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498A -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498A
KR20150062498A KR1020130147215A KR20130147215A KR20150062498A KR 20150062498 A KR20150062498 A KR 20150062498A KR 1020130147215 A KR1020130147215 A KR 1020130147215A KR 20130147215 A KR20130147215 A KR 20130147215A KR 20150062498 A KR20150062498 A KR 2015006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omputer
computer apparatus
information
vehicle system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민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498A/ko
Publication of KR2015006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glasses)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차량 시스템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되는 정보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 시스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전자 착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착용감지부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장착되어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착용감지부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에게 상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대체 디스플레이의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A glasses type computer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system and its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glasses)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차량 시스템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되는 정보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 시스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 및 생성하며, 외부로부터 교통정보 등을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UD; Head Up Display)를 통해 차량의 전면 유리에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신체 착용형 컴퓨터 장치인 안경 형태의 컴퓨터 장치의 렌즈에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형(glasses) 컴퓨터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는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종래기술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8981호(2012.05.16)의 '운전자를 위한 다기능 신체착용 컴퓨터'에서는 안경 형태의 신체착용 컴퓨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체착용 컴퓨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체착용 컴퓨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체착용 컴퓨터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를 위한 다기능 신체착용 컴퓨터(100)는 본체(1), 표시모듈(10), 진동모듈(20), 스피커(30), 제어모듈(80), 통신모듈(90)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본체(1)에는 제1렌즈(2a) 및 제2렌즈(2b) 및 각각의 렌즈를 지지하는 안경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렌즈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시스템에서 경로정보, 교통정보, 차량의 상태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차량 시스템에 구축된 내비게이션 등의 디스플레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경우에만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혀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는 배터리로 동작되는 특성 때문에 충전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하기 어려우며,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종료시킴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운행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정보를 생성하여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착용이 가능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 착용이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고, 추가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고,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전원을 종료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이 운전자 및 동승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각각 인식하여, 각각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이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와 동승자의 글래그 컴퓨터 장치에 각각 정보를 전송하는 도중,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이 해제되는 경우,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송되는 정보를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송하여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은 차량 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전자 착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착용감지부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장착되어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착용감지부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에게 상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대체 디스플레이의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운전자에 착용된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와 상기 차량 시스템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차량 시스템 또는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상기 운전자에 착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착용해재 신호를 상기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차량 시스템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를 대체 출력하기 위한 대체 디스플레이를 검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차량 시스템이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및 사용자 동작 인식에 따른 화면 제어 장치 및 그 운영방법은 운전자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착용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를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여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중지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고, 추가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량 시스템에서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지속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고,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전원을 종료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이 운전자 및 동승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각각 인식하여, 각각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와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이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와 동승자의 글래그 컴퓨터 장치에 각각 정보를 전송하는 도중,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이 해제되는 경우,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송되는 정보를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동승자가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체착용 컴퓨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체착용 컴퓨터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지부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300)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290), 운전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80),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270),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착용감지부(260),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250), 상기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및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40),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및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30),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및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정보를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렌즈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0) 및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9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무선통신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90)는 차량 시스템(3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Wi-Fi, 블루투스, Miracast, 무선랜 등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게 전원 및 외부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290)는 차량 시스템(300) 이외에 차량에 구비된 부가장치인 차량 외부 카메라, 내비게이션, 원격에 위치한 교통정보 제공장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되는 정보는 차량 시스템(300)을 통해 전송받거나 해당 장치로부터 직접 전송받을 수 있다.
입력부(280)는 운전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며, 특히 버튼 입력부(미도시),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특히, 음성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음성인식 모듈이 포함된다.
전원부(27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내장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신부(290)에 구비되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은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원부(27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구비되는 전원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전원의 ON/OFF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7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 별로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착용감지부(26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착용감지부(260)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착용감지 정보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또한, 착용감지부(26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전원이 종료되는 경우에도 전원부(270)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착용감지 정보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한편, 착용감지부(260)의 종류 및 특징은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25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되는 영상은 저장부(240)에 저장된다. 이때, 카메라부(25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에 직접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부(290)를 통해 차량 시스템(300) 또는 외부의 정보 제공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카메라부(250), 입력부(280) 등에서 생성되거나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스피커(230)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 이어폰 등의 보조 음향출력장치(미도시)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렌즈(미도시)에 형성된다. 안경 형태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일반적인 안경에 대응하는 두 개의 렌즈 또는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렌즈에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20)는 차량 시스템(300)에서 전송되는 정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착용감지부(260)에 의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10)의 제어를 통해 해당 정보의 출력을 중지한다.
제어부(21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되, 특히 착용감지부(260)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이에 따라 착용감지부(260)가 해당 착용감지 신호를 제어부(210)에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해당 착용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시스템(300)에게 대체 디스플레이의 검색을 요청하는 대체 디스플레이 검색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즉,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를 차량 시스템에 연결된 대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은 제어부(210)에서 전송되는 대체 디스플레이 검색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량 시스템(300)에 연결된 대체 디스플레이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 시스템(300)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되는 정보를 대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차량 시스템(300)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대체 디스플레이는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헤드업 디스플레이, 동승자가 착용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차량 시스템(300)이 대체 디스플레이를 선택하여 정보를 출력함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정보의 수신이 중단되거나,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대체 디스플레이에 정보가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착용감지부(260) 및 제어부(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제어부(210)는 착용감지부(260) 및 제어부(210)의 전원을 제외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구성요소의 전원이 종료된 상태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었음을 감지하는 착용감지 신호를 착용감지부(26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전원부(270)가 각각의 구성요소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결국, 제어부(210)는 착용감지부(260)에서 감지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운전자 착용여부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시키고,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전원을 종료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용하지 않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되는 정보는 영상정보, 운행정보, 차량상태 정보, 운전자 생체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영상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차량주변 영상, 블랙박스의 영상, 후방카메라의 영상, 외부의 실시간 교통정보 영상, 전방 신호등 영상, 차량 주변의 보행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운행정보는 차량 속도, 차선이탈, 후방추돌 경보, 전방 신호등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상태 정보는 타이어공기압, 연료량, 차량공조 상태, 원격시동, 도어 개폐 제어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정보는 속도위반, 과속방지턱, 경로안내, 날씨, 교통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운전자와 동승자 등이 각각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시스템(300)은 복수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정보를 전송하여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고유의 식별번호(ID)를 이용하여 차량 시스템(300)에 등록되어 있으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해당 식별번호를 사용하여 운전자가 착용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인지 동승자가 착용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지부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감지부(260)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안경 형태로 이루어진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운전자의 안면부에 착용되어, 각각의 눈동자 전면에 각각 렌즈가 구비되며, 각각의 렌즈의 양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귀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착용 지지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렌즈의 일측에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체부(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는 렌즈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착용 지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착용감지부(260)는 압력감지 모듈(261), 온도감지 모듈(262), 각속도감지 모듈(263), 카메라 모듈(264), 카메라감지 모듈(265) 및 스위치 모듈(266)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때, 압력감지 모듈(261)은 안경 형태로 이루어진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형성된 코 받침 또는 다리 형태의 착용 지지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착용하는 경우, 코 받침에 위치한 압력감지 모듈(261)은 운전자의 콧등에 밀착되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착용 지지부에 구비된 압력감지 모듈(261)은 운전자의 옆 얼굴에 밀착되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압력감지 모듈(261)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로부터 착용이 해제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피부)에 밀착되는 압력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여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온도감지 모듈(262)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서 운전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운전자 피부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감지 모듈(262)이 측정한 온도가 인체의 체온(예를 들어, 인체의 평상시 체온 36.5℃ ±5℃)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착용한 것으로 인식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온도감지 모듈(262)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구성요소인 코 받침 또는 착용 지지부 등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속도감지 모듈(263)은 운전자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을 해제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안경 형태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자의 안면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운행도중 눈의 피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종료, 운행 중단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운전자의 손을 이용하여 안면부로부터 착탈하고, 특정한 위치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각속도감지 모듈(263)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위치 자세의 변경을 감지하고, 소정 시간 동안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위치 자세가 착용형태의 위치 자세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로부터 착용해제 된 것으로 판단하여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카메라 모듈(264)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내측(안면부 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눈, 눈동자 등을 촬영한다. 카메라 모듈(264)이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운전자의 눈 또는 눈동자를 촬영하는 도중, 촬영 영상에서 운전자의 눈 또는 눈동자가 소정 시간 동안 촬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263)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로부터 착용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카메라감지 모듈(265)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부(25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감지한다. 이때, 카메라감지 모듈(265)에서 감지하는 영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거나, 소정 시간 이상 특정한 위치가 촬영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로부터 착용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즉,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부(25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운전자의 시야가 촬영되는 것으로써, 운전자가 운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운행에 따라 차량 전방, 측면, 룸 미러(room mirror), 사이드 미러(side mirror)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야가 움직이며, 이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에는 각각의 촬영되는 물체가 이동되는 것이 검출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을 해제하여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특정한 곳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부(25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특정한 곳을 지속하여 촬영하며, 케이스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조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물체도 촬영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카메라감지 모듈(265)은 카메라부(25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다가 특정 영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조명이 없는 밀폐된 공간에 보관되어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착용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266)은 안경 형태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다리에 해당하는 착용 지지부가 힌지 구성을 통해 절첩(折疊)되도록 이루어질 때, 절첩되는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렌즈가 착용 지지부와 연결되는 힌지 부위에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착용 지지부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눌리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착용 지지부가 접히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돌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 지지부가 접히는 동작에 따라 스위치가 돌출되면, 스위치 모듈(266)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로부터 착용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한편, 착용감지부(260)는 상기에 기재된 구성 이외에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인 경우에는 적용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받는 정보를 렌즈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105).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받는 정보는 영상정보, 운행정보, 차량상태 정보, 운전자 생체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등이며, 각각의 정보의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감지부(260)는 운전자에게 착용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착용해제를 감지한다(S110). 이때 착용감지부(260)는 압력감지 모듈(261), 온도감지 모듈(262), 각속도감지 모듈(263), 카메라 모듈(264), 카메라감지 모듈(265) 및 스위치 모듈(266)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운전자 착용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후, 착용감지부(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로부터 착용해제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S115), 착용감지부(260)는 착용해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제어부(210)는 착용감지부(260)로부터 착용해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으로 착용해제 신호를 전달한다(S120).
즉, 운전자로부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착용해제되는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300)이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정보를 전송한다 하여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제어부(210)가 착용해제 신호를 차량 시스템(300)으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시스템(300)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의 정보 전송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은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부(210)로부터 착용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대체 디스플레이를 검색한다(S125).
차량 시스템(300)에서 검색하는 대체 디스플레이는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헤드업 디스플레이 또는 동승자가 착용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검색된 대체 디스플레이가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인 경우에는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 이외에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함께 전송되거나,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고, 운전자의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기 위한 정보를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이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하던 정보는 대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된다.
만약, 차량 시스템(300)이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중 대체 디스플레이를 검색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S130),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며, 해당 선택된 대체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한다(S145).
이때, 차량 시스템(300)은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정보의 전송이 중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의 전원을 종료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전원부(270)로 전송하고, 전원부(270)는 제어부(210) 및 착용감지부(260)의 전원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전원을 종료한다(S150).
한편, S135 단계에서 차량 시스템(300)에서 대체 디스플레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300)은 운전자가 대체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대체 디스플레이 요청신호를 출력한다(S135).
대체 디스플레이 요청신호는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S135 단계 이후에 운전자로부터 대체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차량 시스템(300)에 수신되는 경우, 차량 시스템(300)은 S145 단계로 이동하여 정보를 대체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S150 단계 이후에,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에 구비된 착용감지부(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운전자에게 착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착용감지부(260)는 착용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제어부(210)는 착용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전원부(270)로 전송함으로써,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를 동작시킨다.
또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가 동작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차량 시스템(300)으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안경형 컴퓨터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200 : 안경형 컴퓨터 장치 210 : 제어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스피커
240 : 저장부 250 : 카메라부
260 : 착용감지부 261 : 압력감지 모듈
262 : 온도감지 모듈 263 : 각속도감지 모듈
264 : 카메라 모듈 265 : 카메라감지 모듈
266 : 스위치 모듈 270 : 전원부
280 : 입력부 290 : 통신부

Claims (10)

  1. 차량 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전자 착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착용감지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장착되어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착용감지부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에게 상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대체 디스플레이의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감지부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부는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상기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 모듈;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감지 모듈;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위치 자세를 검출하여,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각속도감지 모듈;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를 촬영하여,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감지하여,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카메라감지 모듈; 및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착용 지지부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차량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각각 인식하되, 상기 인식은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와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은 인식된 상기 운전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와 상기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를 각각 운전자 정보와 동승자 정보로 생성하여 매칭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은 상기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차량의 좌석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개별적으로 인식된 상기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에게 각각 매칭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7.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운전자에 착용된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와 상기 차량 시스템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차량 시스템 또는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제1 단계;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운전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상기 운전자에 착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가 착용해재 신호를 상기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차량 시스템은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를 대체 출력하기 위한 대체 디스플레이를 검색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차량 시스템이 상기 안경형 컴퓨터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대체 디스플레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대체 디스플레이의 선택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영상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이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대체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은 선택된 상기 대체 디스플레이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에서 검색되는 상기 대체 디스플레이는 동승자의 안경형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의 운영방법.
KR1020130147215A 2013-11-29 2013-11-29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150062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215A KR20150062498A (ko) 2013-11-29 2013-11-29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215A KR20150062498A (ko) 2013-11-29 2013-11-29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498A true KR20150062498A (ko) 2015-06-08

Family

ID=5350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215A KR20150062498A (ko) 2013-11-29 2013-11-29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는 안경형 컴퓨터 장치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216A (ko) * 2021-06-22 2022-12-29 장덕환 졸음 방지 및 집중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안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982A (ja) * 2000-03-31 2001-10-10 Toshiba Corp 自動2輪車の情報提供装置
KR100528587B1 (ko) * 2002-11-28 2005-11-1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JP2008232940A (ja) * 2007-03-22 2008-10-02 Denso Corp オートバイ用情報提供装置
JP4352396B2 (ja) * 2004-02-27 2009-10-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30030667A (ko) * 2011-09-19 2013-03-27 최재순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자동차 운행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982A (ja) * 2000-03-31 2001-10-10 Toshiba Corp 自動2輪車の情報提供装置
KR100528587B1 (ko) * 2002-11-28 2005-11-1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JP4352396B2 (ja) * 2004-02-27 2009-10-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32940A (ja) * 2007-03-22 2008-10-02 Denso Corp オートバイ用情報提供装置
KR20130030667A (ko) * 2011-09-19 2013-03-27 최재순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자동차 운행 보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216A (ko) * 2021-06-22 2022-12-29 장덕환 졸음 방지 및 집중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9711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655818B1 (ko) 웨어러블 글래스, 그 제어 방법 및 차량 제어 시스템
US11971612B2 (en) Eyewear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module
US201803654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US10838205B2 (en)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US9851568B2 (en) Retinal display projection device
US11378802B2 (en) Smart eyeglasses
EP3382443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098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enabled visual augmentation
JP2020102252A (ja) 運転者監視システム
US2016016522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06471435A (zh) 检测可穿戴装置的状态
US20230249618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20190317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reality assistance for vehicular navigation
US20180020910A1 (en) Visual acuity test device and visual acuity test system
JP2019109850A (ja) 透過型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130265169A1 (en) Eyewear Device Configured To Track Head Movement
KR101621876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전조등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KR20120048981A (ko) 운전자를 위한 다기능 신체착용 컴퓨터
JP2010058631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WO2002045044A1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2016009171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830712A (zh) 智能眼镜、组装式的眼镜、控制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80037909A (ko) 스마트 안경
JP2018055416A (ja) 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