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641A -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641A
KR20150054641A KR1020140096826A KR20140096826A KR20150054641A KR 20150054641 A KR20150054641 A KR 20150054641A KR 1020140096826 A KR1020140096826 A KR 1020140096826A KR 20140096826 A KR20140096826 A KR 20140096826A KR 20150054641 A KR20150054641 A KR 20150054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along
adjacent
widths
conducto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근
장기원
성재석
이성욱
강창수
김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36,471 priority Critical patent/US9906076B2/en
Priority to EP20140275231 priority patent/EP2871712A1/en
Priority to JP2014229351A priority patent/JP2015095656A/ja
Priority to CN201410643926.2A priority patent/CN104637658A/zh
Publication of KR2015005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송전면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 저감을 억제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NON CONTACT TPYE POWER TRANSMITTING COIL AND NON CONTACT TPYE 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코일 및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장치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인 전력의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 전력의 공급은 장치가 스스로 자체 발전하여 조달하지 않는 한 외부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력 공급 설비로부터 전자장치로 전력을 전달해 주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battery)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선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가 사용되거나,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이 서로 인접하게 되는데,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 간의 위치에 따라서 전력 전송 효율 및 최대 전송 가능 전력이 일정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적인 전력 전송이 어려울 정도로 낮은 레벨의 전력이 전송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366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면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 저감을 억제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은,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턴수를 가지며, 전달받은 전력을 비접촉 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장치는,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턴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을 갖는 코일; 및 코일에 전력을 전달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외부로 전송시키는 전력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의 송전면 전체에 전력 전송 효율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를 개략적인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일반적인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 간의 위치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고, 도 3b는 일반적인 송전 코일의 평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위치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자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전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각 위치별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를 개략적인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100)는 코일(110)과 전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10)은 비접촉 방식으로 외부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전력부(120)는 코일(11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접촉 방식은 전원이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도전체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하지 않는 방식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무접점 방식 또는 무선 전송 방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100)의 전력이 전송되는 송전면에는 수전 장치(A)가 위치하여, 수전 장치(A)의 수전 코일(a)에 코일(110)로부터의 전력이 전송된다.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100)의 송전면에 수전 장치(A)가 위치하여 전력을 전송받는 경우, 수전 장치(A)와 코일(110)간의 위치, 즉, 수전 장치(A)의 수전 코일(a)과 코일(110)간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이 도 2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은 베이스(111) 및 도전체 패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 패턴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작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이를 위해 이하에서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이 하나의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111)는 일정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도전체 패턴(112)는 베이스(111)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체 패턴(112)는 복수의 턴수를 갖도록 베이스(111)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전체 패턴(112)는 복수의 절곡 패턴(112a1~112a6,112b1,112c1,112d1)을 구비하고, 복수의 절곡 패턴(112a1~112a6,112b1,112c1,112d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턴수를 갖는 하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곡 패턴(112a1~112a6,112b1,112c1,112d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턴수를 가질 수 있으며, 더하여 적어도 둘의 절곡 패턴(112a1, 112b1)(112b1,112c1)(112c1,112d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직선 패턴(112l1)(112l2)(112l3)이 형성되어 적어도 둘의 절곡 패턴(112a1, 112b1)(112b1,112c1)(112c1,112d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 또한 복수의 턴수를 갖는 하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체 패턴(112)는 예를 들어, 원,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턴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전체 패턴(112)의 중심(c)로부터 외곽을 향한 일방향(α)으로, 인접한 절곡 패턴(112a1,112a2)(112a2,112a3)(112a3,112a4)(112a4,112a5)(112a5,112a6) 끼리 간의 거리(d1,d2,d3,d4,d5) 중 적어도 일부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방향(α)으로, 인접한 절곡 패턴(112a1,112a2)(112a2,112a3)(112a3,112a4)(112a4,112a5)(112a5,112a6) 끼리 간의 거리(d1,d2,d3,d4,d5)는 순차적으로 짧을 수 있다.
직선 패턴(112l1,112l2,112l3,112l1a,112l1b,112l1c,112l1d,112l1e)이 더 추가되는 경우, 도전체 패턴(112)의 중심(c)로부터 외곽을 향한 일방향(β)으로 인접한 직선 패턴(112l1,112l1a)(112l1a,112l1b)(112l1b,112l1c)(112l1c,112l1d)(112l1d,112l1e) 끼리 간의 거리(l1,l2,l3,l4) 중 적어도 일부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순차적으로 짧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형성의 용이함을 위해 베이스(111)의 양면에 도전체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체 패턴(112)이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이 전송되는 패턴 중 일부는 복수의 턴수를 형성하는 패턴이 배치된 베이스(111)의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도전체 패턴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NFC) 안테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 2b를 참조하면, 패턴의 형성에 있어서, 패턴간의 간격이 상이한 영역(B)과 동일한 영역(A)을 구성할 수 있으며, 패턴간의 간격이 상이한 영역(B)과 동일한 영역(A)을 교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의 형상은 원형 또는 팔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의 가로 세로가 동일하여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패턴간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되, 동일 비율로 좁아질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간의 간격은 동일하되, 패턴의 선폭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패턴간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좁아지고, 패턴의 가로 세로 비율에 따라 패턴의 선폭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좁아지되 동일한 턴에서 서로 다른 비율로 좁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가 세로보다 긴 직사각형으로 패턴이 형성될 경우 중심에서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패턴의 선폭이 중심에서 수평한 제2 방향을 따른 패턴의 선폭보다 더 좁을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술한 패턴 간의 거리에 의한 전기적인 작용에 관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일반적인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 간의 위치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고, 도 3b는 일반적인 송전 코일의 평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위치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 코일과 전력을 전송받는 수전 코일 간의 효율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중심간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전력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 즉 도 3b와 같이 많은 권선 수와 동일한 간격의 패턴배열을 하여 코일을 구성하는 경우 코일 중앙의 개구면에 많은 자기장을 모아 코일 끼리의 중심이 일치하였을 때에는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나 도 3c처럼 수신 코일의 중심이 송전코일의 중심을 벗어나게 되면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전 코일의 위치가 송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X축과 Y축 외곽으로 가는 경우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와 함께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패턴 간의 거리, 즉 선 밀도는 코일의 외곽에서는 선 밀도가 높고, 내부로 들어가면 갈수록 선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중심으로 향할수록 패턴 간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비등간격이라 칭함).
도 4와 같이 자기장(자계)(F)는 앙페르의 오른손의 법칙에 의해 전류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류의 흐름으로부터 간격이 가까울수록 자기장의 세기는 커진다. 이에 중심부분에서는 코일의 모든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여 동일한 방향의 자계가 형성되어, 높은 효율로 충전이 가능하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등간격 코일에 비해 중심으로부터 제일 안 쪽 패턴과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등간격 코일에 비해 큰 자기장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등간격 코일은 중심에서의 자기장이 강하지만, 선이 외곽으로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등간격 코일의 경우에는 코일의 중심과 외곽사이에도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등간격에 비해 면적에 평탄한 자기장 형성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등간격 코일에 비해 중심부분의 위치 자유도는 크게 상승하게 된다. 즉 코일의 중심에서 멀어져도 전력 전송 효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비등간격 코일이어도, 코일의 외곽에서는 자계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코일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면 선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계를 통해 전력을 전송하여 자계에 의한 전력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밀도가 상승하게 되어, 선 밀도가 높은 부분 위에 수전 장치(A)의 수전 코일(a)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높은 전류밀도에 의해 전계가 강하게 형성되어 높은 효율로 전력이 전송된다.
여기서, 파란색은 코일을 나타내고, 빨간색, 노란색, 녹색은 전류 밀도를 나타내며, 빨간색-노란색-녹색의 전류 밀도는 순차적으로 전류 밀도가 낮은 순서를 나타내며, 코일의 외곽으로 갈수록 전류 밀도가 높아져 강한 전계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류 밀도는 변위 전류 밀도일 수 있다.
코일의 패턴간의 간격 뿐 아니라, 도 2f 및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의 선폭(t) 또한 비등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코일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코일의 선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외곽에서의 전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가로 및 세로 간의 비율에 따라 코일의 선폭을 부분적으로 가변하거나, 코일의 패턴 간의 간격을 동일한 턴 내에서 서로 다르게 가변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자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장치의 수전 코일(a)이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로부터 수전 코일(a)로 형성되는 자계의 세기가 높은 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장치의 수전 코일(a)이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의 외곽에 위치하는 경우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로부터 수전 코일(a)로 형성되는 자계의 세기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전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장치의 수전 코일(a)이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로부터 수전 코일(a)로 형성되는 전계의 세기가 낮은 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장치의 수전 코일(a)이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의 외곽에 위치하는 경우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110)로부터 수전 코일(a)로 형성되는 전계의 세기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의 각 위치별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은 중심부에서는 자계에 의한 전력 전송 효율이 높고, 외곽에서는 전계에 의한 전력 전송 효율이 높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 코일 전체에 전력 전송 효율이 균일해져 어느 위치에 수전 장치(A)가 위치하여도 일정한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어 높은 위치 자유도를 갖는다.
도 8에서의 가로, 세로 점선의 교차점은 수신 코일의 중심을 나타내고, 전체 송전 코일의 송전 면적에서 교차점과 같이 수전 코일의 중심이 송전 코일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84%~90% 정도의 균일한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 코일의 간격이 비등간격으로 구성되어 수전 코일의 중심이 송전 코일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균일한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10: 코일
111: 베이스
112: 도전체 패턴
120: 전력부

Claims (22)

  1.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턴수를 가지며, 전달받은 전력을 비접촉 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 간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다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동일한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 간의 간격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과, 다른 적어도 일부의 패턴 간의 간격이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갖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 폭은 서로 상이한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7.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턴수를 가지며, 전달받은 전력을 비접촉 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상이한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의 폭은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다른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동일한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과, 다른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갖는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12.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턴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을 갖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전력을 전달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외부로 전송시키는 전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 간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다른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동일한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 간의 간격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과, 다른 적어도 일부의 패턴 간의 간격이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갖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 폭은 서로 상이한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8.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턴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에 전력을 전달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은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향한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상이한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의 폭은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다른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인접한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패턴의 내경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외곽으로 향한 타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상이한 비율은 서로 동일한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과, 다른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의 폭이 서로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갖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KR1020140096826A 2013-11-11 2014-07-29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KR20150054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36,471 US9906076B2 (en) 2013-11-11 2014-11-07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coil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EP20140275231 EP2871712A1 (en) 2013-11-11 2014-11-11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coil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JP2014229351A JP2015095656A (ja) 2013-11-11 2014-11-11 非接触方式の電力伝送コイル及び非接触方式の電力供給装置
CN201410643926.2A CN104637658A (zh) 2013-11-11 2014-11-11 非接触式电力传输线圈和非接触式供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570 2013-11-11
KR1020130136570 2013-11-11
KR1020140078487 2014-06-25
KR20140078487 2014-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641A true KR20150054641A (ko) 2015-05-20

Family

ID=5339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826A KR20150054641A (ko) 2013-11-11 2014-07-29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46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5535A (zh) * 2016-03-10 2019-01-04 无线先进车辆电气化有限公司 双平面无线功率传输垫
US10516297B2 (en) 2017-03-07 2019-12-24 Hyundai Motor Company Wireless power transfer pad and ground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210084787A (ko) * 2019-12-27 2021-07-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한 자기장을 갖는 무선마우스 급전패드 및 무선전력전송 수신모듈
US11437855B2 (en) 2017-12-2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Wireless power transfer pad with multiple windings and magnetic pathway between windings
US11437854B2 (en) 2018-02-1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462943B2 (en) 2018-01-30 2022-10-04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DC link charging of capacitor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pad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5535A (zh) * 2016-03-10 2019-01-04 无线先进车辆电气化有限公司 双平面无线功率传输垫
US10516297B2 (en) 2017-03-07 2019-12-24 Hyundai Motor Company Wireless power transfer pad and ground assembly having the same
US11437855B2 (en) 2017-12-2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Wireless power transfer pad with multiple windings and magnetic pathway between windings
US11764613B2 (en) 2017-12-22 2023-09-19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Wireless power transfer pad with multiple windings and magnetic pathway between windings
US11462943B2 (en) 2018-01-30 2022-10-04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DC link charging of capacitor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pad
US11437854B2 (en) 2018-02-1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824374B2 (en) 2018-02-12 2023-11-21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210084787A (ko) * 2019-12-27 2021-07-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일한 자기장을 갖는 무선마우스 급전패드 및 무선전력전송 수신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6076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coil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KR20150054641A (ko) 비접촉 방식 전력 전송 코일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KR102167688B1 (ko) 이동수단의 무선충전용 수신코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수단의 무선충전용 전력수신장치
US10243411B2 (en) Wireless charger with uniform H-field generator and EMI reduction
WO2020238192A1 (zh) 线圈绕组、线圈模组、发射装置、接收装置、系统和终端
US987639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15137430A1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
EP2924842B1 (en) Coil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6281963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方法
KR20140027940A (ko) 무접촉 유도성 에너지 전송을 위한 평판 코일
US11469621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using multiple coils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0504648B2 (e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13258897A (ja) 誘導式エネルギー無線伝送装置
KR101378118B1 (ko) 충전용 코일이 양면에 형성된 회로기판
KR102657896B1 (ko) 무선 전력 시스템용 코일
US20190199132A1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10075022B2 (en) Coil unit and power supplying system
US11715976B2 (en) Coil component
CN108879864A (zh) 一种通信电子设备
US20200152369A1 (en) Printed circuit board coil
JP6093908B2 (ja) 無線電力受信装置
KR20200052034A (ko)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KR20200020290A (ko)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
KR20180071669A (ko) 무선 전력 전송 안테나
KR102076127B1 (ko) 무선 전력 전송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