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899A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899A
KR20150066899A KR1020130152512A KR20130152512A KR20150066899A KR 20150066899 A KR20150066899 A KR 20150066899A KR 1020130152512 A KR1020130152512 A KR 1020130152512A KR 20130152512 A KR20130152512 A KR 20130152512A KR 20150066899 A KR20150066899 A KR 2015006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portion
shielding plate
lens
l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016B1 (ko
Inventor
양동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0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리 형상의 외측 차광 플레이트;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SPACERS AND LENS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초창기 모바일 전자기기용 카메라 모듈은 2M 내지 5M(Mega pixel)의 화소수로 만족할 만한 해상도를 가질 수 없었다. 그 결과, 일반 디지털 카메라가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카메라 모듈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최신 모바일 전자기기용 카메라 모듈은 8M 내지 13M(Mega pixel)의 화소수로 만족할 만한 해상도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상 생활에서 모바일 전자기기용 카메라 모듈의 사용 빈도는 점차 증가하게 되었고, 새로운 모바일 전자기기가 출시되면 이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성능도 주목 받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렌즈 배럴을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상호간에 광축 정렬은 렌즈를 렌즈 배럴에 끼워 맞춤 또는 접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 내에 광축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개재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복수의 렌즈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불필요한 빛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680호(2011. 02. 10, 렌즈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브부에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광축 정렬될 수 있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리 형상의 외측 차광 플레이트;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에서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스포크; 및 상기 스포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포크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앙에 빛이 입사되는 제1 유효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효경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리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부는 제1 테이퍼부를 경계로 제1 내측 리브부와 제1 외측 리브부로 구분되는 제1 렌즈; 중앙에 빛이 입사되는 제2 유효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효경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리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부는 제2 테이퍼부를 경계로 제2 내측 리브부와 제2 외측 리브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2 테이퍼부는 상기 제1 테이퍼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내측 리브부는 상기 제1 내측 리브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외측 리브부는 상기 제1 외측 리브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외측 리브부와 상기 제2 외측 리브부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측 리브부와 상기 제2 내측 리브부 사이에 개재되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내측 리브부와 상기 제2 내측 리브부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외측 리브부와 상기 제2 외측 리브부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에서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스포크; 및 상기 스포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퍼부 또는 상기 제2 테이퍼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포크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크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내측 차광 플레이트와 외측 차광 플레이트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렌즈의 내측 리브부 또는 외측 리브부로 입사한 빛이 이미지 센서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레어 현상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측 차광 플레이트와 외측 차광 플레이트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페이서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상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다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렌즈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상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0)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재로 이루어진다.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렌즈 어셈블리에서, 렌즈의 유효경으로 입사하는 빛은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의 내측 공간을 통해 이미지 센서로 전파될 수 있고, 렌즈의 외측 리브부 또는 내측 리브부로 입사하는 빛은 이미지 센서로 전파되지 않도록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에 의해 각각 차단될 수 있다.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렌즈 어셈블리에서, 렌즈의 외측 리브부 및 내측 리브부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렌즈의 외측 리브부 및 내측 리브부에 각각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렌즈의 외측 리브부 또는 내측 리브부로 입사하는 빛은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에 의해 각각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다.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의 내측 공간에서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지 않고,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가 배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렌즈 어셈블리에서, 렌즈의 외측 리브부 또는 내측 리브부가 다른 평면에 형성된 경우, 외측 리브부 또는 내측 리브부로 입사하는 빛은 이미지 센서로 전파되지 않도록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 및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에 의해 각각 차단될 수 있다.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와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는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의 중심축과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의 중심축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와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부는 스포크(130) 및 천공부(140)를 포함한다.
스포크(130)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에서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와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를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다.
스포크(130)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포크(130)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와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를 상호간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서 스포크(130)는 4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포크(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천공부(140)는 스포크(1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렌즈 어셈블리에서, 제1 테이퍼부와 제2 테이퍼부는 천공부(140)를 통해 상호간에 밀착됨으로써, 제1 렌즈와 제2 렌즈가 상호간에 광축 정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일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다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렌즈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는 스페이서(100), 제1 렌즈(200), 제2 렌즈(300), 렌즈 배럴(400) 및 압입링(500)을 포함한다.
스페이서(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0)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렌즈(200)에는 제1 유효경(210) 및 제1 리브부가 형성된다.
제1 유효경(210)은 제1 렌즈(200)의 중앙에 형성되고,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입사하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제1 리브부는 제1 유효경(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1 리브부는 고리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리브부는 제1 유효경(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제1 내측 리브부(220), 제1 테이퍼부(230) 및 제1 외측 리브부(24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내측 리브부(220), 제1 테이퍼부(230) 및 제1 외측 리브부(240)는 고리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내측 리브부(220)는 제1 리브부의 최 내곽에 배치되고, 제1 테이퍼부(230)는 제1 내측 리브부(220)와 제1 외측 리브부(24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외측 리브부(240)는 제1 리브부의 최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 리브부(220) 및 제1 외측 리브부(240)의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이퍼부(230)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300)에는 제2 유효경(310) 및 제2 리브부가 형성된다.
제2 유효경(310)은 제2 렌즈(300)의 중앙에 형성되고,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입사하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제2 리브부는 제2 유효경(3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2 리브부는 고리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리브부는 제2 유효경(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제2 내측 리브부(320), 제2 테이퍼부(330) 및 제2 외측 리브부(34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2 내측 리브부(320), 제2 테이퍼부(330) 및 제2 외측 리브부(340)는 고리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내측 리브부(320)는 제2 리브부의 최 내곽에 배치되고, 제2 테이퍼부(330)는 제2 내측 리브부(320)와 제2 외측 리브부(34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외측 리브부(340)는 제2 리브부의 최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리브부(320) 및 제2 외측 리브부(340)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이퍼부(330)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이퍼부(330)의 상면은 제1 테이퍼부(230)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 렌즈(300)와 제1 렌즈(200)는 상호간에 광축 정렬될 수 있다. 제2 유효경(310)은 제1 유효경(21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내측 리브부(320)는 제1 내측 리브부(220)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외측 리브부(340)는 제1 외측 리브부(240)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측 리브부(220)와 제2 내측 리브부(320) 사이에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가 개재되고, 제1 외측 리브부(240)와 제2 외측 리브부(340) 사이에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가 개재됨으로써, 스페이서(100)는 제1 렌즈(200)와 제2 렌즈(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 결과,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제1 내측 리브부(220) 또는 제2 내측 리브부(32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는 제1 외측 리브부(240) 또는 제2 외측 리브부(34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차단함으로써, 플레어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는 제1 내측 리브부(220)와 제2 내측 리브부(320)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는 제1 외측 리브부(240)와 제2 외측 리브부(340)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 또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는 제1 테이퍼부(230)와 제2 테이퍼부(330)에 의한 제1 렌즈(200)와 제2 렌즈(300) 상호간의 광축 정렬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제1 테이퍼부(230)의 하면에는 홈부(231)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부(231)는 스포크(13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부(231)는 스포크(130)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포크(130)는 홈부(231)에 삽입됨으로써, 제1 테이퍼부(230)와 제2 테이퍼부(330)에 의한 제1 렌즈(200)와 제2 렌즈(300) 상호간의 광축 정렬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제1 테이퍼부(230)와 제2 테이퍼부(330)는 스포크(130)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천공부(140)를 통해 상호간에 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홈부(231)는 제1 테이퍼부(230)의 하면이 아니라 제2 테이퍼부(33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테이퍼부(230)의 하면과 제2 테이퍼부(330)의 상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홈부(231)는 스포크(130)가 홈부(231)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스포크(1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은 제1 렌즈(200), 제2 렌즈(300) 및 스페이서(100)를 수용한다.
렌즈 배럴(400)의 상면에는 빛이 입사하는 입사공(410)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의 하면을 통해 제1 렌즈(200), 스페이서(100) 및 제2 렌즈(300)는 차례로 렌즈 배럴(4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스페이서(100)에서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와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와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스페이서(100)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생산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00)와 제1 렌즈(200) 또는 제2 렌즈(300) 사이의 정전기로 의한 조립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차광 플레이트(120)에 대한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외측 차광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200)는 렌즈 배럴(400)의 내측 면 또는 렌즈 배럴(400)에 기 삽입된 렌즈의 하면에 밀착되어 정렬될 수 있다. 제2 렌즈(300)는 제1 렌즈(200)에 밀착됨으로써 광축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배럴(400)의 내측 면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의 하부에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압입링(500)은 렌즈 배럴(400)에 끼워 맞춤 되어 제2 렌즈(300)의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제1 렌즈(200) 및 제2 렌즈(3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렌즈 어셈블리를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하우징과 함께 카메라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스페이서
110: 외측 차광 플레이트
120: 내측 차광 플레이트
130: 스포크
140: 천공부
200: 제1 렌즈
210: 제1 유효경
220: 제1 내측 리브부
230: 제1 테이퍼부
231: 홈부
240: 제1 외측 리브부
300: 제2 렌즈
310: 제2 유효경
320: 제2 내측 리브부
330: 제2 테이퍼부
340: 제2 외측 리브부
400: 렌즈 배럴
410: 입사공
500: 압입링

Claims (11)

  1. 고리 형상의 외측 차광 플레이트;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에서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스포크; 및
    상기 스포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6. 중앙에 빛이 입사되는 제1 유효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효경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리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부는 제1 테이퍼부를 경계로 제1 내측 리브부와 제1 외측 리브부로 구분되는 제1 렌즈;
    중앙에 빛이 입사되는 제2 유효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효경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리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부는 제2 테이퍼부를 경계로 제2 내측 리브부와 제2 외측 리브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2 테이퍼부는 상기 제1 테이퍼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내측 리브부는 상기 제1 내측 리브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외측 리브부는 상기 제1 외측 리브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외측 리브부와 상기 제2 외측 리브부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차광 플레이트;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측 리브부와 상기 제2 내측 리브부 사이에 개재되는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내측 리브부와 상기 제2 내측 리브부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외측 리브부와 상기 제2 외측 리브부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에서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스포크; 및
    상기 스포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퍼부 또는 상기 제2 테이퍼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포크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차광 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 차광 플레이트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KR1020130152512A 2013-12-09 2013-12-0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KR10206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12A KR102064016B1 (ko) 2013-12-09 2013-12-0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12A KR102064016B1 (ko) 2013-12-09 2013-12-0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99A true KR20150066899A (ko) 2015-06-17
KR102064016B1 KR102064016B1 (ko) 2020-01-08

Family

ID=5351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512A KR102064016B1 (ko) 2013-12-09 2013-12-09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60A (ko) * 2019-08-01 2021-02-10 (주)에이치엠웍스 스마트폰 카메라용 렌즈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5331A (ja) * 2005-01-17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影レンズ
KR20060096269A (ko) * 2005-03-04 2006-09-11 정현주 초점거리 무조정 카메라 모듈
JP2012051756A (ja) * 2010-09-01 2012-03-15 Olympus Corp 成形型セット、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5331A (ja) * 2005-01-17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影レンズ
KR20060096269A (ko) * 2005-03-04 2006-09-11 정현주 초점거리 무조정 카메라 모듈
JP2012051756A (ja) * 2010-09-01 2012-03-15 Olympus Corp 成形型セット、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60A (ko) * 2019-08-01 2021-02-10 (주)에이치엠웍스 스마트폰 카메라용 렌즈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016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5778B1 (ja) アンダースクリーンバイオメトリクス認証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659666B2 (en) Camera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8292524B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JP2020511698A (ja) スプリットレンズと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6619118B1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11029481B2 (en) Lens module
KR20160067687A (ko) 렌즈 모듈
JP2017090875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2020027292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2020027282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2020027286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11156798B2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2021009385A (ja)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10054756B2 (en) Lens module
US8243376B2 (en) Lens module
JP2020027287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699027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JP6456333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6810210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20150066899A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US20110317289A1 (en) Lens barrel and lens module
CN211180368U (zh) 镜头模组
US9933591B2 (en) Lens module
CN210776120U (zh) 镜头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