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505A -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 Google Patents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505A
KR20150056505A KR1020150038159A KR20150038159A KR20150056505A KR 20150056505 A KR20150056505 A KR 20150056505A KR 1020150038159 A KR1020150038159 A KR 1020150038159A KR 20150038159 A KR20150038159 A KR 20150038159A KR 20150056505 A KR20150056505 A KR 20150056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oncrete
roughing
uni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605B1 (ko
Inventor
홍광의
Original Assignee
홍광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의 filed Critical 홍광의
Priority to KR102015003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6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Abstract

본 발명의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는, 현재 통용되는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 장치가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거리보다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를 크게 키우지 않고 더 먼곳까지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이다.
본 발명의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는, 과도한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여 길이를 연장하는데 한계가 있는 종래의 외팔 보 형태 플레이싱 붐 장치의 구조를 탈피하여 플레이싱 붐의 길이 방향 중간에 단순 지지(SIMPLE SUPPORT)점을 형성하여 플레이싱 붐의 일단과 중간에 위치하는 단순 지지점 사이의 구조물에 발생하는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과 같은 길이에서는 플레이싱 붐을 경량화할 수 있으며, 플레이싱 붐의 길이를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단면을 대형화하지 않고 플레이싱 붐의 길이를 연장하여 종래의 외팔 보 형태 플레이싱 붐 장치보다 더 먼곳까지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Luffing jib placing boom}
본 발명은 지상의 콘크리트 펌프(CONCRETE PUMP)에서 압출된 콘크리트를 압송관을 통하여 높은 곳이나 먼곳의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는 일반적인 방법인 콘크리트 펌프 트럭(CPT : CONCRETE PUMP TRUCK)에 의한 이송 방법이나 외팔보 형태의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장치에 의한 이송 방법보다 더 높은 곳이나 더 먼곳의 원하는 장소로 콘크리트를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는 러핑 집 플레이싱 붐(LUFFING JIB PLACING BOOM)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이 고층의 건물이나 넓은 면적에서 시공되는 대형 플랜트(PLANT)의 건설 현장에서는 도 1과 같이 콘크리트 펌프 트럭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압출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까지 이송하여 공급한다. 그러나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플레이싱 붐(28')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보다 더 높은 곳이나 더 먼곳에는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없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 트럭으로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없는 높은 곳에는 도 2와 같이 건축하는 건물에 반드시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통로에 컬럼(COLUMN)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컬럼을 쌔들(SADDLE) 조립체로 건축물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플레이싱 붐(28')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압송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까지 이송하고, 당해 높이에서 콘크리트 공사가 완료되면 컬럼을 상승시켜 건축물의 층수에 따라 플레이싱 붐이 상승하여 건축물의 다음 층에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하는 플레이싱 붐(28')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싱 붐(28')보다 더 먼곳까지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연장된 붐이 필요하다. 길이가 연장된 붐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붐의 중량이 증가하고, 붐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붐의 중량에 의한 굽힘 모멘트(MOMENT)가 크게 발생하므로 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발란스 웨이트(BALLANCE WEIGHT)가 컬럼을 중심으로 플레이싱 붐(28')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플레이싱 붐(28')을 사용하여 좀더 먼곳까지 콘크리트를 이송한다.
상기 플레이싱 붐(28')은 붐의 전체 길이가 약 35m 이하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발란스 웨이트가 없는 외팔 보 형태의 붐이 적용되나 붐의 길이가 약 35m 를 초과하는 플레이싱 붐(28')에 있어서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붐의 중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증가한 중량에 의해 컬럼에 과도한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하므로 이를 경감하기 위해 컬럼을 기준으로 플레이싱 붐(28')이 위치한 반대 측에 플레이싱 붐(28')과 이송되는 콘크리트 중량을 고려하여 발란스 웨이트를 설치하여 컬럼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러나, 도 1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이나 도 2 및 도 3의 플레이싱 붐(28')은 발란스 웨이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외팔보(CANTILEVER BEAM) 구조이다. 발란스 웨이트는 플레이싱 붐의 중량에 의해 컬럼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플레이싱 붐의 강도와는 전혀 무관하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더 먼곳까지 이송하기 위해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를 더 길게 하면 길이에 적합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플레이싱 붐의 단면특성 값(SECTIONAL PROPERTIES)들의 값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플레이싱 붐(28')의 중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늘어난 길이에 따른 이송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플레이싱 붐(28')에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가 과다하게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싱 붐(28')의 단면 구조가 대형화되고, 이에 적합한 발란스 웨이트의 중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어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컬럼의 구조 또한 대형화되어야 하므로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를 늘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의 길이는 약 50m를 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싱 붐에 있어서 플레이싱 붐에 발생하는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를 증가시키지 않고 플레이싱 붐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외팔 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이 도달하지 못하는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여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면적 및 공간을 확장하는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는, 외팔 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 장치 구조를 탈피하여 플레이싱 붐의 길이 방향 중간에 단순 지지(SIMPLE SUPPORT)점을 형성하여 플레이싱 붐에 발생하는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를 줄여 종래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과 같은 길이 에서는 플레이싱 붐을 경량화할 수 있으며, 플레이싱 붐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에는 플레이싱 붐의 단면을 대형화하지 않고 플레이싱 붐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 및 굽힘 모멘트와 동일한 값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는 기존 외팔보 형태의 플레이싱 붐에 비하여 플레이싱 붐의 길이를 최소 2배 이상 연장할 수 있어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면적은 수평면에서 최대 4배까지 확장할 수 있으며, 러핑 집의 기복 동작 과 플레이싱 붐의 기복 동작 및 절접 동작과 턴테이블의 선회에 의해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공간적인 부피는 최대 8배까지 확장할 수 있어 효율이 극대화된 콘크리트 이송 수단을 제공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장비의 소요 수량을 줄여 설치 및 운용에 따른 고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펌프 트럭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도
도 2는 종래의 상승형 외팔보 플레이싱 붐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도
도 3은 종래의 지면 고정형 외팔보 플레이싱 붐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플레이싱 붐 절첩도
도 7은 종래의 외팔보 플레이싱 붐의 이상화 모델 계산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이상화 모델 계산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휴지시 절첩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휴지시 정치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작업 범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상승형 설치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격자형 러핑 집 조립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위치 변동형 발란스웨이트 작동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위치 변동형 발란스 웨이트 작동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상부 조립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압송관 연결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용접 압송관 연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조립 측면도 및 상면도로서 다수개의 마스트(10)를 볼트 또는 핀(PIN)으로 연결하여 지면의 콘크리트 기초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타워(11)와, 수직 타워(11)의 상단에 고정되고 측면의 선회 모터(12)의 치차와 내재된 선회링(12')의 치차가 치합하여 선회 모터(12)의 회전에 의해 선회하여 수직 타워(11)를 제외한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상부 구조물 전체를 선회(R1)시키는 턴 테이블(13)과, 턴 테이블(13)의 후방에 연결되어 턴 테이블(13)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중량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형 발란스 웨이트(14)를 끝단에 고정하여 보지하는 카운터 집(15)이 수평 핀(20)으로 단순지지 구조로 조립되며, 턴 테이블(13)의 전방으로 다수의 단위 집(16)을 연결하여 연장함과 동시에 후단은 턴 테이블(13)과 단순 지지되는 수평 핀(20)으로 결합하여 수평 핀(20)을 중심으로 상하 기복 회전(R2)하는 러핑 집(18)과, 상부에 고정 시브(25)를 고정하고 하단은 턴 테이블(13)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21)과, 하단은 턴 테이블(13)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수직 프레임(21)의 상단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프레임(22)과, 일단은 카운터 집(15)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 프레임(21)의 상단과 연결하여 발란스 웨이트(14)와 카운터 집(15)의 중량을 장력에 의해 지지하는 카운터 집 타이바(17)와, 일단은 러핑 집(18)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에 승강 시브(26)를 내재한 승강 블록(24)과 연결되어 턴 테이블(13)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중량을 장력에 의해 지지하는 승강 타이 바(23)와, 턴 테이블(13)상에 설치되어 러핑 집(18)이 기복하는데 필요한 힘을 발생하는 러핑 윈치(27)와, 러핑 윈치(27)에 권취되어 수직 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 시브(25)로 유도시켜 승강 블록(24)에 내재된 승강 시브(26)를 돌아 다시 고정 시브(25)로 유도하여 필요한 수만큼 왕복 배열되어 러핑 윈치(27)의 권취에 의해 고정 시브(25)와 승강 블록(24)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 지게 됨에 따라 러핑 집(18)을 기복(R2)하게 하는 승강 와이어(19)와, 러핑 집(18)의 전단에 러핑 집(18)과 연쇄적으로 기복 또는 절첩(R3, R4, R5) 가능하게 수평 핀(2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 붐(29, 29', 29")과, 다수의 단위 붐(29, 29', 29")들 사이에 설치되어 신축함에 따라 단위 붐(29, 29', 29")을 절첩시키는 유압 실린더(30, 30', 30")와, 일단은 단위 붐(29, 29', 29")에 수평 핀(20)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유압 실린더(30, 30', 30")와 수평 핀(20)으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30, 30', 30")의 신축 방향을 결정하는 링크(31, 31', 31")와, 일단은 링크(31, 31', 31")와 수평 핀(20)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다음의 단위 붐(29, 29', 29")에 수평 핀(20)으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30, 30', 30")가 신축함에 따라 동시에 다음의 단위 붐(29, 29', 29")이 절첩하도록 다음의 단위 붐(29, 29', 29")에 힘을 전달하는 로드(32, 32', 32")로 구성되는 플레이싱 붐(28)과, 지상에 있는 콘크리트 펌프의 토출관과 클램프(33)로 이음 연결되고 수직 타워(11)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단위 압송관(37)을 클램프(33)로 연속되게 이음 연결된 수직 압송관(34)과, 수직 압송관(34)의 상단에 턴 테이블(13)이 선회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여 콘크리트의 이송 방향을 수평으로 전환하는 엘보우(36) 및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의 측면을 따라 러핑 집(18)의 기복(R2) 중심점 및 단위 붐(29, 29', 29")들의 절첩(R3, R4, R5) 중심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엘보우(36)를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클램프(33)로 연결하고 단위 붐(29, 29', 29")들의 측면에서는 단위 압송관(37)을 클램프(33)로 연속되게 이음 연결하는 수평 압송관(35)과, 수평 압송관(35)의 끝에 토출 호스(38)를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여 지상에 있는 콘크리트 펌프로 부터 토출된 콘크리트를 토출 호스(38)가 다다를 수 있는 장소까지 이송 운반하는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이다.
상기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상호 수평 핀(20)과 유압 실린더(30), 링크(31) 및 로드(32)로 조합되어 연결되는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은 러핑 집(18)의 일단이 턴 테이블(13)과 수평 핀(20)으로 연결되어 턴 테이블(13)에 의해 단순지지 되는 구조이며, 플레이싱 붐(28)과 연결되는 러핑 집(18)의 타단에 있어서는 러핑 집(18)의 상단에 연결된 승강 타이 바(23)의 장력에 의해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8)의 중량을 지지하게 되므로 이 지점 또한 승강 타이 바(23)에 의해 지지 되는 단순지지 구조로서 상호 연결된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은 전체적으로 턴 테이블(13)에 의해 지지 되는 러핑 집(18)의 일단과 승강 타이 바(23)에 의해 지지 되는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이 연결되는 지점의 2개소가 단순 지지(SIMPLE SUPPORT)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 붐(29, 29', 29")들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플레이싱 붐(28)은 단위 붐(29, 29', 29")의 수량을 반드시 3개의 단위 붐(29, 29', 29")들로 한정시킬 필요는 없으며 최대 절첩 하였을 경우 토출 호스(38)가 수직 타워(11)와 간섭되지 않는 길이의 1개의 단위 붐 또는 요구되는 다수의 단위 붐으로 플레이싱 붐(28)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플레이싱 붐(28)의 절첩도로서 플레이싱 붐(28)을 최대한 펼친 상태에서 러핑 집(18)의 유압 실린더(30)를 수축시켜 링크(31) 및 로드(32)의 조합으로 플레이싱 붐(28)을 최대 기복 하여 수직 타워(11)의 근방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이는 러핑 집(18)의 전단에 위치한 승강 타이 바(23)에 의해 단순지지 되어 단순 지지점을 기준으로 러핑 집(18)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의 플레이싱 붐(28)이 기복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L이라 하면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는 각각 약 L/2에 해당한다.
도 7과 도 8은 종래의 외팔보(CANTILEVER) 구조의 플레이싱 붐(28') 및 본 발명에 따른 2점 단순 지지(SIMPLE SUPPORT) 구조의 플레이싱 붐(28)을 비교하기 위한 이상화 모델(MODEL)로서, 도 7에서의 종래 외팔보 구조의 플레이싱 붐(28')은 강도를 만족하고 있으므로 도 8에서 종래 외팔보 구조의 플레이싱 붐(28')과 같은 단면특성 값들을 갖는 동일길이의 플레이싱 붐(28)을 위치시키고 도 6에서와 같이 같은 길이를 갖는 러핑 집(18)을 연결하면 콘크리트를 이이송할 수 있는 거리는 종래의 외팔보 구조 플레이싱 붐(28')보다 2배 확장된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점 단순 지지 구조의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의 전길이를 L이라 하면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는 L/2이 되며, 또한 플레이싱 붐(28', 28)들의 길이를 같게 하였으므로 도 7에서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도 L/2이 된다.
상기 플레이싱 붐(28', 28)들은 플레이싱 붐(28', 28)의 자중 및 이송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지하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토출 호스(38)가 연결되는 플레이싱 붐(28', 28)의 끝에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플레이싱 붐(28', 28)의 중량이 점차 증가하여 하중 분포는 B~C 구간에서 직각 삼각형 형태의 분포 하중 조건이고 도 8에서 양단이 단순 지지 되는 A~B 구간의 러핑 집(18)에 발생하는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가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으므로 러핑 집(18)의 단면특성 값들을 점차 크게 하지 않고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할 수 있어 균일 분포 하중 조건이 된다. 도 7에서 종래의 외팔보 구조 플레이싱 붐(28')이 지지 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Wc(cANTILEVER)라 하고, 도 8에서 플레이싱 붐(28)이 단순 지지 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Ws(sIMPLE SUPPORT)라 하면 같은 단면특성 값들을 갖는 동일길이의 플레이싱 붐(28', 28)들이므로 Wc=Ws이다. 도 7에서 플레이싱 붐(28')이 지지 되는 위치 B점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은 VCB=Wc·L/4이고 동일 위치에서 발생하는 최대 굽힘 모멘트는 MCB=-Wc·L2/24이다. 같은 외팔보 구조로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를 2배로 확장하면 플레이싱 붐(28')의 길이는 L이 되며, 플레이싱 붐(28')의 길이가 길어지면 단면의 중량이 증가(길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하므로 지지점 A점에서 작용하는 최대 하중은 2Wc로서 A점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SHEAR FORCE)은 VCA=Wc·L이며 최대 굽힘 모멘트는 MCA=-Wc·L2/3으로서 플레이싱 붐(28')의 길이가 2배 증가한 것에 비해 최대 전단력은 4배, 최대 굽힘 모멘트는 8배가 증가하여 이에 적합한 강도의 단면특성 값들을 갖는 플레이싱 붐(28')을 제작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반면,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점 단순지지 플레이싱 붐(28)은 플레이싱 붐(28)의 단순 지지점 B점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은 VSB=Ws·L/4이며 최대 굽힘 모멘트는 MSB=-Ws·L2/24로서 Wc=Ws이므로 도 7에서 종래의 외팔보 구조 플레이싱 붐(28')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 및 최대 굽힘 모멘트와 같은 값이다. 반면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 러핑 집(18)의 단순 지지점 A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은 VSA=Ws·L/6이며 동일 위치에서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는 MSA=0이고, 러핑 집(18)의 A~B 구간에서 발생하는 최대 굽힘 모멘트는 A점으로부터 L/6의 위치에서 ML/6=-Ws·L2/72로서 도 7에서 길이를 2배로 확장한 외팔보 구조의 플레이싱 붐(28')과 비교하면 A점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은 VCA=Wc·L과 VSA=Ws·L/6로서 1/6(16.7%)에 불과하며, 최대 굽힘 모멘트는 MCA=-Wc·L2/3과 ML/6=-Ws·L2/72로서 1/24(4.2%)에 불과하여 러핑 집(18)의 단면특성 값들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러핑 집(18)을 경량화할 수 있어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콘크리트의 이송 거리를 2배로 확장할 수 있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가 휴지시 정치도로서 도 9는 풍하중의 작용을 최소화하고 러핑 집(18) 및 수직 타워(11)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위 붐(29, 29', 29")들을 각각 절첩시켜 휴지하거나 도 10과 같이 플레이싱 붐(28)의 중량에 의해 유압 실린더(30, 30', 30")에 걸리는 하중을 풀어주기 위하여 플레이싱 붐(28)을 수직으로 매달아 유압을 해제하여 정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작업 범위도로서 러핑 집(18)의 기복과 플레이싱 붐(28)의 및 단위 붐(29, 29', 29")들이 각각 기복 또는 절첩되므로 사선으로 표기(해칭)된 공간의 어떠한 위치로도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어 종래 플레이싱 붐(28')에 비해 길이를 2배로 확장한 플레이싱 붐(28)은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평면적인 면적은 4배, 3차원 공간적으로는 8배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건물 고정 장치도로서 , 일반적으로는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는 수직 타워(11)를 지면의 콘크리트 기초위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나 수직 타워(11)의 높이를 무한정 높일 수 없으므로 고층 건물의 건설현장에서는 건축하는 건물에 반드시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통로에 수직 타워(11)를 수직으로 삽설하여 수직 타워(11)를 쌔들 조립체(43)로 고정하고, 쌔들 조립체(43)는 건축물에 앵커 볼트(미도시)로 고정하여 지상으로부터 압송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까지 이송하는 구조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격자형 러핑 집 조립도로서, 상기의 단면이 박스(BOX, □) 구조의 러핑 집(18)은 양 측면에 넓은 면이 막혀 있어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풍하중으로 크게 작용하여 수직 타워(11)에 굽힘 모멘트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파이프(PIPE)의 격자 구조로 구성되는 단위 집(16')들을 연속하여 연결한 격자 구조의 러핑 집(18')으로서 바람이 부는 방향에 대해 격자들의 투영 면적을 최소화하여 바람의 하중을 경감시키고, 도 8의 A~B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러핑 집(18')의 구간에 있어서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의 크기가 위치에 따라 크기가 다름으로 해당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부합하도록 최적화하여 단면특성 값들을 달리 함으로서 러핑 집(18')을 경량화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위치 변동형 발란스 웨이트(14')의 설치도로서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형 발란스 웨이트(14)는 카운터 집(15)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형 발란스 웨이트(14)와 카운터 집(15)의 중량에 의해 턴 테이블(13)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는 일정하나, 턴 테이블(13)의 전방에 위치하는 러핑 집(18, 18')과 플레이싱 붐(28)이 기복을 하면 러핑 집(18, 18')과 플레이싱 붐(28)의 중량에 의해 턴 테이블(13)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는 가변하여 턴 테이블(13)과 수직타워(11)에 발생하는 불균형한 굽힘 모멘트를 보정 하고, 카운터 집(15)의 길이가 길어 후방의 다른 건물이나 구조물 등과 간섭이 우려되거나 타 건물의 영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길이를 짧게 한 카운터 집(15')의 일단을 턴 테이블(13)에 고정하고 타단은 하부에 발란스 웨이트(14')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발라스트 레버(41)와 회전 가능하게 수평 핀(20)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발라스트 레버(41)의 상단과 러핑 집(18, 18')의 상단 사이를 연결 바(40)로 회전 가능하게 수평 핀(20)으로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면 러핑 집(18, 18')의 기복에 따라 발라스트 레버(41)가 회전함에 따라 발란스 웨이트(14')의 위치가 변경되어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하는 굽힘 모멘트를 일치시켜 턴 테이블(13)과 수직타워(11)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구조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의 상부 조립도로서, 상기 카운터 집(15)의 길이가 길어 후방의 타 구조물 등과 간섭이 우려되거나 타 건물의 영공을 침해할 우려가 있어 카운터 집(15)의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일단은 처지지 않게 턴 테이블(13)에 상하의 수평 핀(20)으로 고정하고 타단은 상부에 발란스 웨이트(14')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길이를 줄인 카운터 집(15")과, 상부에 고정 시브(25)를 고정하고 하단은 턴 테이블(13)의 후단에 수평 핀(20)으로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21)과 수직 프레임(21)의 상단과 카운터 집(15")의 후단을 수평 핀(20)으로 연결하는 카운터 집 타이바(17)로 구성되고, 카운터 집(15")의 상면에 위치하는 러핑 윈치(27)에 권취되어 수직 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 시브(25)로 유도시켜 승강 블록(24)에 내재된 승강 시브(26)를 돌아 다시 고정 시브(25)로 유도하여 필요한 수만큼 왕복 배열되어 러핑 윈치(27)의 권취에 의해 고정 시브(25)와 승강 블록(24)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 지게 됨에 따라 러핑 집(18)을 기복(R2)하게 하는 승강 와이어(19)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란스 웨이트(14')는 도 5에서와 같이 선회(R1) 중심점에서 먼곳에 위치하는 발란스 웨이트(14)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하므로 턴 테이블(13)의 전방에 위치하는 러핑 집(18, 18')과 플레이싱 붐(28)등의 중량에 대응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란스 웨이트(14')의 중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도 17과 도 18은 수평 압송관(35)에 있어서 단위 압송관(37)과 엘보우(36)의 연결도로서 러핑 집(18, 18')과 플레이싱 붐(28)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압송관(35)은 단위 압송관(37)들을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고 러핑 집(18, 18') 또는 단위 붐(29, 29', 29")들이 기복 또는 절첩하는 중심점에서 2개의 엘보우(36)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여 클램프(33) 내부에서 2개의 엘보우(36)가 상호 슬립 회전하여 수평 압송관(35)도 절첩되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는 도 16과 같이 기복 또는 절첩되는 중심점에서 2개의 엘보우(36)를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여 슬립 회전하게 하고 엘보우(36)들의 타단은 슬립 회전이 필요 없으나 단위 압송관(37)과 또한 클램프(33)로 고정 연결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슬립 회전이 필요 없는 엘보우(36)와 단위 압송관(37)에 있어서 이들을 연결하는 클램프(33)의 무게가 상당하여 이 무게에 의해 턴 테이블(13)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크기이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슬립 회전이 필요 없는 엘보우(36)와 단위 압송관(37)의 연결에 있어서 클램프(33)를 사용하지 않고 엘보우(36)와 압송 파이프(42)를 용접구조로 직접 연결시켜 중량을 줄여 턴 테이블(13)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를 경감시킬 수 있다.
10 : 마스트(MAST) 11 : 수직타워
12 : 선회 모터(MOTOR) 12' : 선회 링(RING)
13 : 턴 테이블(TURN TABLE)
14, 14', 14" : 발란스 웨이트(BALLANCE WEIGHT)
15, 15', 15" : 카운터 집(COUNTER JIB)
16, 16' : 단위 집(JIB)
17 : 카운터 집 타이바(COUNTER JIB TIE BAR)
18, 18' : 러핑 집(LUFFING JIB) 19 : 승강 와이어
20 : 수평 핀 21 : 수직 프레임
22 : 경사 프레임 23 : 승강 타이바 (TIE BAR)
24 : 승강 블록 25 : 고정 시브(SHEAVE)
26 : 승강 시브 27 : 러핑 윈치(LUFFING WINCH)
28, 28' : 플레이싱 붐(PLACING BOOM)
29, 29', 29" : 단위 붐
30, 30', 30" : 유압 실린더 31, 31', 31" : 링크(LINK)
32, 32', 32" : 로드(ROD) 33 : 클램프(CLAMP)
34 : 수직 압송관 35 : 수평 압송관
36 : 엘보우(ELBOW) 37 : 단위 압송관
38 : 토출 호스 39 : 운전실
40 : 연결 바(BAR) 41 : 발라스트 레버(BALLAST LEVER)
42 : 압송 파이프 43 : 쌔들(SADDLE) 조립체

Claims (2)

  1. 지상 콘크리트 펌프에서 압출된 콘크리트를 높은 곳이나 먼 곳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기 위한 콘크리트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싱 붐 장치는
    다수개의 마스트(10)를 연결하여 지면의 콘크리트 기초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타워(11); 상기 수직 타워(11)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어 축단에 치차가 형성된 선회 모터(12); 상기 선회 모터(12)의 치차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선회 링(RING)(12'); 상기 선회링(12')과 일체화되어 선회 모터(12)의 회전에 의해 수평으로 선회하는 턴 테이블(13); 상기 턴 테이블(13)의 후방에 연결되어 끝단에 위치하는 발란스 웨이트(14)를 보지하는 카운터 집(15); 상기 턴 테이블(13)의 전방으로 다수의 박스형 단위 집(16)을 연결하여 연장함과 동시에 후단은 턴 테이블(13)과 수평 핀(20)으로 결합하여 수평 핀(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복 하는 러핑 집(18); 상기 러핑 집(18) 일단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플레이싱 붐(28)을 포함하며,
    상기 러핑 집(18)의 전단에 러핑 집(18)과 수평 핀(20)으로 연결하여 연쇄적으로 절첩 가능하게 수평 핀(2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 붐(29, 29', 29"); 상기 다수의 단위 붐(29, 29', 29")들 사이에 설치되어 신축함에 따라 단위 붐(29, 29', 29")들이 절첩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유압 실린더(30, 30', 30"); 상기 단위 붐(29, 29', 29")에 일단이 수평 핀(20)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 실린더(30, 30', 30")와 수평 핀(20)으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30, 30', 30")의 신축 방향을 결정하는 링크(31, 31', 31");를 특징으로 하는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싱 붐(28)은 상기 링크(31, 31', 31")와 수평 핀(20)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다음의 단위 붐(29, 29', 29")에 수평 핀(20)으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30, 30', 30")가 신축함과 동시에 다음의 단위 붐(29, 29', 29")이 절첩 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로드(32, 32', 32")로 구성되며,
    콘크리트 펌프의 토출관과 클램프(33)로 이음 연결되고 수직 타워(11)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클램프(33)로 연속되게 이음 연결된 수직 압송관(34);
    상기 수직 압송관(34)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여 콘크리트의 이송 방향을 수평으로 전환하는 엘보우(36);
    상기 러핑 집(18)과 플레이싱 붐(28)의 측면을 따라 러핑 집(18)의 기복 중심점 및 단위 붐(29, 29', 29")들의 절첩 중심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엘보우(36)를 지그재그형태로 연속되게 클램프(33)로 이음 연결된 수평 압송관(35);
    상기 수평 압송관(35)의 끝에 토출 호스(38)를 클램프(33)로 이음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이송할 수 있는 거리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KR1020150038159A 2015-03-19 2015-03-19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KR10158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59A KR101586605B1 (ko) 2015-03-19 2015-03-19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59A KR101586605B1 (ko) 2015-03-19 2015-03-19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049A Division KR101580358B1 (ko) 2013-04-27 2013-04-27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505A true KR20150056505A (ko) 2015-05-26
KR101586605B1 KR101586605B1 (ko) 2016-01-18

Family

ID=5339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159A KR101586605B1 (ko) 2015-03-19 2015-03-19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953A (ko) * 1998-12-16 2000-07-05 최종환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KR20030096257A (ko) * 2001-02-12 2003-12-24 슈빙 게엠베하 고밀도 물질, 특히 콘크리트 분배 장치
KR101114030B1 (ko) * 2009-03-20 2012-03-14 박실룡 지브크레인
KR200462945Y1 (ko) * 2010-04-20 2012-10-11 엄부섭 콘크리트 배송장치가 구비된 타워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953A (ko) * 1998-12-16 2000-07-05 최종환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KR20030096257A (ko) * 2001-02-12 2003-12-24 슈빙 게엠베하 고밀도 물질, 특히 콘크리트 분배 장치
KR101114030B1 (ko) * 2009-03-20 2012-03-14 박실룡 지브크레인
KR200462945Y1 (ko) * 2010-04-20 2012-10-11 엄부섭 콘크리트 배송장치가 구비된 타워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605B1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807B (zh) 液压爬模系统中内爬塔支撑钢梁的自周转施工系统及方法
US10012005B2 (en) Cran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ower
US3302749A (en) Derrick scaffold structure
CN103233559B (zh) 一种屋面板高空传输系统及方法
CN105271011A (zh) 一种多功能微型吊装机
CN205387439U (zh) 一种桅杆起吊装置
CN105113761B (zh) 超高层建筑物管道井内管道的施工方法及装置
CN102864915B (zh) 一种场馆高大空间双层螺旋风管施工方法
KR101580358B1 (ko)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CN210084788U (zh) 一种建筑用塔式起重机
US10392233B2 (en) Crane tower
KR101586606B1 (ko)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CN205100531U (zh) 一种升降脚手架架体总成
CN107816209B (zh) 跨外两侧抬吊安装大型钢桁架屋盖施工工艺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CN203112390U (zh) 起重机的超起装置和全地面起重机
CN106049843A (zh) 一种悬挂式防晃施工平台及其安装方法
KR101586605B1 (ko)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CN108118885A (zh) 垂直移动式防护平台及其在钢结构柱对接施工中的应用
CN215055324U (zh) 一种高耸构筑物施工装置
KR101668177B1 (ko) 전동 고소작업용 가설복층작업대
CN206053355U (zh) 一种塔式混凝土布料机
CN218114742U (zh) 扁担梁吊装系统和扁担梁吊装体系
CN219219743U (zh) 便携升降的附着式脚手架
CN107352444A (zh) 造粒塔劲性梁吊装装置及造粒塔劲性梁吊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