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137A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137A
KR20150054137A KR1020130136166A KR20130136166A KR20150054137A KR 20150054137 A KR20150054137 A KR 20150054137A KR 1020130136166 A KR1020130136166 A KR 1020130136166A KR 20130136166 A KR20130136166 A KR 20130136166A KR 20150054137 A KR20150054137 A KR 20150054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atheter
balloon
distal end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282B1 (ko
Inventor
안용철
Original Assignee
안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철 filed Critical 안용철
Priority to KR102013013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82B1/ko
Priority to PCT/KR2014/010801 priority patent/WO2015069089A1/ko
Priority to JP2016553196A priority patent/JP6311031B2/ja
Publication of KR2015005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82B1/ko
Priority to US15/150,688 priority patent/US1017303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16Guide wires with mandr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도관 및 제2도관으로 구성되고 제1도관에 제2도관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카테터 도관, 카테터 도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제1도관의 외주와 제2도관의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벌룬, 제1도관과 제2도관을 연결하여 카테터 도관의 신축을 자체 신축률에 의하여 제한하는 신축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 {Balloon Catheter}
본 발명은 의료용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는, 양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루멘(lumen)을 갖는 카테터 도관(catheter tube), 카테터 도관의 양단부 중 한쪽에 연결된 벌룬(balloon) 및 카테터 도관의 양단부 중 다른 쪽에 연결된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한다. 커넥터에는 시린지(syringe)와 같은 유체 주입기구가 연결된다. 이러한 벌룬 카테터는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용액일 수 있다.)가 카테터 도관의 루멘에 주입되어 루멘을 따라 이송되고 벌룬이 루멘을 통과한 유체를 제공받아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벌룬 카테터는 벌룬이 수축된 상태(원상으로 복원된 상태)에서 사전에 형성한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뼈나 장기, 혈관 등)로 삽입된다. 시술부에 벌룬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벌룬은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어 체내의 해당 조직을 확장시키거나 손상된 조직을 복원시킨다.
벌룬의 팽창량과 팽창된 벌룬의 형상은 주로 벌룬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므로, 벌룬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을 부정확하게 제어하여 벌룬에 유체의 압력을 자칫 과도하게 가하면, 벌룬이 요구하는 수준 이상으로 팽창되면서 요구하는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비정상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팽창된 벌룬의 비정상적 형상이라 함은 한쪽으로 치우친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카테터 도관과의 결합관계에 따라 다양한 비정상적인 형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벌룬의 비정상적 팽창 현상은 시술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며 시술의 정확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체내에 벌룬 카테터를 삽입하였으나, 벌룬 카테터를 목적하는 위치까지 진입시킬 수 없는 경우, 삽입된 벌룬 카테터를 시술부로부터 제거하고, 시술용 접근통로를 연장한 후, 벌룬 카테터를 재삽입하여야 한다. 이 과정은 매우 번거롭고 시술 속도의 개선 면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술의 안정성 및 시술자의 편의 면에서 유리한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루멘을 갖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루멘과 연통되는 제2루멘을 가지며 외주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제2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관에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와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벌룬과; 일정의 신축률을 가지며, 상기 제1도관과 제2도관을 연결하여 카테터 도관의 신축을 자체의 신축률에 의하여 제한하는 신축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신축 제한수단은 상기 제1도관과 상기 제2도관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신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카테터 도관과 상기 벌룬 사이에서 상기 제1도관의 외주와 상기 제2도관의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는 관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신축부재는 메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에 제2도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드릴 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릴 비트는, 상기 제2도관에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를 통하여 끼워진 생크와; 상기 생크에 연결된 비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내주에는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와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카테터 도관의 수축길이를 제한하는 내측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내주에는 내측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 측 외주에는 상기 내측턱과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제1도관과 제2도관의 분리를 방지하는 외측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단부와 원단부를 갖고, 상기 근단부와 원단부 사이의 루멘을 가지며, 상기 원단부 측 외주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에 의한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벌룬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에 상기 카테터 도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루멘을 갖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루멘과 연통되는 제2루멘을 가지며 외주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제2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관에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와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벌룬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내주에는 제1내측턱 및 제2내측턱이 상기 제1도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 측 외주에는 상기 제1내측턱과 제2내측턱 사이에서 상기 카테터 도관의 신축에 따라 상기 제1내측턱이나 제2내측턱과 걸림되는 외측턱이 마련된, 벌룬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나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과제의 해결 수단이 이하에서 추가로 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로, 도 2는 벌룬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벌룬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이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이용한 뼈 시술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사용된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사전에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의 목적하는 위치에 이르도록 형성한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뼈, 장기, 혈관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에서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 및 원단부(distal end portion)는 시술자를 기준으로 한 용어로, 시술자 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근단부가 되고, 반대쪽은 원단부가 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근단부(12) 및 원단부(14)를 갖고 루멘(lumen)(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106 및 206 참조)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카테터 도관(catheter tube, 10),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 측 외주에 구비된 벌룬(balloon, 20),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4)에 결합된 커넥터(connector, 30) 및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에 결합된 드릴 비트(drill bit, 4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카테터 도관(1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결합된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으로 구성된다.
제1도관(100)은 카테터 도관(10)의 길이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제1도관(100)은, 근단부인 제1단부(도 1의 도면부호 102 참조) 및 원단부인 제2단부(104)를 갖고, 제1도관(100)의 제1단부(102)와 제2단부(104) 사이에서 제1도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의 제1루멘(106)을 갖는다. 제1도관(100)의 제1단부(102)는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가 된다. 제1도관(100)은 그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져, 제1도관(100)의 제1단부(102)와 제2단부(104)는 각각 개구를 갖는다.
제2도관(200)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제2도관(200)의 길이는 제1도관(100)에 비하여 짧다. 제2도관(200)은, 근단부인 제1단부(202) 및 원단부인 제2단부(204)를 갖고,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와 제2단부(204) 사이에서 제2도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의 제2루멘(206)을 갖는다.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는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가 된다. 제2도관(200)은 그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져,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와 제2단부(204)는 각각 개구를 갖는다.
제1도관(100)에는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 측 개구를 통하여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카테터 도관(10)은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된다. 이렇게 결합된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은 제1루멘(106)과 제2루멘(206)이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 측 개구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연통된 제1루멘(106)과 제2루멘(206)은 카테터 도관(10)의 루멘을 구성한다.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 측 내주에는 제1내측턱(110)과 제2내측턱(120)이 각각 마련된다. 제1내측턱(110)과 제2내측턱(120)은 환상 구조를 갖도록 제1도관(100)의 내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측턱(110)과 제2내측턱(120)은 제1도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내측턱(120)은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 측 개구에 근접되고, 제1내측턱(110)은 제2내측턱(120)으로부터 제1도관(100)의 제1단부(102) 측으로 이격된다.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 측 외주에는 제1도관(100)의 제1내측턱(110)과 제2내측턱(120) 사이의 영역에서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에 따라 제1내측턱(110)이나 제2내측턱(120)과 걸림 되는 외측턱(210)이 마련된다. 외측턱(210)은 환상 구조를 갖도록 제2도관(200)의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외측턱(210)은,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에 따라 카테터 도관(10)의 길이가 수축되는 때에는 제1내측턱(110)과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카테터 도관(10)의 수축길이를 제한하고,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에 따라 카테터 도관(10)의 길이가 신장되는 때에는 제2내측턱(120)과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카테터 도관(10)의 신장길이를 제한하면서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분리를 방지한다.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와 제2단부(204) 사이의 외주에는 제2루멘(206)과 연통하는 관통구멍(220)이 단수 또는 복수로 마련된다.
제1도관(100)의 재질은 비교적 큰 강성을 갖는 금속일 수 있다. 일례로, 제1도관(100)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1도관(100)을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비교적 강성이 큰 금속으로 제작하여 카테터 도관(10)의 강성을 보강하면, 체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삽입 시 카테터 도관(10)이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때문에, 일반적인 벌룬 카테터는 카테터 도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카테터 도관에 두 루멘이 마련되고 어느 한 루멘에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가 삽입된 구성을 가지나, 비교적 강성이 큰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도관(100)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의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제1도관(100)의 재질은 카테터 도관(10)에 가한 힘이 해제되면 카테터 도관(10)이 구부러지는 등 변형된 상태에서 원상으로 복원되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으로는 니켈(Ni)과 티탄(Ti)의 비자성 합금인 니티놀(nitinol)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제1도관(100)의 재질은 언급한 금속에 한정되지 않는바, 카테터 도관(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도관(100)의 재질은 폴리머(polymer)와 같은 합성수지일 수도 있다. 또는, 제1도관(100)은,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를 제외한 나머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예를 들어, 결합된 합성수지 도관과 금속 도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길이가 제1도관(100)에 비하여 짧은 제2도관(200)은 합성수지(폴리머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제2도관(200)의 재질도 금속일 수 있다.
벌룬(20)은 팽창 및 수축(원상 복원)이 가능한 합성수지에 의하여 관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벌룬(20)은 카테터 도관(10)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 측 외주와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 측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2도관(200)의 제1단부(202)와 제2단부(204) 사이에 위치된 관통구멍(220)은 벌룬(20)의 내부와 연통된다.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 측 외주와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 측 외주에 대한 벌룬(20)의 결합은 기밀 유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벌룬(20)의 양단부는 제1도관(100)의 제2단부(104) 측 외주와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 측 외주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부착될 수도 있고 밴드 등에 의하여 밀착 상태로 정착될 수도 있다.
커넥터(30)에는 시린지(syringe)와 같은 유체 주입기구가 연결된다. 커넥터(30)는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가 유입되고 제1도관(100)의 제1단부(102) 측 개구와 연통된 유로를 갖는다.
드릴 비트(40)는 카테터 도관(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드릴 비트(40)는, 생크(shank, 42) 및 생크(42)에 연결된 비트 본체(44)를 포함한다.
생크(42)는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 측 개구를 통하여 제2도관(200)에 끼워진다. 생크(42)는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 측 내주에 밀착되는 크기를 가져 제2도관(200)의 제2단부(204) 측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으로 기능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생크(42)의 외주에는 밀폐력 향상을 위하여 실링재가 피복될 수 있다.
비트 본체(44)는 생크(42)와 일체형일 수 있다. 비트 본체(44)의 외주에는 절삭날이 마련된다. 비트 본체(44)의 최대 외주는 카테터 도관(10)과 유사한 정도이거나 카테터 도관(10)에 비하여 약간 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용액일 수 있다.)는 카테터 도관(10)의 루멘(도면부호 106 및 206 참조)에 주입되고 카테터 도관(10)의 루멘을 따라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로부터 원단부(14) 측으로 이송된 후 관통구멍(220)을 통하여 유출되어 벌룬(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벌룬(20)은 이렇게 제공되는 유체의 작용으로 팽창되고, 카테터 도관(10)은 벌룬(20)이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이 상대이동을 하면서 길이가 신장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벌룬(20)에 유체의 압력이 과도하게 가해지더라도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으로 카테터 도관(10)의 길이가 신장되기 때문에, 팽창된 벌룬(20)이 요구하는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비정상적인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벌룬(20)이 팽창된 상태에서 카테터 도관(10)에 카테터 도관(10)의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카테터 도관(10)의 길이가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으로 인하여 신축되면서 벌룬(20)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을 연결하여 카테터 도관(10)의 신축 동작을 자체적인 신축률에 의하여 제한하는 신축 제한수단(도면부호 50 참조)을 더 포함한다.
신축 제한수단은 카테터 도관(10)과 벌룬(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1도관(100)의 외주와 제2도관(200)의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일정의 신축률(탄성률일 수 있다.)을 갖는 신축부재(50)를 포함한다. 신축부재(50)에 의하면, 카테터 도관(10)에 힘이 가해졌더라도 가해진 힘이 신축부재(50)를 신축시킬 수 없는 정도의 수준(신축부재의 신축률에 따라 결정된다.)이라면, 카테터 도관(10)은 길이가 그대로 유지된다. 반면, 카테터 도관(10)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면, 카테터 도관(10)은 길이가 신축된다. 물론, 신축부재(50)는 벌룬(20)의 팽창 시 카테터 도관(1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는 신축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신축부재(50)는 벌룬(20)이 수축된 상태에서 제1도관(100)의 외주와 제2도관(200)의 외주에 수축 상태로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신축부재(50)는 카테터 도관(10)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는 관상으로 형성되고 메시(mesh)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메시로 구성된다. 관통구멍(220)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는 메시의 구멍을 통하여 벌룬(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부재(50)의 신축률은 메시를 구성하는 선(금속선)의 두께, 메시의 개구율(구멍 수) 등을 조정함으로써 요구하는 수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신축부재(50)의 양단부는 제1도관(100)의 외주와 제2도관(200)의 외주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될 수도 있고 파스너(fastner) 등에 의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이용한 뼈 시술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뼈(척추골일 수 있다.)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조직의 시술에 이용 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니들 도구(needle instrument)와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 도 5 내지 도 7의 도면부호 500) 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형성한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의 뼈에 삽입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의 삽입은 벌룬(20)이 수축된 상태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체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삽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목적하는 위치까지 진입시킬 수 없는 경우(시술용 접근통로가 요구하는 깊이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에 구비된 드릴 비트(40)를 이용,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목적하는 위치로 침투시킨다.(도 6 참조) 이 때, 시술자(의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밀거나 비트는 동작, 또는 타격하는 동작으로 시술용 접근통로를 연장할 수 있다.
시술용 접근통로를 드릴 비트(40)에 의하여 연장시킬 수 있는 것에 따르면, 시술용 접근통로를 연장하기 위하여 삽입된 벌룬 카테터를 시술부로부터 제거하고, 니들 도구 등을 이용하여 시술용 접근통로를 천공한 후, 벌룬 카테터를 재삽입하여야 하는 시술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체내의 목적하는 위치에 진입되면, 유체를 주입하여 벌룬(20)을 팽창시킴으로써 해당 조직을 확장시키거나 손상된 조직을 복원시킨다.(도 7 참조) 이 때, 카테터 도관(10)은 벌룬(20)의 팽창으로 인한 제1도관(100)과 제2도관(200)의 상대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장되고, 벌룬(20)은 이러한 카테터 도관(10)의 길이 신장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형상으로 변형됨이 없이 정상적으로 팽창된다. 또한, 팽창된 벌룬(20)은 카테터 도관(10)의 신축 동작이 신축부재(50)의 신축력에 의하여 제한됨에 따라 카테터 도관(10)에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팽창된 상태 그대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신축 제한수단이 메시로 구성된 신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신축부재(50)로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10 : 카테터 도관
20 : 벌룬
30 : 커넥터
40 : 드릴 비트
50 : 신축부재
100 : 제1도관
200 : 제2도관
110 : 제1내측턱
120 : 제2내측턱
210 : 외측턱
220 : 관통구멍

Claims (11)

  1. 제1루멘을 갖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루멘과 연통되는 제2루멘을 가지며 외주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제2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관에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와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벌룬과;
    일정의 신축률을 가지며, 상기 제1도관과 제2도관을 연결하여 카테터 도관의 신축을 자체의 신축률에 의하여 제한하는 신축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제한수단은 상기 제1도관과 상기 제2도관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카테터 도관과 상기 벌룬 사이에서 상기 제1도관의 외주와 상기 제2도관의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벌룬 카테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메시로 구성된, 벌룬 카테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관상으로 형성되고 메시로 구성된, 벌룬 카테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에 제2도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드릴 비트를 더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는,
    상기 제2도관에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를 통하여 끼워진 생크와;
    상기 생크에 연결된 비트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내주에는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와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카테터 도관의 수축길이를 제한하는 내측턱이 마련된, 벌룬 카테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내주에는 내측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 측 외주에는 상기 내측턱과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제1도관과 제2도관의 분리를 방지하는 외측턱이 마련된, 벌룬 카테터.
  10. 근단부와 원단부를 갖고, 상기 근단부와 원단부 사이의 루멘을 가지며, 상기 원단부 측 외주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에 의한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벌룬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에 상기 카테터 도관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11. 제1루멘을 갖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루멘과 연통되는 제2루멘을 가지며 외주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제2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관에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와 상기 제2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벌룬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관의 원단부 측 내주에는 제1내측턱 및 제2내측턱이 상기 제1도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도관의 근단부 측 외주에는 상기 제1내측턱과 제2내측턱 사이에서 상기 카테터 도관의 신축에 따라 상기 제1내측턱이나 제2내측턱과 걸림되는 외측턱이 마련된, 벌룬 카테터.
KR1020130136166A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KR10161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66A KR101610282B1 (ko)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PCT/KR2014/010801 WO2015069089A1 (ko) 2013-11-11 2014-11-11 벌룬 카테터
JP2016553196A JP6311031B2 (ja) 2013-11-11 2014-11-11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15/150,688 US10173039B2 (en) 2013-11-11 2016-05-10 Balloon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66A KR101610282B1 (ko)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37A true KR20150054137A (ko) 2015-05-20
KR101610282B1 KR101610282B1 (ko) 2016-04-07

Family

ID=5339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166A KR101610282B1 (ko)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798A (ko) 2018-09-27 2020-04-0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6434A1 (en) * 1996-02-12 1997-08-14 Mentor Urology, Inc. Prostatic tissue expander
US6458096B1 (en) 1996-04-01 2002-10-01 Medtronic, Inc. Catheter with autoinflating, autoregulating ballo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798A (ko) 2018-09-27 2020-04-0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282B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09370B2 (en) Arterial cannula which allows proximal and distal perfusion within a cannulated vessel
CA2664483C (en) Elastically deformable surgical access device
US10173039B2 (en) Balloon catheter
JP2022133286A (ja) 血管壁の穿刺部を閉鎖するための閉鎖システム
JP2019022688A (ja) 生まれつきの開口用のアクセス器具
KR101622426B1 (ko) 단일 절개부를 통해서 최소침습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509222A (ja) 血液飛散を低減した静脈カテーテル及び挿入装置
EP2704782B1 (en) Dilatation system for a medical device
WO2005082444A3 (en) Catheter having an improved distal tip
US11504510B2 (en) Dilatable balloon catheter
JP2014532450A (ja) ロックするカテーテルハブ
CN111655174A (zh) 止血器具
EP3376937A1 (en) Dilator with slit and slidable sleeve
KR101610282B1 (ko) 벌룬 카테터
US20170080180A1 (en) Catheter with asymmetric cross-section
JP3852923B2 (ja) 腹腔鏡下手術用ドレナージ器具
WO2012077366A1 (ja) トロッカー
WO2019121987A1 (en) Cannula
KR102070904B1 (ko) 흉강용 트로카
KR101618824B1 (ko) 벌룬 카테터
CN115737010B (zh) 一种用于介入治疗设备的扩张器
US9440048B2 (en) Catheter assembly with cuff deployment device
AU2018375222B2 (en) Slotted canulla for arthroscopic surgery
KR20200076557A (ko) 조직 적출 장치
TW201817387A (zh) 可變角度之半月軟骨縫合手術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