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269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269A
KR20150054269A KR1020130136499A KR20130136499A KR20150054269A KR 20150054269 A KR20150054269 A KR 20150054269A KR 1020130136499 A KR1020130136499 A KR 1020130136499A KR 20130136499 A KR20130136499 A KR 20130136499A KR 20150054269 A KR20150054269 A KR 2015005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generator
air
ultrasonic
mosquito
soun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두리
권형욱
이기섭
박봉균
정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4269A/ko
Priority to EP20140165891 priority patent/EP2871425A1/en
Priority to CN201410166574.6A priority patent/CN104633804A/zh
Priority to PCT/KR2014/003623 priority patent/WO2015068915A1/en
Priority to IN497KO2014 priority patent/IN2014KO00497A/en
Publication of KR2015005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부와; 공조부에 설치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초음파 발생기는 주파수가 10kHz 이상 100kHz 이하이고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8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켜, 적정수준의 모기 기피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모기 기피의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충이 기피하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공기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이 설치될 경우 실내를 냉방/난방 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모기를 퇴치하는 해충퇴치기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가 해충을 퇴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KR 10-2011-0026264 A (2011년03월15일)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해충의 기피에 영향을 주는 실내의 음압레벨이 반영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초음파의 주파수와 음압레벨이 함께 고려되어 모기의 기피율을 적정 수준이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에 설치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주파수가 10kHz 이상 100kHz 이하이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8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90dB 이상 100dB 미만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25cm에서 특정된 음압레벨이 75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45cm에서 특정된 음압레벨이 7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10kHz 이상 50kHz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3OkHz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모기를 기피할 수 있는 최적의 주파수 및 음압 레벨로 초음파 발생기를 제어하여, 적정수준의 모기 기피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모기 기피의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따른 모기의 기피율을 산출하기 위한 장소의 일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부(2)와; 공조부(2)에 설치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4)를 포함한다.
공조부(2)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와, 공기흡입구(11)로 흡입된 후 공조부(2)의 내부에서 변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된다.
공조부(2)는 실내의 공기를 공조부(2)의 내부로 흡입시킨 후 실내로 다시 송풍시키는 팬(13)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부(2)는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공조유닛(14)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유닛(14)은 공기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공조유닛(14)은 공기의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열교환유닛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유닛은 냉매가 통과하면서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전류가 흐르면 발열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와, 방열부와 흡열부를 갖고 방열부가 공기를 가열하거나 흡열부가 공기를 냉각하는 열전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정전 방식으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와,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6)와, 입력부(16)의 입력과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에 따라 공조부(2)를 제어하는 제어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팬(13)을 온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팬(1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8)는 초음파 발생기(4)를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공조부(2)에 설치되어, 공조부(2)가 설치된 실내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모기 등의 해충가 기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모기 등의 해충이 기피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스피커나 압전 버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다양한 해충들 중에서 주로 모기가 기피하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스피커(42)와, 스피커(42)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기(44)와, 주파수 발생기(44)에 전압을 인가하는 초음파 발생기 제어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42)는 공조부(2)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주파수 발생기(44)는 10∼100kHz의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고, 5kHz 씩 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 제어부(46)는 주파수 발생기(44)에 12V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 제어부(46)는 제어부(18)와 연결되어 제어부(18)의 신호에 따라 주파수 발생기(44)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 및 초음파가 전파된 공간의 음압레벨은 모기의 기피율이 높은 최적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음압레벨은 초음파 발생기(4)와 가까운 영역에서 높고, 초음파 발생기(4)와 먼 영역에서 낮다. 실내는 초음파 발생기(4)와 거리에 따라 모기의 기피율이 상이할 수 있고, 초음파 발생기(4)는 모기의 기피율이 높은 음압레벨로 전파되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주파수가 10kHz 이상 100kHz 이하이고 초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8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초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90dB 이상 100dB 미만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초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2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75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는 초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4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7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10kHz 이상 50kHz 이하일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3OkHz 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따른 모기의 기피율을 산출하기 위한 장소의 일예이다.
시험 장소는 모기(M)가 출입될 수 있는 모기유입통로(60)로 연결된 2개의 챔버(62)(64)이고, 시험은 2개의 챔버(62)(64) 중 제 1 챔버(62)에 모기(M)를 유인할 수 있는 유인책인 인체(P)가 위치하고, 2개의 챔버(62)(64) 중 제 2 챔버(64)에 50마리의 모기(M)를 방출하는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2개의 챔버(62)(64) 중 인체(P)가 위치하는 제 1 챔버(62)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일 수 있고, 2개의 챔버(62)(64) 중 모기(M)가 방출된 제 2 챔버(64)는 실외일 수 있다.
시험은 제 1 챔버(22)에 공조부(2)와 초음파 발생기(4)를 갖는 공기조화기(A)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시되고, 시험의 도중 공기조화기는 초음파 발생기(4)가 오프이고 공조부(2)의 팬(13)이 온인 일반 공조모드와, 초음파 발생기(4)가 온이고 공조부(2)의 팬(13)이 온인 모기퇴치 공조모드로 각각 운전되었다.
인체는 제 1 챔버(62)의 내부에서 90분 기간 동안 매 10분 단위로 제 1 챔버(62)로 유입되는 모기(M)의 수를 세었다.
모기의 기피율(R)은 제 1 챔버(62)로 유입된 모기(M)의 수에 따라 하기의 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었다.
[식 1]
모기의 기피율(R)=(A-B)/A X 100
여기서, A는 공기조화기가 일반 공조모드로 90분 운전되는 동안 제 1 챔버(62)로 유입된 모기의 수이다.
그리고, B는 공기조화기가 모기퇴치 공조모드로 90분 운전되는 동안 제 1 챔버(62)로 유입된 모기의 수이다.
시험은 초음파 발생기(4)로부터 발생된 초음파의 음압레벨이 상이하게 수회 실시되고, 식 1에 의해 산출된 모기의 기피율(R)이 60% 이상일 때의 음압레벨 데이터는 하기의 표 1 과 같다.
시험시 초음파 발생기(4)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30.08kHz이다.
초음파 발생기와의 거리 시험1 시험2 시험3 평균
5cm 91.2dB 91.4dB 91.4dB 91.33dB
25cm 79.4dB 79.3dB 79.3dB 79.33dB
45cm 76.0dB 74.8dB 75.0dB 75.26dB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의 기피율이 60% 이상인 음압레벨은 초음파 발생기(4)와 거리별로 각각 상이하고, 초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5cm인 위치에서 측정된 음압레벨 각각은 80dB 이상이고, 복수회 시험의 평균 음압레벨은 91.33으로서, 90dB 이상 100dB 미만인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2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 각각은 75dB 이상이고, 복수회 시험의 평균은 79.33dB인 것이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음파 발생기(4)와 직선거리가 4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 각각은 70dB 이상인 복수회 시험의 평균은 75.26dB인 것이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초음파 발생기(4)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음압레벨 및 모기의 기피율은 공간의 크기별로 상이할 수 있는데, 공간의 크기를 20㎥, 37㎥, 50㎥, 63㎥ 로 각각 상이하게 하면서, 모기유입통로(60)의 음압레벨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공간의 크기[㎥] 모기유입통로의 음압레벨 모기 기피율[%]
20 68dB 81
33 63dB 73
50 59dB 60
63 50dB 10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유입통로(60)의 음압레벨이 높으면, 모기 기피율이 높은 것이 확인될 수 있고, 모기유입통로(60)의 음압레벨이 낮으면 모기 기피율이 낮은 것이 확인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모기 기피를 위한 음압레벨이 대략 60dB 이상일 때, 60% 수준의 모기 기피율을 갖을 수 있다.
2: 공조부 4: 초음파 발생기
A: 공기조화기 M: 모기
P: 인체

Claims (6)

  1. 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에 설치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주파수가 10kHz 이상 100kHz 이하이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8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5cm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이 90dB 이상 100dB 미만인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25cm에서 특정된 음압레벨이 75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직선거리가 45cm에서 특정된 음압레벨이 70dB 이상인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10kHz 이상 50kHz 이하인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3OkHz 인 공기조화기.
KR1020130136499A 2013-11-11 2013-11-11 공기조화기 KR20150054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99A KR20150054269A (ko) 2013-11-11 2013-11-11 공기조화기
EP20140165891 EP2871425A1 (en) 2013-11-11 2014-04-24 Air conditioner
CN201410166574.6A CN104633804A (zh) 2013-11-11 2014-04-24 空气调节器
PCT/KR2014/003623 WO2015068915A1 (en) 2013-11-11 2014-04-24 Air conditioner
IN497KO2014 IN2014KO00497A (ko) 2013-11-11 2014-04-2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99A KR20150054269A (ko) 2013-11-11 2013-11-1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269A true KR20150054269A (ko) 2015-05-20

Family

ID=505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499A KR20150054269A (ko) 2013-11-11 2013-11-1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71425A1 (ko)
KR (1) KR20150054269A (ko)
CN (1) CN104633804A (ko)
IN (1) IN2014KO00497A (ko)
WO (1) WO2015068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6688B (zh) * 2021-07-20 2022-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味器控制方法、除味器、存储介质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0494B1 (en) * 1999-12-01 2003-05-27 Kenneth Charles Leftridge, Sr. Mosquito guard
JP2003014267A (ja) * 2001-04-24 2003-01-15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及び空気調和機
JP3823895B2 (ja) * 2002-03-27 2006-09-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リモコンおよび超音波発生ユニット
KR20080055450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JP2011002124A (ja) * 2009-06-17 2011-01-06 Panasonic Corp 超音波出力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WO2011016703A2 (en) * 2009-08-07 2011-02-1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717518B1 (ko) * 2009-09-07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96838B1 (ko) * 2009-09-21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WO2011034294A2 (en) * 2009-09-21 2011-03-2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33804A (zh) 2015-05-20
EP2871425A1 (en) 2015-05-13
IN2014KO00497A (ko) 2015-05-15
WO2015068915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59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irborne Contamination
EP3950015A1 (en) Decontamination device
US20150369514A1 (en) Adjustable Noise Attenuation Device for Use in Blow Through Air Handler/Furnace with Mixed Flow Blower Wheel
WO2018133316A1 (zh) 新风空调
KR20150054269A (ko) 공기조화기
AU2019286659B2 (en) Technique for denaturing of small organic items in premises
JP201803603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20200217523A1 (en) An air treatment system
AU2003211281B2 (en) Air conditioner, remote controller, and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JP2013174391A (ja) 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の運転方法
KR102242853B1 (ko) 환풍기의 필터 수명 알람 시스템
JP6571466B2 (ja) 空気調和機
KR100789484B1 (ko) 저소음형 공조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수술실 공조 시스템
KR20090017287A (ko) 공기조화 시스템
JPH051914U (ja) アクテイブコントロール空調装置
JP2006212193A (ja) 燻蒸処理室、燻蒸処理装置および燻蒸ガスの除去方法
KR20120079915A (ko)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100650987B1 (ko) 저소음형 공조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수술실 공조 시스템
US20230082709A1 (en) Aerosol Purifier for HVAC System
KR20110031707A (ko) 공기조화장치
US11766503B1 (en) Disinfecting HVAC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774114B2 (en) Air treatment device
KR101999848B1 (ko) 공기 조화기
WO2023047509A1 (ja) 空気清浄機、空気清浄機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装置
KR20100118165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