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051A -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 Google Patents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051A
KR20150066051A KR1020130151102A KR20130151102A KR20150066051A KR 20150066051 A KR20150066051 A KR 20150066051A KR 1020130151102 A KR1020130151102 A KR 1020130151102A KR 20130151102 A KR20130151102 A KR 20130151102A KR 20150066051 A KR20150066051 A KR 2015006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nut
dried
resveratrol
amino acid
spr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섭
김철성
Original Assignee
(주)복슨로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복슨로하스 filed Critical (주)복슨로하스
Priority to KR102013015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051A/ko
Publication of KR2015006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6Isoleu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8Leu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Ly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2Methio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8Phenylala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4Valine

Abstract

본 발명의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은,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s)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여 칼로리제한모방(Calorie Restriction Mimetic) 효과를 갖는 땅콩새싹을 제공하고,상기 땅콩새싹을 건조 분말화 하거나 상기 땅콩새싹을 주정 추출 및 건조 분말화하며, 상기 건조 분말화된 분말 10 내지 90중량%와 부가 혼합물 1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Functional sunsik with calorie restriction mimetic effect}
본 발명은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caas, Branched-Chain Amino Acids)을 함유하며, 또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더욱 포함되어 있어 칼로리 제한 모방의 상승효과가 있는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칼로리 제한(Calorie Restriction), 저열량식 섭취, 1일 1식, 간헐적 단식이란 용어가 사용되면서 이것이 질병 예방에서 치료까지, 그리고 노화를 늦추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열량식 섭취, 1일1식과 간헐적 단식 은 방법과 효과 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소식’이라는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칼로리 섭취를 줄이다 보면 우리 몸의 구성 성분인 단백질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 섭취까지 줄어들 소지가 있다. 따라서, 평소와 같이 음식을 섭취하면서도 칼로리 제한과 같은 효과가 있는 식품, 물질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칼로리 제한 모방(Calorie restriction mimetic) 효과를 가져오데 있어, 대표적인 성분으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식품에서 칼로리 제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지금도 계속적으로 찾고 있다. 칼로리 제한을 하게 되면 인체 내 유전자인 서튜인(Surtuin)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노화의 진행과정을 억제하고 또한, 항산화, 항염, 미토콘드리아 보호 등의 작용을 통해 질병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수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칼로리 제한 모방의 대표적인 성분인 레스베라트롤은 레드와인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레드와인이 거의 유일한 레스베라트롤 소재로 판단하고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는 알코올이긴 하지만 레드와인을 섭취하라고 권장하고 있으며, 미국 시사 주간지인 타임스 에서는 레드와인을 세계 10대 건강 장수 식품으로 선정했다. 알코올이지만 말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 단백질 및 식이섬유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칼로리 제한 모방 효과를 가져오는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caa)이 풍부한 땅콩새싹을 이용한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아미노산 구성 부분 중, 글루타민산, 시스틴, 글리신의 체내 생합성을 통한 글루타티온(glutathione)의 생성을 통해 과산화지질을 분해하는 항산화효소를 생성하는 땅콩새싹을 이용한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과 더불어 칼로리 제한 모방 효과를 갖는 레스베라트롤과 결합된 최적의 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땅콩새싹을 기본으로 최고의 칼로리 제한 모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은,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s)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여 칼로리제한모방(Calorie Restriction Mimetic) 효과를 갖는 땅콩새싹을 제공하고,상기 땅콩새싹을 건조 분말화 하거나 상기 땅콩새싹을 주정 추출 및 건조 분말화하며, 상기 건조 분말화된 분말 10 내지 90중량%와 부가 혼합물 1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땅콩새싹은 100g 중 상기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이 적어도 약 3g 이상을 함유하며, 상기 땅콩새싹은 100g 중 적어도 20% 이상의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인 류신, 이소류신, 발린으로 구성된 브랜치드체인아미노산(Bcaas, Branched-Chain Amino Acids)을 비롯하여 라이신,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레오닌, 트립톱판, 아르기닌, 히스티딘을 포함하며, 티로신, 알라닌, 글리신, 프롤린, 글루타민산, 세린, 아스파라긴산, 시스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땅콩새싹에 함유된 상기 시스틴, 글루타민산 및 글리신이 원료가 되어 간에서 항산화효소인 글루타티온(Gluetathione)을 생합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땅콩새삭 건조 분말에 포함된 상기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약 200μg/g 내지 700μg/g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가 혼합물은 옥수수, 보리, 콩, 표고버섯, 호박, 양파, 다시마, 멸치, 감자, 녹차, 냉동건조두부, 양배추, 당근, 시금치 등 모두 건조된 식품을 분말화 하여, 상기 땅콩새싹 또는 "레스버" 건조 분말과 교반 및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에 의하면, 풍부한 식물성단백질과 식이섬유, 미네랄이 골고루 섞여 있으면서, 특히 최고의 칼로리 제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천연물 소재의 땅콩새싹을 주 재료로 제공함으로서, 현재까지의 선식에 있어 부족한 부분을 채울 뿐만 아니라 건강한 100세 시대를 이룰 수 있는 기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로리 제한 효과를 식품에서 찾음으로써, 음식이 약이 될 수 있는, 그래서 사람들이 평소에도 즐겨 먹으면서 대사질환 및 질병 등으로부터 벗어나 건강한 체력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기대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새싹 및 레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스버를 건조한 건조분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스버의 아미노산 분석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스버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분석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새싹의 아미노산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석서
단백질은 크게 우유단백인 유청단백과 콩단백인 대두단백으로 나뉜다. 유청단백은 대두단백에 비해 원가가 크게 비싸지만 대두단백에 비해 빠르게 흡수되고 근육합성을 자극하는 류신의 함량이 훨씬 많아 근육량을 유지하고 체지방을 감량하는 효과가 더 크다. 다이어트를 한다고 단백질 함량이 부족한 선식이나 효소제품 같은 대용식만 먹는 사람도 문제지만 근육을 키운다며 단백질파우더만 먹는 사람도 문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선식은 땅콩새싹 소재를 이용하는데, 상기 땅콩새싹에는 양질의 아미노산과 함께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그리고 고함량의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되어 었어 영양의 균형을 이루면서도 칼로리제한 모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능성선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선식은 운동하는 사람들이 주로 취하는 유청 단백과 같은 아미노산 보충제와 비교했을 때 아미노산 함량이 수준에 손색이 없고, 또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s)이 상기 아미노산 중 약 3g 이상이 함유되어 있는 땅콩새싹을 이용한다. 그리고 땅콩새싹은 이미 칼로리제한 모방 효과로 대표적으로 알려진 레스베라트롤 또한 식품으로써 최고 함량을 갖고 있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을 고단위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이 최적으로 함유된 땅콩새싹을 소재로 기능성 선식을 제조하여 사용하면 칼로리 제한의 모방 효과를 크게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한 끼 대용으로 충분한 기능성 선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체내의 간에서 합성하는 강력한 항산화효소인 글루타티온(glutathione)은 시스틴, 글리신, 글루타민산이 원료로 되어 합성되는데, 땅콩새싹에 함유된 아미노산이 이의 원료가 될 수 있다.
땅콩새싹은 말 그대로 땅콩을 발아하여 새싹화 한 것으로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진행과정에서 땅콩새싹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알려진 레드와인과 비교했을 때 더욱 많은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한 바 있다. 또한, 땅콩새싹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땅콩에는 없는 비타민 C가 생성되며, 미네랄 함량도 풍부하다.
미국에서 발표한 논문을 살펴보면, J.Agric.Food Chem., 2005, 53(2), pp 242-246에 따르면, 땅콩이 2.3 ~ 4.5μg/g의 레스베라트롤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땅콩새싹으로 재배하게 되면, 11.7 ~ 25.7μg/g으로 증가한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9일동안 재배 시, 조단백질 함량 및 자엽에 들어 있는 겔상의 황함유 단백질이 많이 줄어드는 대신 유리 아미노산과 자당, 글루코스가 크게 증가되며, 따라서 땅콩새싹이 기능성채소로서의 잠재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레스베라트롤만 비교했을 때, 레드와인이 0.56 ~ 5.8μg/g이므로 땅콩새싹이 훨씬 높은 수치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유청(Whey) 단백은 근육량을 늘리기 위하여 운동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보충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발전한 연구는 최근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CAAs)인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으로 구성된 3가지 아미노산과 웨이에서 발견된 다른 몇가지 요소들이 칼로리제한의 장수효과를 모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유청은 통상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20 ~ 25g을 가지며, 이 중 약 5g 범위의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칼로리 제한의 장수효과는 질 좋은 미토콘드리아를 생성하고 보호하며, 활성산소 방어, 그리고 항염 작용 등 다양한 효과를 불러와서 건강한 장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생물이 갖고 있는 서튜인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유전자를 감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에 관여를 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본 출원인은 땅콩을 새싹으로 재배하는 진행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땅콩새싹과정을 거쳐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극대화된 형태의 작물로까지 재배를 성공하였다. 이렇게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극대화된 작물 형태를 본 출원인은 "레스버"라고 명명한다. 이것은 이미 알려진 땅콩새싹과의 비교에 있어서 레스베라트롤 함량에서 큰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극대화된 형태의 땅콩새싹을 "레스버"로 정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재배 과정에서 땅콩새싹에 포함된 최적의 아미노산 함량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로리제한제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인은 땅콩 발아를 위해 먼저 침지 방식으로 일정 공간내에서 48시간 불린다. 이후, 약 26도 범주에서 습도 90%를 유지하여 새싹으로 재배한다. 이때 3시간마다 7분간 살수를 진행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땅콩을 새싹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6일간 재배한 땅콩새싹을 뿌리를 자른 모습과 뿌리 모양채 담은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땅콩새싹의 재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새싹 재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재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표준화 방식을 통해 대량 생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관건이라 할 수 있겠다.
도 3은 상기 땅콩새싹에서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재배한 사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이 "레스버"이다. 레스베라트롤은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파이토알렉신으로 외부에서 곰팡이 등 공격을 받으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물질로 강력한 항균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것이 레스베라트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새싹을 레스베라트롤 함량 크게 증가되도록 땅콩새싹에 스트레스를 유발시킨다. 해당 스트레스는 온도를 저온으로, 예컨대 땅콩새싹이 15도 온도 범위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생명을 유지하면서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끌어 올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트레스는 다양한 방식이 될 수 있다.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곰팡이 진균을 넣어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도 있겠다.
상기와 같이 재배된 "레스버"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 후 전초 건물을 분말화 하여 이것을 여러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도 4에서 참조한 바와 같은 분말을 일본분석센터에서 18가지 아미노산 분석을 수행한 결과서이다. 참조하여 설명하면, 100g에 약 21g 이상의 아미노산 성분이 분석되었고, 총 18개의 아미노산 성분 중 10개의 필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 표시는 필수아미노산이고, ∨ 표시는 어린이 들에게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다.
특징을 보면, 식물 형태이지만 최고의 식물성 단백질 함량을 갖고 있다. 특히, 필수 아미노산 중 함황아미노산인 메티오닌(Methionine)과 비필수 아미노산 중 함황아미노산인 시스테인(Cysteine)이 동물성 단백질인 달걀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새싹이 식품 원료 그 자체로서도 손색이 없다는 의미이다.
또한, 자세히 살펴보면, 필수 아미노산 성분 중 류신, 이소류신, 발린이 총 3g 이상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을 아미노산 보충제인 유청(Whey)와 비교해 봤을 때 함량 그 자체로 손색이 없다. 즉, 단백질 함량과 이 중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 함량 비율이 유사하다.
그리고 표 1을 참조하여 "레스버"의 필수 아미노산을 다른 곡류나 동물성 단백질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의 출처는 Food and Agiculture Organization(1970), Nutritional Study No.24(Rome:FAO)이고, 본 표에 레스버를 비교해 놓았다. 단위는 mg/g으로 레스버는 g 단위를 mg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보는 바와 같이, 레스버는 단일 식품으로는 최고의 아미노산 함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풍부한 아미노산 구성으로 인해 포만감을 불러 일으키므로 선식 재료로서 최적일 수 있다. 또한, 식물성 단백질에 부족한 라이신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 부분을 "레스버"는 모두 충족하고 있다.
그리고, 강력한 활성산소인 과산화지질을 분해하는 항산화효소로 글루타티온(glutathione)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시스틴, 글리신 및 글루타민산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 내의 간에서 합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다만, 시스틴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 함량에 비해 약간 낮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글루타티온의 생합성에 도움이 되도록 "레스버" 분말에 시스틴 성분을 외부에서 추가하여 이를 보강할 수도 있겠다. 즉 시스틴이 풍부한 식품을 건조 분말화 하여 "레스버"분말과 혼합하여 선식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레스버"로 재배되기 이전의 땅콩새싹의 아미노산 함량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땅콩새싹의 단백질 함량은 건조 방법에 따라 100g당 약 28 내지 31g의 조단백질 함량이 함유되어 있으며, 도 9는 상기 조단백질을 구성하는 구성아미노산으로 농업실용화재단에서 15가지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15가지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약 21g ~ 25g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는데, 상기 조단백질 함량을 보면, 분석된 아미노산 이외 다른 아미노산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을 살펴보면 발린, 이소류신, 류신의 열풍건조분말의 함량은 약 3.2g으로 "레스버"에 함유된 함량과 유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스버"의 레스베라트롤 성분을 분석한 결과서이다.
실험 방법은 샘플 1g을 80% 메탄올 10ml를 가하여 15시간 쉐이킹(shaking)하여 추출한 다음 초음파를 가하여 1시간 더 추출하였다.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고 남아 있는 침전물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총 5회 반복하여 이를 0.2μm 시린지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주입하여 HPLC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확일자가 다른 땅콩새싹 분말 2가지 샘플을 가지고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결과물로 나온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각각 347μg/g 및 274μg/g 이었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레스베라트롤 함량으로 최고치의 결과값으로 해석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J.Agric.Food Chem., 2005, 53(2), pp 242-246에서 발표한 땅콩새싹의 11.7 ~ 25.7μg/g의 레스베라트롤 함량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도 7은 도 6과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진행한 결과보고서이다.
추출 방법은 1. 시료 1g을 취하여 80% 메탄올 10ml를 가하고 15시간 쉐이킹(shaking)하여 추출한 다음, 초음파를 가하여 1시간 더 추출하였다. 2. 추출물 시료를 원심분리하여(6,580g, 15분) 상층액을 회수하고 남아있는 침전물에 80% 메탄올 10ml를 가하여 재추출하였다. 3. 1번, 2번의 과정을 반복하여 총 5회, 50ml이 80% MeOH로 추출한 상등액 중 3μl를 주입하여 LC-MS 장비로 분석하였다. 이때에는 두 가지 시료 중 하나는 584μg/g 이 분석되었고, 또 하나의 시료는 717μg/g 까지 분석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추출 방법에 따라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달라지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도6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땅콩새싹 재배 과정에서 형성한 레스베라트롤이 극대화된 작물인 "레스버"는 약 200μg/g 이상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스베라트롤과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은 칼로리제한을 모방한다. 70년이상 지속된 풍부한 과학적 데이터들은 칼로리제한이 거의 모든 형태의 생명체에 있어서 장수하게 하는 힘을 갖음을 보여준다. 어떤 종에서는 100%까지 장수하게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러한 이익을 얻기 위하여 충분히 엄격한 식습관 체제에 따를 수 없다. 그리고, 효과와 함께 노년층에서의 위험성은 잘 조사되지 않았다.
연구되고 결과가 발표된 내용을 토대로 칼로리제한 모방자(CR-mimetics)라고 불리어지는 새로운 계층의 성분이 도출되었다는 것이고, 한줌의 자연산 화합물이 엄격한 식사조절을 할 필요없이 칼로리제한의 유익한 효과들을 안전하게 촉진한다는 것이다.
본 출원인이 재배한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극대화된 땅콩새싹인 "레스버"는 고함량의 레스베라트롤 뿐만 아니라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caa)인 류신, 이소류신, 발린이 함께 결합되어 칼로리 제한 모방을 최대한을 이끌 수 있는 최고의 작물로 평가된다. 이러한 "레스버"는 여러가지 형태의 식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소재에서 제약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레스버"와 시스틴이 풍부한 식품 등 다양한 소재와 결합되어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은 땅콩새싹 또한 레스베라트롤과 풍부한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레스버" 보다는 함유된 레스베라트롤이 낮은 함량일 지라도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이 유사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땅콩새싹 또한 칼로리제한 모방자로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재이다.
따라서, 땅콩새싹 건조 분말과 "레스버"의 건조 분말과의 결합을 통해 땅콩새싹을 좀 더 보완할 수 있는 형태의 제품이 만들어질 수도 있겠다.
이러한 땅콩새싹 분말과 "레스버" 분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 예컨대 선식 식품이나 천연조미료에 상기 분말을 적용하여 사람들이 용이하게 칼로리제한 모방 효과를 갖는 식품을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상기와 같은 땅콩새싹 또는 "레스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선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재배된 땅콩새싹 또는 "레스버"를 세척한 후, 동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를 진행한다. 건조된 건물을 40 ~ 80 메쉬(mesh)의 체로 걸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 건조물을 10 내지 90중량% 및 부가 혼합물 10 내지 80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한다.
상기 부가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식재료 소재 중 몇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옥수수, 보리, 콩, 표고버섯, 호박, 양파, 다시마, 멸치, 감자, 녹차, 냉동건조두부, 양배추, 당근, 시금치 등 모두 건조된 식품을 분말화 하여, 상기 땅콩새싹 또는 "레스버" 건조 분말과 교반 및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된 분말을 주정 추출법을 이용하여 액상으로 추출한 후, 상기 주정추출물을 분무건조 또는 진공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부가 혼합물과 결합하여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선식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분말형태의 선식에 있어서,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s)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여 칼로리제한모방(Calorie Restriction Mimetic) 효과를 갖는 땅콩새싹을 제공하고,
    상기 땅콩새싹을 건조 분말화 하거나 상기 땅콩새싹을 주정 추출 및 건조 분말화하며,
    상기 건조 분말화된 분말 10 내지 90중량%와 부가 혼합물 1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은 100g 중 상기 브랜치드-체인 아미노산이 적어도 약 3g 이상을 함유하는 땅콩새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은 100g 중 적어도 20% 이상의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인 류신, 이소류신, 발린으로 구성된 브랜치드체인아미노산(Bcaas, Branched-Chain Amino Acids) 및 라이신,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레오닌, 트립톱판, 아르기닌, 히스티딘을 포함하며, 티로신, 알라닌, 글리신, 프롤린, 글루타민산, 세린, 아스파라긴산, 시스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에 함유된 상기 시스틴, 글루타민산 및 글리신이 원료가 되어 간에서 항산화효소인 글루타티온(Gluetathione)을 생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 건조 분말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약 200μg/g 내지 700μg/g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혼합물은 옥수수, 보리, 콩, 표고버섯, 호박, 양파, 다시마, 멸치, 감자, 녹차, 냉동건조두부, 양배추, 당근, 시금치 등의 건조된 식품을 선택적으로 분말화 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로리제한모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KR1020130151102A 2013-12-06 2013-12-06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KR20150066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02A KR20150066051A (ko) 2013-12-06 2013-12-06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02A KR20150066051A (ko) 2013-12-06 2013-12-06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51A true KR20150066051A (ko) 2015-06-16

Family

ID=5351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102A KR20150066051A (ko) 2013-12-06 2013-12-06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0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50B1 (ko) * 2016-03-10 2016-07-11 농업회사법인 시드바이오텍 주식회사 새싹땅콩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CN106262656A (zh) * 2016-08-02 2017-01-04 大连工业大学 一种海带调味品及其生产方法
KR101883787B1 (ko) 2017-01-31 2018-08-01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초석잠분말 및 gaba강화 발아곡물분말을 주재로 한 선식 및 선식 주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50B1 (ko) * 2016-03-10 2016-07-11 농업회사법인 시드바이오텍 주식회사 새싹땅콩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CN106262656A (zh) * 2016-08-02 2017-01-04 大连工业大学 一种海带调味品及其生产方法
KR101883787B1 (ko) 2017-01-31 2018-08-01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초석잠분말 및 gaba강화 발아곡물분말을 주재로 한 선식 및 선식 주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ay et al.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A review
Lee et al. Flavonoid content in fresh, home-processed, and light-exposed onions and in dehydrated commercial onion products
Lin et al. Anti-aging effect of sea cucumber (Cucumaria frondosa) hydrolysate on fruit flies and d-galactose-induced aging mice
Baenas et al. Selecting sprouts of Brassicaceae for optimum phytochemical composition
Mariutti et al. The use of alternative food sources to improve health and guarantee access and food intake
Jain et al. Nutritional value of some traditional edible plants used by tribal communities during emergency with reference to Central India
Seshadri et al. Kanjero (Digera arvensis) and drumstick leaves (Moringa oleifera): nutrient profile and potential for human consumption
Surendiran et al. Nutritional constituents and health benefits of wild rice (Zizania spp.)
Arslan Diversity for vitamin and amino acid content in grass pea (Lathyrus sativus L.).
JP2007306898A (ja) 冬虫夏草を用いた機能性食品とその製造方法
Montoya-García et al. Bioactive compounds of purslane (Portulaca oleracea L.)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ystem: A review
KR20150066051A (ko)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기능성선식
Chudhary et al. Walnut
Fitriyah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hemical and amino acids composition of flours from velvet beans tempe (Mucuna pruriens), an indigeneous legumes from Yogyakarta
KR101836918B1 (ko) 밀웜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 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곤충 식품 조성물
Puvača Bioactive compounds in dietary spices and medicinal plants
Lee et al. The use of fermented buckwheat to produce L-carnitine enriched oyster mushroom
CN105010656A (zh) 一种辣木袋泡茶及其制备方法
KR101762569B1 (ko)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모링가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0924969B1 (ko) 산양삼 추출물 첨가 건멸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65191B1 (ko)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곤충 추출물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Devi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bioactive compound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heatgrass (Triticum aestivum L.) as influenced by harvesting stages and cultivation method
KR102198517B1 (ko)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KR20150066053A (ko) 칼로리제한모방효과를 갖는 식품첨가제
Bacha et al. Lion’s mane mushroom; new addition to food and natural bounty for human wellnes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