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249A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249A
KR20150061249A KR1020130145117A KR20130145117A KR20150061249A KR 20150061249 A KR20150061249 A KR 20150061249A KR 1020130145117 A KR1020130145117 A KR 1020130145117A KR 20130145117 A KR20130145117 A KR 20130145117A KR 20150061249 A KR20150061249 A KR 2015006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s
viewpoint
viewpoint division
view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605B1 (ko
Inventor
이정환
백문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05B1/ko
Priority to US14/275,131 priority patent/US9549170B2/en
Publication of KR2015006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복수의 기본색 중 어느 한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표시판 그리고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적어도 2 이상의 시점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시점 분할 유닛을 포함하는 시점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은 상기 표시판의 열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화소의 행 방향의 폭과 상기 차광부의 행 방향의 폭의 비율을 3n:1 (n은 자연수)이라 할 때, 단위 시야 영역에서 상기 화소의 개수 NP = 2(3n+1)+1,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의 개수 NL = 3n+1 및 상기 시점의 개수 NV = 2(3n+1)+1을 만족하고, 상기 NP 개의 화소는 상기 NL 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 dimensional, 3D)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 표시 기술에서는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표현한다. 즉, 왼쪽 눈(좌안)과 오른쪽 눈(우안)에는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이 비춰지고, 좌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좌안 영상(left eye image) "이라 함)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우안 영상(right eye image) "이라 함)이 뇌로 전달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뇌에서 융합되어 깊이감(depth perception)을 갖는 3차원 영상으로 인식된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es),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등의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식(stereoscopic) 입체 영상 표시 장치와 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장치에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등의 광학계를 배치하는 무안경식(autostereoscopic)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있다.
무안경식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표시 장치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 및 개발되고 있는데,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여러 시점(view point)으로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와 컬러 필터 사이의 블랙 매트릭스가 휘도 불균일로 인하여 얼룩으로 시인되는 문제가 있다. 블랙 매트릭스가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입체 표시 장치는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모아레는 그 화질이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모아레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렌즈를 기울인 구조를 사용하는 시도가 있으나, 기울인 렌즈를 사용하게 되면 재료비가 상승하고 공정이 어려워지며, 좌우측의 렌즈 회절 효율 비대칭 현상 등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를 기울이지 않고 모아레 현상에 의한 휘도 감소를 개선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복수의 기본색 중 어느 한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표시판 그리고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적어도 2 이상의 시점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시점 분할 유닛을 포함하는 시점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은 상기 표시판의 열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화소의 행 방향의 폭과 상기 차광부의 행 방향의 폭의 비율을 3n:1 (n은 자연수)이라 할 때, 단위 시야 영역에서 상기 화소의 개수 NP = 2(3n+1)+1,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의 개수 NL = 3n+1 및 상기 시점의 개수 NV = 2(3n+1)+1을 만족하고, 상기 NP 개의 화소는 상기 NL 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시점 분할부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V 개의 시점은 모두 휘도가 같을 수 있다.
상기 화소 가운데 하나의 화소는 3n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화소의 3n개의 영역 각각은 상기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화소의 3n개의 영역 각각은 서로 동일한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화소의 3n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2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행 방향으로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가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시점 분할부는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9개의 시점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시점 분할부는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15개의 시점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NV 개의 시점 각각은 하나의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경사를 0으로 고정함으로써 좌우 테두리 폭을 줄일 수 있고, 화소와 차광부의 비와 렌즈 주기를 특정하여 모아레 현상에 따른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시점 분할부 및 시점 분할부에 의한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소와 차광부의 폭 비율이 3:1인 경우에 화소, 차광부 및 렌티큘러 렌즈의 대응 관계 그리고 이에 따른 각 시점에서의 색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각 시점에 따른 화소행의 색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소와 차광부의 폭 비율이 6:1인 경우에 각 시점에 따른 화소행의 색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설계식을 만족하는 수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판(300), 표시판 구동부(350), 시점 분할부(800) 및 시점 분할부 구동부(850)를 포함한다.
표시판(300)은 영상을 표시하며,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표시판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판(300)은 복수의 신호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서 행 방향은 x축 방향으로 표시하고, 열 방향은 y축 방향으로 표시한다. 각 화소(PX)는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공간 분할)하거나 복수 개의 화소(PX)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기본색을 표시(시간 분할)함으로써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 기본색들은 삼원색, 사원색 등 다양한 조합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 등 삼원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서로 다른 기본색을 표시하는 한 세트의 화소(PX)는 함께 하나의 도트를 이룰 수 있다. 하나의 도트는 입체 영상의 표시 단위로서 백색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 화소 열의 화소(PX)들은 동일한 기본색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각도의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열된 화소(PX)들이 동일한 기본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
표시판 구동부(350)는 표시판(300)에 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의 각종 구동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판(300)을 구동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점 분할부(800)는 표시판(300)의 화소(PX)가 표시하는 영상의 빛을 분할하여 각 화소(PX)에 대응하는 시점(view point)(VP1, VP2, …)으로 보낸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최적의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적 관찰 거리(optimal viewing distance, OVD)라 하면, 최적 관찰 거리(OVD)에서 각 화소(PX)가 표시하는 영상의 빛이 도달하는 지점의 x축 방향 위치를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판(300)의 각 화소(PX)는 어느 한 시점(VP1, VP2, …)에 대응하고, 각 화소(PX)는 시점 분할부(800)를 통해 대응하는 시점(VP1, VP2, …)에 영상의 빛을 보낼 수 있다. 관찰자는 각각의 눈으로 다른 시점의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깊이감, 즉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도 2는 최적 관찰 거리(OVD)에 위치하는 유한 개의 시점(VP1, VP2, …)을 예로서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X1)가 표시하는 영상이 관찰되는 시점이 제1 시점(VP1)이면, 각 제1 화소(PX1)들이 표시하는 영상의 빛은 시점 분할부(800)를 통해 제1 시점(VP1)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시점 분할부(800)가 표시판(300)과 관찰자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점 분할부 구동부(850)는 시점 분할부(800)에 연결되어 시점 분할부(8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판(300)이 표시하는 영상은 시점 분할부(800)를 통해 일정 시야각을 가지는 단위 시야 영역(unit view area)(RP)의 어느 한 시점(VP1-VPn)(n은 자연수)에 도달할 수 있다. 즉, 시점(VP1-VPn)은 어느 한 단위 시야 영역(RP) 안에 존재하며, 한 단위 시야 영역(RP) 안에서 빛이 도달하는 위치에 따라 각 화소(PX)의 대응 시점이 할당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분할부(800)는 복수의 시점 분할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시점 분할 유닛은 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8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렌티큘러 렌즈(810)는 한 방향으로 길게 뻗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렌티큘러 렌즈(810)의 연장 방향은 y축 방향과 나란하다. 렌티 큘러 렌즈(810)의 연장 방향이 y축 방향과 나란한 경우에 모아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렌티큘러 렌즈(810)의 연장 방향을 y축 방향과 나란하게 유지하면서도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화소(PX)의 폭과 차광부의 폭의 비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810)의 폭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소와 차광부의 폭 비율이 3:1인 경우에 화소, 차광부 및 렌티큘러 렌즈의 대응 관계 그리고 이에 따른 각 시점에서의 색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각 시점에 따른 화소행의 색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각 화소와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K)의 폭 비율이 3:1이고, 9개의 화소에 대응하도록 4개의 렌티큘러 렌즈(81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4에서 화소는 적색 화소(R1, R2, R3), 녹색 화소(G1, G2, G3) 및 청색 화소(B1, B2, B3)일 수 있다. 이러한 화소와 렌티큘러 렌즈(810)의 설계에 의해 단위 시야 영역(RP)에 총 9개의 시점(VP1, VP2, …, VP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9개의 시점(VP1, VP2, …, VP9)을 형성하기 위해 각 화소가 3개의 영역(1, 2, 3)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의 영상이 별개의 시점(VP)으로 할당되도록 결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8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렌즈(810a)는 제1 적색 화소(R1), 제1 녹색 화소(G1) 및 제1 청색 화소(B1)의 제1 영역(1)을 통과한 빛을 굴절시키고, 제2 렌즈(810b)는 제1 청색 화소(B1)의 제2 영역(2) 및 제3 영역(3), 제2 적색 화소(R2), 제2 녹색 화소(G2)의 제1 영역(1) 및 제2 영역(2)을 통과한 빛을 굴절시키며, 제3 렌즈(810c)는 제2 녹색 화소(G2)의 제3 영역(3), 제2 청색 화소(B2) 및 제3 적색 화소(R3)를 통과한 빛을 굴절시키고, 제4 렌즈(810d)는 제3 녹색 화소(G3) 및 제3 청색 화소(B2)를 통과한 빛을 굴절시킨다.
이 때, 도 4에서 제1 적색 화소(R1)의 제1 영역(1)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1 시점(VP1)에 할당되고, 제1 적색 화소(R1)의 제2 영역(2)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2 시점(VP2)에 할당되며, 제1 적색 화소(R1)의 제3 영역(3)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3 시점(VP3)에 할당된다. 제1 적색 화소(R1)와 제1 녹색 화소(G1)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K)에 의해 빛이 차단되고, 이렇게 차단된 효과는 제4 시점(VP4)에 할당된다. 계속해서, 제1 녹색 화소(G1)의 제1 영역(1)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5 시점(VP5)에 할당되고, 제1 녹색 화소(G1)의 제2 영역(2)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6 시점(VP6)에 할당되며, 제1 녹색 화소(G1)의 제3 영역(3)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7 시점(VP3)에 할당된다. 제1 녹색 화소(G1)와 제1 청색 화소(B1)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K)에 의해 빛이 차단되고, 이렇게 차단된 효과는 제8 시점(VP8)에 할당된다. 계속해서, 제1 청색 화소(B1)의 제1 영역(1)의 빛은 제1 렌즈(810a)에서 굴절되어 제9 시점(VP5)에 할당된다. 이와 같은 방법이 반복되어 제2 렌즈(810b), 제3 렌즈(810c) 및 제4 렌즈(810d)에 의해 굴절된 빛이 각 시점(VP)에 할당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렌즈(810a), 제2 렌즈(810b), 제3 렌즈(810c) 및 제4 렌즈(810d)에서 굴절되어 각 시점(VP)에 할당되는 화소의 배열을 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시점(VP1)에서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가 각각 하나씩 대응하고, 차광부는 1개 대응하고 있다. 제1 시점(VP1) 뿐만 아니라 다른 시점(VP2, VP3, …, VP9)에서도 R, G, B, K의 배열 순서에 차이가 있을 뿐, 혼합된 비율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시점(VP1, VP2, …, VP9)에서 차광부(K)에 의한 블랙 영상이 화소(R, G, B)에 의한 영상과 균일하게 혼합되어 각 시점(VP)에서의 휘도가 균일해 지기 때문에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소와 차광부의 폭 비율이 6:1인 경우에 각 시점에 따른 화소행의 색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설명하려는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며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각 화소와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K)의 폭 비율이 6:1이고, 15개의 화소에 대응하도록 7개의 렌티큘러 렌즈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화소와 렌티큘러 렌즈의 설계에 의해 단위 시야 영역(RP)에 총 15개의 시점(VP1, VP2, …, VP1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15개의 시점(VP1, VP2, …, VP15)을 형성하기 위해 각 화소가 6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의 영상이 별개의 시점(VP)으로 할당되도록 결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이점 외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6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설계식을 만족하는 수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의 행 방향의 폭과 차광부의 행 방향의 폭의 비율을 3n:1 (n은 자연수)이라 할 때, 단위 시야 영역에서 화소의 개수 NP = 2(3n+1)+1, 시점 분할 유닛의 개수 NL = 3n+1 및 시점의 개수 NV = 2(3n+1)+1을 만족한다. NP 개의 화소는 NL 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하나의 화소는 3n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화소의 3n개의 영역 각각은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소의 3n개의 영역 각각은 서로 동일한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되거나 화소의 3n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2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점 분할 유닛은 렌티큘러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렌즈 등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n=1, n=2, n=3, n=4, n=5인 경우에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차광부와 화소의 비율, 단위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화소의 개수, 렌즈의 개수, 시점의 개수를 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구조 설계를 통해 차광부에 의한 블랙 영상과 화소에 의한 영상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각 시점에서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는 n=1인 경우에 해당하고, 도 6의 실시예는 n=2인 경우에 해당한다. 물론,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n은 6이상의 자연수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00: 표시판 350: 표시판 구동부
800: 시점 분할부 810: 렌티큘러 렌즈
850: 시점 분할부 구동부

Claims (10)

  1.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복수의 기본색 중 어느 한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표시판 그리고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적어도 2 이상의 시점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시점 분할 유닛을 포함하는 시점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은 상기 표시판의 열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화소의 행 방향의 폭과 상기 차광부의 행 방향의 폭의 비율을 3n:1 (n은 자연수)이라 할 때, 단위 시야 영역에서 상기 화소의 개수 NP = 2(3n+1)+1,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의 개수 NL = 3n+1 및 상기 시점의 개수 NV = 2(3n+1)+1을 만족하고,
    상기 NP 개의 화소는 상기 NL 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시점 분할부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시점 분할 유닛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NV 개의 시점은 모두 휘도가 같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화소 가운데 하나의 화소는 3n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화소의 3n개의 영역 각각은 상기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화소의 3n개의 영역 각각은 서로 동일한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화소의 3n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2개의 시점 분할 유닛에 의해 각기 다른 시점으로 할당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화소는 행 방향으로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가 순차적으로 반복되거나 적색 화소, 청색 화소 및 녹색 화소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3항에서,
    상기 시점 분할부는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9개의 시점으로 분할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시점 분할부는 상기 표시판이 표시하는 영상을 15개의 시점으로 분할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NV 개의 시점 각각은 하나의 차광부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0130145117A 2013-11-27 2013-11-2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15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117A KR102153605B1 (ko) 2013-11-27 2013-11-2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14/275,131 US9549170B2 (en) 2013-11-27 2014-05-12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117A KR102153605B1 (ko) 2013-11-27 2013-11-2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249A true KR20150061249A (ko) 2015-06-04
KR102153605B1 KR102153605B1 (ko) 2020-09-09

Family

ID=5318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117A KR102153605B1 (ko) 2013-11-27 2013-11-2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9170B2 (ko)
KR (1) KR102153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2050B2 (ja) * 2013-05-14 2016-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4157262B (zh) * 2014-08-08 2017-09-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提高3d液晶显示器在3d显示时的亮度均匀性的方法及系统
CN111757088A (zh) * 2019-03-29 2020-10-09 刁鸿浩 一种分辨率无损的裸眼立体显示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507A (en) * 1995-07-04 1998-11-10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n SLM, SLM,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backlight
JP2012014147A (ja) * 2011-02-07 2012-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レンズ部品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20170833A1 (en) * 2009-09-25 2012-07-05 Yoshiyuki Kokojima Multi-view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2203166A (ja) * 2011-03-25 2012-10-22 Japan Display West Co Ltd 表示装置
JP2012233990A (ja) * 2011-04-28 2012-11-29 Japan Display West Co Ltd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424A (en)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4834592B2 (ja) 2007-03-29 2011-12-14 株式会社東芝 三次元映像表示装置
KR101728821B1 (ko) 2010-09-28 2017-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JP5378342B2 (ja) 2010-11-15 2013-12-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662290B2 (ja) 2011-09-29 2015-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30053229A (ko) 2011-11-15 2013-05-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KR20130055997A (ko) 2011-11-21 2013-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134595B1 (ko) 2013-09-16 2020-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507A (en) * 1995-07-04 1998-11-10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n SLM, SLM,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backlight
US20120170833A1 (en) * 2009-09-25 2012-07-05 Yoshiyuki Kokojima Multi-view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2014147A (ja) * 2011-02-07 2012-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レンズ部品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203166A (ja) * 2011-03-25 2012-10-22 Japan Display West Co Ltd 表示装置
JP2012233990A (ja) * 2011-04-28 2012-11-29 Japan Display West Co Ltd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9170B2 (en) 2017-01-17
US20150145976A1 (en) 2015-05-28
KR102153605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545B1 (ko) 입체 화상 재생 장치
TWI514005B (zh) 裸眼式立體影像顯示裝置
KR101283201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US8941918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JP6374506B2 (ja) 3次元表示方法
WO2013061734A1 (ja) 立体表示装置
WO2017020473A1 (zh) 三维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JP2009139947A (ja) 3次元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20053459A (ko) 입체 표시 장치
JP5621501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US201203270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US8933976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2996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JP2012189885A (ja) 表示装置
JP2010282090A (ja) 立体表示装置
JP2013088685A (ja) 表示装置
US10021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185397B2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panel having opening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07376B2 (en) Stereopsis display device
JP2012194274A (ja) 表示装置
KR20140041102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4510935A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及びこのパララックスバリアを含む立体表示装置
JP5621500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KR10215360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80157055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