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58B1 -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 Google Patents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58B1
KR102052858B1 KR1020190106429A KR20190106429A KR102052858B1 KR 102052858 B1 KR102052858 B1 KR 102052858B1 KR 1020190106429 A KR1020190106429 A KR 1020190106429A KR 20190106429 A KR20190106429 A KR 20190106429A KR 102052858 B1 KR102052858 B1 KR 10205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rt
forming
bra
pai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형
Original Assignee
한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형 filed Critical 한인형
Priority to KR102019010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41C5/005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에 관한 것이다. 이중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은, 원단을 제단하여 셔츠부(10)가 되는 제1셔츠원단(11)과 제2셔츠원단(12)을 제조하는 단계(S1)와; 발포제 원료를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인 인쇄패턴(21)(21')으로 인쇄하는 단계(S2)와; 한쌍의 인쇄패턴(21)(21')에 열을 가하여 특정 두께(D)를 가지는 베이스패드(22)(22')로 부풀리는 단계(S3)와; 한쌍의 성형홈부(M1')을 가지는 제1몰드(M1)와 상기 성형홈부(M1')에 치합되는 한쌍의 성형돌부(M2')를 가지는 제2몰드(M2) 사이에 베이스패드(22)(22')을 배치시키는 단계(S4)와; 한쌍의 성형돌부(M2')가 베이스패드(22)(22')를 가압하면서 한쌍의 성형홈부(M1')로 치합되고, 이 상태에서 열을 가함으로서 한쌍의 베이스패드(22)(22')를 움푹 패어진 컵 형태를 가지는 브래지어(20)(20')로 성형하는 단계(S5)와; 브래지어(20)(20')가 형성된 제1셔츠원단(11)의 가장자리에 제2셔츠원단(12)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브래지어일체형 셔츠(100)를 완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method for manufacturing brassiere shirt and the brassiere shirt manufactured the same}
본 발명은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히 셔츠를 착용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브래지어를 하지 않고도 가슴을 자연스럽게 가릴 수 있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감싸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언더웨어로서, 가슴을 감싸는 2 개의 컵과 이를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어깨끈 및 가슴끈으로 이루어지고, 컵은 천 내부에 어느정도 두께를 갖는 패드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래지어는 모든 여성들의 필수품으로서, 사회 생활은 물론 일상 생활을 하는 중에도 항상 착용하고 있다.
브래지어는 컵이 가슴을 감싼 상태에서 어깨끈 및 가슴끈으로 조여지기 때문에 항상 가슴을 압박하고 있고, 또한 브래지어는 겉옷 내측에 착용되기 때문에 더운 날씨에 많은 땀이 나서 피부 발진이 생기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사람의 시선을 피할 수 있는 가정에서, 많은 여성들은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고 생활하고 있다.
그런데, 마트로 장을 보러 가거나, 쓰레기를 버리거나, 공원을 산책하는등 외출하여야 할 경우에는, 전술한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다시 브래지어를 착용하여야 하였으며, 이에 따라 외출시마다 브래지어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이 상당하였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순히 착용하는 것만으로 가슴을 자연스럽게 가릴 수 있어 별도의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많은 보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은, 원단을 제단하여 셔츠부(10)가 되는 제1셔츠원단(11)과 제2셔츠원단(12)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1셔츠원단(11)에 있어 가슴에 대응되는 부분에 발포제 원료를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를 가지며 한쌍을 이루는 인쇄패턴(21)(21')을 인쇄하는 단계(S2); 상기 한쌍의 인쇄패턴(21)(21')에 열을 가함으로서, 상기 제1셔츠원단(11)의 표면 조직에 침투하면서 엉겨붙어 상기 제1셔츠원단(11)과 한몸체가 되는 특정 두께(D)의 베이스패드(22)(22')로 부풀리는 단계(S3); 한쌍의 성형홈부(M1')을 가지는 제1몰드(M1)와 상기 성형홈부(M1')에 치합되는 한쌍의 성형돌부(M2')를 가지는 제2몰드(M2) 사이에, 상기 제1셔츠원단(11)과 한몸체가 된 상기 베이스패드(22)(22')을 배치시키는 단계(S4); 상기 한쌍의 성형돌부(M2')가 상기 베이스패드(22)(22')를 가압하면서 상기 한쌍의 성형홈부(M1')로 치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패드(22)(22')에 열을 가함으로서, 상기 제1셔츠원단(11)과 한 몸체가 되는 움푹 패어진 컵 형태를 가지는 브래지어(20)(20')를 성형하는 단계(S5); 및 상기 브래지어(20)(20')가 형성된 상기 제1셔츠원단(11)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셔츠원단(12)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브래지어일체형 셔츠(100)를 완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5)는, 상기 성형돌부(M2')의 선단측에 유두성형돌기(M2")가 형성된 제2몰드(M2)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지어(20)(20')의 내측에 착용자의 유두가 위치되는 유두홈(25)(25')을 성형하는 유두성형단계(S5-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2)는, 다수의 막힘구멍패턴이 형성된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인쇄패턴(21)(21')을 인쇄한 후 열을 가하여 부품림으로써 다수의 통기공(26)(26')이 형성된 베이스패드(22)(22')를 형성하는 단계(S2-1)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셔츠부)의 내측 상단에 여성 가슴을 가리는 브래지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착용하는 것만으로 가슴을 자연스럽게 가릴 수 있어 별도의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일상 생활속에서 잠깐의 외출시 브래지어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브래지어는 가슴을 압박하지 않고 가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압박에 따른 통증이 없고, 통풍이 잘 되어 땀이 차는 것이 방지되어 한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셔츠원단에 발포제원료로 원형 형태를 가지는 인쇄패턴을 인쇄한 후 그 인쇄패턴을 열에 베이스패드로 부풀리고, 제1,2몰드(M1)(M2)를 이용하여 베이스패드를 입체적인 컵 형태로 성형함으로 브래지어가 일체화된 셔츠부를 완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대량 보급이 가능하여 많은 여성들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를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성형돌부 선단에 서브돌기가 형성된 제2몰드를 이용하여, 브래지어 내측에 가스 유두가 위치되는 유두홈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에 의하여 브래지어 내측에 형성된 유두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서브돌기의 형상에 의하여 브래지어 내측에 형성된 유두홈이 장공 형태를 가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4의 베이스패드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패드를 제1,2몰드로 성형함으로서 브래지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1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로 입는 셔츠부(10)와, 셔츠부(10)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여성 가슴을 감싸면서 가리는 한쌍의 브래지어(20)(20')로 이루어진다.
즉, 브래지어(20)(20')는 셔츠부(10)의 내측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셔츠부(10)와 한 몸체를 이루며, 셔츠부(10)를 착용할 때 브래지어(20)(20')는 자신의 가슴을 자연스럽게 감싸면서 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종래의 가슴끈이나 어깨끈을 채용하지 않으므로, 브래지어(20)(20')는 단지 가슴을 감싸면서 가릴 뿐 가슴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를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의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을 제단하여 셔츠부(10)가 되는 제1셔츠원단(11)과 제2셔츠원단(12)을 제조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셔츠원단(11)과 제2셔츠원단(12)이 재봉에 의하여 구현되는 셔츠부(10)는 상단에 목이 출입하는 머리구멍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양팔이 출입하는 팔구멍이 형성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셔츠원단(11)에 있어 가슴에 대응되는 부분에 발포제 원료를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인 인쇄패턴(21)(21')으로 인쇄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단계(S2)는, 인체에 무해한 발포제 원료, 예를 들면 우레탄 발포제를 스크린 인쇄방식을 통하여 수행되며, 이러한 인쇄방식에 의하여 제1셔츠원단(11)에 형성된 인쇄패턴(21)(21')은 상호 대칭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사용되는 발포제 원료는 인체에 무해하다면 수성 또는 유성 타입 모두 가능하며, 이러한 발포재 원료로 형성되는 인쇄패턴(21)(21')은 제1셔츠원단(11)의 표면 조직으로 침투하면서 엉겨 붙어 제1셔츠원단(11)과 한 몸체가 된다.
다음, 한쌍의 인쇄패턴(21)(21')에 열을 가하여 특정 두께(D)를 가지는 베이스패드(22)(22')로 부풀리는 단계(S3)를 수행하며, 이때 베이스패드(22)(22')에는 100℃ 이상의 뜨거운 공기를 송풍하여 부풀리거나, 고열의 다리미를 직접 접촉시켜 부풀린다.
이때 부풀려진 베이스패드(22)(22')의 두께(D)는 2~7mm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mm 이다. 베이스패드(22)(22')의 두께(D)가 2mm 이하일 경우 후술할 브래지어(20)(20')의 형상이 입체적으로 잘 성형되지 않게 되고, 두께(D)가 7mm 이상일 경우 성형 과정에서 브래지어(20)(20')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성형홈부(M1')을 가지는 제1몰드(M1)와, 상기 성형홈부(M1')에 치합되는 한쌍의 성형돌부(M2')를 가지는 제2몰드(M2) 사이에 상기 베이스패드(22)(22')을 배치시키는 단계(S4)를 수행한다.
다음, 상기 한쌍의 성형돌부(M2')가 베이스패드(22)(22')를 가압하면서 한쌍의 성형홈부(M1')로 치합되고, 이 상태에서 열을 가함으로서 한쌍의 베이스패드(22)(22')을 움푹 패어진 컵 형태를 가지는 브래지어(20)(20')로 성형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몰드(M1)와 제2몰드(M2) 내측에는 히터(H)가 설치되어 베이스패드(22)(22')가 완벽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도록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S5)에 의하여, 도 3에서 도시된 한쌍의 베이스패드(2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컵 형태의 브래지어(20)(20')가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성형돌부 선단에 서브돌기가 형성된 제2몰드를 이용하여, 브래지어 내측에 가스 유두가 위치되는 유두홈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에 의하여 브래지어 내측에 형성된 유두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서브돌기의 형상에 의하여 브래지어 내측에 형성된 유두홈이 장공 형태를 가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단계(S5)는, 성형돌부(M2')의 선단측에 서브돌기(M2")가 형성된 제2몰드(M2)를 이용하여 브래지어(20)(20')의 내측에 착용자의 유두가 위치되는 유두홈(25)(25')을 성형하는 유두성형단계(S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두성형단계(S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홈부(M1')에 성형된 한쌍의 브래지어(20)(20') 내측으로, 유두성형돌기(M2")를 가지는 성형돌부(M2')를 진입시킴으로서 한쌍의 유두홈(25)(25')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몰드(M1)의 성형홈부(M1') 바닥측에는 상기 유두성형돌기(M2")에 치합되는 유두성형홈(M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두성형돌기(M2")가 브래지어(20)(20') 선단을 유두성형홈(M2") 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형태의 유두홈(25)(25')이 성형될 수 있으며, 유두 형태가 보이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성형된 유두홈(25)(25')은 브래지어(20)(20')의 바닥 내주면에서 움푹 함몰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가슴의 유두(N)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100)를 착용하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셔츠부(10)와 함께 브래지어(20)(20')가 움직이더라도, 유두가 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쓸림 현상에 따른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유두성형돌기(M2") 및 유두성형홈(M1")이 장공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두홈(25)(25')은 수평 방향으로 장공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셔츠부(10)와 함께 브래지어(20)(20')가 좌우측으로 움직이더라도, 유두는 장공 형태의 유두홈(25)(25')에 항상 위치되며, 이에 따라 유두의 쓸림 현상을 방지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브래지어(20)(20')가 성형홈부(M1') 내측에 성형된 이후, 서브돌기(M2")를 가지는 성형돌부(M2')가 브래지어(20)(20') 내측으로 진입함으로서 유두홈(25)(25')을 성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돌기(M2")가 형성된 성형돌부(M2')와, 성형홈부(M1') 사이에 제1셔츠부(11)에 형성된 베이스패드(22)(22')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성형돌부(M2')가 베이스패드(22)(22')를 직접 가압하면서 성형홈부(M1')에 치합됨으로서 상기 유두홈(25)(25')이 성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4의 베이스패드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패드를 제1,2몰드로 성형함으로서 브래지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단계(S2)는, 다수의 막힘구멍패턴이 형성된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인쇄패턴(21)(21')을 인쇄한 후 열을 가하여 부풀림으로써 다수의 통기공(26)(26')이 형성된 베이스패드(22)(22')를 형성하는 단계(S2-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S2-1)에 의하여 형성된 베이스패드(22)(22')를 도 9의 제1,2몰드(M1)(M2) 사이에 배치시킨 후 성형돌부(M2')와 성형홈부(M1')를 상호 치합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26)(26')이 형성된 브래지어(20)(20')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통기공(26)(26')은 유두(N)에 대응되는 부분의 외측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통기공을 통하여 유두(N)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통기공(26)(26')에 의하여, 본 발명의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를 착용하였을 때 가슴으로 통기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슴에 땀이 차거나 땀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브래지어(20)(20')가 형성된 제1셔츠원단(11)의 가장자리에 제2셔츠원단(12)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브래지어일체형 셔츠(100)를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셔츠부(10)의 내측 상단에 여성 가슴을 가리는 브래지어(20)(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착용하는 것만으로 가슴을 자연스럽게 가릴 수 있어 별도의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일상 생활속에서 잠깐의 외출시 브래지어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브래지어(20)(20')은 가슴을 압박하지 않고 가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압박에 따른 통증이 없고, 통풍이 잘 되어 땀이 차는 것이 방지되어 한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셔츠원단(11)에 발포제 원료로 원형 형태의 인쇄패턴(21)(21')을 스크린 인쇄한 후 그 인쇄패턴(21)(21')을 열에 인가하여 도톰한 베이스패드(22)(22')로 부풀리고, 제1,2몰드(M1)(M2)를 이용하여 베이스패드(22)(22')을 입체적인 컵 형태로 성형함으로, 브래지어(10)가 일체화된 셔츠부(10)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대량 보급이 가능하여 많은 여성들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 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셔츠부
11, 12 ……. 제1,2셔츠원단 20, 20' ……. 브래지어
21, 21' ……. 인쇄패턴 22, 22' ……. 베이스패드
25, 25' ……. 유두홈 26, 26' ... 통기공

Claims (4)

  1. 원단을 제단하여 셔츠부(10)가 되는 제1셔츠원단(11)과 제2셔츠원단(12)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1셔츠원단(11)에 있어 가슴에 대응되는 부분에 발포제 원료를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를 가지며 한쌍을 이루는 인쇄패턴(21)(21')을 인쇄하는 단계(S2);
    상기 한쌍의 인쇄패턴(21)(21')에 열을 가함으로서, 상기 제1셔츠원단(11)의 표면 조직에 침투하면서 엉겨붙어 상기 제1셔츠원단(11)과 한몸체가 되는 특정 두께(D)의 베이스패드(22)(22')로 부풀리는 단계(S3);
    한쌍의 성형홈부(M1')을 가지는 제1몰드(M1)와 상기 성형홈부(M1')에 치합되는 한쌍의 성형돌부(M2')를 가지는 제2몰드(M2) 사이에, 상기 제1셔츠원단(11)과 한몸체가 된 상기 베이스패드(22)(22')을 배치시키는 단계(S4);
    상기 한쌍의 성형돌부(M2')가 상기 베이스패드(22)(22')를 가압하면서 상기 한쌍의 성형홈부(M1')로 치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패드(22)(22')에 열을 가함으로서, 상기 제1셔츠원단(11)과 한 몸체가 되는 움푹 패어진 컵 형태를 가지는 브래지어(20)(20')를 성형하는 단계(S5); 및
    상기 브래지어(20)(20')가 형성된 상기 제1셔츠원단(11)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셔츠원단(12)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브래지어일체형 셔츠(100)를 완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는,
    상기 성형돌부(M2')의 선단측에 유두성형돌기(M2")가 형성된 제2몰드(M2)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지어(20)(20')의 내측에 착용자의 유두가 위치되는 유두홈(25)(25')을 성형하는 유두성형단계(S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는,
    다수의 막힘구멍패턴이 형성된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인쇄패턴(21)(21')을 인쇄한 후 열을 가하여 부품림으로써 다수의 통기공(26)(26')이 형성된 베이스패드(22)(22')를 형성하는 단계(S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KR1020190106429A 2019-08-29 2019-08-29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KR10205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29A KR102052858B1 (ko) 2019-08-29 2019-08-29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29A KR102052858B1 (ko) 2019-08-29 2019-08-29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58B1 true KR102052858B1 (ko) 2019-12-05

Family

ID=6900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429A KR102052858B1 (ko) 2019-08-29 2019-08-29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19U (ko) 2020-11-23 2022-05-3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여성용 상의
KR20230077265A (ko) 2021-11-25 2023-06-0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형 패드의 수납이 용이한 상의
KR20230001125U (ko) 2021-11-25 2023-06-0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상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045A (ja) * 1996-02-26 1997-09-02 Marusan Shokai Kk 保温性布地及びその製法
KR19990038354U (ko) * 1998-03-24 1999-10-25 김기선 브레지어가 구비된 여성용 상의
KR100817304B1 (ko) * 2006-12-28 2008-03-27 김송희 여성용 셔츠
KR101059105B1 (ko) * 2010-09-13 2011-08-24 (주)원텍스인터내셔날 브래지어용 컵 성형장치
KR20150054099A (ko) * 2013-11-11 2015-05-20 이대원 브라 컵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045A (ja) * 1996-02-26 1997-09-02 Marusan Shokai Kk 保温性布地及びその製法
KR19990038354U (ko) * 1998-03-24 1999-10-25 김기선 브레지어가 구비된 여성용 상의
KR100817304B1 (ko) * 2006-12-28 2008-03-27 김송희 여성용 셔츠
KR101059105B1 (ko) * 2010-09-13 2011-08-24 (주)원텍스인터내셔날 브래지어용 컵 성형장치
KR20150054099A (ko) * 2013-11-11 2015-05-20 이대원 브라 컵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19U (ko) 2020-11-23 2022-05-3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여성용 상의
KR20230077265A (ko) 2021-11-25 2023-06-0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형 패드의 수납이 용이한 상의
KR20230001125U (ko) 2021-11-25 2023-06-0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858B1 (ko)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브래지어 일체형 셔츠
US6398620B1 (en) Lining pad for a brassiere
US8672728B2 (en) Female breast pad
KR100817304B1 (ko) 여성용 셔츠
KR100685522B1 (ko) 보정 속옷
JP2020041244A (ja) 衣類
CN108065460B (zh) 内衣结构
KR101195420B1 (ko) 노와이어 브라용 컵 및 이를 포함하는 노와이어 브라
WO2022155761A1 (zh) 罩杯改良结构、其制造方法及包含其的内衣
JP4866070B2 (ja) 装身用パ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6038B1 (ko) 브라 컵 제조방법
CN208609942U (zh) 一种吊带式文胸
KR200338046Y1 (ko) 누디브라
JP3099254U (ja) ブラジャーのカップ部に内装または装着する乳房サポート用の通気性のカップまたはパット
KR200361018Y1 (ko) 몰드형 브래지어컵
KR200239676Y1 (ko) 브래지어용 안감패드
CN219108759U (zh) 一种透气文胸及模具
JP3117128U (ja) 前身中央生地シームレスブリーフ
CN212520820U (zh) 乳胶透气内衣
KR200322618Y1 (ko) 브래지어용 패드
CN208462969U (zh) 一种能够包裹副乳的文胸
KR200266977Y1 (ko) 브래지어 컵
KR200267000Y1 (ko) 브래지어 컵
JP3095880U (ja) ブラジャー
KR20220006921A (ko) 통기성과 착용감이 양호한 여성용 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