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144A -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 Google Patents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144A
KR20150056144A KR1020130138757A KR20130138757A KR20150056144A KR 20150056144 A KR20150056144 A KR 20150056144A KR 1020130138757 A KR1020130138757 A KR 1020130138757A KR 20130138757 A KR20130138757 A KR 20130138757A KR 20150056144 A KR20150056144 A KR 2015005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fected part
analgesic
fiber material
extern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권
이철호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정해권
김민수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권, 김민수, 이철호 filed Critical 정해권
Priority to KR102013013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144A/ko
Publication of KR2015005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에 관한 것으로, 파스 성분이 포함된 액상의 섬유 제재 및 상기 섬유 제재를 분사하는 분사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섬유 제재는 사용자의 분사 시 환부에 분사되어 상호 교차 결합에 의한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SPRAY TYPE EXTERNAL USE ANTIINFLAMMATORY ANALGESIC DRUG}
본 발명은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식 섬유에 유용 성분을 침투시킨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에 관한 것이다.
흔히 파스(pas)라고 부르는 것은 독일어인 파스타(pasta)에서 유래된 것으로,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가 국내에 들어온 후 상표명으로 사용되면서 파스라는 용어로 굳어지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스는 타박상이나 근육통 또는 신경통 등에 사용되는 외용 소염 진통제를 말하며, 제형별로 첩부제(plaster)와 습포제(cataplasma)로 나뉘어진다.
첩부제는 보통 상온에서는 고형으로 헝겊,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필름 등에 펴서 피부에 접착시키는 외용제이다. 일반적으로 첩부제는 기공(porous plaster)이 있어 접착력이 우수하며, 신축성이 있는 섬유로 되어 있어 관절 부위에 적용이 편리한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경구 투여하던 비스테로이드 성분의 소염진통 효과가 있는 플루르비프로펜,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등을 경피에 흡수시킴으로써 기존의 경구용으로 치료시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을 줄이는 제재들도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습포제는 보통 의약품의 가루와 정유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니상으로 만들거나 또는 포상에 전연성형하여 만든 습포에 쓰이는 외용제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첩부제보다 경피 흡수율이 좋고 냉찜질 효과를 갖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첩부제와 마찬가지로 경구 투여하던 비스테리오디 성분으로 소염 진통 효과가 있는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등을 경피 흡수시킴으로써 기존의 경구용으로 치료시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을 줄이는 제재들도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첩부제나 습포제 모두 최초 부착 시 잘못 부착하면 다시 부착할 때 부착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 관절 부위에 부착 시 자주 움직이는 경우 주름이 잡히고 잘 떨어지는 문제 등이 있어 불편함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환부에 액상의 외용 소염 진통제를 직접 뿌리는 분사식 파스도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사식 파스는 환부에 분사하기는 쉽지만 옷에 묻어나고 쉽게 지워지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식 섬유에 외용 소염 진통 성분을 침투시켜 분사식으로 환부에 뿌릴 수 있는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스 성분이 포함된 액상의 섬유 제재; 및 상기 섬유 제재를 분사하는 분사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섬유 제재는 사용자의 분사 시 환부에 분사되어 상호 교차 결합에 의한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를 제공한다.
상기 파스 성분은 멘톨(menthol), 살리실산메칠(methyl salicylate), 살리실산글리콜(glycol salicylate), 캄파(champa), 치몰(thymol),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캡사이신(capsaicine),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및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 제재는 탄성을 갖는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갖는 소재는 폴리우레탄 등이 포함된 소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탄성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제재는 인체용 접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용 접착 성분은 실리콘 접착 성분 등이 포함된 성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인체용 접착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는 환부에 직접 뿌리면 섬유 형태의 파스가 분사되며 환부에 밀착되므로 접착성이 향상되고 활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를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가 침투된 섬유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를 환부에 분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를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100)는 기존의 분사식 파스에 섬유 제재를 결합시킨 형태로, 파스 성분을 섬유 제재에 침투시켜 파스 성분을 함유한 섬유 제재(200)가 분사 용기(110)에 들어 있어 사용자의 환부에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파스 성분은 멘톨(menthol, 국소 자극 및 지각을 둔하게 해 진통, 제양효과, 청량감을 줌), 살리실산메칠 또는 살리실산글리콜(methyl salicylate or glycol salicylate, 말초신경 부위에 반대자극제로 작용해 통증 완화), 캄파(champa, 국소자극 및 청량감), 치몰(thymol, 국소자극과 살균 및 방부작용),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말초혈행 개선으로 약물흡수 증진), 캡사이신(capsaicine, 고춧가루 성분으로 열감과 국소진통작용) 등이나 전술한 비스테로이드계 성분인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섬유 제재(200)는 뿌려서 입는 옷(spray-on fabric)이라는 신개념의 페브리캔(fabrican) 제품에서 유래된 것으로, 섬유의 교차 결합에 의해 인체 등의 표면에서 직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해당 섬유 제재(200)는 섬유 분자가 액체의 현탁액 상태로 용기 내부에 담겨 있다가 분사되면 섬유 분자끼리 결합되어 굳어지면서 유연성 있는 직물을 구성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가 침투된 섬유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100)에 사용되는 섬유 제재(200)는 환부에 분사 시 해당 부위를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격렬한 움직임이 있더라도 환부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종의 인체용 접착제 성분을 함께 포함하되, 섬유 조직 자체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력을 가지면 사용자의 활동에도 파스가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형태가 변형되기만 할 뿐, 환부에서 떨어지지 않으므로 파스의 지속 시간을 늘려주고, 환부를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섬유 제재(200)가 교차 결합하면서 일종의 짜임 구조물을 형성하므로 공기는 통하고 파스 성분은 환부에 침투할 수 있어 통기성이 우수한 파스가 된다. 상기 인체용 접착제 성분은 실리콘 접착제 등이 포함된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접착제는 PPI(Premiere Products Inc., USA) 등에서 구매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섬유 제재(200)에 파스 성분을 침투시키는 방법은 일정 시간 이상 섬유 제재(200)를 파스 성분의 액상에 함침(impregnation)하거나, 파스 성분을 나노화시켜 액상의 섬유 현탁액과 혼합해 섬유 제재(200) 자체에 파스 성분이 침투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파스 성분이 포함된 섬유 재제(200)는 분사식 용기에 담겨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100)로 제공되며, 분사 용기는 에어로졸 등의 가스 분사 타입 또는 분사 가스 없이 분사되는 비가스 분사 타입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를 환부에 분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100)를 환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서 분사하게 되면, 섬유 제재(200)가 분사되어 환부에 달라붙으면서 붕대와 같이 환부를 감싸게 된다. 분사되는 섬유 제재(200)의 양에 따라 환부에 부착되는 섬유 제재(200)의 양 및 두께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통기성이나 파스 성분의 양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즉, 섬유 제재(200)를 얇게 분사하면 파스 성분의 양도 적어지나 통기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섬유 제재(200)를 두껍게 분사하면 파스 성분의 양은 많아지나 직물 구조 사이의 구멍이 서로 교차되어 막힐 수 있으므로 통기성은 약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환부에 가벼운 근육통 등이 있는 경우에는 섬유 제재(200)를 얇게 분사하고, 환부의 움직임이 불편해 어느 정도 보호 및 고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섬유 제재(200)를 두껍게 분사하는 등 사용 목적에 따라 섬유 제재(200)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재하였으나, 그러한 기재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200: 섬유 제재
110: 스프레이 용기

Claims (4)

  1. 파스 성분이 포함된 액상의 섬유 제재; 및
    상기 섬유 제재를 분사하는 분사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섬유 제재는 사용자의 분사 시 환부에 분사되어 상호 교차 결합에 의한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스 성분은 멘톨(menthol), 살리실산메칠(methyl salicylate), 살리실산글리콜(glycol salicylate), 캄파(champa), 치몰(thymol),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캡사이신(capsaicine),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및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제재가 탄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제재가 인체용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KR1020130138757A 2013-11-15 2013-11-15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KR20150056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57A KR20150056144A (ko) 2013-11-15 2013-11-15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57A KR20150056144A (ko) 2013-11-15 2013-11-15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44A true KR20150056144A (ko) 2015-05-26

Family

ID=5339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757A KR20150056144A (ko) 2013-11-15 2013-11-15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1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7134T3 (es) Preparación tópica de enfriamiento en forma de parche
KR101154327B1 (ko)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TR200101033T2 (tr) Akış direnci hafifletilmiş, aerosol halindeki aktif maddenin verilmesi
US2015030597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hypertension
US20120232448A1 (en) New kinesiology tape
WO2009017767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lly treating neuropathy with minoxidil
MX2010011523A (es) Dispositivo de lata de aerosol para suministro topico dual.
ES2347781T3 (es) Almohadilla con una capa de gel que tiene actividad terapeutica o cosmetica.
US6274167B1 (en) Topical anesthetic patch
KR20150056144A (ko) 분사식 외용 소염 진통제
JP2007001938A (ja) 微細針付き貼付剤
KR102065240B1 (ko) 신체접착용 테이프
US20150209561A1 (en) Wearable Topical Drug Delivery Device
JP3197332U (ja) 皮膚の痒み止め用貼付剤
JPH01230514A (ja) エアゾール型外用貼付剤
KR101581736B1 (ko) 교체 가능한 파스
CN204501235U (zh) 一种治疗颈肩腰腿痛的外用膏药贴
CA2998781C (en) Medical plaster
US20060067993A1 (en) Topical anesthetic patch
CN206214273U (zh) 一种消化内科用外敷贴
CN216091403U (zh) 一种膝盖贴
CN204542925U (zh) 一种中药贴膏
TW202007378A (zh) 黏土貼布及其製造方法
KR20230089996A (ko) 타투가 표면에 포함된 지방연소 패치
KR200495654Y1 (ko) 캐릭터 파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