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508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508A
KR20150053508A KR1020130135530A KR20130135530A KR20150053508A KR 20150053508 A KR20150053508 A KR 20150053508A KR 1020130135530 A KR1020130135530 A KR 1020130135530A KR 20130135530 A KR20130135530 A KR 20130135530A KR 20150053508 A KR20150053508 A KR 2015005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point
candidate
user
rout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538B1 (ko
Inventor
김연지
양현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38B1/ko
Priority to BR102014027927-0A priority patent/BR102014027927B1/pt
Priority to US14/536,236 priority patent/US9464911B2/en
Publication of KR2015005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정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주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쉬어갈 수 있는 경유지를 검색하고 사용자에게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운전 시 휴식을 유도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장시간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휴식을 유도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될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졸음 운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시간 운전시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율이 음주운전의 3배 이상이며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의 치사율은 일반 사고보다 4.5배, 음주 운전보다 2.5배 높다.
운전자가 쉬지 않고 장시간을 운전하는 것은 안전 운전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바, 이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시간 이상 주행 중인 차량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기도 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장시간 운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주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쉬어갈 수 있는 경유지를 검색하고 사용자에게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운전 시 휴식을 유도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반경 내에서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 이력 또는 경유지 설정 이력에 기초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은,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비경유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및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아닌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경유지 후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경유지를 경유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새로운 주행 경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다른 경유지 후보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지도 및 상기 지도 상에서 다른 경유지 후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경유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휴식을 위한 안내 팝업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화면의 일 영역에 주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 후보는, 상기 사용자가 운전 중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은, 출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반경 내에서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 이력 또는 경유지 설정 이력에 기초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은,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비경유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및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아닌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은,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경유지 후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설정된 경유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새로운 주행 경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새로운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다른 경유지 후보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지도 및 상기 지도 상에서 다른 경유지 후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경유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휴식을 위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생성된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화면의 일 영역에 주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경유지가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설정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에 따라 상기 차량을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주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쉬어갈 수 있는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고 사용자에게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운전 시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차량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시에 따른 HUD(Head Up Display)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안내 팝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교통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안내 팝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주행 경로의 안내를 위한 지도 상에 타이머가 표시된 AVN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안내 팝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HUD에 표시되는 안내 팝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이후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72(도 4 참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 72)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20), 출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상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출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제어부(130),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40) 및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행 경로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출발 위치는 GPS 수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차량(100)의 현재 위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한 위치일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하고, 주행 예상 시간을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제1기준시간은 운전자가 연속 운전을 할 경우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시간으로서, 설계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 또는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시간 운전에 대한 법규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법규에 따라 제1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제1기준시간이 4시간으로 설정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주행 예상 시간이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중간에 휴식을 취하기 위한 경유지 후보를 검색한다. 경유지 후보는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한 것일 수 있고,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경유지 후보는 휴게소, 주차장, 식당, 카페, 주유소, 공원, 마트 등 사용자가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이면 어느 곳이든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는바,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반경 내에서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경유지 후보를 기준 반경 내에서 검색하는 것은 경유를 위해 주행 경로를 과도하게 이탈하여 오히려 주행 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준 반경은 주행 시간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1km 내지 10km 범위에서 기준 반경이 설정될 수 있고, 기준 반경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절대적인 거리뿐만 아니라 경유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경로가 고려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교통 정보도 반영할 수 있다. 교통 정보 반영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차량(100)이 주행 중에 경로를 이탈하면 제어부(130)는 경로 이탈에 따른 새로운 주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주행 경로가 새로 생성되더라도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이 동일할 수도 있으나, 달라질 수도 있다.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이 달라지는 경우, 제어부(130)는 달라진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경유지 후보를 다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경로의 교통 상황에 따라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이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 또는 그보다 일정 시간 전에 현재 위치하는 지점과 예상했던 지점이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고, 차이가 있으면 현재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경유지 후보를 다시 검색하여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경유지 후보를 검색함에 있어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 이력 또는 경유지 선택 이력을 저장하고, 제어부(130)가 저장된 목적지 설정 이력 또는 경유지 선택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카페를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가장 많이 설정한 경우에는, 카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경유지로 카페를 검색할 수 있다.
제2기준시간은 안전 운전을 위해 중간에 휴식이 필요한 시점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는바, 일 예로 제1기준시간에 기초하여 제2기준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시간 이상 연속 운전을 하게 될 경우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될 것으로 판단되어 제1기준시간이 4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제2기준시간은 그 중간 시점인 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2기준시간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닌바, 안전 운전을 위해 쉬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시점이면 상기 예시가 아니더라도 제2기준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주행 예상 시간이 길어서 중간에 휴식을 두 번 이상 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유지를 두 번 이상 경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기준시간이 4시간이고 제2기준시간이 2시간으로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주행 예상 시간이 10시간이면 운전자는 출발 후 2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휴식을 취하고 다시 8시간을 운전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주행 예상 시간에 따라 경유지를 두 군데 이상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주행 예상 시간이 제3기준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행 예상 시간이 제3기준시간 이상이면, 목적지 설정 시 또는 첫 번째 휴식 이후에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3기준시간은 제1기준시간과 제2기준시간을 고려하여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어부(130)가 자체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첫 번째 경유지에서의 휴식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출발 시점, 제2기준시간 및 휴식 시간에 기초하여, 목적지 설정 시에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휴식시간+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경유지 후보의 검색 방식은 첫 번째 경유지 후보와 같다.
첫 번째 경유지에서의 휴식 시간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첫 번째 경유지에서의 휴식 이후에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차량(100)의 시동이 꺼졌다가 다시 켜지거나, 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차량(100)이 일정 시간 이상 이동하지 않다가 다시 이동하는 경우에, 시동이 다시 켜진 시점 또는 다시 이동하는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경유 여부를 선택하거나 경유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 안내 팝업의 표시 및 사용자의 선택에 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차량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시에 따른 HUD(Head Up Display)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51)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가 구비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151)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표시된 영상을 보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차량 앞쪽 대시보드(dashboard, 10)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11)에 마련되어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1)는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컨트롤 패널 보드가 위치하는 대시보드(10)의 중앙 영역을 의미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마련되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됨에 있어 영상과 함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15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는 차량(100)에 관한 정보, 특히 차량(100)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바, 운전자가 운전 중에 시선을 전방으로부터 과도하게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10)의 영역 중 스티어링 휠(12)과 대면하는 영역에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되는 정보의 예로서, 잔여 연료량에 기초한 주행 가능 거리나 리셋 시점으로부터의 주행 거리 등을 나타내는 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이 있다.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와 인접한 영역에는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게이지(172c)와 차량의 RPM을 나타내는 RPM 게이지(172d)가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가 한 눈에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역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운전 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 유리(30)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HUD(Head Up Display,153)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관한 정보가 전면 유리(30)의 디스플레이 영역(31)을 통해 표시되는바, 사용자는 운전 중 시선을 전방에 거의 유지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영역(31)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HUD(153)는 차량(100)의 앞쪽에 마련되며 HUD(153)의 전방에는 반사판(15)이 마련될 수 있다. HUD(153)가 전방으로 영상을 출력하면, 출력된 영상은 반사판(15)에 의해 반사되어 전면 유리(30)에 투사된다.
투사된 영상은 전면 유리(30)에 의해 반사되어 운전자(5)의 시선에 전달되는바, 운전자(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유리(30)의 디스플레이 영역(31)을 통해 영상을 보게 되지만 운전자(5)의 시선에 전달된 영상은 실제로는 전면 유리(30)의 외부에 형성된 허상(31a)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HUD(153)와 반사판(15)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반사판(15)을 복수 개 구비하거나, 반사판(15)을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회절 소자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AVN 디스플레이(151),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및 HUD(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경유지에 관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 팝업을 AVN 디스플레이(151),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및 HUD(153)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50)가 AVN 디스플레이(151),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및 HUD(153)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안내 팝업의 종류에 따라 AVN 디스플레이(151),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및 HUD(153)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차량(100)에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제어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110)가 구비될 수 있는바, 입력부(11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11), 제2입력부(112) 및 제3입력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부(111)는 AVN 디스플레이(15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hard key)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AVN 디스플레이(151)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151)의 일 영역에 소프트키(soft key)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입력부(112)는 스티어링 휠(12)의 일 영역에 하드 키 형태로 마련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2)을 잡은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스티어링 휠(12)의 뒤쪽에 레버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레버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올리는 등의 조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입력부(113)는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콘솔(40)에 마련된 조그 셔틀 또는 조이 스틱일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기어 레버(41)와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 공간인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제3입력부(113)가 조그 셔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조그 셔틀을 전방/후방 및 좌/우로 밀거나 푸쉬(push)하거나 돌리는 등의 조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입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바, 사용자는 제1입력부(111)를 조작하여 오디오, 비디오 또는 내비게이션을 온/오프할 수 있고, 오디오를 온 시킨 경우에는 제1입력부(111)를 조작하여 라디오 채널이나 음악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비디오를 온 시킨 경우에는 제1입력부(111)를 조작하여 DMB 채널을 선택하거나 DVD 또는 USB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 또는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을 온 시킨 경우에는 제1입력부(111)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유 여부에 관한 선택 또는 경유지 설정에 관한 선택을 입력할 수도 있다.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목적지의 명칭, 목적지의 주소 또는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거나, 최근 목적지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거나, 즐겨 찾기로 등록해 놓은 목적지 중에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는바, 이 외에 다른 입력 방식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또는 HUD(153)에 표시될 정보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또는 HUD(153)에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 또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입력부(112)는 제1입력부(111)의 기능과 일부 겹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바, 오디오를 온 시킨 경우에는 제1입력부(112)를 조작하여 라디오 채널이나 음악 파일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비디오를 온 시킨 경우에는 제1입력부(112)를 조작하여 DMB 채널을 선택하거나 DVD 또는 USB에 저장된 파일을 로딩 또는 재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비게이션을 온 시킨 경우에는 제2입력부(112)를 조작하여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유 여부에 관한 선택 또는 경유지 설정에 관한 선택을 입력할 수도 있다.
제3입력부(112)는 전술한 제1입력부(111) 및 제2입력부(112)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입력부(110)는 제1입력부(111), 제2입력부(112) 및 제3입력부(113)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고, 이들 중 하나 또는 두 개만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 입력부(110)라 하면, 제1입력부(111), 제2입력부(112) 및 제3입력부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안내 팝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130)가 출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하여 제1기준시간과 비교하고 경유지 후보를 검색한다.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바, 당해 실시예에서는 안내 팝업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50) 중 AVN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제2기준시간은 2시간으로 설정된 것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AVN 디스플레이(151)는 2시간 지점 휴식을 위해 검색된 경유지 후보(당해 예시에서는 A 마트)에서 쉬어갈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구(151a-4)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예 버튼(151a-1), 아니오 버튼(151a-2) 및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a-3)을 포함하는 안내 팝업(151a)을 표시한다.
예 버튼(151a-1)은 검색된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이고, 아니오 버튼(151a-2)은 비경유의 선택 즉, 경유하지 않겠다는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이며,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a-3)은 검색된 경유지 후보 외에 다른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겠다는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는 예 버튼(151a-1), 아니오 버튼(151a-2) 및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a-3)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바, 입력부(11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원하는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고 입력부(110)가 하드 키나 조그 셔틀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하드 키나 조그 셔틀을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기준 반경 내에서 복수의 경유지 후보가 검색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거나 임의로 선택하여 AVN 디스플레이(151)에 하나만 표시할 수도 있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경유지 후보 중 하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버튼(151a-5,151a-6,151a-7,151a-8)을 각각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과 도 7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의 차이는, 도 6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에 의하면 경유지 후보의 선택이 하나의 스텝으로 이루어지고, 도 7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에 의하면 사용자가 예 버튼(151a-1)을 선택하면 경유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는 안내 팝업(151a)이 다시 표시되어 경유지 후보의 선택이 두 스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에서 사용자가 예 버튼(151a-1)을 선택하거나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에서 사용자가 경유지 후보(당해 예시에서는 A 마트)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이 되면 차량(100)을 A 마트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차량(100)이 설정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안내한다. 설정된 경유지가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차량(100)을 주행 경로에 따라 안내하다가 설정된 경유지에 도달하면 경유지에 도착했음을 알려주고, 설정된 경유지가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경유지를 경유할 수 있는 주행 경로를 새로 생성하여 차량(100)을 새로 생성된 주행 경로에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주행 경로의 안내는 AVN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지도 상에 차량(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경유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나타내는 주행 경로 라인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151a-2)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이 되더라도 차량(100)을 A 마트로 자동으로 안내하지는 않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주행 시간을 알려주거나 다시 한 번 휴식을 위한 안내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a-3)을 선택한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151)가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경유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하는바,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지도와 함께 다른 경유지 후보를 그에 대응되는 지도 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AVN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다른 경유지 후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다른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차량(100)을 설정된 경유지로 안내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경유지 후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과 같이 다른 경유지 후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로 상기 도 7의 상단에 도시된 안내 팝업(151a)에서 사용자가 예 버튼(151a-1)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형식으로 다른 경유지 후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교통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외부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정보 수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서 교통정보 수신부(160)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PEG 데이터는 DMB 방송 주파수를 통해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포함하며, 여행 정보나 POI(Point Of Interest)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교통정보 수신부(16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교통정보 수신부(16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모듈이나 와이파이(wi-fi) 모듈이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출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 교통정보 수신부(160)가 수신한 교통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즉, 교통 정보를 반영하여 주행 예상 시간이 최단 시간이 되는 주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함에 있어서도 교통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교통정보 수신부(160)가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주행 중에도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주행 경로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주행 경로가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경유지 후보를 다시 검색할 수 있고, 다시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경유지 후보를 검색함에 있어서도 교통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바, 목적지 설정 시에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경우에 교통정보를 반영할 수도 있고, 차량(100)의 주행 중에도 일정 시점에 또는 일정 주기마다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경유지 후보를 재검색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안내 팝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목적지 설정 시에 사용자로부터 경유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경유 여부를 선택하게 하였으나, 다른 예시로서 목적지 설정 시에는 안내 팝업을 표시하지 않고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안내 팝업을 표시할 수 있다.
제2기준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면,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현재 주행 시간 안내와 함께 경유 여부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안내 팝업(151b)을 표시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0)가 AVN 디스플레이(151)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안내 팝업(151b)은 2시간 이상 주행 중이므로 주변의 경유지(당해 예시에서는 F 마트)에서 쉬어갈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구(151b)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예 버튼(151b-1), 아니오 버튼(151b-2) 및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b-3)을 포함하는 안내 팝업(151b)을 표시한다. 각 버튼의 기능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예 버튼(151a-1), 아니오 버튼(151a-2) 및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a-3)과 같다.
F 마트는 목적지 설정 시에 검색된 경유지일 수도 있고,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새로 검색된 경유지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예 버튼(151b-1), 아니오 버튼(151b-2) 및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b-3)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예 버튼(151b-1)을 선택한 경우에는 바로 F 마트로 차량(100)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151b-2)을 선택한 경우에는 목적지로의 안내를 계속한다.
사용자가 다른 경유지 지정 버튼(151b-3)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VN 디스플레이(151)에 경유지 후보가 포함된 지도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경유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다른 경유지 후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2시간 이상 주행 중이므로 잠시 쉬어갈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구(151c-4)와 함께, 확인 버튼(151c-1)과 주변 경유지 안내 버튼(151c-2)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151c)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확인 버튼(151c-1)을 선택하면 안내 팝업(151c)이 사라지고, 경유 여부 및 경유지 선택은 사용자에게 맡긴다. 사용자가 주변 경유지 안내 버튼(151c-2)을 선택하면 상기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유지 후보 리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이 표시되거나,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유지 후보의 위치가 포함된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안내 팝업(151)에 경유지 후보 리스트와 아니오 버튼이 모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목적지 설정 시에 상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 팝업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151a-2)을 선택한 경우라도, 장시간 운전을 하고 나면 운전자의 피로가 누적되어 경유가 필요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목적지 설정 시에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151a-2)을 선택한 경우라도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 팝업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경유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주행 경로의 안내를 위한 지도 상에 타이머가 표시된 AVN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100)의 주행이 시작되면, AVN 디스플레이(151)는 제어부(130)가 생성한 주행 경로에 따라 차량을(100)을 목적지까지 안내하기 위한 주행경로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바, 주행경로 안내 화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대한 지도 위에 주행 경로와 차량(100)의 현재 위치를 오버레이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주행경로 안내 화면의 일 영역에 주행 시간을 안내하기 위한 타이머(151d)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타이머(151d)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되는 때에 AVN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현재 제2기준시간동안 주행 중임을 알려줄 수 있고, 이 때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는, 타이머(151d)를 주행 시작 시부터 AVN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주행 시간의 경과를 알려주고,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151d)의 진동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안내 팝업(151a,151b,151c)에 포함되는 문구나 버튼을 상기 도 5 내지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들에 불과하다. 따라서, 각 안내 팝업의 기능인 경유 여부를 확인하거나, 경유지를 선택하거나, 현재 주행 시간을 알려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으면 되고, 안내 팝업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문구나 버튼 등 그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도 13 및 도 14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안내 팝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에 휴식이 필요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알리는 안내 팝업(152a)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선을 전방으로부터 과도하게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내 팝업(152a)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안내 팝업(152a)에 포함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안내 팝업(152a)에 표시되는 내용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현재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문구나 기호일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주행 시간을 알림으로써 간접적으로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문구일 수도 있다. 안내 팝업(152a)에 표시되는 내용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의 휴식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이면 된다.
도 15 및 도 16은 HUD에 표시되는 안내 팝업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HUD(153)에 휴식이 필요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알리는 안내 팝업(153a)을 표시할 수도 있다. HUD(153)에 표시된 안내 팝업(153a)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유리(30)의 디스플레이 영역(31)을 통해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선을 전방에 유지한 상태로 HUD(153)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내 팝업(153a)이 HUD(153)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안내 팝업(153a)에 포함된 내용을 더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안내 팝업(153a)에 표시되는 내용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현재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문구나 기호일 수도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주행 시간을 알림으로써 간접적으로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문구일 수도 있다. 안내 팝업(156a)에 표시되는 내용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의 휴식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이면 된다.
한편, 상기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안내 팝업은 사용자가 목적지 설정 시 경유지에서 경유할 것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도 있고, 경유하지 않을 것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 팝업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또는 HUD(153)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AVN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적용될 수 있는바, 차량(100)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311), 설정된 목적지에 따라 주행경로를 생성한다(312). 주행경로는 출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이며, 출발 위치는 GPS 수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차량(100)의 현재 위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한 위치일 수도 있다. 차량(100)이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주행경로를 생성함에 있어 수신된 교통정보를 반영할 수도 있다.
생성된 주행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하여 주행 예상 시간이 제1기준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313). 제1기준시간은 운전자가 연속 운전을 할 경우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시간으로서, 설계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 또는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시간 운전에 대한 법규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법규에 따라 제1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00)이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함에 있어서도 수신된 교통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주행 예상 시간이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제2기준시간 후에 휴식을 취하기 위한 경유지 후보를 검색한다(314). 구체적으로,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바,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반경 내에서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2기준시간은 안전 운전을 위해 중간에 휴식이 필요한 시점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경유지 후보는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한 것일 수 있고,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경유지 후보는 휴게소, 주차장, 식당, 카페, 주유소, 공원, 마트 등 사용자가 차량을 정차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이면 어느 곳이든지 가능하다.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한다(315). 안내 팝업은 사용자가 제2기준시간 후에 경유를 할 것인지 여부 또는 검색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거나 다른 경유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안내 팝업의 표시에 관한 내용은 상기 도 5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주행 예상 시간이 길어서 중간에 휴식을 두 번 이상 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유지를 두 번 이상 경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주행 예상 시간이 제3기준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행 예상 시간이 제3기준시간 이상이면, 목적지 설정 시 또는 첫 번째 휴식 이후에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첫 번째 경유지에서의 휴식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출발 시점, 제2기준시간 및 휴식 시간에 기초하여, 목적지 설정 시에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휴식시간+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경유지 후보의 검색 방식은 첫 번째 경유지 후보와 같다.
첫 번째 경유지에서의 휴식 시간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첫 번째 경유지에서의 휴식 이후에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차량(100)의 시동이 꺼졌다가 다시 켜지거나, 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차량(100)이 일정 시간 이상 이동하지 않다가 다시 이동하는 경우에, 시동이 다시 켜진 시점 또는 다시 이동하는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두 번째 경유지 후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이후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321) 내지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단계(325)는 상기 도 17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은,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서 경유할 것인지, 경유하지 않을 것인지 및 다른 경유지를 지정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경유지 후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전자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락한 경우(326의 예), 즉 검색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선택한 경우에는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경유지로 설정되는바,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327의 예) 차량을 경유지로 안내한다(328). 사용자가 수락하지 않고(326의 아니오), 다른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선택한 경우(329의 예)에는 선택된 다른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설정된 경유지로 차량을 안내한다(331).
차량을 안내함에 있어서, 설정된 경유지가 목적지 설정에 따라 생성된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주행 경로를 생성하여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경유지를 설정한 경우에는, 차량이 실제 주행하게 되는 주행 경로가 목적지 설정 시에 생성된 주행 경로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주행 중에 차량(100)의 주행 경로 이탈에 의해 주행 경로를 다시 생성하거나, 교통 정보를 반영하여 주행 경로를 다시 생성하거나, 목적지 설정 시의 예상과 교통 정보가 달라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경유지 후보를 다시 검색하여 이에 관한 안내 팝업을 다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다른 경유지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329의 아니오)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332의 예), 휴식이 필요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333). 알림 메시지는 안내 팝업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안내 팝업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52), HUD(153) 및 AVN 디스플레이(151)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는바, 이에 관한 설명은 상기 도 13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지금까지 상술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주행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쉬어갈 수 있는 경유지를 검색하고 사용자에게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운전 시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
100 : 차량 110 : 입력부
120 : GPS 수신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반경 내에서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 이력 또는 경유지 설정 이력에 기초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차량.
  4. 제 2 항에 있어서,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예상 시간을 연산하는 차량.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은,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비경유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및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아닌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은,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경유지 후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유지 후보를 경유지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경유지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새로운 주행 경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차량.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다른 경유지 후보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차량.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지도 및 상기 지도 상에서 다른 경유지 후보의 위치를 표시하는 차량.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경유지 후보의 선택을 입력 받는 차량.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경유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제2기준시간 경과 이후에 휴식을 위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팝업은,
    상기 출발 시점으로부터 제2기준시간이 경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화면의 일 영역에 주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를 표시하는 차량.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후보는,
    상기 사용자가 운전 중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지점인 차량.
  17.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주행 예상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유지 후보에 관한 안내 팝업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은,
    출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기준시간 경과 후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반경 내에서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 이력 또는 경유지 설정 이력에 기초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상기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새로운 주행 경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새로운 주행 경로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 후보를 검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30135530A 2013-11-08 2013-11-0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57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30A KR101579538B1 (ko) 2013-11-08 2013-11-0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BR102014027927-0A BR102014027927B1 (pt) 2013-11-08 2014-11-07 Veículo, e método para controlar um veículo
US14/536,236 US9464911B2 (en) 2013-11-08 2014-11-07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30A KR101579538B1 (ko) 2013-11-08 2013-11-0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508A true KR20150053508A (ko) 2015-05-18
KR101579538B1 KR101579538B1 (ko) 2015-12-22

Family

ID=5304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530A KR101579538B1 (ko) 2013-11-08 2013-11-0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64911B2 (ko)
KR (1) KR101579538B1 (ko)
BR (1) BR102014027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5749A1 (ja) * 2017-09-28 2019-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休憩支援装置及び休憩支援方法
US20220364870A1 (en) * 2021-05-11 2022-11-17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personal preference analysis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30132029A (ko) 2022-03-07 2023-09-15 (주)디어트랙티브 차량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2697A (ja) * 2006-01-20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端末装置、経路探索センタ装置
JP2007333433A (ja) * 2006-06-12 2007-12-27 Nissan Motor Co Ltd 休憩ポイント提案装置及び休憩ポイント提案システム
JP2011052979A (ja) * 2009-08-31 2011-03-17 Sanyo Electric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3011524A (ja) * 2011-06-29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7899C (zh) * 2000-10-11 2008-06-25 联合视频制品公司 提供数据存储到点播媒体传递系统中服务器上的系统和方法
US7076505B2 (en) * 2002-07-11 2006-07-11 Metrobot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linear map component
JP4412026B2 (ja) 2004-03-29 2010-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装置および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32558A (ja) 2006-07-28 2008-02-14 Denso Corp 車両用案内装置
DE102008025122A1 (de) * 2008-05-26 2009-12-03 Volkswagen Ag Anzeigeverfahren für ein Anzeigesystem, Anzeigesystem und Bedienverfahren für ein Navigationssystem eines Fahrzeugs
TWI397672B (zh) * 2008-11-18 2013-06-01 Mstar Semiconductor Inc 具電視功能的可攜式導航裝置、其處理模組及其該導航裝置之操作方法
JP5582698B2 (ja) 2008-12-19 2014-09-03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連続運転管理システム
US9164175B2 (en) * 2009-02-27 2015-10-20 Blackberry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notification-based mobile device naviga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120133514A1 (en) * 2009-06-30 2012-05-31 Asp Technology Aps Pause adviser system and use thereof
JP4947099B2 (ja) * 2009-07-07 2012-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494767B2 (en) * 2009-07-22 2013-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practicality of a trip
JP5135308B2 (ja) * 2009-09-09 2013-02-0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エネルギ消費量予測方法、エネルギ消費量予測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8510045B2 (en) * 2009-12-22 2013-08-13 Steven L. Rueben Digital maps displaying search-resulting points-of-interest in user delimited regions
US9317834B2 (en) * 2011-06-30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computing device with personal agent program for recommending meeting a friend at a service location based on current location, travel direction, and calendar activity
US9140570B1 (en) * 2011-09-08 2015-09-22 Amazon Technologies, Inc. Time-inclusive route and trip planning
US8909476B2 (en) * 2012-03-22 2014-12-09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a travel rou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2697A (ja) * 2006-01-20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端末装置、経路探索センタ装置
JP2007333433A (ja) * 2006-06-12 2007-12-27 Nissan Motor Co Ltd 休憩ポイント提案装置及び休憩ポイント提案システム
JP2011052979A (ja) * 2009-08-31 2011-03-17 Sanyo Electric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3011524A (ja) * 2011-06-29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4911B2 (en) 2016-10-11
KR101579538B1 (ko) 2015-12-22
BR102014027927B1 (pt) 2022-05-31
US20150134248A1 (en) 2015-05-14
BR102014027927A2 (pt)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8290B2 (en) Predictive destination entry for a navigation system
JP5500634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80177471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US20070078599A1 (e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US20070005233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lternative routes
US20110172904A1 (en) Method of utilizing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to predict paths and related personal navigation device
KR10157953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07877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2168196A (ja) 情報表示装置
CN113167593A (zh) 自动确定沿着行进路线的路点
CN108981737B (zh) 用于辅助机动车的用户的方法、导航装置和机动车
JP5000590B2 (ja) 周辺情報表示装置および周辺情報表示方法
JP2010101639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JP4760245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KR20070101558A (ko)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탐색 및 추천 경유지 안내방법
US89036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JP2005233729A (ja) 車載用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04401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805154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94165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87548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085728A (ja) 休憩時間報知装置
TWI671218B (zh) 車輛預先自動打方向燈的控制系統
JP670474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3257269A (ja) 表示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