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269A - 루프랙 수납구조 - Google Patents

루프랙 수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269A
KR20150062269A KR1020130146716A KR20130146716A KR20150062269A KR 20150062269 A KR20150062269 A KR 20150062269A KR 1020130146716 A KR1020130146716 A KR 1020130146716A KR 20130146716 A KR20130146716 A KR 20130146716A KR 20150062269 A KR20150062269 A KR 2015006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oof rack
housing
rack
roof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269A/ko
Publication of KR2015006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랙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천장부를 이루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루프패널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루프랙 및 상기 루프랙의 하단에 결합되어 루프랙을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랙의 미사용시 제 1 탄성부를 압축하여 루프랙을 루프패널 하부로 수납하는 경우 루프랙의 상부면은 루프패널과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랙의 사용시 제 1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해 루프랙이 루프패널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루프랙의 미사용시 루프랙이 루프패널 하부로 수납되어 바람소리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차량의 외관미가 향상되어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루프랙 수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프랙 수납구조{STRUCTURE FOR STORING ROOF RACK}
본 발명은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랙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랙의 미사용시 제 1 탄성부를 압축하여 루프랙을 루프패널 하부로 수납하고, 루프랙의 사용시 제 1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해 루프랙이 루프패널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수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랙(roof rack)은 차량 내부의 실내 공간이 협소하여 짐이나 물건 등을 수납하기 불편할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루프패널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 스포츠용 물건, 각종 장비 또는 그 외의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특히, 미니밴,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또는 왜건(wagon) 등 RV(Recreational Vehicle) 차량의 경우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대부분 루프패널의 상부에 루프랙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루프랙은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루프랙(또는 사이드멤버)이 형성된 타입과 루프랙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루프랙 크로스바(또는 크로스멤버)가 부설된 타입으로 구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루프랙(2)은 차량의 천장부를 이루는 루프패널(1)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루프랙(2)에는 루프패널(1)에 적재된 각종 물건을 로프(미도시)를 통해 묶을 수 있도록 공간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루프랙(2)은 차량의 주행시 루프랙(2)의 공간부(3)로 바람이 유입됨에 따라 바람소리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야기되어 실내의 정숙성을 저하시키며 운전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루프패널(1)의 양측에 운전자가 취향에 따라 루프랙(2)을 장착할 수 있도록 마운팅 볼트 또는 너트(4)만 제공하는 차량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마운팅 볼트 또는 너트만 제공하는 차량의 경우 외관미가 우수하며 루프랙으로 인한 바람소리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전자가 루프랙을 별도로 구입하여 장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마운팅 볼트 또는 너트가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 루프랙의 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루프랙의 미사용시 루프랙이 루프패널 하부로 수납되어 바람소리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차량의 외관미가 향상되어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루프랙 수납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천장부를 이루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루프패널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루프랙(roof rack); 및 상기 루프랙의 하단에 결합되어 루프랙을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랙의 미사용시 제 1 탄성부를 압축하여 루프랙을 루프패널 하부로 수납하는 경우 루프랙의 상부면은 루프패널과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랙의 사용시 제 1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해 루프랙이 루프패널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는, 상기 루프랙의 하단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면은 루프패널의 하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루프랙의 돌출시 연장부의 상부면과 루프패널의 하부면이 면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는, 상기 루프랙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3 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는, 상기 루프랙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루프랙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상부 삽입홀 및 하부 삽입홀을 구비하는 한 쌍의 걸림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랙의 돌출시 돌기부는 걸림부의 상부 삽입홀에 삽입되어 루프랙을 강성 지지하고, 상기 루프랙의 수납시 돌기부는 걸림부의 하부 삽입홀에 삽입되어 루프랙을 강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는, 상기 걸림부 각각의 전방 및 후방에서 걸림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 및 상기 루프패널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부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시 걸림부가 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루프랙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돌기부가 걸림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루프랙의 미사용시 루프랙이 루프패널의 하부에 수납되고 루프랙의 사용시 루프랙이 루프패널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루프랙을 통과하는 바람소리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루프랙의 미사용시 루프랙이 루프패널의 하부에 수납되어 루프패널이 매끈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전체적인 외관미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루프랙 하단에 결합되어 루프랙을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가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으로 구성된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루프랙의 돌출시 하우징이 루프랙을 전후좌우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루프랙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걸림부에 형성된 상부 삽입홀 또는 하부 삽입홀에 삽입되어 루프랙을 강성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루프랙의 마운팅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루프패널의 측부에 장착하여 걸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루프랙을 돌출시키거나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에 루프랙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마운팅 볼트 또는 너트만 제공하는 차량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에서 루프랙이 루프패널 하부에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에서 루프랙이 루프패널 상부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이 인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사시도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이 압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사시도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이 돌출되었을 때 걸림부가 루프랙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가 루프랙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이 수납되었을 때 걸림부가 루프랙을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작동이 해제되었을 때 걸림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가 작동되었을 때 걸림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는, 차량의 천장부를 이루는 루프패널(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12), 상기 관통홀(12)을 통해 루프패널(10)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루프랙(roof rack, 20) 및 상기 루프랙(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루프랙(20)을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랙(20)의 미사용시 제 1 탄성부(30)를 압축하여 루프랙(20)을 루프패널(10) 하부로 수납하는 경우 루프랙(20)의 상부면은 루프패널(10)과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랙(20)의 사용시 제 1 탄성부(30)의 인장력에 의해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패널(10) 좌우 양측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한 쌍의 관통홀(1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2)과 대응되는 형태로 루프패널(10)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루프랙(20)이 설치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은 관통홀(12)을 통해 루프패널(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루프랙(20)의 하단에는 제 1 탄성부(30)가 결합되어 루프랙(20)을 탄성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탄성부(30)는 나선형으로 꼬인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으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한 것이라면 그 형태 및 종류에 상관없이 무엇이든 제 1 탄성부(30)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의 미사용시 운전자는 루프랙(20)을 하부로 밀어서 제 1 탄성부(30)가 압축된 상태로 루프패널(10)의 하부에 수납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의 사용시 루프랙(20)은 제 1 탄성부(30)의 인장력에 의해 루프패널(10)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의 상부면은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 하부에 수납되었을 때 루프패널(10)의 상부면과 완전히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루프랙(20)이 수납되었을 때도 루프패널(10)의 수밀성이 유지된다.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의 하단 좌우 양측에는 연장부(22)가 좌우 방향을 향해 돌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22)는 루프랙(20)이 제 1 탄성부(30)에 의해 돌출되었을 때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루프랙(20)에 형성된 연장부(22)의 상부면은 루프패널(10)의 하부면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 상부로 돌출되었을 때 루프랙(20)과 루프패널(10)을 완전히 밀착시켜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에 하단부에는 내부에 중공부(46)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1 하우징(40), 제 2 하우징(50) 및 제 3 하우징(60)이 결합되며, 상기 제 1 탄성부(30)는 제 1 하우징(40), 제 2 하우징(50) 및 제 3 하우징(60)의 중공부(46)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하우징(40), 제 2 하우징(50) 및 제 3 하우징(60)은, 루프랙(20)의 돌출시 인장된 제 1 탄성부(30)가 전후좌우로 요동함에 따라 루프랙(20)이 흔들리지 않도록 제 1 탄성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40)은, 루프랙(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헤드부(42) 및 제 1 하우징(40)의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 형태의 제 1 하우징 걸림턱(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50)도 제 1 하우징(40)과 마찬가지로 상부에 제 2 하우징 헤드부(5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하우징 걸림턱(54)이 형성되며, 제 2 하우징 헤드부(52)의 직경은 제 1 하우징(40)의 직경과 동일하고 제 2 하우징(50)의 직경은 제 1 하우징 걸림턱(4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탄성부(30)가 인장되어 제 2 하우징(50)이 제 1 하우징(40)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상기 제 1 하우징 걸림턱(44)에 제 2 하우징 헤드부(52)가 걸려서 제 2 하우징(50)이 제 1 하우징(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하우징(60)은, 상부에 제 2 하우징(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 3 하우징 헤드부(62)가 형성되고, 제 3 하우징(60)의 하부는 루프랙(20)의 하부에 배치된 루프프레임(14) 상에 형성된 프레임홀(16)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 2 하우징(50)과 마찬가지로 제 1 탄성부(30)가 인장되어 제 3 하우징(60)이 제 2 하우징(50)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상기 제 2 하우징 걸림턱(54)에 제 3 하우징 헤드부(62)가 걸려서 제 3 하우징(60)이 제 2 하우징(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40), 제 2 하우징(50) 및 제 3 하우징(60)은 전체적으로 제 1 하우징 헤드부(42)의 상단면이 루프랙(2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제 3 하우징(60)이 프레임홀(16)에 삽입되어 루프랙(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탄성부(30)가 인장되었을 때 제 1 하우징(40), 제 2 하우징(50) 및 제 3 하우징(60)은 계단형으로 펼쳐지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30)가 압축되었을 때 제 2 하우징(50) 및 제 3 하우징(60)은 제 1 하우징(40) 내부로 수용된다.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의 전단 및 후단에는 돌기부(24)가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루프랙(20)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위치에는 한 쌍의 걸림부(7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70)는 일면에 경사면(72)이 형성된 다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70)의 경사면(72)에는 상부 삽입홀(74) 및 하부 삽입홀(7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0)에 형성된 상부 삽입홀(74) 및 하부 삽입홀(76)의 직경은 루프랙(20)에 형성된 돌기부(24)의 단면 직경보다 조금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의 돌출시 돌기부(24)는 걸림부(70)의 상부 삽입홀(74)에 삽입되어 루프랙(20)의 전·후방에서 루프랙(20)을 강성 지지하고, 상기 루프랙(20)의 수납시 돌기부(24)는 하부 삽입홀(76)에 삽입되어 루프랙(20)의 전·후방에서 루프랙(20)을 강성 지지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7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제 2 탄성부(80)가 결합되어 걸림부(70)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걸림부(70)에는 루프패널(10)의 측부에 장착된 스위치부(90)가 케이블(9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90)가 작동 해제되었을 때, 루프랙(20)의 돌기부(24)는 제 2 탄성부(80)의 인장력에 의해 걸림부(70)가 안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걸림부(70)의 상부 삽입홀(74) 또는 하부 삽입홀(76)에 삽입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90)가 작동되었을 때, 루프랙(20)의 돌기부(24)는 걸림부(70)가 케이블(92)에 의해 당겨져서 바깥으로 이동됨에 따라 걸림부(70)의 상부 삽입홀(74) 또는 하부 삽입홀(76)에서 이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프랙 수납구조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 상부로 돌출되었을 때, 루프랙(20)은 돌기부(24)가 걸림부(70)의 상부 삽입홀(74)에 삽입된 상태로 강성 지지된다.
도 6b, 도 7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루프랙(20)을 루프패널(10) 하부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스위치부(90)를 작동시켜 걸림부(70)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돌기부(24)가 상부 삽입홀(74)에서 이탈된다.
도 6c,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 운전자가 상기 루프랙(20)을 루프패널(10) 하부로 누른 상태에서 스위치부(90)의 작동을 해제하면 걸림부(70)가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루프랙(20)은 돌기부(24)가 하부 삽입홀(76)에 삽입된 상태로 루프패널(10)의 하부에 수납되어 강성 지지된다.
운전자가 상기 루프랙(20)을 수납된 상태에서 돌출된 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작동과정을 반대로 수행하게 된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도 6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90)를 작동시켜 걸림부(70)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루프랙(20)은 루프랙(20)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탄성부(30)의 인장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고 루프랙(20)이 루프패널(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도 6a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90)의 작동을 해제시켜 돌기부(24)를 걸림부(70)에 삽입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루프패널
12 : 관통홀
14 : 루프프레임
16 : 프레임홀
20 : 루프랙
22 : 연장부
24 : 돌기부
30 : 제 1 탄성부
40 : 제 1 하우징
42 : 제 1 하우징 헤드부
44 : 제 1 하우징 걸림턱
46 : 중공부
50 : 제 2 하우징
52 : 제 2 하우징 헤드부
54 : 제 2 하우징 걸림턱
60 : 제 3 하우징
62 : 제 3 하우징 헤드부
70 : 걸림부
72 : 경사면
74 : 상부 삽입홀
76 : 하부 삽입홀
80 : 제 2 탄성부
90 : 스위치부
92 : 케이블

Claims (5)

  1. 차량의 천장부를 이루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루프패널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루프랙(roof rack); 및
    상기 루프랙의 하단에 결합되어 루프랙을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랙의 미사용시 제 1 탄성부를 압축하여 루프랙을 루프패널 하부로 수납하는 경우 루프랙의 상부면은 루프패널과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랙의 사용시 제 1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해 루프랙이 루프패널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수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하단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면은 루프패널의 하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루프랙의 돌출시 연장부의 상부면과 루프패널의 하부면이 면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수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제 3 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부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제 3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수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루프랙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상부 삽입홀 및 하부 삽입홀을 구비하는 한 쌍의 걸림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랙의 돌출시 돌기부는 걸림부의 상부 삽입홀에 삽입되어 루프랙을 강성 지지하고,
    상기 루프랙의 수납시 돌기부는 걸림부의 하부 삽입홀에 삽입되어 루프랙을 강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수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각각의 전방 및 후방에서 걸림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 및
    상기 루프패널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부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시 걸림부가 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루프랙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돌기부가 걸림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수납구조.
KR1020130146716A 2013-11-29 2013-11-29 루프랙 수납구조 KR20150062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16A KR20150062269A (ko) 2013-11-29 2013-11-29 루프랙 수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16A KR20150062269A (ko) 2013-11-29 2013-11-29 루프랙 수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269A true KR20150062269A (ko) 2015-06-08

Family

ID=535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716A KR20150062269A (ko) 2013-11-29 2013-11-29 루프랙 수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5370A1 (en) * 2017-06-12 2018-12-19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5370A1 (en) * 2017-06-12 2018-12-19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WO2018229044A1 (en) * 2017-06-12 2018-12-20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US11001204B2 (en) 2017-06-12 2021-05-11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114B1 (ko)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US20100213346A1 (en) Hanger device
CA2532606A1 (en) Functional side rail roof rack
KR101286469B1 (ko)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KR102146194B1 (ko) 캠핑 트레일러 침대 확장 장치
KR10127556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장착구조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10946806B2 (en) Mesh pocket for vehicle
KR20150062269A (ko) 루프랙 수납구조
US7213730B2 (en) Vehicle roof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cross rail
CN208855536U (zh) 娱乐支撑系统
US10336238B2 (en) Truck bed rear cargo tie down engagement structure
KR101305774B1 (ko) 자동차용 램프 구조
CN210659486U (zh) 一种车载帐篷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JP7033002B2 (ja) 支持部材の固定構造
JP2016128295A (ja) 車両
JP6681200B2 (ja) 車両用収納構造
JP2008265460A (ja) トノカバー装置
US9132767B2 (en) Cargo catch
KR20180013468A (ko) 해치백 차량의 리어필라
JP2006151218A (ja) トノボード
KR101787700B1 (ko)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KR100229362B1 (ko) 차량의 트렁크 보드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