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434A -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 Google Patents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434A
KR20150058434A KR1020157010065A KR20157010065A KR20150058434A KR 20150058434 A KR20150058434 A KR 20150058434A KR 1020157010065 A KR1020157010065 A KR 1020157010065A KR 20157010065 A KR20157010065 A KR 20157010065A KR 20150058434 A KR20150058434 A KR 2015005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output
holding voltage
curr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71625B1 (en
Inventor
크리산토스 치파노포울로스
디르크 하젠코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5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05Circuit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s or for holding the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4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01H47/325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by switching reg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6Ambient conditions
    • B60L2240/66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30)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제1 출력(15) 및 2개 이상의 제2 출력(16)을 포함하며, 이 제2 출력을 통해서 제어 회로(30)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30)는 유지 전압 유닛(10)을 포함하며, 이 유지 전압 유닛은 자신의 출력(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1 출력(15)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보빈을 위한 유지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유지 전압을 자신의 출력(6)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회로(30)는 조절 회로(20)를 구비하며, 이 조절 회로는 전기 접속부(8) 및 유지 전압 유닛(10)의 입력(9)에 접속되어 있고, 전기 접속부(8)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그리고 이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10)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circuit (30) for two or more contactors, said control circuit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output (15) and at least two second outputs (16) The control circuit 3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wo or more control bobbins for two or more contactors. The control circuit 30 also comprises a holding voltage unit 10 which is connected to one or more first outputs 15 via its output 6 and which is connected to a holding current To its own output (6).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30 comprises an adjusting circuit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9 of the electrical contact 8 and the holding voltage unit 1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sustain voltage unit 10 an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sustain voltage unit 10. [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two or more contactors.

Figure P1020157010065
Figure P1020157010065

Description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및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circuit for two or more contacto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wo or more contactors.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제어 회로는 조절 회로를 구비하며, 이 조절 회로에 의해서는 전류가 접촉기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조절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circuit for two or more contactors, the control circuit comprising an adjustment circuit by means of which the curren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사실은, 미래에는 정적인 적용 예들에서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 차량과 같은 차량들의 경우에도, 신뢰성 측면에서 매우 높은 요구 수준이 제기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대한 배경은, 배터리의 고장이 안전과 관련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 적용 예에서 요구되는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다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로 접속되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높은 출력 전압이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은 높은 출력 전압은 적절한 조치 없이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의 상응하는 전력 공급 라인에 지속적으로 인가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일반적으로는,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기 위하여 접촉기가 제공된다. 전기식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플러스 극에 뿐만 아니라 마이너스 극에도 접촉기가 설치되며, 이 접촉기는 배터리의 고 전압용으로 설계되었고, 1,000A 이상의 단락 전류에서도 배터리를 신뢰할만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The prominent fact is that in the future not only in static applications but also in vehicles such as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the use of battery systems with very high requirements in terms of reliability will increase. The background to this fact is that failure of the battery can cause safety-related problems. In order to provide the output required in the individual applications, typically a number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which results in a high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I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of the supplied device and can be a risk to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For this reason, in general, a contactor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lectrically disconnect the battery. In the case of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n electric drive motor, a contactor is normally installed not only on the positive pole of the battery but also on the negative pole. This contactor is designed for the high voltage of the battery and reliably separates the battery from the short- Should be able to do.

접촉기의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는 통상적으로 전자식 출력단을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접촉기의 제어 보빈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회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 출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지는 않다. 하지만, 스위치 온 과정에서는 접촉기를 신뢰할만하게 기동(starting)시키기 위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콘택을 연이어 유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제어 전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접촉기의 제어를 두 가지 모드, 즉 기동 모드 및 유지 모드(또는 기동 단계 및 유지 단계)로 세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개별 모드에서 특징적인 것은, 제어 전류의 레벨이 유지 모드 동안보다는 기동 모드 동안에 더 높다는 것이다. 본원에서는 기동 레벨 및 유지 레벨로 언급된다. 이때 기동 모드는 단지 접촉기의 스위치 온(폐쇄)을 위해서만 요구되고, 그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다. 대부분의 사용 기간 동안 접촉기는 출력을 절약하는 유지시 모드에서 작동된다. 그렇기 때문에,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는 두 가지 작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어야만 한다.Switching on and off of the contactor is typically via an electronic output or through a control circuit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At this time, the control output is not negligible. However, in order to reliably start the contactor in the switch-on process, a much higher control current is needed than is necessary to keep the contacts in a closed state.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to subdivide the control of the contactor into two modes, i.e., the start mode and the hold mode (or the start phase and the hold phase). What is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mode is that the level of the control current is higher during the startup mode than during the maintenance mode. It is referred to herein as a start level and a maintenance level. At this time, the start mode is required only for switching on (closing) the contactor, and the period is relatively short. During most periods of use, the contactor is operated in the hold mode, which saves power. Therefore, the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tactor must be able to provide two operating modes.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10 041 018 A1호에는, 접촉기의 제어 보빈을 위한 유지 전류를 자신의 출력 측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설계된 유지 전류 유닛을 포함하는,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10 041 018 A1호에 개시된 장치에 의해서는, 하나 이상의 접촉기가 바람직하게는 기동 단계 동안에 그리고 유지 단계 동안에 일정한 전압의 상이한 전압 레벨로 제어될 수 있다.Germ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DE 10 2010 041 018 A1 disclose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actor comprising a holding current unit designed to output a holding current for a control bobbin of a contactor to its output side output. With the arrangement disclosed in German Patent Application DE 10 2010 041 018 A1, one or more contactors can preferably be controlled at different voltage levels of constant voltage during the start-up phase and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하지만,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10 041 018 A1호에 개시된 장치 내부에 사용된 부품들은 특히 접촉기의 제어 보빈의 권선 저항, 온도 종속성 그리고 제조로부터 기인되는 부품 파라미터들의 편차를 갖는다. 또한, 유지 전류 유닛에 의해서 발생 되는 유지 전압은 생산 시간을 위해 확정된 값에 맞추어서 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관련 부품들은, 극단의 온도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필요한 유지 전류가 유지 전류 유닛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부품들의 전도성 및 그로 인한 전류 흐름이 예를 들어 접촉기의 제어 보빈에 의해서 야기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온도에 의해서 변동되기 때문에, 원래 요구된 전류를 위해서 필요한 것보다 크게 부품들을 치수 설계해야만 한다.However, the components used inside the device disclosed in German Patent Application DE 10 2010 041 018 A1 have in particular a variation in the winding resistance, temperature dependence and component parameters resulting from the manufacture of the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Further, the holding voltage generated by the holding current unit is adjusted to a value determined for production time. Therefore, the associated components must be designed such that the necessary holding current can be provided by the holding current unit even when extreme temperatures are present. However, since the conductivity of the components and the resulting current flow are varied by temperature, for example, as caused by the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the components must be dimensioned larger than needed for the originally required current.

이와 같은 이유에서,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10 041 018 A1호에 개시된 장치의 유지 회로 내에 사용된 부품들은 66%까지 더 크게 치수 설계되어야만 하며, 이와 같은 필연성은 부품들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설치 공간 및 비용을 과도하게 증가시킨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the parts used in the holding circuit of the device disclosed in German Patent Application DE 10 2010 041 018 A1 must be dimensioned to 66% larger, Space and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및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ontrol circuit for two or more contacto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wo or more contactors in order to be able to solve at least part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라,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가 제공되며, 이 제어 회로는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이들 단자를 통해서 제어 회로가 에너지 저장 장치의 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이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제1 출력 및 2개 이상의 제2 출력을 포함하며, 이 제2 출력을 통해서 제어 회로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제2 출력은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를 통해 제2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회로는 유지 전압 유닛을 포함하며, 이 유지 전압 유닛은 출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구비하고, 자신의 출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1 출력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 보빈을 위한 유지 전류를 조정하기 위하여 유지 전압을 자신의 출력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회로는 조절 회로를 구비하며, 이 조절 회로는 전기 접속부 및 유지 전압 유닛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고, 전기 접속부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그리고 이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circuit for two or more contactors, the control circuit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terminal through which a control circuit can be connected to the pole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he control circuit also includes one or more first outputs and two or more second outputs through which the control circuit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wo or more control bobbins for two or more contactors. And the two or more second output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s through respective one electrical connections. The control circuit also includes a holding voltage unit having an input for receiving an output and a control signal and being connected to one or more first outputs through its output, It is designed to provide a holding voltage to its output to adjust the holding curr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comprises an adjusting circuit,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electrical contact and the holding voltage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electrical contact, It is designed to transmit to the holding voltage unit.

이와 같은 제어 유닛에서의 장점은, 조절 회로를 통한 유지 전압 유닛의 추후 제어가 접촉기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에 따라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서 제공되는 유지 전압 또는 제공된 유지 전압에 의해서 야기되는 유지 전류는, 제어 회로에 접속된 제어 보빈에 의해서, 제어 보빈 자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가 각각의 시점에 제어 보빈에 의해서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는 상황이 보장될 수 있다. 제어 회로의 구현을 위해서 사용된 부품들은 더 이상 임시로 과도하게 치수 설계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제어 회로의 구현을 위한 비용 및 반드시 필요한 설치 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An advantage of such a control unit is that subsequent control of the holding voltage unit via the regulating circuit is made possible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Therefore, the holding current caused by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by the holding voltage unit or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bobbin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bobbin itself. Thus, it can be ensured that the current can be accurately adjusted by the control bobbin at each time point. The components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circuit no longer need to be temporarily excessively dimensioned,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and necessarily the required installation spa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circuitry.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유지 전압 유닛은 자신의 출력에 제공된 유지 전압의 양을,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에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게 변경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유지 전압 유닛 또는 제공된 유지 전압 및 그와 더불어 제1 출력 내부로 출력된 유지 전류의 선형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어 신호의 유형은 유지 전류의 변경 유형을 결정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lding voltage unit is designed to change the amount of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at its output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hereby, for example, a linear adjustmen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or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and the holding current output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output together therewith becomes possible. At this time, the type of control signal determines the type of change of the holding current.

바람직하게, 조절 회로는 최소 전류-선택 회로를 포함하며, 이 최소 전류-선택 회로는 출력을 구비하고, 전기 접속부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실제값을 측정하도록 그리고 측정된 전류 실제값의 최소값(Imin)을 자신의 출력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되었다.Preferably, the regulating circuit comprises a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which has an output and is adapted to measure the actual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and to determine a minimum value of the measured current actual value, I min ) Through its own output.

바람직하게, 최소 전류-선택 회로는 저항 및 각각의 전기 접속부마다 다이오드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이 경우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는 각각 하나의 다이오드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경우 다이오드의 양극은 저항의 일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이오드 회로에 의해서는 최소 전류-선택이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입력에 인가되는 입력 변수들 중에 최소 입력 변수가 항상 다이오드 회로의 출력에서 출력되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comprises a resistor and a diode for each respective electrical connection, wherein each on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s is connected to the cathode of one of the diodes, Respectively. A minimum current-selection can be implemented by such a diode circuit because the minimum input variable among the input variables applied to the input is always output at the output of the diode circuit.

특히 바람직하게, 최소 전류-선택 회로는 저항 및 각각의 전기 접속부마다 각각 2개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을 갖는 정밀 정류기를 구비하며, 이 경우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는 정밀 정류기의 각각 하나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개별 정밀 정류기의 각각의 다른 입력은 개별 정밀 정류기의 출력으로 리턴되었으며, 이 경우 모든 정밀 정류기의 출력은 저항의 일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comprises a resistor and a precision rectifier having two inputs and one output each for each electrical connection, wherein each one electrical connection is connected to a respective one input of the precision rectifier While each other input of the individual precision rectifier is returned to the output of the individual precision rectifier, in which case the output of every precision rectifier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resistor.

바람직하게, 정밀 정류기는 반(返) 결합(back coupling) 된 연산 증폭기로서 구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 연산 증폭기의 반 결합 분기들은 각각 하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이 경우 다이오드의 음극은 각각 자신의 개별 연산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다이오드의 양극은 자신의 개별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밀 정류기 회로에 의해서는, 마찬가지로 최소 전류 선택이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장착된 다이오드의 순 방향 바이어스는 실온에서, 다시 말해 다이오드의 오프셋 상태에서 보상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정밀 정류기에 의해 구현된 최소 전류-선택 회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회로에 의해서는 전기 접속부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실제값의 매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사용된 연산 증폭기는 단락에 안정적이고, 주파수 보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큰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지며, 적은 출력을 소비한다.Preferably, the precision rectifier is implemented as an operational amplifier that is back coupled, in which case the anti-coupling branches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each have one diode, in which case the cathodes of the diodes each have their own While the anode of the diode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of its separate operational amplifier. With such a precision rectifier circuit, the minimum current selection can likewise be realized and also the forward bias of the mounted diode can be compensated at room temperature, that is, in the offset state of the diode. Thereby, a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implemented by a precision rectifier with a diode can be provided, which allows a very accurate measurement of the actual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al amplifier used at this time is stable in the short-circuit, does not require frequency compensation, has a large input voltage range, and consumes less power.

전술된 실시 예들 중에 일 실시 예의 바람직한 일 개선 예에서, 조절 회로는 제1 조정 회로를 구비하며, 이 조정 회로의 입력은 최소 전류-선택 회로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회로의 출력은 최소 전류-선택 회로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정 회로는, 자신의 입력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을 위한 유지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럼으로써, 제어 회로 내부에는 외부 조절 루프가 구현되어 있으며, 이 외부 조절 루프는 제어 보빈을 통해서 리턴된 유지 전류에 의해 작동하고, 중첩된 외부 전류 조절기로서 간주 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on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the regulating circuit comprises a first regulating circuit, the inpu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ng circuit, -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select circuit. Preferably, the first adjusting circui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mparing a current flowing into the input of the first comparator with a reference value, and adjusting a holding voltage for the holding voltage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to the holding voltage unit. Thereby, an external control loop is implemented inside the control circuit, which is operated by the holding current returned through the control bobbin and can be regarded as a superimposed external current controller.

상기 실시 예의 바람직한 일 개선 예에서, 기준값은 제어될 접촉기의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min)에 상응한다. 그럼으로써,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 제공된 유지 전압 또는 이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 생성된 유지 전류가 제어 회로에 접속된 접촉기의 제어 보빈에 의해서 항상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와 같거나 그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유지 전압 유닛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IHmin은, 기동 된 상태에서 유지 단계 동안에 개별 접촉기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흘러야만 하는 바로 그 전류이다.In one preferred refinement of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s to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current I min of the contactor to be controlled. Thereby, either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by the holding voltage unit or the holding current generated by this holding voltage unit is alway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holding current I Hmin required by the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at all times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holding voltage unit. Where I Hmin is the current that must flow through at least the control bobbin in order to maintain the individual contactor during the hold phase in the actuated state.

상기 실시 예의 바람직한 일 개선 예에서, 제1 제어 신호는 항상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서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유지 전압 유닛을 위한 제어 신호에 상응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제어 보빈을 통해 항상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가 흐르는 상황이 제2 조정 회로를 통해서 계속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의해서는, 내부 조절 루프에 관여하는 외란(disturbance), 예컨대 유지 전압 유닛의 입력 전압의 변동이 또한 상기 구간에서 직접 조절될 수 있다. 내부 조절 루프는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서 제공된 유지 전압과 목표값 간의 차이에 직접 반응하며, 이 경우에 이와 같은 직접적인 반응은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의 편차 및 이와 더불어 외부 조절 루프에 관여하는 외란을 야기하지 않는다. 이때,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압은, 제어 회로에 접속된 접촉기의 각각의 제어 보빈 내에서 전류 - 이 전류의 크기는 적어도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에 상응함 - 의 흐름을 야기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서의 전압에 상응한다.In a preferred refinement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signal always cor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for the holding voltage unit, which is necessary to adjust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at all times. In this way, a situation in which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current (I Hmin ) always flows through the control bobbin can be ensured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a disturbance involved in the internal regulation loop, for example a variation of the input voltage of the holding voltage unit, can also be directly regulated in the interval. The internal control loop is directly responsiv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ld voltage provided by the hold voltage unit and the target value and in this case this direct response is the deviation of the hol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bobbin and the disturbance involved in the external control loop It does not cause. At this time,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voltage is required to cause the flow of current in each control bobbin of the conta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 this current corresponds at least to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current (I Hmin ) ,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바람직하게, 조절 회로는 제2 조정 회로를 포함하며, 이 제2 조정 회로는, 제1 조정 회로에 의해서 발생 된 제1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 제공된 유지 전압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에 추가의 제어 신호를 중첩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그럼으로써, 제어 회로 내부에는 내부 조절 루프가 구현되어 있으며, 이 내부 조절 루프는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 제공된 유지 전압에 의해 작동하고, 중첩된 내부 전류 조절기로서 간주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정 회로의 제어 변수 또는 입력 변수는 제1 조정 회로에 의해서 발생 된 제1 제어 신호이다. 다시 말해, 내부 조절 루프는 외부 조절 루프로부터 유래하는 자신의 입력값과 관련이 있다.Preferably, the regulating circuit comprises a second regulating circuit, which compares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regulating circuit with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To superimpose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on the first control signal. Thereby, an internal regulating loop is implemented inside the control circuit, which is operated by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and can be regarded as a superimposed internal current regulator. In this case, the control variable or input variable of the second adjustment circuit is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In other words, the internal adjustment loop is related to its input value resulting from the external adjustment loop.

바람직하게, 제2 조정 회로에 의해 각각 2개의 연속하는 추가 제어 신호의 형성 사이에 놓여 있는 평균 기간(T2)은, 제1 조정 회로에 의해 각각 2개의 연속하는 제1 제어 신호의 형성 사이에 놓여 있는 평균 기간(T1)보다 팩터 X만큼 더 작으며, 이 경우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0 < X < 1). 그럼으로써, X에 걸친 제1 조정 회로와 제2 조정 회로 서로 간의 시간 특성이 확정되며, 이 경우 제1 조정 회로는 항상 제2 조정 회로보다 느리게 동작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는 내부 조절 루프가 외부 조절 루프보다 빠르다. 따라서, 제1 조정 회로에 의해서 발생 되고 전송된 제1 제어 신호는 항상 제2 조정 회로에 의해서 검사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정된다.Preferably, the average period (T 2 ) lying between the formation of two successive additional control signals by the second adjustment circuit is between the formation of two successive first control signals by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Is less than the mean period (T 1 ) lying by a factor X, where X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0 <X <1). Thereby, the time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adjusting circuit and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across X is determined, and in this case, the first adjusting circuit always operates slower than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adjustment loop is faster than the outer adjustment loop. Therefore,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first arbitration circuit is always checked by the second arbitration circuit and corrected in some cases.

바람직하게, 유지 전압 유닛은 스위칭 변환기로서 구현되었다.Preferably, the holding voltage unit is implemented as a switching converter.

또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방법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제어 보빈 그리고 하나의 유지 전압 유닛을 포함하며, 이 유지 전압 유닛은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에 접속되어 있고, 자신의 출력에서 발생 되는 유지 전압에 의해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 흐름을 야기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 단계들을 포함한다: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기동 전류(starting current)를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를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를 서로 비교하고/비교하거나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 중에 최소 전류를 선택하는 단계. 최소 유지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 중에 최소 유지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서 유지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지 전압 유닛을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 존재하는 유지 전압과 제1 제어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제1 제어 신호와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 존재하는 유지 전압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의 출력에서 유지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지 전압 유닛을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two or more contactors, the method comprising two or more control bobbins for controlling two or more contactors and a holding voltage unit, Is connected to two or more control bobbins and is designed to cause a current flow through two or more control bobbins by a holding voltage generated at its output. The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method steps: providing a starting current flowing through two or more control bobbins by a holding voltage unit. Providing a holding current flowing through two or more control bobbins by a holding voltage unit. Comparing / comparing the holding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two or more control bobbins with each other or selecting a minimum current among the holding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two or more control bobbins. Comparing the minimum holding current to the reference current.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the holding voltage unit to control the holding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inimum holding current among the holding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two or more control bobbins to the reference current. Comparing the first control signal with a holding voltage present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Generating a second control signal for the hold voltage unit to control the hold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 voltage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hold voltage present at the output of the hold voltage unit.

바람직하게, 기동 전류는 유지 전류보다 더 큰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고, 설명부에 기술되어 있다.Preferably, the starting current has a larger value than the holding curren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and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ecified separately in the relevant portions of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 설명: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제어 회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2개의 접촉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의 특별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Drawing Description: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wo contactors, and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선행 기술에 따른 제어 회로(30)가 도시되어 있다. 그 중에 각각 단지 제어 보빈(50)만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30)는 제1 및 제2 단자(11, 12)를 통해 전압원(60)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전압원은 제어 회로(30)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제어 회로(30)에 의해서 제어된,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도 제공한다. 접촉기의 제어 보빈(50)은 하나의 제1 출력(15) 및 2개의 제2 출력(16)을 통해서 제어 회로(3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30)는 하나의 제1 스위치(41) 및 2개의 제2 스위치(42)를 구비하며, 이 경우 제1 스위치(41)는 전압원(60)의 제1 극과 제어 회로(30)의 제1 출력(15)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2개의 제2 스위치(42)는 각각 전압원(60)의 제2 극과 제어 회로(30)의 제2 출력(16) 중에서 각각 하나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8) 내부에서, 각각 출력(16) 중에 하나와 제2 단자(12)의 사이에 놓여 있다. 3개의 스위치(41, 42)가 동시에 폐쇄되면, 제어 보빈(50)이 직접 전압원(60)에 접속되고, 제어 보빈(50)의 접촉기를 기동시키기에 충분한 크기의 최대 전류가 흐르기 시작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접촉기는 전도(conducting)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In Fig. 1, a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hown. A control circuit 30 for controlling two contactors, each of which is shown only as a control bobbin 50, is connected to a voltage source 60 via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 and 12, But also provides a current controlled by the control circuit 30 for controlling the contactor. The control bobbin 50 of the contac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30 via one first output 15 and two second outputs 16. The control circuit 30 comprises a first switch 41 and two second switches 42 in which case the first switch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le of the voltage source 60 and the control circuit 30, While the two second switches 42 ar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ole of the voltage source 60 and the second output 16 of the control circuit 30, respectively, In other words, within each on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s 8, between one of the outputs 16 and the second terminal 12, respectively. When the three switches 41 and 42 are simultaneously closed, the control bobbin 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oltage source 60, and the maximum current of a sufficient magnitude to start the contactor of the control bobbin 50 starts to flow, The contactor is brought into a conducting state.

제어 회로(30)는 또한, 마찬가지로 전압원(6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유지 전압 유닛(10)을 구비한다. 유지 전압 유닛(10)은, 기동 단계에 후속하는 유지 단계 동안에 접촉기가 계속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끔 하는 유지 전류의 흐름을 야기한다. 이때에는 기동 단계 동안과 같이 전자 기계식 접촉기의 관성이 극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 보빈(50)을 통해서 흐르는 적은 전류만으로도 이미 접촉기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력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지 단계 동안에는 제1 스위치(41)가 재차 개방됨으로써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지 전압 유닛(10)이 작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어 보빈(50)에는 단지 유지 전류만 흐르게 된다. 이때 유지 전류는 다이오드(45)를 통해서 흐르며, 이 다이오드는 유지 전압 유닛(10)과 제어 보빈(50)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전류가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과제를 갖는다.The control circuit 30 also has a holding voltage unit 10 which is similar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voltage source 60. [ The holding voltage unit 10 causes a flow of a holding current that causes the contactor to remain closed during the holding step following the starting step. At this time, since the inertia of the electromechanical contactor does not need to be overcome, such as during the start-up phase, even a small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bobbin 50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contactor in a closed state,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a result, during the holding step, only the holding current flows in the control bobbin 50 as a result of the first switch 41 being opened again (and possibly by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t this time, the hold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diode 45, and this diode is connected between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nd the control bobbin 50, and the problem of preventing the 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

추가로, 도 1에는 환류 다이오드(46)(free wheeling diode)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환류 다이오드는 유지 전류의 스위치 오프의 경우에, 제어 보빈(50) 내부를 흐르는 전류를 위한 환류 경로를 제공해준다. 오프 단계는, 제2 스위치(42)도 개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유지 전압 유닛(10)까지 정지함으로써 시작된다. 제어 보빈(50)이 자체 인덕턴스로 인해 자신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변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제어 보빈은 공급 전압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전류 흐름을 야기하게 되며, 이때 이 전류 흐름은 환류 다이오드(46)에 그리고 직렬 회로로 인해 다이오드(45)에도 접속된다. 제어 보빈(50)의 제2 단자도 전류를 도통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각각 높은 음(-)의 전압이 생성되며, 이와 같은 높은 음의 전압은 단자 전압 요소(47)(terminal voltage element)로서 이용되는 제너 다이오드의 섬락 현상(flash over)을 야기한다. 제어 보빈(50) 내부를 흐르는 전류 흐름이 신속하게 줄어듦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어 보빈(50)의 자기장도 감소하게 되고, 개별 접촉기의 전압도 강하함으로써, 접촉기는 개방된다.In addition, a free wheeling diode 46 is provided in FIG. 1 which provides a return path for the current flowing inside the control bobbin 50 in the event of the switch-off of the holding current . The off step is also started when the second switch 42 is opened, and in some cases, stopping further to the holding voltage unit 10. The control bobbin causes current flow even after it is disconnected from the supply voltage because the control bobbin 50 prevents variations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it due to its own inductance which then flows to the reflux diode 46 and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diode 45 due to the series circuit. Since the second terminal of the control bobbin 50 must also conduct current, a high negative voltage is generated in this case, and such a high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terminal voltage element 47 Causing a flashover of the Zener diode used as the &lt; RTI ID = 0.0 &gt; diode. &Lt; / RTI &gt; The current flow through the control bobbin 50 is rapidly reduced so that the magnetic field of the control bobbin 50 is also reduced and the voltage of the individual contactor also drops so that the contactor is opened.

제1 스위치(41), 제2 스위치(42) 그리고 경우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10)은 하나의 제어 유닛(35)에 의해서 제어된다.The first switch 41, the second switch 42 and, optionally,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re controlled by one control unit 35.

도 2에는 2개의 접촉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는 제1 및 제2 단자(11, 12)를 구비하며, 이들 단자를 통해 제어 회로(30)가 에너지 저장 장치의 극에, 예를 들면 저전압 배터리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는 하나의 제1 출력(15) 및 2개의 제2 출력(16)을 구비하며, 이들 출력을 통해서는 제어 회로(30)가 2개의 접촉기를 위한 2개의 제어 보빈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출력(15)은 각각 제1 단부에 또는 2개 제어 보빈의 제1 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한편, 제1 제어 보빈의 제2 단부는 제2 출력(16)의 제1 단부에 접속될 수 있는 한편, 제2 제어 보빈의 제2 단부는 제2 출력의 제2 단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2 출력(16)은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18)를 통해 제어 회로(30)의 제2 단자(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는 유지 전압 유닛(10)을 구비하며, 이 유지 전압 유닛은 하나의 출력(6)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입력(9)을 포함한다. 출력(6)을 통해서는, 유지 전압 유닛(10)이 제1 출력(15)에 접속되어 있다. 유지 전압 유닛(10)은, 제어 보빈을 위한 유지 전류를 조정하기 위하여 유지 전압을 자신의 출력(6)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유지 전압 유닛(10)은, 제어 보빈이 제어 회로(30)에 접속된 경우 이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 흐름을 야기하는 유지 전압을 자신의 출력(6)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회로(30)는 또한 조절 회로(20)를 구비하며, 이 조절 회로는 입력 측에서는 전기 접속부(8)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 측에서는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9)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조절 회로(20)는 자신의 입력들 중에 각각 하나의 입력을 통해서는 제어 회로(30)의 전기 접속부(8) 중에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고, 자신의 출력을 통해서는 유지 전압 유닛(10)의 입력(9)에 접속되어 있다. 조절 회로(20)는, 전기 접속부(8) 내부에서 흐르는 그리고 그와 더불어 - 제어 회로(30)에 접속되어 있다면 - 제어 보빈 내부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존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그리고 이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10)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조절 회로(20)는, 전기 접속부(8)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에 의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이 제어 신호를 입력(9)을 통해 유지 전압 유닛(10)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다시 말하자면 특성들, 다시 말해 예컨대 조절 회로(20)에 의해서 생성된 제어 신호의 진폭은 전기 접속부(8)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에 의존한다.2 shows an embodiment of a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wo contactors.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 and 12 through which the control circuit 30 is connected to the pol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Can be connected.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first output 15 and two second outputs 16 through which the control circuit 30 is connected to two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control bobbins. In this case, the first output 1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nd or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two control bobbins, respectively, while the second end of the first control bobbin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second output 16 While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control bobbi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output. At this time, the two second outputs 1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2 of the control circuit 30 through one electric contact 18.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so comprises a holding voltage unit 10 which comprises one output 6 and one input 9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output 6,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15.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s designed to provide a holding voltage to its output 6 to adjust the holding current for the control bobbin. In other words,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s designed to output a holding voltage, through its output 6, which causes a current flow through the control bobbin when the control bobbi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30 .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30 also comprises an adjusting circuit 20, which is connected on the input side to the electrical contact 8 and on the output side the output 9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regulating circuit 20 is connected to a respective on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s 8 of the control circuit 30 via one of its inputs, each one of its inputs, Is connected to the input (9)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The control circuit 20 is adapt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which is dependent on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ntrol bobbin and which flows in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30 within the electrical contact 8, Voltage unit 10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regulating circuit 20 is designed to produce a control signal that depends 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8 and to provide this control signal to the sustaining voltage unit 10 via the input 9 .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i. E. The amplitude of the control signal produced by the regulating circuit 20, for example, depends 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8.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는 단지 2개의 접촉기를 제어하는 것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는 또한,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에 접속될 수 있는 예컨대 4개, 8개 또는 n개의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ntrolling only two contactors.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for controlling, for example, four, eight or n contactors which may be connected to two or more control bobbi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의 특별한 일 실시 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 예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따른 제어 회로(30)를 보여주며, 이 제어 회로는 도 2에서와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더욱 구체화된 조절 회로(20)가 보완되어 있다. 상기 조절 회로(20) 또는 이와 관련된 특성 및 상호 관계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 부분으로부터 그리고 도 1 및 도 2 자체로부터 인용될 수 있다. 도 3에 동일하게 기재된 구성 요소들이 도 2의 제1 실시 예에 있는 구성 요소들에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선행 기술에 따른 제어 회로(30)의 예에 있는 구성 요소들에 상응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이들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언급된 내용은 도 3의 제2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 회로(30)는 자신의 제1 및 제2 출력(15, 16)을 통해서는 2개의 제어 보빈(50)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자신의 제1 및 제2 단자(11, 12)를 통해서는 전압원으로서 구현된 에너지 저장 장치(6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 보빈(50)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장치(60)도 각각 제어 회로(30)의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없다.3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shows a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FIG. 1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FIG. 2, but with a more specific adjustment circuit 20 complemented.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 circuit 20 or its component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interrelationships may be taken from the description of FIGS. 1 and 2 and from FIGS. 1 and 2 themselves. Since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 3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 and to the components in the example of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1 and 2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circuit 30 is connected to two control bobbins 50 through its first and second outputs 15, 16, while its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 , 12 are connected to an energy storage device 60 implemented as a voltage source. In this case, not only the control bobbin 50 but also the energy storage device 60 can be regarded as part of the control circuit 30, respectively.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의 실시 예에서, 제어 회로는 조절 회로(20)를 구비하며, 이 조절 회로는 자신의 측에 최소 전류-선택 회로(5) 그리고 제1 및 제2 조정 회로(1, 2)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각각의 전기 접속부(8)마다 분로 저항기(shunt resistor)를 하나씩 구비하며, 이 경우 각각 하나의 분로 저항기는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8) 내부에 놓여 있고, 개별 전기 접속부(8)의 스위칭 수단(42)과 제어 회로(30)의 단자(12) 사이에 각각 놓여 있다.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자신의 입력에 의해서 각각 분로 저항기의 측정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경우 최소 전류-선택 회로(5)의 입력은 각 전기 접속부(8)의 각각 하나의 정밀 정류기(7)의 입력과 동일하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각각 전기 접속부(8)마다 정밀 정류기(7)를 하나씩 구비하며, 이 경우 정밀 정류기(7)의 각각 하나의 입력은 분로 저항기의 각각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밀 정류기(7)는 각각 하나의 제2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을 구비하며, 이 경우 개별 제2 입력은 각각 개별 정밀 정류기(7)의 출력으로 리턴되어 있다.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또한 하나의 저항(4)을 구비하며, 이 경우 모든 정밀 정류기(7)의 출력은 상기 저항(4)의 제1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말해, 최소 전류-선택 회로(5) 내부에 있는 각각의 정밀 정류기(7)는 자신의 개별 출력을 통해서 저항(4)의 동일한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Fig. 3, the control circuit comprises an adjustment circuit 20, which comprises a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on its side and a first current- And second adjusting circuits (1, 2). In this embodiment,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has one shunt resistor for each electrical contact 8, one for each shunt resistor, And is placed between the switching means 42 of the individual electrical contact 8 and the terminal 12 of the control circuit 30, respectively. The input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terminal of the shunt resistor by its own input,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input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is connected to one of the precision rectifiers (7). In other words,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has one precision rectifier 7 for each electrical connection 8, one input of each of the precision rectifiers 7 being connected to a respective one of the shunt resistors 7 And is connected to on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8 through a measuring terminal. The precision rectifier 7 also has one second input and one output, each individual second input being returned to the output of a respective precision rectifier 7.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also has one resistor 4, in which case the output of all the precision rectifiers 7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resistor 4. In other words, each precision rectifier 7 inside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is connected to the same terminal of the resistor 4 through its respective output.

본 실시 예에서, 정밀 정류기(7)는 반 결합 된 연산 증폭기로서 구현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각각 개별 연산 증폭기의 출력으로 리턴되어 있다. 반 결합 분기들 내부에 또는 연산 증폭기의 반 결합부 내부에는 다이오드(3)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있으며, 이 다이오드의 양극은 개별 연산 증폭기의 개별 반전 입력에 또는 저항(4)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상기 다이오드(3)의 음극은 각각 자신의 개별 연산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정밀 정류기(7)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저항(4)의 다른 단자는 최소 전류-선택 회로(5)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출력을 통해서는 최소 전류-선택 회로(5)가 제1 조정 회로(1)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본 실시 예에서 전기 접속부(8)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실제값을 분로 저항기를 통해 측정하도록 그리고 측정된 전류 실제값 중에 최소 실제값(Imin)을 최소 전류-선택 회로(5)의 출력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 최소 전류-선택은 정밀 정류기(7) 내부에 있는 다이오드(3)를 통해서 실현된다. 이 시점에, 최소 전류-선택 회로(5)의 출력을 통해서는 입력값들 중에 최소 입력값이 정밀 정류기(7)의 입력으로 출력된다. 전류의 실제값을 측정하기 위해 분로 저항기를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밀 저항기(7)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의 최소 전류-선택 회로(5)를 구현하기 위한 선택 사항이다. 정밀 정류기(7)를 다이오드(3)를 구비하는 연산 증폭기로서 구현하는 것도 본 실시 예에서는 순전히 예로서만 선택되었다. 다르게 구현된, 예컨대 오로지 다이오드(3)만을 사용하는 최소 전류-선택 회로(5)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기 접속부(8)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 실제값의 측정도 분로 저항기를 통한 것과는 다른 유형 및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ecision rectifier 7 is implemented as a semi-coupled operational amplifier, in which the inverting inputs of the operational amplifiers are each returned to the output of a respective operational amplifier. The diodes 3 are arranged one by one in the semi-coupling branches or in the half-coupling par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the anode of this diode is connected to the individual inverting input of the individual operational amplifier or to the terminal of the resistor 4 On the other hand, the cathodes of the diodes 3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of their respective operational amplifiers.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4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precision rectifier 7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minimum current selection circuit 5 through which the minimum current-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circuit (1). The minimum current selection circuit 5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actual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8 in this embodiment through the shunt resistor and to set the minimum actual value I min to the minimum current - output through the output of the selection circuit (5). In this embodiment,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is realized through the diode 3 inside the precision rectifier 7. At this time, the minimum input value among the input values is outputted to the input of the precision rectifier 7 through the output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The use of a precision resistor 7 as well as the use of a shunt resistor to measure the actual value of the current is also an option for implementing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of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mplementation of the precision rectifier 7 as an operational amplifier with a diode 3 has also been chosen purely by way of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a differentially implemented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using only the diode 3, Measurement of the current actual value can also be done in a different manner and manner than through the shunt resistor.

최소 전류-선택 회로(5)의 출력을 통해,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측정된 전류 실제값 중에 최소 실제값(Imin)을 제1 조정 회로(1)로 전송하며, 이 조정 회로의 출력은 유지 전압 유닛(10)의 입력(9)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조정 회로(1)는, 자신의 입력을 통해 자신에게 전송된, 측정된 전류 실제값 중에 최소 실제값(Imin)을 기준값과 비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이 기준값은 순전히 예로서 기준 송신기(13)에 의해 조정 회로에 제공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본 실시 예에서 제1 조정 회로(1)는, 자신의 입력으로 반 결합 된 전류를 기준값과 비교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 기준값으로서는, 제어될 접촉기의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가 사용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제어 보빈(50)이 접촉기를 유지 상태에, 다시 말하자면 유지 단계 동안에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접촉기의 제어 보빈(50)을 통해서 흘러야만 하는 전류가 이용된다. 또한, 제1 조정 회로(1)는,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와 측정된 전류 실제값 중에 최소 실제값(Imin)을 비교한 결과에 의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10)을 위한 유지 전압을 조정할 목적으로 발생하고 이 제어 신호를 입력(9)을 통해 유지 전압 유닛(10)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때,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서 생성된 제1 제어 신호의 특성들은 비교 결과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측정된 전류 실제값 중에 최소 실제값(Imin)과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 간의 차가 심할수록 제1 제어 신호의 값은 그만큼 더 크게 나타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에서 제1 조정 회로(1)는, 다른 무엇보다도 값 및 지속 기간에 있어서, 측정된 전류 실제값 중에 최소 실제값(Imin)과 본 실시 예에서 최소로 필요한 접촉기의 유지 전류(IHmin)에 상응하는 기준값 간의 비교 결과에 의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10)에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지 전압 유닛(10)은, 이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 자신의 출력(6)에 제공된 유지 전압의 값 및 그와 더불어 제1 출력(15)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유지 전류의 값을,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이 제1 제어 신호와 일치하게끔 변경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지 전압 유닛(10)은 순전히 예로서 스위칭 변환기로 구현되었고,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칭 변환기의 제어율을 결정하는 마크 대 스페이스 비(mark-to-space ratio)에 상응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유지 전류의 조절은 순전히 예로서 유지 전압 유닛(10) 출력에서의 유지 전압의 변경을 통하여, 얻어진 제1 제어 신호와 일치하게끔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 회로(30)는 제2 조정 회로(2)를 구비하며, 이 조정 회로는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에 의해 이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6)에 제공된 유지 전압과 비교하도록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에 추가의 제어 신호를 중첩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2 조정 회로(2)를 통해서는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 생성된 제1 제어 신호가 보정 신호와의 중첩에 의해서 보정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유지 전압 유닛(10)에 의해 제공된 유지 전압과 비교되는 제1 제어 신호는, 순전히 예로서 이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6)에서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유지 전압 유닛(10)을 위한 제어 신호에 상응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1 제어 신호는 항상, 유지 전압 유닛(10)이 자신의 출력(6)에서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압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 유지 전압 유닛(10)의 입력(9)에 인가되어야만 하는 신호에 상응한다. 이때,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압은, 각각의 접촉기를 유지 단계 동안 가동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하고 모든 접촉기의 제어 보빈(50)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 흐름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6)에 존재해야만 하는 전압이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제2 조정 회로(2)에 의해 각각 2개의 연속하는 추가 제어 신호의 형성 사이에 놓여 있는 평균 기간(T2)은,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 각각 2개의 연속하는 제1 제어 신호의 형성 사이에 놓여 있는 평균 기간(T1)보다 팩터 X만큼 더 작으며, 이 경우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0 < X < 1).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1 조정 회로(1)가 제2 조정 회로(2)보다 느리게 동작함으로써, 제2 조정 회로(2)는 항상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 발생 된 제어 신호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via the output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transmits the minimum actual value I min among the measured current actual values to the first regulation circuit 1, Is connected to the input (9)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1 is designed to compare the minimum actual value I min among the measured current actual values transmitted to itself through its input to a reference value, and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the regulating circuit by the reference transmitter 13 purely by way of example.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1 is designed to compare the current half-coupled to its input to a reference value. As a reference value in this embodiment,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current I Hmin required for the minimum of the contactor to be controlled is used, i.e., the control bobbin 50 is kept in a closed state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A current which must flow at least through the control bobbin 50 of the contactor is used.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1 also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depending on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current I Hmin and the minimum actual value I min among the measured current actual values, (10), and is designed to transmit this control signal to the sustaining voltage unit (10) via an input (9).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adjusting circuit 1 coincide with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actual value I min and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current I Hmin among the measured current actual values, the larger the valu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becomes.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1 has a minimum actual value I min of the measured current actual value and a minimum maintenance value of the contactor required in this embodiment Is designed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which is dependent on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re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 Hmin ) and to provide this control signal to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holding voltage unit 10 sets the value of the holding voltage supplied to its output 6 by this holding voltage unit and the value of the holding current flowing into the first output 15 together with it, And is designed to chang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s implemented as a switching converter, purely as an example,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s to a mark-to-space ratio that determines the controllability of the switching converter. In this embodiment, the adjustment of the holding current is made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obtained, for example, by changing the holding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s an example. The control circuit 30 also includes a second regulating circuit 2 which regul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regulating circuit 1 by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nd to superimpose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on the first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In other words,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2,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adjusting circuit 1 can be corrected by overlapping with the correction signal.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signal, which is compared with the sustain voltage provided by the sustain voltage unit 10 in this embodiment,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minimum required sustain voltage at the output 6 of this sustain voltage unit 10 Which cor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for the sustain voltage unit 10 which is necessary for the sustain voltage unit 10. In other words,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lways applied to the input 9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so that the holding voltage unit 10 provides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voltage at its output 6 Corresponds to a signal that has to be applied. At this time,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voltage is sufficient to hold at least the holding voltage unit 10,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bobbin 50 of all the contactors is sufficient to keep each contactor stationary during the holding phase, The output 6 must be present.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verage period (T 2 ) lying between the formation of two consecutive additional control signals by the second arbitration circuit 2 is set by the first arbitration circuit 1, Is smaller than the average period (T 1 ) lying between the formation of successive first control signals by a factor X, where X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0 <X <1). In other words, since the first adjusting circuit 1 operates slower than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2,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2 always correc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adjusting circuit 1 .

따라서, 최소 전류-선택 회로(5), 제1 조정 회로(1) 및 제2 조정 회로(2)의 협력을 통해서는, 제어 회로(30) 내부에서 2개 루프 형태의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의 조절 시스템이 구현되며, 이와 같은 조절 시스템에 의해서는, 접촉기의 유지 단계 동안에 전기 접속부(8) 및 그와 더불어 제어 보빈(50)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가 최적의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회로(1)는 제어 회로(30)에 접속된 제어 보빈(50)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를 조절 변수로서 사용하는 외부 조절 루프를 폐쇄하는 한편, 제2 조정 회로(2)는 유지 전압 유닛(10)에 의해 제공된 유지 전압을 조절 변수로서 사용하는 내부 조절 루프를 폐쇄한다.Thus, through cooperation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the first regulating circuit 1 and the second regulating circuit 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wo-loop type or cascade type regulating system And by such an adjustment system,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8 and the control bobbin 50 along with it during the holding step of the contactor can be adjusted to an optimum value. At this time, the first adjusting circuit 1 closes the external adjusting loop which uses the hold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trol bobbin 50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30 as the adjusting variable, while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2 And closes the internal regulating loop which uses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by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s a regulating variable.

하지만, 제1 조정 회로(1)뿐만 아니라 제2 조정 회로(2)도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를 위해서는 선택적이다. 또한, 조절 회로(2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30)는, 예를 들어 전기 접속부(8)를 통해서 흐르는 최소 전류를 조정 또는 조절할 수 있는 구성 요소들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조정 회로(1)뿐만 아니라 제2 조정 회로(2)도 연속으로 동작을 하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개별 기준값과 입력 변수를 연속으로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연속으로 전송한다.
However, the first tuning circuit 1 as well as the second tuning circuit 2 are also optional for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regulating circuit 20 can be implemented without the elements capable of adjusting or regulating the minimum current flowing through, for example, the electrical contact 8. 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first adjusting circuit 1 but also the second adjusting circuit 2 operate continuously. More specifically, the individual reference value and the input variable are continuously compared,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uccession.

Claims (12)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30)로서,
- 제1 및 제2 단자(11, 12)를 포함하고, 이들 단자를 통해 제어 회로(30)가 에너지 저장 장치의 극에 접속될 수 있으며,
- 하나 이상의 제1 출력(15) 및 2개 이상의 제2 출력(16)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을 통해서 제어 회로(30)가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2개 이상의 제2 출력(16)은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8)를 통해 제2 단자(12)에 접속되어 있으며,
- 유지 전압 유닛(10)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전압 유닛은 하나의 출력(6)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입력(9)을 구비하고, 자신의 출력(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1 출력(15)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 보빈을 위한 유지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유지 전압을 자신의 출력(6)에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 회로(30)는 조절 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 회로는 전기 접속부(8) 및 유지 전압 유닛(10)의 입력(9)에 접속되어 있고, 전기 접속부(8)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그리고 이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10)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A control circuit (30) for two or more contactors,
- a first and a second terminal (11, 12) through which the control circuit (30) can be connected to the pol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output (15) and two or more second outputs (16), through which the control circuit (3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wo or more control bobbins for two or more contactors Wherein the two or more second outputs 16 are each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2 through one electrical contact 8,
- a holding voltage unit (10), said holding voltage unit having one output (6) and one input (9)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nd having its output (6) 1 output 15 and is designed to provide its own output 6 with a holding voltage for adjusting the holding current for the control bobbin,
The control circuit 30 comprises an adjusting circuit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9 of the electrical contact 8 and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nd flows into the electrical contact 8 Is design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ncoming current and to transfer the control signal to the holding voltage unit (10).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전압 유닛(10)은, 자신의 출력(6)에 제공되는 유지 전압의 값을,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이 제어 신호와 일치하게끔 변경하도록 설계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s designed to change the value of the holding voltage provided to its output (6) to match the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절 회로(20)는 최소 전류-선택 회로(5)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전류-선택 회로는 하나의 출력을 구비하고, 전기 접속부(8)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실제값을 측정하도록 그리고 측정된 전류 실제값들 중에 최소 실제값(Imin)을 자신의 출력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circuit 20 comprises a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which has one output and is adapted to measure the actual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8, A control circuit for two or more contactors designed to output a minimum actual value (I min ) of current actual values through its output.
제 3 항에 있어서,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저항(4) 그리고 각각의 전기 접속부(8)마다 다이오드(3)를 하나씩 구비하며,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8)는 각각 하나의 다이오드(3)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3)의 양극은 저항(4)의 일 단자에 접속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The method of claim 3,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has one resistor 4 and one diode 3 per each electrical contact 8, one electrical contact 8 being connected to the cathode of one diode 3, And the anode of the diode (3)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resistor (4).
제 3 항에 있어서,
최소 전류-선택 회로(5)는 저항(4) 그리고 각각의 전기 접속부(8)마다 2개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을 갖는 정밀 정류기(7)를 하나씩 구비하고, 각각 하나의 전기 접속부(8)는 정밀 정류기(7)의 각각 하나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개별 정밀 정류기(7)의 다른 개별 입력은 개별 정밀 정류기(7)의 출력으로 리턴되어 있으며, 모든 정밀 정류기(7)의 출력은 저항(4)의 일 단자에 접속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The method of claim 3,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comprises a resistor 4 and a precision rectifier 7 with two inputs and one output for each electrical connection 8, one electrical contact 8 each The other individual inputs of the individual precision rectifier 7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inputs of the precision rectifier 7 while the outputs of all the precision rectifiers 7 ar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individual precision rectifier 7,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control circuit (4).
제 5 항에 있어서,
정밀 정류기(7)는 반 결합 된 연산 증폭기로서 구현되었으며,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 결합 분기들은 각각 다이오드(3)를 하나씩 구비하며,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은 각각 개별 연산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상기 다이오드(3)의 양극은 개별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접속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cision rectifier 7 is implemented as a semi-coupled operational amplifier, with the semi-coupling branches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each having one diode 3, the cathodes of the diodes being each connected to the output of a respective operational amplifier, Wherein the anode of the diode (3)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of a separate operational amplifier.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회로(20)는 제1 조정 회로(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정 회로의 입력은 최소 전류-선택 회로(5)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고, 그 출력은 유지 전압 유닛(10)의 입력(9)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조정 회로(1)는, 자신의 입력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를 기준값과 비교하도록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10)을 위한 유지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그리고 이 제어 신호를 상기 유지 전압 유닛(10)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control circuit 20 comprises a first regulation circuit 1 whose input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minimum current-selection circuit 5 whose output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hold voltage unit 10 And the first adjustment circuit 1 is connected to the input 9 so that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input thereof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the holding voltage for the holding voltage unit 10 is adjusted An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holding voltage unit (10).
제 7 항에 있어서,
기준값은, 제어될 접촉기의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류(IHmin)에 상응하는,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s to the required holding current (I Hmin ) at a minimum of the contactor to be controlled, for a control circuit for two or more contactors.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1 제어 신호는 항상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6)에서 최소로 필요한 유지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유지 전압 유닛(10)을 위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lways used for two or more contactor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the holding voltage unit 10, which is always necessary to adjust the minimum required holding voltage at the output 6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 Control circuit.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회로(20)는 제2 조정 회로(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 회로는,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 생성된 제1 제어 신호를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6)에 제공된 유지 전압과 비교하도록 그리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추가의 제어 신호를 중첩하도록 설계된,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regulating circuit 20 comprises a second regulating circuit 2 which supplies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regulating circuit 1 to the output 6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 And designed to overlap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제 10 항에 있어서,
제2 조정 회로(2)에 의해 각각 2개의 연속하는 추가 제어 신호의 형성 사이에 놓여 있는 평균 기간(T2)은, 제1 조정 회로(1)에 의해 각각 2개의 연속하는 제1 제어 신호의 형성 사이에 놓여 있는 평균 기간(T1)보다 팩터 X만큼 더 작으며, 이때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0 < X < 1),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위한 제어 회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verage period T 2 lying between the formation of two consecutive additional control signals by the second arbitration circuit 2 is determined by the first arbitration circuit 1 in such a way that each of the two consecutive first control signals (X) is less than the mean period (T 1 ) ly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wherein X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0 <X <1).
-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제어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제어 보빈,
-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에 접속되었고, 자신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유지 전압에 의해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 흐름을 야기하도록 설계된, 유지 전압 유닛(10)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기동 전류(S1)를 유지 전압 유닛(10)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S2)를 유지 전압 유닛(10)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S3)를 서로 비교하고/비교하거나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 중에 최소 전류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최소 유지 전류를 기준 전류(S4)와 비교하는 단계;
- 2개 이상의 제어 보빈을 통해서 흐르는 유지 전류 중에 최소 유지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에서 유지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 전압 유닛(10)을 위한 제1 제어 신호(S5)를 발생하는 단계;
-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에 존재하는 유지 전압과 상기 제1 제어 신호(S6)를 비교하는 단계; 및
- 제1 제어 신호와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에 존재하는 유지 전압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유지 전압 유닛(10)의 출력에서 유지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 전압 유닛(10)을 위한 제2 제어 신호(S7)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접촉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 two or more control bobbins for controlling two or more contactors,
- two or more contactors connected to two or more control bobbins and comprising a holding voltage unit (10) designed to cause current flow through two or more control bobbins by a holding voltage generated at its output The method comprising:
This method
- providing a starting current (S1) flowing through two or more control bobbins by a holding voltage unit (10);
- providing a holding current (S2) flowing through two or more control bobbins by a holding voltage unit (10);
Comparing and / or comparing the holding currents S3 flowing through the two or more control bobbins with each other or selecting a minimum current among the holding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two or more control bobbins;
Comparing said minimum holding current with a reference current (S4);
(10) for controlling the holding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inimum holding current among the holding currents flowing through the two or more control bobbins to the reference current 1) generating a control signal (S5);
- comparing the first control signal (S6) with a holding voltage present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nd
(10) for controlling the holding voltage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holding voltage present at the output of the holding voltage unit (10) 2 &lt; / RTI &gt; control signal (S7). &Lt; Desc / Clms Page number 13 &gt;
KR1020157010065A 2012-10-18 2013-09-23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KR1017716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8983.1A DE102012218983A1 (en) 2012-10-18 2012-10-18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DE102012218983.1 2012-10-18
PCT/EP2013/069669 WO2014060184A1 (en) 2012-10-18 2013-09-23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434A true KR20150058434A (en) 2015-05-28
KR101771625B1 KR101771625B1 (en) 2017-08-25

Family

ID=4927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065A KR101771625B1 (en) 2012-10-18 2013-09-23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23341B2 (en)
KR (1) KR101771625B1 (en)
CN (1) CN104737262B (en)
DE (1) DE102012218983A1 (en)
WO (1) WO20140601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8972A2 (en) * 2015-03-13 2018-01-17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Reduced-component high-speed disconnection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contactor
DE102021106275A1 (en) 2021-03-15 2022-09-15 KEBA Energy Automation GmbH Method of operating a charging station and charging station
DE102022212030A1 (en) * 2022-11-14 2024-05-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Method for determining a holding voltage rating of a relay, method for switching a relay using a holding voltage rating determined in this way, computing unit, arrangement and charging ca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538A1 (en) * 1999-06-25 2001-01-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tective circuit
US6404612B1 (en) * 1999-07-10 2002-06-11 Mykrolis Corporation Method for system for driving a solenoid
JP2002170466A (en) * 2000-11-30 2002-06-14 Nissan Motor Co Ltd Relay drive circuit
JP2005050733A (en) * 2003-07-30 2005-02-24 Anden Relay drive circuit
JP4513562B2 (en) * 2004-12-28 2010-07-28 アンデン株式会社 Relay drive circuit
DE102010041018A1 (en) 2010-09-20 2012-03-22 Robert Bosch Gmbh Contactors actuating device for e.g. charging device for e.g. electric car, has holding current unit connected to output terminal for supplying holding current to drive coil of cont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625B1 (en) 2017-08-25
JP2015535129A (en) 2015-12-07
CN104737262B (en) 2017-06-20
CN104737262A (en) 2015-06-24
JP6023341B2 (en) 2016-11-09
WO2014060184A1 (en) 2014-04-24
DE102012218983A1 (en)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4110B2 (en) On-vehicle power generation controller
US9793791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up the same
US9692307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3779019B2 (en) Electronic trip device with power supply
KR101771625B1 (en)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two contact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contactors
US11329565B2 (en) Feed-forward control for regulating a DC-DC voltage converter
KR20140111611A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battery device
US20180047535A1 (en) Relay control device
EP3767316B1 (en) Switch failure detection device
US11791081B2 (en) Coil driving device
US9276464B2 (en)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ing single and double regulation modes
US20200144914A1 (en) Detection method, detection circuit, controll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JP2010110148A (en) Power supply device
US11817735B2 (en) Charging device that can optimize charging current of a secondary battery
CN104718099B (en) Control circuit for at least one contactor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contactor
US11201552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DC/DC converter
JP2008010167A (e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US9840149B2 (en) Vehicl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20150270702A1 (en) Power supply device with over-voltage protection
CA3037018A1 (en) Single stage current controller for a notification appliance
US106228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C-to-DC converter
KR101886081B1 (en) System of output correction for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JP2017196963A (en) Cell control apparatus
JP2017050936A (en)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and charger
KR20030083798A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of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