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327B1 -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327B1
KR102308327B1 KR1020200013571A KR20200013571A KR102308327B1 KR 102308327 B1 KR102308327 B1 KR 102308327B1 KR 1020200013571 A KR1020200013571 A KR 1020200013571A KR 20200013571 A KR20200013571 A KR 20200013571A KR 102308327 B1 KR102308327 B1 KR 10230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lux
welding
cont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785A (ko
Inventor
정석진
유동현
김용덕
최준태
지춘호
원주연
박수길
김봉석
홍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3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금속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탄소(C): 0.025~0.50%, 실리콘(Si): 0.2~1.5%, 망간(Mn): 0.1~9.0% 이하, P + S:0.040% 미만, 니켈(Ni): 12.0~22.0%, 크롬(Cr): 12.0~22.0%, 몰리브덴(Mo): 2.0~5.0%, 질소(N): 0.05~0.25%, SiO2: 0.1~3.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0~12.0%, NaF,K2SiF6,Na2AlF6,K3SiF7 및 CaF2 중 1종 이상: 0.005~1.5%,,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관계식 1을 만족한다.

Description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Flux cored welding wire with superior impact toughness at ultra low temperature}
본 발명은 극저온에서 충격인성이 우수한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탄에서부터 액화천연가스 등의 -196℃의 극저온 용기 및 화학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2.25~9% Ni합금강을 용접할 때 사용되는 철계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산업화 및 기술 개발에 따라서 -80℃에서 -196℃까지 저장 냉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25~9% Ni합금강, Invar,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Al 등을 모재로 이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 2.25~9% Ni 합금강은 전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재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Ni 합금강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Ni기 용접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Ni기 용접재료의 경우, 기존 조선 및 해양플랜트에서 사용되어 왔던 철계 용접재료에 비하여 kg당 가격이 20~100배까지 증가 되기 때문에 비용 및 사용상의 문제점이 많다.
또한 이러한 Ni기 용접재료의 경우 대부분 SMAW로 시공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이 극히 낮고 용접시공의 고 능률화가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플러스 코어드 와이어 개발 필요성이 산업 전반에 걸쳐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1022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25~9% Ni합금강 용접에 있어서, 전자세에서 용접 작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금속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탄소(C): 0.025~0.50%, 실리콘(Si): 0.2~1.5%, 망간(Mn): 0.1~9.0% 이하, P + S: 0.040% 미만, 니켈(Ni): 12.0~22.0%, 크롬(Cr): 12.0~22.0%, 몰리브덴(Mo): 2.0~5.0%, 질소(N): 0.05~0.25%, SiO2: 0.1~3.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0~12.0%, NaF,K2SiF6,Na2AlF6,K3SiF7 및 CaF2 중 1종 이상: 0.005~1.5%,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0.08% ≤ C + N ≤ 0.60%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는, 텅스텐(W): 1% 이하, 니오븀(Nb): 1% 이하, 구리(Cu): 1% 이하 및 티타늄(Ti): 1% 이하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외피는, 자체 중량%로, C:0.001~0.1%, Si:0.1~1.0%, Mn:0.5~9.0%, Cr:14.0~22.0%, Ni:8~22%, Mo:0.1~3.5%, Ti:0.01~1.0%, N:0.001~0.1 %,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용접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모재로서 2.25~9% Ni 합금강 및 고망간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를 갖는 용접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단상 조직을 가지며, 하기 관계식 2 및 관계식 3를 만족하는 Cr 당량(Creq)과 Ni 당량(Nieq)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2]
17≤Creq≤24, 여기에서, Creq = Cr+ Mo+1.5Si+0.5Nb
[관계식 3]
18≤Nieq≤28, 여기에서, Nieq = Ni+30C+0.5Mn+25N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극저온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플럭스 및 플럭스 코어를 감싸는 외피의 합금조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양호한 용접성을 나타내면서 균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와이어의 C, N 함량에 따른 용접물의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탄소(C): 0.025~0.50%, 실리콘(Si): 0.2~1.5%, 망간(Mn): 0.1~9.0% 이하, P+S: 0.040% 미만, 니켈(Ni): 12.0~22.0%, 크롬(Cr): 12.0~22.0%, 몰리브덴(Mo): 2.0~5.0%, 질소(N): 0.05~0.25%, SiO2: 0.1~3.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0~12.0%, NaF,K2SiF6,Na2AlF6,K3SiF7 및 CaF2 중 1 종 이상: 0.005~1.5%,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와이어의 조성 성분 및 그 제한사유를 설명하며, 이하에서, "%"는 중량%를 나타낸다.
·C: 0.025~0.50%
탄소(C)는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C의 함량이 0.025% 미만이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한편 0.50%를 초과하면 내고온균열성과 인성이 저하되고, 스패터(spatter)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의 함량을 0.025~0.5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C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Mn-C, Cr-C, W-C, 흑연 등의 금속 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Si: 0.2~1.5%
실리콘(Si)은 탈산 작용과 작업성(퍼짐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이 0.2% 미만인 경우에는 탈산력이 부족하며 비드 퍼짐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그 함량이 1.5%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부 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균열감수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i의 함량을 0.1~1.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금속의 Si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Si 및 Fe-Si 합금 등, 또는 SiO 등의 슬래그 성분으로부터 환원된 Si이다
·Mn: 0.1~9.0%
망간(Mn)은 슬래그 유동성을 개선하여 비드 형상을 개선 시키며, 용접부의 적정 강도와 인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이상으로 Mn을 함유할 필요가 있으며, 다만 그 함량이 9.0%를 초과하게 되면 급격한 인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의 함량을 0.1~9.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Mn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Mn, Fe-Mn 합금, MnO2 및 MnCO3등이 있으며, 어느 것의 첨가에 의해서든 Mn량을 조정할 수 있다
·P + S: 0.040% 미만
P 및 S는 고온균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소 중 하나로, Ni3S7, NiS, Ni3P등 Ni합금과 저융점 화합물을 발생시켜 고온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P 및 S 불순물 제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P 및 S의 총 함량을 제어하여 고온균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P 및 S 중 1종 이상이 그 합계로 0.04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Cr: 12.0~22.0%
크롬(Cr)은 용접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12.0% 미만이면 그 효과가 없고 22.0%를 초과하게 되면 크롬탄화물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r의 함량을 12.0~22.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Cr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Cr, Fe-Cr 합금 및 Cr2O3 등을 들 수 있다.
·Ni: 12.0~22.0%
Ni은 용접금속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12.0% 미만이면 용접부 페라이트 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인성을 저하시키며 22.0%를 초과하게 되면 비드 퍼짐성이 과도하게 감소하여 용접 작업성을 저하시킨다.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i의 함량을 12.0~22.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Ni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Ni, Fe-Ni 합금 및 Ni-Mg 등을 들 수 있다.
·Mo: 2.0~5.0%
몰리브덴(Mo)은 용착 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Mo의 함량이 2.0% 미만이면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반면에 5.0%를 초과하게 되면 용착 금속의 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o의 함량을 2.0~5.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본 발명에서 Mo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Mo 및 Fe-Mo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N: 0.05~0.25%
질소(N)은 용착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질소의 함량이 0.05% 미만이면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반면에 0.25%를 초과하게 되면 용착금속의 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의 함량을 0.05~0.2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2%이다.
한편,본 발명에서 N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Fe-N,Cr-Fe-N,Cr-N.Mn-N 합금 등일 수 있다.
·SiO2(이산화규소): 0.1~3.0%
상기 SiO2는 슬래그 형성제로서 용접 슬래그의 유동성 및 용접비드 퍼짐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는 본 발명에서는 0.1%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 내에 Si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과도한 강도 상승, 2차 석출물 증가로 인한 내균열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SiO2의 함량은 0.1~3.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본 발명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용접 중 아크의 이온화 포텐셜을 저하시켜 아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해주며, 용접 중 안정된 아크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상기 알카리 금속 산화물은 0.05% 이상 첨가되어야 이러한 효과가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1.5%를 초과하면, 높은 증기압으로 인하여 용접흄(Fume)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첨가효과는 각각의 함량비와는 무관하다.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0~12.0%
Al, Ti, Zr 산화물은 슬래그의 융점을 높여 전 자세 용접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첨가한다. 만일 상기 산화물들의 첨가량의 합이 5.0% 미만이면, 슬래그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슬래그의 포피성이 열화된다. 반면에 상기 산화물의 첨가량의 합이 12.0%를 초과하면, 슬래그 혼입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산화물 첨가 효과는 각각의 함량비와는 무관하다.
·NaF,K2SiF6,Na2AlF6,K3SiF7 및 CaF2 중 1 종 이상: 0.005~1.5%
본 발명에서 금속불화물은 용접 중 용탕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건전한 용접부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한다. 상기 금속불화물은 0.005% 이상 첨가되어야 이러한 효과가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1.5%를 초과하면, 용접시 스패터가 과도하게 발생되며 양호한 용접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여기서 금속 불화물은 NaF,K2SiF6,Na2AlF6,K3SiF7 및 CaF2 중 1 종 이상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금속 불화물의 첨가효과는 각각의 함량비와는 무관하다.
· 관계식 1
본 발명에서 C, N은 용접부의 고용강화를 통한 강도 상승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한다. 상기 C+N 함량이 0.08% 이상 첨가되어야 이러한 효과가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0.60%를 초과하면, 인장강도가 과도하여 -196℃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힘들며 스패터 및 기공이 증가하여 양호한 용접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관계식 1과 같이, C+N 함량을 일정 범위로 제어할 것이 요구된다.
[관계식 1]
0.08% ≤ C + N ≤ 0.60%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는, 텅스텐(W): 1% 이하, 니오븀(Nb): 1% 이하, 구리(Cu): 1% 이하 및 티타늄(Ti): 1% 이하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W: 1% 이하
텅스텐(W)은 용착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W은 용접부 탄소와 반응하여 강도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충격인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W의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용착금속에서의 W원으로서는, 와이어 및 플럭스에 포함되는 TiO2 산화물, Fe-Nb, Fe-W, Fe-V 합금 등일 수 있다.
·Nb: 1% 이하
니오븀(Nb)은 용착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Nb은 과다 첨가시 용접부 탄소와 반응하여 강도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충격인성 저하 및 내고온균열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u: 1% 이하
구리(Cu)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용접부의 적정 강도와 인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다 첨가시 내식성과 열간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Cu의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Ti: 1% 이하
티타늄(Ti)은 용접부 내에서 탄화물 또는 질화물을 생성하여, 고온에서 응고 시 핵생성 사이트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작게 만들어 용접부 강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Ti의 함량을 1%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상술한 성분 외에도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용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금속 외피가 합금 성분의 플럭스를 감싸는 단일 외피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9~1.6mm 정도가 적당하며, 상기 금속 외피의 무게 분율은 외피의 밀도와 플럭스의 밀도차이를 고려하면 대략 용접용 와이어의 전체 대비 무게 분율로 50~9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외피는, 자체 중량%로, C:0.001~0.1%, Si:0.1~1.0%, Mn:0.5~9.0%, Cr:14.0~22.0%, Ni:8~22%, Mo:0.1~3.5%, Ti:0.01~1.0%, N:0.001~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조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접 재료의 플럭스의 합금조성 및 플럭스 코어를 감싸는 외피의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세 용접(All Position Welding)이 가능하며, 인장 강도 및 충격 인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용접재료를 이용하여 용접모재로서 2.25~9% Ni 합금강 및 고망간강 및 고망간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를 갖는 용접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단상 조직을 가지며, 하기 관계식 2 및 관계식 3를 만족하는 Cr 당량(Creq)과 Ni 당량(Nieq)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2]
17≤Creq≤24, 여기에서, Creq = Cr+ Mo+1.5Si+0.5Nb
[관계식 3]
18≤Nieq≤28, 여기에서, Nieq = Ni+30C+0.5Mn+25N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을 갖는 용접용 와이어를 마련하였으며, 이때, 용접용 와이어를 이루는 금속 외피 구성 및 외피의 성분은 동일하며, 플럭스의 함량만 달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금속 외피는, 중량%로, C: 0.001~0.1%, Si: 0.1~1.0%, Mn: 0.5~9.0%, Cr: 14.0~22.0%, Ni: 8~22%, Mo: 0.1~3.5%, Ti: 0.01~1.0%, N: 0.001~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을 실시하였다. 이때, 판 두께 20mm의 SM490 강판의 개선 면에, 개선 각도가 45°가 되도록 사면을 형성하고, 이 개선부를 와이어로 버터링하여, 버터링층을 형성했다. 이 후, 버터링된 모재들 끼리 루트 갭이 12mm가 되도록 배치하고, 개선이 좁아지는 측에, 마찬가지로 그 표면이 버터링된 덧대기쇠 (강재)를 배치하였다. 이 개선에 JIS Z 3111: 2005에 준해서 용접하여, 용착 금속을 제조하였다.
FCAW의 경우, 100% CO2 조건과 Ar+15~25% CO2 조건에서 입열량 1.7 kJ/mm으로 용접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100% CO2 보호가스 적용할 경우, Ar+15~25% 적용시보다 인장강도는 유사 수준이나 용착 금속의 산소함량 증가로 인한 충격인성은 저하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100% CO2 보호가스 용접시 물리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와이어의 직경은 1.2mm 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얻어진 용접이음부의 항복 강도(YS, ≥430MPa), 인장 강도(TS, ≥640MPa), 연신율(EL., ≥25%) 및 -196℃의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27Joules)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자세 용접성은 아크 안정성과 슬래그 박리성을 고려하여 육안으로 비교 판단하였으며, A(우수), B(미흡), C(불량)의 3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아울러, 균열 및 기공 여부도 육안으로 비교 판단하여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균열 미발생(A)와 다층 균열 발생(B), 초층 균열 발생(C)로 평가하였다.
  C Si Mn P+S Ni Cr Mo N Ti D1 SiO2 D2 D3 D4
발명예1 0.026 0.75 2.5 0.01 16 21 2.5 0.24 0.2 0.2 0.5 7.8 0.07 -
발명예2 0.49 0.74 2.7 0.01 21 13 3 0.1 0.3 1.4 0.7 8.9 0.09 -
발명예3 0.17 0.3 3.5 0.01 15 19.1 3.8 0.12 0.2 0.4 2.9 11.5 0.1 -
발명예4 0.15 1.4 4.2 0.01 16 19.5 3.5 0.09 0.3 1.5 2.5 6 1.2 -
발명예5 0.14 0.6 0.2 0.01 17 19.5 2.7 0.09 0.05 1.2 2.2 7 0.4 -
발명예6 0.1 0.7 8.9 0.02 15.5 18.9 3.1 0.11 0.8 0.4 2.3 7.8 0.8 -
발명예7 0.18 0.8 0.2 0.03 13 19.5 2.8 0.12 0.25 0.6 2.4 10.4 0.7 -
발명예8 0.19 0.9 2.2 0.02 21 18.5 4.2 0.08 0.8 1.4 2.8 11.2 0.09 -
발명예9 0.14 0.7 6.5 0.02 16.5 18.9 3.1 0.09 0.01 0.4 2.3 7.8 0.8 W:0.8
발명예10 0.17 0.7 6.5 0.02 16.5 18.9 3.1 0.06 0.02 0.4 2.3 7.8 0.8 Nb:0.8
비교예1 0.26 0.75 9.1 0.01 16 18.5 2.5 0.08 0.2 0.5 0.36 12.5 0.007 -
비교예2 0.17 1.7 2.9 0.02 17 19 3.5 0.12 0.3 0.7 1.2 4.8 0.009 -
비교예3 0.12 0.9 0.05 0.03 16.5 18.9 3.3 0.2 0.01 0.5 3.1 7.5 1.6 -
비교예4 0.024 0.33 7.2 0.03 16.9 19.3 2.3 0.19 0.05 0.04 0.25 12.5 1.2 -
비교예5 0.51 0.77 2.4 0.02 17.5 15.5 2.1 0.1 0.07 1.5 1.2 5.2 1.6 -
비교예6 0.13 0.85 3.4 0.03 22.5 15.5 4.4 0.1 0.7 1.2 1.3 11.5 0.8 -
비교예7 0.19 0.45 6.8 0.02 11.8 15 2.7 0.11 0.4 1.2 2 5.4 0.7 -
비교예8 0.14 0.61 4.8 0.02 18.8 11.8 2.2 0.09 0.25 0.5 0.3 7.7 0.004 -
비교예9 0.17 0.91 5.1 0.03 18.9 22.3 2.8 0.18 0.8 1.6 2 7.7 1.1 -
비교예10 0.12 0.66 6 0.03 17.2 18.5 1.8 0.2 0.6 1.4 2 7.9 1 -
비교예11 0.19 0.69 6.6 0.01 19.5 18 5.2 0.21 0.4 1.3 2 8.5 0.7 -
비교예12 0.19 0.69 7.8 0.01 19.5 18 2.3 0.26 0.4 1.4 1.5 7.7 0.8 Nb: 1.2
비교예13 0.05 0.75 2.5 0.01 16 18 2.5 0.02 0.02 0.2 0.5 7.8 0.007 W: 1.2
비교예14 0.43 0.75 5.7 0.01 16 18 2.5 0.18 1.1 0.2 0.5 7.8 0.007 -
*표 1에서 각 성분은 함량은 중량%이고 잔여는 Fe 및 불순물이며, D1은 Li2O+Na2O+K2O, D2는 Al2O3+TiO2+ZrO2, D3는 NaF+K2SiF6+Na2AlF6+K3SiF7+CaF2, 그리고 D4는 텅스텐(W)과 니오븀(Nb)이 첨가된 경우를 나타낸다.
구분 YS(MPa) TS(MPa) EL (%) 샤르피충격흡수에니지(-140℃) 내균열성 용접성
(100% CO2)
발명예1 440 660 30.5 45 A A
발명예2 470 690 29.5 40 A A
발명예3 470 690 28.5 38 A A
발명예4 480 700 27.5 34 A A
발명예5 440 660 31.2 42 A A
발명예6 470 690 28.5 40 A A
발명예7 490 680 27.5 38 A A
발명예8 500 700 26.5 37 A A
발명예9 475 695 36.2 36 A A
발명예10 492 699 36.5 38 A A
비교예1 510 700 24.8 25 C C
비교예2 470 645 35.6 46 B C
비교예3 445 665 30.5 38 C C
비교예4 425 635 34.8 55 B C
비교예5 480 700 27.5 25 C C
비교예6 425 630 42.5 45 C A
비교예7 475 720 21.4 30 C A
비교예8 425 630 48.5 46 C B
비교예9 495 711 25.5 19 C C
비교예10 435 638 35.5 45 B B
비교예11 500 699 27.5 24 C B
비교예12 511 725 18.9 17 C B
비교예13 425 625 49.5 50 A B
비교예14 530 711 25.5 25 B C
상기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금 성분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관계식 0.08% ≤ C + N ≤ 0.60% 을 만족하는 발명예 1-10은 모두 내균열성 및 전자세 용접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발명예 1-10을 이용하여 얻어진 용접이음부의 인장강도는 640MPa 이상, -196℃ 충격인성 27J이상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Mn 함량이 9.1%를 초과하는 비교예 1의 경우, 용접부 흄 및 스패터 발생량이 과다하여 용접부 및 용접부 주변에 양호한 비드 외관 확보가 불가하였으며 인장강도가 과도하여 하였다. 또한 Al2O3+TiO2+ZrO2 함량이 12%를 초과함으로써 슬래그 함량이 과다하여 전자세 용접시 용접부와 슬래그의 분리가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슬래그 혼입이 발생 되어 전자세 용접성이 미흡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Si 함량이 1.5%를 초과한 경우로서, 비드 퍼짐성이 과다하고 용접부 용입 특성이 저하되어 양호한 용접 비드를 확보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Al2O3+TiO2+ZrO2 함량이 5.0% 미만으로 슬래그 함량이 과소하여 슬래그 포피성이 떨어지고 양호한 용접 비드를 확보하기 힘들었다.
비교예 3은 Mn 함량이 0.1%이하로 P,S등의 불순물 편석으로 인하며 내균열성이 취약하며 SiO2 함량이 과도하여 슬래그 유동성이 열세하여 양호한 용접비드를 확보하기 힘들며 목표 충격인성 확보가 힘들었다.
또한 C 함량이 0.025%를 미만하는 비교예 4는 용접부 목표 인장강도 확보하지 못하며 이 Li2O+Na2O+K2O 함량이 낮았으며 양호한 용접을 확보하기 힘들다, 비교예 5는 과도한 탄소함량으로 양호한 인장 강도 및 충격 인성을 확보하기 힘들며 관계식 1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또한 Ni 함량이 22%를 초과하는 비교예 6은 인장강도가 낮았으며 수직 자세에서 슬래그 형성이 나빠져 비드가 흘려 내렸다. 또한 비교예 7은 Ni 함량이 12%를 미만으로 용접부 페라이트 함량이 과도하여 다층 용접시 균열에 취약하였다
또한 Cr 함량이 12% 미만인 비교예 8은 용접부 강도가 저하되어 목표강도에 부족하였다.또한 Cr 함량이 22%를 초과하는 비교예 9는 용접부 인장 강도가 과도하여 충격 인성이 저하되었으며, Li2O+Na2O+K2O 함량을 만족하지 못하여 양호한 용접성 및 내균열성을 확보하기 힘들었다.
또한 Mo 함량이 2.0% 미만인 비교예 10은 용접부 강도가 저하되어 목표강도에 부족하였으며, 또한 Mo 함량이 5%를 초과하는 비교예 11은 용접부 인장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충격 인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질소(N) 함량이 0.25%를 초과하는 비교예 12는 용접부의 기공발생이 증가하여 용접부 건전성이 저하되었으며, 용접부 인장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충격 인성이 저하되었다.
C+N 함량이 0.08% 이하인 비교예 13은 용접부의 인장강도가 과소하며, C+N 함량이 0.60%를 초과하는 비교예 14는 저온에서 충분한 충격인성을 확보하기가 힘들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4)

  1. 금속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탄소(C): 0.025~0.50%, 실리콘(Si): 0.2~1.5%, 망간(Mn): 0.1~9.0% 이하, P + S:0.040% 미만, 니켈(Ni): 12.0~22.0%, 크롬(Cr): 12.0~22.0%, 몰리브덴(Mo): 2.0~5.0%, 질소(N): 0.05~0.25%, SiO2: 0.1~3.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0~12.0%, NaF,K2SiF6,Na2AlF6,K3SiF7 및 CaF2 중 1종 이상: 0.005~1.5%,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며, 그리고 상기 금속외피는, 자체 중량%로, C:0.001~0.1%, Si:0.1~1.0%, Mn:0.5~9.0%, Cr:14.0~22.0%, Ni:8~22%, Mo:0.1~3.5%, Ti:0.01~1.0%, N:0.001~0.1 %,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관계식 1]
    0.08% ≤ C + N ≤ 0.6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텅스텐(W): 1% 이하, 니오븀(Nb): 1% 이하, 구리(Cu): 1% 이하 및 티타늄(Ti): 1% 이하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3. 삭제
  4. 청구항 1항의 용접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모재로서 2.25~9% Ni 합금강 및 고망간강을 용접하여 얻어지는 용접이음부를 갖는 용접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단상 조직을 가지며, 하기 관계식 2 및 관계식 3를 만족하는 Cr 당량(Creq)과 Ni 당량(Nieq)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구조물.
    [관계식 2]
    17≤Creq≤24, 여기에서, Creq = Cr+ Mo+1.5Si+0.5Nb
    [관계식 3]
    18≤Nieq≤28, 여기에서, Nieq = Ni+30C+0.5Mn+25N
KR1020200013571A 2020-02-05 2020-02-05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230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71A KR102308327B1 (ko) 2020-02-05 2020-02-05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71A KR102308327B1 (ko) 2020-02-05 2020-02-05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85A KR20210099785A (ko) 2021-08-13
KR102308327B1 true KR102308327B1 (ko) 2021-10-06

Family

ID=7731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571A KR102308327B1 (ko) 2020-02-05 2020-02-05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3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2653B2 (ja) 2014-12-26 2019-04-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20160083355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KR101965666B1 (ko) * 2017-08-11 2019-04-04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85A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1346B2 (en) Welded joint of extremely low-temperature steel, and welding materials for preparing same
KR101965666B1 (ko)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040010398A (ko) 가스-보호 아크 용접용 플럭스-코어드 와이어
KR101568515B1 (ko) 내열강용 용접재료
JP5097499B2 (ja) 低合金耐熱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2197134B1 (ko)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CN112512742A (zh) 实心焊丝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KR101560897B1 (ko)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접이음부
KR101657836B1 (ko) 극저온 인성, 내열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KR102308327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1417424B1 (ko)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KR102022448B1 (ko) 극저온 Ni 합금강용 Ni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2197132B1 (ko)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2509889B1 (ko) 내균열성 및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160083355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KR101560898B1 (ko) 고강도와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JP2023504413A (ja) Lngタンク製造で用いられるステンレス鋼溶接ワイヤ
KR101449150B1 (ko) 극저온강의 용접이음부
KR20230132902A (ko) 극저온용 고망간강 용접을 위한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2112160B1 (ko) 이면 충격인성이 우수한 가스 쉴드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90086123A (ko) 가스 쉴드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439650B1 (ko) 서브머지드 및 가스메탈 아크 용접재료
KR20180076088A (ko) 이종용접용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Ni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재료
KR20240018837A (ko) 고강도 스테인리스강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220123363A (ko) 9%Ni강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용접 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