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735Y1 -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 Google Patents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735Y1
KR200354735Y1 KR20-2004-0009303U KR20040009303U KR200354735Y1 KR 200354735 Y1 KR200354735 Y1 KR 200354735Y1 KR 20040009303 U KR20040009303 U KR 20040009303U KR 200354735 Y1 KR200354735 Y1 KR 200354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ort
air
electric vacuum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열
Original Assignee
이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열 filed Critical 이근열
Priority to KR20-2004-0009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4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with heating elements arranged outside the water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158Devices to detect overheating or boiling with a single control element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식 진공에어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상태의 에어포트에 탈부착이 용이한 전기장치를 구비하여 에어포트에 담겨진 내용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뿐만 아니라 가열된 내용물을 완벽하게 보온할 수 있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Air)에 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에어포트에 있어서, 내용물이 담겨져 보온되도록 외주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형성된 포트본체와; 상기 포트본체의 하단과 탈착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와; 상기 포트본체의 상단과 결합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몸통마개와, 상기 몸통마개의 하측과 연결되어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흡입관과, 상기 몸통마개의 상단에서 내용물에 에어를 압축시키는 에어압축부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구로 이루어진 보온마개와; 상기 포트본체의 상단을 개폐하며 내측에 상기 에어압축부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압축압축압축파지부(41)가 포함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A vacuum airpot of electrical type}
본 고안은 전기식 진공에어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상태의 에어포트에 탈부착이 용이한 전기장치를 구비하여 에어포트에 담겨진 내용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뿐만 아니라 가열된 내용물을 완벽하게 보온할 수 있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포트는 상단에 보온마개가 결합되어 내용물을 보온 및 보호하고, 보온마개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 펌프의 압력에 의하여 흡입관을 통하여 내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이 유출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포트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에어포트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포트본체(110)와, 상기 포트본체(110)의 상단에 개폐되어 내용물에 에어를 압축하는 에어압축부(121)와, 상기 에어압축부(121)의 의하여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흡입관(122)과, 상기 흡입관(131)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토출구(123)로 이루어진 보온마개(120)와, 상기 포트본체(110)의 상단을 개폐하며 내용물을 보온 및 보호하는 덮개(110)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에어포트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별도의 용기에 내용물을 가열하여 상기 포트본체(110)에 내용물을 유입하여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포트는 상기 포트본체(110)에 물 등과 같은 유체가 담겨진 경우 넘어지거나 장시간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압축부(121)로 내용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에어포트는 에어압력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반고상의 내용물이 포트본체에 담겨진 경우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흡입관으로 인하여 반고상의 내용물을 취급하는 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포트경우에는 개방식의 덮개와 유출구로 인하여 가열된 내용물의 에어가 외부로 유출되어 내용물을 보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보온되는 에어포트에 탈부착이 용이한 전기장치를 구비하여 에어포트에 담겨진 내용물을 용이하게 가열하고 완벽하게 내용물을 보온 할 수 있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포트용 마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에어포트와 전원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트본체 11 : 몸통
12 : 발열부 13 : 가열판
14 : 결합홈 15 : 덮개결합부
20 : 전원부 21 : 안착부
22 : 스위치 23 : 결합돌기
24 : 하우징 25 : 바로메타
30 : 보온마개 31 : 몸통마개
32 : 흡입관 33 : 에어압축부
34 :토출구 35 : 누수방지부
36 : 에어유출구 40 : 덮개
41 : 압축파지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기식 진공에어포트는에어(Air)에 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에어포트에 있어서, 내용물이 담겨져 보온되도록 외주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형성된 포트본체와; 상기 포트본체의 하단과 탈착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와; 상기 포트본체의 상단과 결합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몸통마개와, 상기 몸통마개의 하측과 연결되어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흡입관과, 상기 몸통마개의 상단에서 내용물에 에어를 압축시키는 에어압축부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구로 이루어진 보온마개와; 상기 포트본체의 상단을 개폐하며 내측에 상기 에어압축부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압축파지부가 포함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본체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진공되도록 외주부가 2중겹으로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단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몸통의 하측과 결합되며 상기 발열부로부터 열이 공급되어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판과, 상기 발열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몸통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덮개가 밀착되도록 형성된 덮개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포트본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단에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서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홈과 탈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스위치를 감싸며 상기 안착부와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의 상기 스위치는 가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단락되는 바로메타가 구비된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마개는 내측에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마개는 상기 몸통의 내측에 가열된 에어가 유출되도록 단락되는 에어유출구가 형성된 것도 바랍직하다.
상기 보온마개의 흡입관은 상기 몸통마개로부터 탈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포트몸체와 전원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기식 진공에어포트는 내용물이 담겨져 가열 및 보온되는 포트본체(10)와, 상기 포트본체(10)와 탈착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20)와, 상기 포트본체(10)의 상단과 결합되어 에어 압축시키는 보온마개(30)와, 상기 포트본체(1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40)로 구성된다.
상기 포트본체(10)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진공되도록 외주부가 2중겹으로 형성된 몸통(11)과, 상기 몸통(11)의 하단에서 상기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2)와, 상기 몸통(11)의 하측과 결합되어 상기 발열부(12)로부터 열이 공급되어 내용물을 가열하는 원판형의 가열판(13)과, 상기발열부(12)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20)가 연결되는 결합홈(14)과, 상기 몸통(11)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덮개(40)가 밀착되는 덮개결합부(15)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부(20)는 상기 포트본체(10)가 안착되는 원판형의 안착부(21)와, 상기 안착부(21)의 하단에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22)와, 상기 안착부(21)의 내측에서 상기 스위치(22)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홈(14)과 탈착되는 결합돌기(23)와, 상기 스위치(22)를 감싸며 상기 안착부(21)와 결합되는 하우징(24)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22)는 가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단락되어 전원이 오프되는 바로메타(25)가 형성된다.
상기 보온마개(30)는 상기 포트본체(10)의 상단과 결합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몸통마개(31)와, 상기 몸통마개(31)의 하측과 연결되어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관형상의 흡입관(32)과, 상기 몸통마개(31)의 상단에서 내용물에 에어를 압축시키는 에어압축부(33)와, 상기 몸통마개(31)의 내측에서 상기 흡입관(32)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구(34)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온마개(30)의 몸통마개(31)의 외주연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수방지부(35)가 형성되며, 가열시 상기 몸통(11)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에어가 유출되도록 단락되는 에어유출구(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32)은 상기 몸통마개(31)로부터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덮개(40)는 상기 포트본체(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포트본체(10)의 상단을 개폐하며, 내측에 상기 에어압축부(33)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압축파지부(41)가 형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37은 상기 압축파지부(41)의 이동을 온-오프하는 압축스위치이며, 38은 상기 에어압축부(33)에서 발생된 에어를 내용물에 전달하고 전달된 에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에어방지구이고, 42는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식 진공에어포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식 진공에어포트는 상기 포트본체(10)의 몸통(11)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상기 몸통(11)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발열부(12)는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가열되며, 상기 가열판(13)은 발열부(12)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내측의 내용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내용물이 가열되면 발생되는 다량의 에어는 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에어유출구(36)를 상부로 이동시켜 외부로 유출되며, 시간이 경과되면 에어의 압력이 감소되어 상기 에어유출구(36)가 하강되므로 내용물을 보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본체(10)의 몸통(11)은 외주부가 2중겹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진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열판(13)이 가열되어도 외주부가 전혀 가열되지 않으며, 상기 몸통(11)의 상단에 덮개(40)가 개폐됨으로써 내용물이 장시간 동안 보온된다.
그리고, 내용물을 유출할 경우에는 상기 덮개(40)의 중앙에 형성된 압축파지부(41)를 반복적으로 파지하면 상기 에어압축부(33)에서 에어가 압축되어 내용물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상기 내용물은 상기 흡입관(32)을 통하여 상기 토출구(34)로 유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몸통마개(31)의 상단 외주연에는 누수방지부(35)가 형성되어 포트본체(10)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포트본체(10) 내측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으며, 상기 흡입관(32)은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는 반고상의 내용물을 상기 포트본체(10)에 유입할 경우에 상기 흡입관(32)을 탈거함으로써 내용물의 유출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부(20)의 스위치(22)는 바로메타(25)가 구비되어 가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단락되어 에어포트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에서, 상기 포트본체(10)는 전원부(20)와 연결시켜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가열시킨 후 상기 포트본체(10)만 탈거 및 사용하여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식 진공에어포트는 에어포트본체와 전원부가 용이하게 탈부착되어 전원과 연결하여 가열한 후 포트본체만 탈거하여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 및 취급할 뿐만 아니라 포트본체의 몸통을 2중겹으로 구비하여 내용물이 장시간 동안 보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압축부의 상단에는 누수방지부를 구비하여 포트본체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경우에도 포트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흡입관을 탈착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는 반고상의 내용물을 포트본체에 유입할 경우 흡입관을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부의 스위치에는 바로메타를 구비하여 가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단락되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에어(Air)에 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에어포트에 있어서,
    내용물이 담겨져 보온되도록 외주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형성된 포트본체(10)와;
    상기 포트본체(10)의 하단과 탈착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20)와;
    상기 포트본체(10)의 상단과 결합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몸통마개(31)와, 상기 몸통마개(31)의 하측과 연결되어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흡입관(32)과, 상기 몸통마개(31)의 상단에서 내용물에 에어를 압축시키는 에어압축부(33)와, 상기 흡입관(32)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토출구(34)로 이루어진 보온마개(30)와;
    상기 포트본체(10)의 상단을 개폐하며 내측에 상기 에어압축부(33)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압축파지부(41)가 포함되는 덮개(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본체(10)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진공되도록 외주부가 2중겹으로 형성된 몸통(11)과, 상기 몸통(11)의 하단에서 상기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2)와, 상기 몸통(11)의 하측과 결합되어 상기 발열부(12)로부터 열이 공급되어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판(13)과, 상기발열부(12)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부(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결합홈(14)과, 상기 몸통(11)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덮개(40)와 밀착되도록 형성된 덮개결합부(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20)는 상기 포트본체(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와, 상기 안착부(21)의 하단에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22)와, 상기 안착부(21)의 내측에서 상기 스위치(22)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홈(14)과 탈착되는 결합돌기(23)와, 상기 스위치(22)를 감싸며 상기 안착부(21)와 결합되는 하우징(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4.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20)의 상기 스위치(22)는 가열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으로 단락되는 바로메타(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마개(30)는 상기 몸통마개(31)의 외주연에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누수방지부(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마개(30)는 상기 몸통(11)의 내측에서 가열된 에어가 유출되도록 단락되는 에어유출구(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마개(30)의 흡입관(32)은 상기 몸통마개(31)로부터 탈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진공에어포트.
KR20-2004-0009303U 2004-04-03 2004-04-03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KR200354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03U KR200354735Y1 (ko) 2004-04-03 2004-04-03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03U KR200354735Y1 (ko) 2004-04-03 2004-04-03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735Y1 true KR200354735Y1 (ko) 2004-06-30

Family

ID=4943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03U KR200354735Y1 (ko) 2004-04-03 2004-04-03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7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19B1 (ko) * 2018-12-06 2020-04-03 변상섭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WO2020116919A1 (ko) * 2018-12-04 2020-06-11 변상섭 분쇄 또는 혼합용 회전칼, 그 조립체 및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919A1 (ko) * 2018-12-04 2020-06-11 변상섭 분쇄 또는 혼합용 회전칼, 그 조립체 및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KR102097219B1 (ko) * 2018-12-06 2020-04-03 변상섭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4814B1 (fr) Appareil électrique de chauffage et/ou de cuisson d'aliments à la vapeur
WO2016004576A1 (zh) 顶部注液底部换发热组件的电子烟
KR100908999B1 (ko) 휴대용 차보온병
KR101618983B1 (ko)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KR200354735Y1 (ko) 전기식 진공 에어포트
JPS624261Y2 (ko)
KR100874559B1 (ko) 진공 흡입식 한약추출기
KR20140138004A (ko) 조리용 포터블 스팀생성장치
CA2108509A1 (fr) Bouilloire electrique
US5715742A (en) Single chamber dynamic flow brewing device
KR100991751B1 (ko) 실링장치가 구비된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CN208725495U (zh) 电水壶
KR100710038B1 (ko) 스팀청소기 및 물걸레청소기용 물공급장치
TWM549587U (zh) 瓶裝水負氫鹼性水開飲機
CN212804534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电热水龙头
CN212438237U (zh) 具有补炊功能的烹饪器具
KR200181101Y1 (ko) 면도크림용 가열기.
KR900000336Y1 (ko) 보온병의 뚜껑
KR200439375Y1 (ko) 누수방지수단이 구비된 에어포트
JP5019275B2 (ja) 液体加熱貯蔵装置
KR800001513Y1 (ko) 펌프식 보온병의 누수방지 밸브장치
CN207812590U (zh) 一种用于智能马桶的恒温水箱
JPH0740338Y2 (ja) 電気ポット
JP2007215880A (ja) 液体供給容器
TW201701808A (zh) 電水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