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099A - 브라 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라 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099A
KR20150054099A KR1020130136061A KR20130136061A KR20150054099A KR 20150054099 A KR20150054099 A KR 20150054099A KR 1020130136061 A KR1020130136061 A KR 1020130136061A KR 20130136061 A KR20130136061 A KR 20130136061A KR 20150054099 A KR20150054099 A KR 20150054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d
bra
pads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038B1 (ko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2013013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0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젖가슴을 감싸는 안쪽의 오목부는 자신의 가슴 사이즈와 맞는 A 또는 B 컵으로 형성되고, 바깥쪽의 볼록부는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가슴 라인을 만들어내는 C 컵으로 형성되어, 가슴이 빈약한 여성들이 불편함 없이 편안하게 착용하면서 동시에 미적인 볼륨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브라 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라 컵 및 그 제조방법{BRA CU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브라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가슴을 감싸는 안쪽의 오목부는 자신의 가슴 사이즈와 맞는 A 또는 B 컵으로 형성되고, 바깥쪽의 볼록부는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가슴 라인을 만들어내는 C 컵으로 형성되어, 가슴이 빈약한 여성들이 불편함 없이 편안하게 착용하면서 동시에 미적인 볼륨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브라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여성의 젖가슴을 감싸 보호함과 동시에 가슴의 모양을 모아주고 받쳐주어 가슴이 쳐지지 않도록 보정함으로써 가슴의 모양을 아름답게 교정하기 위한 의류로서, 젖가슴을 감싸는 브라 컵과, 이 브라 컵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등뒤로 감싼 후 서로를 연결시키는 고정띠 등을 포함한다.
종래의 브래지어는, 가슴이 빈약한 여성들의 경우 체형을 아름답게 보정하면서, 브래지어 착용시 체형의 볼륨업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브래지어 안쪽 패드 주머니에 다른 부피를 갖는 패드를 넣거나 패드 성형시 하부 금형의 아래 부분을 두껍게 만들어 볼륨을 높이는 효과를 주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볼륨 업 브라는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사이즈 보다 큰 컵 사이즈를 갖는 브라를 선택하되 안쪽 패드 넣는 주머니에 볼륨 패드를 넣어 사용 하거나 성형시 하부 금형의 아래 부분에 볼륨을 준 상태로 성형된 것으로서, 착용시 컵부가 가슴을 편하게 받쳐주지 못하고 삽입된 패드 부분이 움직이거나, 브래지어 아랫부분이 가슴에 밀착되지 못하고 뜨면서 어깨쪽 위로 브라가 끌어 당겨져 올라가거나, 가슴이 안쪽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여지면서 스키니한 셔츠를 착용시 가슴에 패드가 채워지지 못한 부분이 겉으로 움푹 패이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륨 업 브라는 볼륨 업 패드가 안쪽 패드 주머니 내에서 움직이면서 젖가슴의 일부, 특히 유두를 마찰하거나 누르게 되어 심한 경우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유두의 형상을 변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컵부 내부에 쿠션층이 포함되는 브래지어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9-0101752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쪽은 자신의 가슴 사이즈와 맞는 컵 사이즈로 형성되어 유두의 눌림 없이 유방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보호할 수 있으며, 바깥쪽은 안쪽 보다 큰 컵 사이즈로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가슴 입체 패턴을 만들어내도록 형성되어, 가슴이 빈약한 여성들이 불편함 없이 편안하게 착용하면서 동시에 미적인 볼륨업을 할 수 있는 브라 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브라 컵은, 젖가슴을 감싸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컵부; 및 상기 제1 컵부의 외면을 덮어 씌워 열융착되며, 상기 오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을 갖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컵부의 오목부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이며, 상기 제2 컵부의 볼록부는 C 컵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컵부의 오목부에는 유두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한 브라 컵 제조방법은, 상면에 컵 형성돌기를 갖는 하부금형 위에 제1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에 비해 1.5 내지 3배의 밀도를 갖는 제2 패드를 포개어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패드의 상방으로 상기 컵 형성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의 컵 형성홈을 갖는 상부금형을 가압하여, 175 내지 180 ℃에서 1분 30초 내지 2 분간 상기 제1 및 제2 패드를 1차 열 융착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제1 및 제2 패드를 1분간 상온에 노출시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패드의 상방으로 상기 상부금형을 다시 가압하여, 170 내지 185 ℃에서 1분 30초 내지 2분간 2차 열 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금형의 컵 형상돌기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이며, 상기 상부금형의 컵 형상홈은 C 컵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금형의 컵 형성돌기 상에 유두삽입홈 형성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젖가슴을 감싸도록 하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안쪽의 제1 컵부 및 상기 오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을 갖는 C 컵 사이즈의 제2 볼록부가 형성된 바깥쪽의 제2 컵부가 서로 포개져 열융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안쪽에는 자신의 가슴 사이즈와 맞는 컵 사이즈의 제1 컵부를 선택함으로써 착용자의 유방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보호하면서 젖가슴을 자연스럽게 감싸 유두의 눌림 없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바깥쪽은 C 컵 사이즈의 컵 형성홈을 갖는 상부금형에 의해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C 컵 사이즈의 가슴라인을 나타내는 제2 컵부로 형성됨으로써, 가슴이 빈약한 A 또는 B 컵 사이즈의 여성들이 체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자신의 가슴 사이즈 보다 큰 C 컵 사이즈의 브래지어를 착용함으로써 느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이 적용된 브래지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을 제조하기 위한 패드 및 금형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패드 및 금형이 서로 겹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브라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이 적용된 브래지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브라 컵(400)이 적용되는 브래지어(100)는 여성의 양쪽 가슴을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브라 컵(400)과, 브라컵(40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등에서 이들 한 쌍의 브라컵(400)을 서로 연결하는 좌우 밴드부(160)와, 브라컵(4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끈(170)을 포함한다.
이때, 좌우 밴드부(160)는 체결수단(16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체결수단은 공지된 것으로 후크(hoo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61)은 상하 2개씩 2쌍 또는 3쌍, 또는 3개씩 2쌍 또는 3쌍 등 복수 개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브래지어(100) 착용시 헐렁이거나 흘러내리는 것 또는 너무 꽉 조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브라 컵(400)은, 내면에 젖가슴을 감싸도록 하는 제1 오목부(411)가 형성된 제1 컵부(410)와, 제1 컵부(410)의 외면, 즉 제1 컵부(410)의 제1 돌출부(412)를 덮어 씌워 형합 열융착되도록 내면에 제2 오목부(421)를 갖는 제2 컵부(42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컵부(420)의 외면, 즉 제2 컵부(420)의 제2 돌출부(422)는 제1 컵부(410)의 제1 오목부(4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젖가슴을 감싸는 제1 컵부(410)의 제1 오목부(411)는 A(소) 또는 B(중) 컵 사이즈일 수 있으며, 밖으로 돌출되는 제2 컵부(420)의 제2 돌출부(422)는 C(대) 컵 사이즈일 수 있다. 따라서, 가슴의 크기가 A 또는 B 컵 사이즈로 비교적 왜소한 체형의 여성이 본 실시형태의 브라 컵(400)이 적용된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경우, 외형적으로는 제1 컵부(420)의 제2 돌출부(422)가 제공하는 C 컵 사이즈의 볼륨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컵부(410, 420)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한다. 예컨대, 제1 컵부(410)는 제2 컵부(420)에 비해 작은 곡률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펼쳐지는 힘이 강하여 제2 컵부(420)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컵부(410)의 두께를 1로 기준하면 제2 컵부(420)의 두께는 제1 컵부(410) 대비 1.2 내지 1.5배가 될 수 있다. 1.2보다 적으면 장시간 사용시 제1컵부(410)가 펼쳐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막기 어려우며, 1.5보다 크면 제1컵부(410)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브라 컵(400)은, 안쪽에는 자신의 가슴 사이즈와 맞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의 제1 오목부(411)를 갖는 제1 컵부(410)를 선택함으로써 가슴의 특정부위에 집중하중의 작용함이 없이 착용자의 유방을 안정적으로 모으고 받쳐주고 보호하면서 젖가슴을 자연스럽게 감싸 유두나 유방의 눌림이 없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브라 컵(400)의 바깥쪽은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C 컵 사이즈의 가슴라인을 나타내는 제2 돌출부(422)를 갖는 제2 컵부(420)로 형성되어 별도의 볼륨업 보조패드 없이도 미적인 볼륨업을 할 수 있어서 옷 착용시 옷맵시를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가슴이 빈약한 A 또는 B 컵 사이즈의 여성들이 체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자신의 가슴 사이즈 보다 큰 C 컵 사이즈의 브래지어를 착용함으로써 느꼈던 여려가지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미적인 볼륨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라 컵(400)의 형상을 풀컵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본 발명의 브라 컵은 하프컵 또는 3/4컵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종래의 패드를 삽입하는 볼륨 업 브라의 경우 이러한 패드가 유두를 가압하여 통증을 유발시키거나 가슴의 변형을 유발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요시 제1 컵부(410)의 제1 오목부(411)에 유두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유두삽입홈(4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착용시 편안함은 물론 가장 이상적인 유방 모양을 입체적으로 재현하며 유두의 눌림을 더욱 억제하여 정확한 착용자의 가슴 모양 및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가슴의 모양을 더욱 편안하게 받쳐주고 예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브라 컵 제조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을 제조하기 위한 패드 및 금형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패드 및 금형이 서로 겹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 제조장치는, 상면에 컵 형성돌기(211)를 갖는 하부금형(210)과, 하면에 컵 형성홈(221)을 갖는 상부금형(220)을 포함한다.
하부 금형(210)은 몸체 내부에 히팅코일(미도시)과 같은 발열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히팅코일은 하부 금형(210) 위에 배치된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패드(310, 320)는 일정수준 이상의 탄성을 갖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충진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및 제2 패드(310, 320)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금형(210)의 컵 형성돌기(211) 상에는 유두삽입홈 형성돌기(21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형성홈(221)은 컵 형성돌기(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부금형(210)의 컵 형성돌기(211)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일 수 있으며, 상부금형(220)의 컵 형성홈(221)은 C 컵 사이즈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브라 컵(400)은 이러한 하부 금형(210) 위에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차례로 포개어 배치한 후 상부 금형(320)을 가압하고 2차례에 걸쳐 다른 온도로 열융착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제1 패드(310)는 내면에 자신의 가슴 사이즈와 동일하게 착용하면서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젖가슴을 감싸도록 하는 제1 오목부(411)와 외면의 제1 돌출부(412)를 갖는 제1 컵부(410)로 성형되며, 제2 패드(320)는 제1 컵부(410)의 제1 돌출부(412)를 덮어 씌워 형합 열융착되는 제2 오목부(421)와 제1 오목부(4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컵 사이드를 갖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가슴라인의 볼륨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외면의 제2 돌출부(422)를 갖는 제2 컵부(420)로 성형되는 것이다.
브라 컵 제조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라 컵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브라 컵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브라 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스폰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패드(310, 320)을 마련한다. 이때, 제1 및 제2 패드(310, 320)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패드(310, 320)는 필요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패드(310)는 제2 패드(320)에 비해 작은 곡률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펼쳐지는 힘이 강하여 제2 패드(320)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패드(310)의 두께를 1로 기준하면 제2 패드(320)의 두께는 제1 패드(310) 대비 1.0 내지 1.5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컵부를 형성하기 위한 패드를 두 개의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포개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제1 및 제2 패드(310, 320)가 형성하는 제1 및 제2 컵부의 곡률이 서로 달라서 하나의 패드로 사용할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제1 및 제2 컵부가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어렵고, 또한 패드를 한 장만 사용하는 경우 패드와 패드를 감싸고 있는 원단의 신축이 다르므로 원단의 신축만큼 스폰지 재질의 패드가 늘어나면서 원하는 컵부의 모양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안쪽은 A컵을 사용하고 바깥쪽을 C컵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되는 패드의 두께가 상당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반드시 2장의 패드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제1 및 제2 패드(310, 320)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브라 컵 안쪽의 제1 컵부(410)는 제1 오목부(411)가 가슴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부드러움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브라 컵 바깥쪽의 제2 컵부(420)는 제2 돌출부(422)가 가슴의 외형을 살려주어 옷맵시를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제1 컵부(410)에 비해 딱딱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제2 패드(320)는 제1 패드(310)에 비해 1.5 내지 3배의 밀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패드(320)가 제1 패드(310)에 비해 1.5 미만의 밀도를 갖는 경우 제2 컵부(420)의 제2 돌출부(422)가 가슴의 외형을 제대로 살려주기 어렵고, 제2 패드(320)가 제1 패드(310)에 비해 3배를 초과하는 밀도를 갖는 경우 너무 딱딱해져 제1 컵부(410)와의 일체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제1 패드(310)는 부드러운 저탄소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패드(320)는 일반 스폰지나 메모리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패드의 재료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면에 컵 형상돌기(211)를 갖는 하부금형(210) 위에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포개어 배치한다(S100).
다음으로, 제2 패드(320)의 상방으로 컵 형상돌기(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의 컵 형상홈(221)을 갖는 상부금형(220)을 가압하여, 하부 금형(210)에 내장된 발열부재를 통해 200-220 ℃에서 1분 내지 1분30초간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컵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1차 열 융착시킨다(S200).
이때, 컵 형상홈(221)은 컵 형상돌기(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부금형(210)의 컵 형상돌기(211)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일 수 있으며, 상부금형(220)의 컵 형상홈(221)은 C 컵 사이즈일 수 있다. 따라서, 열융착된 제1 패드(310)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의 제1 오목부(411)를 갖는 제1 컵부(410)로 성형되고, 열융착된 제2 패드(320)는 C 컵 사이즈의 제2 볼록부(422)를 갖는 제2 컵부(420)로 성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부금형(220)을 하부금형(210)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약 1분간 상온에 노출시켜 일시적으로 냉각시킨다(S300).
다음으로, 제2 패드(320)의 상방으로 상부금형(220)을 다시 가압하여, 170 내지 185 ℃에서 1분 30초 내지 2 분간 2차 열 융착시켜 브라 컵(400)을 완성한다(S400).
일반적으로 스펀지는 고무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화학적 및 물리적 반응에 민감하여 습도나 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냄새가 나고 모양이 변형될 수 있으며 색깔도 변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성분의 스펀지라 하더라도 밀도에 따라 성형온도와 시간이 모두 다를 수 있다.
또한, 스폰지는 열에 의해 신축과 탄성이 변경되고 냉각과정에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단시간 고열에서 성형을 하면 겉모양이 주름지고 딱딱하게 될 수 있으며, 장시간 저열에서 성형을 하면 원하는 형상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스펀지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제조과정이 진행되며, 일정 두께의 스펀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1차 열 융착을 통해 제1 및 제2 패드(310, 320)에 골고루 열 전달을 하면서 제1 및 제2 컵부의 형태로 고착화되도록 한다.
이후, 제1 및 제2 패드(310, 320)를 상온에서 노출시켜 냉각되도록 한 후, 다시 2차 열융착을 시킴으로써, 설계상의 원하는 형상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의 고열에서의 단시간 가열에 의한 제1 및 제2 패드(310, 320)가 주름이 지고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패드(310, 320)가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와 닿는 부분의 부드러움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2차 열융착은 바람직하게 1차 열융착에 비해 낮은 온도로 보다 긴시간 진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 하부금형 211 ; 컵 형상돌기
220 ; 상부금형 221 ; 컵 형상홈
310, 320 ; 제1 및 제2 패드 400 ; 브라 컵
410, 420 ; 제1 및 제2 컵부 411, 421 ; 제1 및 제2 오목부
412, 422 ; 제1 및 제2 볼록부

Claims (6)

  1. 젖가슴을 감싸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컵부; 및
    상기 제1 컵부의 외면을 덮어 씌워 열융착되며, 상기 오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을 갖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컵부; 를 포함하는 브라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부의 오목부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이며, 상기 제2 컵부의 볼록부는 C 컵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부의 오목부에 유두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컵.
  4. 상면에 컵 형성돌기를 갖는 하부금형 위에 제1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에 비해 1.5 내지 3배의 밀도를 갖는 제2 패드를 포개어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패드의 상방으로 상기 컵 형성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면의 컵 형성홈을 갖는 상부금형을 가압하여, 200-220 ℃에서 1분 내지 1분 30초간 상기 제1 및 제2 패드를 1차 열 융착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제1 및 제2 패드를 1분간 상온에 노출시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패드의 상방으로 상기 상부금형을 다시 가압하여, 170 내지 185 ℃에서 1분 30초 내지 2분간 2차 열 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라 컵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컵 형성돌기는 A 또는 B 컵 사이즈이며, 상기 상부금형의 컵 형성홈은 C 컵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컵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컵 형성돌기 상에 유두삽입홈 형성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컵 제조방법.
KR1020130136061A 2013-11-11 2013-11-11 브라 컵 제조방법 KR10155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61A KR101556038B1 (ko) 2013-11-11 2013-11-11 브라 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61A KR101556038B1 (ko) 2013-11-11 2013-11-11 브라 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99A true KR20150054099A (ko) 2015-05-20
KR101556038B1 KR101556038B1 (ko) 2015-09-30

Family

ID=5339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061A KR101556038B1 (ko) 2013-11-11 2013-11-11 브라 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58B1 (ko) * 2019-08-29 2019-12-05 한인형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025B (zh) * 2016-12-14 2019-01-01 张汉平 隐形文胸用模杯的制备工艺及隐形文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09A (ja) 1999-04-28 2000-11-14 Fl:Kk ワイヤー付きブラジャー
KR101230487B1 (ko) 2010-05-10 2013-02-06 박용식 부착형 브래지어
KR101298903B1 (ko) * 2012-05-24 2013-08-22 주식회사 금상첨화 브래지어용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58B1 (ko) * 2019-08-29 2019-12-05 한인형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038B1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620B1 (en) Lining pad for a brassiere
CA2876511C (en) A nursing bra
KR102052858B1 (ko)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KR101556038B1 (ko) 브라 컵 제조방법
KR20130001688U (ko) 여성용 상의
JP3111754U (ja) ブラジャー
US20080096464A1 (en) Gel brassiere
KR100947343B1 (ko) 볼륨업층 일체 형성 몰드 브래지어 및 그 제조방법
JP4866070B2 (ja) 装身用パ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218968A (en) Brassiere
US20060166599A1 (en) Pantee corselette
AU2010100464B4 (en) Natural fiber cup encasing a three dimensional support for undergarments and swimwear garments
JP2018118024A (ja) 靴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74660A1 (en) A postoperative bra
KR200322618Y1 (ko) 브래지어용 패드
KR20032628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326326Y1 (ko) 몰딩 컵을 갖는 기능성 브래지어
KR20130000047U (ko) 심리스 브래지어
KR200367242Y1 (ko) 메쉬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브래지어
CN101862040A (zh) 具有罩杯的衣物
JP2003328209A (ja) 装身用パッド
KR200239676Y1 (ko) 브래지어용 안감패드
KR200357329Y1 (ko) 기능성 브레지어
KR200338074Y1 (ko) 브래지어
EP1243188A1 (en) Lining pad for a brassi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