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357A -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357A
KR20150064357A KR1020130148975A KR20130148975A KR20150064357A KR 20150064357 A KR20150064357 A KR 20150064357A KR 1020130148975 A KR1020130148975 A KR 1020130148975A KR 20130148975 A KR20130148975 A KR 20130148975A KR 20150064357 A KR20150064357 A KR 2015006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ody
bathroom
inclined surface
inorganic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경명
변용근
강헌성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148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357A/ko
Publication of KR2015006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injection 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3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보드 몸체부; 및 상기 보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설정된 방향을 따르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배판을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DRAIN SYSTEM FOR BATHROOM COMPARISING GRADIENT PLATE}
본 발명은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울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습식 욕실의 배수 방법을 살펴보면, 모래와 시멘트를 섞은 몰타르를 이용하여 시공자가 배수고 방향으로 직접 물 구배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상기 방법에 따르면, 시공자의 숙련도나 개인 능력에 따라 몰타르에 형성되는 물 구배가 다르기 때문에 배수 정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또한, 몰타르에 물 구배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작업을 실시해야 하며,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근래의 건식 욕실의 경우에는 방수판에 미리 바닥 구배를 형성하므로, 상기 습식 욕실에서와 같이 시공시 별도의 물 구배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건식 욕실에 적용되는 방수판은 합성수지계열(FRP 등)로 만들기 때문에, 바닥의 울림이 발생하고 민감한 사람의 경우 이러한 울림을 매우 불쾌하게 생각하여 층간 소음 문제 등이 빈법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울림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 바닥 구배판을 미리 제작하여 기존 습식 욕실에서의 물 구배 형성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기존 건식 욕실 바닥의 울림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보드 몸체부; 및 상기 보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설정된 방향을 따르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면은, 직선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보드 몸체부와 함께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는,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재질은,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설정된 방향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욕실 바닥에 설치되며, 방수층이 형성되는 슬라브면 부와; 상기 방수층의 상단에 형성되며,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방수층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부를 따라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구배판을 포함하는 욕실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구배판은, 상기 방수층의 상단에 설치되며,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보드 몸체부와, 상기 보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직선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배판은,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재질은,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미리 물 구배가 형성된 무기질로 형성되는 욕실용 바닥 구배판을 사용함으로써,기존 습식 욕실에서의 물 구배 형성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기존 건식 욕실 바닥의 울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사출 성형하는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그라인딩 처리하는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100)은 크게 보드 몸체부(110)와, 경사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보드 몸체부(110)는 무기계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무기계 재질은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경사부(120)는 상기 보드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0)는 보드 몸체부(110)의 상면에는 경사면(12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0)는 보드 몸체부(110)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고, 무기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121)은 보드 몸체부(110)의 상단에서 설정된 방향을 따라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121)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121)의 경사는 보드 몸체부(110)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설정된 경사각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서, H2는 H1보다 낮은 높이를 이룬다.
상기 경사지는 방향은 바람직하게 물이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부(600, 도 8 참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100')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설정된 방향이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경우, 경사면(121a,121b)의 개수는 설정된 방향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H4, H5는 H3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100")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보드 몸체부(101)는 다수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보드 몸체부(101) 각각의 상단에는 서로 경사가 이어지는 경사면(121)을 갖는 경사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배수부(600)가 설정된 공간에서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경우, 경사부(120)의 경사면(121)은 상기 배수부(600)를 향해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경사면(121) 상단을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배수부(600) 측으로 흐르는 경사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사도를 각각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보드 몸체부(101)를 준비한다.
이어, 상기 보드 몸체부들(101)을 서로 결합하되, 각 보드 몸체부들(101)의 경사면들(121)이 이어지도록 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드 몸체부들(101) 간의 결합은 상하 슬라이딩 결합이 바람직하며, 이들 사의 갭은 실리콘과 같은 밀폐재를 사용하여 밀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욕실 배수용 구배판의 제조 방법은 크게 두 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사출 성형하는 방식과, 그라인딩 처리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사출 성형하는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경사면(121)을 갖는 경사부(120)와, 보드 몸체부(110)를 이룰 수 있는 성형 공간(210)이 형성되는 몰드(200)를 준비한다.
이어, 상기 몰드(200)에 형성되는 성형 공간(210)에 시멘트 몰탈과 같은 무기계 재질을 투입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양생시킨다.
이어, 양생이 완료된 이후, 몰드(200)를 제거하여, 경사부(120)와 보드 몸체부(110)로 이루어지는 구배판(100)의 제조를 완료한다.
도 6은 그라인딩 처리하는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그라인딩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그라인딩 장치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그라이딩 휠(330)과, 제작하고자하는 제작전 구배판(100a)을 이동시키는 이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는 제작전 구배판(100a)이 안착되는 안착 몸체(310)와, 안착 몸체(310)를 지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롤러(320)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 몸체(310)의 상면은 경사를 이루되, 바람직하게, 구배판(100)에 형성되는 경사면(121)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제작전 구배판(100a)은 직사각형의 몸체를 갖는 상태로 준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의 장치가 준비되면, 준비되는 제작전 구배판(100a)을 안착 몸체(3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기는 제작전 구배판(100a)을 안착한 상태로 이동 경로(a)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그라인딩 휠(330)은 이동되는 구배판(100a)의 상단을 수평을 이루는 커팅라인을 따라 그라인딩하도록 이동 경로(a) 상에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작전 구배판(100a)은 이동기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상단은 회전되는 그라인딩 휠(330)에 의해 수평면을 이루도록 그라인딩 처리된다.
그라인딩 처리가 완료되면, 구배판(100)은 안착 몸체(3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인딩 처리된 구배판(100)의 상단, 즉, 보드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부(120)는 안착 몸체(310)의 경사와 동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21)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구배판을 다양한 방식으로 하나의 건식 몸체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배판을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욕실 배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욕실 배수 시스템은 슬라브면 부(500)와, 배수부(600)와, 구배판(100)으로 구성된다.
욕실 바닥은 슬라브면 부(500)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브면 부(500)는 방수층(510)을 갖는다. 상기 방수층(510)은 욕실 바닥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브면 부(500)의 일측에는 직립되는 건식용 벽패널(53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브면 부(500)의 타측에는 욕조(700)가 배치된다.
상기 벽 패널(5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배판(100)이 설치된다.
여기서, 구배판(100)과 욕조(700)의 사이에는 배수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600)는 구배판(100)과 욕조(700)의 사이에서 일정 깊이를 갖는 트랜치(610)를 형성하고, 상기 트랜치(610)의 일정 위치에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620)가 슬라브면 부(5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620)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630)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구배판(100)의 경사면(121)의 경사는 벽 패널(630)로부터 트랜치(610)를 향해 하향 경사짐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구배판(100)의 경사면(121) 상단에는 다수개의 타일(130)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배판(100)의 경사면(121) 상에 존재하는 물은 경사면(121)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 흐르는 물은 트랜치(610)로 유입된다.
트랜치(610)로 유입되는 물은 배수구(620) 및 배수관(630)을 따라 유동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구배판의 구성 및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미리 물 구배가 형성된 무기질로 형성되는 욕실용 바닥 구배판을 사용함으로써,기존 습식 욕실에서의 물 구배 형성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기존 건식 욕실 바닥의 울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구배판
100 : 보드 몸체부
200 : 경사부
210 : 경사면
220 : 타일
300 : 슬라브면 부
310 : 방수층
400 : 배수부
410 : 트랜치
420 : 배수구
430 : 배수관
500 : 벽 패널
600 : 욕조

Claims (10)

  1.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보드 몸체부 및
    상기 보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직선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보드 몸체부와 함께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재질은,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용 구배판.
  6. 욕실 바닥에 설치되며, 방수층이 형성되는 슬라브면 부;
    상기 방수층의 상단에 형성되며,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방수층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부를 따라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구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판은,
    상기 방수층의 상단에 설치되며, 무기계 재질로 형성되는 보드 몸체부 및
    상기 보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판은,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재질은,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배수 시스템.
KR1020130148975A 2013-12-03 2013-12-03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KR20150064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75A KR20150064357A (ko) 2013-12-03 2013-12-03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75A KR20150064357A (ko) 2013-12-03 2013-12-03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57A true KR20150064357A (ko) 2015-06-11

Family

ID=5350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975A KR20150064357A (ko) 2013-12-03 2013-12-03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3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395A (ko) * 2019-12-09 2021-06-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102270842B1 (ko) * 2020-12-21 2021-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량형 바닥 패널 유닛과 이를 이용한 바닥 패널 구조 그리고 이의 시공방법
KR20210129502A (ko) * 2020-04-20 2021-10-28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102423010B1 (ko) 2021-04-20 2022-07-19 주식회사 성일 코너 및 t자 형상의 욕실용 바닥판의 물 구배 및 벽체 시공이 용이하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395A (ko) * 2019-12-09 2021-06-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20210129502A (ko) * 2020-04-20 2021-10-28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102270842B1 (ko) * 2020-12-21 2021-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량형 바닥 패널 유닛과 이를 이용한 바닥 패널 구조 그리고 이의 시공방법
KR102423010B1 (ko) 2021-04-20 2022-07-19 주식회사 성일 코너 및 t자 형상의 욕실용 바닥판의 물 구배 및 벽체 시공이 용이하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4357A (ko) 욕실 배수용 구배판 및 이를 갖는 욕실 배수 시스템
US20100320130A1 (en) Floor drain with drain field
US5341527A (en) Bathtub with integrally formed leveling base
DK200600508A (da) Gulvelement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gulvelement
CN102164528A (zh) 与周围地面齐平的淋浴装置
JP2003502533A (ja) デザイン要素を有するテラゾ床の製造方法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CN105666641A (zh) 复制有石材板面纹理的淋浴房地板的制备方法
ES2875053T3 (es) Plato de ducha ergonómico de espum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l mismo
CN204435160U (zh) 生态蓄水砖
CN103015501B (zh) 隐形地漏
JP2014156702A (ja) 床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442814B (zh) 一种浴室地面结构的施工方法
CN213742499U (zh) 一种卫生间底盘
CN104619927A (zh) 用于嵌入工作板中的嵌入式装置
CN106013566A (zh) 一种装配式卫生间楼板及施工方法
CN203684596U (zh) 一种环氧树脂金磨石地面
CN206213983U (zh) 一种淋浴间的排水装置
CN202108101U (zh) 大便器管接头封水预埋模具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KR200419411Y1 (ko) 자연석의 부착구조
KR20160035876A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CN208039912U (zh) 一种利用底板作为结构楼板的预制混凝土整体卫浴
CN202969498U (zh) 隐形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