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487B1 - 부착형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부착형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487B1
KR101230487B1 KR1020100043512A KR20100043512A KR101230487B1 KR 101230487 B1 KR101230487 B1 KR 101230487B1 KR 1020100043512 A KR1020100043512 A KR 1020100043512A KR 20100043512 A KR20100043512 A KR 20100043512A KR 101230487 B1 KR101230487 B1 KR 10123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ra
user
extensio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990A (ko
Inventor
장순혁
박용식
Original Assignee
박용식
장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장순혁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102010004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4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6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 A41C3/065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e.g.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지어 컵의 테두리 부분에서 연장된 날개 부위 또는 밀착면 등과 같이 컵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없이도 우수한 밀착력을 유지하고, 구김현상 및 들뜸현상이 없이 푸시업효과 및 볼륨업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부착형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부착형 브래지어는, 한 쌍의 컵이 상호 인접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고, 각 컵의 내표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부착형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컵은 외피와 내피 사이에 외측으로 만곡된 외형상을 갖는 보형물을 구비하되, 상기 보형물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오목한 내형상으로 중앙부분을 형성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두께보다 얇고 상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윗가슴(breast)과 면접촉이 가능하고 하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몸통(body)과 면접촉이 가능한 경사를 갖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더욱 방사형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점착층은 적어도 상기 연장부와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컵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컵이 내표면 컵사이즈와 대비하여 외표면 컵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부착형 브래지어{Attaching type brassiere}
본 발명은 부착형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지어의 착용 상태가 외관상 드러나지 않고, 가슴의 크기가 커보이도록 볼륨업(volume-up)시킴과 더불어 가슴을 몸의 가운데로 모아 올려주어 풍만해보이도록 푸시업(push-up)시킬 수 있는 부착형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여성들의 미(美)의 기준이 점차 서구화되어가면서 풍만한 가슴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가슴이 크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브래지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브래지어는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고 있으나, 특히, 수영복, 드레스 등과 같이 어깨가 노출되는 옷을 입을 때 브래지어 어깨끈이 노출됨을 개선하기 위하여 끈이 없는 부착형 브래지어가 개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착형 브래지어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1909호(등록일자2009.8.5)에는 “끈을 사용하지 않고, 봉제선이 없으며, 방수처리가 필요없는 부착형 브래지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0911909호에 기재된 부착형 브래지어는 컵(1110)과 부착부위(1120)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부위(1120)는 한 쌍의 컵(1110)을 연결하는 중앙 부위(1122), 상기 중앙 부위(1122)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컵(1110)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가슴 부위(1124) 및 상기 가슴 부위(1124)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겨드랑이와 대응되는 날개 부위(112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컵(1110)을 제외한 상기 중앙 부위(1122), 가슴 부위(1124) 혹은 날개 부위(1126)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점착층(11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층(1150)에 의해 브래지어가 신체에 부착된 상태가 되어 컵(1110)이 가슴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날개 부위(1126)가 있는 부착형 브래지어는, 가슴 부위(1124)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 부위(1126)가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대응하여 위치되므로, 여름철에 민소매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상기 날개 부위(1126)가 쉽게 외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1150)이 중앙 부위(1122), 가슴 부위(1124), 날개 부위(1126)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여름철과 같이 땀이 가장 많이 나는 계절에는 신체부위인 겨드랑이에 대응하여 위치된 날개 부위(1126)가 땀으로 인해 부착력이 쉽게 약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날개 부위(1126)의 약해진 부착력과 컵(111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가슴 하중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중앙 부위(1122), 가슴 부위(1124)의 부착력도 점점 약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브래지어가 신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부착형 브래지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1789호(등록일자2007.5.18)에는 “브래지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0721789호에 기재된 부착형 브래지어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날개 부위가 없으며, 한 쌍의 컵(2000) 및 상기 컵(2000)의 내측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제(2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컵의 내측 하부에 융기부(2200)가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2200)는 사용자의 가슴 아랫부분을 위로 올려주어 푸시업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가슴이 더욱 풍만하게 보이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 부위가 없고 융기부(2200)가 형성된 부착형 브래지어는, 민소매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하더라도 브래지어가 노출되지 않고,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으로 인해 브래지어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없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컵(2000)의 내측 하부에 융기부(2200)가 형성된 부착형 브래지어는 사용자의 돌출된 유두로 인해 유두 부분의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활동 시, 특히, 몸을 수그리는 동작에 있어 사용자의 가슴 하중이 하단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가슴 하단이 융기부(2200)를 밀어내게 되며, 결과적으로, 융기부(2200)의 푸시업 기능이 떨어짐과 동시에 융기부(2200)가 밀려나 컵(2000)의 하단이 구겨지거나 들뜨게 되어 가슴선이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몸에 밀착된 상의를 입고 있는 상태에서 상의와 밀착된 브래지어가 구겨지거나 들뜨게 되면, 구겨지거나 들뜬 브래지어의 형상이 상의를 통해 드러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 또는 점착제가 신체에 부착되는 점을 이용한 종래의 부착형 브래지어 이외에도, 브래지어 착용시 브래지어 컵의 외측면과 의복의 내측면이 서로 마찰함에 따라 발생된 정전기에 의한 고정력 및 브래지어 컵의 외곽부에서 연장된 밀착면을 구비함으로써 신체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밀착력을 이용하여 브래지어의 유동을 방지한 상태로 착용하며, 내측 하부에는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가슴이 더욱 풍만하게 보이도록 한 밀착형 브래지어가 있다.
상기 밀착형 브래지어는 부착형 브래지어와 차별하여 점착층을 배제한 형태로, 브래지어가 피부에 밀착만 되도록 하여 점착층과 피부가 접촉됨에 따른 피부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밀착형 브래지어도, 상기 등록특허 제0911909호에 기재된 부착형 브래지어와 마찬가지로, 여름철에 민소매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컵의 외곽부에서 연장된 밀착면이 쉽게 외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브래지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두꺼운 부분으로 인하여, 상기 등록특허 제0721789호에 기재된 부착형 브래지어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컵의 내측 하부가 구겨지거나 들뜸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래지어 컵의 테두리 부분에서 연장된 날개 부위 또는 밀착면 등과 같이 컵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없이도 우수한 밀착력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활동 시 구김현상 및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자의 가슴을 몸의 가운데로 모아 올려주어 풍만해보이도록 푸시업효과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가슴 크기가 커보이도록 볼륨업(volume-up)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부착형 브래지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착형 브래지어는, 한 쌍의 컵이 상호 인접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고, 각 컵의 내표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부착형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컵은 외피와 내피 사이에 외측으로 만곡된 외형상을 갖는 보형물을 구비하되, 상기 보형물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오목한 내형상으로 중앙부분을 형성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두께보다 얇고 상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윗가슴과 면접촉이 가능하고 하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몸통과 면접촉이 가능한 경사를 갖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더욱 방사형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점착층은 적어도 상기 연장부와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컵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컵이 내표면 컵사이즈와 대비하여 외표면 컵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부의 내형선은, 상기 테두리부에 위치한 임의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부와의 경계에서 상기 테두리부와의 경계를 향할수록 접선기울기가 점차 완만해지게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부측 연장부보다 하부측 연장부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브래지어 컵의 테두리 부분에서 연장된 날개 부위 또는 밀착면 등과 같이 컵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없이도 우수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활동 시, 특히, 몸을 수구리는 동작시에도 구김현상 및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스런 가슴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용자의 가슴을 몸의 가운데로 모아 올려주어 풍만해보이도록 푸시업효과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표면 컵사이즈와 대비하여 외표면 컵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작은 크기의 가슴을 가진 사용자가 착용시 가슴 크기가 커보이도록 볼륨업효과를 제공하므로, 푸시업효과와 함께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착형 브래지어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부착형 브래지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착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의 점착층의 제1형태를 도시한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의 점착층의 제2형태를 도시한 후면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착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한 쌍의 컵(12), 연결부(14), 점착층(16), 보형물(100), 외피(210), 내피(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형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컵(12)은 상기 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인접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가슴이 중앙측으로 모여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컵(12)의 내표면에는 점착층(16)이 형성되며, 이러한 점착층(16)에 의해 각 컵(12)이 신체에 부착되어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컵(12)은 외피(210)와 내피(220) 사이에 외측으로 만곡된 외형상을 갖는 보형물(100)을 구비한다.
상기 외피(210)는 직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형물(100)의 외표면에 접착제 등으로 밀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내피(220)는 상기 외피(2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피(220)는, 상기 내피(220)의 외부면에 점착층(16)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셀의 크기가 작은 직물로 구성하거나 방수처리를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점착층(16)의 형성을 위한 점착제가 내피(220)를 통과해 보형물(100)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220)도 상기 외피(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형물(100)의 내표면에 접착제 등으로 밀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외피(210)와 내피(220) 이외에도, 외피(210)의 내외면 및/또는 내피(220)의 내외면에 추가적인 직물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형물(100)의 외표면과 내표면에 각각 접착된 외피(210)와 내피(220)의 테두리 부분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10), 보형물(100), 내피(220)의 테두리 부분을 함께 감싸는 바이어스 테이프(230)에 의해 마감 봉제처리될 수 있다.
상기 보형물(100)은 상기 내피(220)와 외피(210)의 사이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보형물(100)의 외형상은 요철이나 부분적인 굴곡이 없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완만하게 이루어진 봉분형(封墳型)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형물(100)은, 예를 들어, 스펀지, 부직포,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앙부(110), 연장부(120), 테두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부(110)는 사용자의 유두(乳頭) 내지 유륜(乳輪)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오목한 내형상으로 컵(12)의 중앙부분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유두 내지 유륜과 면접촉 또는 비접촉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중앙부(110)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상기 중앙부(110)에서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대략 사용자의 가슴(breast)과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110)와 상기 연장부(120)의 대략적인 경계점인 "P1"을 기준으로 연장부(120)가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장부(120)의 두께는 상기 중앙부(110)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10)를 기준으로 상부측 연장부(120a)보다 하부측 연장부(120b)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두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하부측 가슴이 상부측 가슴보다 더욱 압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장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은 컵(12)의 중앙부분으로 모여지게 됨과 동시에 하부측 가슴이 상부측 가슴보다 더욱 압박됨에 따라 사용자의 가슴이 상방으로 올려지게 되어 푸시업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120)의 내형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30)에 위치한 임의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PL)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부(110)와의 경계에서 상기 테두리부(130)와의 경계를 향할수록 접선기울기가 점차 완만해지게 이뤄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 내지 P4에서의 기울기의 상호 관계는 "P1에서의 기울기(α1) > P2에서의 기울기(α2) > P3에서의 기울기(α3) > P4에서의 기울기(α4)"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20)의 내형선이 상기 중앙부(110)와의 경계에서 상기 테두리부(130)와의 경계를 향할수록 접선기울기가 점차 완만한 형태로 이뤄짐에 따라서, 후술하는 테두리부(130)가 가슴 또는 몸통과 면접촉이 가능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에 있어, 상기 연장부(120)와 상기 테두리부(130)가 자연스럽게 상호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30)는 상기 연장부(120)의 두께보다 얇도록 상기 연장부(120)에서 더욱 방사형으로 연장형성되어 테두리를 이룬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30)의 상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윗가슴(BRP, breast)과 면접촉이 가능하고, 상기 테두리부(130)의 하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몸통(BOP, body)과 면접촉이 가능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점착층(1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0), 테두리부(130)에 대응하는 컵(12)의 내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20), 테두리부(130)에 대응하는 컵(12)의 내표면에 형성된 점착층(16)에 의해서, 대략 사용자의 가슴과 면접촉을 이루는 연장부(120), 상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윗가슴과 면접촉되고 하부측은 대략 사용자의 몸통과 면접촉되는 테두리부(130), 즉, 상기 연장부(120)와 테두리부(130)가 각각 점착됨에 따라 본 실시예의 부착형 브래지어가 신체에 견고하게 점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층(1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10), 연장부(120), 테두리부(130)에 대응하는 컵(12)의 내표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110), 연장부(120), 테두리부(130)에 대응하는 컵(12)의 내표면에 모두 점착층(16)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부(110)가 사용자의 실제 가슴 사이즈의 차이에 따라 유두 내지 유륜에 부착되거나 비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110), 연장부(120), 테두리부(130)를 포함하여 이뤄진 보형물(100)은, 외피(210)와 내피(22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컵(12)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짓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형물(100)에 의해 형상이 결정되는 컵(12)이, 내표면 컵사이즈(도 7의 IS)와 대비하여 외표면 컵사이즈(도 7의 OS)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이뤄진다.
즉, 소정 두께의 중앙부(110), 상기 중앙부(110)보다 두껍도록 형성된 연장부(120) 및 상기 연장부(120)보다 얇게 형성된 테두리부(130)의 형성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12)의 내표면 컵사이즈(IS)보다 컵(12)의 외표면 컵사이즈(OS)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컵(12)의 내표면 컵사이즈(IS)가 "A"사이즈라면, 컵(12)의 외표면 컵사이즈(OS)는 "B"사이즈 또는 "C"사이즈 등과 같이, 더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컵(12)의 내표면 컵사이즈(IS)보다 컵(12)의 외표면 컵사이즈(OS)가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서, 가슴의 크기가 작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가슴형상으로 보일 수 있는 볼륨업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형물(100)은, 상기 중앙부(110)가 너무 얇게 형성되어 컵(12)의 형상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 상기 연장부(120)가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테두리부(130)가 신체에서 들뜬 상태가 되거나 브래지어 착용시의 불편함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컵(12)의 내표면 컵사이즈(IS)가 "A"사이즈이고, 컵(12)의 외표면 컵사이즈(OS)가 "B"사이즈로 이뤄진 컵(12)은, 테두리부(130)의 최장직경이 대략 150mm(±2)가 되고, 상기 중앙부(110)의 최소두께가 8mm(±1)가 되며, 상기 연장부(120)의 최고두께가 14mm(±1)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테두리부(13)의 최장직경, 상기 중앙부(110)의 최소두께 및 상기 연장부(120)의 최고두께의 상호 간의 비율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컵(12)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고, 브래지어 착용시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브래지어의 착용방법, 볼륨업효과 및 푸시업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부착형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 테두리부(130)의 하부측(130b)를 사용자의 몸통(body)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연장부(120)의 하부측(120b), 연장부(120)의 상부측(120a), 테두리부(130)의 상부측(130a)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연장부(120)에 의해 가슴이 모여짐과 동시에 연장부(120)의 하부측(120b)의 압박으로 푸시업효과가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측 테두리부(130)를 사용자의 몸통(body)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20)의 하부측(120b)으로 가슴의 하측을 압박한 상태로 부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장부(120)의 상부측(120a)과 테두리부(130)의 상부측(130a)을 연속적으로 부착시킴에 따라 각 컵(12)이 사용자의 가슴에 각각 부착되도록 한다.
사용자의 가슴에 각각 부착된 컵(12)을 연결부(14)로 연결함에 따라 사용자의 양쪽 가슴은 중앙측으로 모여짐과 더불어 연장부(120)에 의해 푸시업효과가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컵(12)의 내표면 컵사이즈(IS)보다 컵(12)의 외표면 컵사이즈(OS)가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가슴을 보다 크게 보이게 하는 볼륨업효과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부착형 브래지어는, 테두리부(130)의 하부측(130b)이 몸통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활동 시, 특히, 몸을 수구리는 동작시에도 구김현상 및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스런 가슴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2:컵
14:연결부
16:점착층
100:보형물
110:중앙부
120:연장부
130:테두리부

Claims (3)

  1. 한 쌍의 컵이 상호 인접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고, 각 컵의 내표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부착형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컵은 외피와 내피 사이에 외측으로 만곡된 외형상을 갖는 보형물을 구비하되, 상기 보형물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오목한 내형상으로 중앙부분을 형성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두께보다 얇고 상부측은 사용자의 윗가슴(breast)과 면접촉이 가능하고 하부측은 사용자의 몸통(body)과 면접촉이 가능한 경사를 갖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더욱 방사형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점착층은 적어도 상기 연장부와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컵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컵이 내표면 컵사이즈와 대비하여 외표면 컵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브래지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형선은, 상기 테두리부에 위치한 임의의 세 점을 지나는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부와의 경계에서 상기 테두리부와의 경계를 향할수록 접선기울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브래지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부측 연장부보다 하부측 연장부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브래지어.
KR1020100043512A 2010-05-10 2010-05-10 부착형 브래지어 KR10123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512A KR101230487B1 (ko) 2010-05-10 2010-05-10 부착형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512A KR101230487B1 (ko) 2010-05-10 2010-05-10 부착형 브래지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990A KR20110123990A (ko) 2011-11-16
KR101230487B1 true KR101230487B1 (ko) 2013-02-06

Family

ID=4539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512A KR101230487B1 (ko) 2010-05-10 2010-05-10 부착형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38B1 (ko) 2013-11-11 2015-09-30 이대원 브라 컵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99Y1 (ko) * 2018-11-16 2019-08-09 주식회사 케이앤디인터내셔널 가슴 보정 속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6006B1 (en) * 2000-03-08 2001-10-23 Wei Sheng Fabric Enterprise Co., Ltd. Brassiere pad
KR200403565Y1 (ko) 2005-03-11 2005-12-09 첸 파이-치엔 개선된 점착성 브래지어
KR20070023925A (ko) * 2005-08-25 2007-03-02 박길석 일회용 브래지어와 그 제조방법
JP3143820U (ja) 2008-05-26 2008-08-07 照雄 浅野 貼着式ブラジャ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6006B1 (en) * 2000-03-08 2001-10-23 Wei Sheng Fabric Enterprise Co., Ltd. Brassiere pad
KR200403565Y1 (ko) 2005-03-11 2005-12-09 첸 파이-치엔 개선된 점착성 브래지어
KR20070023925A (ko) * 2005-08-25 2007-03-02 박길석 일회용 브래지어와 그 제조방법
JP3143820U (ja) 2008-05-26 2008-08-07 照雄 浅野 貼着式ブラジャ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38B1 (ko) 2013-11-11 2015-09-30 이대원 브라 컵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990A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1436C (en) Woman's undergarment
EP2563174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lothing
US8246416B2 (en) Comfort bra liner
KR20040053108A (ko) 등없고 끈없는 개량브라
JP2006002324A (ja) 一体のブラシステムを備えた衣類
KR101578401B1 (ko) 속옷 일체형 여성 의류
US7927180B2 (en) Brassiere with edge bonding of side panel layers
JP4806620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KR101230487B1 (ko) 부착형 브래지어
JP2008274527A (ja) ブラジャー
WO2021120523A1 (zh) 侧位、底缘增强型大罩杯结构及新型文胸
US6425799B1 (en) Underwire bra
US8066546B2 (en) Brassiere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7368686B2 (ja) 上半身衣類および上半身衣類の製造方法
JP3129339U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20056146A (ja) ストラップレスブラ
JP3121552U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442122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102008088B1 (ko) 브래지어
JP6644393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486387Y1 (ko) 브래지어용 몰드컵
TWM583207U (zh) 隱形內衣
JP6725953B1 (ja) パット及びカップ収納部を有する女性用下着
CN213463842U (zh) 胸部支撑服装和胸部支撑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