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702A -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702A
KR20150056702A KR1020130139003A KR20130139003A KR20150056702A KR 20150056702 A KR20150056702 A KR 20150056702A KR 1020130139003 A KR1020130139003 A KR 1020130139003A KR 20130139003 A KR20130139003 A KR 20130139003A KR 20150056702 A KR20150056702 A KR 2015005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door lock
digital door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027B1 (ko
Inventor
김석환
바반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3013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0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도어록과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와, 디지털 도어록에서 연결된 휴대용 디바이스가 등록된 휴대용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는 단계와,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움직임 검출 센서의 검출 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디지털 도어록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경우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Method for interworking portable device and digital doorlook}
본 발명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은, 크게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하는 단계와 디지털 도어록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을 등록 모드로 변경한 후 블루투스에서 지원하는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는 등록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통신 영역에 들어서면 이를 인증하게 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디지털 도어록에서 등록된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는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몸에 소지한 상태로 디지털 도어록에 접근하면, 디지털 도어록과 스마트폰 간에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다. 디지털 도어록은 연결된 스마트폰이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 잠금 장치를 해제한다.
하지만, 제1 실시예의 경우 디지털 도어록과 등록된 스마트폰이 연결되기만 하면 불필요하게 잠금 장치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몸에 소지한 상태로 디지털 도어록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주머니 또는 가방에서 꺼내서 만약 화면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화면 잠금을 해제한 후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른다. 스마트폰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눌러지면 도어 개방 명령을 디지털 도어록에 전송하게 되고,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디지털 도어록은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도어 개방 버튼이 눌러지면 블루투스 기능이 턴온되고,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한 후에는 블루투스 기능이 턴오프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꺼내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도어 개방 버튼을 눌러야한다는 점에서 번거로움이 많아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은,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 연결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등록된 휴대용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움직임 검출 센서의 검출 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경우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은 상기 인증 단계 이후, 상기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도어 개방 권한을 부여하는 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는, 이동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의 도어 개방 권한의 부여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확인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 메뉴가 동작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 개방 명령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시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은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 잠금 장치를 해제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해 롱 연결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롱 연결을 수신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온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다시 턴온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가 미리 설정한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위치 정보 갱신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위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 센서의 검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거나 또는 확인 메시지에 대하여 확인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만 도어 개방 명령을 송신하기 문 안쪽에 위치해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 센서의 검출 값을 이용하여 도어 개방 명령이 송신 가능하기 때문에 화면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후 여전히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LONG CONNECTION으로 간주하여 디지털 도어록에서 NOTI_LONG CONNECTION을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오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ONG CONNECTION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턴오프된 휴대용 디바이스가 소정의 위치를 벗어난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온 상태로 전환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지원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디지털 도어록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지원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지원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110)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지원되는 근거리 통신에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 기재된 블루투스 통신 이외에 지그비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블루투스 기술은 2.4GHz를 사용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모바일폰 및 노트북 등에서 지원되고 있다. 블루투스 기술은 BT3.0과 BT4.0으로 구별되는데, BT3.0은 블루투스 클래식이라 하며, BT4.0은 블루투스 저전력 또는 블루투스 스마트라고 한다. BT4.0은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전류 소비량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전지에 의해서 작동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저전력(BLE : 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이러한 BLE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11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110)은 전원부(210), 도어록 NFC부(220), 키 입력부(230), 메모리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스피커 구동부(260), 잠금장치 구동부(270) 및 도어록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디지털 도어록(110)은 이들 구성 이외에 키패드(미도시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0)는 디지털 도어록(110)의 각 구성에 필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록 NFC부(220)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루는 구성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통신한다.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위한 것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 예를 들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을 디지털 도어록(110)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232)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등록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웨이크업 버튼(234)을 포함한다.
등록 버튼(232)이 눌러지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 등록 모드로 진입하게 되며 이 모드 동안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디지털 도어록(11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디지털 도어록(110)은 자동으로 연결을 시도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만약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디지털 도어록(110)에 가까이 접근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웨이크업 버튼(234)을 눌러서 다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디지털 도어록(110)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메모리부(240)에는 디지털 도어록(110)의 전체 동작 프로그램과 인증과 관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키 값들이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키 입력부(230) 등의 동작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는 구성이며, 스피커 구동부(260)는 등록이 완료되거나 인증이 성공 또는 실패 시에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구성이다.
잠금장치 구동부(270)는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모티스 등을 구동한다.
도어록 제어부(280)는 등록 버튼(232)이 눌러지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등록하기 위해 디지털 도어록(110)을 제어한다. 또한, 도어록 제어부(28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을 시도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또한 웨이크업 버튼(234)이 눌러지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을 시도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 디바이스 NFC부(320),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 디바이스 입력부(340),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350) 및 디바이스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은 디지털 도어록(110)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또는 데이터 통신 등을 통해 다운받아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디바이스 NFC부(320)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루는 구성으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모든 디지털 도어록(110)과 통신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는 이동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달성하는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340)는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부로, 메뉴 상의 버튼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350)는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바이스 제어부(36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입력부(340)를 통해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 구동 명령을 입력하면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을 동작시키고, 또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에 각 상태를 표시하며, 디바이스 NFC부(320)를 동작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넷 또는 데이터 통신 등을 통해 다운받아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동작한다(S402).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운영 체계에 따라 디바이스 NFC부(320)가 구동된다(S404).
한편,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록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도어록 NFC부(220)의 저전력 동작 규정에 따라 도어록 NFC부(220)가 구동된다(S406).
이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120)을 몸에 소지한 상태 또는 손에 파지한 상태로 디지털 도어록(110)에 접근하면, 디지털 도어록(110)과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에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다(S408).
디지털 도어록(110)과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에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면, 도어록 제어부(280)는 통신 연결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키 값이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키 값들 중 하나인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S410).
도어록 제어부(280)는 통신 연결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록 NFC부(220)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도어 개방 권한을 부여한다(S412).
디바이스 제어부(36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로부터의 움직임 검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14).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의 움직임 검출 값은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값 또는 자이로 센서의 각속도 값일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움직임이란 예를 들면, 사용자가 통신 연결된 디지털 도어록(110) 근처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일정한 회수 이상을 흔드는 경우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360)는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로부터의 움직임 검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디바이스 NFC부(320)를 통해 도어 개방 명령을 송신한다(S416). 이에 따라 도어록 제어부(28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하고(S418),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한다(S420).
도 4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설명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4를 보다 확장한 구현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디지털 도어록(110)의 전원부(210)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BLE 인증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502).
BLE 기능이 턴온되어 주기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연결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110)은 BLE 연결을 반복해서 확인한다(S504). 또한 디지털 도어록(110)은 BLE 연결이 없으면 웨이크업 버튼(234)이 눌러졌는지를 반복해서 확인한다(S506). 여기서 웨이크업 버튼(234)은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디지털 도어록(110) 근처에 접근하게 되면 자동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디지털 도어록(110)의 연결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통신 상태 불량 등의 이유로 연결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보완한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록(110)의 웨이크업 버튼(234)을 누르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을 다시 한번 시도하기 위해, 타임 아웃을 확인하고(S518), BLE 연결을 확인한다(S510)
디지털 도어록(110)과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에 BLE 연결이 형성되면(S504, S510), 디지털 도어록(11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512). 디지털 도어록(110)은 인증 수행 결과가 정상이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도어 개방 권한을 부여한다(S514).
디지털 도어록(110)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이 발생하면(S516), LONG CONNECTION 확인으로 진행하고(S522),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하면(S518),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한다(S520).
한편, 디지털 도어록(110)은 현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LONG CONNECTION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S522). 여기서 LONG CONNECTION은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디지털 도어록(110)과 연결이 형성된 후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30초가 경과하면 발생할 수 있다. LONG CONNECTION이 발생하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NOTI_LONG CONNECTION을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S522). 이 후 디지털 도어록(110)은 인증모드로 다시 진행된다(S50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디지털 도어록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은 평상시에 인증모드를 실행한다(S602). BLE 기능이 턴온되어 주기적으로 디지털 도어록(110)과의 연결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디지털 도어록(110)과의 BLE 연결을 반복해서 확인한다(S604).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BLE 연결이 형성된 후 디지털 도어록(11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에 따른 도어 개방 권한을 부여하면(S606),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도어를 개방하려면 확인버튼을 누르세요"와 같은 확인 메뉴를 표시한다(S608).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흔드는 경우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의 움직임 검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610).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표시된 확인 메뉴의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확인한다(S612).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의 움직임 검출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거나 표시된 확인 메뉴의 버튼이 눌러진 경우 도어 개방 명령을 디지털 도어록(110)에 전송한다(S614).
일반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확인 메뉴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해 비밀번호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움직임 검출 센서부(330)의 검출 값은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상관없이 그 값을 읽어 비교한 후에 도어 개방 명령을 디지털 도어록(110)에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디지털 도어록(110)으로부터 NOTI_LONG CONNECTIONDL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S616). 디지털 도어록(110)으로부터 NOTI_LONG CONNECTION이 수신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BLE 기능을 턴오프하고, 현재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LONG CONNECTION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618).
LONG CONNECTION이 발생한 상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BLE 기능을 턴온하겠다고 버튼을 입력했는지를 확인한다(S620). 또한 위치 정보가 설정한 값에 도달하여 갱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S622).
사용자가 BLE 기능 턴온 버튼을 누르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BLE 기능을 턴온한 후(S624), 다시 인증모드를 수행한다(S702). 위치 정보 갱신이 발생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역시 BLE 기능을 턴온한다(S624). 여기서 위치 정보 갱신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GPS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에서는 위치 정보가 갱신되었음을 통보받기 위하여 그 조건을 지정할 수 있는데 만약 50M로 지정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은 기준 위치와 비교하여 50M 이상 벗어나게 되면 위치 정보 갱신을 발생한다.
LONG CONNECTION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BLE 기능이 턴오프 상태일 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소지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일정 거리 벗어나게 되면 자동으로 BLE 기능을 턴온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다시 디지털 도어록(110)과 인증을 하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을 조작하여 BLE 기능을 턴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지털 도어록 120: 휴대용 디바이스
210: 전원부 220: 도어록 NFC부
230: 키 입력부 232: 등록 버튼
234: 웨이크업 버튼 240: 메모리부
250: 디스플레이부 260: 잠금장치 구동부
280: 도어록 제어부 310: 도어록 애플리케이션
320: 디바이스 NFC부 330: 움직임 검출 센서부
340: 디바이스 입력부 350: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
360: 디바이스 제어부

Claims (9)

  1.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 연결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등록된 휴대용 디바이스인지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움직임 검출 센서의 검출 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경우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 이후, 상기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도어 개방 권한을 부여하는 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는, 이동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인 것을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의 도어 개방 권한의 부여에 따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확인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 메뉴가 동작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 개방 명령을 더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시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서 잠금 장치를 해제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해 롱 연결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롱 연결을 수신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온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다시 턴온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가 미리 설정한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위치 정보 갱신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KR1020130139003A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KR10207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003A KR102071027B1 (ko)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003A KR102071027B1 (ko)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02A true KR20150056702A (ko) 2015-05-27
KR102071027B1 KR102071027B1 (ko) 2020-01-30

Family

ID=5339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003A KR102071027B1 (ko)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8077A1 (en) * 2017-08-23 2019-02-2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functionality of a device
US10636234B2 (en) 2016-01-05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lock device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273B2 (ja) * 2005-06-14 2011-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施解錠システム
KR20110083889A (ko) * 2010-01-15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원격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273B2 (ja) * 2005-06-14 2011-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施解錠システム
KR20110083889A (ko) * 2010-01-15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원격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234B2 (en) 2016-01-05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lock device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448077A1 (en) * 2017-08-23 2019-02-2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functionality of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027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75142A1 (en) Smart lock unlock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190340854A1 (en) Wireless reader system
US9524601B1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door position based lock switching and related methods
JP6303797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5960660B (zh) 被提供有移动装置的用户被车辆的验证
JP6035717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333301A1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EP261070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5590360B (zh) 门锁系统及门锁控制方法
JP679104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および電子キーの制御方法
CN109695383B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14163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1696199B1 (ko) Ble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잠금시스템
KR10208736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2071027B1 (ko)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WO2019156016A1 (ja) 機器操作制御装置および機器操作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32991A (ko) 차량 스마트키
KR20190036583A (ko) 도어락 앱을 구비한 휴대통신장치
JP201815736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TWI532017B (zh) 無線遙控方法、無線子機以及開關控制裝置
JP2021096145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JP202019709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6023458A (ja) 携帯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
CN107945341A (zh) 智能门锁控制方法及装置
KR20140080101A (ko) 포브 키 충전을 위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