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712A -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712A
KR20150052712A KR1020130134473A KR20130134473A KR20150052712A KR 20150052712 A KR20150052712 A KR 20150052712A KR 1020130134473 A KR1020130134473 A KR 1020130134473A KR 20130134473 A KR20130134473 A KR 20130134473A KR 20150052712 A KR20150052712 A KR 20150052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upply line
water
main supply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남
김태완
박찬성
박재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2712A/ko
Publication of KR2015005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용수 공급 라인의 누수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화재 진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은,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주 공급라인과, 주 공급라인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구획된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소방용수의 개폐를 조절하고 누수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 및, 지능형 밸브로부터 누수 신호를 전달 받아 주 공급라인의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누수 구간에서의 소방용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FIRE SUPPRESSION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용수 공급 라인의 누수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화재 진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경우, 다양한 기관, 엔진 및 그 밖의 기계 장치들이 다수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장치들 내부에는 오일 등의 가연물이 취급되고 있어 화재가 발생되기 쉽다.
알려진 바와 같이, 기존에도 선박의 화재 진압 시스템은 다수 소개되어 있다. 이들의 대부분은 별도의 소방용수(또는 소화제)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이 저장탱크로부터 소방용수를 운반 및 공급하는 다수의 배관라인 및 밸브들과, 이들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화재는 시간,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이므로, 상시 화재 진압 시스템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 관리가 요청된다.
특히, 소방용수가 운반 및 공급되는 배관라인에 누수 문제가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고, 만일 누수 경로가 존재할 경우 해당 경로로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어느 구간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탐지하고, 이 구간으로 소방용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누수 진단 및 화재 탐지를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1291173호)
본 발명은 소방용수 공급 라인의 누수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화재 진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주 공급라인; 상기 주 공급라인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소방용수의 개폐를 조절하고 누수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 및 상기 지능형 밸브로부터 누수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주 공급라인의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상기 누수 구간에서의 소방용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주 공급라인 쪽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외부 공급라인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밸브를 차단하여, 소방용수가 상기 누수 구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밸브는, 상기 주 공급라인의 구획된 구간에 대한 수압, 유량, 유동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능형 밸브에는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주 공급라인; 상기 주 공급라인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소방용수의 개폐를 조절하고 누수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 상기 지능형 밸브로부터 누수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주 공급라인의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상기 누수 구간에서의 소방용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의 누수 구간 진단 결과를 전달 받아 선박의 누수 및 화재 진압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통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주 공급라인 쪽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외부 공급라인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밸브를 차단하여, 소방용수가 상기 누수 구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밸브는, 상기 주 공급라인의 구획된 구간에 대한 수압, 유량, 유동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밸브에는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방용수 공급 라인의 누수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화재 진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수압, 유량, 유동방향, 온도 등을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를 이용하여,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이 구간으로의 소방용수 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다른 구간의 소방용수를 화재 진압에 사용활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화재 발생 시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의 개념도.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화재 진압 시스템(100)은 주 공급라인(110)과, 지능형 밸브(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주 공급라인(110)은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배관이다. 따라서, 상기 주 공급라인(110)은 선박의 선형 및 크기는 물론, 소방용수 배관의 설계 기준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주 공급라인(110)을 통해 화재 현장으로 공급되는 것에는 소방용수를 비롯하여, 액상의 각종 소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지능형 밸브(120)는 스마트 밸브(smart valve)로 통칭되는 구성으로, 기본적인 유량 개폐 조절 기능은 물론, 유체의 압력(pressure), 유량(flow), 유동방향(flow direction) 및 온도(temperature)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지능형 밸브(120)가 설치된 구간에서의 누수를 진단하거나,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한다.
제어부(130)는 지능형 밸브(120)로부터 누수 신호를 전달 받아 주 공급라인(110)의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누수 구간에서의 소방용수 공급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 공급라인(110)이 간략하게 타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생략한 것이므로 도시된 형상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주 공급라인(110)에는 복수 개의 지능형 밸브(120)가 구비된다.
도시된 지능형 밸브(120)는 총 4개로서, 각각은 도면부호 120a, 120b, 120c, 120d로 나타나 있다. 이들 각각의 지능형 밸브(120a, 120b, 120c, 120d)는 설치된 구간, 즉 주 공급라인(110)의 나눠진 구간 내에서 압력, 유량, 유동방향, 온도 등을 검출한다.
그리고 주 공급라인 쪽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외부 공급라인(140)이 더 구비된다.
외부 공급라인(140)은 별도로 저장탱크(160)로부터 소방용수를 인출하여, 주 공급라인(110) 쪽으로 공급해주는 배관으로서, 이 외부 공급라인(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는 전술한 지능형 밸브와 달리, 수동 조작으로 개폐 조절이 가능한 관용의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공급라인(140)에 구비된 밸브(150)는 총 4개로서, 상기 주 공급라인(110)의 구획된 구간마다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은 도면부호 150a, 150b, 150c, 150d로 나타나 있다.
이들 밸브(150)를 차단하여, 소방용수가 누수 구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주 공급라인(110)의 구획된 구간마다 설치된 지능형 밸브(120: 120a, 120b, 120c, 120d) 각각으로부터 수압, 유량, 유동방향, 온도 등이 검출되면, 이 검출된 신호(S1, S2, S3, S4)는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지능형 밸브와 제어부 사이에는 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 또는 통신인터페이스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각의 지능형 밸브(120: 120a, 120b, 120c, 120d)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S1, S2, S3, S4)를 이용하여, 주 공급라인(110) 상에 누수가 발생된 구간을 진단한다.
그리고 작업자 또는 현장감독자의 유, 무선 단말기로 해당 누수 진단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 또는 현장감독자는 누수 상황이 발생된 구간 쪽을 향하는 밸브를 닫아 누수 구간으로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누수 구간 진단이 완료되면, 외부 공급라인(140)에 구비된 밸브(150)를 차단하는 지령을 인가하여, 자동화된 방식으로 누수 구간의 개폐를 조절해 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제어부(130)는 누수 진단에 필요한 기능을 원활하게 구현해 낼 수 있도록, 수압을 검출하는 수압 검출부(131),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133), 유동방향을 검출하는 유동방향 검출부(135)를 포함한다.
나아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37)를 더 구비하여, 화재 발생 구간을 효과적으로 검출해 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에는 전술된 주 공급라인(110), 다수의 지능형 밸브(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100)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 화재 진압 시스템(100)은 선박의 전체적인 제어 및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장치인 통합 모니터링부(200)와 유,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지능형 밸브(120)의 상태를 손쉽게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제어부(130)의 누수 진단 결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방용수 공급 라인의 누수 상태를 자가 진단하여 화재 진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수압, 유량, 유동방향, 온도 등을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를 이용하여,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이 구간으로의 소방용수 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다른 구간의 소방용수를 화재 진압에 사용활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화재 발생 시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선박
100: 화재 진압 시스템
110: 주 공급라인
120(120a, 120b, 120c, 120d): 지능형 밸브
130: 제어부
131: 수압 검출부
133: 유량 검출부
135: 유동방향 검출부
137: 온도 센서
140: 외부 공급라인
150(150a, 150b, 150c, 150d): 밸브
160: 저장탱크
200: 통합 모니터링부

Claims (8)

  1.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주 공급라인;
    상기 주 공급라인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소방용수의 개폐를 조절하고 누수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 및
    상기 지능형 밸브로부터 누수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주 공급라인의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상기 누수 구간에서의 소방용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공급라인 쪽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외부 공급라인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밸브를 차단하여, 소방용수가 상기 누수 구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아주는 화재 진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밸브는,
    상기 주 공급라인의 구획된 구간에 대한 수압, 유량, 유동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밸브에는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되는 화재 진압 시스템.
  5. 화재 현장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주 공급라인;
    상기 주 공급라인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소방용수의 개폐를 조절하고 누수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밸브;
    상기 지능형 밸브로부터 누수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주 공급라인의 누수 구간을 진단하고, 상기 누수 구간에서의 소방용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의 누수 구간 진단 결과를 전달 받아 선박의 누수 및 화재 진압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통합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 공급라인 쪽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외부 공급라인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밸브를 차단하여, 소방용수가 상기 누수 구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아주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밸브는,
    상기 주 공급라인의 구획된 구간에 대한 수압, 유량, 유동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밸브에는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0130134473A 2013-11-06 2013-11-06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50052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473A KR20150052712A (ko) 2013-11-06 2013-11-06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473A KR20150052712A (ko) 2013-11-06 2013-11-06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712A true KR20150052712A (ko) 2015-05-14

Family

ID=5338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473A KR20150052712A (ko) 2013-11-06 2013-11-06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2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4760B2 (ja) 水素燃料補給システム用通信システム
EP21222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lhead high integrity protection system
KR20170115040A (ko) 소화 시스템 밸브 및 그 밸브를 구비한 소화 시스템
KR101915638B1 (ko) 다채널 밸브제어 및 자가고장 진단 시스템
CN215841362U (zh) 水灭火设施,控制单元和火警和/或灭火控制中心
KR101854239B1 (ko) 해양장비의 수압시험에 사용되는 고압챔버 시스템
CN102636321A (zh) 液压支架的泄漏诊断系统和诊断方法、液压支架
KR20150072831A (ko) 유체 공급장치의 공압 분배기
CN202547892U (zh) 检测管路漏水的装置
US9214247B2 (en) Water filling system for reactor water level gauge
US20240094084A1 (en) Check valve testing systems and leak detection methods using the same
KR20140117328A (ko) 선박의 상태 정보 수집 및 위험 대응 장치 및 방법
CA3106039A1 (en) Remote gas regulating and control systems and related devices
US20170030473A1 (en) Automatic shutoff valve for a pipeline
CN105240127A (zh) 一种发动机试车平台燃气供气控制系统
KR20150052712A (ko)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9533228A (ja) 動的および高保全性運転のための緊急停止システム
IT202000015214A1 (it) Apparecchio di monitoraggio per rilevare perdite di un fluido refrigerante da una valvola di sicurezza di un impianto di refrigerazione industriale
KR20210047683A (ko) 배관계 손상 판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계 손상 판단 방법
JP4211001B2 (ja) 高圧タンクシステムのガス漏れ検出装置
EP2662501A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leak protection of a supply water installation
CN110529741B (zh) 海底管道安全控制系统及方法
US20240125438A1 (en) Fully Piggable Differential Pressure Actuated Valve With Variable Restrictor
KR20190037630A (ko)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스마트 밸브
CN204922119U (zh) 安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