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710A - 수영 경기용 수영복 - Google Patents

수영 경기용 수영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710A
KR20150053710A KR1020140153489A KR20140153489A KR20150053710A KR 20150053710 A KR20150053710 A KR 20150053710A KR 1020140153489 A KR1020140153489 A KR 1020140153489A KR 20140153489 A KR20140153489 A KR 20140153489A KR 20150053710 A KR20150053710 A KR 2015005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mwear
cloth
swimming
swimsui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386B1 (ko
Inventor
다케시 마쓰자키
신지 도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體長)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주변으로부터 유두부 주변을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고, 상전장골극, 대전자(greater trochanter)를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영 경기용 수영복{A COMPETITION SWIMWEAR}
본 발명은,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관한 것이며, 접합부를 수영중의 물의 흐름을 따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저항을 삭감할 수 있는 커팅 수영 경기용 수영복, 바람직하게는 체간(體幹部)에 강긴체(强緊締)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플랫(flat)한 자세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약긴체(弱緊締)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게 하고 각부(脚部)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요구되는 기능은, 수영 경기시에 스위머(swimmer)가 받는 저항을 작게 하거나 킥 등의 동작을 서포트하는 것으로서, 종래, 스위머의 자세를 저항이 적은 자세로 유지하는 기술, 동작을 서포트하는 기술, 수영복의 저항을 삭감하는 기술 등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전방 부재보다 후방 부재의 신장(伸張) 응력을 크게 함으로써, 고관절 신전(伸展) 시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수영복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옷깃의 전부(前部) 중앙으로부터 각각 전신경(前身頃; 앞옷길)의 좌우의 버스트(bust)부를 가장자리를 형성하면서 옆구리부를 지나서 히프부 중앙에 도달하는 좌우 대칭인 2개의 솔기가 형성된 수영복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복부 및 배하부(背下部) 영역의 주위에 연장하도록 베이스 천의 내측에 접착된,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수영복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068384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등록출원 공개 소62-079818호 공보 일본 특허 제5130572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다양한 개량이 가해져 왔지만, 하기와 같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영복에서는, 수영중의 물의 흐름에 대한 솔기 등의 접합부의 배치가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접합부의 배치에 따라 수중에서의 수류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방 부재에 신장 응력이 큰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체간부가 앞쪽으로부터 서포트되고 있지 않아, 수중에서의 플랫한 자세 유지가 곤란하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수영복에서도, 수영중의 물의 흐름에 대한 솔기 등의 접합부의 배치가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접합부의 배치에 의해 수중에서의 수류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체간부에 강긴체 부분 및 약긴체 부분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수중에서의 플랫한 자세 유지의 용이하게 하지 않고, 착탈의 용이성과 각부의 움직임의 용이성의 양립을 실현할 수 없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수영복에서도, 수영중의 물의 흐름에 대한 솔기 등의 접합부의 배치가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접합부의 배치에 의해 수중에서의 수류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부 및 배하부 영역의 주위에 강긴체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이 설치되어 있지만, 상반신으로부터 하반신에 있어서는 서포트되고 있지 않고, 수중에서의 플랫한 자세 유지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골반 주위에 연속적으로 강긴체 부분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착탈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합부를 수영중의 물의 흐름을 따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저항을 삭감할 수 있는 커팅 수영 경기용 수영복, 바람직하게는 체간부에 강긴체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플랫한 자세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약긴체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착탈의 용이성이나 각부의 움직임을 용이성을 양립할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體長)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하부로부터 유두부를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고, 상전장골극, 대전자(greater trochanter; 大轉子)를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주변으로부터 유두부 주변을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전장골극 주변, 대전자 주변을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츠(spats)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영복은,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긴체력(緊締力; tightening force)이 상이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을 배치하고, 후신경(後身頃; 뒷옷길)의 전부, 또는 적어도 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 또는 적어도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을 배치하고, 그 외의 부위에 약긴체 천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천 조각을 배치함으로써, 물의 저항을 가장 받기 쉬운 흉부로부터 웨이스트부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천에 강긴체 부위와 약긴체 부위를 설치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플랫한 자세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체간부를 안정시키면서 고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킥 동작을 용이하게 시킬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신경의 양쪽 겨드랑이 부분에 약긴체 천을 배치함으로써,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공한다.
도 1의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측면도이며, 도 1의 C는 배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측면도이며, 도 2의 C는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측면도이며, 도 3의 C는 배면도이다.
도 4는, 수영할 때의 인체 주위의 물의 흐름을 가시화한 모식도이며, 도 4의 A는 수영복의 정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B는 측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C는 배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수영할 때의 플랫한 자세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며, 도 5의 B는 플랫한 자세를 취했을 때의 수중의 진행 방향에 대한 신체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C는, 수영 시의 허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며, 도 5의 D는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취했을 때의 수중의 진행 방향에 대한 신체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E는, 수영 시의 다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며, 도 5의 F는 수영 시의 다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취했을 때의 수중의 진행 방향에 대한 신체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먼저, 수영중의 인체 주위의 물의 흐름을 가시화했다. 실험은, 등신대(等身大) 인체 모형을 사용하고, 회유 수조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등신대 인체 모형은 실제 수영할 때를 고려하여, 두부(頭部) 및 신체의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위에 있는 상태와, 완전히 물에 잠긴 상태의 2개의 상태에서 행하였고, 가시화는 터프트법(tuft method)이나 색소 주입법 등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특히 물의 저항을 받기 쉬운 신체 전면(前面)에 있어서, 흉부에서는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고, 늑골 하부 근처에서 양측으로 만곡되는 흐름과, 몸의 길이 방향을 따른 흐름이 생기고, 양측으로 만곡된 흐름은 웨이스트부 주변에서 몸 측으로 더욱 흐르고, 골반 주변에서 배면의 상류로부터의 흐름과 합류하여, 몸의 길이 방향의 하류로 흐르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 4에 수영중의 물의 흐름을 가시화한 모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형태가 되는 수영복의 정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B는 측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C는 배면도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웨이스트부에서는 흐름이 빨라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등신대 인체 모형의 수면에 대한 2개의 상태에서는, 배면의 견갑골 근처로부터 웨이스트부에 있어서는 물의 흐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신체 전면(前面)에서는 차이는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물의 흐름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합부를 설치하면, 수영복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저항 증가로 이어지므로, 전술한 물의 흐름을 따라 접합부를 설치하는 것이 저항 감소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하부로부터 유두부를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고, 상전장골극, 대전자를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저항을 가장 받기 쉬운 흉부로부터 웨이스트부, 및 대퇴부 외측면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공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하프 슈트(half suit)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상기 실시형태의 수영 경기용 수영복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주변으로부터 유두부 주변을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저항을 가장 받기 쉬운 흉부로부터 웨이스트부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공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여성용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상기 실시형태의 수영 경기용 수영복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전장골극 주변, 대전자 주변을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저항을 받기 쉬운 웨이스트부로부터 대퇴부 외측면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으로, 수영 경기 시에 허리나 다리의 위치가 상반신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형상 저항이 커지고, 운동 퍼포먼스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銳意) 검토했다. 수영 경기 등에 있어서, 레이스가 진행됨에 따라 지치면, 킥의 템포가 떨어져 허리의 위치가 상반신의 위치보다 낮아져서 신체가 서는 경우가 있다. 신체가 서게 되면, 다리의 위치도 낮아지게 된다. 도 5의 A는 수영 시의 플랫한 자세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며, 도 5의 B는 플랫한 자세를 취했을 때의 수중의 진행 방향에 대한 신체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C는, 수영 시의 허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며, 도 5의 D는 허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취했을 때의 수중의 진행 방향에 대한 신체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E는, 수영 시의 다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경우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며, 도 5의 F는 다리가 수평 위치로부터 떨어진 자세를 취했을 때의 수중의 진행 방향에 대한 신체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신체가 플랫한 자세(수평 자세)의 경우에는, 수중의 진행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이 작고, 물에 의한 형상 저항이 적다. 그러나, 도 5의 C∼F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허리의 위치나 다리의 위치가 낮아지면, 수중의 진행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이 커지고, 물에 의한 형상 저항이 커진다. 그러므로, 허리의 위치나 다리의 위치가 낮아지면, 스트로크도 짧아져, 속도도 저하되며, 결과적으로 운동 퍼포먼스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플랫한 자세에 대하여, 허리의 위치나 다리의 위치가 낮아지면 형상 저항은 약 2배 이상이 된다. 선수가 도 5의 A와 같은 플랫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슴을 내측으로 조여서, 복압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보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에 걸친 신체 전면(前面)과,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에 걸친 신체 배면의, 양면을 강긴체 천으로 가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골반 주위를 연속적으로 강긴체 천으로 덮는 방법도 자세 유지에는 유효하지만, 킥 동작을 방해하거나 착탈에 힘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전자는, 킥 동작의 기점(基点)이 되므로 긴체력을 약하게 하는 것이 용이한 움직임으로 이어진다. 또한, 배면에 있어서, 적어도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 강긴체 천을 배치함으로써, 피로하기 쉬운 햄스트링스(hamstrings)를 보조하고, 하반신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의해 효과적이다. 또한, 복부보다 상부의 신체 전면(前面)에 강긴체 천을 배치함으로써, 가슴을 내측으로 조이는 감각을 보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허리부보다 상부의 신체 배면에 강긴체 천을 배치함으로써, 전후 양면을 강긴체 천으로 압박하므로, 보다 자세가 안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긴체력이 상이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을 배치하고, 후신경의 전부, 또는 적어도 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 또는 적어도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서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을 배치하고, 그 외의 부위에 약긴체 천을 배치함으로써, 허리의 위치나 다리의 위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방지하여, 신체를 플랫한 자세로 유지하여, 체간부를 안정시키면서 고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킥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쪽 겨드랑이 부분에 약긴체 천을 배치함으로써,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영 경기용 수영복의 타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 남자용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 여성용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 등의 어느 것이라도 된다. 남자용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하프 스패츠형이라도 된다.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 또는 남자용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는,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배치된 강긴체 천의 최대 폭이, 상기 수영복의 히프 폭에 대하여 42%∼60%인 것이 바람직하다. 42% 미만에서는, 충분한 체간 안정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60%를 초과하면 착탈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체간 안정 효과가 그 이상 향상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체간 안정 효과 및 착탈 용이함의 양립의 관점에서, 45%∼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여성용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는,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배치된 강긴체 천의 최대 폭이, 상기 수영복의 히프 폭에 대하여 6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미만에서는, 충분한 체간 안정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70%를 초과하면 착탈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체간 안정 효과가 그 이상 향상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히프 폭의 산출 방법은,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가랑이로부터 위로 7 cm의 부위에서의 패턴 치수에서의 폭, 남자용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허벅지로부터 위로 8 cm의 부위에서의 패턴 치수에서의 폭, 여성용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좌우의 다리가 통과하는 부분의 정상점(頂点)을 연결하는 선의 패턴 치수에서의 폭으로 한다. 전신경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배치된 강긴체 천의 최대 폭(이하에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폭이라고도 기재함)은, 그 부위의 패턴 치수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수영 경기용 수영복(10)의 정면도, 도 1의 B는 측면도, 도 1의 C는 배면도이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10)은,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수영 경기용 수영복(10)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11, 12, 13 및 14)으로 이루어지고,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12)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배치)되어 있고, 쇄골 하부로부터 유두부를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고, 상전장골극, 대전자를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영중에 물의 저항을 가장 받기 쉬운 흉부로부터 웨이스트부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1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긴체력이 상이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11, 12, 13 및 14)으로 이루어지고,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11)을 배치하고, 후신경의 전부, 또는 적어도 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 또는 적어도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서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14)을 배치하고, 그 외의 부위에는 약긴체 천(12 및 13)을 배치하고 있다. 강긴체 천(11 및 14)에 의해, 전후보다 신체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조임으로써, 신체를 플랫한 자세로 유지하여, 체간을 안정시키고 수영 시에 허리나 다리가 상반신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10)을 착용하고, 수영 시에 킥을 하면, 강긴체 천(14)에 의해, 화살표(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 힘은 화살표(2)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과 화살표(3)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로서 기능한다. 화살표(2)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은, 고관절의 내선(內旋) 방향의 힘(토크(torque))가 되어, 다리(무릎)가 밖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3)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은, 고관절 신전(伸展) 방향의 힘이 되어, 다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긴체 천(12)에 의해, 고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킥 동작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의 수영 경기용 수영복(20)의 정면도, 도 2의 B는 측면도, 도 2의 C는 배면도이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20)은, 여성용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이다. 도 2의 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수영 경기용 수영복(20)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21, 22 및 24)으로 이루어지고,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22)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하부로부터 유두부를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저항을 가장 받기 쉬운 흉부로부터 웨이스트부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2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긴체력이 상이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21, 22 및 24)으로 이루어지고,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21)을 배치하고, 후신경의 전부, 또는 적어도 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 또는 적어도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서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24)을 배치하고, 그 외의 부위에는 약긴체 천(22)을 배치하고 있다. 강긴체 천(21 및 24)에 의해, 전후보다 신체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조임으로써, 신체를 플랫한 자세로 유지하여, 체간을 안정시키고 수영할 때 허리나 다리가 상반신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약긴체 천(22)에 의해,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의 수영 경기용 수영복(30)의 정면도, 도 3의 B는 측면도, 도 3의 C는 배면도이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30)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이다. 도 3의 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수영 경기용 수영복(30)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31, 32, 33 및 34)으로 이루어지고,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32)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전장골극 주변, 대전자 주변을 거쳐 대퇴부 외측을 따라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저항을 받기 쉬운 웨이스트부로부터 대퇴부 외측면의 접합선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3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긴체력이 상이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31, 32, 33 및 34)으로 이루어지고,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31)을 배치하고, 후신경의 전부, 또는 적어도 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 또는 적어도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서 덮는 부분에 강긴체 천(34)을 배치하고, 그 외의 부위에 약긴체 천(32 및 33)을 배치하고 있다. 강긴체 천(31 및 34)에 의해, 전후보다 신체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조임으로써, 신체를 플랫한 자세로 유지하여, 체간을 안정시키고 수영할 때 허리나 다리가 상반신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수영 경기용 수영복(30)을 착용하고, 수영 시에 킥을 하면, 강긴체 천(34)에 의해, 화살표(4)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 힘은 화살표(5)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과 화살표(6)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으로서 기능한다. 화살표(5)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은, 고관절 내선 방향의 힘(토크)이 되어, 다리(무릎)가 밖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6)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은, 고관절 신전 방향의 힘이 되어, 다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긴체 천(32)에 의해, 고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킥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신축성을 가지는 천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사용되는 천의 소재로서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등의 합성 섬유 멀티 필라멘트사(yarn), 또는 이들 합성 섬유 멀티 필라멘트사와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교편(交編), 또는 교직(交織)으로 이루어지는 편물,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영 경기용 수영복은 동작하기 용이한 점이 중요시되는 경우도 많으며, 소재 형태로서는 합성 섬유 멀티 필라멘트사와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교편에 의한 편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편물 형태로서는, 환편지(wiping cloth)인 싱글 환편지, 더블 환편지, 경편지인 트리코(tricot)지, 라셀(raschel)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동작의 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치성, 천이 얇은 등의 관점에서 트리코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강한 서포트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소재 형태로서는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합성 섬유 멀티 필라멘트사로 커버링한 복합사를 날실, 씨실로서 사용한 직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사용되는 천은, 발수성(撥水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사용되는 발수제로서는, 실리콘계 발수제, 불소계 발수제 등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각종 발수 처리제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의 발수 부분에 사용되는 처리제는, 발수제라는 명칭에 구애받지 않으며, 천이 물을 포함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수영복의 수중에서의 중량을 실질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면 어떤 처리제라도 되고, 예를 들면, 프린트제, 실링제와 같은 명칭을 가지는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사용되는 천은, 표면의 마찰 저항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표면 평활 가공, 리블렛 가공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표면 평활화 가공을 천에 행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여기서 말하는 평활화 가공이란, 편지(編地) 표면에서의 루프에 의한 요철(凹凸) 형상 등을 열이나 압력 등에 의해 눌러서 찌부러뜨려서, 표면을 상기 가공 처리 전보다 매끄럽게 변화시키는 가공 수단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가공 안정성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평활화 가공의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캘린더 가공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공하는 가공기로서는 통상의 가열 롤과 페이퍼 롤, 또는 코튼 롤에 의해 구성되는 캘린더 가공기, 또는 판형물을 사용한 캘린더 가공을 사용할 수 있고, 가열 금속 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면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영 경기 수영복용의 편지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캘린더 가공 조건은, 편지의 폭 100 cm∼220 cm에 대하여, 선압으로 1 t/cm∼60 t/cm 정도로 하고, 롤 온도는 130℃∼2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평활화 가공으로서는, 가열 금속 롤과 가죽 벨트를 가지는 전사(轉寫) 프린트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들 평활화 가공의 조건은, 편지의 종류, 표면 요철감, 감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평활면보다 더욱 표면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천 표면에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세한 홈 또는 두둑을 형성함으로써 저항 저감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사용되는 강긴체 천은, 약긴체 천에 대하여, 50% 신장시의 응력이 세로, 가로 모두 13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신장시의 응력이 130% 미만인 경우, 긴체력의 차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수중에서 플랫한 자세를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50% 신장시의 응력이 300%를 초과하면 수영복 착용시에 위화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측정 방법은, JIS L 1096.8.14.1A법(정속 신장법)에 준거하고, 측정 조건으로서는, 시험편 사이즈가 폭 5 cm, 길이 30 cm, 척(chuck) 사이의 거리가 20 cm, 인장(引張) 속도 20 cm/min에서 측정한다.
상기 강긴체 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장의 천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2장의 천을 중첩하여 배합한 이중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영복을 구성하는 제1 천에 제2 천을 중첩하여 이중천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 천과 제2 천은, 동일한 천이라도 되고, 상이한 천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서의 천 조각은, 수영복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므로, 신체 폭 방향에 있어서, 전중심부측(前中心部側)과 협부측(脇部側)에서 다른 부재와 접합되어 있고, 각각의 접합선이 전술한 신체 부위를 지나는 상기 천 조각을 개재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 때, 각각의 접합선이 각각의 신체 부위에서의 물의 흐름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저항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크므로 바람직하다.
천 조각의 접합의 방법으로서는, 재봉틀에 의한 봉제나 초음파 접착이나 또한 보강하는 심 테이프를 접합부에 접착하는 등 방법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의 강긴체 천과 약긴체 천을 사용하여, 도 1의 A∼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10)(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수영복(10)에 있어서 천(11 및 14)에 강긴체 천을 사용하고, 천(12 및 13)에 약긴체 천을 사용하여, 각각을 재봉틀로 봉제했다. 도 1의 A∼1의 C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천 조각)(12)과 천(11 및 13)과의 접합부(솔기) 및 천(천 조각)(12)과 천(14)과의 접합부(솔기)는, 수영중의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강긴체 천은, 55 데시텍스(dtex)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계와 44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80:20의 비율로 교편된 하프 트리코 조직의 천이며, 웰 밀도 82, 코스 밀도 120, 단위면적당 중량 260 g/m2의 천을 사용하였다. 약긴체 천은, 44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44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80:20의 비율로 교편된 하프 트리코 조직의 천이며, 웰 밀도 85, 코스 밀도 120, 단위면적당 중량 230 g/m2의 천을 사용하였다. 강긴체 천, 약긴체 천은 각각 발수 가공이 행해져 있었다. 강긴체 천의 50% 신장시 응력이 세로 12N, 가로 4.5N, 약긴체 천의 50% 신장시 응력이 세로 8.5N, 가로 2.5N이었다.
실시예 1의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10)에 있어서, 히프 폭은 306 ㎜,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은 149 ㎜였다. 실시예 1의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48.7%였다. 그리고, 히프 폭 및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은, 모두 패턴 치수이다.
(실시예 2)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이 184 ㎜로 되도록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의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60.1%였다.
(실시예 3)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이 122 ㎜로 되도록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의 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39.9%였다.
(비교예 1)
강긴체 천을 사용하지 않았고, 모든 천(11, 12, 13 및 14)에 약긴체 천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3의 수영복 및 현행품 1의 수영복(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제의 「KX」하프 슈트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여자대학 수영부원 3명에게 착용시켜, SLD(수영장에 뛰어든 후 12.5 m까지의 타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행품 1보다, 실시예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향상되어 있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3에 비해, 실시예 1, 2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보다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보다 향상되어 있었다.
실시예 1∼3 및 현행품 1, 비교예 1의 수영복을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에게 착용시켜, 레이스 형식의 타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현행품 1, 비교예 1보다 각 레이스 형식의 타임이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향상되어 있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3에 비해, 실시예 1, 2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각 레이스 형식의 타임이 보다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보다 향상되어 있었다.
또한, 현행품 1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예 1 및 실시예 1∼3에서의, 하기 표 3에 나타낸 항목에 대하여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에게 앙케이트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평가가 나쁜 경우를 1로 하고, 동등한 경우를 3으로 하고, 바람직한 경우를 5로 하여, 1∼5의 사이의 수치(0.5 간격)로 평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하기 표 3에는,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의 평가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수영복을 착용하면, 다리의 동작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현행품 1 및 비교예 1보다, 체간의 안정도, 하반신의 부유감(浮遊感)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3에 비해, 실시예 1, 2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체간의 안정도, 하반신의 부유감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1∼3의 수영복의 착용의 용이성은 현행품 1에 비해 거의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중에서는, 실시예 2가 착용의 용이성의 점에서, 실시예 1 및 3보다 뒤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4)
전술한 강긴체 천과 약긴체 천을 사용하여, 도 2 A∼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20)(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수영복(20)에 있어서 천(21 및 24)에 강긴체 천을 사용하고, 천(22)에 약긴체 천을 사용하여, 각각을 재봉틀로 봉제했다. 도 2의 A∼2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천 조각)(22)과 천(21)과의 접합부(솔기) 및 천(천 조각)(22)과 천(24)과의 접합부(솔기)는, 수영중의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실시예 4의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20)에 있어서, 히프 폭은 244 ㎜,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은 163 ㎜였다. 실시예 4의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66.8%였다. 그리고, 히프 폭 및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은, 모두 패턴 치수이다.
(실시예 5)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이 183 ㎜로 되도록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의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75.0%였다.
(실시예 6)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이 122 ㎜로 되도록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의 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50.0%였다.
(비교예 2)
강긴체 천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천(21, 22 및 24)에 약긴체 천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6의 수영복 및 현행품 2의 수영복(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제의 「KX」하이 컷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여자대학 수영부원 3명에 착용시켜, SLD(수영장에 뛰어든 후 12.5 m까지의 타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행품 2의 수영복을 착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시예 4∼6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향상되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6에 비해, 실시예 4, 5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보다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보다 향상되어 있었다.
실시예 4∼6 및 현행품 2, 비교예 2의 수영복을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에 착용시켜, 레이스 형식의 타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현행품 2, 비교예 2보다 각 레이스 형식의 타임이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향상되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6에 비해, 실시예 4, 5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보다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보다 향상되어 있었다.
또한, 현행품 2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예 2 및 실시예 4∼6에서의, 하기 표 6에 나타낸 항목에 대하여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에게 앙케이트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평가가 나쁜 경우를 1로 하고, 동등한 경우를 3으로 하고, 바람직한 경우를 5로 하여, 1∼5의 사이의 수치(0.5 간격)로 평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하기 표 6에는,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의 평가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다.
[표 6]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4∼6의 수영복을 착용하면, 다리의 동작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현행품 2 및 비교예 2보다, 체간의 안정도, 하반신의 부유감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6에 비해, 실시예 4, 5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체간의 안정도, 하반신의 부유감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4∼6의 수영복의 착용의 용이성은 현행품 2에 비해 거의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중에서는, 실시예 5쪽이 착용의 용이성의 점에서, 실시예 4 및 6보다 뒤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7)
전술한 강긴체 천과 약긴체 천을 사용하여, 도 3의 A∼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30)(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수영복(30)에 있어서 천(31 및 34)에 강긴체 천을 사용하고, 천(32 및 33)에 약긴체 천을 사용하여, 각각을 재봉틀로 봉제했다. 도 3의 A∼3의 C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천 조각)(32)과 천(31 및 33)과의 접합부(솔기) 및 천(천 조각)(32)과 천(34)과의 접합부(솔기)는, 수영중의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실시예 7의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30)에 있어서, 히프 폭은 323 ㎜,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은 162 ㎜였다. 실시예 7의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50.2%였다. 그리고, 히프 폭 및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은, 모두 패턴 치수이다.
(실시예 8)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이 194 ㎜로 되도록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8의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60.1%였다.
(실시예 9)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이 126 ㎜로 되도록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의 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있어서, 히프 폭에 대한 전신경 강긴체 천의 최대 천 폭의 비율은, 39.0%였다.
(비교예 3)
강긴체 천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천(31, 32, 33, 및 34)에 약긴체 천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영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9의 수영복 및 현행품 3의 수영복(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제의 「KX」스패츠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을, 남자 대학 수영부원 3명에 착용시켜, SLD(수영장에 뛰어든 후 12.5 m까지의 타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pat00007
상기 표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행품 3의 수영복을 착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시예 7∼9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향상되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9에 비해, 실시예 7, 8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보다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보다 향상되어 있었다.
실시예 7∼9 및 현행품 3, 비교예 3의 수영복을 남자 대학 수영부원 5명에게 착용시켜, 레이스 형식의 타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08
상기 표 8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현행품 3, 비교예 3보다, 각 레이스 형식의 타임이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향상되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9에 비해, 실시예 7, 8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타임이 보다 빠르고, 운동 퍼포먼스가 보다 향상되어 있었다.
또한, 현행품 3을 기준으로 하고, 비교예 3 및 실시예 7∼9에서의, 하기 표 9에 나타낸 항목에 대하여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에게 앙케이트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평가가 나쁜 경우를 1로 하고, 동등한 경우를 3으로 하고, 바람직한 경우를 5로 하여, 1∼5의 사이의 수치(0.5 간격)로 평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하기 표 9에는, 여자대학 수영부원 6명의 평가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다.
[표 9]
Figure pat00009
상기 표 9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7∼9의 수영복을 착용하면, 다리의 동작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현행품 3 및 비교예 3보다, 체간의 안정도, 하반신의 부유감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9에 비해, 실시예 7, 8의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체간의 안정도, 하반신의 부유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9의 수영복의 착용의 용이성은 현행품 3에 비해 거의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중에서는, 실시예 8쪽이 착용의 용이함의 점에서, 실시예 7 및 9보다 뒤떨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수영복은, 특히 수영 경기용 수영복에 바람직하다.
1, 4: 킥 시에 강긴체 천에 가해지는 힘
2, 5: 고관절 내선 방향의 힘
3, 6: 고관절 신전 방향의 힘
10, 20, 30: 수영 경기용 수영복
11, 14, 21, 24, 31, 34: 신축성 천(강긴체 천)
12, 13, 22, 32, 33: 신축성 천(약긴체 천)

Claims (8)

  1.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상(上)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體長)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주변으로부터 유두부 주변을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상전장골극 주변, 대전자(greater trochanter; 大轉子) 주변을 거쳐 대퇴부 외측이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
  2.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쇄골 주변으로부터 유두부 주변을 지나고, 늑골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
  3.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을 가지고, 상기 천 조각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전장골극 주변, 대전자 주변을 거쳐 대퇴부 외측이 옷자락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패츠(spats)형 수영 경기용 수영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복은,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긴체력(緊締力; tightening force)이 상이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영복의 전신경(前身頃; 앞옷길)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강긴체(强緊締) 천을 배치하고, 후신경(後身頃; 뒷옷길)의 전부, 또는 적어도 상기 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 또는 허리부로부터 대퇴부 후면부에 걸쳐 덮는 부분에 상기 강긴체 천을 배치하고, 그 외의 부위에 약긴체(弱緊締) 천을 배치한, 수영 경기용 수영복.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은, 약긴체 천인, 수영 경기용 수영복.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전장골극 상을 포함하는 양쪽 겨드랑이 부분으로부터 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영복의 상단과 하단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천 조각과 다른 부재와의 접합선이 수영중에 물의 흐름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는, 수영 경기용 수영복.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배치된 강긴체 천의 최대 폭이, 상기 수영복의 히프(hip) 폭에 대하여 45%∼55%인, 수영 경기용 수영복.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복의 전신경의 신체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적어도 복부로부터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배치된 강긴체 천의 최대 폭이, 상기 수영복의 히프 폭에 대하여 60%∼70%인, 수영 경기용 수영복.
KR1020140153489A 2013-11-08 2014-11-06 수영 경기용 수영복 KR102465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2360 2013-11-08
JPJP-P-2013-232360 2013-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710A true KR20150053710A (ko) 2015-05-18
KR102465386B1 KR102465386B1 (ko) 2022-11-08

Family

ID=533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489A KR102465386B1 (ko) 2013-11-08 2014-11-06 수영 경기용 수영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46699B2 (ko)
KR (1) KR102465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557A (ko) * 2015-06-05 2018-02-13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수영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3985A (zh) * 2022-01-11 2022-03-25 泉州中德纺织品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不同体型的可调节式女士游泳装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0572B2 (ko) 1972-05-19 1976-09-01
JPS6279818A (ja) 1985-10-02 1987-04-13 Rinfuoosu Kogyo Kk 風呂用濾過装置
KR20080056084A (ko) * 2006-12-15 2008-06-20 스피도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의류
JP2010174398A (ja) * 2009-01-29 2010-08-12 Foot Mark Kk 水着
JP5068384B1 (ja) 2011-09-14 2012-11-07 株式会社デサント 水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409A (ja) * 2000-03-15 2001-09-26 Mizuno Corp 競泳用水着
JP5196492B2 (ja) * 2008-03-31 2013-05-15 美津濃株式会社 衣類
GB2480924B (en) * 2011-06-03 2012-07-25 Speedo Int Ltd Sports garment
GB2481115B (en) * 2011-06-03 2012-06-27 Speedo Int Ltd Sports gar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0572B2 (ko) 1972-05-19 1976-09-01
JPS6279818A (ja) 1985-10-02 1987-04-13 Rinfuoosu Kogyo Kk 風呂用濾過装置
KR20080056084A (ko) * 2006-12-15 2008-06-20 스피도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의류
JP2010174398A (ja) * 2009-01-29 2010-08-12 Foot Mark Kk 水着
JP5068384B1 (ja) 2011-09-14 2012-11-07 株式会社デサント 水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557A (ko) * 2015-06-05 2018-02-13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수영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386B1 (ko) 2022-11-08
JP6246699B2 (ja) 2017-12-13
JP2015110856A (ja)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2851B2 (ja) 水着
AU2005287876C1 (en)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6065000B2 (ja) 運動用股付き衣類
EP2807936B1 (en) Clothing
WO2007086110A1 (ja) ショーツ、水着等の衣料
CN107072332A (zh) 游泳衣
CN112243351B (zh) 泳衣
WO2010050539A1 (ja) 衣類
KR20150053710A (ko) 수영 경기용 수영복
JP5333974B2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半身用衣料
JP7072738B2 (ja) ボトム衣料
JP2007016361A (ja) 男性用下着
JP2012158852A (ja) ボトム衣類
JP6674082B2 (ja) 衣類
TWI746040B (zh) 泳裝
JP2921553B2 (ja) 上半身部を有する衣類
JP7494087B2 (ja) 水着
JP7542745B2 (ja) ボトム衣料
JP6730977B2 (ja) スポーツ用パンツ
JP2012140713A (ja) ボトム衣類
TWI653945B (zh) 具有穿著壓產生部之衣物
JP2020094295A (ja) 下半身用衣類
JPH0881803A (ja) 下半身部を有する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