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182A -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182A
KR20150058182A KR1020157005752A KR20157005752A KR20150058182A KR 20150058182 A KR20150058182 A KR 20150058182A KR 1020157005752 A KR1020157005752 A KR 1020157005752A KR 20157005752 A KR20157005752 A KR 20157005752A KR 20150058182 A KR20150058182 A KR 2015005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isplay member
image
light sour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056B1 (ko
Inventor
워정타이
Original Assignee
워정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정타이 filed Critical 워정타이
Publication of KR2015005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61B3/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외부 광선을 차단하는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에 개구가 형성되는 휴대형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과 상통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광학 렌즈부재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에 위치하며 상기 광학 렌즈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 표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광원, 광원 캐리어에 설치된 광원 세트과 영상 스크린 중의 하나인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를 공개하였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부재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있어 휴대가 편리하고 사용자가 수시로 안부보건을 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하며 근시와 난시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ISION CARE FUNCTION}
본 발명은 안구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 원리를 활용하여 광학 렌즈와 영상 표시부재의 협동으로 원, 근, 상, 하, 좌, 우 및 원주 이동을 구현하고 수시로 모양체근을 수축, 이완 훈련시키며 눈 근육군이 수축, 이완 동작을 하게 하고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안구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리킨다.
눈 근육군은 고무줄과 같이 수축, 이완 자극에 의해 탄력성을 유지한다. 눈 근육군이 장기간 수축 상태 또는 이완 상태에 처하여 있으면 시력 퇴화를 쉽게 초래하게 된다.
눈은 가까운 곳의 목표를 볼 때 모양체근을 수축하여 짧은 초점 거리를 이루어야 하는데 모양체근이 이완되어 탄력성을 잃게 되면 모양체근을 수축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게 되어 구현할 수 없게 되고 즉 노안이 발생되고, 먼 곳의 목표를 볼 때 모양체근을 이완하여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야 하는데 모양체근이 장기간 수축되어 있어 모양체근 이완을 구현할 수 없게 되고 즉 근시가 발생하게 된다.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눈 운동을 하여 눈 근육군의 민첩성을 조절하여야 한다. 먼 곳, 가까운 곳을 보는 눈 훈련을 진행할 때 모양체근을 수축, 이완하여 모양체근의 활력을 진일보로 유지하고(즉 시력을 유지할 수 있음), 안구가 원주 운동을 하면 외안근(6 개 근윤)을 강화할 수 있고 시각 신경을 자극하여 대뇌의 균형감과 외안근군의 조화를 향상시키고 각막을 평활하게 하며 나아가 난시를 개선할 수 있다.
종래의 자료를 보면, 1983 년 Balliet 가 출원한 US 4408846, 1990 년 Ji wan zhong 등이 출원한 CN2060068U, 1998 년 Deng qi zhuo 등이 출원한 CN2289545Y, 1999 년 Gao hong ping 등이 출원한 CN2313572Y, 2008 년 Horie 등이 출원한 US7393102 에는 기계적 윤축을 이용하여 전구를 전, 후로 이동함으로써 영상이 전, 후에 있는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장치는 육중하기 때문에 테이블 위에 놓아야만 사용할 수 있어 아주 불편하다.
2006 년 Zhang chong xin 등이 출원한 CN2770617Y 에는 좌, 우 2 열의 LED 전구가 전, 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전, 후 거리 변화를 이루고 양측 전극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눈 부근 경혈을 자극하는 장치를 개시하였다. 2011 년 Zhang chong xin 등이 출원한 CN201759836U 에는 좌, 우 2 열의 영상이 전, 후로 이용함으로써 전, 후 거리 변화를 이루고 양측 기낭으로 머리와 눈 부근 경혈을 안마하는 장치를 개시하였다. 상기 장치는 광학 렌즈의 스팩에 대해서 실제적으로 장악하지 않았고 영상만 전, 후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실제 필요하는 현상 거리를 구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안근을 단련하는 기능도 없다.
본 발명자가 2013 년에 출원한 CN 203089800U 특허는 커서를 추가하여 안구 원주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6 개 근윤의 건강을 강화하고 모양체근과 6 개 근윤의 조화기능을 보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기술의 부족을 극복하여, 동적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친화성을 높이고 가까운 곳에서부터 무한원 거리의 현상효과를 달성하며 안구가 상, 하, 좌, 우 원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외안근의 조화동작을 제공하여 수시로 눈의 각종 근육을 전면적으로 가이드하여 단력할 수 있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기술방안을 채용한다.
내부에 외부 광선을 차단하는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에 개구가 형성되는 휴대형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과 상통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광학 렌즈부재;
상기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에 위치하며 상기 광학 렌즈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 표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광원, 광원 캐리어에 설치되는 광원 세트와 영상 스크린 중의 하나인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본 발명의 광학 렌즈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볼록렌즈의 초점 거리는 40cm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부재는 광학 렌즈부재와 평행할 수도 있고, 광학 렌즈부재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도 있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부재는 본 발명의 제어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영상 표시부재가 광학 렌즈부재와 평행할 때, 상기 영상은 상, 하, 좌, 우의 순서로 또는 시계방향,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차례로 변화하여 영상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광점 영상을 형성할 수 있고, 설정된 동적 패턴에 의해 차례로 변화하여 동적 영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영상 표시부재가 광학 렌즈부재에 대해 기울어져 있을 때, 상기 영상은 상, 하, 좌, 우의 순서로 또는 시계방향,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차례로 변화하여 영상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광점 영상을 형성할 수 있고, 설정된 동적 패턴에 의해 차례대로 변화하여 동적 영상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영상은 원근 따라 차례대로 진행하여 영상 변위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에 비해 아래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부재는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원근 변화에 따른 현상을 제공하여 이를 보는 사용자의 모양체근을 수축, 이완 단련할 수 있고, 또한 영상 표시부재는 이동 변화에 따른 현상을 제공하여 사용자 안구의 상, 하, 좌, 우 또는 원주이동을 가이드 하고 외안근의 조화동작을 제공하여 눈의 각종 근육을 전면적으로 가이드하고 운동시켜 근시, 난시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재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있어, 휴대가 편리하고 사용자가 수시로 안부보건을 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하고 근시와 난시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 부 확대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광학 현상 예시도이고,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전, 후 이동 위치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전, 후 이동 위치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원주 이동 위치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원주 이동 위치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상, 하 이동 위치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상, 하 이동 위치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좌, 우 이동 위치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좌, 우 이동 위치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9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표시부재의 동적 영상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 표시부재의 동적 영상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고리형 영상 표시부재의 영상 이동 위치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고리형 영상 표시부재의 영상 이동 위치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일 광원 영상 표시부재의 구조 예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광원 영상 표시부재의 영상 표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는 휴대형 전자기기 본체(10), 광학 렌즈부재(20), 제어유닛(미도시) 및 영상 표시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기 본체(10) 내부에는 외부 광선을 차단하는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자기기 본체(10)의 케이스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전자기기 본체(10)의 길이는 40cm 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광학 렌즈부재(20)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실과 상통하는 개구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눈과 마주 보이도록 하는데, 상기 광학 렌즈부재(20)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자기기 본체(10) 내에 설치된다.
상기 영상 표시부재(30)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에 위치하며 영상 표시부재(30)는 상기 광학 렌즈부재(20)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영상 표시부재(30)는 광원 캐리어(31) 및 상기 광원 캐리어(31)에서 광점 영상 또는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광원(32)을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 표시부재(30)는 단일 광원(32) 또는 영상 스크린일 수도 있다.
제어유닛은 영상 표시부재(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의 변화를 제어하는데, 광원(32)이 하나씩 명멸되어 영상 변위를 구현할 때 광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광원(32)이 설정된 패턴에 따라 명멸될 때 광원 캐리어(31)에서 동적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영상 표시부재(30)는 상기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할 수 있고 상기 광학 렌즈부재(20)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도 되는데, 영상 표시부재(30)는 항상 제어유닛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상기 내용에서, 상기 볼록렌즈 또는 렌즈세트의 초점 거리는 40cm 보다 작고 최적 초점 거리는 0.4~20cm 이다.
광학 현상 공식(렌즈 공식):
Figure pct00001
을 응용한다. 물체 거리의 역수(1/u)와 영상 거리의 역수(1/v)를 가하면 초점 거리의 역수(1/f)이고 현상 거리가 정확하게 제어되는데,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현상 공식(렌즈공식) 중의 용어를 설명한다.
1. 주축: 볼록 렌즈 두 구면의 구심(C1, C2)을 통과하는 직선을 볼록 렌즈의 주광축이라고 하는데, 주축으로 약칭한다.
2. 광심: 볼록 렌즈의 중심점 O 는 렌즈의 광심이다.
3. 초점: 주축과 평행하는 광선이 볼록 렌즈를 통과한 후 주광축의 한 점(F)에 모이는데 이 점이 바로 볼록 렌즈의 초점이다.
4. 초점 거리: 초점(F)부터 볼록 렌즈 광심(O)까지의 거리를 초점 거리라고 하는데 f로 표시한다.
5. 물체 거리: 물체부터 볼록 렌즈 광심까지의 거리를 물체 거리라고 하는데 u로 표시한다.
6. 영상 거리: 물체가 볼록 렌즈를 통과하여 형성된 영상부터 볼록 렌즈 광심까지의 거리를 영상 거리라고 하는데 v 로 표시한다.
7. A1 은 영상이 처해 있는 위치이다(물체 거리(u)에 있음).
8. A2 는 현상 위치이다(영상 거리(v)에 있음).
상기 내용에서, 영상 표시부재(30)의 현상(A2)의 영상 거리는 눈 앞부터 무한원까지이고 영상 표시부재(30)는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데, 영상 표시부재(30)가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할 때 영상이 상, 하, 좌, 우 및 원주 이동을 할 수 있고, 영상 표시부재(30)가 광학 렌즈부재(20)에 대해 기울어져 있을 때 영상이 전진, 후퇴, 상, 하, 좌, 우 및 원주 이동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1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0.4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도 5a 와 도 5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 이동을 하는 영상 표시부재(30)가 광학 렌즈부재(20)에 대해 기울어져 있을 때 LED 전구를 광원(32)으로 하고 광원 캐리어(31)에 복수개의 광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눈(40)으로 광학 렌즈부재(20)의 일측에서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32)이 광원 캐리어(31)에서 한 직선을 따라 먼 곳에서부터 가까운 곳으로 차례로 명멸되는 것을 관찰하는데, 켜지는 영상(물체 거리(u))이 0.4cm 에 위치 할 때 무한원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켜지는 영상(물체 거리(u))이 0.3900cm 에 위치할 때 15.60 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물체 거리(u))의 전, 후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15cm 부터 무한원의 영상 거리를 나타내어 먼 곳, 가까운 곳을 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실시 데이터는 표 1 을 참조한다.
[표 1]
Figure pct00002
도 4 에서 볼록 렌즈의 광심을 원점으로 하는데, 눈이 우측에 위치히고 영상 표시부재(30)가 좌측에 위치할 때(즉, 물체 거리가 양수) 영상 거리가 음수이면 영상 표시부재(30)와 현상 위치는 모두 좌측에 위치한다.
실시예 1-2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4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도 5a 와 도 5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 이동하는 영상 표시부재(30)가 광학 렌즈부재(20)에 대해 기울어져 있을 때 LED 전구를 광원(32)으로 하고 광원 캐리어(31)에 복수개의 광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눈(40)으로 광학 렌즈부재(20)의 일측에서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32)이 광원 캐리어(31)에서 한 직선을 따라 먼 곳에서부터 가까운 곳으로 차례로 명멸되는 것을 관찰하는데, 광원(32)이 광원 캐리어(31)에서 켜지는 영상(물체 거리(u))이 40cm 에 위치하여 있을 때 무한원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태낼 수 있고, 광원(32)이 광원 캐리어(31)에서 켜지는 영상(물체 거리(u))이 11.0cm 에 위치하여 있을 때 15.17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물체 거리(u))의 전, 후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15cm 부터 무한원의 영상 거리를 나타내어 먼 곳, 가까운 곳을 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데이터는 표 2 를 참조한다.
[표 2]
Figure pct00003
도 4 에서 볼록 렌즈의 광심을 원점으로 하는데, 눈이 우측에 위치히고 영상 표시부재(30)가 좌측에 위치할 때(즉, 물체 거리가 양수) 영상 거리가 음수이면 영상 표시부재(30)와 현상 위치는 모두 좌측에 위치한다.
실시예 2-1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1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영상 표시부재(30)를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하도록 하는데 이때 LED 전구를 광원(32)으로 하고 광원 캐리어(31)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광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 캐리어(31)에서의 영상은 볼록 렌즈 중심점까지 6.67cm 인 곳에 위치하여 전방 20.03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30)가 도 6a 와 도 6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하는데,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 캐리어(31)에서의 영상이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명멸하면 이 영상에 따라 안구를 가이드하고 안구가 원주 조화 운동을 할 수 있어 6 개 근윤 근육군을 단련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실시예 데이터는 표 3 을 참조한다.
[표 3]
Figure pct00004
도 4 에서 볼록 렌즈의 광심을 원점으로 하는데, 눈이 우측에 위치하고 영상 표시부재(30)가 좌측에 위치할 때(즉, 물체 거리가 양수) 영상 거리가 음수이면 영상 표시부재(30)와 현상 위치는 모두 좌측에 위치한다.
실시예 2-2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1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영상 표시부재(30)를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하도록 하는데 이때 LED 전구를 광원(32)으로 하고 광원 캐리어(31)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광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 캐리어(31)에서의 영상은 볼록 렌즈 중심점까지 6.67cm 인 곳에 위치하여 전방 20.03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30)가 도 7a 와 도 7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하는데, 광원(32)은 광원 캐리어(31)에서 상, 하로 명멸하고 도 8a 와 도 8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2)은 광원 캐리어(31)에서 좌, 우로 명멸하여 이 광원 위치에 따라 안구를 가이드하고 안구가 원주 조화 운동을 할 수 있어 6 개 근윤 근육군을 단련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실시예 데이터는 표 3 을 참조한다.
실시예 3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1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영상 표시부재(30)를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하도록 하는데 이때 LED 전구를 광원(32)으로 하고 광원 캐리어(31)에 복수개의 광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 캐리어(31)에서의 영상은 볼록 렌즈 중심점까지 9.99cm 곳에 위치하여 전방 9999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30)가 도 9a 와 도 9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하는데 광원(32)은 광원 캐리어(31)에서 설정된 동적 패턴을 따라 명멸하여 눈의 주시력을 강화하고 사용 효과를 향상시키며 취미성을 증가하고 사용 빈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인 실시예 데이터는 표 3 을 참조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영상 표시부재(30)는 원형이나, 본 발명의 영상 표시부재(30)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원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4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1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영상 표시부재(30)를 고리형으로 하고 전자기기 본체(10)에 접근하며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을 이루는데 이때 LED 전구를 광원(32)으로 하고 광원 캐리어(3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광원(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표시부재(30)의 광원 캐리어(31)에서의 영상은 볼록 렌즈 중심점까지 6.67cm 인 곳에 위치하여 전방 20.03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30)가 도 10a 와 도 10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하는데 광원(32)은 광원 캐리어(31)에서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명멸하여 이 영상에 따라 안구를 가이드하고 안구가 상, 하 좌, 우의 조화 운동을 할 수 있어 6 개 근윤 근육군을 단련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실시예 데이터는 표 3 을 참조한다.
실시예 5-1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1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영상 표시부재(30)를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하도록 하는데 이때 단일 광원(32)을 영상 표시부재(30)로 하고 상기 광원(32)이 볼록 렌즈 중심점까지 9.99cm 인 곳에 위치하여 전방 9999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30)가 도 1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되는데 영상이 켜지고 사용자가 모양체근을 조절하여 먼 곳을 한 동안 응시한 후 영상이 꺼지고 눈을 잠시 쉬게하며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모양체근 단련 효과를 달성하는데 구체적인 실시예 데이터는 표 3 을 참조한다.
실시예 5-2 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원리를 이용하고 초점 거리가 10cm 인 볼록 렌즈를 예로 하며 영상 표시부재(30)를 광학 렌즈부재(20)와 평행하도록 하는데 이때 영상 스크린을 광원 캐리어(31)로 하고 영상 스크린의 광점을 광원(32)으로 하며 복수개의 광원(32)이 광원 캐리어(31)에서 한 조의 화상을 형성하는 영상이 볼록 렌즈 중심점까지 9.99cm 인 곳에 위치하여 전방 9999cm 의 현상 영상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30)가 도 1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하는데 영상(31)이 켜지고 사용자가 모양체근을 조절하여 먼 곳을 한 동안 응시한 후 영상이 꺼져 눈을 잠시 쉬게하며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모양체근 단련 효과를 달성하는데 구체적인 실시예 데이터는 표 3 을 참조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광점이 하나의 평면에 분포되고, 제어받아 광학 렌즈부재(20)와 협동할 수 있다면 모두 안구 근육 운동을 가이드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실시예 5-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 광원도 영상 표시부재(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실시예 5-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스크린도 영상 표시부재(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에서, 상기 휴대형 장치는 휴대폰, 노트북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형 전기장치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학 렌즈 원리를 이용하여 정확한 영상 표시부재와 거리를 선용하여 장치 길이를 단축하고 휴대가 편리하는 사이즈내에서 가까운 곳에서부터 무한원까지의 현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원근 현상의 변화를 제공하여 모양체근이 수축, 이완 단력되도록 하고 또한 적절한 거리와 영상 표시부재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안구의 상, 하, 좌, 우 및 원주 이동을 가이드하여 6 개 근윤(상, 하직근, 내, 외직근과 상, 하사근)의 조화동작을 제공하고 눈의 각종 근육을 전면적으로 가이드하여 보상적으로 휴대형 장치가 눈에 대한 손상을 감소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표시부재(30)는 영상의 다양한 변화를 제공하여 사용 의욕을 증가하고 보건 효과를 달성하며 근시와 난시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외부 광선을 차단하는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에 개구가 형성되는 휴대형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과 상통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광학 렌즈부재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에 위치하며 상기 광학 렌즈부재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 표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광원, 광원 캐리어에 설치되는 광원 세트와 영상 스크린 중의 하나인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 렌즈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의 초점 거리가 40c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동적 영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광점 영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상기 광학 렌즈부재와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광학 렌즈부재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상기 제어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상기 제어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재는 상기 제어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KR1020157005752A 2013-10-11 2013-10-24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KR101634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73269.7A CN103494706B (zh) 2013-10-11 2013-10-11 一种具有保健视力功能的便携式电子设备
CN201310473269.7 2013-10-11
PCT/CN2013/085873 WO2015051566A1 (zh) 2013-10-11 2013-10-24 一种具有保健视力功能的便携式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182A true KR20150058182A (ko) 2015-05-28
KR101634056B1 KR101634056B1 (ko) 2016-06-27

Family

ID=4986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752A KR101634056B1 (ko) 2013-10-11 2013-10-24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6870B2 (ko)
KR (1) KR101634056B1 (ko)
CN (1) CN103494706B (ko)
TW (2) TW201513841A (ko)
WO (1) WO2015051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0200B2 (en) * 2014-12-16 2017-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visual impairment through normal use of a mobile device
USD813408S1 (en) * 2015-10-28 2018-03-20 Healthmate International, LLC Electronic massa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323A (en) * 1992-10-30 1996-06-18 Nidek Co., Ltd. Ophthalmic apparatus including hand-held measuring device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KR20020019776A (ko) * 2000-09-07 2002-03-13 임명규 안구운동 기기
CN203089800U (zh) * 2013-01-29 2013-07-31 吴荣泰 一种视力保健仪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8846A (en) 1981-02-02 1983-10-11 Andrew M. Clay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visual acuity
US5173724A (en) * 1989-07-05 1992-12-22 Celeste Virginia Bonham Optical system which helps reduce eye strain
CN2060068U (zh) 1989-08-12 1990-08-08 中国科学院上海生理研究所 视力保健仪
CN2289545Y (zh) 1997-03-28 1998-09-02 深圳维视佳电子有限公司 视力保健仪
CN2313572Y (zh) 1997-11-26 1999-04-14 高宏君 视力保健器
JP2001293049A (ja) * 2000-04-17 2001-10-23 Masahiko Oyama 脳の活性化方法
WO2004021962A1 (ja) * 2002-07-15 2004-03-18 Shoichi Terui 視力、頭髪回復装置と治療方法
CN100502825C (zh) 2003-01-16 2009-06-24 堀江秀典 视力改善装置
US20090168016A1 (en) * 2004-07-14 2009-07-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sion recovery training device
CN2770617Y (zh) 2005-01-10 2006-04-12 河北路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视觉保健仪
CN201168114Y (zh) * 2008-03-11 2008-12-24 朱国贞 老视治疗仪
CN201168167Y (zh) * 2008-03-11 2008-12-24 朱国贞 微电脑视力训练装置
CN201244121Y (zh) * 2008-08-23 2009-05-27 林蕴婷 视力矫正训练机
CN201759836U (zh) 2010-08-31 2011-03-16 河北路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视觉保健仪
CN202051965U (zh) * 2011-04-08 2011-11-30 冯丹藜 养目品
CN202136543U (zh) * 2011-05-20 2012-02-08 顾宝文 电脑化智能性弱视治疗仪
TWM460651U (zh) 2013-01-18 2013-09-01 Rong-Tai Wu 視力保健儀
CN203539647U (zh) * 2013-10-11 2014-04-16 吴荣泰 一种具有保健视力功能的便携式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323A (en) * 1992-10-30 1996-06-18 Nidek Co., Ltd. Ophthalmic apparatus including hand-held measuring device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KR20020019776A (ko) * 2000-09-07 2002-03-13 임명규 안구운동 기기
CN203089800U (zh) * 2013-01-29 2013-07-31 吴荣泰 一种视力保健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94706B (zh) 2016-03-30
TWI516254B (ko) 2016-01-11
KR101634056B1 (ko) 2016-06-27
CN103494706A (zh) 2014-01-08
TW201513841A (zh) 2015-04-16
US20150103311A1 (en) 2015-04-16
TWM492138U (zh) 2014-12-21
WO2015051566A1 (zh) 2015-04-16
US9226870B2 (en)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477B1 (ko) 시력개선장치
KR20190132491A (ko) 시력 교정을 갖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09236761U (zh) 一种用于治疗青少年远弱视的睫状肌的训练仪
CN112315754B (zh) 一种基于vr眼镜的视力训练系统及vr眼镜
CN110275307A (zh) 一种具有缓解眼疲劳功能的vr眼镜系统
CN107260506B (zh) 基于眼动的3d视觉训练系统、智能终端及头戴设备
KR101634056B1 (ko)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
CN102743284A (zh) 一种近视眼理疗仪
CN203539647U (zh) 一种具有保健视力功能的便携式电子设备
JP2020068960A (ja) 刺激付与装置
CN203089800U (zh) 一种视力保健仪
US20230296895A1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to enhance brain function via presentation of visual effects in far and/or ultra-far peripheral field
US20200030596A1 (en) System for training visual acuity
CN210020225U (zh) 一种眼部理疗仪
CN104739568A (zh) 一种近视眼治疗椅
CN109984924B (zh) 一种散光视力改善的训练方法
CN204016785U (zh) 一种具有震动功能的视力保健仪
CN204618555U (zh) 一种近视眼治疗椅
CN206080988U (zh) 一种光电脉冲复合护眼仪
JP2004351103A (ja) 調整式プリズム視力訓練装置
KR101598110B1 (ko) 특정 구조를 가지는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
TWM499906U (zh) 視力訓練設備
CN207306867U (zh) 一种护眼仪
TWI558394B (zh) 視力訓練設備
CN203710324U (zh) 一种热磁电脉冲近视保健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