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670A -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670A
KR20150064670A KR1020140165528A KR20140165528A KR20150064670A KR 20150064670 A KR20150064670 A KR 20150064670A KR 1020140165528 A KR1020140165528 A KR 1020140165528A KR 20140165528 A KR20140165528 A KR 20140165528A KR 20150064670 A KR20150064670 A KR 2015006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ace
fitting
retainer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671B1 (ko
Inventor
천진혁
츠요시 오사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이 전기 커넥터(100)는, 감합부(112)와 맞물림 부재(113)를 가지는 하우징(110)과, 전기 단자(120)와, 제1 위치에서 맞물림 부재(113)의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130)와,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미는 탄성 부재(140)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일 때에는 상기 락 부재(130)를 리테이너(400) 등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간섭을 해제하는 제어 기구(1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에,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외부 도체(500)를 위한 제2 공간(115)을 형성하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의,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116)에 배치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이용한, 하네스(H)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D)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ELECTRICAL CONNECTOR, HARNESS, AND SQUIB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인플레이터(inflator) 하우징, 스퀴브(squib), 및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지는 상대 장치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와, 이러한 전기 커넥터를 가지는 하네스와,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하네스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공개 제2012/055719호는,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과, 2차 락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안전 스프링봉을 구비하며,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2차 락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안전 스프링봉은, 상기 2차 락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 락(lock)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락 부재는, 상기 2차 락 부재가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움직이면 상기 안전 스프링봉과 맞물리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면을 구비하며, 상기 2차 락 부재가 움직일 때에, 상기 안전 스프링봉은 상기 삽입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2차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2차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 오면,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안전 위치에 스냅(snap)시켜, 상기 2차 락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 락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국제공개 제2012/055719호의 커넥터 조립체는, 전기 단자와, 이 전기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하네스를 쌓아 올리는 경우,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전선을 접속하고, 이 전선이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각각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맞붙인다고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고, 상기 조립 작업을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inflator) 하우징의 감합(嵌合, 끼워 맞춤)측의 표면으로부터 반(反)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retainer)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 및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외부 도체에 접속되게 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게 되는 전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의 해당 맞물림 부재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게 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과는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제2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하네스(harness)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半)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외부 도체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각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하네스는, 전기 커넥터와, 이 전기 커넥터에 접속된 외부 도체를 구비한 하네스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 및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된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의 해당 맞물림 부재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된 제2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하네스이다.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과는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제2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외부 도체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스퀴브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가지는 상대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에 접속하게 되는 하네스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로서,
상기 하네스는, 전기 커넥터와, 이 전기 커넥터에 접속된 외부 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 및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된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의 해당 맞물림 부재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된 제2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이다.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과는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제2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외부 도체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던 종래와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하네스,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하네스의 전기 커넥터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하네스의 분해 사시도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의 하네스의 전기 커넥터로부터 뚜껑을 떼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및 스퀴브의 일부를 단면(斷面)으로 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다리부를 자르는 면에서 단면으로 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리테이너 상(上)에 놓은 상태이다. 상기 락 부재는 제1 위치에 있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상기 다리부를 자르는 면에서 단면으로 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 상에 놓은 상태이다.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다.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맞물림 부재가 보이도록, 도 7 보다도 약간 안쪽에서 단면으로 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및 상기 스퀴브는, 스퀴브 단자를 자르는 면에서 단면으로 하여 보이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 상에 놓은 상태이다.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다.
도 9는,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를 도 6의 상태로부터 상기 감합측으로 밀고 있다. 상기 락 부재가 제2 위치에 이른 직후이다.
도 10은,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를 도 7의 상태로부터 상기 감합측으로 밀고 있다.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른 직후이다.
도 11은, 거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를 도 8의 상태로부터 상기 감합측으로 밀고 있다.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른 직후이다.
도 12는,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를 도 9의 상태로부터 상기 감합측으로 민 결과,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다.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다.
도 13은,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를 도 10의 상태로부터 상기 감합측으로 민 결과,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다.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다.
도 14는, 거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 본체를 도 11의 상태로부터 상기 감합측으로 민 결과,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다.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있다.
도 15는,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6은, 다른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7은, 또 다른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또 다른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9는, 도 18의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 뚜껑을 떼어 내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장치인 인플레이터(inflator)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D)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스퀴브(300), 및 리테이너(400)를가지는 상대 장치(C)와, 상기 상대 장치(C)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게 되는 상기 하네스(H)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네스(H)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와, 외부 도체(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합하게 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 및 상기 상대 장치(C)에서, 일방에서의 타방에 대해서 감합하는 측을 감합측으로 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100) 및 상기 상대 장치(C)에서 상기 감합측끼리를 대향시켰을 때에 일방에서의 타방을 향하는 방향을 감합 방향으로 한다. 상기 감합측의 반대측을 반(反)감합측으로 하고, 상기 감합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반감합 방향으로 한다. 이하, 부재 또는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상기 감합측 혹은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측 혹은 상기 반감합 방향이라고 할 때에는, 그 부재 또는 부분이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 마련되어 있을 때에는 해당 전기 커넥터(100)의 상기 감합측 혹은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측 혹은 상기 반감합 방향이며, 그 부재 또는 부분이 상기 상대 장치(C)에 마련되어 있을 때에는 해당 상대 장치(C)의 상기 감합측 혹은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측 혹은 상기 반감합 방향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7을 부호를 바르게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두면,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상기 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하측을 가리키며, 상기 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아래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반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상측을 가리키고, 상기 반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윗 방향을 가리킨다. 또 동일한 도면에서, 상기 상대 장치(C)의 상기 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C)의 상측을 가리키고, 상기 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C)의 윗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반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C)의 하측을 가리키고, 상기 반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C)의 아래 방향을 가리킨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도전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절연성의 재료 또는 그 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는, 상기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210)은 내부 공간이 원기둥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내부 공간이 각기둥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괜찮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퀴브(300)의 상기 감합측에는,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한 쌍의 스퀴브 단자(3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퀴브 단자(310)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통 모양,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스퀴브 단자(310)는 핀으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스퀴브(300)에 상기 한 쌍의 스퀴브 단자(310)를 매개로 하여 전류를 흘리면, 그 전기 에너지를 받아 상기 스퀴브(300)가 발열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이 도전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퀴브 단자(310)의 주위에는 절연성의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스퀴브 단자(310)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을 절연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지를 취하는 방법 등에 의해, 상기 스퀴브 단자가 단극(單極)이 되는 경우가 있고, 3극(極) 이상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스퀴브(300)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측에,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퀴브(300)의 주위에는 점화제 및 가스 발생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측에는 수축한 에어백이 넣어져 있다. 따라서, 스퀴브(300)가 전기 에너지를 받아 발열하면 상기 점화제가 점화하고, 이것에 의해서 가스 발생제가 가스를 발생하며, 이 가스가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400)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스퀴브 단자(310) 또는 후술하는 전기 단자(120)와 절연하는 구성을 채용할 때에는, 도전성의 재료 또는 그 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외형이 상기 소켓(21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리테이너(400)의 횡단면의 외주가 거의 원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소켓(210)의 내부 공간에 포함되는 형상이면 상기 리테이너의 횡단면의 외주가 다각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내부에, 상기 감합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반감합측으로부터 상기 스퀴브 단자(310)를 도입(導入)하는 공동(空洞)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상기 소켓(2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와 상기 소켓(210)과의 맞물림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400)의 외주벽에 돌기(410)가 마련되고, 이 돌기(410)가, 상기 소켓(210)에 마련된 홈(212)에 끼워져 있다. 상기 홈(212)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소켓(210)을 구성하는 벽(211)으로부터 외측으로 움푹 패여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210)의 외측은, 상기 소켓(2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 보아 상기 소켓(210)의 중앙부로부터 먼 측이며, 그 반대측이 내측이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400)를 상기 소켓(210)에 밀어넣으면, 상기 돌기(410)가 상기 벽(211)에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의 중앙부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소켓(210)으로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돌기(410)가 상기 홈(212)의 위치에 오면 상기 돌기(410)가 복원하여 상기 돌기(410)가 상기 홈(212)에 끼워지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리테이너(400)와 상기 소켓(210)이 맞물린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외부 도체(500)는, 심선(芯線)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절연 피복을 구비한 전선이다. 상기 외부 도체(500)는, 상기 전선 외에도 예를 들면 쉴드 케이블(shield cable)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고, 또 예를 들면 FFC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평형(平刑) 유연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며, 게다가, 그 외의 도전체를 구비한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하우징(110)과, 전기 단자(120)와, 락 부재(130)와, 탄성 부재(140)와, 제어 기구(1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단자(120)에는 상기 외부 도체(50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는, 또, 뚜껑(114)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부 도체(500)에는, 해당 외부 도체(50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노이즈 대책용 페라이트(600)가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뚜껑을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 상기 페라이트를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전기 단자(120) 또는 상기 스퀴브 단자(310)와 절연하는 구성을 채용할 때에는, 도전성의 재료 또는 그 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맞물리게 되는 감합부(112)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또는 상기 리테이너에게 감합하게 되는 맞물림 부재(1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그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본체 및 상기 감합부의 형상이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상기 하우징 본체가,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을 갖지 않은 예를 들면 입방체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길이 방향이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영도를 넘어 18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상기 감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감합측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서의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한 면내의 어느 위치에 마련해도 괜찮다.
상기 감합부(112)와 상기 리테이너(400)는, 일방에 마련된 볼록부를 타방에 마련된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감합하고, 또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로부터 빼냄으로써 이탈한다. 변형예로서,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빠지지 않게 되도록 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감합부(112)에, 볼록부로서 제1 통 모양부(112a)가 마련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오목부로서 제2 통 모양부(4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 모양부(112a)가 상기 제2 통 모양부(420)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제2 통 모양부가 상기 제1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해도 괜찮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 통 모양부(112a)도 상기 제2 통 모양부(420)도 원통 모양으로 형성했지만, 예를 들면 각통(角筒) 모양, 타원통 모양, 또는 그 외의 통 모양으로 형성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또, 상기 감합부(112)의 상기 제1 통 모양부(112a)의 내측에, 볼록부로서 제3 통 모양부(112b)가 마련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제2 통 모양부(420)의 내측에, 오목부로서 제4 통 모양부(4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3 통 모양부(112b)가 상기 제4 통 모양부(430)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통 모양부(112b)의 내부에 상기 전기 단자(120)가 배치되고, 상기 제4 통 모양부(430)의 내부가 상기 공동으로 되어 있어 상기 스퀴브 단자(310)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기 제1 통 모양부(112a)와 상기 제2 통 모양부(420)와의 감합만으로 상기 감합부(112)와 상기 리테이너(400)가 안정적으로 감합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제3 통 모양부(112b) 및 상기 제4 통 모양부(430)를 마련하지 않아도 괜찮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감합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감합 방향으로 보아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선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이 4개 마련되어 있지만, 마련하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수는 1개라도, 2개 이상이라도 좋고, 상기 감합 방향으로 보아, 어느 부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한쪽이 지지된 빔(beam) 모양으로 마련되어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해 연장하고 있지만,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연장해도 괜찮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탄성 변형하는 접속부(113a)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축(X)의 둘레로 경사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축(X)은 가상적인 축이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감합부재(113)는, 이와 같이 상기 접속부(113a)를 매개로 하여 상기 축(X)의 둘레로 경사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접속부(113a) 보다도 자유단측의 단부에는 돌출부(11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3b)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외측이란, 상기 맞물림 부재(113)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 보아 상기 감합부(112)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먼 측이며, 그 반대측이 내측이다. 그리고,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상기 감합 방향으로 끼워 가면,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210)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복원하여 상기 소켓(210)에서의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로부터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빼내어 가면, 상기 돌출부(113b)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빠져 상기 소켓(210)의 볼록부를 타고 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면 빠지지 않게 되도록 한 실시 형태도 포함하고 있다. 도 17은,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상기 돌출부(113b)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상기 감합 방향으로 끼워 가면,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리테이너(400)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복원하여 상기 리테이너(400)에서의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맞물림 부재(113)는,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로부터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빼내어 가면, 상기 돌출부(113b)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빠져 상기 리테이너(400)의 볼록부를 타고 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면 빠지지 않게 되도록 한 실시 형태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감합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닿도록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나온 부위가 볼록부이며,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움푹 패인 부위가 오목부이다. 상기 소켓(210)의 오목부는 상기 홈(212)이지만, 그 밖에 별도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소켓(210)의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 보다도 상기 감합측에 있는 상기 벽(211)이지만,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를 상기 소켓의 다른 부위에 마련해도 좋다. 상기 돌출부를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내측으로 돌출한 상기 변형예의 경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4 통 모양부(430)의 상기 감합측의 부위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4 통 모양부(430)에 마련된 개구이지만,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를 상기 리테이너의 다른 부위에 마련해도 괜찮다.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접속부 보다도 상기 자유단의 반대측으로 연장시켜 조작부를 마련해도 좋다. 그 경우,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조작부를 누르던지 당겨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접속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경사지게 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빠지므로, 그 상태로 상기 감합부를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빼내어 가게 된다. 이것은, 상기 돌출부를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내측으로 돌출한 상기 변형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돌출부(113b)의 상기 반감합측의 면은, 상기 돌출부(113b)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즉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감합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반감합측으로 빼낼 때에 상기 돌출부(113b)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빠지기 쉽게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13b)가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내측으로 돌출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반감합측의 면을, 상기 돌출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즉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내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감합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마련하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돌출부(113b)의 상기 반감합측의 면을 경사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또는, 그렇게 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소켓(210)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반감합측을 향한 면을, 상기 소켓(210)의 상기 내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감합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마련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내측으로 돌출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반감합측을 향한 면을,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감합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마련해도 괜찮다.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면 빠지지 않게 되도록 할 때에는, 그러한 구성을 취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 하면,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돌출부(113b)가 상기 오목부로서의 상기 홈(212)에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에 상기 오목부를 마련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6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단자(120)는, 상기 스퀴브 단자(310)의 수에 대응한 수만큼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경우, 한 쌍의 상기 전기 단자(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기 단자(120)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접촉부(121)와, 접속부(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 보다도 감합 길이가 짧을 때에도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다는 것은, 상기 감합부(112)와 상기 리테이너(400)와의 감합 길이가 설계 목표로 한 감합 길이에 이르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는 것이며, 도면에서 말하면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이다. 상기 전기 단자(120)는 판상물(板狀物)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형태의 재료로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감합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전기 단자의 예를 들면 상기 반감합측 또는 그 외의 부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그리고,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는, 이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끼우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스퀴브 단자를 통 모양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를 상기 스퀴브 단자에 끼워지도록 막대 모양으로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괜찮으며, 예를 들면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접속부(122)는, 상기 외부 도체(500)와의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외부 도체(500)는, 상기 전선이므로, 상기 접속 구조는 와이어 배럴(wire barrel), 및 인슐레이션 배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배럴은, 상기 전기 단자(120)에서의 판 폭방향으로부터 세워지는 압착편이며, 상기 외부 도체(500)의 종단으로부터 노출하는 심선을 고정시킨다.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은, 상기 전기 단자(120)에서의 상기 와이어 배럴에 대해서 상기 접촉부(121)로부터 먼 측에서 상기 전기 단자(120)의 판 폭방향으로부터 세워지는 압착편이며, 상기 외부 도체(500)의 종단의 절연 피복을 고정시킨다. 또, 상기 접속 구조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 도체를 압접하기 위한 구조, 상기 외부 도체를 피어싱하기 위한 구조, 상기 외부 도체를 납땜하기 위한 구조, 또는 그 외의 구조라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감합부(112)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부(122)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감합부(112)의 길이 방향인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접속부(122)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길이 방향인,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 상기 전기 단자(120)가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전기 단자는 예를 들면 I자 모양, V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18, 및 도 19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상기 전기 단자(120)에 더하여, 추가로, 다른 전기 단자(120', 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이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와 동일하다. 상기 다른 전기 단자(120')는, 상기 감합측에 마련된 상기 접촉부(121')와, 다른 외부 도체(500')와의 접속 구조를 가지는 접속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감합부(112)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밖으로 나오고 있어,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소켓(210)의 상기 벽(211)에 접촉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도통(導通)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른 외부 도체(500')는 상기 외부 도체(500)와 동일 구성의 전선이지만, 상기 전선 외에도 예를 들면 쉴드 케이블 혹은 그 요소, 예를 들면 FFC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 혹은 그 요소, 또는 그 외의 도전체를 구비한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른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122)와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접속부(122)일 때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다른 외부 도체(500')에 접속된다. 게다가, 쉴드 케이블을 접속하도록 한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쉴드 케이블의 신호선이 상기 외부 도체(500)로서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122)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쉴드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다른 외부 도체(500')로서 상기 다른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다. 상기 전기 단자는 상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는, 예를 들면 비접촉으로 외부와의 사이에서 도통을 행하는 상기 전기 단자의 실시 형태 등이 있다.
상기 락 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위치가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오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는,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반감합측이 개방된 홈(111a)이 마련되고, 이 홈(111a)에, 상기 락 부재(130)에서의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131)가, 상기 감합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홈(111a)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까지 쑥 들어가면 상기 제1 위치를 취하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기 반감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위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락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어딘가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이 실시 형태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락 부재의 구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락 부재 중 일방에 상기 감합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마련함과 아울러, 타방에 상기 홈에 끼우는 돌기를 마련해도 괜찮다. 상기 락 부재(130)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도 11, 및 도 14를 참조). 즉,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에는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맞물림 부재(113)에 대해서,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감합하는 상기 오목부의 측과는 반대측 즉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배면측에 대응하여 락 편(lock 片, 13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락 편(132)은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배면과 동일 방향의 면을 가진 판 모양 부재로 구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막대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이라도 괜찮다. 상기 락 편(132)은 상기 맞물림 부재(113)와 동일 수만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락 편(132)이 상기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락 편(132)이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6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락 부재(130)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14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40)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탄성을 가지면 다른 재료라도 괜찮다. 또,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볼류트(volute) 스프링, 토션 바, 또는 그 외의,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하는 스프링 등이라도 괜찮고,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 판 모양체, 막대 모양체, 또는 그 외의 형상의 물체 등이라도 괜찮다. 상기 탄성 부재(140)는, 소형화함과 아울러 탄성 복원력을 크게 하기 위해, 도중에서 감고 있지만, 이와 같이 감겨진 부분을 마련하지 않은 변형예도 있다. 그리고, 제1 단부(141)가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걸리고, 이것과 반대측의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걸려 있다. 상기 제1 단부(141)는 하우징(110)의 다른 부위에 걸려도 괜찮다. 상기 제2 단부(142)는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반감합측의 단면(端面)에 마련한 홈에 끼워져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단부의 상기 하우징에의 장착 구조, 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단부의 상기 락 부재에의 장착 구조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단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락 부재에 대해서, 예를 들면, 감입(嵌入)하거나, 감합하거나, 걸거나, 일체 성형하거나, 또는 그 외의 구조로 장착해도 괜찮다. 그리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밀리면, 상기 탄성 부재(140)가 탄성 변형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락 부재(13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감합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걸리게 하는 스토퍼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락 부재(130)의 본체(131)가 상기 홈(111a)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닿음으로써, 그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스토퍼를 마련하지 않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실시 형태에는, 예를 들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부근에 유지되도록 구성한 실시 형태 등이 포함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140)는 주로 휨 하중을 받음으로써 탄성 변형하도록 마련했지만, 상기 탄성 부재가, 예를 들면 압축 하중, 인장 하중, 또는 그 외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탄성 변형하도록 마련해도 괜찮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는, 후술하는 뚜껑(114)이 덮여 맞붙여지며, 그 뚜껑(114)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10)이 손으로 파지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손으로 붙잡을 만한 부재를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 기구(150)는,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락 부재를 간섭시키는 상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이라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 도 6,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에는, 가요성을 가지는 다리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1, 도 3, 도 6, 및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는, 해제 부재(15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151)는, 상기 감합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다리부(151)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상기 반감합측의 단부가 상기 락 부재(130)의 본체(131)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부는, 상기 락 부재의 어딘가에 접속되어 있으면 좋고, 상기 다리부는, 예를 들면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예를 들면 상기 감합 방향을 따른 중도부, 또는 그 외의 부분에서 상기 락 부재에 접속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다리부(151)는 2개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다리부는 1개 마련해도 3개 이상 마련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다리부(151)는 상기 락 부재(130)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락 부재(13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지만, 상기 다리부를 상기 락 부재와 동일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하여 상기 락 부재에 예를 들면 접속하거나, 연결하거나,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마련해도 괜찮다. 도 1, 도 6, 도 7,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상기 감합측을 향한 대향면(4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향면(440)의 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쑥 들어가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대향면(440)은 상기 제4 통 모양부(430)의 상기 감합측의 면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다른 부위의 면에 의해 구성해도 괜찮다. 상기 감합측을 향한 대향면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소켓에 마련해도 괜찮다. 그 경우, 상기 대향면은, 예를 들면, 상기 소켓의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소켓의 상기 중앙부를 향하여 밀어 내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다리부를 상기 락 부재에서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떨어진 외주 부분에 마련한다.
상기 해제 부재(152)는 상기 감합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해제 부재(152)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상기 반감합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뚜껑(114)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부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 본체, 상기 감합부, 또는 상기 맞물림 부재 등과 같이 상기 하우징의 어딘가에 접속되어 있으면 좋고, 상기 해제 부재는, 예를 들면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감합 방향을 따른 중도부, 또는 그 외의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해제 부재(152)는 상기 다리부(151)와 동일 수만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해제 부재(152)가 상기 다리부(151)를 가압하지 않으며,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를 향함에 따라 상기 해제 부재(152)가 상기 다리부(151)를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측부로 밀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해제 부재(152)가 상기 다리부(151)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를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대향면(440)으로부터 빠져 상기 감합측으로 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다리부(151)의 상기 해제 부재측에, 상기 감합측을 향하면 상기 해제 부재(152)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안내부(151a)가 마련되어 있다. 반대로,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다리부측에,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면 상기 다리부(151)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안내부를 마련해도 좋고, 상기 다리부 및 상기 해제 부재에 상기 안내부를 각각 마련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대향면(440)의 상기 반감합측으로 쑥 들어가는 단부 가장자리를, 상기 대향면(440)에서의 상기 리테이너(400)의 중앙부로부터 먼 측에 마련하고, 상기 해제 부재(152)를 상기 다리부(151)의 내측에 마련했지만, 상기 대향면의 상기 반감합측으로 쑥 들어가는 단부 가장자리를, 상기 대향면에서의 상기 리테이너의 중앙부에 가까운 측에 마련하고,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다리부의 외측에 마련해도 좋다. 상기 다리부(151)의 내측이란, 상기 다리부(151)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 보아 상기 감합부의 상기 중앙부에 가까운 측이며, 그 반대측이 외측이다. 또, 상기 감합측을 향한 대향면을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했을 때에는, 예를 들면, 상기 대향면의 상기 반감합측으로 쑥 들어가는 단부 가장자리를, 상기 대향면에서의 상기 소켓의 중앙부에 가까운 측에 마련하고,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다리부의 외측에 마련하면 좋거나, 혹은 상기 대향면의 상기 반감합측으로 쑥 들어가는 단부 가장자리를, 상기 대향면에서의 상기 소켓의 중앙부에서 먼 측에 마련하고,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마련해도 좋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으면, 상기 다리부(151)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가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대향면(440)에 부딪쳐,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간섭한다.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 방향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에 향하지만,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간섭한 상태가 유지된다. 게다가,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 방향으로 밀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다리부(151)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가 상기 대향면(440)으로부터 빠져 상기 감합측으로 떨어지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이 허가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상기 대향면을 마련하고, 상기 다리부를 그 대향면에 닿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 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빠지도록 구성했을 때에도, 이상과 동일한 작용이 발휘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다리부(151)와 상기 해제 부재(152)에 의해서 상기 제어 기구를 구성했지만,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도록 하는 것이면, 다른 구성에 의해서 제어 기구를 실현해도 괜찮다.
도 3, 도 4,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제2 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공간(115)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되게 되는 공간이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제2 공간(115)은, 상기 감합부(112)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에 걸쳐 일련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2 공간의 위치가 한정 해석되지는 않고,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이 상기 하우징의 어딘가에 마련되어 있으면 괜찮다.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는,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3 공간(116)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3 공간(116)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그렇게 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제3 공간(116)은,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3 공간의 형상이 한정 해석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3 공간은,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예를 들면 I자 모양, L자 모양, J자 모양, ―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제어 기구(150)의 상기 다리부(151)가 상기 락 부재(13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리부(151)도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어 기구(150)의 상기 해제 부재(152)가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해제 부재(152)가 상기 제3 공간(116)과 간섭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 기구를,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별도의 부재로 했을 때에는, 상기 제어 기구와 상기 제3 공간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도 괜찮다. 그러나, 그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했을 때에도, 상기 제어 기구를 상기 제3 공간과 간섭하지 않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140)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 중,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2개의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 중, 상기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있다. 도 15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 중, 상기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락 부재(130)도,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 중, 상기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양측에 배치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도, 상기 변형예의 경우도, 상기 탄성 부재(140)에서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의 제1 단부(141)가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제1 단부(141)와 반대측의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40)에서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의 상기 제1 단부(141)를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장착했지만, 이 제1 단부(141)를 상기 하우징(110)의 다른 부위에 장착해도 괜찮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40)의 중도부(143)에는, 감겨진 부분이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이와 같이 감겨진 부분을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도 16은,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제3 공간(116)에 대응하여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의 2개의 단부(141, 141)가 각각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2개의 제1 단부(141)와 반대측의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락 부재(130)도,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40)에서의 상기 양단부(141, 142)의 사이의 중도부(143)에, 감겨진 부분이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이와 같이 감겨진 부분을 마련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상기 반감합측에는, 상기 뚜껑(1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부재(113), 상기 전기 단자(120), 상기 락 편(132), 상기 탄성 부재(140), 상기 다리부(151), 상기 해제 부재(152), 및 상기 외부 도체(500) 등이, 각각 2개 이상 마련되고, 또 그들이 상기 선의 양측으로 나뉘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구조, 또는 형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선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각 부재가 1개만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접촉하기에 이르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구조, 또는 형상이 한정 해석되지는 않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또, 도 12 내지 도 14의 상태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상기 반감합측으로 당기면, 상기 다리부(151)의 가요성에 의해, 상기 다리부(151)가 상기 대향면(440)을 타고 올라, 도 6 내지 도 8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에 단락편(短絡片)이 마련되는 것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커넥터를 감합하기 전에 상기 한 쌍의 스퀴브 단자 사이에 전류 등이 흘러 스퀴브가 오작동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퀴브 단자를 단락하는 상기 단락편을 마련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외측으로 제거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단락이 해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서는 상기 단락편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서 상기 단락편을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단자(12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110)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140)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15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110)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은 상태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를 지나쳐 상기 제2 위치에 이른 상태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150)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오목부로서의 상기 홈(212)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130)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제1 공간(113c)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상기 대향면을 마련하고, 상기 다리부를 그 대향면에 닿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 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떼어내도록 구성했을 때에도, 이상과 동일한 작용이 발휘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과 상기 제3 공간(116)은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제3 공간(116)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를, 상기 제2 공간(115)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H)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H)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110),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외부 도체(500)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12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H)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이용한 상기 하네스(H)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3 공간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제3 공간(116)을,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 모양으로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부로부터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에 걸쳐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되고, 이것을 둘러싸는 상기 제3 공간(116)에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배치되므로, 다른 레이아웃에 대해서 비교적 컴팩트하고 밸런스가 좋은 부재 배치가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탄성 부재의 형상, 구조,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하우징에의 맞붙임 구조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탄성 부재(140)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 중 상기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에 있는 상기 제1 단부(141)가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제1 단부(141)와 반대측의 상기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제3 공간(116) 중 상기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일방측에 배치한 형태, 타방측에 배치한 형태, 또는 상기 양측에 배치한 형태의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양측에 배치하면, 상기 양측에서 행해지는 탄성 변형, 탄성 복원 등의 밸런스가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도 16에 나타낸 상기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제3 공간(116)에 대응하여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의 상기 2개의 제1 단부(141, 141)가 각각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2개의 제1 단부(141)와 반대측의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단일의 상기 탄성 부재를 구비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에서 행해지는 탄성 변형, 탄성 복원 등의 밸런스가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어 기구의 구조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제어 기구(150)가, 상기 락 부재(130)에 마련되며, 상기 감합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리테이너(400)에 닿는 상기 다리부(151)와,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면 상기 다리부(151)를 밀어 상기 리테이너(400)로부터 빠지는 상기 해제 부재(15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140)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다리부(151)에서 상기 리테이너(400)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110)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다리부(151)가 상기 해제 부재(152)에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부터 빠지며,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오목부로서의 상기 홈(212)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130)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제1 공간(113c)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상기 대향면을 마련하고, 상기 다리부를 그 대향면에 닿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 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빠지도록 구성했을 때에도, 이상과 동일한 작용이 발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뚜껑을 마련하지 않은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상기 반감합측에 상기 뚜껑(114)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가 보호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하네스의 실시 형태도 충분히 개시되었다. 즉, 그 하네스(H)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와, 이 전기 커넥터(100)에 접속된 상기 외부 도체(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1),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상기 감합부(112), 및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를 가지는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210)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접촉부(121), 및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500)에 접속된 상기 접속부(12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상기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상기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상기 락 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상기 탄성 부재(140)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상기 제어 기구(150)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된 상기 제2 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하네스에 의해, 다음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단자(12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110)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140)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15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110)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150)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오목부로서의 상기 홈(212)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130)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제1 공간(113c)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상기 대향면을 마련하고, 상기 다리부를 그 대향면에 닿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 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빠지도록 구성했을 때에도, 이상과 동일한 작용이 발휘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과 상기 제3 공간(116)은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제3 공간(116)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를, 상기 제2 공간(115)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H)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H)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110),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외부 도체(500)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12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H)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네스(H)는,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이용한 상기 하네스(H)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구비하는 상기 하네스(H)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게다가, 이상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실시 형태도 충분히 개시되었다. 즉, 그 스퀴브의 접속 장치(D)는,
상기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상기 소켓(210)이 마련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상기 소켓(210)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상기 스퀴브(300), 및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상기 리테이너(400)를 가지는 상기 상대 장치(C)와,
상기 상대 장치(C)에 접속하게 되는 상기 하네스(H)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이다.
상기 하네스(H)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와, 이 전기 커넥터(100)에 접속된 상기 외부 도체(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11),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상기 감합부(112), 및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를 가지는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210)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접촉부(121), 및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500)에 접속된 상기 접속부(12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상기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상기 락 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상기 탄성 부재(140)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상기 제어 기구(150)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된 상기 제2 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퀴브의 접속 장치(D)에 의해, 다음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단자(12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110)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실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140)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15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110)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150)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오목부로서의 상기 홈(212)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130)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제1 공간(113c)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상기 대향면을 마련하고, 상기 다리부를 그 대향면에 닿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 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부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빠지도록 구성했을 때에도, 이상과 동일한 작용이 발휘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과 상기 제3 공간(116)은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제3 공간(116)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를, 상기 제2 공간(115)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H)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H)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110),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외부 도체(500)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120)에 상기 외부 도체(500)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H)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D)는,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이용한 상기 하네스(H)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상기 전기 커넥터(100), 및 상기 하네스(H)를 구비한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D)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1 형태와 관한 것은,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 및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외부 도체에 접속되게 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게 되는 전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의 해당 맞물림 부재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게 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과는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제2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하네스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외부 도체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3 공간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이용한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2)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이,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로부터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에 걸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고, 이것을 둘러싸는 상기 제3 공간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므로, 다른 레이아웃에 대해서 비교적 컴팩트하고 밸런스가 좋은 부재 배치가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다른 레이아웃에 대해서 비교적 컴팩트하고 밸런스가 좋은 부재 배치가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3) 제3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3 공간 중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외부 도체가 도출되는 측에 있는 제1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가 상기 락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 중 중도부를 제외한 양측의 일방측에 배치한 형태, 타방측에 배치한 형태, 또는 상기 양측에 배치한 형태의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양측에 배치하면, 상기 양측에서 행해지는 탄성 변형, 탄성 복원 등의 밸런스가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3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탄성 부재의 배치가 다른 세 개의 형태의 상기 전기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양측에 배치하면, 상기 양측에서 행해지는 탄성 변형, 탄성 복원 등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제4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3 공간에 대응하여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3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외부 도체가 도출되는 측의 두 개의 제1 단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두 개의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가 상기 락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이와 같이 하면, 단일의 상기 탄성 부재를 구비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에서 행해지는 탄성 변형, 탄성 복원 등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4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단일의 상기 탄성 부재를 구비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 상기 양측에서 행해지는 탄성 변형, 탄성 복원 등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제5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가, 상기 락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감합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리테이너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닿는 다리부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면 상기 다리부를 밀어 상기 리테이너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내는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다리부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다리부가 상기 해제 부재에 밀려 상기 리테이너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상기 제5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다리부, 및 상기 해제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기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6) 제6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반감합측에는, 뚜껑이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보호된다.
상기 제6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했다.
7) 본 발명의 하네스 중 하나의 형태에 관한 것은, 전기 커넥터와, 이 전기 커넥터에 접속된 외부 도체를 구비한 하네스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 및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된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의 해당 맞물림 부재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된 제2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하네스이다.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과는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제2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외부 도체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하네스는,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이용한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상기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하네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8)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것은,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스퀴브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가지는 상대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에 접속하게 되는 하네스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로서,
상기 하네스는, 전기 커넥터와, 이 전기 커넥터에 접속된 외부 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 및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볼록부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된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의 해당 맞물림 부재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된 제2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이다.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맞붙이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실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지만,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직전 위치까지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간섭하므로, 상기 하우징을 떼어 내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락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어 기구에 의해, 상기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락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 상기 락 부재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그 경우,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제3 공간과는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3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제2 공간에 들어가도록 맞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상기 하네스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맞붙인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과,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외부 도체를 공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단자에 상기 외부 도체를 접속하고, 이 외부 도체가 부착된 전기 단자를 상기 전기 커넥터 반완성품에 장착하면, 상기 하네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하네스와 같이, 조립 현장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전기 단자, 상기 전선, 상기 2차 락 부재, 및 상기 안전 스프링봉을 제각기 공급하는 것에 비교하면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가 적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상기 락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 및 상기 외부 도체가 배치되게 되는 상기 제2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이용한 상기 하네스의 조립 현장으로 반입하는 부품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하네스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하네스,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는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하네스,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의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하네스,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하우징 본체(111),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inflator) 하우징(200)의 감합(嵌合)측의 표면으로부터 반(反)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에 장착된 리테이너(retainer, 400)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112), 및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볼록부(211)를 타고 넘고 나서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211)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212)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113)를 가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121),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1)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導出)되는 외부 도체(500)에 접속되게 되는 접속부(12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되게 되는 전기 단자(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140)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150)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되게 되는 제2 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116)이,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140)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 중 중도부(中途部)를 제외하는 양측의 적어도 일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에 있는 제1 단부(141)가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제1 단부(141)와 반대측의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제3 공간(116)에 대응하여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의 상기 제3 공간(116)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외부 도체(500)가 도출되는 측의 두 개의 제1 단부(141)가 각각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 부재(140)의 상기 두 개의 제1 단부(141)와 반대측의 제2 단부(142)가 상기 락 부재(130)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150)가, 상기 락 부재(130)에 마련되며, 상기 감합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닿는 다리부(151)와,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면 상기 다리부(151)를 밀어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으로부터 떼어내는 해제 부재(152)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100).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상기 반감합측에는, 뚜껑(114)이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상기 반감합측에는, 뚜껑(114)이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8. 전기 커넥터(100)와, 이 전기 커넥터(100)에 접속된 외부 도체(500)를 구비한 하네스(harness, H)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하우징 본체(111),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에 장착된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112), 및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볼록부(211)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211)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212)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113)를 가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121), 및,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500)에 접속된 접속부(12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전기 단자(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140)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150)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된 제2 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는 하네스(H).
  9.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스퀴브 단자(310)가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300), 및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리테이너(400)를 가지는 상대 장치(C)와,
    상기 상대 장치(C)에 접속하게 되는 하네스(H)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D)로서,
    상기 하네스(H)는, 전기 커넥터(100)와, 이 전기 커넥터(100)에 접속된 외부 도체(500)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하우징 본체(111), 상기 하우징 본체(111)에 마련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에 장착된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112), 및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볼록부(211)를 타고 넘고 나서 탄성 복원하여 상기 볼록부(211)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오목부(212)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113)를 가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121), 및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외부 도체(500)에 접속된 접속부(12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10)에 마련된 전기 단자(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보다도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해당 맞물림 부재(113)가 상기 탄성 변형하는 측에 형성된 제1 공간(113c)으로 비집고 들어가 상기 탄성 변형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공간(113c)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맞물림 부재(11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락 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제1 위치로 밀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140)와,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직전 위치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락 부재(130)를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간섭시키고, 상기 락 부재(130)가 상기 제2 위치에 이르면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락 부재(1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제어 기구(150)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반감합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 및 상기 외부 도체(500)가 배치된 제2 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락 부재(130) 및 상기 탄성 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공간(115)을 제외한 공간에 포함되는 제3 공간(116)에 배치되어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D).
KR1020140165528A 2013-12-03 2014-11-25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KR102226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0172A JP6193745B2 (ja) 2013-12-03 2013-12-03 電気コネクタ、ハーネス、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JP-P-2013-250172 201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70A true KR20150064670A (ko) 2015-06-11
KR102226671B1 KR102226671B1 (ko) 2021-03-15

Family

ID=5343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528A KR102226671B1 (ko) 2013-12-03 2014-11-25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93745B2 (ko)
KR (1) KR102226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0209B2 (ja) 2018-03-09 2022-02-04 リンナイ株式会社 水量調節弁
FR3079078B1 (fr) * 2018-03-19 2020-03-0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a verrouillage
CN110071251A (zh) * 2019-04-11 2019-07-30 赵正芳 一种新颖稳定型电池出线连接座
EP3772782A1 (en) * 2019-08-05 2021-02-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watertight conne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920A1 (de) * 2002-01-25 2003-08-21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05353363A (ja) * 2004-06-09 2005-12-22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WO2011161756A1 (ja) * 2010-06-21 2011-12-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インフレータ接続装置の組立体
JP2012022990A (ja) * 2010-07-16 2012-02-02 Yazaki Corp コネクタ
US20130252455A1 (en) * 2010-10-29 2013-09-26 Michael Gunreben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920A1 (de) * 2002-01-25 2003-08-21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05353363A (ja) * 2004-06-09 2005-12-22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WO2011161756A1 (ja) * 2010-06-21 2011-12-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インフレータ接続装置の組立体
JP2012022990A (ja) * 2010-07-16 2012-02-02 Yazaki Corp コネクタ
US20130252455A1 (en) * 2010-10-29 2013-09-26 Michael Gunreben Connector assembly
JP2013542571A (ja) * 2010-10-29 2013-11-21 デルフィ・コネクション・システムズ・ホールディング・フランス コネクタ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3745B2 (ja) 2017-09-06
KR102226671B1 (ko) 2021-03-15
JP2015109147A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862B1 (ko)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JP6939530B2 (ja) コネクタ
CN110021854B (zh) 连接器壳体以及连接器
JP6760147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KR101184354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US901709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quib connection device
US81235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dapted to withstand rotational movement
JP6475669B2 (ja) コネクタ
JP6042168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KR20150064670A (ko)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KR102133836B1 (ko)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
KR20150021455A (ko) 스프링 작동식 보조 잠금 장치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KR20150041119A (ko) 커넥터
US9570830B2 (en) Terminal holding member and clamping device including terminal holding member and electroconductive member
TW201902037A (zh) 電連接器與電連接器裝置
EP2148397B1 (en) Plug connector assembly
JP2018018733A (ja) コネクタ
JP2018018734A (ja) コネクタ
EP2795735A1 (en) Electrical connector, its assembly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CN109792122B (zh) 连接器组件
KR100952811B1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CA2826448C (en)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 contact-making member
JP6265383B2 (ja) コネクタ構造
US9705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wo movable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