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057A -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갖는 진동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갖는 진동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057A
KR20150055057A KR1020157009735A KR20157009735A KR20150055057A KR 20150055057 A KR20150055057 A KR 20150055057A KR 1020157009735 A KR1020157009735 A KR 1020157009735A KR 20157009735 A KR20157009735 A KR 20157009735A KR 20150055057 A KR20150055057 A KR 20150055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nsor assembly
vibration sensor
mount
lo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7666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에이. 워바치
그레고리 트레아트 란햄
베타니 피켓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7Arrangements of transducers for ultrasonic flowmeters; Circuits for operating ultrason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details of flowmeter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13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81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loop-shaped measuring conduits, e.g. the measuring conduits form a loop with a crossing point
    • G01F1/8486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loop-shaped measuring conduits, e.g. the measuring conduits form a loop with a crossing point with multiple measuring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Fluidic or fluid actuated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진동 센서 조립체(200)가 제공된다. 상기 진동 센서 조립체(200)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입구 포트(206), 출구 포트(208), 및 입구 포트(206)로부터 출구 포트(208)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센서 조립체(200)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커플링되는, 교차 섹션(213)에 의해 분리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204A, 204B)들을 갖는 단일 유체 도관(203)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갖는 진동 센서 조립체 {VIBRATING SENSOR ASSEMBLY WITH A ONE-PIECE CONDUIT MOUNT}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진동 센서 조립체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도관 마운트 상에 장착되는 진동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 및 진동 농도계들과 같은 진동 유체 센서들은 전형적으로 유동 재료를 함유하는 진동 도관의 운동을 감지함으로써 작동한다. 질량 유동, 밀도 등과 같은 도관 내의 유체와 관련된 속성들은 도관과 관련된 운동 변환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신호들을 처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진동 재료 충진 시스템의 진동 모드들은 일반적으로 조합된 질량, 강성도 및 함유하는 도관 및 도관 안에 함유된 재료의 감쇠 특성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형적인 진동 유량계는 파이프라인 또는 다른 운반 시스템에서 인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내의 재료, 예를 들어 유체들, 슬러리들, 등을 이송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체 도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관은 예를 들어 단순 벤딩, 비틀림, 방사상, 및 커플링 모드들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고유 진동 모드들을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형적인 코리올리 질량 유동 측정 분야에서, 재료가 도관을 통해 유동할 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진동 모드들에서 도관이 가진되며, 상기 도관의 운동은 도관을 따라 이격된 지점에서 측정된다. 가진(excitation)은 전형적으로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주기적인 방식으로 도관을 혼란시키는, 보이스 코일 유형 드라이버와 같은 전자기계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질량 유량은 변환기 위치들에서의 운동들 간의 시간 지연 또는 위상 차이들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변환기들(또는 픽 오프 센서들)은 전형적으로, 유동 도관 또는 도관들의 진동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형적으로 액추에이터의 상류와 하류의 위치들에 위치된다. 두 개의 픽 오프 센서들은 케이블링에 의해 예컨대 두 개의 독립적인 쌍들의 와이어들에 의해 전자 기기에 연결된다. 기기는 두 개의 픽 오프 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 신호들을 처리하여 질량 유량 측정을 유도한다.
하나의 유형의 진동 유량계는 질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단일 루프 직렬 경로 유동 도관을 사용한다. 그러나, 균형이 맞지 않고 다른 유형의 계기들보다 더 큰 정도로 외부 진동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단일 루프 직렬 경로 유동 도관 설계의 사용은 고유 단점을 갖는다. 단일 루프 직렬 유동 코리올리 유량계는 중실형 마운트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단일 만곡형 도관 또는 루프를 갖는다. 유량계는 유동 도관이 진동할 수 있는, 유동 도관 옆에 위치되는 강성의 구조체를 포함하여야 한다. 강성 구조체의 사용은 여러 산업 분야에 비실용적일 수 있다.
다른 종래 기술의 접근 방식은 이중 루프 병렬 유동 도관 구성을 사용한다. 듀얼 루프 평행 유동 도관 유량계들은 균형이 맞춰지고 밀도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평행 유동 도관들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평행한 유동 도관들은 서로 대향 진동하도록 구동되어서, 하나의 유동 도관의 진동력이 다른 유동 도관의 진동하는 힘들을 상쇄한다. 따라서, 많은 분야들에서, 이중 루프 병렬 유동 도관 구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동이 두 개의 평행한 유동 도관들 사이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유동 도관들 각각은 연결된 파이프라인보다 더 작다. 이것은 저 유동 분야들에 대해 문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중 루프 병렬 유동 도관 유량계들에서 요구되는 더 작은 유동 도관들은 더 많이 플러깅(plugging)되는 경향이 있으며, 유동 도관들 사이의 유동을 분할하기 위해 사용된 매니폴드가 더 높은 압력 강하를 초래한다.
전술한 문제점들은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유량계를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유량계는 단일 루프 유량계 및 이중 루프 병렬 경로 유량계의 장점들을 조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유량계(100)의 일부를 도시한다. 유량계(100)는, 문헌상의 본 출원인들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6,044,715호에 도시되고 더 상세히 설명되고, 상기 특허가 교시하는 모든 것에 대해 인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유량계(100)는 하우징(102) 내에 포함된 단일 유동 도관(101)을 포함한다. 유동 도관(101)은 서로 평행한 평면들에 놓여있는 2 개의 루프들(103, 104)을 포함한다. 루프들(103, 104)은 드라이버(110)에 의해 인가된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한다. 픽 오프(111, 111')들은 다양한 유체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루프들(103, 104)의 운동을 검출할 수 있다. 루프(103, 104)들은 교차 섹션(105)과 함께 결합된다. 교차 섹션(105)은 연속적인 유동 도관(101)을 형성하도록 2 개의 루프들을 결합한다. 두 개의 루프(103, 104)들과 함께 교차 섹션(105)은 앵커(106)를 사용하여 연결 및 고정된다. 비록 앵커(106)가 핀(107)을 사용하여 하우징(102)에 커플링되지만, (브레이스 바(108, 109)들 위의) 유동 도관(101)의 진동 부분에 의해 여전히 외부 진동들을 느낀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섹션(105)은 간단히 자유롭게 매달리며 어떤 방식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교차 섹션(105)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지지의 결핍이 문제되고 교차 섹션(105)이 비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오류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유량계(100)가 일부 상황들에서 적절한 유량계를 제공할 수 있지만, 교차 섹션에 대한 더 나은 지지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뿐만 아니라, 픽 오프들에 의해 느끼는 외부 진동들을 추가로 제한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이들 및 다른 문제점들을 극복하며 상기 기술 분야에서의 진보를 제공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일체형 도관 지지부 상에 장착된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유량계를 제공한다. 일체형 도관 지지부는 도관의 교차 섹션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반면, 유동 도관의 픽 오프들에 의해 느끼는 외부 진동들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더 정확한 유량들이 더 다양한 환경에서 결정될 수 있다.
진동 센서 조립체용 일체형 도관 마운트가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는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 도관 마운트는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 도관 마운트는 도관 지지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들을 더 포함한다.
진동 센서 조립체가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진동 센서 조립체는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base)를 포함하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진동 센서 조립체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에 커플링되는, 교차 섹션에 의해 분리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을 갖는 단일의 유체 도관을 더 포함한다.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이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내에 단일 유체 도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교차 섹션으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교차 섹션에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가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상기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를 포함한다.
양태들
양태에 따라, 진동 센서 조립체용 일체형 도관 마운트로서,
입구 포트;
출구 포트;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 및
도관 지지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이 테이퍼 가공되고, 상응하는 포트를 향하는 단부 상에 제 1 두께(t1)를 포함하며 다른 지지 블록을 향하는 단부 상에 제 2 두께(t2)를 가지며, 여기서 t2는 t1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는 커플링 고정물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구들을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진동 센서 조립체로서,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 및
일체형 도관 마운트에 커플링되는, 교차 섹션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을 갖는 단일 유체 도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차 섹션이 도관 지지 기부에 커플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 조립체는 상기 도관 지지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중 제 1 루프가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의 제 1 측면에 커플링되고,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중 제 2 루프가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의 제 2 측면에 커플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 조립체는 상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된 유입 도관 부분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 조립체는 상기 출구 포트에 커플링된 유출 도관 부분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센서 조립체는 유체 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으로서,
단일 유체 도관을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로 형성하는 단계;
교차 섹션에 의해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교차 섹션에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커플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가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를 포함하는,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도관 지지 기부에 교차 섹션을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의 제 1 측면에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중 제 1 루프를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중 제 2 루프를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들의 제 2 측면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의 입구 포트에 유입 도관 부분을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의 출구 포트에 유출 도관 부분을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케이스로 상기 유체 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유량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량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도관 지지 기부에 커플링된 유체 도관의 유입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 그리고 다음의 설명은 진동 계기의 실시예들의 최상의 모드를 만들고 사용하는 법을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특정 예들을 묘사한다. 창의적 원리들을 교시하기 위해, 일부 종래의 양태들은 간략화되거나 생략된다. 당업자는 본 설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들 예들로부터의 변화를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후술되는 특징들이 진동 계기의 여러 변형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결과,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이하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예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진동 계기(5)를 도시한다. 진동 계기(5)는 센서 조립체(200) 및 계측 전자 장치(20)를 포함한다. 센서 조립체(200) 및 계측 전자 장치(20)는 리드(1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진동 계기(5)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기 진동 계기(5)가 코리올리 유량계의 측정 능력이 없는 다른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진동 계기(5)는 진동 농도계, 진동 체적 유량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이 코리올리 유량계에 관한 것이지만, 실시예들은 결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조립체(200)는 이중 루프의 직렬 유동 경로 센서 조립체를 생성하도록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204A, 204B)들을 형성하는 단일 유체 도관(203)을 포함한다. 따라서, 두 개의 루프(204A, 204B)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센서 조립체(200)는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세 개 이상의 루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체 도관(203)은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 상에 장착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도관(203) 및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사용하는 동안 케이스(도 5 참조)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수 있다.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두 개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유체 도관(203)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유체 파이프라인(도시 생략)에 커플링될 수 있는 입구 포트(20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도관(203)의 유입 통로 부분(207)은 입구 포트(206)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또한 유체 파이프라인에 커플링될 수 있고 또한 유출 도관 부분(209)을 수용할 수 있는 출구 포트(20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입 및 유출 도관 부분(207, 209)들은 유체 기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206, 208)에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유입 및 유출 도관 부분(207, 209)들의 일 부분은 일체형의 도관 마운트(205)의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 참조). 실시예에 따라, 도관 지지 기부(210)는 유입 및 출구 포트(206, 208)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확장할 수 있다. 도관 지지 기부(210)는 유체 도관(203)의 여러 부분에 대해 적합한 장착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체 도관(203)은 유입 도관 부분(207)으로부터 제 1 루프(204A)를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유체 도관(203)은 제 1 루프(204A)를 형성하도록 도관 지지 기부(210)의 반대로 위쪽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유체 도관(203)은 제 1 지지 블록(21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 블록(211)은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될 수 있거나, 도관 지지 기부(210)의 일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블록(211)은 도관 지지 기부(2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게 도시된다.
유체 도관(203)은 제 1 루프(204A)를 형성하는 제 1 지지 블록(211)의 반대로 연장할 수 있다. 제 1 루프(204A)는 또한 제 2 지지 블록(2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212)들은 제 1 및 제 2 루프(204A, 204B)들을 지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루프들의 벤딩 축(도 5 참조)들을 형성하는데 조력한다.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211, 212)들은 또한 제 1 및 제 2 루프들의 평면(P1, P2)(도 3 참조)을 위치 설정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관(203)이 제 1 루프(204A)에서 배출되어 교차 섹션(213)으로 들어감에 따라, 유체 도관(203)은 제 2 지지 블록(212)에 커플링된다. 실시예에 따라, 교차 섹션(213)은 제 1 및 제 2 루프(204A, 204B)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교차 섹션(213)은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커플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차 섹션(213)은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교차 섹션(213)은, 예컨대 납땜, 용접, 기계적 체결기들, 접착제들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관 지지 기부(210)에 교차 섹션(213)을 커플링하는데 사용된 특정 방법은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중요하지 않으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에 따라, 교차 섹션(213)은 다수 위치들에서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차 섹션(105)이 자유롭게 매달리는 것을 허용하는 종래 기술의 진동 계기(100)의 앵커(106)와 달리, 교차 섹션(213)이 적절히 지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교차 섹션(213)에 커플링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 섹션(213)의 무게가 도관 지지 기부(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교차 섹션(213)은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의 (정상적인 지향 동안) 상부 표면에 커플링된다. 따라서, 교차 섹션(213)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응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관 지지부(2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 조립체(200)가 파이프라인에 설치되는 경우 또는 케이스(500)가 설치될 때 받을 수 있는 응력은 유체 도관(203)보다는 도관 마운트(205)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유체 도관(203)이 교차 섹션(213)으로부터 제 2 루프(204B)를 향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유체 도관(203)은 다시 한번 제 1 지지 블록(211)에 커플링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 도관(203)이 제 2 루프(204B)로 들어갈 때, 유체 도관(203)은 제 1 지지 블록(211)의 반대측에 커플링된다. 유체 도관(203)은 제 2 루프(204B)를 생성하여서 유출 도관 부분(209)을 향하여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라, 유체 도관(203)이 제 2 루프(204B)로부터 유출 도관 부분(209)으로 전이됨에 따라 유체 도관(203)은 또한 제 2 지지 블록(2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유체 도관(203)이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고정되게 커플링되면서, 드라이버(225)는 브레이스 바(220-223)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벤딩 축(W-W, W'-W')에 대해 반상으로(in phase opposition) 제 1 및 제 2 루프(204A, 204B)들을 진동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드라이버(225)는 계측 전자 장치(20)로부터 리드(235)를 통해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루프(204A, 204B)들이 진동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픽 오프 센서(226, 226')에 의해 운동이 감지될 수 있다. 질량 유량, 체적 유량, 밀도, 온도 등과 같은 유체 도관(203) 내에 유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체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픽 오프 신호들은 리드들(236, 236')을 통해 계측 전자 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관(203)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커플링되기 전의 유체 도관(203)이 도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도관(203)은 제 1 루프(204A)로 전이되는 유입 도관 부분(207)을 포함한다. 제 1 루프(204A)의 단부 근처에서, 유체 도관(203)은 교차 섹션(213)으로 전이(transition)된다. 실시예에 따라, 교차 섹션(213)은 제 1 및 제 2 루프(204A, 204B)들과 결합될 수 있다. 교차 섹션(213)은 제 1 평면(P1)으로부터 제 2 평면(P2)까지 통과한다. 이후 제 2 루프(204B)는 유출 도관 부분(209)에서 종료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루프(204A, 204B)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P1, P2)들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211, 212)들은 평면들(P1, P2)을 형성할 수 있다. 평행한 평면들에 두 개의 루프들을 제공함으로써, 비록 두 개의 루프(204A, 204B)들이 직렬 유동 경로를 포함한다고 할지라도, 두 개의 루프(204A, 204B)들은 서로에 대해 진동될 수 있고, 이중 평행 유동 경로 유량계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4는 센서 조립체(2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되는 유입 부분(207)의 더 양호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관 지지 기부(210)는 두 개의 개구(440)들을 포함한다. 개구(440)들은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유체 도관(203)을 커플링하는데에 사용되는 고정물(미도시)을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5는 센서 조립체(200)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에서 케이스(500)의 일부가 이제 제공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상응하는 케이스 부분이 유체 도관(203)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도시된 상기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관 지지 기부(210)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섹션(213)은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211, 212)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복수의 개구(440)들이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도시되고, 이들은 도관 마운트(205)에 유체 도관(203)을 커플링하는데 사용된 커플링 고정물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블럭(211, 212)들은 제1 평면(P1)으로부터 제 2 평면(P2)으로 교차 섹션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테이퍼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 블록(212)은 출구 포트(208)에 가장 근접한 단부에서 제 1 폭(t1)을 그리고 제 1 지지 블록(211)에 가장 근접한 단부에서 제 2 폭(t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t2는 t1 미만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지지 블록(211)은 또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블록들(211, 212)은 또한 브레이스 바(220, 221)가 벤딩 축(W-W, W'-W')들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만이 각 단부에 단일의 브레이스 바(220, 2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블록들(211, 212)은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브레이스 바로서 작용할 수있다.
또한 드라이버 및 픽-오프 구성요소가 도 5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실시예에 따라, 드라이버(225)는 제 1 루프(204A)에 결합된 제 1 구동기 구성요소(225A) 및 제 2 루프(204B)에 결합된 제 2 구동기 요소(225B)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픽 오프 센서(226, 226')들은 각각 제 1 루프(204A)에 커플링된 제 1 픽 오프 센서 구성요소(226A, 226'A) 및 제 2 루프(204B)에 커플링된 제 2 픽 오프 센서 구성요소(226B, 226'B)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225) 및 픽 오프(226, 226')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거나 루프(204A, 204B)들의 진동 및 운동의 검출을 허용하는 몇몇의 다른 타입의 구성인 자석/코일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개선된 다중 루프 직렬 유동 경로 진동 계기를 제공한다. 유체 튜브의 지지를 다중 구성요소들로 분리하는 종래 기술의 계기들과 달리,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를 포함한다.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는 유체 도관의 교차 섹션(213)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나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교차 섹션(213)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는 픽 오프(226, 226')에 의해 받은 왜곡 및 외부 진동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본 설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된 모든 실시예들의 완전한 설명이 아니다. 실제로,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정 요소들이 다른 실시예들을 만들도록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그러한 추가 실시예들은 본 설명의 범주 및 교시들 내에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이 본 설명의 범주 및 교시들 내에서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생성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균등 변형예들이 본 설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며, 이는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인정할 것이다. 여기에 제공된 교시들은 단지 전술되고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진동 계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의 범주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로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진동 센서 조립체(200)용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로서,
    입구 포트(206);
    출구 포트(208);
    입구 포트(206)로부터 출구 포트(208)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210); 및
    도관 지지 기부(210)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211, 212)을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용 일체형 도관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211, 212)들이 테이퍼 가공되고, 상응하는 포트를 향하는 단부 상에 제 1 두께(t1)를 포함하며 및 다른 지지 블록을 향하는 단부 상에 제 2 두께(t2)를 포함하며, t2는 t1 미만인,
    진동 센서 조립체용 일체형 도관 마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 고정물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구(440)들을 더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용 일체형 도관 마운트.
  4. 진동 센서 조립체(200)로서,
    입구 포트(206), 출구 포트(208), 및 입구 포트(206)로부터 출구 포트(208)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210)를 포함하는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 및
    일체형 도관 마운트(205)에 커플링되는, 교차 섹션(213)에 의해 분리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204A, 204B)들을 갖는 단일 유체 도관(203)을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섹션(213)이 도관 지지 기부(210)에 커플링되는,
    진동 센서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지지 기부(210)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211, 212)들을 더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204A, 204B)들 중 제 1 루프(204A)가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211, 212)들의 제 1 측면에 커플링되고,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204A, 204B)들 중 2 루프(204B)가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211, 212)의 제 2 측면에 결합되는,
    진동 센서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206)에 커플링된 유입 도관 부분(207)을 더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208)에 커플링된 유출 도관 부분(209)을 더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
  10. 제 4 항에 있어서,
    유체 도관(20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케이스(500)를 더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
  11.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으로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로 단일 유체 도관을 형성하는 단계;
    교차 섹션으로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교차 섹션에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커플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가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상기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 연장하는 도관 지지 기부를 포함하는,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도관 지지 기부에 교차 섹션을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가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중 제 1 루프를 제 1 및 제 2 지지 블록들의 제 1 측면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 또는 그 초과의 루프들 중 제 2 루프를 제 1 및 제 2 지지 블럭들의 제 2 측면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
  14. 제 11 항에있어서,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유입 도관 부분을 일체형 도관 마운트의 입구 포트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유출 도관 부분을 상기 일체형 도관 마운트의 출구 포트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관을 케이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동 센서 조립체의 형성 방법.
KR1020157009735A 2012-09-18 2012-09-18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갖는 진동 센서 조립체 KR101807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55912 WO2014046643A1 (en) 2012-09-18 2012-09-18 Vibrating sensor assembly with a one-piece conduit mou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057A true KR20150055057A (ko) 2015-05-20
KR101807666B1 KR101807666B1 (ko) 2017-12-11

Family

ID=4704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35A KR101807666B1 (ko) 2012-09-18 2012-09-18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갖는 진동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018491B2 (ko)
EP (1) EP2898299B1 (ko)
JP (1) JP6173465B2 (ko)
KR (1) KR101807666B1 (ko)
CN (1) CN104736979B (ko)
AR (1) AR092499A1 (ko)
AU (1) AU2012390332B2 (ko)
BR (1) BR112015005883B1 (ko)
CA (1) CA2884933C (ko)
HK (1) HK1211692A1 (ko)
MX (1) MX345806B (ko)
RU (1) RU2598167C1 (ko)
SG (1) SG11201502038SA (ko)
WO (1) WO2014046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5580A1 (de) * 2014-04-17 2015-10-22 Krohne Ag Coriolis-Massedurchflussmessgerät
RU2671310C1 (ru) * 2015-03-25 2018-10-30 Майкро Моушн,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пая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вибрационном расходомере
WO2017219234A1 (en) * 2016-06-21 2017-12-28 Micro Motion, Inc. A sensor assembly, sensor bracket, and tube ring for a vibratory conduit
WO2018057087A2 (en) * 2016-09-21 2018-03-29 Bai Yufeng Shower/safety shower/fire sprinkler testing device
CN111879369B (zh) * 2020-07-23 2021-05-07 江苏德高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流量计测量校正工装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312A (en) * 1986-02-21 1988-05-31 Fischer & Porter Co. Double-loop Coriolis type mass flowmeter
US4730501A (en) * 1986-05-19 1988-03-15 Exac Corporation Single tube parallel flow coriolis mass flow sensor
EP0271605B1 (de) * 1986-10-02 1990-12-27 Krohne AG Massendurchflussmessgerät mit Einrichtung zur Ermittlung der Corioliskraft
KR960000099B1 (ko) * 1986-10-28 1996-01-03 더폭스보로 컴패니 코리올리 유형의 질량유량계
JPS6486219A (en) 1988-05-12 1989-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ot-water supply temperature controller
US5425277A (en) * 1991-01-22 1995-06-20 Lew; Hyok S. Inertia force flowmeter with symmetrized looped conduit
US5355737A (en) 1993-05-03 1994-10-18 Lew Hyok S Single vibrating conduit mass flowmeter
US5602344A (en) * 1994-09-01 1997-02-11 Lew; Hyok S. Inertia force flowmeter
US6332367B1 (en) 1997-03-11 2001-12-25 Micro Motion, Inc. Dual loop Coriolis effect mass flowmeter
JPH11211529A (ja) * 1998-01-21 1999-08-06 Oval Corp コリオリ流量計
JP2951651B1 (ja) * 1998-07-29 1999-09-20 株式会社オーバル コリオリ質量流量計及びその製造方法
US7127815B2 (en) * 2001-11-26 2006-10-31 Emerson Electric Co.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iolis flowmeter
NL1028938C2 (nl) * 2005-05-02 2006-11-03 Berkin Bv Massa flowmeter van het Coriolistype.
DE102005062007A1 (de) * 2005-12-22 2007-06-28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wandler vom Vibrationstyp
MX2008013262A (es) * 2006-05-01 2008-10-28 Micro Motion Inc Una estructura equilibradora para un medidor de flujo de coriolis de tubo curvo unico.
US8215185B2 (en) 2007-12-19 2012-07-10 Micro Motion, Inc. Vibrating flow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vibrating flow device
WO2009105096A1 (en) * 2008-02-20 2009-08-27 Micro Motion, Inc. Coriolis flow neter with an improved balance system
NL1036341C2 (nl) * 2008-12-19 2010-06-22 Berkin Bv Coriolis flowsensor met verend opgehangen balansmassa.
KR101388637B1 (ko) 2009-06-10 2014-04-24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진동 유량계에 케이스를 커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09347861B2 (en) 2009-06-10 2013-04-18 Micro Motion, Inc. Balance system for a vibrating flow meter
AU2009349706B2 (en) * 2009-06-30 2013-08-22 Micro Motion,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driver and a pick-off of a vibrating sensor assembly
DE102009046839A1 (de) 2009-11-18 2011-05-19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system mit einer zwei parallel durchströmte Meßrohre aufweisenden Rohranordnung sowie Verfahren zu deren Überwach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8299B1 (en) 2022-04-27
MX2015002557A (es) 2015-06-05
MX345806B (es) 2017-02-16
CA2884933C (en) 2018-04-17
CA2884933A1 (en) 2014-03-27
CN104736979A (zh) 2015-06-24
AU2012390332B2 (en) 2016-09-15
JP2015529831A (ja) 2015-10-08
BR112015005883A2 (pt) 2017-08-08
EP2898299A1 (en) 2015-07-29
BR112015005883B1 (pt) 2020-05-26
CN104736979B (zh) 2018-06-12
US10018491B2 (en) 2018-07-10
KR101807666B1 (ko) 2017-12-11
WO2014046643A1 (en) 2014-03-27
SG11201502038SA (en) 2015-05-28
RU2598167C1 (ru) 2016-09-20
HK1211692A1 (en) 2016-05-27
AU2012390332A1 (en) 2015-03-19
JP6173465B2 (ja) 2017-08-02
US20150260559A1 (en) 2015-09-17
AR092499A1 (es)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3935C (en) Coriolis flow meter with improved mode separation
US9395224B2 (en) Coriolis flowmeter and method with improved meter zero
KR101807666B1 (ko) 일체형 도관 마운트를 갖는 진동 센서 조립체
WO2009078880A1 (en) A vibrating flow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vibrating flow device
JP5638604B2 (ja) バランス部材を備えたフローメーター
US86954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onaly separating driver and pick-offs of a vibrating-type flow sensor assembly
KR101817537B1 (ko) 진동계용 방법 및 장치
KR101250855B1 (ko) 밸런싱된 기준 부재를 포함하는 유량계
JP6921280B2 (ja) コンパクトな流量計及び関連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