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141A -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 Google Patents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141A
KR20150054141A KR1020130136172A KR20130136172A KR20150054141A KR 20150054141 A KR20150054141 A KR 20150054141A KR 1020130136172 A KR1020130136172 A KR 1020130136172A KR 20130136172 A KR20130136172 A KR 20130136172A KR 20150054141 A KR20150054141 A KR 2015005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angle
shaft
smar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헌
허찬녕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4141A/en
Publication of KR2015005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1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stairs having a varying slope, which comprise: a tread-board having a protruding shaft on both ends of a longitudinal direction; a support member arranged in both portions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board to be rotationally mounted around the shaft; an angle adjus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ranged in a side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an end portion is fixated with the shaft; and an angle conversion device installed to induce shaft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by shuttling a free end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round a coupling portion with the shaft, thereby being converted to stairs or a slope with simple operation and sufficiently supporting a large downward force.

Description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본 발명은 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계단으로 이용하다가 필요시 계단의 디딤판을 축회전시켜 경사로(slope way)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staircase which can be used as a stairway in normal times and can be converted into a slope so that the tread of the staircase can be rotated as needed to convert the stairway into a slope way.

일반적으로 다층의 건물, 지하철역 또는 지하도 등을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계단을 이용한다. 특히, 다리가 불편하여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 등을 위해 계단 통로의 일측에 휠체어를 탑재하여 승하강할 수 있는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경우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오작동 및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타인의 도움없이 장애인 혼자 작동하기에는 쉽지 않다. Generally, elevators, escalators or stairs are used to climb or descend a multi-story building, subway station or underpass. In particular, a lift is provided for a disabled person who is uncomfortable with his or her legs and can lift and lower a wheelchair on one side of a stairway. In addition, elevators have a high installation cost, malfunctions and maintenance difficulties, and it is not easy f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to operate alone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또한, 리프트의 경우 비교적 긴 계단에만 설치되어 있고, 짧은 계단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휠체어를 탄 장애인은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lift is installed only on relatively long steps and is not installed on the short stairs, it is inconvenient for a person with a wheelchair to be assisted by another person.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5281호에 기재된 바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10)과 수직면(11)을 구비한 디딤판(100), 다수의 디딤판(100)들을 상호 연결하는 경첩(12), 디딤판(100)의 상면과 체결된 슬라이딩판(13), 슬라이딩판(1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판(13)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직립부재(14), 직립부재(14)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직립부재(14)에 설치된 구동수단(15)을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여기서, 구동수단(15)은 직립부재(14)와 결합된 이송부재(16), 이 이송부재(16)가 장착된 리드스크류(17) 및 리드스크류(17)를 회전시키는 모터(18)를 구비한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mproving th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15281 has been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technique includes a tread 100 having a flat surface 10 and a vertical surface 11, a hinge 12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treads 100, An upright member 14 coupled to the sliding plate 13 and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 13, an upright member 14 connected to the upright member 14 to horizontally move the upright member 14, And installed drive means (15). Here, the driving means 15 includes a conveying member 16 coupled with the upright member 14, a lead screw 17 on which the conveying member 16 is mounted, and a motor 18 for rotating the lead screw 17 Respectively.

따라서, 모터(18)에 의해 리드스크류(17)가 회전하면 이송부재(16)가 수평이동하고, 이 이송부재(16)와 함께, 직립부재, 슬라이딩판(13)이 수평이동하면 디딤판(100)의 평탄면(10)과 수직면(11)이 펴지면서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lead screw 17 is rotated by the motor 18, the conveying member 16 horizontally moves. When the upright member and the sliding plate 13 move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conveying member 16, the tread 100 The flat surface 10 and the vertical surface 11 are formed to be inclined.

하지만, 평탄면(10)과 수직면(11)을 굽혀 계단형태를 이루거나 펴져 경사면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계단형태 또는 경사면형태에서 뛰거나 무거운 짐을 나르는 등의 큰 하방력에는 파손 및 고장 발생율이 높고, 이를 수리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비되며, 구성요소들이 너무 많아 설치하기에 복잡함은 물론 설치비용 역시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at surface 10 and the vertical surface 11 are bent in a stepped shape or an expanded slope shape, a large downward force such as jumping in a stepped shape or a slanted shape or carrying a heavy loa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ostly to repair or maintain it, and that there are too many components, which is complicated to install and there is also a lot of installation cost.

KR2011-0015281 10KR2011-0015281 1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각도전환장치를 이용하여 디딤판을 축회전시켜 계단형태 또는 경사로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큰 하방력을 쉽게 지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면서 고장율이 낮아지도록 한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lt- And a smart stair which can be switched to a slope so as to be lowered.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은 계단에 있어서, 길이방향 양측단에 돌출된 축을 구비한 디딤판; 디딤판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배치되어 축을 중심으로 디딤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지지부재;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지지부재에 배치되면서 일단부가 축과 고착된 각도조절부재 ; 축과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각도조절부재의 자유단부를 왕복이동시켜 각도조절부재의 축회전을 유도하도록 설치된 각도전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staircase comprising: a tread plate having a shaft projected at both 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 A support member disposed on both side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 plate and mounted so that the tread is rotatable about the axis; An angle regula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sposed at one support member and one end fixed to the shaft; And an angle changing device installed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by reciprocating the fre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bout the coupling part with the shaf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계단은 디딤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각도전환장치, 각도조절부재 및 지지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도록 설치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 step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to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angle changing device,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in the inner space.

또한, 축은 디딤판의 폭방향 중간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haft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late.

또한, 디딤판이 다수인 경우, 이웃한 디딤판들의 일부위가 상호 겹쳐 경사면을 이루도록 디딤판에는 폭방향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함몰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treads, the tread plate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which is recessed in one side portion or both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neighboring treads overlaps each other to form an inclined surface.

여기서, 각도전환장치는, 스위치; 스위치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동력원; 동력원에 의해 왕복이동하도록 양측 휠에 감겨지고, 각도조절부재의 자유단부가 체결된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angle changing device includes: a switch; A power source operated by operation of a switch; And a chain or a belt wound around both wheels so as to reciprocate by a power source and to which a fre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fastened.

또한, 각도전환장치는, 각도조절부재의 자유단부가 체결된 제1링크; 제1링크 에 일단부가 장착되면서 중간부위를 축으로 양단부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링크; 제2링크의 타단부에 장착된 아암을 구비한 실린더; 및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angle changing device includes: a first link having a fre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fastened; A second link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so as to axially rotate opposite end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bout the axis; A cylinder having an arm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그리고, 디딤판이 축회전하여 형성하는 경사로의 각도는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ngle of the ramp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tread plate is 5 to 40 degrees.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각도전환장치를 이용하여 디딤판을 축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한 작동으로 계단 또는 경사로형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otating the tread plate by using a simple angle changing device,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shape of the step or the ramp by a simple operation.

또한, 디딤판을 폭방향으로 축회전시켜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큰 하방력에서 충분히 지지할 수 있어 사람의 이동경로는 물론 무거운 짐을 나르는 공장 및 마트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tread plate is axially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to firmly support the tread plate, the tread plate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a large downward force, so that the tread plate can be installed in factories and marts carrying heavy loads as well as people moving paths.

그리고, 간단한 구성요소로 설치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고장율이 현저히 낮아 유지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Moreover, since it is installed with simple components, it is easy to install, installation cost is reduced, and the failure rate is remarkably low, so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reduc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경사로 전환 가변 계단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계단이 경사로를 이루었을 때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계단의 일부위가 분리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디딤판의 종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계단의 실시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ramp switchable variable step.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staircase capable of switching to a slo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step of FIG. 2 when the ramp is form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smart stairs shown in Fig. 2 separated and shown.
5A to 5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type of the tread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mart step shown in FIG. 2;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성><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 계단이 경사로를 이루었을 때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계단의 일부위가 분리되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디딤판의 종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staircase capable of switching to a slo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staircase of FIG. FIGS. 5A to 5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type of the tread shown in FIG. 2.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step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판(100), 지지부재(110), 각도조절부재(120), 각도전환장치, 덮개(1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4, the smart stair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100, a supporting member 110, an angle adjusting member 120, an angle changing device, a lid 130, and the like, .

먼저, 디딤판(100)은 이용자가 올라설 수 있을 정도의 폭 및 너비를 가지고, 길이방향 양단부에 지지부재(110)와 축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축(101)이 형성된다. 이 축(101)은 폭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형성되고, 이는 디딤판(100)이 회전할 때 폭방향에 대한 디딤판(100)의 양측부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디딤판(10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지지부재(110)에 견고히 체결되면서 폭방향 양단부의 회전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디딤판에 부담되는 큰 하방력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축(101)은 폭방향의 일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축(101)들 중 각도조절부재(120)가 장착되는 축(101)은 지지부재(110)를 통과하여 각도조절부재(120)와 장착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First, the tread 100 has a width and a width such that the user can lift the tread 100, and a shaft 101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supporting member 110 so as to be rotatable. The shaft 101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tread 100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tread 100 rotates rotat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erefor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 100 are firmly fastened to the supporting member 110, and by shortening the rotational distance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 large downward force imposed on the tread can be firmly supported. Of course, the shaft 101 may be form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shaft 101 to which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is mounted in the shaft 101 has a length enough to be attached to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through the support member 110. [

또한, 디딤판(100)의 폭방향 양측부위에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걸림턱(102)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02)은 측부위에서 축회전하는 방향측 두께 일부위가 함몰하여 형성되고, 디딤판(100)들이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 각각의 걸림턱(102)들이 상호 정합되었을 때 동일한 상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걸림턱(102)은 디딤판(100)들이 경사면을 이루었을 때, 이웃한 디딤판(100)의 걸림턱(102)과 정합되어 동일 상면을 이루도록 걸쳐져 디딤판(100)의 과도한 축회전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5A to 5C, engaging protrusions 10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100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treads 100 are inclined, the engaging jaws 102 form the same upper surface when the engaging jaws 102 are matched with each other. When the treads 100 are inclined, the engaging jaws 102 are aligned with the engaging jaws 102 of the adjacent tread 100 to form the same upper surface to prevent excessive axial rotation of the tread 100 .

또한, 도 5a에서와 같이 최상위 디딤판(100)의 경우 회전시 하측으로 회전하는 측부에 걸림턱(102)이 형성되고, 이는 하측에 이웃한 디딤판(100)의 걸림턱(102)과 걸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b에서와 같이 최하위 디딤판(100)의 경우 회전시 상측으로 회전하는 측부에 걸림턱(102)이 형성되고, 이는 상측에 이웃한 디딤판(100)의 걸림턱(102)과 걸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중간 디딤판(100)의 경우 회전시 상,하측으로 회전하는 양측부에 걸림턱(102)이 형성되고, 이는 상,하측에 이웃한 디딤판(100)의 걸림턱(102)과 걸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축회전되어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하방력을 충분히 견디면서 과도한 축회전이 방지된다면 디딤판(100)에는 걸림턱(102)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5A, the uppermost tread plate 10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02 on its side which rotates downward when it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02 of the uppermost treading plate 10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02 of the tread plate 100 adjacent to the lower side It is for this reason. 5B, the lowest tread plate 100 is form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102 on its side that rotates upward when rotated, and it is formed so as to extend over the latching jaw 102 of the tread plate 100 adjacent to the upper side, It is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5C, the intermediate tread 100 is formed with fastening protrusions 102 on both sides of its upper and lower sides that are rotated when the tread 100 is rotated, In order to make it run. Of course, if the shaft is rotated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he stopping plate 102 may not be formed in the tread 100 if the shaft is sufficiently prevented from undergoing the downward force.

그리고, 축회전된 디딤판(100)이 형성하는 경사로의 각도는 대략 5~40°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이다. 이는 경사로가 급경사인 경우에는 휠체어 또는 카트 등을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딤판(100)의 회전각도 즉, 경사로의 경사각도는 디딤판(100)의 배치 위치 및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물론, 디딤판(100)의 축회전은 각도전환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때의 디딤판(100)의 회전각도 역시 각도전환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The angle of the ramp formed by the axis-rotated tread 100 is about 5 to 40 degrees, and preferably 30 degrees or les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use a wheel chair or a cart when the ramp is steep. The rotation angle of the tread plate 100, that is, the tilt angle of the ramp, can be adjusted by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interval of the tread 100. Of course, the axis rotation of the tread 100 is made by the angle changing device,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tread 100 at this time is also controlled by the angle changing device.

지지부재(1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디딤판(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각 디딤판(100)의 축(101)들 모두와 체결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10)에 대해 축(101)의 원활한 축회전을 위해 지지부재(110)와 축(101) 사이에 일 예로 베어링(미도시) 등과 같은 통상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2 to 4, the support members 11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tread 100 and are manufactured to be fastened to all the shafts 101 of the tread 100. A normal member such as a bearing (not shown) or the like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shaft 101 for smooth shaft rotation of the shaft 101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110 in the engaged state .

각도조절부재(120)는 도 4에서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단부가 디딤판(100) 일측에 형성된 축(101)과 고착되고, 자유단부인 타단부가 후술된 컨베이어(140)의 체인 또는 벨트(144)와 체결된다. 따라서, 체인 또는 벨트(144)에 의해 타단부가 왕복이동하여 일단부에 고착된 축(101)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디딤판(100)이 축회전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각각의 각도조절부재(120)는 각각의 축(101)에 고착된다. 그리고, 각도조절부재(120)의 길이에 따라 덮개(130) 내부에 온전히 수용될 수도 있고, 일측부위가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4,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is fixed to a shaft 10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100, and the other end is a chain of a conveyor 140 And is fastened to the belt 144. Accordingly, the other end portion is reciprocated by the chain or the belt 144 to induce the rotation of the shaft 101 fixed to the one end, thereby guiding the tread 100 to rotate the shaft. Further, each angle-regulating member 120 is fixed to each of the shafts 101.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20, the cover 130 may be completely accommodated, or one side may protrude outward.

각도전환장치는 통상의 컨베이어(140)로서, 동력원(141), 스위치(142), 휠(143), 체인 또는 벨트(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컨베이어(140)는 스위치(142)를 조작하면 동력원(141)이 작동하여 양측 휠(143)에 감겨진 체인 또는 벨트(144)의 왕복이동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체인 또는 벨트(144)에 각도조절부재(120)들이 장착되고, 체인 또는 벨트(144)의 왕복이동을 통해 각도조절부재(120)들이 동일한 동작으로 동일한 이동 거리를 왕복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물론, 체인 또는 벨트(144)의 왕복이동은 스위치(142)의 조작을 통해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The angle changing device is a conventional conveyor 140 comprising a power source 141, a switch 142, a wheel 143, a chain or a belt 144. [ When the switch 142 is operated, the conveyor 140 operates to drive the power source 141 to induce reciprocal movement of the chain or belt 144 wound around the two wheels 143.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angle adjusting members 120 are mounted on the chain or the belt 144,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s 120 can reciprocate the same moving distance in the same operation throug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hain or the belt 144 . Of cours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hain or belt 144 can be selected in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2. [

덮개(130)는 지지부재(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에 각도전환장치와 각도조절부재(120) 및 지지부재(110)를 수용하여 외부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그리고, 덮개(130) 중 컨베이어(140)측 덮개(130)는 지지부재(110), 각도조절부재(120) 및 컨베이어(140)를 덮어야 하므로 타측의 지지부재(110)만 덮는 덮개(130)의 크기보다 더 크게 제작된다.
The lid 13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10 and is a member for protecting the angle changing device,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10 from the outside. Since the lid 130 of the lid 130 covers the supporting member 110, the angle adjusting member 120 and the conveyor 140, the lid 130, which covers only the other supporting member 110, Lt; / RTI &gt; size.

<실시 예><Examples>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계단의 변형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mart step shown in Fig.

도 6에 도시된 스마트 계단을 도 4와 비교하여 보면, 각도전환장치인 컨베이어(140) 대신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부재(120)를 왕복이동시키는 구조로, 기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링크부재를 중점으로 설명하고, 기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필요시 간략히 설명한다. The smart step shown in FIG. 6 is compared with FIG. 4 in that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is reciprocated using a link member instead of the conveyor 140, which is an angle changing device,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Hereinafter, the link member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other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각도전환장치는 제1링크부재(150), 제2링크부재(151), 실린더(152) 및 스위치(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위치(142)는 도 4의 스위치(142)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필요시 간략히 언급한다. 물론, 덮개(130)는 제1,2링크부재(150,151)를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152)는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스위치(142)는 외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angle changing device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150, a second link member 151, a cylinder 152, and a switch 142. Here, the switch 142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witch 142 in Fig. 4, so that the description thereof is briefly referred to when necessary. Of course, the lid 130 is installed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50 and 151, the cylinder 152 is selectively accommodated, and the switch 142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제1링크부재(15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각도조절부재(120)들의 일단부에 장착된다. 즉, 제1링크부재(150)에는 디딤판(100)의 축(101)에 고착된 각도조절부재(120)의 일단부의 반대측 타단부가 장착되고, 제1링크부재(150)가 왕복이동하면서 각도조절부재(120)를 축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The first link member 15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s 120. That is, the first link member 150 is mount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20 fixed to the shaft 101 of the tread 100, and the first link member 150 reciprocates, And is provided to rotate the adjusting member 120 axially.

또한, 제2링크부재(151)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제1링크부재(150)의 왕복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부재이다. 자세하게는, 일단부가 제1링크부재(150)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실린더(152)의 아암(153)에 체결되며, 중간부위가 중심축이 되어 일단부와 타단부가 반대 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아암(153)이 체결된 타단부가 하향 이동하면 제1링크부재(150)와 체결된 일단부가 상향 이동하여 제1링크부재(150)의 왕복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The second link member 15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 member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link member 150. Specifically, one end is fastened to the first link member 150,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arm 153 of the cylinder 152, the intermediate portion becomes the central axis, and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are axially rotated . Accordingly, when the other end of the arm 153 is moved downward, one end coupled with the first link member 150 moves upward to induc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link member 150.

그리고, 실린더(152)는 스위치(142)에 의해 작동하여 아암(153)이 상,하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Then, the cylinder 152 is actuated by the switch 142 so that the arm 153 reciprocates upward and downward.

한편, 덮개(130)는 각도전환장치가 컨베이어(140)인 경우, 체인 또는 벨트(144), 휠(143), 지지부재 및 각도조절부재(120)를 내부공간에 수용하고, 경우에 따라 동력원(141)을 수용할 수 있으며, 외면에 스위치(14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부재(120)의 길이에 따라 일측부위가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changing device is the conveyor 140, the lid 130 accommodates the chain or belt 144, the wheel 143,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in the inner space, And the switch 142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Here, one side portion may protrude outwar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20.

또한, 각도전환장치가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진 경우, 제1링크부재(150) 및 제2링크부재(151)를 내부공간에 수용하고, 경우에 따라 실린더(152)를 수용할 수 있으며, 외면에 스위치(14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링크부재(151)의 길이에 따라 일측부위가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Further, when the angle changing device is made up of link members, the first link member 150 and the second link member 151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in some cases, the cylinder 152 can be accommodated, The switch 142 can be mounted. Here, one side portion may protrude outwar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member 15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디딤판
101:축
102:걸림턱
110:지지부재
120:각도조절부재
130:덮개
140:컨베이어
141:동력원
142:스위치
143:휠
144:체인 또는 벨트
150:제1링크부재
151:제2링크부재
152:실린더
153:아암.
100: Step
101: Axis
102:
110: Support member
120: Angle adjusting member
130: cover
140: Conveyor
141: Power source
142: switch
143: Wheel
144: chain or belt
150: first link member
151: second link member
152: cylinder
153: Arm.

Claims (7)

계단에 있어서,
길이방향 양측단에 돌출된 축(101)을 구비한 디딤판(100);
상기 디딤판(100)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축(101)을 중심으로 상기 디딤판(1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지지부재(110);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지지부재(110)에 배치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축(101)과 고착된 각도조절부재(120);
상기 축(101)과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재(120)의 자유단부를 왕복이동시켜 상기 각도조절부재(120)의 축회전을 유도하도록 설치된 각도전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In the stairs,
A tread 100 provided with shafts 101 protruding 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 support member 11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unted to rotate the tread 100 about the axis 101;
An angle regulating member 1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disposed on one support member 110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haft 101;
And an angle changing device installed to reciprocate the free end of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about the coupling part with the shaft 101 A smart staircase that can be turned into a ra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각도전환장치, 각도조절부재(120) 및 지지부재(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도록 설치된 덮개(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13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talled to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angle changing device, the angle adjust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ing member 110 in the inner space, Features a smart staircase that can switch to a ra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101)은 상기 디딤판(100)의 폭방향 중간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ft (101)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10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100)이 다수인 경우, 이웃한 상기 디딤판(100)들의 일부위가 상호 겹쳐 경사면을 이루도록 상기 디딤판(100)에는 폭방향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함몰된 걸림턱(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n the tread 100 has a plurality of treads 100, the tread 100 is formed with a catching protrusion 102 that is recessed in one side or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adjacent treading plates 100 overlap each other and form an inclined surface Features a smart staircase that can switch to a ra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전환장치는,
스위치(142);
상기 스위치(142)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동력원(141);
상기 동력원에 의해 왕복이동하도록 양측 휠(143)에 감겨지고, 상기 각도조절부재(120)의 자유단부가 체결된 체인 또는 벨트(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컨베이어(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gle changing device comprises:
A switch 142;
A power source 141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2;
And a belt or a belt (144) wound on both side wheels (143) so as to reciprocate by the power source and to which a free end of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is fastened. Smart stairs that can be swit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전환장치는,
상기 각도조절부재(120)의 자유단부가 체결된 제1링크부재(150);
상기 제1링크부재(150)에 일단부가 장착되면서 중간부위를 축으로 양단부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링크부재(151);
상기 제2링크부재(151)의 타단부에 장착된 아암(153)을 구비한 실린더(152); 및
상기 실린더(152)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gle changing device comprises:
A first link member 150 to which the free end of the angle regulating member 120 is fastened;
A second link member 151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50 so as to axially rotate opposite end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bout the axis;
A cylinder 152 having an arm 153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51; And
And a switch (1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100)이 축회전하여 형성하는 경사로의 각도는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gle of the ramp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tread 100 is 5 to 40 °.
KR1020130136172A 2013-11-11 2013-11-11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KR201500541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72A KR20150054141A (en) 2013-11-11 2013-11-11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72A KR20150054141A (en) 2013-11-11 2013-11-11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41A true KR20150054141A (en) 2015-05-20

Family

ID=5339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172A KR20150054141A (en) 2013-11-11 2013-11-11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414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2084A (en) * 2018-11-27 2019-02-15 洛阳理工学院 A kind of caterpillar type robot performance test stand
KR20210120247A (en) * 2020-03-26 2021-10-07 정두보 Pet stairs with easy angle adjust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2084A (en) * 2018-11-27 2019-02-15 洛阳理工学院 A kind of caterpillar type robot performance test stand
CN109342084B (en) * 2018-11-27 2024-05-24 洛阳理工学院 Humanized energy test stand of crawler-type machine
KR20210120247A (en) * 2020-03-26 2021-10-07 정두보 Pet stairs with easy angle adjus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5782A (en) Stairway crossing device
CN106044460B (en) Passageway lift
KR102126043B1 (en) Movable wheelchair lift
JP6687606B2 (en) Stair lift
KR101372262B1 (en) Motorized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CN203976174U (en) Collapsible house escalator
CN105060071A (en) Sliding-rail device for going upstairs and downstairs
KR20150054141A (en) Smart stairs with a varying slope
CN215850991U (en) Accessible bus device of passing
EP0952954B1 (en) Compact escalator
KR20180112592A (en) Lift for ascending and descencding on stairs
CN209872061U (en) Intelligent walking ladder mobility ai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6809713A (en) On rail mounted stair go downstairs device
CN107673171A (en) A kind of track underslung type electric car
CN115849146B (en) Semi-disabled old man mobile auxiliary device for building aging improvement
KR101583611B1 (en) Lighting system using wall mounted lift
WO2015133978A2 (en) Disabled access system for vehicles
US11939190B2 (en) Elevating apparatus based on hetero-oriented, non-isometric, dual-spiral drive structure
KR102239971B1 (en)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with cushioning module
CN203568637U (en) Stairway cableway
KR101501161B1 (en) Smart Transforming Stairs for Wheel-typed Mobile Systems
CN106333804B (en) Electric stair climbing ladder wheelchair
CN106629528B (en) Remove folding ladder companion ladder device convenient to public transformer area operation
CN107055264A (en) A kind of passageway lift with drive mechanism
CN203806910U (en) Carrying device for esca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