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573A -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573A
KR20150064573A KR1020130149424A KR20130149424A KR20150064573A KR 20150064573 A KR20150064573 A KR 20150064573A KR 1020130149424 A KR1020130149424 A KR 1020130149424A KR 20130149424 A KR20130149424 A KR 20130149424A KR 20150064573 A KR20150064573 A KR 2015006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light
keratin
measuring
transglutamin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041B1 (ko
Inventor
김형준
정지용
최민식
손의동
최현
이태룡
신동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4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0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에 따르면, 태양광 조사에 따른 피부세포 내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함으로써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하거나, 태양광 차단 효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를 이용함으로써 가시광선 중 가장 피부 손상을 가장 많이 유도하는 400∼500 nm 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여부까지 판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세분화된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Method for screening of sunlight protection functional material and method for evaluating sunlight protection effe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피부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통해 태양광 차단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 구체적으로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을 스크리닝 방법 또는 태양광 차단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태양에너지)은 빛의 파장이 긴 쪽에서부터 차례로 라디오파, 초단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및 γ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태양광의 피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태양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많은 제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에는 여러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들이 존재함에도, 현재 대부분의 태양광 차단 효능은 자외선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지로만 판단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차단 제품의 효능 평가도 자외선 차단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인, "SPF(sun protection factor)"라 명명되는 UVB 영역(290∼320 nm)이 유도하는 홍반(erythema) 및 "PA(Protection of UVA)"로 명명되는 UVA 영역(320∼400 nm)이 유도하는 흑화(Persistent Pigment Darkening) 현상을 실험자가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즉, 실제로 태양광에서 자외선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으며 태양광은 다른 파장영역의 전자기파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상기 SPF와 PA를 통한 자외선 차단효능 외에 다른 파장을 갖는 대부분의 태양광의 차단 효능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시판되는 대부분의 태양광 차단 제품들의 경우 상기와 같은 SPF와 PA로 표시되는 자외선 차단지수에만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왔고, 그 결과 가시광선에 대한 태양광 차단 효능에 대한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태양광 차단 제품들은 가시광선 중 가장 피부 손상을 가장 많이 유도하는 400∼500 nm 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가시광선에 대한 태양광 차단 기능이 매우 미흡함에도, 현재 상기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어떠한 차단 지표도 설정되어 있지 않아 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0834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98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70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32330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335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태양광, 구체적으로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 기능을 측정하여 태양광 차단 기능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방법, 또는 태양광 차단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태양광 조사에 의해 변화하는 피부 세포 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중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량의, 대상물질에 의한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상물질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면 태양광 차단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상물질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한 정도가 클수록 태양광 차단 기능이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방법은 태양광 조사에 따른 피부세포 내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기존에 육안평가를 통해 자외선 차단정도를 평가하던 방법과 달리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은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지수만을 제공하던 기존의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과 달리 가시광선 중 가장 피부 손상을 가장 많이 유도하는 400∼500 nm 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여부까지 판별할 수 있으며, 보다 세분화된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평가 대상 물질 실시예 1-5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Blue/Violet Light) 차단율과 각 SPF, PA지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블루/바이올렛 라이트(Blue/Violet Light) 조사강도에 따른 피부 세포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각 발현량(Relative mRNA level/RPL13A) 감소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실시예 4의 자외선(UV) 조사에 따른 피부 세포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각 발현량(Relative mRNA level/RPL13A)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실시예 1 내지 5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Blue/Violet Light) 조사에 따른 피부 세포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각 발현량(Relative mRNA level/RPL13A)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태양광(sunlight)”이라 함은 자외선뿐만 아니라 라디오파, 초단파, 적외선, 가시광선, X선 및 γ선 등 태양광의 모든 파장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세포"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의 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몸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에 존재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대상 물질에 의한, 태양광 조사에 의해 변화하는 피부 세포 내 케라틴 10(Keratin 10, ACCESSION NM_000421 XM_352919, VERSION NM_000421.3 GI:195972865), 케라틴 1(Keratin 1, ACCESSION NM_006121, VERSION NM_006121.3 GI:119395749), 필라그린(Filaggrin, ACCESSION NM_002016 XM_048104 XM_378901, VERSION NM_002016.1 GI:60097901)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ACCESSION NM_003245, VERSION NM_003245.3 GI:189458820) 중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량의, 대상물질에 의한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상물질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면 태양광 차단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상물질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한 정도가 클수록 태양광 차단 기능이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에서 조사되는 상기 태양광은 400~500nm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Blue/Violet light)를 포함하며, 290~400nm 파장의 자외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은 피부 세포의 각질형성을 조절함으로써 표피각화를 정상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유전자로서, 태양광 노출에 의한 멜라닌 세포의 파괴로 인한 피부 손상, 홍반, 피부 주름, 노화 등에 관여한다. 또한, 상기 유전자들은 태양광, 구체적으로 블루/바이올렛 라이트를 조사시 발현량이 감소한다. 그러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3 은 블루/바이올렛 라이트 조사에 의한 발현량의 변화가 UV 조사에 의한 것과 상반되어 블루/바이올렛 라이트 차단 지표로서 적절하였다.
일 구현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은 상기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대상 물질을 태양광 투과성 물질에 도포하는 단계; 및 피부 세포를 상기 태양광 투과성 물질 하부에 위치시킨 후 태양광 투과성 물질 상부에 태양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투과성 물질은 태양광, 즉, 상기 자외선 또는 블루/바이올렛 라이트를 투과시키면서 측정 대상 물질의 도포가 가능한 물성을 지닌 것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석영판(Quartz Plate) 또는 목표로 하는 광선영역만 투과시키는 대역(帶域)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대상 물질은 태양광 차단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물질로서, 사람의 피부에 적용하는 물질이면 화장품, 약품, 섬유 등과 같이 이를 포함하는 제품이나 제형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피부 세포는 인간 또는 동물 유래 피부 세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질분화형성세포(Keratinocytes),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머켈세포(Merkel cell)와 같은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s)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측정 대상 물질의 피부세포에 대한 태양광 차단 기능을 측정하기에 앞서, 대상 물질의 자외선 및 블루/바이올렛 라이트 투과정도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대상 물질로서 실시예 1 내지 5의 태양광 차단 제형을 하기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TiO2 1.4 1.1 2 8.8 3.4
ZnO - 2.8 12 8 -
OMC(octyl methoxy cinnamate) 5 7 7.5  - 3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soamyl p-Methoxycinnamate)
2 2  - - -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Ethylhexyl Salicylate)
- 4.5 - - -
티노소브 S(Tinosorb S) 3 3 3 - 6
옥토크릴렌(Octocrylene) - - 2  - -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 - 2  - -
세티올 CC(Cetiol CC) 5.00 5.00 5.00 5.00 5.00
놈콧-HK-G(Nomcort-HK-G) 1.50 1.50 1.50 1.50 1.50
지랍(Ozokerite) 1.00 1.00 1.00 1.00 1.00
아빌 EM90(Abil EM90) 1.50 1.50 1.50 1.50 1.50
크릴-6(Crill-6) 0.50 0.50 0.50 0.50 0.50
벤톤 27VCG(Bentone 27VCG) 1.40 1.40 1.40 1.40 1.40
DC 2-9040 3.00 3.00 3.00 3.00 3.00
DC 345 3.00 3.00 3.00 3.00 3.00
핀솔브 TN(Finsolv TN) 20.00 20.00 20.00 20.00 17.00
증류수 45.33 36.33 28.23 39.93 47.33
EDTA.2Na 0.02 0.02 0.02 0.02 0.02
NaCl 1.00 1.00 1.00 1.00 1.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폴리에틸렌(PE) 0.30 0.30 0.30 0.30 0.30
센시바 SC50(Sensiva SC50) 0.05 0.05 0.05 0.05 0.05
총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5의 각 SPF 및 PA 임상지수, 및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투과율은 실시예 1∼5의 태양광 차단 제형을 각각 석영 또는 대역통과필터 위에 2 mg/㎠의 양으로 도포한 후 블루/바이올렛 라이트 영역을 포함한 광원을 조사하고 투과되는 블루/바이올렛 라이트 파장영역(400∼500 nm)을 SPR-4001 분광방사계(Spectroradiometer, Luzchem, Canada)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2는 태양광 투과성 물질로 석영을 사용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자외선에 의한 SPF (피부홍반) 및 PA (피부흑화) 확인 실험은 자외선 차단제 실험법 식품의약품안전처(KFDA)의 방법대로 실시하였다.
시험물질 SPF PA 투과율(%)
실시예1 35 ++ 14%
실시예2 50 +++ 3%
실시예3 50 +++ 12%
실시예4 50 +++ 60%
실시예5 50 +++ 32%
상기 표 2 및 도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5의 태양광 차단 제형들은 자외선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SPF 및 PA를 나타낸 반면,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투과율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자외선 차단 효능을 갖는 태양광 차단 제품들간에도 가시광선 중 400~500nm의 파장영역을 갖는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 효능은 각각 다를 수 있으므로, 자외선 차단 지수가 곧 태양광의 전반적인 차단 기능 보유 또는 차단 효능 정도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는 없음을 의미한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400~500nm 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Blue/Violet light)를 피부세포에 조사시 빛의 세기에 따른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람정상각질피부세포(Human epidermal neonatal keratinocyte cells)는 상용적으로 확보되어 권장하는 방법으로, 론자사(Lonza, Inc. 미국 메릴랜드주 워커스빌(Walkersville) 소재)에서 구입하여 계대배양한 후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500 ml의 KBM-2(Clonetics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Bullet kit: BPE(Bovine pituitary extract) 2 ml, 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0.5 ml, 인슐린(Insulin) 0.5 ml,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0.5 ml, 트랜스페린(Transferrin) 0.5 ml, 에피네프린(Epinephrine) 0.5 ml, 및 젠타마이신 설페이트+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 0.5 m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시험예 1에서 사용한 실시예 4의 태양광 차단 제형을 석영판(Quartz Plate) 또는 대역통과필터 위에 2 mg/㎠ 도포한 후 그 하부에 사람정상각질피부세포를 위치시킨 다음, 태양광 차단이 도포된 부위의 위쪽에서 400∼500 nm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를 0, 10, 50, 100 J/㎠의 세기로 각각 조사하였다. 그 다음 사람정상각질피부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2 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이후,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t, QIAGEN, Valencia, CA)로 한번 더 정제한 후, 애질런트사의 바이오어낼라이저 2100 모델 기기(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RNA의 질(quality)을 확인하였다.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상기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시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Q-RT-PCR: 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유전자의 발현 패턴 변화를 어플라이드바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블루/바이올렛 라이트가 태양광 차단을 투과한 후 유도하는 세포의 유전자 변화를 실시간 PCR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각 유전자 증폭을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3과 같으며, 도 2의 결과는 태양광 투과성 물질로 석영을 사용한 결과이다.
유전자 명칭 프라이머
케라틴 10(Keratin 10) Hs00166289_m1
케라틴 1(Keratin 1) Hs00196158_m1
필라그린(Flaggrin) Hs00856927_g1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Hs00162752_m1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모두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조사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유전자 발현량 변화정도가 가시광선 중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의 차단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험예 3]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290∼400 nm 파장의 자외선을 피부세포에 조사시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290~400 nm의 자외선을 0, 30 mJ/㎠의 세기로 조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모두 블루/바이올렛 라이트와 달리 자외선 조사시 유전자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400∼500 nm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를 피부세포에 조사시 태양광 차단 제형의 종류에 따른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의 발현량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태양광 차단 제형으로 실시예 1 내지 5를 각각 사용하고 400∼500 nm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를 40mw/cm2로 총 50J/cm2을 조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태양광 차단 제형의 종류에 따라, 즉 실시예 1-5 모두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유전자 발현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 네 유전자 간의 발현양상은 태양광 차단 제형별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Claims (9)

  1. 태양광 조사에 의해 변화하는 피부 세포 내 케라틴 10(Keratin 10), 케라틴 1(Keratin 1), 필라그린(Filaggrin)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3(Transglutaminase 3) 중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량의, 대상물질에 의한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상물질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면 태양광 차단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상물질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한 정도가 클수록 태양광 차단 기능이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은 400~500nm 파장의 블루/바이올렛 라이트(Blue/Violet light)를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은 290~400nm 파장의 자외선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내 유전자는 태양광을 조사하면 발현량이 감소하는 유전자인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대상 물질을 태양광 투과성 물질에 도포하는 단계; 및
    피부 세포를 상기 태양광 투과성 물질 하부에 위치시킨 후 태양광 투과성 물질 상부에 태양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투과성 물질은 석영판(Quartz Plate) 또는 대역(帶域)통과필터(Band pass filter)인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각질분화형성세포(Keratinocytes),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s) 중 하나 이상인 태양광 차단 기능 측정 방법.
KR1020130149424A 2013-12-03 2013-12-03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KR10213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424A KR102131041B1 (ko) 2013-12-03 2013-12-03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424A KR102131041B1 (ko) 2013-12-03 2013-12-03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573A true KR20150064573A (ko) 2015-06-11
KR102131041B1 KR102131041B1 (ko) 2020-07-08

Family

ID=5350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424A KR102131041B1 (ko) 2013-12-03 2013-12-03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11A (ko)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자외선 차단력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CN109839507A (zh) * 2017-11-27 2019-06-04 江苏坤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紫外光损伤的生物标志物及其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348A (ko) 1995-05-05 1999-01-25 니콜라 나르쿠에라이트 헛지 피브린 가교 및/또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저해체
KR20060132330A (ko) 2005-06-17 2006-12-21 국립암센터 TGase 2 억제제 또는 촉진제를 검출하는 방법
KR20100099849A (ko) 2009-03-04 2010-09-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면역억제제와 트랜스글루타미나제 2의 억제제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9672A (ko) * 2010-11-30 2012-06-11 (주)아모레퍼시픽 특정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통해 선스크린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
KR20130027016A (ko) 2010-04-01 2013-03-14 센트로 데 인제니에리아 제네티카 와이 바이오테크놀로지아 포유류와 인간 세포에서 hiv 복제를 억제하는 방법
US20130113352A1 (en) 2011-11-03 2013-05-09 Jeffrey M. Nicholson Pressure mounted drawer app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348A (ko) 1995-05-05 1999-01-25 니콜라 나르쿠에라이트 헛지 피브린 가교 및/또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저해체
KR20060132330A (ko) 2005-06-17 2006-12-21 국립암센터 TGase 2 억제제 또는 촉진제를 검출하는 방법
KR20100099849A (ko) 2009-03-04 2010-09-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면역억제제와 트랜스글루타미나제 2의 억제제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7016A (ko) 2010-04-01 2013-03-14 센트로 데 인제니에리아 제네티카 와이 바이오테크놀로지아 포유류와 인간 세포에서 hiv 복제를 억제하는 방법
KR20120059672A (ko) * 2010-11-30 2012-06-11 (주)아모레퍼시픽 특정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통해 선스크린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
US20130113352A1 (en) 2011-11-03 2013-05-09 Jeffrey M. Nicholson Pressure mounted drawer app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OS ONE, Vol.8., Issue 9, e73678, pp.1-10 (2013.09.)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11A (ko)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자외선 차단력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US10982999B2 (en) 2016-09-27 2021-04-20 Amorepacif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ultraviolet ray protection of cosmetic material
CN109839507A (zh) * 2017-11-27 2019-06-04 江苏坤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紫外光损伤的生物标志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041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ak et al. Comparison of initial yields of DNA-to-protein crosslinks and single-strand breaks induced in cultured human cells by far-and near-ultraviolet light, blue light and X-rays
Dulon et al. Sun exposure and number of nevi in 5-to 6-year-old European children
Wang et al. Comparison of ultraviolet A light protection standard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through in vitro measurem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sunscreens
Pelizzo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sunscreens: an update for the clinicians
Mulliken et al. The effect of sunscreen on melanoma risk
KR101784998B1 (ko) 특정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통해 선스크린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
Weatherhead et al. Spectral effects of UV on psoriasis
Godar et al. Cutaneous malignant melanoma incidences analyzed worldwide by sex, age, and skin type over personal Ultraviolet-B dose shows no role for sunburn but implies one for Vitamin D3
KR102131041B1 (ko)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US8226634B2 (en) Method for protecting mammalian skin against upcoming photodamage
US20220240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ffects of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on skin
US20180113121A1 (en) Method for screening for sunlight protection functional material and method for evaluating sunlight protection effect
CN108553332B (zh) 一种包含α-倒捻子素的化妆品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KR20120049634A (ko) 세포사멸율을 측정하여 자외선차단제의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
Wilson et al. Do freckles protect the skin from actinic damage?
KR102102321B1 (ko) 태양광 차단 기능성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태양광 차단 효능 평가 방법
Heerfordt et al. Protection against visible light by dihydroxyacetone in erythropoietic protoporphyria
EP1291640A1 (en) In vitro test method to assess the UVA protection performance of sun care products
Worswick et al. Measurement of ultraviolet exposure in epidemiological studies of skin and skin cancers
WO2016171383A1 (ko) 적외선 차단 물질의 효능 평가 방법
Manganoni et al. Repeated equally effective suberythemogenic exposures to ultraviolet (UV) A1 or narrowband UVB induce similar changes of the dermoscopic pattern of acquired melanocytic nevi that can be prevented by high-protection UVA-UVB sunscreens
Green et al. 16 Solar Radiation
Dimitrijević et al. Basal cell carcinoma-principles of treatment
US20240058237A1 (en) Sunscreen composition comprising visible light protecting agents and methods of use
Dehdashti et al. Exposure to Solar Ultra Violet among Taxi Drivers in Damghan Area in 2016: A Cross-Section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