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190A -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 Google Patents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190A
KR20150066190A KR1020130151443A KR20130151443A KR20150066190A KR 20150066190 A KR20150066190 A KR 20150066190A KR 1020130151443 A KR1020130151443 A KR 1020130151443A KR 20130151443 A KR20130151443 A KR 20130151443A KR 20150066190 A KR20150066190 A KR 2015006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joint
content
welding
les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897B1 (ko
Inventor
이봉근
이상철
한일욱
김정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5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89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CN201380081451.6A priority patent/CN105813799B/zh
Priority to JP2016536771A priority patent/JP6240778B2/ja
Priority to PL13898649T priority patent/PL3078447T3/pl
Priority to EP13898649.2A priority patent/EP3078447B1/en
Priority to ES13898649T priority patent/ES2753266T3/es
Priority to PCT/KR2013/012146 priority patent/WO2015083878A1/ko
Priority to US15/032,455 priority patent/US20160271739A1/en
Publication of KR2015006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897B1/ko
Priority to US16/189,232 priority patent/US10864605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7Nitrogen [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4Silicon [S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5Phosphorus [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6Sulfur [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2Titanium [T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4Chromium [C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2Molybdenum [M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극저온용 고강도 고Mn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C:0.1~0.61%, Si:0.23~1.0%, Mn:14~35%, Cr: 6%이하, Mo:1.45~3.5%, S:0.02%이하, P:0.02%이하, B:0.001~0.01%, Ti:0.001~0.2%, N: 0.001~0.3%,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Welded joint having high strength and superior toughness at ultra low temterature}
본 발명은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머지드, 플럭스 코어드, 가스메탈 아크 용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LNG 수요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극저온 LNG의 수송ㆍ보관을 위한 수송설비와 저장 탱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LNG를 수송하거나 저장하는 탱크는 필연적으로 LNG 온도인 -162℃ 이하의 온도에서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를 위해, 극저온에서의 충격 인성이 높은 소재로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Al, 9%Ni강, 스테인리스스틸(이하 STS)이다.
그러나 Al의 경우 낮은 인장강도로 인해 두꺼운 후판을 사용해야 하며 용접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9%Ni강의 경우는 용접재료(Inconel 625 소재: Ni 50중량%이상, Cr 20중량%이상 함유)가 고가이고 용접부 항복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으며, STS는 높은 가격, 낮은 열변형율 및 극저온 보증 불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Ni 대비 저가이면서도 용접성을 확보가능한 극저온용 고 Mn계 용접이음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극저온 영역인 -196℃ 이하에서 용접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7J 이상의 충격인성을 나타내는 용접이음부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상온 항복강도가 360MPa 급이었으나, 현재 고 Mn강재의 상온항복강도가 500~800MPa급으로 360MPa의 용접재료를 적용하기에는 용접이음부의 강도가 낮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구조체의 경우, 용접이음부의 강도가 낮음으로 인해 용접이음부를 중심으로 설계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강판의 두께 또한 두꺼워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온항복강도가 400MPa 이상을 나타내는 용접재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기존에는 Ni 및 Cr 함량이 높은 소재(Ni 50중량%이상, Cr 20중량%이상 함유)를 사용하여 확보하고 있으나 합금함량 및 가격적인 면에서 낮은 수준의 용접이음부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극저온 환경에서도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용접시 고온균열이 방지되어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과 상온 항복강도를 갖는 서브머지드, 플럭스 코어드 및 가스메탈 아크 용접으로 얻어진 용접이음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극저온용 고강도 고Mn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C:0.1~0.61%, Si:0.23~1.0%, Mn:14~35%, Cr: 6%이하, Mo:1.45~3.5%, S:0.02%이하, P:0.02%이하, B:0.001~0.01%, Ti:0.001~0.2%, N: 0.001~0.3%,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W, Nb 및 V 중 선택된 1종 이상 합: 5중량%이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Y 및/또는 REM:0.1중량% 이하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Ni을 10중량% 이하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Mn강은 Mn24C0 .4Cr4Si0 .3을 기본조성으로 하는 고Mn강일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는 극저온 환경에서도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용접시 고온균열이 방지되어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과 상온 항복강도를 가지므로 LNG 탱크 등 극저온용 용기등의 용접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브머지드, 플럭스 코어드 또는 가스메탈 아크 용접으로부터 손쉽게 용접이음부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극저온용 고강도 고Mn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C:0.1~0.61%, Si:0.23~1.0%, Mn:14~35%, Cr: 6%이하, Mo:1.45~3.5%, S:0.02%이하, P:0.02%이하, B:0.001~0.01%, Ti:0.001~0.2%, N: 0.001~0.3%,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합금원소의 특성 및 조성 범위의 임계적 의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탄소(C): 0.1~0.61중량%
탄소는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확보하고, 용접이음부의 극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인 원소이다. 탄소 함량의 하한은 0.1 중량%로 한정하여도 충분하다. 그러나 탄소의 함량이 0.61 중량%를 초과하면 용접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이 발생하여 용접이음부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망간, 크롬 등의 합금원소와 결합하여 MC, M23C6 등의 카바이드를 생성하여 저온에서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탄소의 함량은 0.1-0.61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 0.23~1.0중량%
실리콘은 용접이음부내의 탈산효과 및 용접비드의 퍼짐성을 위해서 첨가시키는 원소이다. 이러한 실리콘의 함량이 불충분(0.23중량% 미만)하면 용접이음부의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반면에 실리콘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이음부내의 편석 등을 유발하여 저온 충격 인성을 저하시키고 용접균열감수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의 함량을 0.23~1.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 14~35중량%
망간은 저온 안정상인 오스테나이트를 생성시키는 주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 필수적으로 첨가되어야 하는 원소이며 니켈에 비해 매우 저렴한 원소이다. 만일 망간의 함량이 14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오스테나이트가 생성되지 않아 극저온에서 인성이 매우 낮게 된다. 반면에 망간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석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고온균열이 유발되며, 유해한 흄(Fume)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망간의 함량은 14~35중량%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 6중량%이하
크롬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일정함량의 크롬을 통해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첨가되지 않아도 기존 C과 Mn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기지가 오스테나이트로 유지될 수 있음으로 Cr의 함량의 하한은 0으로 한다. 반면에 크롬의 함량이 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롬계 탄화물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극저온 인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크롬의 함량은 6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1.45~3.5중량%
몰리브덴은 기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로서, 1.45중량%을 초과하는 합금을 이용할 경우 인장강도가 400MPa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재료에서 시공시에 고액공존 구간을 좁혀 고온 Crack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몰리브덴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몰리브덴 탄화물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극저온 인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몰리브덴의 함량은 1.45~3.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2중량% 이하
황은 MnS 복합석출물을 석출시키는 원소이나, 그 함량이 0.0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FeS 등의 저융점화합물을 형성시켜 고온균열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황의 함량은 0.02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0.02중량% 이하
인은 저온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로서 결정입계에 취화한 인화합물을 생성시키므로, 그 상한을 0.02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소(B): 0.001~0.01중량%
붕소는 결정입계에 편석이 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편석된 붕소는 결정입계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붕소의 함량이 0.001중량%만 첨가되어도 충분히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0.01중량% 이상이 첨가될 경우 강도향상효과는 크지만 저온인성에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붕소의 함량을 0.001~0.01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타늄(Ti): 0.001~0.2중량%
타이타늄은 산화물 혹은 질화물의 형태로 용접이음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이들 산화물 혹은 질화물(혹은 탄질화물)은 결정립내에 존재하게 되며, 고온에서 응고시 핵생성사이트로 작용하여 오스테나이트의 결정입을 작게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산화물 및 질화물(혹은 탄질화물)은 조직내에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타이타늄은 0.001%만 첨가되어도 그 강도향상 효과가 나타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타늄의 함량의 하한을 0.001중량%로 한다. 그러나 이 타이타늄인 다량 함유된 경우에는 충격 인성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만일 0.2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도향상효과는 크지만 저온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타늄의 함량을 0.001~0.2중량% 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질소(N): 0.001~0.3중량%
질소는 탄소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원소이며, 타이타늄과 함께 질화물을 만드는 원소이다. 0.001중량%만 넣어도 타이타늄과 함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0.001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질소의 함량이 0.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이음부내에서 기공이 발생하기 쉬우며, 타이타늄과 함께 질화물의 생성량을 증가시킴으로 극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상한은 0.3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합금성분 범위는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기본 성분계이며,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합금원소들의 첨가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용접이음부에 더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텅스텐(W), 니오븀(Nb) 및 바나듐(V)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합: 5중량%이하
텅스텐(W), 니오븀(Nb) 또는 바나듐(V)은 상온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들로서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함유될 수 있는 성분이다. 이들 원소는 용접이음부내에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물(혹은 탄질화물)을 생성시키고, 이 생성상에 의해서 상온 인장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그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이 용이하며, 아울러, 극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텅스텐(W), 니오븀(Nb) 및 바나듐(V) 중 1종 이상의 합을 5중량%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트륨(Y) 및/또는 희토류금속(REM): 0.1중량%이하
이트륨(Y) 및/또는 희토류금속(REM)은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함유되는 원소로서, 고온에서 산화물로 생성되고 이들에 의해서 고온에서 응고시 핵생성사이트로 작용하여 오스테나이트의 결정입을 작게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0.1중량%를 초과하면 용접시 이음부에 결함 등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그 함량을 0.1중량%이하로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트륨(Y) 및/또는 희토류금속(REM)를 0.1중량%이하로 함유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니켈(Ni): 10% 이하
니켈은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함유되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첨가되어지는 성분이다. 니켈을 첨가하게 되면 저온 충격인성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용접이음부내의 Stacking Fault Energy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저온 충격인성을 증가시킨다. 반면에 니켈은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소일 뿐만 아니라 용접재료의 가격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므로 10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이외에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다만, 이로 인해 다른 조성의 첨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은 극저온에서 고강도와 저온인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고 Mn강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용접모재 조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예로서, 상기 고Mn강은 Mn24C0 .4Cr4Si0 .3을 기본조성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1)
직경 1.2mm의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들을 마련하였다. 이때, 이용된 플럭스 코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조성은 중량%로, C:0.15~0.8%, Si:0.2~1.2%, Mn:15~34%, Cr:6% 이하, Mo:1.5 ~ 4%, S:0.02% 이하, P:0.02% 이하, B:0.01% 이하, Ti:0.09~0.5%, N:0.001~0.3%, TiO2:4~15%, SiO2, ZrO2 및 Al2O3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합:0.01~9%, K, Na 및 Li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합:0.5~1.7%, F와 Ca중 1종 이상:0.2~1.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W, Nb 및 V 중 1종 이상: 5% 이하, Y 및/또는 REM을 1% 이하, 그리고 Ni을 10% 이하로 함유하도록 하였다.
상기 용접용 와이어들을 이용하여 Mn24C0 .4Cr4Si0 .3을 기본조성으로 하는 극저온 고Mn강을 용접모재로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였다. 이때의 용접은 100% CO2 보호가스 하에서 실시되었으며, DC로 대략 290A내외에 30V내외 31CPM 내외로, 그리고 입열량은 대략 1.7kJ/mm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층간온도는 150℃ 미만, 예열은 습기만 날리는 조건으로 100℃ 정도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용접으로 얻어진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용접이음부 조성에 따른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과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또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용접이음부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샤르피 충격시험(-196℃)을 실시하여 그 결과(J)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의 인장강도(MPa)를 측정하여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용접이음부 조성성분(중량%) 충격특성
(J)
상온인장강도
C Mn Si Cr P S N Mo B Ti Ni V+Nb+W Y+REM
발며예1 0.12 28.2 0.65 1.95 0.011 0.007 0.1 1.67 0.002 0.05 4.7 4.32 - 28 513.4
발명예2 0.58 18.1 0.52 1.87 0.013 0.008 0.001 1.52 0.001 0.04 - 2.34 - 29 480.9
발명예3 0.33 20.1 0.23 0.01 0.012 0.008 0.001 1.52 0.004 0.11 5.3 1.23 - 32 448.6
비교예1 0.32 18.7 0.52 6.52 0.014 0.01 0.04 2.03 0.002 0.03 5.1 - - 14 567.7
비교예2 0.75 15.2 0.52 0.02 0.021 0.023 0.001 1.75 0.001 0.01 - - - 크렉형성
비교예3 0.58 16.2 1.23 0.03 0.014 0.005 0.001 1.72 0.001 0.03 - - - 크렉형성
비교예4 0.58 18.4 0.42 1.78 0.012 0.006 0.002 1.65 0.001 0.04 - - void형성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하는 발명예 1-3의 경우,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이 28J이상이고 인장강도도 400MPa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Cr의 함량 과다한 비교예 1의 경우 인장강도는 높았으나 저온인성이 14J로 좋지 않았다. 그리고 Si 함량이 과다한 비교예 2는 용접후 얻어진 용접이음부 내부에 크렉이 발생하였으며, N의 함량이 과다한 비교예 3은 용접이음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었다. 아울러, 희토류 원소가 다량 함유된 비교예 4 또한 용접이음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직경 4.0mm의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들을 마련하였다. 이때 사용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솔리더 와이어 조성은, 중량%로, C:0.15~0.8%, Si:0.5~1.5%, Mn:15~32%, Cr: 5.5% 이하, Mo:1.5~3%, S:0.025% 이하, P:0.025% 이하, B: 0.01% 이하, Ti:0.05~1.2%, N:0.005~0.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기타 필요에 따라 W, Nb 및 V 중 1종 이상의 합: 6중량%이하, Y 및/또는 REM:1중량%이하, 그리고 Ni: 10중량% 이하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접용 와이어들을 이용하여 Mn24C0 .4Cr4Si0 .3을 기본조성으로 하는 극저온 고Mn강을 용접모재로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였으며, 용접시 알루미나 베이직형의 플럭스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때의 용접은 DC로 대략 600A내외에 32V내외 29CPM 내외로, 그리고 입열량은 대략 4.0kJ/mm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층간온도는 150℃ 미만, 예열은 습기만 날리는 조건으로 100℃ 정도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용접으로 얻어진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용접이음부 조성에 따른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과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또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용접이음부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샤르피 충격시험(-196℃)을 실시하여 그 결과(J)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의 인장강도(MPa)를 측정하여 상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접이음부 조성성분(중량%) 충격특성
(J)
상온인장강도
C Mn Si Cr P S N Mo B Ti Ni V+Nb+W Y+REM
발명예1 0.1 34.2 0.95 3.23 0.006 0.005 0.26 3.25 0.01 0.2 9.1 - - 54 477.6
발명예2 0.31 25.1 0.65 5.12 0.017 0.009 0.11 2.12 0.006 0.092 4.3 - - 32 524.9
발명예3 0.59 15.2 0.28 0.03 0.012 0.017 0.004 1.54 0.001 0.04 - - - 31 427.5
발명예4 0.1 28.7 0.62 2.1 0.012 0.008 0.09 1.87 0.003 0.07 5.1 4.12 - 27 522.5
발명예5 0.52 20.8 0.58 1.73 0.015 0.01 0.004 1.54 0.001 0.002 - 2.12 - 29 474.7
발명예6 0.35 20.8 0.24 0.05 0.013 0.007 0.005 1.75 0.005 0.01 5.2 1.1 - 34 437.5
발명예7 0.31 19.5 0.48 1.11 0.014 0.008 0.13 2.05 0.002 0.14 5.3 - 0.005 41 452.9
비교예1 0.34 18.9 0.54 6.73 0.014 0.008 0.013 1.95 0.003 0.001 5.3 - - 16 567.5
비교예2 0.58 19.4 0.54 1.93 0.011 0.007 0.091 1.78 0.02 0.27 - - - 25 478.2
비교예3 0.18 31.2 0.46 0.03 0.014 0.007 0.004 1.38 0.002 0.04 9.1 - - 39 396.1
비교예4 0.74 16.9 0.62 0.03 0.025 0.024 0.005 1.67 0.002 0.05 - - - 크렉형성
비교예5 0.62 15.9 1.52 0.01 0.015 0.006 0.003 1.78 0.001 0.04 - - - 크렉형성
비교예6 0.56 15.5 0.66 0.01 0.013 0.008 0.36 1.52 0.002 0.04 - - - void형성
비교예7 0.62 18.9 0.49 1.92 0.014 0.008 0.004 1.56 0.001 0.002 - - 0.17 void형성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접이음부의 조성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하는 발명예 1-7의 경우,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이 27J이상이고 인장강도도 400MPa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Cr 함량나 B 함량이 높은 비교예 1-2는 인장강도는 높으나 저온인성은 25J 이하로 좋지 않았다. 또한 Mo의 함량이 과소한 비교예 3은 저온인성은 좋으나 인장강도가 400MPa 이하로 좋지 않았다. 아울러, C, P 및 S의 함량이 과다한 비교예 4에서는 용접이음부 내부에 크렉이 발생하였으며, C와 Si 함량이 과다한 비교예 5의 경우에도 용접이음부 내부에 크렉이 발생하였다.
한편 질소의 함량이 과다한 비교예 6과 탄소와 희토류 금속원소가 과다하게 함유된 비교예 7은 용접후 얻어진 용접이음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3)
직경 1.2mm의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와이어들을 마련하였다. 이때 사용된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와이어 조성은 실시예 2에서의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솔리더 와이어 동일하다.
상기 용접용 와이어들을 이용하여 Mn24C0 .4Cr4Si0 .3을 기본조성으로 하는 극저온 고Mn강을 용접모재로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때의 용접은 DC로 대략 200A내외에 30V내외 40CPM 내외로, 그리고 입열량은 대략 0.9kJ/mm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층간온도는 150℃ 미만, 예열은 습기만 날리는 조건으로 100℃ 정도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용접으로 얻어진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용접이음부 조성에 따른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과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또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용접이음부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샤르피 충격시험(-196℃)을 실시하여 그 결과(J)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의 인장강도(MPa)를 측정하여 상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용접이음부 조성성분(중량%) 충격특성
(J)
상온인장강도
C Mn Si Cr P S N Mo B Ti Ni V+Nb+W Y+REM
발명예1 0.11 32.3 0.89 3.25 0.005 0.002 0.23 2.54 0.009 0.19 8.2 - - 53 476.9
발명예2 0.32 29.8 0.62 5.52 0.018 0.01 0.12 2.23 0.005 0.12 4.5 - - 35 518.4
발명예3 0.61 14.2 0.23 0.02 0.013 0.015 0.002 1.55 0.002 0.002 - - - 31 424.0
발명예4 0.29 19.3 0.45 1.23 0.012 0.009 0.12 2.19 0.001 0.13 5.1 - 0.06 36 463.7
비교예1 0.57 18.2 0.52 1.87 0.01 0.007 0.082 1.75 0.019 0.25 - - - 24 480.8
비교예2 0.19 32.5 0.47 0.03 0.012 0.007 0.002 1.4 0.001 0.002 8.2 - - 42 392.1
비교예3 0.57 17.2 0.57 0.02 0.013 0.006 0.35 1.54 0.002 0.002 - - - void형성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접이음부의 조성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하는 발명예 1-4의 경우,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이 31J이상이고 인장강도도 400MPa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B 함량이 과다한 비교예 1은 인장강도는 양호하나 저온인성이 24J로 좋지 않았으며, Mo의 함량이 너무 적은 비교예 2는 저온인성은 양호하나 인장강도가 392.1MPa로 좋지 않았다.
아울러, N의 함량이 과도한 비교예 3에서는 용접후 얻어지는 용접이음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극저온용 고강도 고Mn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C:0.1~0.61%, Si:0.23~1.0%, Mn:14~35%, Cr: 6%이하, Mo:1.45~3.5%, S:0.02%이하, P:0.02%이하, B:0.001~0.01%, Ti:0.001~0.2%, N: 0.001~0.3%,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2. 제 1항에 있어서, W, Nb 및 V 중 선택된 1종 이상 합: 5중량%이하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3. 제 1항에 있어서, Y 및/또는 REM:0.1중량% 이하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4. 제 1항에 있어서, Ni을 10중량% 이하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 Mn강은 Mn24C0 .4Cr4Si0 .3을 기본조성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KR1020130151443A 2013-12-06 2013-12-06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KR101560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43A KR101560897B1 (ko) 2013-12-06 2013-12-06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JP2016536771A JP6240778B2 (ja) 2013-12-06 2013-12-24 極低温衝撃靭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継手部及びこのための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PL13898649T PL3078447T3 (pl) 2013-12-06 2013-12-24 Wysokowytrzymałe złącze spawalnicze o wysokim stopniu udarności kriogenicznej i drut spawalniczy z rdzeniem do jego tworzenia
EP13898649.2A EP3078447B1 (en) 2013-12-06 2013-12-24 High strength welding joint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t very low temperature, and flux-cored arc welding wire therefor
CN201380081451.6A CN105813799B (zh) 2013-12-06 2013-12-24 极低温冲击韧性优异的高强度焊接接头及用于其的电弧焊接用药芯焊丝
ES13898649T ES2753266T3 (es) 2013-12-06 2013-12-24 Junta de soldadura de alta resistencia que tiene excelente dureza al impacto a temperatura muy baja, y un alambre de soldadura de arco con núcleo de fundente correspondiente
PCT/KR2013/012146 WO2015083878A1 (ko) 2013-12-06 2013-12-24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및 이를 위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US15/032,455 US20160271739A1 (en) 2013-12-06 2013-12-24 High strength welding joint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t very low temperature, and flux-cored arc welding wire therefor
US16/189,232 US10864605B2 (en) 2013-12-06 2018-11-13 High strength welding joint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t very low temperature, and flux-cored arc welding wir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43A KR101560897B1 (ko) 2013-12-06 2013-12-06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190A true KR20150066190A (ko) 2015-06-16
KR101560897B1 KR101560897B1 (ko) 2015-10-15

Family

ID=5351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443A KR101560897B1 (ko) 2013-12-06 2013-12-06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8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834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선박
KR102237487B1 (ko) * 2020-06-01 2021-04-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613827A (zh) * 2019-03-29 2021-11-05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气体金属电弧焊接用实芯焊丝及气体金属电弧焊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23B1 (ko) * 2016-12-2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용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8200B2 (ja) 2009-03-26 2013-06-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接金属および溶接材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834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선박
CN113613827A (zh) * 2019-03-29 2021-11-05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气体金属电弧焊接用实芯焊丝及气体金属电弧焊接方法
KR20210138102A (ko) * 2019-03-29 2021-11-18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및 가스 메탈 아크 용접 방법
KR102237487B1 (ko) * 2020-06-01 2021-04-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897B1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4605B2 (en) High strength welding joint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t very low temperature, and flux-cored arc welding wire therefor
KR101560899B1 (ko) 고강도와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 용접 및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와이어
KR101657825B1 (ko) 고망간강용 tig 용접 재료
KR101304657B1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KR101965666B1 (ko)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1560897B1 (ko)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US9492894B2 (en) Flux-cored arc welding wire for providing superior toughness and weldability to a welded joint at a low temperature, and welded joint using same
KR102237487B1 (ko)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3592A (ko) 강도, 인성 및 내sr균열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KR101657836B1 (ko) 극저온 인성, 내열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KR101417424B1 (ko)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KR101560898B1 (ko) 고강도와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KR20160083355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KR101449150B1 (ko) 극저온강의 용접이음부
KR102197132B1 (ko)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180074860A (ko) 극저온 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용접이음부
KR102022448B1 (ko) 극저온 Ni 합금강용 Ni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1439650B1 (ko) 서브머지드 및 가스메탈 아크 용접재료
KR101859373B1 (ko) 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509889B1 (ko) 내균열성 및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1853796B1 (ko)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 및 균열성을 나타내는 염기성계 고강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308327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230103175A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10080257A (ko) 극저온용 고Mn강 플라즈마용접용 용접재료
KR20220038988A (ko)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용접 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