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011A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011A
KR20150065011A KR1020130150025A KR20130150025A KR20150065011A KR 20150065011 A KR20150065011 A KR 20150065011A KR 1020130150025 A KR1020130150025 A KR 1020130150025A KR 20130150025 A KR20130150025 A KR 20130150025A KR 20150065011 A KR20150065011 A KR 2015006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transition metal
hole
meta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2705B1 (en
Inventor
이학민
김희진
지혁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705B1/en
Publication of KR2015006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7Electron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an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red, green, and blue sub pixel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he red, green, and blue sub pixels are located between a bottom electrode and a light emitting layer and include mixing layers with a hole injection capacity and a hole transport capacity, respectively. The mixing layer is formed by mixing at least three heterogeneous materials.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ion) 주입전극(cathode)과 정공(hole) 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ed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evice in which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wo electro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a device in which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from an electron injection cathode and an anode, respectively, and excitons, in which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And emits light when it is dropped to the ground state.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발광(Top-Emission) 방식, 하부발광(Bottom-Emission) 방식 및 양면발광(Dual-Emission) 등이 있고,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나누어진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s a top emission mode, a bottom emission mode and a dual emission mode depending on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Passive matrix type and active matrix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ight sourc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스캔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hen a scan signal, a data signal, a power supply, and the like are supplied to a plurality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selected subpixel emits light, thereby displaying an imag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 패널을 제작하는 방식에는 증착 방식, 솔루블(Soluble) 방식 및 증착 방식과 솔루블 방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은 표시 패널의 서브 픽셀에 포함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형성시, 정공주입층부터 발광층까지 솔루블 또는 솔루션 방식을 이용하고 발광층부터 전자주입층까지 증착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pan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 deposition method, a solubilization method, and a hybrid method in which a deposition method and a solubilization method are combined. The hybrid scheme means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d in the subpixel of the display panel is formed from a hole injecting layer to a light emitting layer using a solution or a solution method and using a deposition metho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to the electron injecting layer.

하이브리드 구조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계면에는 버퍼층(Buffer layer)이 존재하는데, 이는 적색 및 녹색 발광층으로는 전자(electron)를 전달하고 청색 발광층으로는 정공(hole)을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높은 이동도(mobility)를 갖는 양극성의 물질 능력을 가져야 한다.A buffer layer is present at the inte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ormed with the hybrid structure. The buffer layer transports electrons to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and has a high migration And should have a bipolar material capability with mobility.

이렇듯, 버퍼층은 전자나 정공에 대한 이동도가 모두 좋아야 하지만, 만약 어느 한쪽의 이동도가 부족할 경우 차지 밸런스(charge balance)가 틀어지고 전자나 정공 쌍이 발광층이 아닌 버퍼층에 형성되어 색 순도와 효율을 저하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이브리드 구조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계면에 존재하는 버퍼층은 전자나 정공의 주입이 원할 하지 않을 경우 광 효율 저하 현상을 유발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In this case, the buffer layer should have good mobility for electrons and holes. However, if one of the mobility is insufficient, the charge balance is distorted and electrons or holes are formed in the buffer layer, not in the light emitting layer, . Therefore, the buffer layer existing at the inte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ormed with the hybrid structure causes a phenomenon of lowering the light efficiency when the injection of electrons or holes is not desired,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is required.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솔루블 공정의 용이성을 주며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의 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facilitates the solubilization process and can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nd simplify the proces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형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은 하부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며 정공주입 능력과 정공수송 능력을 갖는 혼합층을 각각 포함하되, 상기 혼합층은 적어도 3개의 이종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each include a mixed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having a hole injecting capability and a hole transporting capability, And the mixed layer is formed by mixing at least three heterogeneous materials.

상기 혼합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ixed layer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material, a hole transport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상기 정공주입물질, 상기 정공수송물질 및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의 혼합 비율은 상기 정공주입물질 > 상기 정공수송물질 >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mixing ratio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y have a relation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상기 혼합층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50 ~ 60 중량부를 차지하고,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10 ~ 40 중량부를 차지하며,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은 0.1 ~ 5 중량부를 차지할 수 있다.The hole injecting material may comprise 50 to 60 parts by weight,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may include 10 to 40 parts by weight,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y be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layer.

상기 정공주입물질, 상기 정공수송물질 및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은 60 : 35 : 5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may be mixed in a ratio of 60: 35: 5.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은 산화물일 수 있다.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may be an oxide.

상기 혼합층 및 상기 발광층은 용액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mixed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may be formed by a solution process.

본 발명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혼합한 혼합층을 이용하여 청색 발광층을 BCL(Blue Common Layer)구조로 형성하지 않고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동일한 층으로 위치시켜 솔루블 공정의 용이성을 줄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루블 공정을 통해 단일의 혼합층만으로도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의 광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is not formed in a BCL (Blue Common Layer) structure using a mixed layer formed by mixing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but is positioned in the same layer as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can provide ease of us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can simplify the process because the light efficiency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is improved by a single mixed layer through a solubilization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제1예시도.
도 5는 도 3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제2예시도.
도 6은 종래에 제안된 하이브리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픽셀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에 포함된 유기발광층의 일부 계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을 혼합한 실험예에 대한 특성 그래프.
도 9는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혼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특성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단면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subpixel shown in Figure 1;
Fig. 3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Fig. 3 in detail. Fig.
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FIG. 3 in detail;
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subpixel for explaining a hybrid method proposed in the related art.
FIG. 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d in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haracteristic graph for an experimental example in which a hole injecting material and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re mixed.
9 is a characteristic graph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are mixed.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제1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제2예시도이며, 도 6은 종래에 제안된 하이브리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서브 픽셀의 단면 구조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ubpixel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4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FIG. 3 in detail, FIG. 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FIG. 3 in detail, and FIG. 6 is a cross- Sectional structure of a subpixel to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타이밍 제어부(120), 스캔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및 표시 패널(150)이 포함된다.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120, a scan driver 130, a data driver 140, and a display panel 150. Referring to FIG.

타이밍 제어부(120)는 I2C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외부 메모리부로부터 표시 패널(150)의 해상도, 주파수 및 타이밍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치정보(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나 보상 데이터 등을 수집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40)에 공급한다.The timing controller 120 collects device information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compensation data, etc.) including the resolution, frequency, and tim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150 from an external memory unit through an I2C interface or the like. The timing controller 120 outputs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can driver 130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40. The timing controller 120 supplies the data driver 140 with the data signal DATA along with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0)에 실장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연결된 외부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The data driver 140 samples and latches the data signal DATA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and converts the sampled data signal into a gamma reference voltage. The data driver 14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circuit (IC),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150, or mounted on an external substrat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50. The data driver 140 supplies the data signal DATA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50 through the data lines DL.

스캔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0)에 실장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연결된 외부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스캔 구동부(130)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30)는 스캔 라인들(G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스캔신호를 공급한다.The scan driver 130 outputs a scan signal while shifting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The scan dri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circuit and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150 or on an external substrat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50. In addition, the scan driver 130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50 in the form of a gate-in-panel. The scan driver 130 supplies the scan signals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50 through the scan lines GL.

표시 패널(150)은 스캔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스캔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광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표시 패널(150)은 서브 픽셀들(SP)의 구조에 따라 상부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The display panel 150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an signal supplied from the scan driver 130 and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data driver 140.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sub-pixels SP for controlling light to display an image. The display panel 150 may be implemented by top emission, bottom emission, or dual emission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ubpixels SP.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SP)에는 스캔 라인(G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스캔 신호에 대응하여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2, one subpixel SP is supplied with a scan signal supplied through a switching transistor SW and a switching transistor SW connected to a scan line GL1 and a data line DL1, And a pixel circuit PC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ata signal DATA.

픽셀회로(PC)에는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다. 픽셀회로(PC)에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경우, 서브 픽셀(SP)은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픽셀회로(PC)에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뿐만 아니라 구동 트랜지스터 등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회로가 추가된 경우 3T1C, 4T1C, 5T2C 등으로 구성된다.The pixel circuit PC includes a driving transistor, a capaci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pixel circuit PC includes a driving transistor, a capaci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subpixel SP has a 2T (Transistor) 1C (Capacitor) structure. However, when a compensation circuit for compensating not only the driving transistor, the capaci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but also the driving transistor is added to the pixel circuit PC, it is composed of 3T1C, 4T1C, 5T2C and the like.

서브 픽셀들(SP)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그러나, 표시 패널(150)의 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순색의 휘도 저하 및 색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RGB 컬러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포함된 발광 물질을 백색,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된다.The subpixels SP include red subpixels, green subpixels, and blue subpixels. Howev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hite subpixel, a red subpixel, a green subpixel, and a blue subpixel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efficiency of the display panel 150 and to prevent the decline in luminance and color saturation of pure color. In this case, the white subpixel, the red subpixel, the green subpixel, and the blue subpixel may be implemented using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n RGB color filter, or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in which a light emitting material includ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in white, Or the lik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50)은 하부기판(151) 및 상부기판(152)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기판(151) 및 상부기판(152)은 실란트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합착된다. 그러나, 상부기판(152)이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이는 증착 형태로 하부기판(151) 상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panel 150 includes a lower substrate 151 and an upper substrate 152. The lower substrate 151 and the upper substrate 152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such as a sealant. However, when the upper substrate 152 is made of a film, it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51 in the form of a deposition.

하부기판(151)의 일면에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들은 산소나 수분 등의 외기에 취약하다. 따라서, 하부기판(151) 상에는 서브 픽셀들을 기밀할 수 있는 상부기판(152)이 형성된다.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51, subpixels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formed. Subpixels inclu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ke are vulnerable to outside air such as oxygen or moisture. Thus, an upper substrate 152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51 to seal the sub-pixels.

상부기판(152) 상에는 표시 패널(150)의 상부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155)이 형성된다. 보호필름(155)은 표시 패널(150)의 상부면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자극이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5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생략될 수도 있다.On the upper substrate 152, a protective film 155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50 is formed. The protective film 155 serves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150 from being damaged due to an external stimulus or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50, which may be omitt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기판(151)의 일면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미도시)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등이 형성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미도시)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등은 하부기판(151)의 일면에 형성된 각종 배선에 연결된다.4 and 5, a switching transistor (not shown), a driving transistor DR, a capacitor (not shown)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51. A switching transistor (not shown), a driving transistor DR, a capacitor (not shown)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re connected to various wiring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51.

구동 트랜지스터(DR)는 게이트전극(161), 반도체층(163), 소오스전극(164a) 및 드레인전극(164b)을 포함한다. 게이트전극(161)은 하부기판(151)의 일면에 형성된다. 게이트전극(161) 상에는 제1절연막(16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63)은 제1절연막(162) 상에 형성된다. 소오스전극(164a) 및 드레인전극(164b)은 반도체층(163)의 일측과 타측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소오스전극(164a) 및 드레인전극(164b) 상에는 제2절연막(165)이 형성된다.The driving transistor DR includes a gate electrode 161, a semiconductor layer 163, a source electrode 164a, and a drain electrode 164b. The gate electrode 16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51. A first insulating layer 162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61. The semiconductor layer 163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162. The source electrode 164a and the drain electrode 164b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miconductor layer 163, respectively. A second insulating film 165 is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164a and the drain electrode 164b.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하부전극(166), 유기 발광층(168) 및 상부전극(169)을 포함한다. 하부전극(166)은 제2절연막(165) 상에 형성된다. 하부전극(166)은 제2절연막(165)을 통해 노출된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드레인전극(164b)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하부전극(166)은 서브 픽셀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하부전극(166)은 애노드전극(또는 캐소드전극)으로 선택된다. 하부전극(166) 상에는 뱅크층(167)이 형성된다. 뱅크층(167)은 서브 픽셀의 개구영역을 정의하는 층이다. 유기 발광층(168)은 하부전극(166) 상에 형성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es a lower electrode 166,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 and an upper electrode 169. The lower electrode 166 is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film 165. The lower electrode 166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64b of the driving transistor DR exposed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film 165. [ The lower electrode 166 is formed separately for each subpixel. The lower electrode 166 is selected as the anode electrode (or cathode electrode). On the lower electrode 166, a bank layer 167 is formed. The bank layer 167 is a layer that defines the opening region of the subpixel.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166.

유기 발광층(168)은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수송층(ETL) 및 전자주입층(EIL)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168)의 발광층(EML)을 제외한 다른 기능층들(HIL, HTL, ETL, EIL)은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부전극(169)은 유기 발광층(168) 상에 형성된다. 상부전극(169)은 모든 서브 픽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대면전극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전극(169)은 캐소드전극(또는 애노드전극)으로 선택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However, at least one of the functional layers (HIL, HTL, ETL, EIL) other than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 may be omitted. The upper electrode 169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 The upper electrode 169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posing electrode commonly connected to all subpixels. The upper electrode 169 is selected as a cathode electrode (or an anode electrod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판(152)은 다층 필름 형태 또는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단일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152)이 다층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경우, 이는 유기막과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기판(152)이 단층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경우, 이는 유기막이나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substrate 152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film form or in a single film form, though it is not shown. When the upper substrate 152 is formed in the form of a multilayer film, it may be formed of an organic film and an inorganic film, and when the upper substrate 15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layer film, it may be formed of an organic film or an inorganic film.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판(152)은 N(N은 3 이상 정수)층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기판(152)은 유기층(152a), 무기층(152b), 유기층(152c) 및 무기층(152d)으로 구성된 유무기 복합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유무기 복합층의 내부에는 수분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흡습층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pper substrate 15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N (N is an integer of 3 or more) layer film. In this case, the upper substrate 152 may be formed of an organic-inorganic hybrid layer composed of the organic layer 152a, the inorganic layer 152b, the organic layer 152c, and the inorganic layer 152d. Although not shown, the interior of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absorption layer or the like for absorbing moisture or oxygen.

한편, 표시 패널의 서브 픽셀에 포함된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이하 종래의 하이브리드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cluded in the sub-pixels of the display panel are formed in a hybrid manner. Hereinafter,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hybrid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이브리드 방식은 정공주입층(168_HIL)부터 적색 및 녹색 발광층(168R, 168G)까지 솔루블 또는 솔루션 공정(Solution Process)을 이용하고 버퍼층(168)BUF) 및 청색 발광층(168B)부터 상부전극(169)까지 증착 공정(Evaporation Process)을 이용한다.As shown in FIG. 6, in the conventional hybrid method, a solution process is used from the hole injection layer 168_HIL to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168R and 168G, and the buffer layer 168 BUF) The evaporation process is us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168B to the upper electrode 169. [

종래의 하이브리드 구조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계면에는 버퍼층(Buffer layer)(168_BUF)이 존재하는데, 이는 적색 및 녹색 발광층(168R, 168G)으로는 전자(electron)를 전달하고 청색 발광층(168B)으로는 정공(hole)을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높은 이동도(mobility)를 갖는 양극성의 물질 능력을 가져야 한다.A buffer layer 168_BUF exists at the inte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ormed with the conventional hybrid structure. The buffer layer 168_BUF transfers electrons to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168R and 168G and emits electrons to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168B It must have a bipolar material capability with high mobility so that holes can be injected smoothly.

이렇듯, 버퍼층(168_BUF)은 전자나 정공에 대한 이동도가 모두 좋아야 하지만, 만약 어느 한쪽의 이동도가 부족할 경우 차지 밸런스(charge balance)가 틀어지고 전자나 정공 쌍이 발광층(168R, 168G, 168B)이 아닌 버퍼층(168_BUF)에 형성되어 색 순도와 광 효율을 저하하게 된다.The buffer layer 168_BUF should have good mobility with respect to electrons and holes. However, if either one of the mobility is insufficient, the charge balance is distorted and electrons or holes are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s 168R, 168G, and 168B The buffer layer 168_BUF is formed in the buffer layer 168_BUF to reduce color purity and light efficiency.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하이브리드 구조를 이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적색 및 녹색에 대한 스펙트럼에서 청색의 피크가 발생하는 색 간섭 현상이 관찰되었다. 적색 및 녹색에서 청색의 피크가 발생하는 색 간섭 현상은 버퍼층(168_BUF)이 적색 및 녹색 발광층(168R, 168G)으로 전자의 수송을 원활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As a result of an experiment using the conventional hybrid structure shown in FIG. 6, a color interference phenomenon in which a blue peak occurs in the spectrum for red and green was observed. The color interference phenomenon in which a blue peak occurs in red and green is due to the fact that the buffer layer 168_BUF can not smoothly transport electrons to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168R and 168G.

한편, 종래의 하이브리드 구조에서 개재된 버퍼층(168_BUF)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적색과 녹색에 청색이 색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청색 발광층(168B)의 경우 버퍼층(168_BUF)을 사용하지 않으면,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recombination) 영역이 솔루블층과 증착층 간의 계면에서 형성되어 소자의 효율과 수명은 감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ffer layer 168_BUF interposed in the conventional hybrid structure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that blue color interferes with red and green. However, if the buffer layer 168_BUF is not used for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168B, the recombination region of electrons and holes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olubilized layer and the deposited layer,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and lifetime of the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에 포함된 유기발광층의 일부 계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을 혼합한 실험예에 대한 특성 그래프이며, 도 9는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혼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특성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a partial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d in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haracteristic graph of an experimental example in which a hole injecting material and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re mixed,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 및 극복하기 위해 하부전극(166)과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168RGB) 사이에 적어도 3개의 이종 물질을 혼합한 혼합층(168_MIX)을 형성한다.7,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mix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aterials between the lower electrode 166 and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168RGB to overcome and overcom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reby forming a mixed layer 168_MIX.

혼합층(168_MIX)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로 이루어진다.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이 혼합된 혼합층(168_MIX)은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즉, 혼합층(168_MIX)은 정공주입 능력과 정공수송 능력을 갖는다.The mixed layer 168_MIX is made of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The mixed layer 168_MIX in which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are mixed can serve as the hole injecting layer and the hole transporting layer, so that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while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hat is, the mixed layer 168_MIX has a hole injecting ability and a hole transporting ability.

또한, 위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이 혼합된 혼합층(168_MIX)을 구성하면 종래에 제안된 버퍼층을 삭제(또는 생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하기의 실험 결과에 의해 설명된다.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nventional buffer layer can be eliminated (or omitted) by forming the mixed layer 168_MIX in which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are mixed to have the above characteristics. It is explain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Ref.)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을 혼합한 실험예들(HIL+HTL)에 대한 전압 전류(V-J plot), 휘도 및 밝기(Lum. vs cd/A) 및 스펙트럼(Spectrum) 그래프가 도시된다.As shown in FIG. 8, the voltage VJ plot, the luminance and the brightness (Lum. Cd (cd) for the HIL + HTL) obtained by mixing the comparative example (Ref.) With the hole injecting material and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 A) and a spectrum graph are shown.

비교예(Ref.)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 픽셀에 해당한다. 실험예들(HIL+HTL)은 정공주입물질에 대해 정공수송물질이 10% 혼합된 제1실험예(HIL+HTL(10%), 정공주입물질에 대해 정공수송물질이 20% 혼합된 제2실험예(HIL+HTL(20%), 정공주입물질에 대해 정공수송물질이 30% 혼합된 제3실험예(HIL+HTL(30%), 정공주입물질에 대해 정공수송물질이 40% 혼합된 제4실험예(HIL+HTL(40%)로 구분된다.The comparative example (Ref.) Corresponds to the subpixe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Experimental examples (HIL + HTL) were a first experiment (HIL + HTL (10%) in which a hole transport material was mixed with 10% of a hole injecting material, a second experiment Experimental Example 3 (HIL + HTL (20%), HIL + HTL (30%) in which 30% of the hole transport material was mixed with the hole transport material, 40% Example 4 (HIL + HTL (40%)).

실험예들(HIL+HTL)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정공주입물질에 대해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비를 10~40%까지 증가시키면서 이들의 특성을 비교예(Ref.)와 대비하여 관찰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examples (HIL + HTL), the mixing ratio of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to the hole injecting material was increased to 10 to 40%,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Ref.).

실험예들(HIL+HTL)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을 혼합하였을 경우, 비교예(Ref.) 대비 구동전압이 증가하는 반면 광 효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공주입물질의 비율을 증가시켜도 정공(hole)의 주입율이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 그 결과,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만으로는 소자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냈다.As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examples (HIL + HTL), when the hole injecting material and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re mixed, the driving voltage is increased and the light efficiency is lowered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Ref.). In addition, even if the ratio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is increased, the injection rate of holes is not increased much.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grea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merely by mixing the hole injecting material and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하지만,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을 혼합한 하나의 혼합층으로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공주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단일의 혼합층만으로도 소자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single mixed layer of a hole injecting material and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can serve as a hole injecting layer and a hole transporting layer, and if the hole injecting ability can be improved, I can deduce that I can satisfy i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혼합하여 단일의 혼합층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을 혼합한 실험예들(HIL+HTL)의 혼합층에서 발생하는 결점을 개선하였다.As shown in FIG. 9,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ixing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to form a single mixed layer, (HIL + HTL) mixed layer.

도 9의 전압 전류(V-J plot)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층(HIL+HTL+α)을 적용함에 따라 비교예(Ref.) 대비 구동전압이 다소 상승하였지만 실험예들(HIL+HTL) 대비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the VJ plot in FIG. 9, the application of the mixed layer (HIL + HTL + α)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driving voltage of the comparative example (Ref. (HIL + HTL).

도 9의 휘도 및 밝기(Lum. vs cd/A)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층(HIL+HTL+α)을 적용함에 따라 실험예들(HIL+HTL) 대비 휘도 및 밝기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어 비교예(Ref.)의 휘도 및 밝기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brightness and brightness (Lum. Vs cd / A) in FIG. 9, the mixed layer (HIL + HTL + The brightness and brightness were improved to a substantially high level, which was almost similar to the brightness and brightness of the comparative example (Ref.).

도 9의 스펙트럼(Spectrum)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층(HIL+HTL+α)을 적용함에 따라 비교예(Ref.)나 실험예들(HIL+HTL) 대비 스펙트럼 상에서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 거의 동등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HIL + HTL + alph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spectrum graph of FIG. 9, And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without any problems in the spectr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험예들을 기반으로 파우더(Powder) 형태의 산화물에 해당하는 전이금속화합물질을 부가하였다. 그 결과, 도 9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혼합층(HIL+HTL+α)은 실험예들(HIL+HTL) 대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corresponding to an oxide in the form of powder is added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s. As a result,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9, the mixed layer (HIL + HTL +?) Construc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HIL + HTL).

실시예에서 사용된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 간의 혼합비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ixing ratio between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used in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8 및 도 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혼합층(HIL+HTL+α)의 기본물질은 정공주입물질에 해당하고 정공수송물질과 전이금속화합물질은 첨가물질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 간의 혼합비를 관계식으로 설명하면 정공주입물질 > 정공수송물질 > 전이금속화합물질로 표현된다.8 and 9, the base material of the mixed layer (HIL + HTL + alpha) corresponds to the hole injecting material, and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correspond to the additive material. Therefore, when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is expressed as a relational expression, it is expressed as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정공주입물질은 혼합층(HIL+HTL+α)의 기본물질에 해당하므로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합한 비율보다 많은 중량을 차지해야만 정공의 주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정공주입물질의 비율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경우, 정공의 주입 능력을 떨어트릴 수 있고 다른 첨가물질의 비율을 저하하게 되어 정공의 수송능력 등을 떨어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정공주입물질은 혼합층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해 50 ~ 60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hole injecting material corresponds to the base material of the mixed layer (HIL + HTL + alpha), the hole injecting material can be injected only when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take more weight than the sum of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If the ratio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is too small or too large, the hole injecting 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the ratio of other additive materials may be lowered, which may deteriorate the hole transporting ability. Therefore, the hole injecting material preferably accounts for 5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ixed layer.

도 8 및 도 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정공수송물질은 그 비율을 정공주입물질 대비 증가시키면 정공의 주입이 잘 되지 않고 전압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하지만, 전이금속화합물질이 첨가됨에 따라 이러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고 점차 비교예와 유사한 구동전압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하지만, 정공수송물질의 비율이 증가하면 광 효율이 크게 저하되므로 전이금속화합물질의 혼합비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정공수송물질은 혼합층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해 10 ~ 40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seen from FIGS. 8 and 9, when the ratio of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injection is not performed well, and the voltage increases. However, as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is added, such a tendency is not seen, and the tendency is gradually decreased in the driving voltage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the hole transport material increases, the light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so the mixing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preferably accounts for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ixed layer.

도 8 및 도 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전이금속화합물질은 정공주입물질과 정공수송물질의 혼합에 따른 결점을 보완 및 개선하기 위해 정공의 주입 능력을 향상시켜 구동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전이금속화합물질은 정공의 주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혼합층을 개질하면 되므로 미량만 포함된다. 전이금속화합물질이 높은 비율로 혼합되면 혼합층이 정공주입과 정공수송층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 어느 한쪽의 기능으로만 개질될 수 있다. 따라서, 전이금속화합물질은 혼합층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해 0.1 ~ 5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seen from FIGS. 8 and 9,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improves the hole injecting ability to lower the driving voltage in order to compensate for and improve defects due to the mixture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and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may be modified to improve the injection ability of holes, and thus only a small amount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is included. When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is mixed at a high ratio, the mixed layer can be modified only by one of the functions without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role of the hole injection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Therefore,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preferably accounts for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ixed layer.

한편,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층(HIL+HTL+α)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60 : 35 : 5의 비율로 구성하였을 때의 실험 결과이다. 따라서, 혼합층(HIL+HTL+α)의 특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비율에 따라 혼합하면 도 9와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층(HIL+HTL+α)을 적용한 서브 픽셀의 특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mixed layer (HIL + HTL + alph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is an experimental result when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are formed at a ratio of 60: 35: 5. 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 layer (HIL + HTL + alpha)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 layer (HIL + HTL + alpha)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pixel to which the mixed layer (HIL + HTL + alph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8 및 도 9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된 정공수송물질은 하기의 표 1에 개시된 제A정공수송물질(HTL A), 제B정공수송물질(HTL B) 및 제C정공수송물질(HTL C) 중 하나로 선택된 것이다.Meanwhile,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s used in the examples and examples of FIGS. 8 and 9 are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HTL A),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HTL B) and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Substance (HTL C).

표 1에서 "HOMO/LUMO"는 호모와 루모 레벨, "T1"은 트리플렛 레벨, "Tg"는 유리전이온도, "μh"는 정공이동도, "Morphology"는 모폴로지를 의미한다.In Table 1, "HOMO / LUMO" means homo and ramo levels, "T1" means triplet level, "Tg" mean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μ h " means hole mobility and "Morphology" means morpholog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층(HIL+HTL+α)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subpixel including a mixed layer (HIL + HTL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단면도이다.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 subpix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에는 하부전극(166), 유기 발광층(168) 및 상부전극(169)이 포함된다. 하부전극(166)은 애노드전극으로 선택되고 상부전극(169)은 캐소드전극으로 선택된다.As shown in FIG. 10, a subpix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electrode 166, an organic emission layer 168, and an upper electrode 169. The lower electrode 166 is selected as the anode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169 is selected as the cathode electrode.

유기 발광층(168)에는 혼합층(168_MIX),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168RGB) 및 전자수송층(168_ETL)이 포함된다. 혼합층(168_MIX)은 앞서 설명된 실험예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혼합한 층으로 이루어진다.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168 includes a mixed layer 168_MIX, red, green and blue luminescent layers 168RGB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168_ETL. The mixed layer 168_MIX is a layer in which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ing material are mixed as revealed in the experiment described abov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층(168_MIX)은 하부전극(166) 상에 형성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168RGB)은 혼합층(168_MIX) 상에 형성된다. 전자수송층(168_ET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168RGB) 상에 형성된다. 전자주입층 및 상부전극(169)은 전자수송층(168_ETL) 상에 형성된다.11, a mixed layer 168_MIX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166, and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168RGB are formed on the mixed layer 168_MIX. 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68_ETL is formed on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168RGB.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169 are form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168_ETL.

혼합층(168_MIX)과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168RGB)은 솔루블 또는 솔루션 방식(Solution Process)으로 형성되고, 전자수송층(168_ETL)과 전자주입층 및 상부전극(169)은 증착 방식(Evaporation Process)으로 형성된다. 솔루블 또는 솔루션 방식(Solution Process)은 용액 공정으로서 잉크젯 인쇄, 노즐 인쇄, 전사 방식, 슬릿 코팅, 그라비아 인쇄 및 열제트 인쇄 등을 포함한다.The mixed layer 168_MIX and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168RGB are formed by a solution process or a solution process.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168_ETL,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169 are formed by an evaporation process, . Soluble or Solution Processes include solution processes such as inkjet printing, nozzle printing, transferring, slit coating, gravure printing and thermal jet printing.

이상 본 발명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을 혼합한 혼합층을 이용하여 청색 발광층을 BCL(Blue Common Layer)구조로 형성하지 않고 적색 및 녹색 발광층과 동일한 층으로 위치시켜 솔루블 공정의 용이성을 줄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루블 공정을 통해 단일의 혼합층만으로도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의 광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is not formed in a BCL (Blue Common Layer) structure using a mixed layer formed by mixing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and is positioned in the same layer as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lay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ease of operation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can simplify the process because the light efficiency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is improved by a single mixed layer through a solubilization proces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0: 타이밍 제어부 130: 스캔 구동부
140: 데이터 구동부 150: 표시 패널
166: 하부전극 168: 유기 발광층
168_MIX: 혼합층 168R, 168G, 168B: 발광층
168_ETL: 전자수송층 169: 상부전극
120: a timing controller 130: a scan driver
140: Data driver 150: Display panel
166: lower electrode 168: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_MIX: mixed layer 168R, 168G, 168B: light emitting layer
168_ETL: electron transport layer 169: upper electrode

Claims (7)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형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은
하부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며 정공주입 능력과 정공수송 능력을 갖는 혼합층을 각각 포함하되,
상기 혼합층은 적어도 3개의 이종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isplay panel; And
And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he red, green and blue sub-
And a mixed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having a hole injecting capability and a hole transporting capability,
Wherein the mixed layer is formed by mix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전이금속화합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xed layer
A hole injecting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a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물질, 상기 정공수송물질 및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의 혼합 비율은
상기 정공주입물질 > 상기 정공수송물질 >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xing ratio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is
Wherein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are in the relationship of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층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50 ~ 60 중량부를 차지하고,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10 ~ 40 중량부를 차지하며,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은 0.1 ~ 5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ith respect to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layer
The hole injecting material accounts for 50 to 60 parts by weight,
The hole transport material may be 10 to 40 parts by weight,
Wherein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comprises 0.1 to 5 parts by weight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물질, 상기 정공수송물질 및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은
60 : 35 : 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e injecting material, the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are
60: 35: 5. ≪ RTI ID = 0.0 >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화합물질은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material is an ox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층 및 상기 발광층은
용액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xed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Where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formed by a solution process.
KR1020130150025A 2013-12-04 2013-12-0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102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25A KR102102705B1 (en) 2013-12-04 2013-12-0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25A KR102102705B1 (en) 2013-12-04 2013-12-0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11A true KR20150065011A (en) 2015-06-12
KR102102705B1 KR102102705B1 (en) 2020-04-21

Family

ID=5350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025A KR102102705B1 (en) 2013-12-04 2013-12-0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70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415A (en) * 2007-12-21 2010-10-0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120052948A (en) * 2009-07-31 2012-05-2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Device material for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ink for form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device hav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2109138A (en) * 2010-11-18 2012-06-07 Seiko Eps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devic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100893A (en) * 2009-10-27 2012-09-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Device hav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ink for form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415A (en) * 2007-12-21 2010-10-0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120052948A (en) * 2009-07-31 2012-05-2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Device material for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ink for form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device hav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20100893A (en) * 2009-10-27 2012-09-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Device hav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ink for form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JP2012109138A (en) * 2010-11-18 2012-06-07 Seiko Eps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devic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705B1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65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341012B1 (en) Organic luminescence dispaly panel
KR102490164B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780814B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636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925766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P2075846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27912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090121230A1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1012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8704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0003605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09007863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90024398A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0270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10076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of the same
KR1011742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09078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09005831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09255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03480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50889B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08903B1 (en)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61576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12846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