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877A - 패널 인양 지그 - Google Patents

패널 인양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877A
KR20150057877A KR1020130141762A KR20130141762A KR20150057877A KR 20150057877 A KR20150057877 A KR 20150057877A KR 1020130141762 A KR1020130141762 A KR 1020130141762A KR 20130141762 A KR20130141762 A KR 20130141762A KR 20150057877 A KR20150057877 A KR 2015005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ifting
lifting piece
jig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802B1 (ko
Inventor
황성현
김원호
박종명
이재광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결합과 해체가 용이한 패널 인양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슬릿이 형성된 지그본체, 일부가 상기 지그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된 부분에 패널의 인양을 위한 인양구가 결합되는 인양편, 상기 인양편의 측면과 상기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지그본체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저면에서 패널의 체결홀 외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구비되는 레그 및 상기 인양편과 지그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패널 인양 지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패널 인양 지그{Panel Lifting Jig}
본 발명은 결합과 해체가 용이한 패널 인양 지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컨테이너선을 이용한 물동량이 급증함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및 고속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화 경향은 괄목할 만하다. 1972년 처음 3,000 TEU(Twenty Equivalent Units)급 컨테이너선이 등장한 이래 최근에는 화물의 대량 수송 및 영업이익 극대화를 위해 12,000 TEU(Twenty Equivalent Units)급 컨테이너선이 선보이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의 선체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선수, 선미, 기관실, 선실 및 화물창(Cargo part)으로 구분되며, 컨테이너는 화물창에 적재된다. 이때 화물창은 갑판을 기준으로 갑판 상부의 화물창과 갑판 하부의 화물창으로 구분된다.
상기 화물창에는 컨테이너가 여러 층으로 높이 쌓이는데, 컨테이너 특성상 선박 갑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쌓이게 된다.
한편 갑판 상부의 화물창에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선이 운항할 경우, 갑판 상부 화물창에 적재된 컨테이너에 의해 공기저항이 발생되므로, 컨테이너선의 경제적인 운항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1217702호에서는 선박(10)의 선수부에 에어스포일러(20)를 구비하여 선수의 바람을 가르도록 이루어져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스포일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기상상황에 따라 선박의 선수에는 바람뿐만 아니라 파도 등에 의해 해수도 들이치는데, 파고가 높을 때 들이치는 압력이 매우 크며 그에 따라 에어스포일러의 면을 이루는 부재들도 파도의 압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인 에어스포일러는 철제 강판으로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데, 에어스포일러가 모두 철제 강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하여 선박의 선수부 중량이 커지게 되어 선박 전체의 밸런스를 흐트러트릴 수 있으며, 오히려 선박의 연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에어스포일러의 무게만큼 선박의 화물적재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에어스포일러를 이루는 면들이 용접을 통해 결합되므로, 충돌이나 파도의 압력에 의해 에어스포일러가 파손될 경우 해상에서 수리하기가 매울 어려우며 파손된 상태로 조선소까지 운행해야 하며, 그로 인해 예정된 항로에서 벗어나게 되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패널로 이루어지는 에어스포일러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프레임에 패널을 결합시키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0)의 외면에 러그(34)를 형성하고, 상기 러그(34)에 와이어(40) 등을 걸어 크레인으로서 인양하여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패널(30)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러그(34)를 패널에 용접시키는 공정 및 이송이 완료된 후 러그(34)를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이송시 추가되는 공정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패널(30)이 용접이 불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러그(34)를 별도로 용접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217702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은 철재가 아닌 복합재 재질의 평판을 인양할 때 결합과 해체가 보다 용이한 패널 인양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슬릿이 형성된 지그본체, 일부가 상기 지그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된 부분에 패널의 인양을 위한 인양구가 결합되는 인양편, 상기 인양편의 측면과 상기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지그본체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저면에서 패널의 체결홀 외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구비되는 레그 및 상기 인양편과 지그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패널 인양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인양편에는 인양구가 결합되도록 제1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양편의 지그 본체에 삽입된 부분에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형성된 부분의 상기 슬릿에 삽입된 인양편의 제2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3홀이 형성된 스커트 및 상기 제2홀과 제3홀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인양편을 상기 지그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는, 상기 슬릿에 삽입된 인양편의 측면과 상기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그본체의 상면에 연접 지지되며 상기 지그본체의 측면 외측까지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체결홀을 통하여 하측으로 패널의 저면까지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체결홀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저면에 연접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가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양편의 폭 및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위치된 레그의 제1연장부의 길이를 합한 길이는 상기 체결홀의 직경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부의 길이를 더 합한 길이는 상기 체결홀의 직경보다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지그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는 상기 인양편의 폭과 같거나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는 상기 레그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가 지그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와 같거나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패널 인양 지그에 따르면, 지그의 결합 및 해체가 자유롭고, 패널을 프레임에 안착한 상태에서 굳이 패널을 들어올리지 않아도 지그의 해체가 가능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보다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작업완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에어스포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의 패널 인양 지그가 삽입되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프레임 및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인양 지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패널 인양 지그가 패널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패널 인양 지그가 해체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인양 지그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의 패널 인양 지그가 사용될 수 있는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프레임 및 패널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패널 인양 지그가 선박용 에어스포일러의 패널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평판 패널 또는 굴곡진 패널을 인양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에어스포일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부재(116)들이 이격되게 배열되거나 교차되게 배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110)은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 부재(116)들은 상호 이격되거나 교차되어 그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120)은 평판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무게를 고려하여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S)에 삽입되어 그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110)의 부재(116)와 결합되어 상기 공간(S)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120)이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합성수지 및 FRP등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체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비하여 무게가 경감될 수 있고 선박 운행중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된 해당 패널(120)만 교체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선박의 선수부 갑판상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볼트(132) 및 너트(134) 등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120) 상기 프레임(110)의 선체 외측을 향하는 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패널(120)에는 체결홀(122)이 형성되고, 볼트(132)가 상기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10)상에 안착된 체결홀(122)을 관통한 후에 상기 너트(134)가 체결되어 상기 패널(120)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스포일러(100)는 그 높이가 비교적 높고, 상기 패널(120) 또한 작업자의 인력으로 들어올리기엔 과도한 무게이므로 상기 패널(120)을 설치하고자할 때에는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상기 패널을 상기 프레임(110)상에 인양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을 사용하여 상기 패널(120)을 인양할 때, 본 실시예의 패널 인양 지그(20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인양 지그(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본체(210), 인양편(220), 레그(230) 및 고정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본체(210)는 상기 패널(120)의 체결홀(1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상기 슬릿(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양편(220)은 상기 슬릿(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부가 상기 지그본체(2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슬릿(21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그본체(210)의 상측으로 노출된 부분에 와이어 등의 인양구(2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편(220)의 상기 지그본체(210)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에는 제2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그본체(210)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214)가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214)의 상기 제2홀(224)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3홀(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커트(214)는 상기 지그본체(210)에 별도로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지그본체(210) 자체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240)은 상기 인양편(220)의 제2홀(224)과 상기 스커트(214)의 제3홀(216)을 관통 체결하여 상기 고정핀(240)을 상기 지그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그(230)는 삽입부(232)와 제1연장부(234), 제2연장부(236) 및 플랜지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32)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릿(212)에 삽입된 인양편(220)의 측면과 상기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연장부(234)는 상기 지그본체(210)의 상면에 연접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부(23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그본체(210)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슬릿(2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236)는 상기 제2연장부(236)의 지그본체(210)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단부에서 하측을 향하여 상기 패널(120)의 저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38)는 상기 패널(120)의 저면에 연접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236)의 하단부에서 상기 패널(120)의 체결홀(122)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삽입부(232), 제1연장부(234), 제2연장부(236) 및 플랜지부(238)는 모두 하나의 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레그(230)는 상기 인양편(220)의 양 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레그(230)의 삽입부(232)가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진 레그(230)가 헐겁지 않도록 상기 슬릿(212)의 길이는 상기 인양편(220)의 폭과 두개의 삽입부(232)의 두께에 해당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그본체(210) 및 인양편(220)과 레그(230)의 일부가 상기 패널(120)의 체결홀(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양편(220)의 폭 및 상기 인양편(220)의 양 측에 위치된 레그(230)의 제1연장부(234)의 길이를 합한 길이(D2)는 상기 체결홀(122)의 직경(D1)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38)가 상기 패널(12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양편(220)의 폭 및 상기 인양편(220)의 양 측에 위치된 레그(230)의 제1연장부(234)의 길이를 합한 길이(D2)에 상기 제2연장부(236)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각 플랜지부(238)의 길이(D4)를 더한 길이는 상기 체결홀(122)의 직경(D1)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120)이 프레임(110)상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패널 인양 지그(200)를 상기 패널(120)의 체결홀(122)을 통해 해체하여 상기 패널(120)의 상측으로 탈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그(230)가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234)가 상기 지그본체(2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D3)는 상기 인양편(220)의 폭(W)과 같거나 더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38)의 길이(D4)는 상기 레그(230)가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234)가 지그본체(2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D3)와 같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패널의 체결홀에 패널 인양 지그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양할 때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패널 인양 지그(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본체(210) 및 인양편(220)과 레그(230)의 삽입부(232) 및 제1연장부(234)와 제2연장부(236)가 상기 패널(120)의 체결홀(122)에 삽입되며, 상기 레그(230)의 플랜지부(238)는 상기 패널(12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인양편(220)의 제1홀(222)에 결합된 인양구(250)를 통해 상기 패널 인양 지그(200)를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고정핀(240)을 통해 상기 인양편(220)과 결합된 지그본체(210) 또한 상승된다.
상기 레그(230)의 제1연장부(234)가 상기 지그본체(210)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그(230) 또한 상기 지그본체(210)의 상승에 따라 같이 상승되며, 상기 레그(230)와 함께 상기 레그(230)의 플랜지부(238)에 지지된 패널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230)가 지그본체(210)에 지지되는 제1연장부(234)와 상기 플랜지부(238)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의 작용점이 이격되므로 상기 레그(230)가 회전되려는 우력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부(232)가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므로 상기 레그(230)가 회전되지 아니하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패널(120)은 상기 패널 인양 지그(200)를 통해 상승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 패널(120)이 프레임(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인양 지그(200)가 해체될 때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 인양 지그(200)를 해체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240)을 탈거하여 상기 인양편(220)을 지그본체(210)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인양편(220)이 분리됨에 따라 상기 레그(230)가 상기 슬릿(212) 내에서 수평이동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그(230)가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234)가 상기 지그본체(2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D3)가 상기 인양편(220)의 폭(W)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며, 플랜지부(238)의 길이(D4)는 상기 레그(230)가 상기 인양편(220)과 슬릿(21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234)가 지그본체(2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D3)와 같거나 짧게 형성되므로, 상기 두 개의 레그 중 어느 하나의 레그(230)가 상기 슬릿(212)을 따라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플랜지부(238)의 끝단이 상기 체결홀(122)의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어 상기 레그(230)가 상기 체결홀(122)을 통해 상측으로 탈거될 수 있다.
나머지 레그(230) 또한 상술한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홀(122)을 통해 상측으로 탈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패널 인양 지그(200)는 상기 패널(120)의 체결홀(122)을 통해 상기 체결홀(122)의 상측으로 탈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에어스포일러 110: 프레임
116: 부재 120: 패널
122: 체결홀 132: 볼트
134: 너트 200: 패널 인양 지그
210: 지그본체 212: 슬릿
214: 스커트 216: 제3홀
220: 인양편 222: 제1홀
224: 제2홀 230: 레그
232: 삽입부 234: 제1연장부
236: 제2연장부 238: 플랜지부
240: 고정핀 250: 인양구
W: 인양편의 폭 D1: 체결홀의 직경
D2: 인양편의 폭과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된 삽입부의 두께를 합한 길이
D3: 레그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제1연장부가 지그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
D4: 플랜지부의 길이

Claims (8)

  1. 상면에 슬릿이 형성된 지그본체;
    일부가 상기 지그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된 부분에 패널의 인양을 위한 인양구가 결합되는 인양편;
    상기 인양편의 측면과 상기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지그본체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패널의 저면에서 패널의 체결홀 외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구비되는 레그; 및
    상기 인양편과 지그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패널 인양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편에는 인양구가 결합되도록 제1홀이 형성되는 패널 인양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편의 지그 본체에 삽입된 부분에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형성된 부분의 상기 슬릿에 삽입된 인양편의 제2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3홀이 형성된 스커트; 및
    상기 제2홀과 제3홀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인양편을 상기 지그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패널 인양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슬릿에 삽입된 인양편의 측면과 상기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그본체의 상면에 연접 지지되며 상기 지그본체의 측면 외측까지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체결홀을 통하여 하측으로 패널의 저면까지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체결홀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저면에 연접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가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널 인양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편의 폭 및 상기 인양편의 양 측에 위치된 레그의 제1연장부의 길이를 합한 길이는 상기 체결홀의 직경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패널 인양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부의 길이를 더 합한 길이는 상기 체결홀의 직경보다 더 길도록 형성되는 패널 인양 지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지그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는 상기 인양편의 폭과 같거나 더 길도록 형성되는 패널 인양 지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는 상기 레그가 상기 인양편과 슬릿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제1연장부가 지그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와 같거나 짧도록 형성되는 패널 인양 지그.
KR1020130141762A 2013-11-20 2013-11-20 패널 인양 지그 KR10158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762A KR101580802B1 (ko) 2013-11-20 2013-11-20 패널 인양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762A KR101580802B1 (ko) 2013-11-20 2013-11-20 패널 인양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77A true KR20150057877A (ko) 2015-05-28
KR101580802B1 KR101580802B1 (ko) 2015-12-29

Family

ID=5339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762A KR101580802B1 (ko) 2013-11-20 2013-11-20 패널 인양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71B1 (ko) 2019-07-09 2019-11-20 주식회사 정진기공 화력발전소 보일러 공사용 판넬의 대형 모듈화 제작 및 윈치 인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2987U (ko) * 1988-04-13 1989-10-20
JPH0667479U (ja) * 1993-03-08 1994-09-22 栄 五島 鋼製覆工板用安全吊りフック
KR20060044943A (ko) * 2004-03-31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파스너
KR101217702B1 (ko) 2010-11-19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커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2987U (ko) * 1988-04-13 1989-10-20
JPH0667479U (ja) * 1993-03-08 1994-09-22 栄 五島 鋼製覆工板用安全吊りフック
KR20060044943A (ko) * 2004-03-31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파스너
KR101217702B1 (ko) 2010-11-19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커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02B1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488B2 (en) ISO fittings for composite structures
KR101836903B1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JP6176580B2 (ja) 貨物専用ラッシングブリッジ
CN102438889B (zh) 用于超大型油轮的货舱结构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WO2021246305A1 (ja) コンテナ船の船首構造、コンテナ船及びコンテナ船の船首構造の設計方法
KR101498216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KR101580802B1 (ko) 패널 인양 지그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JP2010167800A (ja) 腹盤木及び船舶の支持方法
JP5982564B2 (ja) 船舶用抵抗低減装置、これを製作する製作ユニット及び製作方法
KR200485664Y1 (ko) 블록 턴 오버 지그
KR101549584B1 (ko) 멤브레인 에어스포일러
CN102844147A (zh) 超声波喷丸施工方法及浮体式建造物
CN217554133U (zh) 用于海洋工程船运输的弹性稳定装置
KR101616307B1 (ko) 선박 에어 스포일러
KR20120008314U (ko) 래싱 브리지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KR101487327B1 (ko)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CN219906802U (zh) 用于海上吊装的临时固定装置
CN2527505Y (zh) 海洋运输用大件货物固定支架
KR101556922B1 (ko) 선박 에어 스포일러
KR102657299B1 (ko) 선박용 폴딩 데크 유닛
KR200224503Y1 (ko) 컨테이너 선의 선체 구조
KR20120134845A (ko) 선박의 데크 하우스 브리지 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