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661A -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661A
KR20150064661A KR1020140161158A KR20140161158A KR20150064661A KR 20150064661 A KR20150064661 A KR 20150064661A KR 1020140161158 A KR1020140161158 A KR 1020140161158A KR 20140161158 A KR20140161158 A KR 20140161158A KR 20150064661 A KR20150064661 A KR 20150064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tainer
water
outlet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983B1 (ko
Inventor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490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8004A/ko
Application filed by 정규태 filed Critical 정규태
Publication of KR2015006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6Steam-heated kettles for domestic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22B37/44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of safety valves
    • F22B37/446Safety devices responsive to over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78Adaptations or mounting of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스팀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을 한번 더 가열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휴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물을 따를 수 있는 배수수단을 마련하여 휴대용 포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20)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관으로서 스팀 흡입측 단부가 상기 용기 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을 경유하도록 하여 상기 용기의 저부로 인출되는 스팀 배출관(60)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 또는 덮개에 물을 따를 수 있는 배수수단이 구비된 조리용 스팀생성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Portable device of generating steam for cooking}
본 발명은 만두나 찐빵과 같은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스팀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팀의 포화도를 상승시켜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휴대와 이동이 용이한 조리용 포터블스팀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생성장치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만드는 장치로, 이러한 스팀생성장치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면 음식물에 고온의 스팀이 골고루 전달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덜 익지 않게 조리할 수 있고, 음식물에 적당한 수분이 함유되어 음식물이 촉촉한 상태로 조리되며, 또한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과 염분이 스팀과 함께 빠져 나와서 다이어트와 건강에도 좋은 저칼로리 및 저염도의 음식물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20872호(특허문헌 1)에서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정한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밀폐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서 제조된 수증기를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수증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고압용기와; 상기 고압용기의 내부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고압용기의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의 물을 상기 고압용기의 내부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와; 상기 물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고압용기의 내부에서 분사시켜주는 분사노즐과; 상기 고압용기의 유출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안내하는 수증기 배출라인; 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온 스팀의 발생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몸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그대로 수증기 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구조여서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불포화 수증기가 배출되므로 열 효율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스팀을 생성하는 용도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 제한이 있으며, 또한 휴대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물솥 등의 수조형 스팀생성장치는 수조 내에 수용된 다량의 물을 계속 끓게 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고 또 필요한 스팀의 생성량과 사용시간을 조절하기 곤란하였으며, 전기의 사용을 전제로 이루어진 스팀생성장치는 전력이 공급이 안되면 스팀을 생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20872호 등록특허공보(2008.4.11. 공고)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용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을 동일한 용기에서 한번 더 가열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조리용 스팀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스팀생성장치를 휴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물을 따를 수 있는 배수수단을 마련하여 휴대용 포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조리용 스팀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용기타입시루에 기밀하게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탈착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누증없이 조리용 포터블스팀생성장치에서 수득된 스팀을 용기타입시루 내부로 간편용이하게 주입가능한 스팀주입디바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관으로서, 스팀 흡입측 단부가 상기 용기 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에 저장된 물 혹은 저장된 물의 가열영역을 경유하도록하여 상기 용기의 저부로 인출되는 스팀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배출관의 용기 인출 부분에 개폐용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 외부로 인출된 스팀 배출관은 스팀 시루에 연결된 스팀노즐 혹은 스팀주입디바이스 혹은 커넥터에 의해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되는 한편, 상기 용기의 일측에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한 배수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수단은, 용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수구와, 상기 용기 내부에 설치된 부레와, 하단이 상기 부레와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용기 내벽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개폐 가능하게 된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 상기 덮개 혹은 몸체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스팀을 배출하고,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한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은, 용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출구와, 상기 출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출구 하우징과, 상기 출구 하우징에서 연장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연장관과, 상기 출구 하우징의 배출 측에 구비된 망체와, 상기 출구 하우징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고 하강시 상기 출구를 폐쇄하며 상승시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타입 시루의 스팀주입구에 삽입되면서 스팀주입구의 내단면과 기밀하게 결속되어 임시 요홈이 생성되고 탈거 분리되면서 요홈이 복원되는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를 기본으로 한 여러 형태의 스팀주입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량의 물을 급속하게 짧은 시간 내에 끓여 초기의 조리 가능한 스팀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고, 이후 지속적으로 조리 가능한 스팀을 생성함으로써 종래의 방식보다는 에너지 사용상의 손실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으며, 그 결과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스팀생성장치는 물 배수수단이 구비되고 가스나 전기 등으로 가열 가능하므로 휴대성이 우수하여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피나 라면 등을 조리하기 위해 물을 끓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대단히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될 위생적이며 깨끗하고 유익한 스팀의 생성에 특화되어 있으며 조리시간을 조절가능하여 음식물 조리에 용이하고 안전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스팀주입디바이스, 핸디형 스팀주입디바이스, 멀티호스어댑터형 스팀주입디바이스, 탈착식 스팀주입디바이스는 착탈 용이하게 스팀의 손실없이 용기타입시루의 스팀주입구와 스팀생성장치의 스팀토출측 단부의 사이에 기밀한 결속을 가능하게 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안전한 스팀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착탈 분리 용이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용기타입시루거치 간편스팀조리대는 용기타입 시루를 장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며 간편하게 용기타입 시루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를 완성하게 하며 전자레인지와 달리 재조리 가능성이 지속되어 음식물 쓰레기 발생율을 낮추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와 물공급장치를 결합한 구성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접이식 스팀생성장치의 구성도이며, (a')는 조리용 접이식 스팀생성장치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부레마개꼭지형 전기포트 겸 스팀생성장치)의 구성도이며, (a')는 부레마게 꼭지형 전기포트겸 스팀생성장치를 기울여 물을 따르는 실사용 예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스팀주입디바이스의 구성도이며, (a')는 용기타입시루의 스팀주입구와 결합한 상태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멀티호스어댑터와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를 결합한 구성도이며, (b')는 용기타입시루의 스팀주입구와 결합한 상태도이다.
도 7의 (c)는 본 발명의 핸디형 스팀주입디바이스의 구성도이며, (c') 는 용기타입 시루의 스팀주입구와 결합한 상태도이다.
도 8의 (d)은 본 발명의 탈착식 스팀주입디바이스의 구성도이며, (d') 는 용기타입 시루의 스팀주입구와 결합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생성장치는 용기(10), 덮개(20) 및 스팀배출관(6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물(W)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용기(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용기(10)와 덮개(20) 사이에는 덮개(20)를 덮었을 때 내부 공간이 기밀성을 유지하고 결합상태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30)와 나사 혹은 매미고리 등의 착탈식 결속 혹은 결합장치(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배출관(60)은 상기 용기(10)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S)을 외부로 배출하여 음식물이 저장된 용기타입 시루(미도시)로 송기하기 위한 관으로서, 스팀(S) 을 흡입하는 방향의 단부(60a)가 상기 용기(10) 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10) 내에 저장된 물(W) 혹은 저장된 물(W)이 가열되는 영역을 경유하도록 하여 상기 용기(10)의 저부(60b)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스팀(S)이 상기 스팀 배출관(60)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팀배출관(60) 중 용기(10)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63)에 공기 흡입용 펌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 포터블스팀생성장치는, 가스불이나 전기히터, 연탄 또는 석탄 등의 가열수단(70)에 의해서 물(W)을 가열시킬 수 있다. 물(W)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S)은 내연부 스팀배출관(60)으로 유입되어 스팀배출관(60)을 따라 흐르면서 끓는 물(W) 내부 혹은 가열영역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중으로 가열시킬 수 있어 그 결과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조리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고온의 스팀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60)은 실리콘 등의 연질 재질일 경우 용기(10)의 안과 밖의 경계부에는 금속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스팀 배출관(60)의 용기(10) 인출 부분에는 스팀 배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개폐용 밸브(61)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10) 외부로 인출된 스팀 배출관(63)은 용기타입 시루(미도시)에 연결되는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60c) 혹은 커넥터(62)에 의해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된다. 특히 용기타입시루에 연결되는 스팀주입디바이스의 노즐부를 연질 재질로 할 경우 연질 재질의 수축성과 복원력에 의해 별도의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스팀의 누증을 방지하며 기밀성이 확보된 연결 결속 및 분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넥터(62) 혹은 연질의 스팀노즐를 이용하여 스팀생성장치와 용기타입시루를 서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20)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스팀(S)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력조절수단(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탄성을 가진 판막 혹은 스프링이나 중량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압력조절수단(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배출구(41), 배기 하우징(42), 망체(43) 및 중량체(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구(41)는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스팀(S)을 배출할 수 있는 일종의 구멍이고, 상기 배기 하우징(42)은 상기 스팀배출구(41)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중량체(44)가 설치되도 록 일정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망체(43)는 상기 배기 하우징(42)의 상측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중량체(44)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스팀(S)을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중량체(44)는 일정 중량을 가진 구 형태 혹은 수 실리콘 재질의 경우 일정 중량을 갖는 판막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구형태는 배기 하우징(42)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거나 판막 형태는 매립 혹은 노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평상시, 즉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높지 않을 때 중량체(44)가 자중에 의해 배기 하우징(42) 내에서 하강하여 상기 스팀배출구(41)를 폐쇄할 수 있다. 반대로 물(W)을 가열함에 따라 용기(10) 내부 압력이 고압으로 상승하면 중량체(44)가 상승하여 상기 스팀배출구(41)가 개방되는데, 이때 스팀(S)이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10) 내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용기(10) 내의 물(W)이 저장되는 공간에 약용광물(71)을 구비하는 경우에 약용광물의 약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용중에는 미리 달궈진 고온의 약용광물에 의해 추가 공급되는 물에 의한 급격한 온도 저하를 막아 스팀의 단절 시간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생성장치는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기(10)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구(50)는 용기(10) 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50)에는 투명관(59)이 연결되고, 상기 투명관(59)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수단(56)을 구비할 수 있으며, 급수구와 물공급탱크 혹은 깔때기와의 용이한 착탈 분리를 위해 개폐밸브(58) 혹은 커넥터(57)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용기의 외측의 급수관(50) 위로 투명관(59)을 구비하여 용기(10) 내부의 수위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투명관의 상측 단부에는 깔때기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확산 용기(5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또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생성장치는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50) 혹은 급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기(10) 내부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생성장치를 휴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급수관(50)의 용기(10) 인입 부분에도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개폐용 밸브(58)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용기(10) 외부의 급수관(50)은 물 공급장치(50a)와 연결된 관(59) 혹은 개폐장치(58) 혹은 커넥터(57)에 의해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급수관(50)에 의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경우, 물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용기(10)에 수위센서(10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10a)는 물(W) 수위를 감지하여 적정 수준의 수위에 도달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개폐 밸브(58)를 차단하거나 열어 상기 급수관(50)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중단 혹은 공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는 일종의 포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휴대성을 위해 용기(10) 외부에 손잡이(10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급수관(50)에는 투명관(59)과 확장 용기(50b)가 더 형성될 수 있어 투명관(59)을 이용하여 포트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장용기(50b)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물을 추가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덮개(20)의 일측에는 끓는 물(W)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용기(10) 내부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은, 용기(10)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상승할 때 스팀(S)의 일부를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과 더불어 물을 가열하는 동안에는 출구(91)가 폐쇄되어야 하고, 반대로 물을 따르는 동안에는 출구(91)가 개방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출구(91)와, 상기 출구(91)와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출구 하우징(93)과, 상기 출구 하우징(93)에서 연장되어 물을 자연스럽게 따를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된 연장관(94)과, 상기 출구 하우징(93)의 배출 측에 구비된 망체(92) 및 상기 출구 하우징(93) 내에 내재된 중량체(9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평상시, 즉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높지 않을 때 중량체(95)가 자중에 의해 출구 하우징(93) 내에서 하강하여 상기 출구(91)를 폐쇄할 수 있다. 반대로 물(W)을 가열함에 따라 용기(10) 내부 압력이 고압으로 상승하면 중량체(95)가 상승하여 상기 출구(91)가 개방되는데, 이때 스팀(S)이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10) 내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끓는 물을 따르기 위해 용기(10)를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 측으로 기울이면 중량체(95)가 자중에 의해서 망체(92)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출구(91)가 개방되며, 이때 물(W)은 출구(91)와 망체(92)에 형성된 구멍 및 연장관(94)을 차례로 경유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50a)는 물탱크(51), 개폐용밸브장치(52), 중간수조(53), 정수장치(54), 전기모터펌프(55), 물역류방지장치(56), 커넥터(57), 개폐용밸브(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더 바람직하게는 중간수조에는 수위센서(53a)가 구비되어 물탱크(51)의 물이 소진되면 기기의 메인 전원이 단절되게 하며, 중간수조(53) 아래에는 받침대를 구비하여 물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음용에 적합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50a)는 스팀생성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본 발명의 중요한 사상이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의 구성도이고,
절개 접이식 수조형 포터블 스팀생성장치라 명한다.
도 3의 (a')는 휴대와 이동이 용이하며 보관상의 장점을 갖는 절개접이식 수조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절개접이식 수조형 스팀이중가열생성장치는 용기(100)의 상단에 스팀배출구(41)를 구비하여 용기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토출시키며, 용기(100)의 절개부(12)를 중심으로 수조 상측부(11)는 연질의 탄력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주름부(13)를 형성하여 접힘과 펼침을 가능하게 하며, 수조 하측부(11a)는 직화에 견디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온의 물을 수용하고 가열받아 스팀을 생성하게 된다. 절개부를 중심으로 연질의 탄력성을 갖는 수조 상측부와 경질의 수조 하측부가 겹쳐지게 결합되어 용기 내부의 기밀성이 확보되어 스팀의 누증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생성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또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는 일종의 포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휴대성을 위해 용기(10) 외부에 손잡이(10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일측에는 끓는 물(W)을 따를 수 있도록 한 배수수단(8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수수단(80)에 형성된 배수구(81)는 물을 가열하는 동안에는 폐쇄되어야 하고, 물을 따르는 동안에는 개방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수단(80)은 배수구(81), 부레(82), 지지대(83), 힌지(84) 및 마개(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81)는 용기(10)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일종의 구멍이며, 물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부레(82)는 내부가 진공 또는 공기가 충진된 폐쇄형 구 형태로서, 항상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지지대(83)는 일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서 하단이 부레(82)와 연결되고 상단이 용기(10) 내벽에 힌지(84)를 통해 연결되어 힌지(84)를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마개(85)는 지지대(83)에 설치되어 배수구(8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배수수단(8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물을 따르기 위해 용기(10)를 배수수단(80) 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부레(82)가 물(W)의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때 지지대(83)가 힌지(84)를 기점으로 회동하므로 배수구(81)를 막고 있는 마개(85)가 열리게 되어 물을 따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배수수단(80)이 구비된 경우 물(W) 주입시 그 수위를 항상 부레(82)보다 낮게 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스팀배출관(60)의 스팀토출측(60b)에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 혹은 스팀주입노즐, 멀티호스어댑터형 스팀주입디바이스, 착탈식 스팀주입디바이스, 핸디형 슬라이딩식 스팀주입디바이스 등을 연결하여 용기타입시루( 미도시)에 기밀하게 결속시키면 착탈이 용이한 방식으로 스팀을 주입하여 웰빙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에어노즐을 이용하여 타이어 내부로 용이하게 에어를 주입하듯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창안된 스팀주입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용기타입시루 내부로 용이하게 스팀을 주입하여 조리를 간편하게 완성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60c)의 외면에는 스팀 토출 단부(66a)에서 스팀 인입 단부(66b) 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의 경사면에는 용기타입시루(1)의 스팀주입구(2)의 내단면에 기밀하게 끼움 결합되면서 임시 요홈(66)이 형성되고, 용기타입 시루의 스팀주입구에서 탈거될 경우 임시 요홈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이 있어 별다른 장치 없이도 스팀의 누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용기타입시루와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를 결합한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같이 멀티호스어댑터형 스팀주입디바이스는 상기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의 스팀 인입 단부 측에 멀티호스어댑터(60d)를 결속한 것으로, 멀티호스어댑터(60d)의 외면에는 외부 스팀이동관(63) 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이나 계단면이 조형되어 직경이 다른 외부 스팀이동관(63)을 용이하게 끼움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도 7을 참조하는 바와같이 핸디형 슬라이딩방식 스팀주입디바이스(60e)는 슬라이더(703)를 이용하여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를 매립 보호하면서 사용시에는 슬라이더(703)가 이동되며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가 돌출되는 구조이며, 슬라이더(703) 외면에는 손잡이(701)가 구비되어 다루기 용이한 특징이 있어 핸디형 스팀주입디바이스라고 한다. 즉 상기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의 삽입관(66c)이 삽입된 호스(702) 외측에 호스(70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703)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703)에는 상기 스팀주입노즐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관형태로 연장된 보호관이 구비되고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같이 착탈식 스팀주입디바이스(60f)는 상기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60c)를 설치 가능도록 적합하게 조응된 공간(711)이 형성된 기둥(710)이 구비되며, 상기 기둥에는 레버(712)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에는 결속수단(713)이 구비되어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수단에는 걸쇠(714)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쇠(714)는 상기 스팀배출관(60)의 토출측 단부(60b) 주위에 결합되며, 상기 걸쇠(714)와 결속수단(713)은 탈착 분리 용이하며, 상기 스팀배출관의 토출측 단부(60b)과 연질 스팀주입디바이스의 삽입관(66c)은 결속과 분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스팀배출관의 토출측 단부(60b)와 스팀주입디바이스의 삽입관(66c)은 착탈 분리 용이한 결속을 적합하게 암수의 구조(60g)로 조형된다.
본 발명에서 직화용급속스팀장치는 며폐쇄된 구조의 미니수조에 있어서, 상기 미니수조의 상부에는 항상 개구된 스팀토출구가 조형되며, 상기 미니수조의 하부에는 급수구가 조형되며, 상기 급수구에는 급수관이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에는 물탱크가 착탈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팀토출구에는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니수조에 임시 저장된 소량의 물을 직화열을 이용하여 급속하게 끓여 가용한 스팀을 수득하며, 초기 가용한 스팀이 수득된 이후 수득된 스팀의 량에 비례하여 소진된 물을 상기 물탱크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받으며, 상기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는 용기타입시루의 스팀주입구의 내단면에 착탈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기밀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니수조 내부의 바닥에는 약용광물이 구비되어 약리작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용기타입 시루 외벽. 2...스팀주입구. 10...수조 외벽. 10a...수위센서. 10b...손잡이. 11...수조 상층부. 12...절개부. 13...주름부. 20...덮개. 30...실링재. 31...결합장치. 40...압력조절수단. 41, 41'...스팀배출구. 42...배기 하우징. 43...망체. 44...중량체.
50, 50'...급수구. 50a...물탱크찰탁식 물공급장치. 50b,51...물공급용기(확산용기, 물탱크) 52...개폐밸브. 53...중간수조. 53a...수위센서. 54...정수필터. 55...모터펌프. 56...역류방지수단. 57...커넥터. 58...밸브. 59...급수관. 60...스팀배출관. 60a...흡입측. 60b...토출측. 60c...스팀주입디바이스. 60d...멀티호스어댑터. 60e...핸디형 스팀주입디바이스. 60f...착탈식 스팀주입디바이스. 60g... 암수구조. 61, 61'...밸브. 62, 62'...커넥터. 63...외부 스팀이동관. 64...멀티호스어댑터. 65...멀티호스결속부.
66...임시 요홈. 66a...스팀 토출측. 66b...스팀 인입측. 66c...삽입관.
70...가열수단. 71...약용광물. 80...배수수단. 81...배수구. 82...부레. 83...지지대. 84...힌지. 85.마개. 90...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 91...출구. 92...망체. 93...출구하우징. 94...연장관. 95...중량체.
100...접이식 스팀생성장치.
701...손잡이. 702...외측 관. 703...슬라이더. 710...기둥. 711...스팀주입노즐 장착영역. 712...핸들. 713...고리(결속수단). 714...걸쇠.

Claims (17)

  1.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가열수단(70)에 의해 물을 가열하도록 상단이 개방된 용기(10)와,
    용기(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20)와,
    용기(10)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관으로서, 스팀 흡입측 단부(60a)가 용기 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용기 내에 저장된 물 혹은 가열영역을 경유하도록 하여 용기의 저부로 인출되는 스팀배출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20)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스팀을 배출하는 압력조절수단(4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10)의 저부에는 급수구(50)가 형성되며,
    급수구(50)에는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명관(59)이 연결되고,
    상기 투명관(59)의 단부에는 확산용기(50b) 또는 물탱크(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50)와 물탱크(51) 사이에는 개폐용 밸브(52), 중간수조(53), 정수장치(54), 모터펌프(55), 물역류방지장치(56), 커넥터(57), 밸브(58)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와 중간수조(53)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0a,5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20)에는 용기(10) 외부로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한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은, 용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출구(91)와, 출구(91)와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출구 하우징(93)과, 상기 출구 하우징(93)에서 연장되어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한 연장관(94)과, 출구 하우징(93)의 배출 측에 구비된 망체(92)와, 출구 하우징(93)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고 하강시 출구(91)를 폐쇄하며 상승시 출구(91)를 개방하는 중량체(9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10)의 일측에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한 배수수단(80)이 더 구비되며,
    배수수단(80)은, 용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수구(81)와,
    용기(10) 내부에 설치된 부레(82)와,
    하단이 부레(82)와 연결되고 상단이 용기(10) 내벽에 힌지(84)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83)와,
    지지대(83)에 설치되어 배수구(81)를 개폐 가능하게 된 마개(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와 용기(1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밀폐를 위한 실링재(30)와 고정을 위한 결합장치(31)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에 스팀배출구(41)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10)의 일측에는 배수수단(8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수단(80)은 용기(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구(81)와 상기 배수구(81)를 개폐하는 마개(85)와 상단은 용기(10)의 내벽에 힌지(84)를 통하여 힌지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마개(85)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부레(82)가 구비되는 지지대(8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와 용기(1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밀폐를 위한 실링재(30)와 고정을 위한 결합장치(31)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에는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이 구비되되,
    상기 압력조절 겸용 배수수단(90)은 덮개(20)에 형성된 출구(91)와 상기 출구(9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출구 하우징(93)과 상기 출구 하우징(93)의 내측에 구비되어 출구(91)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중량체(95)와 상기 출구 하우징(93)의 배출구쪽 내측에 구비되어 중량체(95)의 이탈을 방지하는 망체(9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용기(10)의 저부에 급수구(50)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구(50)에는 투명관(59)이 연결되며,
    상기 투명관(59)의 상측 단부에 확장용기(50b)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1. 가열수단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용기(100)는 절개부(12)의 상부를 형성하는 수조 상측부(11)와 절개부(12)의 하부를 형성하는 수조 하측부(11a)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 상측부(11)는 절첩가능하도록 주름부(13)가 형성되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 하측부(11a)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 상측부(11)의 상단에는 스팀배출구(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에는 내부에 생성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팀배출관(60)이 구비되되,
    상기 스팀배출관(60)은,
    상단에 형성되는 스팀 흡입측 단부(60a)는 용기(10) 내측 상부에 위치하고,
    하단에 형성되는 스팀 배출측 단부(60b)는 용기(10) 하부의 일측으로 스팀을 배출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스팀 흡입측 단부(60a)와 스팀 배출측 단부(60b)를 연결하는 중심부는 가열공간을 경유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3. 청구항 1, 8, 9, 1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관(60)에는 용기타입시루(1)에 탈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 슬라이딩방식 스팀주입디바이스(60e), 착탈식 스팀주입디바이스(60f), 멀티호스어댑터형 스팀주입디바이스 중의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착탈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는 스팀 토출측(66a)에서 스팀 인입측(66b)으로 외면이 커지면서 경사면이 형성되고, 스팀노즐의 경사면에는 용기타입시루(1)의 스팀주입구(2)에 기밀하게 끼움 결합되면서 임시 요홈(66)이 형성되고, 용기타입시루(1)의 스팀주입구(2)에서 탈거될 경우 임시 요홈(66)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스어댑터형 스팀주입디바이스는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의 삽입관(66c)에 결속되는 측에서 반대측으로 작아지며 경사면 혹은 계단면이 형성되는 멀티호스어댑터(60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슬라이딩방식 스팀주입디바이스(60e)는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의 삽입관(66c)에 결속된 호스(702) 외측에 호스(70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7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착탈식 스팀주입디바이스(60f)는 연질의 스팀주입디바이스(60c)를 설치 가능하게 조응된 공간(711)이 형성된 기둥(710)이 구비되며,
    상기 기둥(710)에는 결속수단(713)을 제어하는 레버(712)가 구비되고,
    스팀 배출측 단부(60b)의 외측에는 상기 러베(712)에 대응되는 걸쇠(7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KR1020140161158A 2013-05-24 2014-11-18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KR101618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727 2013-05-24
KR1020130149061 2013-12-03
KR1020130149061A KR20140138004A (ko) 2013-05-24 2013-12-03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61A true KR20150064661A (ko) 2015-06-11
KR101618983B1 KR101618983B1 (ko) 2016-05-11

Family

ID=5351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158A KR101618983B1 (ko) 2013-05-24 2014-11-18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9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5730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9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滤波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6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8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驱动式电控排烟烧锅套装
KR20180107421A (ko) * 2017-03-21 2018-10-02 노영규 응축 진공을 이용한 식물 성분 축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50B1 (ko) 2007-03-08 2007-10-17 박강수 스팀조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5730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9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滤波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6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8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驱动式电控排烟烧锅套装
KR20180107421A (ko) * 2017-03-21 2018-10-02 노영규 응축 진공을 이용한 식물 성분 축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983B1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983B1 (ko)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EP3384814B1 (fr) Appareil électrique de chauffage et/ou de cuisson d'aliments à la vapeur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RU26572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CN104720572B (zh) 烹饪器具
KR20140138004A (ko)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KR101568014B1 (ko) 포터블 용기시루 착탈식 스팀조리기
CN205073269U (zh) 一种蒸汽桑拿器
KR101689482B1 (ko) 커피 드립장치
CN206303714U (zh) 一种电热开水瓶
CN205125418U (zh) 一种防止漏水的水壶
CN209474406U (zh) 一种打奶器
CN208129923U (zh) 富氢饮水机
CN209705705U (zh) 一种燃料灌装罐
CN209186494U (zh) 伸缩式按摩浴缸
CN211049111U (zh) 一种蒸汽流量可调的蒸汽开水机
KR102130609B1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CN208785307U (zh) 一种环壁加热的医疗药品加工罐
US20200163486A1 (en) Steam milk frother
CN203789717U (zh) 一体式自动沏茶机
CN204520292U (zh) 烹饪器具
CN217137623U (zh) 一种具有蒸汽功能的空气炸锅
KR200354735Y1 (ko)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CN209564011U (zh) 一种带水加热锅炉的手冲咖啡机
EP2710195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portabl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