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44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443A
KR20150052443A KR1020130133632A KR20130133632A KR20150052443A KR 20150052443 A KR20150052443 A KR 20150052443A KR 1020130133632 A KR1020130133632 A KR 1020130133632A KR 20130133632 A KR20130133632 A KR 20130133632A KR 20150052443 A KR20150052443 A KR 2015005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peration mode
normal operation
compresso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816B1 (ko
Inventor
박신현
김희선
최병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816B1/ko
Priority to EP14859948.3A priority patent/EP2976585B1/en
Priority to PCT/KR2014/010520 priority patent/WO2015069006A1/en
Priority to CN201480019581.1A priority patent/CN105074369B/zh
Priority to IN3479MU2014 priority patent/IN2014MU03479A/en
Priority to US14/534,033 priority patent/US9958192B2/en
Publication of KR2015005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443A/ko
Priority to US14/882,987 priority patent/US99581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6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3Time d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5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ultiple collecting p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정전 상황을 감지하여 배터리에 의해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정전시 저전력을 소모하는 정전 운전모드로 구동부를 제어하여 정전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사용상의 특성상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고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설정된 온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내부가 밀폐될 수 있어야 하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냉기의 공급을 통해 지속적인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고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되어야 하며, 고내의 온도 상태를 체크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기와 각종 팬, 댐퍼 등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사용 중에 정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압축기와 각종 팬, 댐퍼 등은 물론 모든 전장부품의 작동이 중지되어 고내의 냉각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정전 상태가 길어지거나, 냉장고의 도어를 개폐하게 되는 경우 고내의 온도가 상승되어 저장된 식품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전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고내에 축냉제가 구비되고, 냉동사이클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축냉제의 냉기를 이용하여 고내를 냉각하는 냉장고가 있다. 그리고, 축전기에 의해 팬을 구동하여 고내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일시적인 냉각 성능의 유지는 가능하지만, 상기 축냉제의 냉각 성능은 지속적으로 떨어지며, 장기간의 냉각효과 지속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정전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환경에서는 별도의 배터리와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정전이 발생되면 배터리의 전원을 냉장고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전 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냉장고로 즉각적인 전원투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최초 기동시 요구되는 전압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항상 구동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냉장고의 동작 특성을 고려할 때 장시간 냉장고의 정상 운전시 전력소비량이 크게 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큰 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한 비용 증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전 상황을 감지하여 배터리에 의해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정전시 저전력을 소모하는 정전 운전모드로 구동부를 제어하여 정전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차단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장치;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및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 변환장치에 의해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정상 운전모드에서 정전 운전모드로 변경되어 냉장고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압축기, 증발기 송풍팬, 압축기 송풍팬, 냉기공급 조절 댐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 변환장치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와 전원 변환장치는 상기 냉장고에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는 전류, 전압, 주파수 및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한 후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공급 전원이 변환되면 사용자에게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기는 기동시 사용전원보다 낮은 전력으로 기동 가능한 비엘디시(BLDC)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는 정상 운전모드보다 낮은 투입전력으로 구동되도록 사익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정상 운전모드보다 단위 시간당 감소되도록 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정전 시간경과에 따라 단위시간당 운전시간이 감소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된 제상시간이 되어도 제상을 실시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압축기의 구동시 증발기 송풍팬과 압축기 송풍팬을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압축기의 구동은 중지하고, 증발기 송풍팬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증발기 송풍팬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시간 동안은 저장실의 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시간 경과시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압축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정상 운전모드에서 설정된 제어온도보다 높게 제어온도를 설정하여 고내 온도감지 결과와 제어온도를 비교하여 압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의 공급이 감지되면, 정전 운전모드를 해제하고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시, 상기 정전 운전모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경우 설정시간동안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차단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장치;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냉동실의 일측에 설치된 축냉장치; 및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 변환장치에 의해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정상 운전모드에서 정전 운전모드로 변경되어 냉장고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압축기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온/오프제어되고, 상기 축냉장치의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은 고내의 감지온도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정상 운전모드에서 설정된 제어온도보다 높게 제어온도를 설정하여 고내의 온도감지 결과와 제어온도를 비교하여 송풍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제어온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단계별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 운전모드를 해제하고 정상 운전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시, 정전 운전모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설정시간동안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정전 운전모드로 전환 후 설정시간 이내에 제상운전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장고 하부에 상기 냉장고를 지지하는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와 전원 감지장치, 번원 변환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인출 가능한 서랍이 더 구비되며, 상기 서랍에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서 상기 상용전원이 차단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 운전모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베터리의 잔여량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 상태에서는 저속운전 만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시, 설정시간 이내에 비엘디시(BLDC)압축기를 고속 운전제어하고, 설저시간 경과시 저속운전으로 전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고내 일측에 설치된 축냉장치;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내에서 배수되는 제상수가 집수되는 1차 증발접시; 상기 기계실 바닥에 설치되는 2차 증발접시; 및 상기 1차 증발접시와, 2차 증발접시를 상호 연결하여 제상수가 상기 1차 증발접시로부터 2차 증발접시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 1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증발접시는 상기 압축기의 상면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증발접시의 상기 제 1 연결관이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집수공간과 분리되도록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1차 증발접시에 수집된 제상수의 수면이 일정높이 이상일 경우 2차 증발접시로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내 바닥과 연결된 제 2 연결관은 상기 2차 증발접시와 연결되어 도내의 제상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고내의 저장공간 후방에 구비되며,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그릴팬;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서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증발기 전면과 상기 그릴팬의 사이에 배치되는 축냉제 팩; 및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 변환장치에 의해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정전 운전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축냉제 팩의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될 구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송풍팬을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상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냉제 팩은 상기 증발기의 전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냉제 팩은 상기 그릴팬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증발기의 냉각핀이 상기 축냉제 팩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정전 운전모드시 상기 저장공간의 공기가 상기 냉각핀과 축냉제 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되도록 하는 유로가 더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과 대향되도록 상기 그릴팬에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 사이를 연통하는 냉기 귀환덕트와, 상기 귀환덕트상에 배치되어 착상을 유도하는 착상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상유도판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일측과 접촉하여 열전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상유도판은 상기 증발기 하부에 배치된 제상수받이와 연결되어 상기 착상유도판에 결로된 제상수가 상기 제상부 받이로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사용 중 정전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본체와 연결된 베터리에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통해 냉장고의 구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입력되는 전원인 외부 전원인지 배터리 전원인지를 판단하여, 배터리 전원인 경우 저전력을 소모하는 정전 운전모드로 운전하게 됨으로써, 비교적 용량이 적고 제한적인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냉각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냉장고의 제상수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의 드로워의 개방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냉동실이 상측에 구비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에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개요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배터리(40)의 구동에 의해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부(7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벽면의 콘센트와 연결된 일반적인 외부 전원(20)이 상기 냉장고 본체(10)로 공급될 수 있다. 외부 전원(20)은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를 지나 상기 구동부(7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는 콘센트와 같은 외부 전원(20)과 상기 냉장고 본체(10)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외에 텔레비전이나 전등 라디오 등 전원의 입력이 필요한 다른 가전 제품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 및 상기 냉장고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정전이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40)는 정전 상황 발생시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터리(40)는 재충전하여 여러번 사용 가능한 전지로 니켈 카드뮴, 니켈 수도, 납축전지,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사용 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위 배터리가 조합되어 배터리팩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는 연료전지 또는 태양열 충전이 가능한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40)는 전원 변환장치(60)와 연결되며, 정전 상황시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이 상기 구동부(7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 변환장치(60)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정상 상태에서는 동작되지 않으며, 상기 배터리(40)가 정전 상황시에만 상기 구동부(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 변환장치(60)는 전원 감지장치(50)에서 전달되는 변환신호에 의해 상기 본체(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통상의 외부 전원(20)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변환장치(60)는 외부 전원(20)이 그대로 상기 냉장고 본체(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에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감지되는 순간 상기 전원 변환장치(60)는 상기 배터리(40)에서 배터리 전원이 상기 냉장고 본체(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전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변환장치(60)는 정전 발생 순간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의 신호에 의한 배터리 전원으로의 변환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배터리(40)의 충전량 또는 다른 가전제품의 우선 사용 등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조자하여 전원을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원 변환장치(60)가 조작되어 상기 외부 전원(20)과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는 전원 감지장치(50)와 연결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는 상기 외부 전원(20) 및 상기 배터리(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특성과 상태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전원이 상기 외부 전원(20)인지 배터리(40)의 전원인지를 판단하여 컨트롤러(80)에 의해 그에 따른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는 입력되는 전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상적인 상기 외부 전원(20)인지 배터리(40) 전원인지를 구별하게 된다. 예컨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주파수 및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정보 또는 직접 입력된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 전원(20)을 대신하여 상기 배터리(40)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와, 전원 감지장치(50), 전원 변환장치(60) 및 배터리(40)는 전체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어느 둘 이상이 서로 결합되어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이 독립적인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와, 전원 감지장치(50), 전원 변환장치(60) 및 배터리(40)는 상기 냉장고의 본체(10)의 외부에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본체(10)는 베리어(100)에 의해 내부가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기계실(400)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300)과 냉동실(200)은 각각 냉장실 도어(310)와 냉동실 도어(210)에 의해 개폐되며, 각각 독립된 온도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300)과 냉동실(200)에는 온도센서(2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10) 또는 냉동실 도어(210)에는 디스플레이(3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냉장고(1)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311)는 상기 배터리(40)가 충전 또는 사용 중일때 상기 배터리(40)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40)의 잔량에 따라 상기 냉장고(1)의 구동을 조절 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200)의 내부에는 그릴팬(220)이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220)에 의해 구획된 열교환실(230)이 상기 냉동실(200)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릴팬(220)의 후방에는 증발기(240)와 증발기 송풍팬(250)이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240)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그릴팬(220)을 통과하여 상기 냉동실(2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240)의 일측에는 제상히터(2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상운전시 상기 증발기(240)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240)의 하방에는 제상수를 모으기 위한 제상수 팬(2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 팬(270)에는 제상수 배관(271)이 연결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기계실(400) 내부의 드레인 팬(430)으로 제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3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320) 및 서랍(330)이 구비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300)의 후벽면에는 상기 열교환실(230)과 연통되어 상기 냉장실(30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덕트(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00)의 내측에는 상기 냉동실(200)로 공급된 냉기가 다시 상기 열교환실(23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냉동실 귀환덕트(110)와, 상기 냉장실(300)로 공급된 냉기가 다시 상기 열교환실(23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실 귀환덕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 귀환덕트(110)와 냉장실 귀환덕트(120) 또는 상기 냉기 공급덕트(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기의 조절을 위한 댐퍼(1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냉동실(200) 및 냉장실(300)로의 냉기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냉장실(300)과 냉동실(2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하부의 후반부에는 기계실(400)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400)은 상기 냉장실(300)과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며,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410)와 응축기 및 압축기 송풍팬(4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400)의 바닥에는 상기 제상수 배관(271)으로 부터 배출되는 제상수를 집수하기 위한 드레인 팬(430)이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400)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410)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인 BLDC압축기가 사용된다. 상기 BLDC 압축기는 회전 속도의 조절을 통해서 최초 기동시의 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낮은 전압 상태에서도 상기 압축기(410)의 최초 기동시의 피크 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원할한 기동이 가능하며, 이후 부하 변동에 따라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구동되며, 운전 모드에 따라 설정된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압축기(410)와 증발기 송풍팬(250), 압축기 송풍팬(420), 댐퍼(130), 제상히터(260) 및 디스플레이(311)와 같은 상기 구동부(7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80)에는 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81)와, 고내 온도의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201) 그리고,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감지된 입력 전원의 특성을 판단하여 정상 운전모드(M100) 또는 정전 운전모드(M200)로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의 정전 상황으로 판단되어 상기 컨트롤러(80)로 신호를 제공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타이머(81) 및/또는 온도센서(201)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7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는 저 전력 상태의 정전 운전모드(M200)로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1)를 상기 외부 전원(20)과 연결하게 되면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의 구동부(70)는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전원(20)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게 되며, 지속적인 충전을 통해서 항상 완전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분석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는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 전압, 주파수 및 주파수 성분과 같은 고유 특성을 분석하게 되며, 이러한 분석 작업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외부 전원(20)인지 배터리(40)의 전압인지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는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입력값, 직전 입력값 또는 단위 시간 전의 입력값과 비교하였을 때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정상 운전모드(M100)로 운전된다.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부하에 따라 상기 구동부(70)가 구동되며, 입력되는 전원은 상기 외부 전원(20)이 유지된다. 상세히,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는 통상적인 냉장고의 운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201)에서 감지되는 고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410) 및 압축기 송풍팬(420), 증발기 송풍팬(250) 등과 같은 구동부(70)가 구동되며, 고내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 또는 조건에 맞추어 성에의 제거를 위한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입력값, 직전 입력값 또는 단위 시간 전의 입력값과 비교하였을 때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정전 상태임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정전 상태인 것을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전원 변환장치(60)에 의해서 배터리(40)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배터리(40) 전원이 상기 본체(10)에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구동부(70)는 전력 소모량이 적은 저 전력 운전 상태로 운전하게 되며 이를 정전 운전모드(M200)라고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외부 전원이 아닌 상기 배터리(40) 전원이 입력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소모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40)만으로 고내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전의 상태가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아닌 정상 운전모드(M100)인 경우에는 바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를 수행하게 되며, 이미 정전 운전모드(M200)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다시 전원 특성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정상 운전모드(M100)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정전 상황이 해소되면, 상기 외부 전원(20)으로부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는 입력되는 전원의 특성을 분석하게 되어 배터리(40) 전원이 아닌 상기 외부 전원(20)이 입력되었음을 확인하게 되고, 상기 외부 전원(20)이 공급되면, 상기 전원 변환장치(60)에서는 상기 배터리(4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40)는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정전 상황 발생시에도 상기 냉장고(1)는 고내의 식품이 변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터리(40) 전원 만으로 최소의 전력을 사용하여 식품의 저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로의 복귀 전에,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로의 운전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고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진 상태이므로 정상 운전모드(M100)로의 복귀 이전에 고내를 빠르게 냉각시키는 급속 냉각운전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종료되면 상기 타이머(81)에 의해 기산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시간을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보다 더 길게 될 경우 고내의 설정온도를 α℃만큼 더 낮추게 된다.
이때, 상기 α℃는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경과 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길어 질수록 그 값이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70)가 구동되어 고내를 급속 냉각시키게 된다. 설정온도가 최초 설정된 온도보다 더 낮게 되므로 상기 압축기(410)와 증발기 송풍팬(250)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고내 온도를 빠르게 떨어뜨리는 급속 냉각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급속 냉각운전은 설정된 시간동안 실시되며, 설정된 시간 또한 상기 α℃의 값에 비례하여 증감 될 수 있다.
상기 급속 냉각운전시 상기 구동부(70)로 공급되는 전원은 외부 전원(20)에 의해 공급되며, 따라서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급속 냉각운전을 실시하는데 있어 전원의 제약을 받지 않고 구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속 냉각운전이 설정된 시간동안 실시되고 난 후에는 고내의 설정온도를 초기화 하여 최초의 설정온도가 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냉장고의 소비 전력이 정상 운전모드(M100)보다 더 낮은 저 전력 운전상태로 운전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저 전력 운전 상태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정전 운전모드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예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축기의 구동 시간을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 상기 압축기(410)는 설정된 단위시간(T1) 동안 설정된 구동 시간 만큼 구동되어 고내 공간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는 설정된 단위시간(T1) 동안 설정된 구동 시간 동안 구동되되,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 설정된 구동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만큼 구동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단위시간(T1) 동안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보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이 더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전체 소비 전력을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 비해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줄어드는 구동 시간의 양은 배터리(40)의 용량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구동 중 가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축기의 구동 시간의 변화를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 상기 압축기(410)는 설정된 단위시간(T2) 동안 설정된 구동 시간 동안 구동되어 고내 공간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압축기(410)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운전될 수 있다. 즉, 일정 간격 마다 운전되는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은 동일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는 단위 시간(T2)동안 온/오프를 반복하되, 시간이 경과될 수록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단위 시간(T2)동안 상기 압축기(410)가 구동됨에 있어서, 최초 1회의 구동 시간보다 2회째의 구동 시간이 더 줄어들게 되며, 2회째의 구동 시간보다 3회째의 구동 시간이 더 줄어들게 된다. 즉,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압축기(410)가 오프된 후 다시 온되는 휴지 기간은 점차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을 점차 줄여 나가면서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이 소모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410)의 첫번째 구동 시간은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의 첫번째 구동 시간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의 첫번째 구동 시간이 더 줄어든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은 선형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 시간은 더 이상 줄어들지 않고 일정한 구동 시간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8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축기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시 상기 압축기 송풍팬(420)과 증발기 송풍팬(250)이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은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은 함께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의 동시 구동으로 인하여 단위시간(T3)당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특히, 소모되는 전력의 최대치는 상기 배터리(40)의 성능과 관련된 것으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압축기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의 구동이 정지되고, 상기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이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이 정지된다. 즉, 상기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은 상기 압축기(410)가 구동되지 않는 동안에만 동작되어 냉기가 고내측을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이 동시에 구동되지 않고 교번으로 구동됨에 따라서, 소모되는 전력 양이 분산되어 단위시간 동안에 사용되는 소비전력 양이 정상 운전모드(M100)에 비하여 줄어들게 되며, 특히, 사용되는 전력의 최대치는 더 낮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 송풍팬(420)과 증발기 송풍팬(250)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시 어느 하나는 함께 구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축기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은 모두 함께 동작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은 온도센서(201)에서 감지된 고내 온도에 따라 동작되며, 고내 냉각을 위한 구동시에는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이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압축기(410)가 설정된 시간까지 구동되며, 설정된 시간(T4)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은 정지되며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만 구동되어 고내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 송풍팬(420)의 상기 압축기(41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되며, 상기 압축기(41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압축기(410)의 방열을 위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410)의 구동이 정지되어 방열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압축기(410)는 설정시간(T4)이 경과되기 전에는 고내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 구동 되어 고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시간(T4)이 경과된 이후에는 고내의 온도에 관계없이 상기 압축기(410)는 더 이상 구동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만 구동 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T4)은 상기 배터리(40)의 잔여 용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40)의 잔여 용량이 많은 초기에는 충분한 냉각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410)와 압축기 송풍팬 및 증발기 송풍팬(250)이 가동되고, 상기 배터리(40)의 잔여 용량이 부족한 후기에는 최소한의 냉각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만이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40)의 잔여 용량이 부족한 후반부에는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만 구동시킴으로서 소비 전력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40)에서 공급되는 배터리(40) 전원 만으로 최소한의 냉각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송풍팬의 구동을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동작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은 온도센서(201)에서 감지된 고내 온도에 따라 구동된다. 즉, 고내의 냉각을 위한 구동시에는 시간 경과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고내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 까지 구동되며, 설정온도의 도달시에는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이 구동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온도센서(201)에 의해 감지된 고내 온도에 따라서 동작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 할 때 까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의 전체 구동시간을 줄임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40)에 의한 배터리 전압으로 고내의 온도를 최소한의 냉각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축기의 구동을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상기 압축기(410)는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고내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410)는 상기 온도센서(201)를 통해서 감지된 고내 온도에 따라 구동되며, 고내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때 온되고 고내 온도가 설정온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410)가 구동되는 조건에서는 지속적인 구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최초에는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와 마찬가지로 고내의 온도에 따라서 온오프되며, 고내의 온도가 만족될 때 까지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설정시간(T5)이 경과되면 이후부터는 상기 온도센서(201)에 의한 고내 온도 감지 값과 관계 없이 상기 압축기(41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를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40)의 잔여 용량이 설정 값에 도달하는 설정시간 이후에는 상기 배터리(40)의 잔여 용량으로 일정 시간 동안의 냉각 상태 유지를 위해서 상기 압축기(410)는 일정 시간 동안 구동된 후에 일정시간 동안 정지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설정온도의 변화와 소비전력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고내의 설정온도(D1)를 유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70)가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소비전력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에 공급되는 전원이 배터리(40) 전원으로 전환되는 순간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때 고내의 설정온도(D2)는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의 설정온도(D1)보다 더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70)는 더 높게 설정된 설정온도(D2)를 기준으로 구동되므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의 소비전력의 증가 기울기는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의 소비전력의 증가 기울기 보다 더 낮게 된다.
즉,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구동부(70)의 구동 횟수 또는 시간이 줄어들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의 증가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어 상기 배터리(40)를 통한 배터리 전압으로 충분한 시간동안 최소한의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제상히터의 구동을 보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제상운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상히터(260)가 구동되어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제상 운전시에는 상기 제상히터(260)와 증발기 송풍팬(25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410)는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외부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제상히터(260)의 구동 등 상기 제상 운전을 위한 충분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한 없는 제상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제상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상히터(260)는 구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상 운전시 구동되는 증발기 송풍팬(250) 및 댐퍼(130)와 같은 다른 구성들 또한 구동하지 않게 되어 제상운전 자체를 생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상운전의 생략은, 상기 배터리(40)에 의해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은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에 한계가 있으므로,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제상히터(260)의 구동을 제한하고, 제상운전으로 인한 고내 부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강제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의 진행 중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상기 배터리(40)에 의한 고내의 냉각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구조 외에도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냉동실 일측에 축냉장치와 상기 축냉장치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구비되며, 정전시 정전 운전모드로 운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축냉장치와 송풍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베리어(100)에 의해 냉장실(300)과 냉동실(200)로 구획되는 본체(10)와, 상기 냉장실(300)과 냉동실(200)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310)와 냉동실 도어(2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00)의 후벽면에 구비되는 상기 그릴팬(220)에 의해 상기 냉동실(200)의 후방에는 열교환실(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실(230)의 내부에는 증발기(240)와 송풍팬(241)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241)은 하나의 송풍팬(241)으로 증발기 및 축냉제팩(280)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강제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230)에는 축냉제팩(280)이 구비된다. 상기 축냉제팩(280)은 상기 증발기(24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고내의 온도에 의해 열을 축냉한 후 정전에 의해 상기 증발기(240)에 의한 고내의 냉각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축냉된 냉기를 방냉하여 고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냉제팩(280)은 고내의 온도 영역에서 상변화가 가능한 액상의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고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축냉제팩(280)은 융점이 낮아지도록 공용혼합물을 이루는 공융염(Eutectic salt) 또는 열전도성 및 비열이 큰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냉제팩(280)은 냉각이 용이하고 축냉된 냉기의 방출이 용이한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냉동실의 내부의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냉제팩(280)의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 상기 축냉제팩(280)을 상기 열교환실(230)의 내측에 구비 할 수도 있고, 상기 증발기(24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축냉제팩(280)은 상기 증발기(240)의 전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40)와 상기 그릴팬(22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상에 상기 축냉제팩(280)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축냉제팩(280)은 상기 냉동실 귀환덕트(110)의 출구측에 위치되어 상기 냉동실(200) 내측에서 회수된 냉기가 다시 상기 축냉제팩(280)을 지나면서 냉각된 후에 다시 상기 냉동실(20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축냉제팩(280)은 상기 증발기(240)와 그릴팬(22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축냉제팩(280)의 상방에 송풍팬(241)이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241)의 구동시 상기 냉동실(200)의 내부로 냉각된 공기가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240)의 일측에는 제상히터(2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40)의 하방에는 제상수를 모으기 위한 제상수 팬(270) 및 제상수 배관(271)이 구비되며, 상기 기계실(400) 내부의 드레인 팬(440)으로 제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3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320) 및 서랍(330)과 냉기 공급덕트(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00)의 내측에는 냉동실 귀환덕트(110)와, 상기 냉장실 귀환덕트(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귀환덕트(110)와 냉장실 귀환덕트(120) 또는 상기 냉기 공급덕트(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댐퍼(1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400)에는 압축기(420)와 응축기 및 압축기 송풍팬(420), 드레인 팬(4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230)로 돌아오는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냉동실 귀환덕트(110)의 내부에는 착상 유도판(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상 유도판(111)은 고내에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착상 유도판(111)으로 착상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200)의 공기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착상이 보다 원할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착상 유도판(111)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40)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240)의 냉각시 함께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착상 유도판(111)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단부는 상기 제상수 팬(270)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착상 유도판(111)에 착상된 성에는 제상운전시 녹아서 상기 제상수 팬(270)으로 집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상수 배관(271)을 통해 기계실(40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 팬(44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냉장고의 제상수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400)에 구비되는 드레인 팬(440)은 1차 증발접시(450)와 2차 증발접시(46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증발접시(450)는 상기 제상수 팬(270)에 집수된 물이 상기 제상수 배관(271)을 통해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42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1차 증발접시(450)는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안착부(451)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4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451)는 상기 압축기(420)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420)의 상면 전체가 상기 안착부(45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420)의 상면은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면접촉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42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2차 증발접시(460)의 내측에 집수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둘레에는 테두리(452)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452)는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내측에 물이 집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내측에는 상기 제상수 팬(270)에서 집수된 물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2차 증발접시(460)는 상기 기계실(400)의 바닥 또는 상시 1차 증발접시(45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2차 증발접시(460)는 고내측 바닥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461)과 연결되며, 상기 고내 바닥측에 집수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잇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내에서 발생되어 상기 고내측의 바닥에 고이는 물은 상기 제2연결관(461)을 통해서 상기 2차 증발접시(460)로 집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2차 증발접시(460)는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2차 증발접시(460)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증발접시(450)와 2차 증발접시(460)는 제1연결관(45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증발접시(450)에 설정량 이상의 물이 집수되는 경우에 상기 제1연결관(453)에 의해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물이 상기 2차 증발접시(460)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연결관(453)의 상단은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바닥과 연통되며, 상기 1차 증발접시(450)를 구획하는 격벽(453)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453)은 상기 1차 증발접시(450)를 구획하되 상기 테두리(452)의 높이보다는 다소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453)의 하단은 상기 2차 증발접시(460)의 상방에서 개구되어 상기 1차 증발접시(450)에 집수된 물 중 일부가 상기 2차 증발접시(460)로 유동될 수 잇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1차 증발접시(450)에서 집수되는 물의 양이 설정된 양 이상이 될 경우에는 집수되는 물 중 일부가 상기 격벽(453)을 넘어서게 되며, 상기 격벽(453)을 넘어서는 물은 상기 제1연결관(453)에 의해 상기 2차 증발접시(460)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차 증발접시(450)는 많은 양의 물이 제상운전에 의해 한꺼번에 발생되더라도 상기 1차 증발접시(450)의 내측에서 불규칙적으로 넘치거나 하지 않으며, 상기 1차 증발접시(450)는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도 18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의 드로워의 개방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의 본체(10)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40)와 전원 감지장치(50), 전원 변환장치(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케이스(5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40)와 전원 감지장치(50), 전원 변환장치(60)는 상기 케이스(500)의 내부에서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상용전원 공급장치(30)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20)이 공급되는 정상 운전모드(M100)와 상기 배터리(40)에 의해 상기 배터리(40) 전원이 공급되는 정전 운전모드(M200)로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0)에는 인출입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51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51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4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40) 또는 드로워(510)의 탈착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40)를 교환하거나 충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동작되며, 다만 정전시 상기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정전 운전모드의 방법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정전 운전모드 이후의 방법에 대하여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축기와 송풍팬의 구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압축기(420)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온오프 구동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420)의 구동은 고내의 온도 조건과는 관계없이 오직 설정된 시간 간격(T6)으로 온 오프를 반복하게 되며, 구동 시간 또한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의 압축기(420)의 구동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만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 동안에 구동되는 상기 압축기(420)는 고내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습기 발생이 예상되는 간격을 설정시간으로 지정하여 해당 설정시간이 되면 압축기(420)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420)의 일정 시간 간격(T6) 구동으로 인하여 고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습기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습기의 제거로 인하여 고내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증발기(240)에 착상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고내의 온도는 상기 송풍팬(24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41)은 구동에 의해 상기 축냉제팩(28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고내로 강제 공급하게 되며, 고내의 공간이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241)은 상기 온도센서(201)에 의해 측정된 고내 온도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41)은 압축기(420)의 구동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송풍팬(241)은 고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구동되어 상기 축냉제팩(28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고내로 보내 고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하고, 고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송풍팬(241)의 구동은 정지하게 된다.
물론, 이때 설정되는 고내의 온도는 상기 정상 구동모드에서 설정된 고내의 온도보다는 더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0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에는 상기 냉장고의 시간 경과에 따른 송풍팬의 구동을 정상 운전모드와 정전 운전모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정상 운전모드에서는 고내의 설정온도(D3)를 유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420)와 압축기 송풍팬(420) 그리고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이 구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1)에 공급되는 전원이 배터리(40) 전원으로 전환되는 순간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때 고내의 설정온도(D4)는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의 설정온도(D3)보다 더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압축기(420)와 압축기 송풍팬(420) 그리고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은 더 높게 설정된 설정온도(Dn)를 기준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상기 압축기(420)와 압축기 송풍팬(420) 그리고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 구동 횟수 또는 시간이 줄어들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의 증가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어 상기 배터리(40)를 통한 배터리 전압으로 충분한 시간동안 최소한의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상기 상기 압축기(420)와 압축기 송풍팬(420) 그리고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의 구동을 위한 설정온도(Dn)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시작시의 설정온도(D3)보다 설정시간이 더 경과된 후의 설정온도(Dn)는 더 높게 되며, 이러한 설정온도(Dn)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상기 압축기(420)와 압축기 송풍팬(420) 그리고 상기 증발기 송풍팬(250)의 회전수와 구동시간 등은 단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지속됨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40)의 단위시간당 소모량 또한 단계적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소비전력의 증가율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1은 상기 냉장고의 정전 운전모드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를 외부 전원(20)과 연결하게 되면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에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의 구동부(70)는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게 되며, 지속적인 충전을 통해서 항상 완전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분석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는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 전압, 주파수 및 주파수 성분과 같은 고유 특성을 분석하게 되며, 이러한 분석 작업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압이 외부 전원인지 배터리 전압인지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감지장치(50)는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입력값, 직전 입력값 또는 단위 시간 전의 입력값과 비교하였을 때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정상 운전모드(M100)로 운전된다.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에서는 부하에 따라 상기 구동부(70)가 구동되며, 입력되는 전원은 외부 전원이 유지된다. 상세히,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는 통상적인 냉장고의 운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201)에서 감지되는 고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420) 및 증발기 송풍팬(250)이 구동되며, 고내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 또는 조건에 맞추어 성에의 제거를 위한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입력값, 직전 입력값 또는 단위 시간 전의 입력값과 비교하였을 때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정전 상태임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정전 상태인 것을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전원 변환장치(60)에 의해서 배터리(40)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배터리(40) 전원이 상기 본체(10)에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구동부(70)는 전력 소모량이 적은 저 전력 운전 상태로 운전하게 되며 이를 정전 운전모드(M200)라고 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는 외부 전원(20)이 아닌 배터리(40) 전원이 입력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소모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40)만으로 고내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전의 상태가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아닌 정상 운전모드(M100)인 경우에는 바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를 수행하게 되며, 이미 정전 운전모드(M200)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 다시 전원 특성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정상 운전모드(M100)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정전 상황이 해소되면, 상기 외부 전원(20)으로부터 상용전원 공급장치(30)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용전원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 감지장치(50)에서는 입력되는 전원의 특성을 분석하게 되어 배터리(40) 전원이 아닌 외부 전원(20)이 입력되었음을 확인하게 되고, 상기 외부 전원(20)이 공급되면, 상기 전원 변환장치(60)에서는 상기 배터리(4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40)는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 중에는 상기 타이머(81)에 의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운전 시간을 적산하게 되며, 외부 전원(20)의 입력이 감지될 때 까지 적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지속되고 있는 도중에 외부 전원(20)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적산된 시간을 설정시간과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적산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를 종료하고,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로 복귀하게 된다. 반면에, 적산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의 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를 종료하고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에서, 상기 축냉제팩(280)에 의한 고내의 냉각 및 증발기(240) 또는 착상 유도판(111)으로의 착상을 유도하게 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상기 증발기(240) 또는 착상 유도판(111)에는 다량의 성애가 발생되며, 설정시간 이상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실시된 경우에는 상기 성애의 성장으로 인해 정상적인 냉각 및 공기유동 성능을 구현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M200)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정상 운전모드(M100)로의 복귀 전에 제상운전을 실시하여 상기 증발기(240) 또는 착상 유도판(111)에 의해 착상된 성에를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상운전을 종료한 후에는 상기 정상 운전모드(M100)로 복귀하게 된다.

Claims (42)

  1.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차단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장치;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및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 변환장치에 의해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정상 운전모드에서 정전 운전모드로 변경되어 냉장고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압축기, 증발기 송풍팬, 압축기 송풍팬, 냉기공급 조절 댐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변환장치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와 전원 변환장치는 상기 냉장고에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는 전류, 전압, 주파수 및 주파수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한 후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감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공급 전원이 변환되면 사용자에게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기동시 사용전원보다 낮은 전력으로 기동 가능한 비엘디시(BLDC)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는 정상 운전모드보다 낮은 투입전력으로 구동되도록 사익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정상 운전모드보다 단위 시간당 감소되도록 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정전 시간경과에 따라 단위시간당 운전시간이 감소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된 제상시간이 되어도 제상을 실시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압축기의 구동시 증발기 송풍팬과 압축기 송풍팬을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압축기의 구동은 중지하고, 증발기 송풍팬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증발기 송풍팬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시간 동안은 저장실의 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시간 경과시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압축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정상 운전모드에서 설정된 제어온도보다 높게 제어온도를 설정하여 고내 온도감지 결과와 제어온도를 비교하여 압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의 공급이 감지되면,
    정전 운전모드를 해제하고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시,
    상기 정전 운전모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경우 설정시간동안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차단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장치;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냉동실의 일측에 설치된 축냉장치; 및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 변환장치에 의해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정상 운전모드에서 정전 운전모드로 변경되어 냉장고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압축기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온/오프제어되고, 상기 축냉장치의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은 고내의 감지온도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정상 운전모드에서 설정된 제어온도보다 높게 제어온도를 설정하여 고내의 온도감지 결과와 제어온도를 비교하여 송풍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제어온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단계별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 의해 상용전원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 운전모드를 해제하고 정상 운전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시,
    정전 운전모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설정시간동안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정상 운전모드 제어온도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정전 운전모드로 전환 후 설정시간 이내에 제상운전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하부에 상기 냉장고를 지지하는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와 전원 감지장치, 번원 변환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인출 가능한 서랍이 더 구비되며,
    상기 서랍에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장치에서 상기 상용전원이 차단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 운전모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베터리의 잔여량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 상태에서는 저속운전 만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시,
    설정시간 이내에 비엘디시(BLDC)압축기를 고속 운전제어하고,
    설저시간 경과시 저속운전으로 전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고내 일측에 설치된 축냉장치;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내에서 배수되는 제상수가 집수되는 1차 증발접시;
    상기 기계실 바닥에 설치되는 2차 증발접시; 및
    상기 1차 증발접시와, 2차 증발접시를 상호 연결하여 제상수가 상기 1차 증발접시로부터 2차 증발접시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 1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발접시는 상기 압축기의 상면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발접시의 상기 제 1 연결관이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집수공간과 분리되도록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1차 증발접시에 수집된 제상수의 수면이 일정높이 이상일 경우 2차 증발접시로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 33 항에 있어서,
    고내 바닥과 연결된 제 2 연결관은 상기 2차 증발접시와 연결되어 도내의 제상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상용전원 공급장치;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 배터리;
    상기 상용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변환장치;
    고내의 저장공간 후방에 구비되며,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그릴팬;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서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증발기 전면과 상기 그릴팬의 사이에 배치되는 축냉제 팩; 및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 변환장치에 의해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정전 운전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축냉제 팩의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될 구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운전모드에서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송풍팬을 반복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7. 제 35 항에 있어서,
    정상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제 팩은 상기 증발기의 전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제 팩은 상기 그릴팬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증발기의 냉각핀이 상기 축냉제 팩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정전 운전모드시 상기 저장공간의 공기가 상기 냉각핀과 축냉제 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되도록 하는 유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대향되도록 상기 그릴팬에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 사이를 연통하는 냉기 귀환덕트와,
    상기 귀환덕트상에 배치되어 착상을 유도하는 착상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유도판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일측과 접촉하여 열전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유도판은 상기 증발기 하부에 배치된 제상수받이와 연결되어 상기 착상유도판에 결로된 제상수가 상기 제상부 받이로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133632A 2013-11-05 2013-11-05 냉장고 KR101817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632A KR101817816B1 (ko) 2013-11-05 2013-11-05 냉장고
EP14859948.3A EP2976585B1 (en) 2013-11-05 2014-11-04 Refrigerator
PCT/KR2014/010520 WO2015069006A1 (en) 2013-11-05 2014-11-04 Refrigerator
CN201480019581.1A CN105074369B (zh) 2013-11-05 2014-11-04 冰箱
IN3479MU2014 IN2014MU03479A (ko) 2013-11-05 2014-11-04
US14/534,033 US9958192B2 (en) 2013-11-05 2014-11-05 Refrigerator
US14/882,987 US9958193B2 (en) 2013-11-05 2015-10-1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632A KR101817816B1 (ko) 2013-11-05 2013-11-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43A true KR20150052443A (ko) 2015-05-14
KR101817816B1 KR101817816B1 (ko) 2018-02-22

Family

ID=5300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632A KR101817816B1 (ko) 2013-11-05 2013-11-05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958192B2 (ko)
EP (1) EP2976585B1 (ko)
KR (1) KR101817816B1 (ko)
CN (1) CN105074369B (ko)
IN (1) IN2014MU03479A (ko)
WO (1) WO2015069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350B1 (ko) * 2020-11-16 2021-06-29 주식회사 지엠에스 냉장고 온도유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1952A1 (de) * 2011-09-01 2013-03-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Intensivkühlfunktion
JP6080655B2 (ja) * 2013-04-03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1590698B1 (ko) * 2014-03-31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판단 장치
KR20160084149A (ko) * 2015-01-0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GB2556708A (en) * 2015-06-19 2018-06-06 Walmart Apollo Llc Remote temperature control of product storage unit methods and apparatuses
EP3113591B1 (en) * 2015-06-29 2018-04-18 Vertiv S.R.L. Conditioning unit of the free cooling type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 conditioning unit
US20170038122A1 (en) * 2015-08-07 2017-02-09 B/E Aerospace, Inc. Vehicle Refrigeration System Utilizing Individually Controllable Galley Cart Fans
KR102508224B1 (ko) * 2015-08-28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288338B2 (en) * 2015-08-2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20170111587A1 (en) * 2015-10-14 2017-04-20 Garmin Switzerland Gmbh Navigation device wirelessly coupled with auxiliary camera unit
KR102427553B1 (ko) 2015-12-01 2022-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류 적분기와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811371B2 (ja) * 2016-03-23 2021-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DE102016013921A1 (de) * 2016-08-22 2018-02-22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WO2018074355A1 (ja) * 2016-10-17 2019-07-18 株式会社マキタ 電気器具
WO2018080446A1 (en) * 2016-10-25 2018-05-03 Ecoer Inc. A variable speed compressor based ac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18084849A1 (en) * 2016-11-04 2018-05-11 Ecoer Inc. A dc variable speed compressor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JP6748980B2 (ja) * 2017-01-27 2020-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冷装置
EP3376142B1 (en) * 2017-03-16 2019-09-25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Refrigerator with advanced no-frost operation
CN106931716B (zh) * 2017-03-17 2019-09-06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NL2019470B1 (en) * 2017-08-31 2019-03-11 Coolfinity Ip B V Cooling cabine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oling cabinet
WO2019165519A1 (en) 2018-03-02 2019-09-06 Electrolux Do Brasil S.A. Single air passageway and damper assembly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JP7181063B2 (ja) * 2018-11-20 2022-1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181061B2 (ja) * 2018-11-20 2022-1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および冷蔵庫付属防災ユニット
CN113015878B (zh) * 2018-11-20 2022-08-30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及冰箱附属防灾单元
JP7181062B2 (ja) * 2018-11-20 2022-1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200105280A (ko) * 2019-02-2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105611A (ko) * 2019-02-28 2020-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05610A (ko) * 2019-02-28 2020-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105267A (ko) * 2019-02-2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1552499B2 (en) * 2019-04-16 2023-01-10 Robert Lee Sims Power backup for appliances
JP7057510B2 (ja) * 2019-06-14 2022-04-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サイクル装置
US11300349B2 (en) * 2019-09-27 2022-04-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pright appliance drain jumper
CN110671884A (zh) * 2019-09-29 2020-0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风冷冰箱除霜时的送风控制方法、风冷冰箱
KR20210053097A (ko) * 2019-11-01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086310A1 (en) * 2021-09-23 2023-03-23 Dell Products, L.P. Device heate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716A (en) * 1979-05-24 1981-02-17 Huffman Howard E Auxiliary refrigeration system utilizing atmospheric air
JPS63213770A (ja) 1987-02-27 1988-09-0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0159506B1 (ko) * 1990-08-16 1999-01-15 강진구 냉장고의 제상타이머 장치
US5433082A (en) 1993-11-30 1995-07-18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ion system for a cooler
US5924295A (en) 1997-10-07 1999-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itial operation of refrigerator
KR100229191B1 (ko) 1997-10-18 1999-11-01 윤종용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JPH11230664A (ja) * 1998-02-17 1999-08-2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00042551A (ko) 1998-12-26 2000-07-15 전주범 냉장고의 전원 공급 장치
JP2000357280A (ja) *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電源停電警報装置
US6481224B2 (en) * 2000-12-15 2002-11-19 Kendro Laboratory Products, Inc. Vacuum fluorescent iconographic display for a low temperature refrigeration unit
KR100476448B1 (ko) 2001-12-26 2005-03-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 냉장고 시스템의 전원관리장치
KR100452767B1 (ko) * 2002-10-24 2004-10-14 월드탑텍(주) 정현파 발생 회로, 이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장치
US6975926B2 (en) 2002-11-08 2005-12-13 Us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control of a compressor-based appliance that reduces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of an appliance
US7406623B2 (en) * 2003-09-29 2008-07-29 Hitachi Computer Peripherals Co., Ltd. DC backup power supply system and disk array using same
CN100513953C (zh) * 2004-11-12 2009-07-15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蓄冷电冰箱的停电运行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冰箱
US20060179870A1 (en) 2005-02-14 2006-08-17 American Trim, L.L.C. Refrigerator power back up system
US7266962B2 (en) * 2005-05-17 2007-09-11 Whirlpool Corporation Battery supplemented refriger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8020120A (ja) * 2006-07-12 2008-01-31 Toshiba Corp 冷蔵庫
US8049364B2 (en) 2007-06-04 2011-11-01 Electrikus, Inc. Back-up power system
US8033134B2 (en) * 2007-08-16 2011-10-11 Whirlpool Corporation Extended cold (battery backup) refrigerator
MX2010002844A (es) * 2007-11-02 2010-05-19 Ice Qube Inc Aparato y metodo de enfriamiento.
KR101314622B1 (ko) 2007-11-05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US20090243549A1 (en) 2008-03-31 2009-10-01 Naoki Matsumura Intelligent battery charging rate management
JP5313813B2 (ja) 2009-09-11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20110086345A (ko)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증발기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KR101766244B1 (ko) * 2010-07-06 201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101585940B1 (ko) * 2011-03-03 2016-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장 검출 장치, 전기기기 및 고장 검출 방법
JP2012229866A (ja) * 2011-04-26 2012-11-22 Sharp Corp 保冷庫
US9618254B2 (en) 2011-07-21 2017-04-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13039013A (ja) 2011-08-11 2013-02-21 Toshiba Corp 非常用電源装置
US20130093242A1 (en) * 2011-10-16 2013-04-18 Hanlin Mok Smart power supply system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during device standby
US8975845B2 (en) 2011-10-31 2015-03-10 Regal Beloit America, Inc. Motor operation failure detection
JP2013121255A (ja) * 2011-12-07 2013-06-17 Toyota Home Kk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3175361A (zh) * 2011-12-20 2013-06-26 青岛科技大学 一种便携式太阳能冰箱
CN202532802U (zh) * 2012-02-08 2012-11-14 浙江师范大学 一种新型电冰箱
KR20120117704A (ko) 2012-08-17 2012-10-24 김경희 정전 대비 냉동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350B1 (ko) * 2020-11-16 2021-06-29 주식회사 지엠에스 냉장고 온도유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58192B2 (en) 2018-05-01
EP2976585B1 (en) 2019-03-06
EP2976585A4 (en) 2016-03-30
US20160076805A1 (en) 2016-03-17
US9958193B2 (en) 2018-05-01
CN105074369A (zh) 2015-11-18
EP2976585A1 (en) 2016-01-27
US20150121925A1 (en) 2015-05-07
CN105074369B (zh) 2017-10-27
IN2014MU03479A (ko) 2015-10-09
KR101817816B1 (ko) 2018-02-22
WO2015069006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816B1 (ko) 냉장고
EP2354736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101137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KR102152818B1 (ko)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US1166851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121043A (ja) 冷蔵庫
US1092104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21771B1 (ko) 냉장고 제어 방법
WO2020175831A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7062928B2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192635A (zh) 风冷冰箱及其保湿方法
JP5384271B2 (ja) 冷却装置
KR20200105298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105611A (ko) 냉장고
KR10241206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181149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JP2022043157A (ja) 冷蔵庫
KR2019008702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60112729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5371329A (zh) 制冷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35673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2944763A (zh) 制冷设备控制方法以及制冷设备
JP2019215147A (ja) 冷蔵庫
JP2013139977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