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064A -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및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및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064A
KR20150058064A KR1020140161128A KR20140161128A KR20150058064A KR 20150058064 A KR20150058064 A KR 20150058064A KR 1020140161128 A KR1020140161128 A KR 1020140161128A KR 20140161128 A KR20140161128 A KR 20140161128A KR 20150058064 A KR20150058064 A KR 2015005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brid device
low temperature
zone
flui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스매커 조르주 드
카멜 아주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5005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액티브 면(4a, 4b) 사이에 인가된 온도 구배로부터 전류가 생성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요소(3)를 제 1 구역(91)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온도 구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고온 유체로서 지칭되는 제 1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고온 회로로서 지칭되는 제 1 회로(1)와, 고온 유체보다 낮은 온도인 저온 유체로서 지칭되는 제 2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저온 회로로서 지칭되는 제 2 회로(2)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저온 유체와 고온 유체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하는 제 2 구역(92)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고온 유체가 제 1 방향(L)으로 지칭되는 단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과하도록 설계되며,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92)은 제 1 방향(L)으로 직렬로 위치된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및 열교환기{HYBRID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NOTABLY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AND A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thermoelectric module)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hybrid device), 및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제벡 효과(Seebeck effect)로서 알려진 현상을 이용하여 2개의 대향면 사이의 온도 구배의 존재시에 전류를 생성시키는 열전 요소로서 지칭되는 요소를 제 1 구역에 포함하는 열교환기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열교환기는 자동차의 전방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자동차의 그릴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류가 이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한다. 따라서, 열교환기는 핀의 적층체를 포함하며, 하나의 그룹의 핀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그룹의 핀은 자동차 엔진 냉각재 루프의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튜브에 열적으로 연결된다. 열전 요소는 각 그룹의 핀과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핀 사이의 온도차로부터 생기는 온도 구배를 받게 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주변 공기와 냉각재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하기 위해 열전 요소를 구비하지 않는 부분을 제 2 구역에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구역은 주변 공기가 2개의 구역을 평행하게 통과하도록 나란히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배기 가스, 특히 재순환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제공된 열을 활용하기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구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목적으로 위해, 2개의 액티브 면(active face) 사이에 인가된 온도 구배로부터 전류가 생성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요소를 제 1 구역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상기 온도 구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고온 유체로서 지칭되는 제 1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고온 회로로서 지칭되는 제 1 회로와, 고온 유체보다 낮은 온도인 저온 유체로서 지칭되는 제 2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저온 회로로서 지칭되는 제 2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저온 유체와 고온 유체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하는 제 2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고온 유체가 제 1 방향으로 지칭되는 단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과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은 제 1 방향으로 직렬로 위치된다.
따라서, 제 1 구역은 고온 유체가 순환하는 방향으로 제 2 구역과 직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구역, 즉 열전 요소를 갖는 구역에 사용되는 깊이, 및 제 2 구역, 즉 열교환에 기여하는 구역의 깊이를 무연관성화(decorrelate)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구역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전체 측방향 표면, 즉 제 1 방향에 수직한 표면을 가로질러 존재하여, 고온 유체의 모든 유동이 열교환에 기여하게 할 것이다. 고온 유체에 주어진 단일 방향은, 또한, 압력 강하를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가 배기 가스에 적용되는 경우에 보다 넓은 엔진 작동 범위에 걸쳐서 사용하기 보다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하의 특징들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 상기 저온 회로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구역을 통과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2 구역을 통과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 상기 제 1 구역은 제 1 방향에서 제 2 구역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은 저온 회로의 순환에 대하여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의 상류측에 있으며,
- 상기 제 1 구역은 제 2 구역과 열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고온 유체와 열교환하기 위한 2차 열교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은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역에 위치된 2차 열교환 표면은 상기 제 2 구역에 위치된 2차 열교환 표면과 열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독립적이고,
- 상기 고온 회로 및 저온 회로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에서 고온 유체가 저온 유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 상기 열전 요소는 환형 형상을 갖고,
- 상기 열전 요소의 외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액티브 면의 제 1 면은 고온 유체와 열교환 관계에 있고, 상기 열전 요소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액티브 면의 제 2 면은 저온 유체와 열교환 관계에 있으며,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구역을 통과하는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과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2 구역을 통과하는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은 독립적이고,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으로 저온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와,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저온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와, 상기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으로 저온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와, 상기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으로부터 저온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 및/또는 상기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은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의 입구 헤더와 출구 헤더 사이 및/또는 상기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의 입구 헤더와 출구 헤더 사이에서 저온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몇 개의 서브회로(sub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회로는 서로 평행하고,
-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은 동일한 개수의 서브회로를 포함하고,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구역을 통과하는 상기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 및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2 구역을 통과하는 상기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은 그 순서로 직렬로 통과되도록 구성되고,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 저온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와,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부터 저온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회로는 입구 헤더와 출구 헤더 사이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에서 저온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몇 개의 서브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회로는 서로 평행하고,
- 저온 유체를 위한 상기 입구 헤더는 상기 고온 유체와 최초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열전 요소의 모듈의 영역에 위치되고, 저온 유체를 위한 상기 출구 헤더는 상기 고온 유체와 최후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 2 구역의 섹션의 영역에 위치되고,
- 저온 유체를 위한 상기 입구 헤더 및 출구 헤더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하나의 동일 측면 상에 위치되고,
- 상기 열전 요소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된 모듈로 서로 그룹지어지고,
- 적어도 2개의 모듈은 모듈의 횡렬(rank)을 형성하고, 이러한 모듈의 횡렬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 적어도 2개의 모듈은 모듈의 종렬(row)을 형성하고, 이러한 모듈의 종렬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 상기 저온 회로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및/또는 제 2 구역의 영역에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튜브의 종렬을 형성하고, 이러한 튜브의 종렬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튜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 상기 제 2 방향은 제 1 방향, 및 저온 유체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해 순환하는 방향에 수직하고,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횡렬 및 적어도 2개의 종렬을 포함하고,
- 모듈의 2개의 종렬은 제 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모듈의 2개의 횡렬은 제 2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 2개의 인접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은 제 2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서 지그재그 구성(staggered configuration)으로 배열되고,
- 2개의 인접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은 제 2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격자 패턴(grid pattern)으로 배열되고,
- 2개의 인접한 횡렬의 인접한 모듈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서 지그재그 구성으로 배열되고,
- 2개의 인접한 횡렬의 인접한 모듈은 제 1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 각각의 서브회로는 각각의 종렬의 인접한 모듈을 포함하고,
- 각각의 서브회로는 인접한 종렬을 구불구불한 형상(serpentine)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 각각의 서브회로는 2개의 상이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을 그 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은 코르게이트형(corrugated) 및/또는 천공형 및/또는 루버형(louvered)이고,
- 상기 열전 요소는 그 액티브 면을 연결하는 2개의 대향하는 평행 평탄면을 갖고,
-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은 이 2차 열교환 표면을 통과하는 열전 요소를 구비하고,
-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은 고온 유체의 순환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고,
-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은 고온 유체의 유독성 성분의 촉매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촉매 코팅을 포함하고,
-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은, 상기 모듈이 2차 열교환 표면을 통과하도록 상기 모듈의 일부 또는 모두를 서로 연결하고,
-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상기 2차 열교환 표면이 상기 고온 유체를 규정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휩쓸리도록 자동차의 배기 가스 재순환 파이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적으로 예시로서 주어지고, 그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첨부된 도면에 수반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열전 요소의 모듈의 일례의 조립시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구역의 어레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및 제 2 구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하나의 유체의 순환을 위한 회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모듈의 종렬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은, 그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명세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모듈(10)을 형성하는 열전 요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모듈(10)은, 특히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인 고온 유체(hot fluid)로서 지칭되는 제 1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고온 회로(hot circuit)로서 지칭되는 제 1 회로(1)의 요소와, 고온 유체보다 낮은 온도의, 특히 냉각 회로의 열-전달 유체인 저온 유체(cold fluid)로서 지칭되는 제 2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저온 회로(cold circuit)로서 지칭되는 제 2 회로(2)의 요소(15)를 포함한다.
상기 저온 유체는, 특히 액체이도록 계획됨으로써, 고온 유체보다 높은 열 전달 계수를 가질 수도 있다.
열전 요소는 예를 들어 환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열전 요소는 2개의 면 사이, 즉 원통형의 외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면으로서 지칭되는 하나의 면(4a)과, 원통형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면으로서 지칭되는 다른 면(4b) 사이에 인가된 온도 구배의 작용하에서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면(4a, 4b)은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둥근 단면 및/또는 다각형 단면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제 1 면(4a)은 고온 회로와 열교환 관계에 있으며, 제 2 면(4b)은 저온 회로와 열교환 관계에 있다.
이러한 열전 요소는 제벡 효과로 작동하고, 온도 구배를 받는 상기 면(4a, 4b) 사이에 연결된 부하(load)에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알려진 방식에 있어서, 이러한 열전 요소는 예를 들어 비스무트(bismuth) 및 텔루륨(tellurium)(Bi2Te3)으로 이루어진다.
열전 요소는, 제 1 부분에서는, 소정의 온도 구배를 받을 때, "양(positive)"으로서 지칭되는 일방향으로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P로서 지칭되는 제 1 타입의 요소(3p)이고, 다른 부분에서는, 동일한 온도 구배를 받을 때, "음(negative)"으로서 지칭되는 반대 방향으로 전위차를 생성시킬 수 있는 N으로서 지칭되는 제 2 타입의 요소(3n)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도시된 열전 요소(3)는 단일 피스로서 이루어진 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들 열전 요소는 링의 각도 부분(angular portion)을 각각 형성하는 몇 개의 피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면(4a)은 예를 들어 제 2 면(4b)의 반경의 1.5배 내지 4배의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면은 제 2 면(4b)의 반경의 대략 2배인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열전 요소는 예를 들어 2개의 대향하는 평행한 평탄면(6a, 6b)을 갖는다. 즉, 열전 요소를 구성하는 링은 직사각형의 환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열전 요소(3)는, 예를 들어 서로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특히 동축으로 배열되며, P 타입의 열전 요소는 제 3 방향(D)으로서 지칭되는 방향(D)으로 N 타입의 열전 요소와 교대로 배치된다. 이들 열전 요소는 특히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열전 요소는 특히 그들의 전기 전도성에 따라 타입간에 서로 상이한 두께, 즉 2개의 평탄면 사이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요소(3)는 예를 들어 쌍으로 그룹지어지며, 각 쌍은 P 타입의 하나의 열전 요소 및 N 타입의 하나의 열전 요소로 형성되며, 모듈은, 하나의 동일 쌍의 열전 요소의 제 1 면들 사이에서 전류가 순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동일 쌍의 각각의 열전 요소와 인접한 쌍의 인접한 열전 요소의 제 2 면들 사이에서 전류가 순환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향(D)으로 인접하여 위치된 열전 요소(3) 사이에서 전류가 직렬로 순환하게 한다.
유체 순환 회로(1, 2)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기 위해서, 열전 요소(3)는, 서로에 대해 제 1 면(4a) 및/또는 제 2 면(4b)이 연속하여 놓이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제 1 면(4a) 및/또는 제 2 면(4b)은 직선에 의해 이루어진 표면에 접한다.
저온 액체의 순환을 위한 저온 회로(2)의 요소(15)는 열전 요소(3)의 제 2 면(4b)과 접촉한다. 저온 회로(2)의 요소(15)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다.
도 2에 있어서, 모듈은 저온 회로의 요소를 통한 저온 유체의 순환을 위한 제 1 튜브(12)로서 지칭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 1 튜브(12) 상에는, 상이한 타입의 적어도 2개의 열전 요소가 장착된다. 제 1 튜브(12)는 특히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제 1 튜브는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또한, 상기 모듈(10)은 제 1 튜브(12)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제 3 방향(D)으로 인접하는 열전 요소(3)의 2개의 대향하는 면(6a, 6b) 사이에 위치된 전기 절연 수단(2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있어서, 열전 요소(3) 및 전기 절연 수단(20)은 저온 유체의 순환을 위한 제 1 튜브(12) 상에 교대로 조립된다.
또, 상기 모듈은 상이한 타입의 인접하는 2개의 열전 요소의 외주면(4a)을 연결하는 제 1 전기-접속 수단과, 상이한 타입의 인접하여 제공된 2개의 열전 요소의 내주면(4b)을 연결하는 제 2 전기-접속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고온 회로(1)에 있어서의 열전 요소(3)의 외측 주위로 화살표(102) 방향으로 순환하는 고온 유체와 제 1 면(4a)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실행하는 것을 고온 회로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본 예에서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을 통해 화살표(100) 방향으로 순환하는 저온 유체와 제 2 면(4b)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실행하는 것을 고온 회로가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열전 요소의 경우에는, 가장 작은 열교환 계수를 갖는 유체, 본 예에서는 배기 가스와 열전 요소(3) 사이의 열교환이 증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모듈은, 이 모듈에서, 고온 유체 및 제 2 유체가 화살표(100, 102)의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직교방향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모듈의 그 주변환경에의 통합(integration)을 촉진하는 한편, 또한 수반된 재료의 양을 저감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복수의 모듈(10)을 제 1 구역(91)에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모듈(10)의 횡렬(rank)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모듈과, 모듈의 종렬(row)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의 동일한 횡렬에 속하는 모듈(10)은 제 1 방향(L)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 1 방향(L)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방향(H)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모듈의 동일한 종렬에 속하는 모듈(10)은 제 2 방향(H)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 1 방향(L)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고온 유체가, 모듈(10) 주위를 돌기 위한 것이 아닌 경우, 일방향, 즉 본 예에서는 제 1 방향(L)으로만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과하도록 하이브리드 디바이스가 배열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제 1 방향(L)은 특히 고온 유체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해 순환하는 방향(102)에 평행하며, 제 2 방향(H)은 제 1 방향(L), 및 저온 유체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해 순환하는 방향(100)에 수직하다. 그에 따라, 모듈(10)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내에서 제 3 방향(D)으로 연장되고, 제 1 방향(L)에서 횡렬로 그리고 제 2 방향(H)에서 종렬로 배열된다.
제 1 방향(L), 제 2 방향(H) 및/또는 제 3 방향(D)은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10)은 제 1 방향(L)으로 오프셋되는 것에 부가하여 제 2 방향(H)으로 서로 오프셋되어서 지그재그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2개의 인접한 종렬의 모듈(10)은, 각각의 종렬에서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 즉 제 2 방향(H)에서 바닥부로부터 시작하는 종렬의 제 1 모듈, 제 1 모듈 바로 위에 위치되는 모듈 등을 인접한다고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구역(91)은 3개의 모듈(10)의 4개의 종렬 및 2개의 모듈(10)의 6개의 횡렬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개수의 종렬 및/또는 다른 개수의 횡렬과, 종렬당 다른 개수의 모듈(10) 및/또는 횡렬당 다른 개수의 모듈(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10)은 제 2 방향(H)에서 서로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격자 패턴(grid pattern)으로 배열된다. 2개의 인접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10)은 제 1 방향(L)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격자 패턴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종렬이 포함하는 모듈(10)의 개수는 횡렬의 개수와 동일하고, 횡렬이 포함하는 모듈(10)의 개수는 종렬의 개수와 동일하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제 1 구역(91)은 3개의 모듈(10)의 4개의 종렬 및 4개의 모듈(10)의 3개의 횡렬을 포함하지만, 물론, 다른 개수의 종렬 및/또는 다른 개수의 횡렬과, 종렬당 다른 개수의 모듈(10) 및/또는 횡렬당 다른 개수의 모듈(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유체와 고온 유체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하는 제 2 구역(92)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제 1 구역(91)에서 전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제 2 구역(92)에서 열을 교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92)은 제 1 방향(L)으로 직렬로 위치된다. 특히, 제 1 구역(91)은 고온 유체가 순환하는 방향, 즉 제 1 방향(L)에서 제 1 구역(92)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고온 회로 및 저온 회로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에서, 특히 제 1 구역(91)에서 고온 유체가 저온 유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순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2 구역(92)은 저온 회로로서 제 2 부분(4)을 포함한다. 즉, 고온 회로 및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은 직접 접촉하여 저온 유체와 고온 유체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한다.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저온 유체의 순환을 위한 제 2 튜브(13)로서 지칭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구역(91)은 몇 개의 종렬의 모듈(10) 및 몇 개의 횡렬의 모듈(1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 2 구역(92)은 튜브(13)의 단일의 종렬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튜브(13)는 제 2 방향(H)으로 이격되어 있고, 고온 유체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떠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면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튜브(13)는 이 튜브(13)의 하나의 종렬을 형성하고, 이러한 종렬에서는, 적어도 2개의 튜브(13), 본 예에서 3개의 튜브(13)가 바람직하게는 제 1 구역(91)의 제 1 튜브(12)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 2 방향(H)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 2 구역(92)은 본 명세서에서 튜브(13)의 단일의 종렬을 포함하지만, 물론 다른 개수의 튜브(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저온 유체를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 내로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inlet header)(72)와, 저온 유체를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outlet header)(71)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저온 회로는 입구 헤더(72)와 출구 헤더(71) 사이에서 모듈(10)을 통한 저온 유체의 통과를 위한 몇 개의 서브회로(subcircuit)(73)를 포함하고, 이러한 서브회로(73)는 서로 평행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과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의 서브회로(73)와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의 서브회로(73)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 유체가 입구 헤더(72)를 거쳐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 들어가고,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 및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을 통과하고, 출구 헤더(71)를 거쳐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부터 다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서로 연통하여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저온 유체를 위한 출구 헤더(71)는 제 2 구역에 위치되고, 저온 유체를 위한 입구 헤더(72)는 고온 유체와 최초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모듈(10)의 종렬, 즉 입구면(81)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된 모듈(10)의 종렬에 위치된다. 입구 헤더(72) 및 출구 헤더(71)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하나의 동일 측면 상에, 본 예에서 고온 유체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 들어오는 유입구에 대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측방향 측면 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서브회로(73)는 각각의 종렬의 인접한 모듈(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렬당 모듈(10)만큼 많은 독립적인 서브회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서브회로(73)는 인접한 종렬을 구불구불한 형상(serpentine)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저온 유체는 입구 헤더(72)에 도달하고, 입구 헤더(72)에 위치된 종렬의 모듈(10) 중 하나, 즉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으로 들어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방향(D)으로 길이방향으로 모듈을 통과하고, 인접한 종렬의 인접한 모듈(10)로 들어가고, 제 3 방향(D)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모듈을 통과한다. 저온 유체는, 출구 헤더(71)를 통해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빠져나가기 전에, 제 2 구역(92)의 튜브(13)의 종렬의 인접한 튜브에 도달할 때까지, 즉 제 2 구역에 위치된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방식으로 계속하여 흐른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은 저온 유체의 순환에 대하여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의 상류측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 및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은 열적으로 독립적이다. 여기에서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저온 유체가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에서 독립적으로 순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의 서브회로는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의 서브회로와 독립적이다. 이들 구역 각각은 전술한 것과 유사한 자체의 저온 유체 입구 헤더 및 자체의 저온 유체 출구 헤더를 가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7) 및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4)은 동일한 개수의 서브회로를 포함한다.
도 7에 보다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브회로(73)는 2개의 다른 종렬의 인접한 모듈(10)을 그 단부에서 서로 결합하는 파이프(74)를 포함한다. 이들 파이프는 특히 U자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고온 유체가 모듈(10)을 통해 들어오는 면을 향하여 위치되고, 고온 유체를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내로 유입하는 입구 헤더(83)와, 고온 유체를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 유입하는 입구 헤더(83)와 반대측에 위치된 고온 유체 출구 헤더(84)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은, 유리하게는, 고온 유체와 열교환하기 위한 2차 열교환 표면(9), 특히 핀(10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전 요소(3)와 고온 유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을 위한 표면적이 증대된다. 상기 핀(104)은 예를 들어 열전 요소(3)에 대하여 횡방향, 특히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예에서, 핀은 고온 유체와의 양호한 열교환을 허용하지만 압력 강하를 제한하는 간격을 갖고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핀(104)은 열전 요소(3)에 대해 편심될 수도 있고, 특히 고온 유체가 도달하는 측면 상에서 길어질 수 있다. 핀(104)은 예를 들어 코르게이트형(corrugated) 및/또는 천공형 및/또는 루버형(louvered)일 수 있다. 핀을 코르게이트형 및/또는 천공형 및/또는 루버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특히 열교환을 위한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또한 고온 유체의 유동을 방해함으로써 열교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핀은 특히 금속으로 제조된다.
상기 핀(104)은 모듈이 핀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도면에서는, 종렬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핀은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의 튜브(13)를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전기적 관점에서, 모듈은 그 종방향 단부에 위치된 접속부(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2차 열교환 표면(9)은 고온 유체의 유독성 성분의 촉매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촉매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기 가스의 경우에, 그러한 장비에서의 촉매 작용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에 부가하여 또는 그 성분 대신에, 모듈은 그러한 방식으로 촉매 변환장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역의 2차 열교환 표면 및 제 2 구역의 2차 열교환 표면은 열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독립적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2차 열교환 표면이 배기 가스에 의해 휩쓸리는 방식으로 자동차의 배기 가스 파이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파이프 자체에 의해 핀 사이로 보내지도록 의도되는 한편, 제 2 유체의 순환이 측면에 배치된 입구/출구 헤더에 의해 달성되어, 통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 : 제 1 회로(고온 회로) 2 : 제 2 회로(저온 회로)
3 : 열전 요소 4 : 저온 회로의 제 2 부분
4a, 4b : 액티브 면 7 : 저온 회로의 제 1 부분
9 : 2차 열교환 표면 80 :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91 : 제 1 구역 92 : 제 2 구역

Claims (14)

  1. 2개의 액티브 면(4a, 4b) 사이에 인가된 온도 구배로부터 전류가 생성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요소(3)를 제 1 구역(91)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상기 온도 구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고온 유체로서 지칭되는 제 1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고온 회로로서 지칭되는 제 1 회로(1)와, 고온 유체보다 낮은 온도인 저온 유체로서 지칭되는 제 2 유체의 순환을 허용할 수 있는 저온 회로로서 지칭되는 제 2 회로(2)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저온 유체와 고온 유체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하는 제 2 구역(92)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는 고온 유체가 제 1 방향(L)으로 지칭되는 단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통과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92)은 제 1 방향(L)으로 직렬로 위치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91)은 제 1 방향(L)에서 상기 제 2 구역(92)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92)은 열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고온 유체와 열교환하기 위한 2차 열교환 표면(9)을 포함하며, 상기 2차 열교환 표면(9)은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92)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역(91)에 위치된 2차 열교환 표면(9)은 상기 제 2 구역(92)에 위치된 2차 열교환 표면(9)과 열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독립적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회로(1) 및 저온 회로(2)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에서 고온 유체가 저온 유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요소(3)는 환형 형상을 갖고, 상기 열전 요소(3)의 외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액티브 면의 제 1 면(4a)은 고온 유체와 열교환 관계에 있고, 상기 열전 요소(3)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액티브 면의 제 2 면(4b)은 저온 유체와 열교환 관계에 있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의 제 1 구역(91)을 통과하는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과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의 제 2 구역(91)을 통과하는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은 독립적인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으로 저온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와,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으로부터 저온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와,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으로 저온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와,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으로부터 저온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 및/또는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은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의 입구 헤더와 출구 헤더 사이 및/또는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의 입구 헤더와 출구 헤더 사이에서 저온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몇 개의 서브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회로는 서로 평행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 및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은 동일한 개수의 서브회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의 제 1 구역(91)을 통과하는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1 부분(7) 및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의 제 2 구역(92)을 통과하는 상기 저온 회로(2)의 제 2 부분(4)은 그 순서로 직렬로 통과되도록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로 저온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 헤더(72)와,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로부터 저온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헤더(71)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회로(2)는 입구 헤더(72)와 출구 헤더(71) 사이의 제 1 구역(91) 및 제 2 구역(92)에서 저온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몇 개의 서브회로(73)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회로(73)는 서로 평행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저온 유체를 위한 상기 입구 헤더(72)는 상기 고온 유체와 최초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열전 요소의 모듈(10)의 영역에 위치되고, 저온 유체를 위한 상기 출구 헤더(71)는 상기 고온 유체와 최후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 2 구역(92)의 섹션의 영역에 위치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저온 유체를 위한 상기 입구 헤더(72) 및 출구 헤더(71)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의 하나의 동일 측면 상에 위치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 요소의 적어도 2개의 모듈(10)은 모듈(10)의 종렬을 형성하고, 이러한 모듈의 종렬에 있어서, 상기 모듈(10)이 상기 제 1 방향(L)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방향(H)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저온 회로(2)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80)의 제 1 및/또는 제 2 구역(91, 92)의 영역에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튜브의 종렬을 형성하고, 이러한 튜브의 종렬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튜브(12, 13)가 상기 제 2 방향(H)으로 이격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KR1020140161128A 2013-11-18 2014-11-18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및 열교환기 KR20150058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1255A FR3013433B1 (fr) 2013-11-18 2013-11-18 Dispositif hybride comprenant un module thermo electrique, notamment destine a generer un courant electri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et un echangeur de chaleur de chaleur
FR1361255 2013-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064A true KR20150058064A (ko) 2015-05-28

Family

ID=5013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128A KR20150058064A (ko) 2013-11-18 2014-11-18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및 열교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8332B2 (ko)
EP (1) EP2874191B1 (ko)
KR (1) KR20150058064A (ko)
FR (1) FR3013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7682B2 (en) 2016-12-21 2018-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t duty for a heat recover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161B1 (fr) * 2015-09-15 2018-03-23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thermo electrique, notamment destine a generer un courant electri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FR3041159B1 (fr) * 2015-09-15 2018-03-23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et dispositif thermo electriques, notamment destines a generer un courant electri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EP3165735B1 (en) * 2015-11-06 2018-05-23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 unit for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EP3264478A1 (en) * 2016-06-30 2018-01-03 European Thermodynamics Limited Thermoelectric heat recovery system, exhaust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waste heat into energy
EP3591199A1 (en) * 2016-11-08 2020-01-08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 unit for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EP3505859A1 (en) * 2017-12-26 2019-07-03 Borgwarner Emissions Systems Spain, S.L.U. Recuperator device for recovering energy from exhaust gas hea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8895A (en) * 1963-12-20 1965-04-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ermoelectric apparatus
DE102008023937A1 (de) * 2008-05-16 2009-11-19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aus Abgaswärme
DE102009058676A1 (de) * 2009-12-16 2011-06-22 Behr GmbH & Co. KG, 70469 Wärmetauscher
FR2965402B1 (fr) 2010-09-29 2012-09-1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thermo électrique, notamment destine a générer un courant électrique dans un véhicule automobile.
FR2965401B1 (fr) * 2010-09-29 2012-09-1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thermo electrique, notamment destine a générer un courant électrique dans un véhicule automobile.
FR2977374B1 (fr) * 2011-06-30 2014-04-18 Michel Simonin Element, module et dispositif thermo electrique, notamment destines a generer un courant electri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2210565A1 (de) * 2012-06-22 2013-12-24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Wärmetausc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7682B2 (en) 2016-12-21 2018-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t duty for a heat recovery system
US10612422B2 (en) 2016-12-21 2020-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t duty for a heat reco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3433B1 (fr) 2019-05-17
US20150136193A1 (en) 2015-05-21
FR3013433A1 (fr) 2015-05-22
US9698332B2 (en) 2017-07-04
EP2874191A2 (fr) 2015-05-20
EP2874191B1 (fr) 2019-05-08
EP2874191A3 (fr)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8332B2 (en) Hybrid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notably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and a heat exchanger
JP5895301B2 (ja) 熱交換器
US9299906B2 (en) Thermoelectric device, in particular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JP4581802B2 (ja) 熱電変換装置
KR20150091128A (ko) 자동차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 열전 모듈 및 장치
JP6133945B2 (ja) 熱電装置、特に、自動車に電流を発生させるための熱電装置
US20140216514A1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device, particularly for generating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JP4285438B2 (ja) 熱発電装置
US2013030979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Especially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al Current In An Automotive Vehicle
KR101435667B1 (ko) 차량용 열전발전장치
JP5909235B2 (ja) 特に自動車で電流を生成するための熱電装置
JP6111472B2 (ja) 熱電装置、特に、自動車に電流を発生させるための熱電装置
JP2016025271A (ja) 熱電変換装置
KR20160033101A (ko)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열전 장치
US9385290B2 (en) Assembly compri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said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such an assembly
JP2010275872A (ja) 熱電ユニット
JP6009534B2 (ja) 特に自動車において電流を発生させるための熱電アセンブリおよび装置
US20150323228A1 (en) Heat Ex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Connected in Series
CN105190922A (zh) 热电模块和包括这样的模块的热交换器
US20160305304A1 (en) Thermoelectric module, thermoelectric device, heat exchanger and egr loop
JP6500685B2 (ja) 熱電発電装置
US20160190419A1 (en) Thermoelectric Module, In Particular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US10559739B2 (en) Thermoelectric module for a thermoelectric generator
US9673370B2 (en) Water-and-air-cooled thermoelectric device
US20160118568A1 (en) Thermoelectric Element, Assembly and Module, In Particular Intended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In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