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079A -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079A
KR20150062079A KR1020130146666A KR20130146666A KR20150062079A KR 20150062079 A KR20150062079 A KR 20150062079A KR 1020130146666 A KR1020130146666 A KR 1020130146666A KR 20130146666 A KR20130146666 A KR 20130146666A KR 20150062079 A KR20150062079 A KR 2015006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apparatus
field inspection
field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세경
서동우
신수용
이양복
허수진
장다솜
임경수
이재호
손창환
오흥범
장성수
권석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인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인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3014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079A/ko
Priority to PCT/KR2014/011397 priority patent/WO2015080455A1/ko
Publication of KR2015006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현장검사장치 거치부;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EMR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Inspection result Management system for field inspection apparatus being possible for visual identif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장검사장치를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촬영하여 EMR 서버로 전송하며, 나아가 촬영된 영상으로 자동으로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진단 키트, 임신 테스트 키트 등, 검사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현장에서 바로 검사결과의 확인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현장검사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경우, 수 분에서 수십 분 내에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검체를 채취하고, 시약 적용 후 반응 시간 동안 이를 보관하며, 검체를 재확인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나, 이와 같은 현장검사장치가 주로 사용되는 대형병원 응급실의 경우, 매우 혼잡하고 분주한 관계로, 현장검사장치가 분실되거나 섞이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현장검사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수작업으로 의무기록으로 작성하여야 하나, 육안 분석이 잘못되어도 현장검사장치는 이미 폐기된 경우가 발생하여, 불필요하게 재검사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현장검사장치 거치부;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EMR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거치된 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현장검사장치의 검사 결과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의 일 측에는, 환자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별 이미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메쉬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별 이미지를 판독하여,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에 적합한 대기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가 거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가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사가 완료된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거치되는 단계; 설정된 소정의 대기 시간 경과 후,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촬영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이 EMR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현장검사장치의 검사 결과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촬영되는 단계 이후, 상기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가 판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거치되는 단계 이후,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촬영되어, 거치된 현장검사장치에 적합한 대기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가 자동으로 촬영, 판독 및 저장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향상되는, 의료 기록의 저장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거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거치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거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거치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은,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200),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EMR 서버(300)로 전송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이 전송되고 저장되는 EMR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와 현장검사장치(200)를 거치하는 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장검사장치(200)는 검사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검사 결과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출되는 검사장치이다. 즉, 검사결과에 따라 색깔이 바뀌거나,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패턴의 형상이 바뀌는 등, 육안으로 소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장검사장치(200)의 예시로는, 소변을 이용한 임신 진단기, 혈액을 이용한 HIV, HCV, HBV 검사장치, 인후 분비물을 이용한 인플루엔자 항원 검사장치, 혈액을 이용한 매독, 기생충, 헬리코박터, 말라리아 검사장치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검사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현장검사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EMR 서버(300)로 전송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촬영부(130), 판독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면, 촬영 및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EMR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통신부(110)는 유무선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뿐 아니라,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근거리, 원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스마트 폰의 터치 스크린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기타 입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와 송수신한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는 파워 및 스피커, 마이크로폰과 같은 기타 주변 기기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촬영부(130)는 스마트 폰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기타 디지털 카메라 등 소정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촬영부(130)는 거치부(400)의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에 거치된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판독부(140)는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현장검사장치(200)가 검사결과에 따라 색깔이 바뀌는 형태의 현장검사장치(200)일 경우,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검사장치(200)의 색깔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장검사장치(200)가 검사결과에 따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패턴의 형상이 바뀌는 형태의 현장검사장치(200)일 경우,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검사장치(200)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또는 패턴의 형상이 바뀌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를 관리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프로그램 저장부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고,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가 판독하고,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EMR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사결과 관리가 시작될 경우, 소정의 대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여,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도록 촬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시간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거치부(400)에 부착된 바코드 등의 식별 이미지(B)를 통해 현장검사장치(200)의 종류를 식별하여, 해당 현장검사장치(200)에 적합한 대기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메모리와, 프로그램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촬영부(130), 판독부(140) 및 제어부(150) 등이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독립된 장치로 구비되어, 거치부(400)에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거치부(400)내에 통신부와 촬영부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거치부(4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현장검사장치(200)를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거치부(400)는 본체(410),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0)는 거치부(400)의 기저부를 이룬다. 본체(410)의 일 측에는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4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자석(4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석(412)이 본체(410)에 구비됨으로써, 여러 개의 거치부(400)를 횡 또는 열로 배치시에, 여러 개의 거치부(400)가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는 본체(410)의 돌출부(4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현장검사장치(200)를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가 본체(4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현장검사장치(200)에 적합한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가 본체(4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에는 현장검사장치(200)가 거치되는 현장검사장치 수용홈(421)이 형성되며, 현장검사장치 수용홈(421)에 현장검사장치(200)가 고정 결합된다.
한편, 현장검사장치 수용홈(421)의 일 측에는 식별 이미지 부착부(4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 이미지 부착부(422)에는 환자 정보 또는 검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탈부착될 수 있다. 즉, 환자의 이름, 주민번호, 병명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식별 이미지 부착부(422)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식별 이미지를 통해 현장검사장치(200)의 종류를 식별하여, 해당 현장검사장치(200)에 적합한 대기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장검사장치(200)를 거치부(400)에 거치한 후, 시작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여 현장검사장치(200)의 종류를 파악하고, 해당 현장검사장치(200)에 적합한 대기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하고 이를 EMR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는 식별 이미지의 일 예로써 바코드(B)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및 Maxi Code 와 같은 2차원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환자 정보 또는 검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 이미지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의 현장검사장치 수용홈(421)에 현장검사장치(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현장검사장치(200)의 일측에 바코드(B)와 같은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촬영부(130)는 현장검사장치(200)와 바코드(B)와 같은 식별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 또는 EMR 서버(300)에서 식별 이미지를 판독하여 현장검사장치(200)를 이용한 환자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식별 이미지 부착부(422)는 식별 이미지가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메쉬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식별 이미지 부착부(422)의 적어도 일부에 다수 개의 소형 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부식 처리되어, 식별 이미지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는 본체(4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를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는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와 대략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0)가 현장검사장치(200)를 정면에서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거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수용홈(431)이 형성되며, 사용자 단말기 수용홈(431)에 사용자 단말기(100)가 고정 결합된다.
도면에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가 본체(4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 또한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와 마찬가지로 본체(4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430)가 본체(410)에 결합될 수 있다.
EMR 서버(300)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관리하고 저장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EMR 서버(30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이 전송되고 저장된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검사결과가 자동으로 판독되어, 그 판독된 결과가 EMR 서버(300)로 전송될 경우, 검사결과까지도 자동으로 EMR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존에는 현장검사장치(200)를 이용한 검사 뒤에 일정시간 동안 기다려야 했으며, 검사결과 확인 후 현장검사장치(200)를 폐기하여 이후에 재확인이 불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에서는 현장검사장치(200)를 사진 촬영하여 이를 자동으로 EMR 서버(300)에 저장함으로써, 현장검사장치(200)의 폐기 이후에도 필요 시 재확인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검사 결과를 수기 기록 등의 방법으로 남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은 검사가 완료된 현장검사장치를 거치하는 단계(S110 단계), 설정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현장검사장치를 촬영하는 단계(S120 단계),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가 판독되는 단계(S130 단계), 및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이 EMR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S140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병원의 간호사 등은, 환자로부터 검사가 완료된 현장검사장치(200)를 거치부(400)의 현장검사장치 거치부(420)에 거치(S110 단계)하고, 식별 이미지 부착부(422)에 환자 정보 또는 검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부착한다. 그리고나서, 간호사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촬영부(130)는 상기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현장검사장치(200)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현장검사장치(200)에 적합한 대기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간호사의 입력에 의해 대기 시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설정된 소정의 대기 시간 경과 후, 사용자 단말기(100)의 촬영부(130)는 현장검사장치(200)를 촬영(S120 단계)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판독부(140)는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를 판독(S130 단계)한다. 즉, 현장검사장치(200)가 검사결과에 따라 색깔이 바뀌는 형태의 현장검사장치(200)일 경우,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검사장치(200)의 색깔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장검사장치(200)가 검사결과에 따라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패턴의 형상이 바뀌는 형태의 현장검사장치(200)일 경우,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검사장치(200)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또는 패턴의 형상이 바뀌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촬영된 현장검사장치 영상은 EMR 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S140 단계)된다. 이와 같이 현장검사장치(200)를 사진 촬영하여 이를 자동으로 EMR 서버(300)에 저장함으로써, 현장검사장치(200)의 폐기 이후에도 필요 시 재확인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검사 결과를 수기 기록 등의 방법으로 남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촬영부 140: 판독부
150: 제어부
200: 현장검사장치
300: EMR 서버
400: 거치부

Claims (13)

  1.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현장검사장치 거치부;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EMR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거치된 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장검사장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현장검사장치의 검사 결과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을 분석하여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의 일 측에는, 환자 정보 또는 검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이미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는 메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이미지를 판독하여, 거치된 상기 현장검사장치에 적합한 대기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가 거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거치부가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현장검사장치 거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10.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사가 완료된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거치되는 단계;
    설정된 소정의 대기 시간 경과 후,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촬영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이 EMR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은, 상기 현장검사장치의 검사 결과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표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촬영되는 단계 이후,
    상기 촬영된 상기 현장검사장치 영상으로부터 검사 결과가 판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검사장치가 거치되는 단계 이후,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촬영되어, 거치된 현장검사장치에 적합한 대기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KR1020130146666A 2013-11-28 2013-11-28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KR20150062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666A KR20150062079A (ko) 2013-11-28 2013-11-28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PCT/KR2014/011397 WO2015080455A1 (ko) 2013-11-28 2014-11-26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666A KR20150062079A (ko) 2013-11-28 2013-11-28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748A Division KR101646734B1 (ko) 2015-08-28 2015-08-28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079A true KR20150062079A (ko) 2015-06-05

Family

ID=5319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666A KR20150062079A (ko) 2013-11-28 2013-11-28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62079A (ko)
WO (1) WO20150804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1353B2 (ja) * 2007-06-19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検査シート
KR20120117604A (ko) * 2011-04-14 2012-10-2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상태 분석 방법 및 장치
JP5482721B2 (ja) * 2011-04-22 2014-05-07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分析装置
KR101225553B1 (ko) * 2011-05-30 2013-02-0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의료기기의 의료 기록과 피검사자 id를 맵핑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101247642B1 (ko) * 2011-06-28 2013-04-0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간-온도 지시계, 시간-온도 지시계의 제조방법, 시간-온도 지시계를 이용한 품질보증 시스템 및 품질보증 시스템을 이용한 품질보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455A1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5219B2 (en) Handheld diagnostic test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a test cartridge in a rapid diagnostic test
KR101646734B1 (ko)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CN105378810B (zh) 测量数据的远程共享
CN109727681A (zh) 疾病疫情预防监控普查系统
JP2007116270A5 (ko)
US20130200140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CN105814437A (zh) 生物芯片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013217B (zh) 检测吸食毒品人员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CA2735273A1 (en) A single-use handheld diagnostic test device, and an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test samples
JP2009291308A (ja) 医療機器管理システム
CN112530567A (zh) 信息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286880A (zh) 基于智慧云的血氧检测系统
JP2013148972A (ja) 患者対応支援システム、患者応対支援装置、患者応対支援方法、プログラム
TW201514861A (zh) 檢測卡匣讀取裝置及其讀取方法
CA3173637A1 (en) Image-based analysis of a test kit
JP2004227465A (ja) 看護支援システム、看護支援方法、および看護支援プログラム
CN210572324U (zh) 吸毒检测设备及系统
KR20150062079A (ko) 육안식별이 가능한 현장검사장치의 검사결과 관리 시스템 및 검사결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US10078926B2 (en)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anagement program
WO2022163032A1 (ja) 抗原検査端末機及びそれを用いたオンライン感染検査システム
KR1015749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EP2645101B1 (en) Test strip reader
JP2022115777A (ja) 抗原検査端末機及びそれを用いたオンライン感染検査システム
JP2021165674A (ja) 検体検査支援装置、方法、プログラム、検査媒体および検査キット
US11049242B2 (en) Portable and rapid screening in vitro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