개구(601)를 한정하여서, 제1 롤러(594)가 제1 롤러 커플러(6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롤러 개구(601)는 횡방향(512)을 따라 제1 롤러 부분(596), 제2 롤러 부분(598), 및 제3 롤러 부분(60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동 몸체(618)는 제1 측부(624), 및 제1 측부(624)에 대향하는 제2 측부(626)를 추가로 한정한다. 제2 측부(626)는 측방향(528)을 따라 제1 측부(62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610)는 측방향(528)을 따라 제1 구동 몸체(618)의 제2 측부(626)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치형부(62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치형부(628)들은 종방향(515)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형부(628)는 제1 단부(620)보다 제2 단부(622)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치형부(628)는 제1 구동 몸체(618)로부터 제2 구동 부재(612) 및 제3 구동 부재(614)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작동 기구(606)는 제3 구동 부재(614)를 통해 제1 구동 부재(610)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구동 부재(612)를 포함한다. 제2 구동 부재(612)는 제2 랙(630)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롤러(60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구동 부재(612)를 종방향(515)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2 롤러(602)가 또한 종방향(515)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2 구동 부재(612)는 종방향(515)을 따라 긴 제2 구동 몸체(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몸체(632)는 제1 단부(634), 및 제1 단부(634)에 대향하는 제2 단부(636)를 한정한다. 제2 단부(636)는 종방향(515)을 따라 제1 단부(63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롤러(602)는, 예를 들어 제2 롤러 커플러(623)를 통해 제2 구동 몸체(632)의 제1 단부(634)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2 롤러 커플러(623)는 로드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구동 몸체(63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 롤러 커플러(623)는 횡방향(512)을 따라 길 수 있고, 제2 구동 몸체(632)의 제1 단부(634)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롤러(602)는 제2 롤러 커플러(623)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 제2 롤러 개구(603)를 한정하여서, 제2 롤러(602)가 제2 롤러 커플러(62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2 롤러 개구(603)는 횡방향(512)을 따라 롤러 몸체(60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동 몸체는 제1 측부(638), 및 제1 측부(638)에 대향하는 제2 측부(640)를 추가로 한정한다. 제2 측부(640)는 측방향(528)을 따라 제1 측부(638)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612)는 측방향(528)을 따라 제2 구동 몸체(632)의 제2 측부(640)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치형부(6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치형부(642)들은 종방향(515)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형부(642)는 제1 단부(634)보다 제2 단부(636)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치형부(642)는 제2 구동 몸체(632)로부터 제1 구동 부재(610) 및 제3 구동 부재(614)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614)는, 제1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구동 부재(610, 612) 중 하나에 의해 구동되어, 제1 및 제2 구동 부재(610, 612) 중 다른 것이 제1 종방향과 반대인 제2 종방향으로 상반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는 피니언(644) 또는 기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구동 부재(614)는 제3 구동 몸체(646), 및 제3 구동 몸체(646)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치형부(648)를 포함한다. 제3 구동 몸체(646)는 실질적으로 디스크로서 형상화될 수 있고, 치형부(648)들은 제3 구동 몸체(646)의 주변부(perimeter)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형부(648)들은 제3 구동 몸체(646)의 원주 둘레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치형부(648)는 제1 구동 부재(610)의 치형부(628) 및 제2 구동 부재(612)의 치형부(642)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치형부(648)에 더하여, 제3 구동 부재(614)는, 샤프트 또는 로드와 같은 구동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설정된 중심 보어(650)를 한정할 수 있다. 중심 보어(650)는 횡방향(512)으로 구동 부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회전축(652)을 한정한다. 구동 부재는 전기 모터, 공압 모터, 또는 회전축(652)을 중심으로 제3 구동 부재(614)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계적 에너지원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614)는 회전축(65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시에, 회전축(652)을 중심으로 한 제3 구동 부재(614)의 회전은, 제1 구동 부재(610) 및 제2 구동 부재(612)가 반대 방향들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구동 부재(610) 및 제2 구동 부재(612)가 종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롤러(594) 및 제2 롤러(602)가 또한 반대 방향들로 종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f 내지 도 5i를 참조하면,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는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을 집합적으로 한정한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은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 및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작동 시에,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는 제1 조오(504)와 제2 조오(506) 사이의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조오(506)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제1 조오(504)와 제2 조오(506) 사이에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트리거(522)를 작동시킴으로써 개방된 위치(도 5a)로부터 폐쇄된 위치(도 5b)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는 제1 임플란트 부분(32), 제2 임플란트 부분(34), 및 제1 임플란트 부분(32)과 제2 임플란트 부분(34) 사이에 배치된 제3 임플란트 부분(36)을 포함한다.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가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유지할 때, 제1 내측 맞물림 표면(558) 및 제2 내측 맞물림 표면(590)은 제3 임플란트 부분(36)과 접촉하는 반면, 제1 임플란트 부분(32) 및 제2 임플란트 부분(34)은 임플란트 수용 간극(514) 밖에 위치된다. 제3 임플란트 부분(36)은 1) 제1 조오(504)의 제1 계단형 부분(540)과 제2 조오(506)의 제1 계단형 부분(572) 사이에; 2) 제1 조오(504)의 제2 계단형 부분(542)과 제2 조오(506)의 제2 계단형 부분(574) 사이에; 또는 3) 제1 조오(504)의 제3 계단형 부분(544)과 제2 조오(506)의 제3 계단형 부분(57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공구(500)는 제1 임플란트 부분(32)이 제2 임플란트 부분(34)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O)만큼 오프셋되도록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리도록 구성된다. 오프셋 거리(O)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공구(500)에 의해 구부러진 후에 측방향(528)을 따른 제1 임플란트 부분(32)으로부터 제2 임플란트 부분(34)까지의 거리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프셋 거리(O)는 측방향(528)으로의, 제1 조오(504)의 제1 측부(530)로부터 제1 조오(504)의 계단형 부분들 중 하나의 계단형 부분의 측벽까지의 거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오프셋 거리(O)는 측방향(528)으로의, 제1 측부(566)로부터 제2 조오(506)의 계단형 부분들의 측벽들 중 하나까지의 거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조오의 제1 측부로부터 그 동일한 조오의 계단형 부분들의 측벽들 중 하나까지의 거리는 벤딩 거리로 지칭될 수 있다. 벤딩 공구(500)는 복수의 벤딩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딩 거리(B1)가 측방향(528)으로의, 제1 측부(530)로부터 제1 계단형 부분(540)의 제1 측벽(548)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벤딩 거리(B1)는 또한 측방향(528)을 따른, 제1 측부(566)로부터 제1 계단형 부분(580)의 제1 측벽(580)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2 벤딩 거리(B2)가 측방향(528)을 따른, 제1 측부(530)로부터 제2 측벽(552)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2 벤딩 거리(B2)는 또한 측방향(528)을 따른, 제1 측부(566)로부터 제2 측벽(584)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3 벤딩 거리(B3)가 측방향(528)을 따른, 제1 측부(530)로부터 제3 측벽(556)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3 벤딩 거리(B3)는 또한 측방향(528)을 따른, 제1 측부(566)로부터 제3 측벽(588)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오프셋 거리(O)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가 구부러지고 있을 때 제3 임플란트 부분(36)이 계단형 부분들에 대해 위치되는 곳에 따라, 제1 벤딩 거리(B1), 제2 벤딩 거리(B2) 또는 제3 벤딩 거리(B3)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 거리(O)는, 제3 임플란트 부분(36)이 제1 조오(504)의 제1 계단형 부분(540)과 제2 조오(506)의 제1 계단형 부분(572)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벤딩 거리(B1)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오프셋 거리(O)는, 제3 임플란트 부분(36)이 제1 조오(504)의 제2 계단형 부분(542)과 제2 조오(506)의 제2 계단형 부분(574)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벤딩 거리(B2)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오프셋 거리(O)는, 제3 임플란트 부분(36)이 제1 조오(504)의 제3 계단형 부분(544)과 제2 조오(506)의 제3 계단형 부분(576)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3 벤딩 거리(B3)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벤딩 거리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제1 조오(50) 또는 제2 조오(506) 중 어느 하나가 각각의 계단형 부분에서 마킹(65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제3 임플란트 부분(36)이 계단형 부분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조오(506)가 폐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되면, 제1 롤러(594) 및 제2 롤러(602)가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를 따라 이동되어 정형외과용 임플란트(10)를 구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구동 부재(614)가 회전축(65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제1 구동 부재(510)가 제1 롤러(594)를 제1 방향(656)으로 제1 위치(도 5h)와 제2 위치(도 5i) 사이에서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에 대해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제1 롤러(594)는 그것이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614)의 회전 시에, 제2 구동 부재(612)는 제2 롤러(602)를 제2 방향(658)으로 제1 위치(도 5h)와 제2 위치(도 5i) 사이에서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에 대해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제2 방향(658)은 제1 방향(656)과 반대일 수 있다. 제2 롤러(602)는 그것이 제1 조오(504) 및 제2 조오(506)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614)의 회전 동안, 제1 롤러(594) 및 제2 롤러(602)는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롤러(594)가 제2 롤러(602)와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제1 위치(도 5h)로부터 제2 위치(도 5i)로 이동하는 동안, 제1 롤러(594)는 제2 임플란트 부분(34)과 접촉하여서, 제3 임플란트 부분(36)에 대한 제2 임플란트 부분(34)의 배향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2 임플란트 부분(34)은 초기에 횡방향(512) 및 측방향(528)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롤러(594)가 제2 임플란트 부분(34) 위로 지나간 후에, 제2 임플란트 부분(34)은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위치(도 5h)로부터 제2 위치(도 5i)로 이동하는 동안, 제2 롤러(602)는 제1 임플란트 부분(32)과 접촉하여서, 제3 임플란트 부분(36)에 대한 제1 임플란트 부분(32)의 배향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임플란트 부분(32)은 초기에 측방향(528)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롤러(602)가 제1 임플란트 부분(32) 위로 지나간 후에, 제1 임플란트 부분(32)은 종방향(515) 및 횡방향(512)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한정할 수 있다. 벤딩 공정의 종료 시에, 제1 임플란트 부분(32)은 제2 임플란트 부분(34)에 대해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O)만큼 오프셋된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오프셋 거리(O)는 벤딩 거리(B1, B2, 또는 B3)들 중 하나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 및 논의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를 고려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고 예시된 특징 및 구조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인식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전술된 실시예들과 함께 상기에 기술된 개념들이 단독으로, 또는 상기에 기술된 다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과 조합되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8)

  1. 제1 임플란트 부분 및 제2 임플란트 부분을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벤딩 공구(bending tool)로서, 상기 벤딩 공구는,
    제1 맞물림 표면(engagement surface)을 한정하는 제1 조오(jaw)를 포함하는 제1 조오 조립체;
    상기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오 조립체로서,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조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오는 기부(base), 및 제2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이 상기 제1 맞물림 표면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 맞물림 표면과 상기 제2 맞물림 표면 사이에 간극(gap)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상기 간극은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맞물림 표면까지 한정되는 가변 조절 거리를 갖는,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오 조립체 및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상기 조절 거리를 감소시키는 상기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가 상기 간극 내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에 힘을 인가하게 하여서, 상기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상기 조절 거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오프셋 거리(offset distance)만큼 상기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는, 벤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거리는 상기 측방향을 따른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상기 부분의 두께와 상기 조절 거리 사이의 차이에 의해 한정되는, 벤딩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기부에 대해 병진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거리는 복수의 오프셋 거리들 중 제1 오프셋 거리이고, 상기 기부는 복수의 기부 마킹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기부 마킹은 상기 복수의 오프셋 거리들 중 하나에 대응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조절 마킹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마킹은 상기 복수의 기부 마킹들 중 하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상기 사전결정된 오프셋 거리들 중 하나만큼 상기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는, 벤딩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기부에 대해 증분식으로(incrementally)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조절 몸체, 및 상기 조절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조절 치형부(tooth)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기부 몸체, 및 상기 기부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기부 치형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 치형부들은 상기 조절 치형부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기부에 대해 증분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제2 기부이고, 상기 조절 부재는 제2 조절 부재이며, 상기 제1 조오는 제1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기부를 포함하는, 벤딩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기부에 대해 병진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기부에 대해 증분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부는 상기 제1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는, 벤딩 공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는 상기 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오 조립체는 상기 제1 조오에 결합된 제1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상기 제2 조오에 결합된 제2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2 손잡이 부재의 서로를 향한 이동은,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벤딩 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2 손잡이 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편의(biasing)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손잡이 부재와 상기 제2 손잡이 부재 사이에 연결된 편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벤딩 공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기부 사이에 연결된 조오 체결구(fastener)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오 체결구는 상기 기부에 대한 상기 조절 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로킹해제된 위치(unlocked position)와 로킹된 위치(lock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오 조립체 및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측방향과 반대인 제2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조절 거리를 증가시키는, 벤딩 공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상기 제1 조오 조립체에 피벗가능하게(pivotally) 결합되는, 벤딩 공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부재는 긴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긴 부재의 회전은 상기 제1 조절 부재가 상기 기부에 대해 이동하게 하는, 벤딩 공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긴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보어(bore)를 한정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보어를 둘러싸는 암나사들을 포함하며, 상기 긴 부재는 상기 암나사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수나사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긴 부재의 회전은 상기 긴 부재가 상기 측방향으로 상기 기부에 대해 이동하게 하는, 벤딩 공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공구는 상기 긴 부재에 결합된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상기 긴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공구는 상기 긴 부재에 결합된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긴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을 한정하는, 벤딩 공구.
  21. 제1 임플란트 부분 및 제2 임플란트 부분을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벤딩 공구로서, 상기 벤딩 공구는,
    제1 조오를 포함하는 제1 조오 조립체;
    제2 조오를 포함하는 제2 조오 조립체로서,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상기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제1 조오가 상기 제2 조오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 조오와 상기 제2 조오 사이에 배치되는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오 조립체 및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를 향해 측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가 상기 간극 내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에 힘을 인가하게 하여, 상기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오프셋 거리만큼 상기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는, 벤딩 공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은 상기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벤딩 공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오 조립체는 제1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며, 상기 제1 맞물림 표면 및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은, 상기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맞물림 표면까지 한정되는 가변 조절 거리를 갖는 상기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벤딩 공구.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거리는 상기 조절 거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벤딩 공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거리는 상기 측방향을 따른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상기 부분의 두께와 상기 조절 거리 사이의 차이에 의해 한정되는, 벤딩 공구.
  26. 제1 기부, 및 상기 제1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조오 조립체로서, 상기 제1 기부는 제1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제1 조오 조립체와, 상기 제1 조오 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오 조립체로서,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는 제2 기부, 및 상기 제2 기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 부재는 제2 맞물림 표면을 한정하며, 조절 거리가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맞물림 표면까지 한정되는,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포함하는, 벤딩 공구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조절 부재를 상기 제2 기부에 대해 초기 위치로부터 조절된 위치(adjusted position)로 이동시켜 상기 조절 거리를 설정하여서, 상기 벤딩 공구가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상기 조절 거리에 의해 한정되는 오프셋 거리로 구부리도록 구성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일부분을 상기 제1 조오 조립체와 상기 제2 조오 조립체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조오 조립체 및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상기 일부분을 제1 형상으로부터 상기 제1 형상과는 상이한 제2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계는 상기 제1 조오 조립체 및 상기 제2 조오 조립체를 서로에 대해 피벗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1 임플란트 부분 및 제2 임플란트 부분을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도록 구성된 벤딩 공구로서, 상기 벤딩 공구는,
    제1 조오;
    제2 조오로서, 상기 제2 조오는 상기 제1 조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가 종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간극이 상기 제1 조오와 상기 제2 조오 사이에 한정되며, 상기 제2 조오는 제1 측부, 및 상기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부로부터 이격된 제2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는 제1 측부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2 측부는 제1 측벽, 및 상기 측방향을 따라, 그리고 상기 종방향 및 상기 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제2 측벽을 한정하며, 제1 거리가 상기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까지 한정되고, 제2 거리가 상기 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까지 한정되는, 상기 제2 조오;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을 따라 상기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롤러로서, 상기 롤러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롤러가 상기 간극 밖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에 힘을 인가하게 하여서, 상기 제1 임플란트 부분이 오프셋 거리만큼 상기 제2 임플란트 부분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구부리게 하고, 상기 오프셋 거리는, 상기 간극 내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부분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벽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 상기 제1 거리에 의해 실질적으로 한정되거나, 상기 간극 내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상기 부분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측벽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 상기 제2 거리에 의해 실질적으로 한정되는, 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벤딩 공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제1 롤러 부분, 및 상기 제1 롤러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2 롤러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부분은 제1 단면 치수를 한정하고, 상기 제2 롤러 부분은 제2 단면 치수를 한정하며, 상기 제1 단면 치수는 상기 제2 단면 치수와는 상이한, 벤딩 공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부분은, 상기 제1 측벽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간극 밖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상기 부분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제1 롤러이고, 상기 벤딩 공구는, 상기 제1 측부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간극 밖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다른 부분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2 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벤딩 공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를 따라 상기 종방향으로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기구(actuation mechanism)를 추가로 포함하는, 벤딩 공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제1 롤러에 결합된 제1 구동 부재, 상기 제2 구동 부재에 결합된 제2 구동 부재,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와 상기 제2 구동 부재 사이에 연결된 제3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3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제2 구동 부재가 반대 방향들로 동시에 이동하게 하는, 벤딩 공구.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부재는 제1 랙(rack)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동 부재는 제2 랙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3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랙 및 상기 제2 랙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피니언(pinion)으로서 구성되는, 벤딩 공구.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면형(planar)이고, 상기 제2 롤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한정하는, 벤딩 공구.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간극 내에 배치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의 상기 부분에 힘을 인가하여서, 상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를 상기 제1 조오 및 상기 제2 조오에 대해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벤딩 공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오는 상기 제1 조오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상기 제1 조오는 정지되어 유지되는, 벤딩 공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공구는 공구 몸체, 및 상기 공구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조오에 결합되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공구 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2 조오가 상기 제1 조오에 대해 이동하게 하는, 벤딩 공구.
KR1020157011474A 2012-10-04 2012-10-04 악교정 벤딩 플라이어 KR102025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58759 WO2014055081A1 (en) 2012-10-04 2012-10-04 Orthognathic bending pli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266A true KR20150067266A (ko) 2015-06-17
KR102025528B1 KR102025528B1 (ko) 2019-09-27

Family

ID=4708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474A KR102025528B1 (ko) 2012-10-04 2012-10-04 악교정 벤딩 플라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903545B1 (ko)
JP (1) JP6121547B2 (ko)
KR (1) KR102025528B1 (ko)
CN (1) CN104684497B (ko)
BR (1) BR112015007464B1 (ko)
CA (1) CA2886353C (ko)
IN (1) IN2015DN02398A (ko)
WO (1) WO2014055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797B2 (en) * 2014-10-08 2016-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Spark plug electrode gap setting tool
BR112018067591B1 (pt) 2016-03-02 2023-11-28 Nuvasive, Inc. Sistema para planejamento e avaliação cirúrgicos de correção de deformidade espinhal em um indivíduo
CN106821486B (zh) * 2017-04-18 2018-01-19 孙俊魁 一种心胸外科用重建板弯折装置
CN106955911B (zh) * 2017-04-18 2018-04-03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心胸外科用重建板弯折方法
KR102048889B1 (ko) * 2017-11-29 2019-12-03 에이블 주식회사 의료 골 접합 플레이트용 벤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골 접합 플레이트 벤딩 키트
EP3908210B1 (en) * 2019-01-10 2023-08-23 Synthes GmbH Surgical instrument handle with implant sizing fea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581A2 (en) * 2004-02-26 2006-05-04 Pioneer Laboratories, Inc. Bone plate system and methods
US20060259072A1 (en) * 2005-05-11 2006-11-16 Paolo Di Emidio Tool for graduated modelling of biocompatible plates used in orthognadontic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935Y2 (ko) * 1990-12-07 1993-11-08
US5487743A (en) * 1994-02-15 1996-01-30 Sofamore, S.N.C. Anterior dorso-lumbar spinal osteosynthesis instrumentation for the correction of kyphosis
DE102005029165B4 (de) * 2005-06-23 2009-01-22 Stryker Leibinger Gmbh & Co. Kg Biegezange und Biegezangensystem für chirurgische Elemente
CN2885154Y (zh) * 2006-03-30 2007-04-04 费新昌 一种医用折弯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581A2 (en) * 2004-02-26 2006-05-04 Pioneer Laboratories, Inc. Bone plate system and methods
US20060259072A1 (en) * 2005-05-11 2006-11-16 Paolo Di Emidio Tool for graduated modelling of biocompatible plates used in orthognadontic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3545A1 (en) 2015-08-12
BR112015007464B1 (pt) 2021-03-23
WO2014055081A1 (en) 2014-04-10
EP2903545B1 (en) 2016-11-23
IN2015DN02398A (ko) 2015-09-04
CA2886353A1 (en) 2014-04-10
CA2886353C (en) 2019-09-03
KR102025528B1 (ko) 2019-09-27
JP6121547B2 (ja) 2017-04-26
BR112015007464A2 (pt) 2017-07-04
CN104684497A (zh) 2015-06-03
CN104684497B (zh) 2018-03-30
JP2015530219A (ja)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1329A1 (en) Bone fixation system with opposed mounting portions
US11413081B2 (en) Tarsal-metatarsal joint procedure utilizing fulcrum
KR102025528B1 (ko) 악교정 벤딩 플라이어
US9603647B2 (en) Orthognathic bending pliers
EP2563252B1 (en) Bone fixation systems
US11278337B2 (en) Tarsal-metatarsal joint procedure utilizing fulcrum
US9642664B2 (en) Instrument for bending a bone fixation device
CA2670797C (en) Apparatus for repositioning portions of fractured bon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775654B2 (en) Surgical ratchet tool, system and method
US10588628B2 (en) Bone staple insertion tool and related method
US9289252B2 (en) Orthopaedic plate and spreader apparatuses and methods
EP3164092B1 (en) Moveable bone plate implantation system
US11490930B2 (en) Internal pelvic fixator
CA2932809C (en) Device for tensioning apparatus for fusion, stabilization, and/or fixation of bones
AU2015205901A1 (en) Expansion and compression instrument for fracture fix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