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447A -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 Google Patents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447A
KR20150062447A KR1020130147104A KR20130147104A KR20150062447A KR 20150062447 A KR20150062447 A KR 20150062447A KR 1020130147104 A KR1020130147104 A KR 1020130147104A KR 20130147104 A KR20130147104 A KR 20130147104A KR 20150062447 A KR20150062447 A KR 2015006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oil
alkyl
skin cleans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452B1 (ko
Inventor
정창조
김대경
이존환
서보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4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4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오일 및 고농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피부 세정제는 오일의 안정화를 위해 고농축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고농축 계면활성제의 구조안정화를 위해 다른 구조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피부 세정제는 오일을 많은 함량으로 포함하므로 피부 세정 후에도 높은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워 후에도 피부가 건조하거나 당기지 않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SKIN CLEANING COMPOSTION HAVING HIGH MOISTURINZING AND HIGH FOAMING EFFECT}
본 명세서는 고농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 시 세정제를 사용하면 과도한 세정효과로 인하여 피부의 당김, 가려움, 트러블 등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정 후 보습제 등을 바르는 단계를 거쳐야 했다. 하지만 별도로 보습제를 바르는 것은 귀찮을 뿐만 아니라 끈적거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보습력이 증진되면서도 세정력은 유지되는 세정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정제에 과량의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보습력이 증진된 세정제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세정제에 과량의 오일을 함유하기 위해서는 고점도의 라멜라상이 필요하며 이러한 라멜라상을 만들기 위해 패티알코올이나 패티애씨드, 트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린 등의 구조화제의 사용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화제들의 경우는 사용시 안정도의 경시 문제나 기포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KR10-1114161 B1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농축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피부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세정제의 경우 안정도 또는 기포력을 저하시키는 구조화제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세정제로서 안정하고 높은 보습력 및 기포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오일,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구조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구조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구조체는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피부 세정제에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면서 보습력이 증진됨과 동시에 기포력 또한 우수한 세정제를 구현하여 샤워 후 피부가 건조하거나 당기지 않는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진 피부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명세서에 따른 구조체를 가지는 세정제의 기포력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는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 세정제 내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안정화시키는 구조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세정제로서, 피부세정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의 오일; 및 20 내지 50중량%인 고농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고농축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총중량을 기준으로 그 활성물질(active matter)를 5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인 피부 세정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세정제로서, 피부세정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의 오일; 20 내지 50중량%인 고농축 계면활성제; 및 3 내지 10 중량%인 구조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고농축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총중량을 기준으로 그 활성물질(active matter)를 5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인 피부 세정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고농축 계면활성제는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피부세정제는 피부세정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50중량%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3 내지 10중량%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구조체 또는 피부 세정제는 라멜라 구조(lamellar structure), 역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 또는 그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그 활성물질을 50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그 활성물질을50중량% 이상, 55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65중량% 이상, 68중량% 이상, 69중량% 이상, 70중량% 이상, 71중량% 이상, 73중량% 이상, 75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85중량% 이상, 90중량% 이상, 95중량% 이상, 또는 99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10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측면에 있어서, 구조안정화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역마이셀의 상변이에 의한 겔링현상을 방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라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400(polyethylene glycol 400)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피부 세정제에 첨가되어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라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민,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올레산(oleic acid)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피부 세정제에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화제는 그 HLB 값이 1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또한 HLB 값은 1.5이하, 1.4이하, 1.3이하, 1.2이하, 1.1이하, 1이하, 0.9 이하, 0.8 이하, 0.7이하, 0.6이하, 0.5이하, 0.4이하, 0.3이하, 0.2이하, 0.1이하, 0.01이하 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HLB 값을 계산하는 두가지 방법인 그리핀 방법(Griffin’s method) 및 데이비스 방법(davies’method)는 하기와 수학식 1 및 2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Mh는 분자의 친수성 부분의 분자량, M은 전체 분자의 분자량.
[수학식 2]
Figure pat00002
m - 분자 내의 친수성기 들의 개수
Hh - 친수성기들의 값
n - 분자 내의 소수성 기들의 개수
Hl - 소수성 기들의 값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따른 오일 안정화 구조체 및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피부 세정제는 오일을 포함하여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오일 안정화 구조체의 역마이셀 또는 라멜라 구조 내에 존재하여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구조안정화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화제는 피부 세정제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3~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8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는 제형의 안정성과 제조 시 핸들링이 가능한 함량이다. 또한 구조안정화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화제는 피부 세정제 총중량에 대하여 각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오일은 피부 세정제의 보습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며, 식물성오일; 광물유; 실리 오일 및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콩유, 팜유, 코코넛유, 및 카놀라유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물성 오일; 페트로라툼과 같은 광물유; 및 실리콘 오일 중의 1종 이상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는 제형의 안정성과 사용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함량이다. 또한 오일은 피부 세정제 총중량에 대하여 0.1중량%이상, 1중량%이상, 5중량%이상, 7중량%이상, 10중량%이상, 13중량%이상, 15중량%이상, 17중량%이상, 19중량%이상, 20중량%이상, 21중량%이상, 22중량%이상, 25중량%이상, 또는 30중량%이상일 수 있으며, 40중량%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 세정제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양쪽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로서 고농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포력이 양호하면서도 세정력이 우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C12(라우릴) 내지 C18(스테아릴)의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 설페이트 또는 여기에 2 내지 5개의 폴리옥시에테르기가 부가된 설페이트를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포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본 명세서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포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알리파틱 설포네이트, 아로마틱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과 아실 타우레이트, 알킬과 아실 사코시네이트, 설포아세테이트, C8-C22 알킬 포스페이트, 알켈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와 알콕시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실 락테이트, C8-C22 모노알킬 석시네이트와 말레이트, 설포아세테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암모니움 라우레스 설페이트(70%)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기포력 증진 효과가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킬 베타인, 알킬 설테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 설테인, 알킬 암포아세테이트,및 알킬 다이암포아세티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기포력 증진 효과가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알킬 글루코스 아마이드, 알킬 글루코스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패티 알칸 아마이드, 알킬 아민 옥사이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패티애씨드의 포릴옥시에틸렌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각 계면활성제는 피부 세정제 총 중량에 대하여 20~5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 하게는 30~35중량%일 수 있다. 각 계면활성제가 20중량% 미만이거나 50중량% 초과면 제형화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각 계면활성제는 피부 세정제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이상, 25중량%이상, 27중량%이상, 30중량%이상, 31중량%이상, 32중량%이상, 33중량%이상, 34중량%이상, 35중량%이상, 37중량%이상, 40중량%이상, 45중량%이상, 또는 49중량%이상일 수 있으며 50중량%이하 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점증제, 기포 안정제, 킬레이팅제, 컨디셔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로는 예를 들어 염(salt)을 사용할 수 있고, 기포 안정제로는 라우르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킬레이팅제로는 EDTA-2Na를 사용할 수 있고, 컨디셔닝제로는 글리세린, 양이온 폴리머인 구아(guar)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신체를 세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피부 세정제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의 제형은 샤워 젤, 로션, 바 비누, 액상 비누, 크림상 등의 피부 세정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피부 세정제는 포유류와 같은 동물의 신체(body)를 세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 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체(human body)를 세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친유성)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의미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로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있을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물 속에서 해리될 때 음이온이 되는 것이고,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이 되는 것이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 내에 음이온 또는 양이온 가능 부위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액의 pH에 따라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되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분이 비 전해질, 즉 이온화하지 않는 친수성 부분인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염(salt) 상태가 아닌 산(acid)상태인 지방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면활성제에 포함되는 활성물질은 그러한 계면 활성 성분을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용어“고농축”은 계면활성제가 그 활성물질(active matter)를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로 결정되며, 활성물질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고농축된 계면활성제가 된다. 이러한 고농축 계면활성제는 이하에서 살펴볼 시험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저농축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와 함께 피부 세정제에 포함될 수 있는 오일을 더욱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포는 액체내에 존재하는 기체들의 분산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용액에 공기가 유입되면 수용액 중에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계면활성제는 에너지적으로 더욱 안정한 공기 방울 쪽으로 배향하게 되고, 이것이 부력에 의해 뜨면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계면활성제 막으로 둘러싸여지게 되고, 기포가 형성된다, 즉 기포는 계면활성제의 이중막에 둘러싸여진 공기방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라멜라 구조(lamellar structure)는 계면활성제의 미셸의 형태 중 하나로서, 니트 상(neat phase) 또는 층상구조라고도 한다. 미셸은 그 계면활성제의 활성물질의 농도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며, 라멜라 형태는 계면활성제의 활성물질이 고농도인 상태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라멜라 구조의 소수기가 마주보는 면에 본 명세서에서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오일이 포함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라멜라 구조는 오일을 안정화시켜 피부 세정제 내에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역 마이셀은 계면활성제가 물이 아닌 기름 또는 비극성 용매에 첨가되었을 때 그 안에서 형성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들은 극성을 띄므로 기름 또는 비극성 용매를 피하여 서로 뭉쳐지게 되고 꼬리 부분은 용매 속으로 퍼져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역 마이셀에서 친수성 부분이 형성하는 구형 모양의 크기는 포함된 물의 양과 온도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HLB는 친수성-친유성 균형(hydrophile-lipophile balance)의 약어로서,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과 친유성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HLB가 크다는 것은 친수성의 비율이 크고, 작다는 것은 그 비율이 작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안정화제 중 하나인 올레산은 HLB가 1인 것으로서 친수성의 비율이 매우 작은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조안정화제는 계면활성제와 오일의 구조체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안정화 역할은 구조안정화제 외에 다른 계면활성제 또한 수행할 수 있다. 고농축 계면활성제의 경우 역마이셀 상태에서 사용될 때 겔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안정화제 또는 다른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계면활성제에는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올레산(oleic acid)일 수 있다.
이하, 비교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본 명세서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비교예,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명세서에 ?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명세서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비교예 1~5 및 실시예 1~7의 제조
하기 표 1 및 2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피부 세정제를 제조하였으며,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였다. 이 때 표 2의 실시예 1~4는 구조안정화제(겔링방지제)로 알코올의 탄소 길이를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또한, 표 3의 실시예 4~7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HLB 값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기능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 5
음이온 계면활성제 암모니움 라우레스 설페이트(70%) 40 36.5 36.5 - 33
암모니움 라우레스 설페이트(28%) - - - 33 -
구조안정화제 (겔링방지제) ethanol  - - -  - -
DPG  - -  -  -  -
glycerine  - - -  -  - 
POLYETHYLENE GLYCOL 400 -  7 -  7 7 
비이온 계면활성화제 OLEIC ACID -  -  7 7 7
양쪽성 계면활성제 MITAINE CA(S) 40 36.5 36.5 33 33
오일 선플라워 오일 20 20 20 20
제형화 가능 불가 가능 가능 가능
사이클링 점도-10/+45℃(30days) - 분리 - 분리 안정
45도(30days) - 분리 - 분리 안정
4도(30days) - 분리 - 분리 안정
기능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음이온 계면활성제 암모니움 라우레스 설페이트(70%) 33 33 33 33
구조안정화제 (겔링방지) ethanol  7 -  -  -
DPG -   7 -  -
glycerine -  -  7  -
POLYETHYLENE GLYCOL 400 -  - -  7
비이온 계면활성화제 OLEIC ACID  7 7  7 7
양쪽성 계면활성제 MITAINE CA(S) 33 33 33 33
오일 선플라워 오일 20 20 20 20
제형화 가능 가능 불가 가능
사이클링 점도-10/+45℃(30days) 분리 분리 -
양호
45도(30days) 분리 양호 - 양호
4도(30days) 분리 분리 - 양호
기능 원료명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음이온
계면활성제
암모니움 라우레스 설페이트(70%) 33 33 33 33
구조안정화제(겔링방지) POLYETHYLENE GLYCOL 400 7 7 7 7
비이온 계면활성화제 PEG-20 Glyceryl Triisostearat(HLB:8) -  7 -  - 
SORBITAN SESQUIOLEATE(HLB:4) -  -  7 - 
Sorbitan Trioleate(HLB:2) -  -  -  7
Oleic acid(HLB:1) 7 -  -  - 
양쪽성 계면활성제 MITAINE CA(S) 33 33 33 33
오일 선플라워 오일 20 20 20 20
제형화 가능 가능 가능 가능
사이클링 점도-10/+45℃(30days) 양호 분리 분리 분리
45도(30days) 양호 분리 양호 양호
4도(30days) 양호 분리 분리 분리
[시험예 1]
제형성 테스트
제형화는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패들믹서, 아지믹서, 호모믹서 사용시 혼합이 가능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구조안정화제(겔링방지제)로 Ethanol, DPG, PEG#400을 사용할 경우 제형화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안정도 테스트
안정도는 4도, 45도와 사이클링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사이클링 테스트는 11시간 동안 -10℃에서 방치한 후 1시간 동안 45℃로 히팅하고, 이후 다시 11시간 동안 45℃에서 방치하고 1시간 동안 -10℃로 냉각하는 사이클로 진행하였으며 1사이클(cycle)/1일(day)로 1달 동안 진행한 상의 분리 여부를 관찰하였다.
상기 표 1,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겔링방지제로 PEG#400과 구조화제로 비이온계면활성제중 올레산(oleic acid)을 사용한 경우 4도, 45도, 사이클링테스트에서 안정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탄소 길이가 가장 긴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의 경우에 피부 세정제가 가장 안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HLB값이 가장 낮은 올레산을 이용하여 피부 세정제를 제조하는 경우에 가장 안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4 와 실시예 4를 서로 비교해 보면, 서로 농축정도가 다른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것에만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시예 4의 경우만 4도, 45도, 사이클링테스트에서 안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의 경우 이에 함께 포함되는 오일을 저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더 안정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시 피부 등에 보습력이 강화된 세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보습력 비교
본 명세서에 의한 오일이 함유된 조성물의 보습력 평가는 설문에 의해 진행하였으며 만족도를 5점 만점으로 비교 하였다. 품평은 오일이 들어가지 않은 비교예5와 실시예 4번을 비교 품평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4
사용시 3 4
사용후 2 4
총점 2.5 4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5 에 비해 오일을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4의 경우 보습력을 느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시험예 3] 기포력 비교
기포력은 5점 척도로 품평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사용시 기포의 질감과 기포량, 그리고 전체 기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저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4와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시예 4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기포력 평가 비교예 4 실시예 4
기포량 3 5
기포질감 2 4
만족수준 2.5 4.5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 4의 경우에는 기포량 및 기포의 질감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전체적인 기포 만족도에 대하여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저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4 보다 월등히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의 경우 저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의 경우보다 그 기포력이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피부 세정제의 경우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오일을 안정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더불어 기포력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오일을 안정하게 포함하므로 세정시에 피부에 높은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샤워 젤 조성물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 4의 피부 세정제를 포함하는 샤워 젤 조성물을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물로 시작해서 다음에 주어진 순서대로 각 성분을 첨가하고, 각 첨가는 적합성을 얻기 위해 교반하는 단계를 동반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잔량
글리세린 0.4
실시예 4의 피부 세정제 54
폴리쿼터늄-7(8%) 1.50
테트라나트륨 EDTA(39%) 0.13
코코넛 디에탄올 아미드 1.00
0.65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디프로필글리콜 중 10% 0.30
무수구연산 0.06
[제형예 2] 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잔량
실시예 4의 피부 세정제 54
글리세린 2.60
나트륨 세테아릴 황산염 0.32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6
페녹시에탄올 0.15
0.30
99% 트리에탄올아민 0.30
디메티콘 0.80
[제형예 3] 크림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잔량
실시예 4의 피부 세정제 15
글리세린 2.60
이소헥사데칸 1.50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6
페녹시에탄올 0.15
0.30
99% 트리에탄올아민 0.30
디메티콘 0.80
[제형예 4] 바 비누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바 비누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80/20 수지/코코비누 70.38
17.38
실시예 4의 피부 세정제 5.0
40/60 코코/스테아릭 지방산 블렌드 3.0
티타늄 디옥사이드 0.3
바셀린 2.0
폴리쿼트-6 0.14
1.0
디메티콘 0.80

Claims (10)

  1. 피부 세정제로서,
    피부세정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의 오일;
    20 내지 50중량%인 고농축 계면활성제; 및
    3 내지 10 중량%인 구조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고농축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총중량을 기준으로 그 활성물질(active matter)를 5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인 피부 세정제.
  2. 제1항에 있어서, 고농축 계면활성제는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피부 세정제.
  3. 제2항에 있어서, 피부세정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50중량%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3 내지 10중량%인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4.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세정제는 라멜라 구조(lamellar structure), 역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 또는 그들의 조합인 것인 피부 세정제.
  5. 제2항에 있어서, 고농축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C12 내지 C18 알킬 설페이트, C12 내지 C18 알킬 폴리옥시에테르 설페이트알리파틱 설포네이트, 아로마틱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과 아실 타우레이트, 알킬과 아실 사코시네이트, 설포아세테이트, C8-C22 알킬 포스페이트, 알켈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와 알콕시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실 락테이트, C8-C22 모노알킬 석시네이트와 말레이트, 설포아세테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세정제.
  6. 제3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알킬 설테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 설테인, 알킬 암포아세테이트, 및 알킬 다이암포아세티이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세정제.
  7. 제3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올레산, 알킬 글루코스 아마이드, 알킬 글루코스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패티 알칸 아마이드, 알킬 아민 옥사이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패티애씨드의 포릴옥시에틸렌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세정제.
  8. 제3항에 있어서, 구조안정화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이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올레산인 피부 세정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식물성 오일; 광물유; 실리콘 오일 및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세정제로서,
    상기 식물성오일은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콩유, 팜유, 코코넛유, 및 카놀라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고, 상기 광물유는 패트로라툼인 피부 세정제.
  10.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세정제는 점증제, 기포 안정제, 킬레이팅제, 및 컨디셔닝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KR1020130147104A 2013-11-29 2013-11-29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KR10208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104A KR102083452B1 (ko) 2013-11-29 2013-11-29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104A KR102083452B1 (ko) 2013-11-29 2013-11-29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447A true KR20150062447A (ko) 2015-06-08
KR102083452B1 KR102083452B1 (ko) 2020-03-02

Family

ID=5350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104A KR102083452B1 (ko) 2013-11-29 2013-11-29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722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522A (ko) * 1996-09-23 2000-07-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오일 및 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개인용 세정 조성물
JP2001213760A (ja) * 2000-01-28 2001-08-07 Kao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KR20060018179A (ko) * 2004-08-23 2006-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20100026171A (ko) * 2008-08-29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저자극성 세정제 조성물
KR20100094055A (ko)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피오 코리아 보습력이 우수한 산업현장작업자용 바디세정제 조성물
KR101114161B1 (ko) 2009-01-28 2012-02-22 (주)아모레퍼시픽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130037899A (ko) * 2011-10-07 2013-04-17 (주)아모레퍼시픽 고보습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522A (ko) * 1996-09-23 2000-07-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오일 및 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개인용 세정 조성물
JP2001213760A (ja) * 2000-01-28 2001-08-07 Kao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KR20060018179A (ko) * 2004-08-23 2006-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20100026171A (ko) * 2008-08-29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저자극성 세정제 조성물
KR101114161B1 (ko) 2009-01-28 2012-02-22 (주)아모레퍼시픽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100094055A (ko)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피오 코리아 보습력이 우수한 산업현장작업자용 바디세정제 조성물
KR20130037899A (ko) * 2011-10-07 2013-04-17 (주)아모레퍼시픽 고보습 세정제 조성물
JP2014534186A (ja) * 2011-10-07 2014-12-18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高保湿洗浄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722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452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111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
DE202008018605U1 (de) Stabile flüssige Reinigungszusammensetzungen mit einem Fettsäureacylisethionat-Tensid
DE102019219714A1 (de) Single Dosage Shampoo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DE202008018621U1 (de) Fettsäureacylisethionattensidprodukt-enthaltende flüssige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en stabilisiert mit einer Mischung von lang- und kurzkettigen Fettsäuren/Fettseifen
KR101917201B1 (ko) 고보습 세정제 조성물
KR101629502B1 (ko)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EA023606B1 (ru) Специфические системы с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мягкого действия,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смягчающих средств, которые сохраняют пенообразование и фазовую устойчивость
CN104717959B (zh) 包含氧化酯改性的淀粉的组合物
CN107028775A (zh) 起泡清洁剂
WO2009071945A2 (en) Skin and hair wash preparation
KR20150062447A (ko)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KR101810716B1 (ko) 세정제
KR102607078B1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GB2598154A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2317773B1 (ko)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EP3621578B1 (en) Low viscosity, high polyol self-foaming composition
KR100467030B1 (ko) 마이크로에멀젼을응용한반투명화장수및그의제조방법
JP6307718B2 (ja) 油脂類を含む泡立つ洗浄剤組成物
KR20170050414A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2015086149A (ja) 口腔用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液体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