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777A -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 Google Patents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777A
KR20150064777A KR1020130149167A KR20130149167A KR20150064777A KR 20150064777 A KR20150064777 A KR 20150064777A KR 1020130149167 A KR1020130149167 A KR 1020130149167A KR 20130149167 A KR20130149167 A KR 20130149167A KR 20150064777 A KR20150064777 A KR 2015006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tool
turret
bloc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0830B1 (en
Inventor
주태환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30B1/en
Publication of KR2015006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rest. The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rest comprises: a tool rest body; a turret installed in the tool rest body and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having a boring bar; a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tool rest body and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to the turret; a holder coupled to a side of the turret and supporting the boring bar processing an inner diameter or an outer diamet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bject to be processes; and a clamping device installed in the tool rest body, relieving generated vibration by clamping the holder when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boring bar, and preventing interference by unclamping the holder when the turre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Description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0001]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WITH TURTLE TOOL DEVICE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터릿은 공작기계의 가공 작업시 필요한 복수의 공구를 수납한다. 또한, 터릿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터릿은 공작기계의 가공 작업시 필요한 공구가 선택될 수 있도록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된다.Generally, a turret used in a machine tool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ools necessary for machining a machine tool. Further, the turret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Thus, the turret is rotated by the drive so that a tool necessary for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e tool can be selected.

이러한 공작기계의 가공 작업중 공작물의 내경을 공작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하는 보링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보링바가 필요하다.A boring bar is required to perform a boring operation for machin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workpie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of such a machine tool.

하지만, 보링바는 공작물의 가공 작업시 절삭방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된다. 또한, 보링바는 이러한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공구대 바디에 장착되며 터릿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터릿과 공구대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공구대 바디로부터 탈거된다.However, the boring bar is vibrated by the repulsive force in the cutting direction during the machining work of the workpiece. The boring bar is also mounted on the tool-to-body by an operator to buffer such vibrations and is removed from the tool-to-body by the operato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turret and the toolbars when rotation of the turret is required.

따라서, 공작기계는 보링바를 이용한 가공 작업시 작업자에 의해 보링바를 공구대 바디에 장착 및 탈거 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that the boring bar must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ool body by the operator during the machining work using the boring bar.

또한, 보링바의 반복적인 탈착은 보링바의 장착시 발생될 수 있는 센터링 변화로 인해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 작업시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petitive detachment of the boring bar has a problem in that precision is lowered when the boring bar is used for machining the workpiece due to the centering change that may occur when the boring bar is mount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릿에 수납된 보링바를 선택적으로 공구대 바디에 클램핑 시킬 수 있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base capable of selectively clamping a boring bar housed in a turret to a tool-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는 공구대 바디와, 상기 공구대 바디에 설치되며 보링바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구가 수납되는 터릿과, 상기 공구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터릿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터릿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작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경 또는 외경을 가공하는 상기 보링바를 지지하는 홀더, 그리고 상기 공구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보링바를 이용한 공작물의 가공시 상기 홀더를 클램핑 시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고 상기 터릿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홀더를 언클램핑 시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stand includes a tool-to-body, a turret installed in the tool-to-body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tools including a boring bar, A holder for supporting the boring bar coupled to one side of the turret and machining an inner diameter or an outer diamet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and a holder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using the boring bar And a clamping device capable of buffering vibrations generated by clamping the holder when machining the turret and unclamping the holder when the turre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to prevent interference.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클램핑 장치와 계합 가능한 걸림턱이 형성된 클램핑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클램핑 블록을 향해 전후진 하는 피스톤 블록과, 일단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피스톤 블록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 블록 과 함께 전후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블록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그리고 상기 그루브에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의 일단이 상기 클램핑 블록을 향해 전진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공구대 바디에 클램핑 하고 상기 피스톤의 일단이 상기 클램핑 블록을 향해 후진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공구대 바디와 언클램핑하는 로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clamping block formed with an engaging jaw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lamping device, wherein the clamping device includes: a piston block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clamping block; and a groove is formed at one e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piston block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iston, and an elastic body accommodated in the groove, wherein one end of the piston is advanced toward the clamping block And a 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latching jaw to clamp the holder to the tool body and to unclamp the holder from the tool body when the one end of the piston moves backward toward the clamping block .

또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피스톤을 감싸며 상기 공구대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단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홀과, 상기 피스톤을 전진 시키는 유체가 공급되는 전진유로, 그리고 상기 피스톤을 후진 시키는 유체가 공급되는 후진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amping device may include an inlet and a hole formed in the tool body and surrounding the piston, the inlet and the hole being formed in such a way that one end of the piston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 forward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for advancing the piston is supplied, And a housing including a backward flow passage to which fluid is supplied.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블록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출입되며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제1 피스톤, 그리고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블록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피스톤 홈과,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피스톤을 가압시키기 위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유로, 그리고 상기 후진유로와 대향하는 외주면에 형성된 유체 유입 그루브를 포함하는 제2 피스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ston is installed in the piston block, has a first piston having one end formed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holes and formed with the groove, a piston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engaged with an edge of the piston block, A second piston including a fluid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fluid to press the first piston and a fluid inflow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ed to the reverse passage.

또한, 상기한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는 상기 전진유로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2 피스톤을 상기 출입홀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킹부를 상기 걸림턱에 결합시키며, 상기 후진유로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2 피스톤을 상기 출입홀을 향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로킹부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machine tool having the turret tool bar, the fluid supplied to the advance passage moves the second piston in the direction of advancing the second piston to the engagement hole, thereby coupling the locking portion to the engagement protrusion, The fluid supplied to the second piston moves in the direction of moving backward the second piston toward the entrance hole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the lock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는 터릿에 수납된 보링바를 공구대 바디에 선택적으로 클램핑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bar can selectively clamp a boring bar housed in the turret to the tool bar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릿 공구대의 회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클램핑 장치에 의해 홀더와 공구바디가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lamping device of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turret tool band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lder and the tool body are clamped by the clamping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al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101)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achine tool 101 having a turret too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는 공구대 바디(100)와, 터릿(200)과, 구동모터(300)와, 홀더(210), 그리고 클램핑 장치(400)를 포함한다.1, a machine tool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l body 100, a turret 200, a drive motor 300, a holder 210, Device 400 shown in FIG.

공구대 바디(100)는 공작기계(101)의 도시되지 않은 바디에 설치된다. The tool-to-body 100 is installed in a body (not shown) of the machine tool 101.

터릿(200)은 보링바(10)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구를 수납한다. 구체적으로, 터릿(200)은 공작기계(101)의 가공 작업시 필요한 다양한 공구를 수납할 수 있다.The turret 20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ools including the boring bar 10. Specifically, the turret 200 can accommodate various tools necessary for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e tool 10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릿(200)은 절삭 공구(20)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터릿(200)은 외경선삭 및 내경선삭에 이용되는 공구뿐만 아니라 드릴 혹은 밀링 작업에 필요한 공구와 같이 다양한 복수의 공구를 수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urret 200 can accommodate the cutting tool 20. Fig. In addition, the turret 200 can accommodate a variety of tools such as a tool used for outer glide roughening and inner glide sharpening as well as a tool necessary for a drilling or milling operation.

구동모터(300)는 터릿(200)을 회전 또는 정지시기 위해 동력을 제공한다. 즉, 구동모터(300)는 터릿(200)을 회전시켜 절삭 공구(20) 또는 보링바(10)를 이용해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rive motor 300 provides power to rotate or stop the turret 200. That is, the drive motor 300 may selectively provide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turret 200 to process the workpiece using the cutting tool 20 or the boring bar 10.

일례로, 구동모터(300)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00)는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력수단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e motor 300 may be a servo motor. However, the driving mot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to a power unit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types of rotational pow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앞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210)는 터릿(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보링바(1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홀더(210)는 공작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경 또는 외경을 가공할 수 있는 보링바(10)를 지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holder 2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urret 200 to support the boring bar 10. Specifically, the holder 210 can support a boring bar 10 capable of machining an inner diameter or an outer diame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즉, 보링바(10)의 일단에는 가공팁(11)이 설치되어 공작물의 내경 또는 외경을 가공하며, 보링바(10)의 타단은 홀더(210)에 의해 지지되어 터릿(2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boring bar 10 is provided with a machining tip 11 to process the inner diameter or outer diameter of the work, and the other end of the boring bar 10 is supported by the holder 210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urret 200 .

보링바(10)는 공작물의 내경을 확장시키거나 공작물의 내경의 표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공작기계(101)는 보링바(10)를 이용하여 가스배관 또는 오일배관에 쓰이는 중대형의 중공형 파이프의 내경을 가공할 수 있다.The boring bar 10 can perform an operation of extend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workpiece or improving the surface precis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workpiece. For example, the machine tool 101 can use the boring bar 10 to process an inner diameter of a medium- or large-sized hollow pipe used for gas piping or oil piping.

일례로, 보링바(10)는 보링바(10)의 길이(L)/보링바(10)의 직경(D)이 10 이상인 롱 보링바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oring bar 10 may be a long boring bar having a length L of the boring bar 10 / a diameter D of the boring bar 10 of 10 or more.

클램핑 장치(400)는 공구대 바디(100)에 설치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400)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clamping) 시켜 보링바(10)를 이용한 공작물의 가공시 절삭방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킨다. The clamping device 400 is installed in the tool-body 100. The clamping device 400 clamps the holder 210 to the tool body 100 to buffer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repulsive force in the cutting direction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using the boring bar 10. [

또한, 클램핑 장치(400)는 다른 공구로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터릿(200)이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될 때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와 언클램핑(unclamping) 시켜 터릿(200)의 회전에 따른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amping device 400 may also be used to unclamp the holder 210 with the tool body 100 when the turret 20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300 to machine the workpiece with another too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holder 210 and the tool-body 100 due to the rotation of the tool holder 200.

즉, 클램핑 장치(400)는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선택적으로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할 수 있다.That is, the clamping device 400 can selectively clamp or unclamp the holder 210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to the tool-body 100.

따라서, 터릿(200)의 일측에 설치된 홀더(210)에 의해 지지되는 보링바(10)를 이용한 공작물의 가공 작업시 클램핑 장치(400)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켜 공작물의 가공 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며, 터릿(200)에 수납된 다른 공구를 이용한 공작물의 가공시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로부터 언클램핑 시켜 터릿(200)이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될 때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amping device 400 clamps the holder 210 to the tool bar body 100 so that the workpiece is clamped to the workpiece body 100 by the clamping device 400. [ The holder 210 is unclamped from the tool-body 100 during the machining of the workpiece using another tool stored in the turret 200 so that the turret 20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00 The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공작기계(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60)을 지지하는 척(50)과 척(50)에 형성되어 공작물(60)을 가압하는 조(jaw)(51)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1, the machine tool 101 includes a chuck 50 that supports the workpiece 60 and a jaw 51 that is formed on the chuck 50 and presses the workpiece 60 Can be provided in plural.

따라서, 조(51)에 의해 가압된 공작물(60)을 지지하는 척(50)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클램핑 장치(400)는 공작물(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하기 위해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효과적으로 클램핑 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huck 50 supporting the workpiece 60 pressed by the tub 51 is rotated by a driving device (not shown), the clamping device 4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60 The holder 210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can be effectively clamped to the tool-body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의 홀더(2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221)이 형성된 클램핑 블록(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holder 210 of the machine tool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amping block 22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221 formed therein.

클램핑 블록(220)은 홀더(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클램핑 장치(400)와 계합될 수 있는 걸림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amping block 22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lder 210 and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221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clamping device 400. [

구체적으로, 클램핑 블록(220)은 클램핑 장치(40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중공형으로 돌출되어 홀더(210)에 설치되며, 내부에 걸림턱(22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amping block 220 is installed in the holder 210 in a hollow shap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lamping device 400, and a latching protrusion 22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의 클램핑 장치(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블록(420)과, 피스톤(470)과, 탄성체(430), 그리고 로킹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clamping device 400 of the machine tool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ston block 420, a piston 470, an elastic body 430, And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480.

피스톤 블록(420)은 클램핑 장치(400) 내부에 위치하며 홀더(210)에 형성된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후진 한다. 또한, 피스톤 블록(420)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ston block 420 is located inside the clamping device 400 and moves back and forth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formed in the holder 210. Further, the piston block 42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피스톤(470)은 일단에 그루브(451)가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470)의 일부는 피스톤 블록(420) 내부에 위치하며 피스톤 블록(420)과 함께 전후진 한다. 즉, 피스톤(470)의 일부는 일단에 그루브(451)가 형성되며 피스톤 블록(420) 내부에 위치하여 피스톤 블록(420)과 함께 전후진 할 수 있다.The piston 470 is formed with a groove 451 at one end thereof. Also, a portion of the piston 470 is located inside the piston block 420 and moves back and forth with the piston block 420. That is, a portion of the piston 47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451 at one end thereof,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piston block 420 and may move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piston block 420.

탄성체(430)는 피스톤 블록(420)과 피스톤(470) 사이에 위치하며 피스톤(47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430)는 일단에 그루브(451)가 형성된 피스톤(470)의 외주면과 피스톤 블록(420)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며, 피스톤(470)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진할 때 압축되고 피스톤(470)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후진할 때 팽창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4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piston 47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iston 470. The elastic body 43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470 having the grooves 451 at one en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block 420 and when the piston 470 is advanced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And can be expanded when the piston 470 is retracted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즉, 탄성체(430)는 피스톤(470)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진할 때 피스톤 블록(420)과 피스톤(470) 사이에서 압축되며, 피스톤(470)이 클램핑 블록(220)으로부터 후진할 때 압축된 탄성체(430)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70)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elastic body 430 is compressed between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piston 470 as the piston 470 advances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and the piston 470 is retracted from the clamping block 220 The resilient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body 430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iston 470 moves back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

따라서, 피스톤(470)은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체(430)의 복원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iston 470 can be moved effectivel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430 when mov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43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body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ression spring.

로킹부(480)는 피스톤(470) 일단에 형성된 그루브(451)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로킹부(480)는 클램핑 블록(220)과 대향 되도록 형성된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과 피스톤(47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480 is accommodated in a groove 451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470. Specifically, the locking portion 480 may be positioned between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one end of the piston 470, which are configured to face the clamping block 220.

일예로 로킹부(480)는 볼(ball)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king portion 480 may be a ball.

또한, 피스톤(470)의 일단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진하는 경우 로킹부(480)는 홀더(210)에 설치된 클램핑 블록(220)의 걸림턱(221)과 결합되어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키며, 피스톤(470)의 일단이 클램핑 블록(220)으로부터 후진하는 경우 로킹부(480)는 홀더(210)에 설치된 클램핑 블록(220)의 걸림턱(221)과 결합이 해제되어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로부터 언클램핑 시킬 수 있다.When one end of the piston 470 advances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the locking portion 48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jaw 221 of the clamping block 220 installed on the holder 210 to move the boring bar 10 The clamping block 220 is attached to the holder 210 when the piston 470 is retracted from the clamping block 220. When the clamping block 220 is mounted on the holder 210, The holder 210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can be unclamped from the tool bar body 100. [0051]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에는 걸림홀(422)이 형성될 수 있다. 로킹부(480)는 걸림홀(422)을 통해 로킹부(480)의 일부가 인출입 될 수 있다.Specifically, a locking hole 42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The locking part 480 can be partially drawn out of the locking part 480 through the locking hole 422. [

즉, 홀더(210)가 공구대 바디(100)와 클램핑 된 경우 로킹부(480)는 그루브(451)와 걸림홀(422) 사이에 위치하며 걸림턱(221)에 계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older 210 is clamped with the tool-body 100, the locking portion 480 is positioned between the groove 451 and the engaging hole 422 and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jaw 221.

또한, 홀더(210)가 공구대 바디(100)와 언클램핑 된 경우 로킹부(480)는 피스톤(470)의 일단에 형성된 그루브(451)에 수용되고, 홀더(210)가 공구대 바디(100)에 바디에 클램핑 된 경우 로킹부(480)는 걸림홀(422)을 통해 일부가 인출되어 피스톤(470)의 일단과 클램핑 블록(220)의 걸림턱(221) 사이에 위치하여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lder 210 is unclamped with the tool-body 100, the locking portion 480 is received in the groove 451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the holder 210 is received in the tool- A part of the locking part 480 is drawn out through the locking hole 422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the locking step 221 of the clamping block 220 so that the holder 210, And the tool-to-body (100).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가 언클램핑 되어 피스톤(470)의 일단과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이 클램핑 블록(220)으로부터 후진될 때, 그루브(451)는 로킹부(480)를 수용할 수 있어 로킹부(480)와 걸림턱(221)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다. When the holder 210 and the tool body 100 are unclamped so that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are retracted from the clamping block 220, The impact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locking portion 480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221 can be mitig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의 클램핑 장치(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홀(411)과 전진유로(413) 그리고 후진유로(414)가 형성된 하우징(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clamping device 400 of the machine tool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amping device 400 having an inlet hole 411, an advancing passage 413, and a reverse passage 414 formed therein And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410.

하우징(410)은 중공의 실린더형으로 형성되며 공구대 바디(100)에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410)은 피스톤(470)을 감싸며 내부에서 피스톤(47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housing 4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tool-body 100. In addition, the housing 410 surrounds the piston 470 and can support the piston 470 so that the piston 470 can be moved therein.

즉, 하우징(410) 내부에는 유체가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된 유체에 의해 하우징(410) 내부의 압력 변화로 피스톤(470)이 전후진 될 수 있다. 즉, 하우징410)은 피스톤(470)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후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10, and the piston 47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pressure change inside the housing 410 by the supplied fluid. That is, the housing 41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piston 470 is moved back and forth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하우징(410)에는 피스톤(470) 일단 및 피스톤 블록(420) 일단이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후진 이동하여 하우징(410) 외측으로 출입 하도록 출입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410 may be formed with an access hole 411 such that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and out and out of the housing 410.

구체적으로, 클램핑 블록(220)과 대향하는 하우징(410)의 일측에 출입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entrance hole 4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410 opposite to the clamping block 220.

즉, 출입홀(411)은 피스톤(470)의 일단 및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 그리고 피스톤(470)의 일단과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로킹부(48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다.That is, the access hole 411 guides the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the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the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can do.

구체적으로, 하우징(410)은 출입홀(411)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출입홀(41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경사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using 410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415 formed adjacent to the access hole 411 and narrowed in a direction toward the access hole 411.

또한, 피스톤 블록(420)은 하우징(410)의 경사부(415)와 계합될 수 있는 피스톤 블록 경사부(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ston block 420 may further include a piston block slope portion 421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slope portion 415 of the housing 410. [

하우징(4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470)이 전진될 때, 하우징(410)의 경사부(415)에 피스톤 블록 경사부(421)가 접촉되면 피스톤(470)의 일단 및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은 클램핑 블록(220)으로 전진되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piston block inclined portion 421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415 of the housing 410 when the piston 470 is moved forward by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410 and one end of the piston 470 and the piston block 420 May be limited in the movement to advance to the clamping block 220.

또한, 하우징(410)에는 피스톤(470)을 전진 시킬 수 있는 유체가 공급되는 전진유로(4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진유로(413)는 하우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를 공급시키며, 공급된 유체가 피스톤(470)을 가압하여 피스톤(470)의 일단이 출입홀(411)을 통해 하우징(41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housing 410 is formed with a forward flow passage 413 through which a fluid capable of advancing the piston 470 is supplied. Specifically, the advance passage 413 supplies the flu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410, and the supplied fluid presses the piston 470, so that one end of the piston 47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not shown) 410).

또한, 하우징(410)에는 피스톤(470)을 후진 시킬 수 있는 유체가 공급되는 후진유로(41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진유로(414)는 전진유로(413)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우징(410)의 중심방향으로 유체를 공급시킨다. In addition, a backward flow path 414 is formed in the housing 410 to supply a fluid capable of moving the piston 470 backward. Specifically, the backward flow path 414 is spaced apart from the forward flow path 413, and supplies the fluid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410.

따라서, 후진유로(414)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피스톤(470)을 가압하여 피스톤(470)의 일단이 출입홀(411)을 통해 하우징(4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후진 시킨다.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reverse flow path 414 presses the piston 470 and moves the piston 470 backward so that one end of the piston 470 can be drawn into the housing 410 through the access hole 411.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의 피스톤(470)은 일단에 그루브(451)가 형성된 제1 피스톤(450), 및 피스톤 홈(463)과 유체 공급유로(461) 그리고 유체 유입 그루브(462)가 형성된 제2 피스톤(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ston 470 of the machine tool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ston 450 having a groove 451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piston 450 having a piston groove 463 and a fluid supply passage 461, And a second piston 460 having a fluid inflow groove 462 formed therein.

즉, 피스톤(470)은 제1 피스톤(450)과 제2 피스톤(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iston 47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iston 450 and a second piston 460.

제1 피스톤(450)은 피스톤 블록(420)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그루브(451)가 형성되어 하우징(410)에 형성된 출입홀(411)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 The first piston 450 is installed inside the piston block 420 and has one end formed with a groove 451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access hole 411 formed in the housing 410.

즉, 제1 피스톤(450)의 일단은 출입홀(411)을 통해 출입할 수 있고, 제1 피스톤(450)의 타단은 피스톤 블록(4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through the inlet / outlet hole 41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450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piston block 420.

또한, 탄성체(430)는 피스톤 블록(420)과 제1 피스톤(4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4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first piston 450.

제2 피스톤(460)의 일단은 제1 피스톤(450)의 타단과 대향하며, 제2 피스톤(460)의 일단 테두리 부분에 피스톤 블록(420)의 가장자리와 맞물릴 수 있는 피스톤 홈(46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피스톤(460)의 일단 중심부는 제1 피스톤(450)의 타단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fac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nd a piston groove 463 engageable with the edge of the piston block 420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second piston 460 .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one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450.

또한, 제2 피스톤(460)의 일단은 피스톤 블록(420)과 맞물리며 하우징(4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may engage with the piston block 420 and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410.

구체적으로, 하우징(410)의 타측에는 슬라이딩 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sliding hole 41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410.

따라서, 제2 피스톤(460)의 타단은 하우징(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4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유로(413)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liding hole 41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410 and can be slid by the fluid flowing into the advance passage 413. [

또한, 제2 피스톤(460)는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피스톤(450)을 가압시킬 수 있는 유체 공급유로(461)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iston 460 may be provided with a fluid supply passage 461 capable of pressing the first piston 4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ortion.

즉, 유체 공급유로(461)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제1 피스톤(450)은 제1 피스톤(450)의 일단이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스톤 블록(420)과 제1 피스톤(450) 사이에 있는 탄성체(430)를 가압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the first piston 45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dvances toward the inlet / outlet hole 411, The elastic body 430 between the first pistons 450 can be pressed.

또한, 후진유로(414)와 대향하는 제2 피스톤(460)의 외주면에는 유체 유입 그루브(46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유입 그루브(462)는 제2 피스톤(46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후진유로(414)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수용하여 제2 피스톤(460)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a fluid inflow groove 46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ston 460 opposed to the backward flow path 414. Specifically, the fluid inflow groove 462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ston 460, and guides the second piston 460 to move in the backward direction by receiv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backward flow path 414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진유로(413)에 공급된 유체는 제2 피스톤(460)을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후진유로(414)에 공급된 유체는 제2 피스톤(460)을 출입홀(411)을 향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fluid supplied to the advancing passage 4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second piston 460 in the direction of advancing toward the entrance and exit hole 411 and the fluid supplied to the reverse passage 414 It is possible to move the second piston 460 in the backward direction toward the entry / exit hole 411.

구체적으로, 전진유로(413)에 공급된 유체는 제2 피스톤(460)을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킹부(480)를 걸림턱(221)에 결합시켜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키며, 후진유로(414)에 공급된 유체는 제2 피스톤(460)을 출입홀(411)을 향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킹부(480)와 걸림턱(221)의 결합을 해제시켜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로부터 언클램핑 시킬 수 있다.The fluid supplied to the advance passage 413 moves the second piston 460 in the advancing direction toward the access hole 411 to couple the locking portion 480 to the engaging jaw 221, And the fluid supplied to the backward flow path 414 moves the second piston 460 in the direction of moving backward toward the entrance hole 411, The holder 210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can be unclamped from the tool bar body 100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part 480 and the engaging jaw 221.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는 클램핑 센서(491)와, 언클램핑 센서(492),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tool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amping sensor 491, an unclamping sensor 492,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클램핑 센서(491)와 언클램핑 센서(492)는 하우징(410)에 설치되며, 클램핑 장치(400)의 클램핑 상태 및 언클램핑 상태를 검출한다.The clamping sensor 491 and the unclamping sensor 492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410 and detect the clamping state and the unclamping state of the clamping device 400.

즉, 클램핑 센서(491)와 언클램핑 센서(492)는 제2 피스톤(460)의 타단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2 피스톤(460)의 위치에 따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lamping sensor 491 and the unclamping sensor 492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and effectively detect the clamping or unclamp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iston 460.

제어부는 클램핑 센서(491)와 언클램핑 센서(492)에서 검출된 값을 수신하여 구동모터(300)(앞서 도 1에 도시함)와, 전진유로(413)와, 후진유로(414), 그리고 유체 공급유로(461)로 공급되는 유체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alues detected by the clamping sensor 491 and the unclamping sensor 492 and controls the drive motor 300 (shown in FIG. 1), the advance passage 413, the reverse passage 414,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ath 461.

따라서, 클램핑 센서(491)와 언클램핑 센서(492)는 클램핑 장치(400)가 언클램핑을 완료하기 전에 구동모터(300)에 의해 터릿(2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amping sensor 491 and the unclamping sensor 492 can prevent the turret 200 from being rotated by the drive motor 300 before the clamping device 400 completes the unclamping.

또한, 클램핑 센서(491)와 언클램핑 센서(492)는 클램핑 장치(400)가 클램핑을 완료하기 전에 공작기계(101)가 보링바(10)를 이용한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mping sensor 491 and the unclamping sensor 492 can prevent the work machine 101 from performing work using the boring bar 10 before the clamping device 400 finishes clamping.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10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achine tool 101 having the turret tool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60)은 척(50)의 조(51)에 의해 지지되며, 터릿(200)에 수납된 절삭 공구(20)에 의해 공작물(60)이 가공된다. 즉, 절삭 공구(20)는 공작물(60)의 외주면을 가공할 수 있다. 3, the workpiece 60 is supported by the jaws 51 of the chucks 50, and the workpiece 60 is machined by the cutting tool 20 housed in the turrets 2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cutting tool 20 can proc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kpiece 60.

구체적으로, 척(50)은 조(51)로 공작물(60)을 가압하여 지지하며,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공작물(6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절삭 공구(20)는 회전하는 공작물(60)의 외주면을 가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uck 50 presses and supports the workpiece 60 with the tub 51, and rotatably supports the workpiece 60 by a driving device (not shown). Thus, the cutting tool 20 can proc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workpiece 60.

터릿(200)은 공작물(60)의 내주면을 공작물(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할 수 있는 보링바(10)를 터릿(200)의 일측에 설치된 홀더(210)로 지지하고 있다.The turret 200 supports a boring bar 10 capable of machin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kpiece 6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60 by a holder 2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rret 200.

보링바(10)를 이용한 공작물(60)을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300)는 터릿(200)을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의 조작 또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가공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는 구동모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workpiece 60 is to be machined using the boring bar 10, the driving motor 300 rotates the turret 200. That is,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e motor 300 by a user operation or a machining program programmed by the use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는 홀더(210)에 설치된 클램핑 블록(220)과 클램핑 장치(400)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2, the holder 210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amping block 220 provided on the holder 210 and the clamping device 400 are opposed to each other.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키기 위해, 클램핑 장치(400)의 제2 피스톤(460)에 형성된 유체 공급유로(461)로 유체가 공급된다. Fluid is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formed in the second piston 460 of the clamping device 400 to clamp the holder 210 to the tool-body 100. [

구체적으로, 제어부에 의해 유체 공급유로(461)로 유입된 유체는 제1 피스톤(450)의 타단을 가압하며 피스톤 블록(420)과 제1 피스톤(450)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430)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by the controller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nd compresses the elastic body 430 located between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first piston 450 Lt; / RTI >

또한, 제2 피스톤(460)의 일단의 중심부와 제1 피스톤(450)의 타단 사이는 유체 공급유로(461)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The center of one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ston 450 may be separated by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즉, 유체 공급유로(461)로 공급된 유체에 의해 제1 피스톤(450)은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정지한 피스톤 블록(420)과 전진하는 제1 피스톤(450)에 의해 피스톤 블록(420)과 제1 피스톤(450)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430)는 압축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iston 45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dvancing toward the inlet / outlet hole 411 by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and the stopped piston block 420 and the advancing first piston 450 The elastic body 430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first piston 450 can be compressed.

이때, 전진유로(413)를 통해 유체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전진유로(413)를 통해 공급된 유체는 제2 피스톤(460)을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제2 피스톤(460)과 피스톤 홈(463)에 의해 맞물리는 피스톤 블록(420)도 제2 피스톤(460)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uid is supplied through the advance passage 413. Specifically,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advance oil passage 413 presses the second piston 460 in the direction of advancing toward the inlet / outlet hole 411, and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piston 460 by the piston groove 463 The piston block 420 to be stuck can also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iston 460 advances.

따라서, 제어부에 의해 전진유로(413)를 통해 유체가 공급면, 제2 피스톤(460)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피스톤 블록(420) 및 제1 피스톤(450)이 함께 전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first piston 450 can advance toge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s fed through the advance passage 413 and the second piston 460 advances by the control unit.

즉, 전진유로(413)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2 피스톤(460)은 제1 피스톤(450)과 피스톤 블록(420)이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piston 460 can press the first piston 450 and the piston block 420 to advance toward the inlet / outlet hole 411 by the fluid supplied to the advance passage 413.

구체적으로, 하우징(410)에 형성된 경사부(415)에 피스톤 블록(420)에 형성된 피스톤 블록 경사부(421)가 계합되면 피스톤 블록(420)의 전진은 제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iston block inclined portion 421 formed on the piston block 420 is engaged with the inclined portion 415 formed on the housing 410, advancement of the piston block 420 may be restricted.

또한, 로킹부(480)는 제1 피스톤(450)의 일단에 형성된 그루브(451)에 수납되어 제1 피스톤(450) 및 피스톤 블록(420)의 전진에 따라 하우징(410)의 출입홀(411)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480 is accommodated in a groove 451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nd is engaged with the entrance hole 411 of the housing 410 according to advancement of the first piston 450 and the piston block 420. [ ). ≪ / RTI >

인출된 로킹부(480)는 클램핑 블록(22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1)과 계합되어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가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한다.The drawn locking part 48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step 221 formed inside the clamping block 220 so that the holder 210 and the tool body 100 can be clamped.

즉, 로킹부(480)가 걸림턱(221)과 계합되면, 제1 피스톤(450)의 일단과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은 클램핑 블록(2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nd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lamping block 220 when the locking part 48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step 22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홀(411)을 통해 제1 피스톤(450)의 일단 및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이 클램핑 블록(220) 내측으로 인입되면, 제어부는 유체 공급유로(461)에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하여 로킹부(480)가 클램핑 블록(220)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1)(앞서 도 2에 도시한)과 계합되도록 하여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킬 수 있다.4, when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nd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are inserted into the clamping block 220 through the access hole 41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uid supply flow path 461, And the locking portion 48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21 (shown in FIG. 2) formed inside the clamping block 220 so that the holder 210 is engaged with the tool body 100 It can be clamped.

구체적으로,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는 로킹부(480)에 의해 클램핑 되며, 제1 피스톤(450)과 피스톤 블록(42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430)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이 유지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older 210 and the tool-body 100 are clamped by the locking portion 48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430 located between the first piston 450 and the piston block 420 causes the clamping Can be maintained.

즉, 제1 피스톤(450)의 일단과 피스톤 블록(42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로킹부(480)는 제1 피스톤(450)과 피스톤 블록(42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43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를 클램핑 시킬 수 있다.That is, the locking part 480 position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and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is a part of the elastic body 4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iston 450 and the piston block 420, The holder 210 and the tool-body 100 can be clamped by an elastic force act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210 and the tool-

또한, 전진유로(413)로 공급되는 유체는 피스톤 블록(420)과 제2 피스톤(460)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어 홀더(210)와 공구대 바디(100)의 클램핑을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fluid supplied to the advance passage 413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ston block 420 and the second piston 460 are advanced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clamping of the holder 210 and the tool body 100 .

제어부는 클램핑 센서(491)로부터 검출된 제2 피스톤(460)의 타단위 위치 정보로부터 클램핑 장치(400)의 클램핑 완료동작을 판단하여 공작기계(101)가 보링바(10)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lamping completion operation of the clamping device 400 based on the other uni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piston 460 detected from the clamping sensor 491 so that the machine tool 101 performs the operation using the boring bar 10 .

즉, 홀더(210)가 클램핑 장치(400)에 의해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되는 경우, 클램핑 장치(400)는 탄성체(430)와 전진유로(413)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보링바(10)를 이용한 공작물 길이방향을 따른 내경 가공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210)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holder 210 is clamped to the tool-body 100 by the clamping device 400, the clamping device 400 is moved by the fluid supplied to the elastic body 430 and the forward flow path 413,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tter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an inner diameter machining opera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using the elastic member 210 and to efficiently cushion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older 210.

또한, 보링바(10)를 이용한 가공 작업후, 제어부는 터릿(200)에 수납된 다른 절삭 공구(20)(앞서 도 3에 도시함)를 이용한 가공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클램핑 장치(400)에 의해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된 홀더(210)를 언클램핑 시킬 수 있다.After the machining operation using the boring bar 10,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by the clamping device 400 to perform a machining operation using another cutting tool 20 (shown in Fig. 3) housed in the turret 200 Thereby clamping the clamped holder 210 to the tool-to-body 10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된 홀더(210)를 클램핑 장치(400)로 언클램핑 시키기 위해, 유체 공급유로(461)를 통해 유체를 공급시킨다. 4, the control unit supplies fluid through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to unclamp the holder 210 clamped to the tool-body 100 by the clamping unit 400. As shown in Fig.

유체 공급유로(461)를 통해 공급된 유체는 제1 피스톤(450)의 일단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 로킹부(480)는 걸림턱(221)과 이격되어 홀더(210)와 인접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passage 461 presses one end of the first piston 450 so that the locking portion 480 is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jaw 221 and advanced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holder 210 do.

이때 제어부는 전진유로(413)를 통해 공급하던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따라서, 로킹부(480)와 걸림턱(221)의 결합은 탄성체(43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체(430)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blocks the inflow of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orward passage 413. Therefore,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portion 480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221 can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body 430 expand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430.

즉, 로킹부(480)는 탄성체(430)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턱(221)과 결합이 해제되며, 제1 피스톤(450)과 피스톤 블록(420)은 탄성체(430)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 블록(220)으로부터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locking part 480 is disengaged from the engagement step 22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430, and the first piston 450 and the piston block 4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430, And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220.

이때 제어부는 후진유로(414)를 통해 유체를 공급시킨다. 후진유로(414)를 통해 공급된 유체는 제2 피스톤(4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체 유입 그루브(462)를 통해 수용되며, 제2 피스톤(460)이 클램핑 블록(220)으로부터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supplies the fluid through the reverse flow path 414.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backward flow path 414 is received through the fluid inflow groove 462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iston 460 and the second piston 460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clamping block 220 .

이때, 제어부는 언클램핑 센서(492)에서 검출한 제2 피스톤(460)의 타단의 위치로부터 클램핑 장치(400)의 언클램핑이 완료 되었음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can effectively determine that the unclamping of the clamping device 400 is completed from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ston 460 detected by the unclamping sensor 49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101)는 터릿에 수납된 보링바(10)를 선택적으로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킬 수 있다.With such a construction, the machine tool 101 having the turret tool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clamp the boring bar 10 housed in the turret to the tool bar body 100.

즉, 공작기계(101)가 보링바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클램핑 장치(400)는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를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시켜 보링바(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machine tool 101 performs the work using the boring bar, the clamping device 400 clamps the holder 210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to the tool bar body 100 to generate in the boring bar 10 Vibration can be effectively buffer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보링바 11: 가공팁
20: 절삭 공구 50: 척
51: 조 60: 공작물
100: 공구대 바디 200: 터릿
210: 홀더 220: 클램핑 블록
221: 걸림턱 300: 구동모터
400: 클램핑 장치 410: 하우징
411: 출입홀 412: 슬라이딩 홀
413: 전진유로 414: 후진유로
415: 경사부 420: 피스톤 블록
421: 피스톤 블록 경사부 430: 탄성체
450: 제1 피스톤 451: 그루브
460: 제2 피스톤 461: 유체 공급유로
462: 유체 유입 그루브 463: 피스톤 홈
470: 피스톤 480: 로킹부
491: 클램핑 센서 492: 언클램핑 센서
101: 공작기계
10: Boring bars 11: Machining tips
20: cutting tool 50: chuck
51: Article 60: Workpiece
100: tool-to-body 200: turret
210: holder 220: clamping block
221: engaging jaw 300: drive motor
400: clamping device 410: housing
411: access hole 412: sliding hole
413: forward flow path 414: reverse flow path
415: slope part 420: piston block
421: piston block inclined portion 430: elastic body
450: first piston 451: groove
460: second piston 461: fluid supply passage
462: Fluid inflow groove 463: Piston groove
470: piston 480: locking part
491: Clamping sensor 492: Unclamping sensor
101: Machine tools

Claims (5)

공구대 바디(100);
상기 공구대 바디(100)에 설치되며 보링바(10)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구가 수납되는 터릿(200);
상기 공구대 바디(100)에 설치되며 상기 터릿(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0);
상기 터릿(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작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경 또는 외경을 가공하는 상기 보링바(10)를 지지하는 홀더(210); 및
상기 공구대 바디(100)에 설치되며, 상기 보링바(10)를 이용한 공작물의 가공시 상기 홀더(210)를 클램핑 시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고 상기 터릿(200)이 상기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홀더(210)를 언클램핑 시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400)
를 포함하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
A tool-to-body 100;
A turret (200) installed in the tool-body (100)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ools including a boring bar (10);
A driving motor 300 installed in the tool-body 100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turret 200;
A holder 2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turret 200 for supporting the boring bar 10 for machining an inner diameter or an outer diamet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And
The turret 200 is mounted on the tool-body 100 and buffers vibrations generated by clamping the holder 210 when the workpiece is machined using the boring bar 10. The turret 20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300 A clamping device 400 capable of preventing interference by unclamping the holder 210 when rotated,
And a turret tool base.
제1항에서,
상기 홀더(210)는 상기 클램핑 장치(400)와 계합 가능한 걸림턱(221)이 형성된 클램핑 블록(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장치(400)는,
상기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후진 하는 피스톤 블록(420);
일단에 그루브(451)가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피스톤 블록(420)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 블록(420)과 함께 전후진 하는 피스톤(470);
상기 피스톤(470)과 상기 피스톤 블록(4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4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30); 및
상기 그루브(451)에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470)의 일단이 상기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전진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221)과 결합되어 상기 홀더(210)를 상기 공구대 바디(100)에 클램핑 하고 상기 피스톤(470)의 일단이 상기 클램핑 블록(220)을 향해 후진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221)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홀더(210)를 상기 공구대 바디(100)와 언클램핑하는 로킹부(480)
를 포함하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210 further includes a clamping block 22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221 engageable with the clamping device 400,
The clamping device (400)
A piston block 420 moving back and forth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A piston 470 having a groove 451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part of which is reciprocated together with the piston block 420 inside the piston block 420;
An elastic body 430 positioned between the piston 470 and the piston block 420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piston 470; And
And is coupled to the engaging jaws 221 when the one end of the piston 470 is advanced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so that the holder 210 is engaged with the tool body 100, And the clamping block 221 is detached from the clamping block 221 to unclamp the holder 210 with the tool body 100 when one end of the piston 470 is moved back toward the clamping block 220. [ (480)
And a turret tool base.
제2항에서,
상기 클램핑 장치(400)는,
상기 피스톤(470)을 감싸며 상기 공구대 바디(100)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470)의 일단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홀(411)과, 상기 피스톤(470)을 전진 시키는 유체가 공급되는 전진유로(413), 그리고 상기 피스톤(470)을 후진 시키는 유체가 공급되는 후진유로(414)를 포함하는 하우징(410)
을 더 포함하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lamping device (400)
An inlet hole 411 formed in the tool body 100 to surround the piston 470 and configured to allow one end of the piston 470 to be inserted and removed and a fluid for advancing the piston 470 are supplied A housing 410 including a forward flow passage 413 and a backward flow passage 414 to which a fluid for moving the piston 470 is supplied,
Further comprising a turret tool base.
제3항에서,
상기 피스톤(470)은,
상기 피스톤 블록(420)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출입홀(411)을 통해 출입되며 상기 그루브(451)가 형성된 제1 피스톤(450); 및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블록(420)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피스톤 홈(463)과,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피스톤(450)을 가압시키기 위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유로(461), 그리고 상기 후진유로(414)와 대향하는 외주면에 형성된 유체 유입 그루브(462)를 포함하는 제2 피스톤(460)
을 더 포함하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iston (470)
A first piston (450) installed inside the piston block (420) and having a groove (451) formed at one end thereof through the inlet / outlet hole (411); And
A piston groove 463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block 420 to engage with an edge of the piston block 420, a fluid supply passage 461 formed at a center portion for supplying a fluid to press the first piston 450, A second piston 460 including a fluid inflow groove 462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ed to the backward flow path 414,
Further comprising a turret tool base.
제4항에서,
상기 전진유로(413)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2 피스톤(460)을 상기 출입홀(411)을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킹부(480)를 상기 걸림턱(221)에 결합시키며, 상기 후진유로(414)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2 피스톤(460)을 상기 출입홀(411)을 향해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턱(221)과 상기 로킹부(480)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기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luid supplied to the advance passage 413 moves the second piston 460 toward the entrance hole 411 to couple the locking portion 480 to the locking protrusion 221, The fluid supplied to the backward flow path 414 moves the second piston 460 in the backward direction toward the entrance hole 411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step 221 and the locking part 480 A machine tool having a turret tool stand.
KR1020130149167A 2013-12-03 2013-12-03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KR102160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67A KR102160830B1 (en) 2013-12-03 2013-12-03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67A KR102160830B1 (en) 2013-12-03 2013-12-03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777A true KR20150064777A (en) 2015-06-12
KR102160830B1 KR102160830B1 (en) 2020-09-29

Family

ID=5350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167A KR102160830B1 (en) 2013-12-03 2013-12-03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91A1 (en) * 2018-01-03 2019-07-11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Turret tool post of machine tool
KR20210106298A (en) 2020-02-20 2021-08-3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Long boring bar device of machine 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8086U (en) * 1974-02-12 1975-09-04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8086U (en) * 1974-02-12 1975-09-0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91A1 (en) * 2018-01-03 2019-07-11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Turret tool post of machine tool
EP3736068A4 (en) * 2018-01-03 2021-10-06 Doosan Machine Tools Co., Ltd. Turret tool post of machine tool
US11897041B2 (en) 2018-01-03 2024-02-13 Dn Solutions Co., Ltd. Turret tool post of machine tool
KR20210106298A (en) 2020-02-20 2021-08-3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Long boring bar device of machine tool
EP4091750A4 (en) * 2020-02-20 2024-02-07 Dn Solutions Co Ltd Long boring bar device of machin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30B1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2410B2 (en) Machine tool spindle equipment
WO2014069219A1 (en) Tailstock and working machine
JP2014111295A (en) Clamp device of punching device and air driven drill device
JP6196497B2 (en) Machine Tools
KR20160090499A (en) Clamping device
KR20150064777A (en) Machine tool having turret tool device
JP4280253B2 (en) Work rotation device
US7527270B2 (en) Machine tool arbor fitted for tool-less chucking
JP4765790B2 (en) Grinding wheel attachment / detachment structure
JP5567733B1 (en) Automatic tool changer for angle tool holder for 5-face machining of vertical machining center
KR101084898B1 (en) Workpiece clamp/unclamp device of machine tool spindle
KR20150089406A (en) Turret tool device
JP4480444B2 (en) Machine tool spindle equipment
CN113385958A (en) High-precision centering fixtur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JP2009107037A (en) Spindle structure of lathe
KR100727596B1 (en) Workpiece discharge device for a machine tool
JP2005279858A (en) Workpiece rotating device
KR102099479B1 (en) Boring bar replac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
KR20130022903A (en) Main shaft device for machine tool
JP2011079104A (en) Chuck device
KR20130072391A (en) Clamp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US11084135B2 (en) Clamping mechanism and machining center having the same
JP2011056633A (en) Workpiece gripping method and workpiece gripping device in lathe
JP2009018353A (en) Tool unclamping device
KR20170000240A (en)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