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078A -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078A
KR20150052078A KR1020157006175A KR20157006175A KR20150052078A KR 20150052078 A KR20150052078 A KR 20150052078A KR 1020157006175 A KR1020157006175 A KR 1020157006175A KR 20157006175 A KR20157006175 A KR 20157006175A KR 20150052078 A KR20150052078 A KR 2015005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ndicator
display device
reference pos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긴야 이시카와
히데히로 미즈사와
소이치 나가오
다케루 혼다
유지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도꾸리쯔교세이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도꾸리쯔교세이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5005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2Diagnosing or monitoring movement diseases, e.g. Parkinson, Huntington or Tour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Abstract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뇌질병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것.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은 피험자(X)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1)와, 표시 장치(11)상의 피험자(X)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지시 위치 특정부(14)과, 지표의 표시 위치와 피험자(X)의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괴리량 산출부(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BRAIN FUNCTION EVALUATION SYSTEM AND BRAIN FUNCTION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뇌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뇌를 침범하는 신경변성 질병과 같은 운동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뇌질병에서는 구두 지시에 대한 피험자의 운동을 관찰하는 것 등에 의해 진행 상황의 파악을 정성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 피험자에게 프리즘 안경(렌즈에 프리즘을 편입시키고, 광을 굴절시키는 것에 의해서 시선이 어긋나도록 한 안경)을 쓰게 하고, 복수 회 다트를 던졌을 때의 과녁으로의 명중 정밀도의 변화(프리즘에 대한 적응)을 정량적으로 검사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검사에서는 의사 등의 경험 및 역량이나, 피험자의 원래의 운동 기능의 차이에 크게 좌우되어 정량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뇌질병의 보다 정량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피험자에게 표시 화면 상의 지표를 지시시킨 후에, 지시 부분을 목표 부분까지 이동시키고, 이 이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정상인의 시험 결과와 대비함으로써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 운동 기능 평가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7357호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운동 기능 평가 방법에서는 피험자에게는 많은 동작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간단, 또한 정확하게 운동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 운동 기능 장애는 대뇌의 질병을 원인으로 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가 하면, 소뇌의 질병을 원인으로 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점, 특허문헌 1과 같이 최근 시도되고 있는 운동 기능 평가 방법에서는 피험자의 의사(특허문헌 1에서는 목표 부분에까지 지시 부분을 이동시킨다는 의사)를 개재시키는 것으로, 운동 기능 장애가 대뇌에 기인하는 것인지, 소뇌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특정할 수 없었다.
특히, 소뇌의 평가 방법으로서는 신체의 밸런스나 사지의 교치 운동, 발언 시의 구음 장애의 유무 등에 의거하는 정성적인 평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태이고, 다트 게임의 프리즘 적응에서는 정량성과 정확성이 모두 부족해서, 리얼타임으로도 계측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소뇌(특히 운동 학습)에 관한 정량적, 그리고 고정도의 평가 방법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뇌질병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게다가, 소뇌(특히 운동 학습 기능)의 정량적, 리얼타임 또한 고정도의 평가를 실현시키는 것으로, 소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정확하게 감별하는 것이 가능한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1)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 상의 상기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지시 위치 특정부와, 상기 지표의 표시 위치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괴리량 산출부를 구비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상기 (1)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에 의하면, 피험자에 대해서 표시 장치 상의 지표를 지시시키고, 그 지시 위치와 지표와의 괴리량으로부터 피험자의 뇌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 떨림 등과 같이 운동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정상인에 비해서 괴리량이 커지기 때문에, 피험자의 뇌기능을 객관적, 그리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뇌질병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평가할 수 있다.
(2) 상기 (1)에서, 상기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하는 시선 교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시 위치 특정부는 상기 시선 교정부에 의해 시선이 교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피험자의 지시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괴리량 산출부는 산출된 복수 회의 상기 괴리량의 변화를 기억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상기 (2)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에 의하면, 피험자는 시선이 교정된 상태에서표시 장치 상의 지표를 지시하기 때문에, 시험 개시 직후는, 지표로부터 괴리한 위치를 지시해 버리게 된다. 정상인이라면, 소뇌의 운동 학습에 의해 점차로 지표를 지시할 수 있게 되지만, 소뇌에 장애가 있는 피험자는 운동 학습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 시험을 실시해도 지표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없다. 또, 정확한 지시에 이르기까지의 반복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소뇌(특히 운동 학습)의 장애에 관한 정량적, 리얼타임, 그리고 고정도의 평가가 가능하게 되고, 소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와 대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감별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서, 상기 지표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기준 위치 검지부와, 상기 지표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시인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인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 검지부에 의해 상기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다고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또는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고, 상기 지시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기까지의 사이는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상기 (3)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에 의하면, 피험자가 지표를 지시하려고 지시부를 기준 위치로부터 떼어 놓으면, 표시 장치 상의 지표를 시인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피험자가 지시부를 지표에 가까이 할 때에(즉, 지시 동작의 도중에), 피험자는 지시부의 도중 위치와 지표와의 위치 관계를 특정할 수 없고, 지시 동작의 도중에 위치 어긋남의 수정을 실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피험자의 의사에 의한 지시 위치의 수정을 방지할 수 있고, 대뇌의 작용을 커팅한 후, 운동 기능을 정량적, 그리고 고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뇌(특히 운동 학습)의 장애의 유무에 대해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게 되고, 소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와 대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감별할 수 있다.
(4)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지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 장치 상의 상기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표의 표시 위치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5) 상기 (4)에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지시시키는 스텝은 상기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하는 시선 교정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실시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6) 상기 (4) 또는 (5)에서, 상기 지표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다고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부가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상기 (4)에서 (6)의 뇌기능 평가 방법에 의하면, 상기 (1)에서 (3)의 뇌기능평가 시스템으로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뇌질병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동시에, 소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능적 구성을 실현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뇌기능 평가 시스템을 사용한 시험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을 사용한 시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을 사용한 시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뇌기능 평가 시스템을 사용한 시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뇌기능 평가 시스템을 사용한 시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의 기능적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은 표시 장치(11)와, 시선 교정부(12)와, 기준 위치 검지부(13)와, 지시 위치 특정부(14)와, 시인 제어부(15)와, 괴리량 산출부(16)와, 평가부(17)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표시 장치(11)는 피험자에 대해서 지시 대상으로서의 지표를 표시한다. 시선교정부(12)는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한다. 예를 들면, 시선 교정부(12)는 피험자의 시선을 7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도 이상 40도 이하의 범위에서 우 또는 좌로 교정한다.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피험자는, 시선이 교정되어 있지 않은(시선에어긋남이 없는)상태에서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지표를 지시부(예를 들면, 자신의손가락)로 지시하는 것을 소정 횟수 반복하고, 또, 시선이 교정된(시선이 어긋난)상태에서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지표를 지시부(예를 들면, 자기의 손가락)로 지시하는 것을 소정 횟수 반복함으로써, 뇌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한다.
기준 위치 검지부(13)는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를 시인 제어부(15)에 통지한다.
지시 위치 특정부(14)는 피험자에 의해서 표시 장치 상의 임의의 위치가 지시된 것을 검지하고, 그 결과를 시인 제어부(15)에 통지한다. 또, 지시 위치 특정부(14)는 표시 장치 상의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위치(이하 「지시 위치」라고 언급한다.)를 특정하고, 특정한 지시 위치를 괴리량 산출부(16)에 통지한다. 또, 지시 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1) 상의 좌표를 채용할 수 있다.
시인 제어부(15)는 표시 장치(11)에 표시되는 지표를 피험자에게 시인할 수 있게 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어하고, 표시 장치(11)는 임의의 위치(이하 「표시 위치」라고 언급한다.)에 지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1)는 표시 위치를 소정 횟수분 랜덤으로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 위치에 지표를 표시한다.
또, 시인 제어부(15)는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지표를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고, 지시부가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졌을 경우에 표시 장치(11)에 표시하고 있는 지표를 시인 불가능으로 한다. 그리고 시인 제어부(15)는 그 후 지시부가 표시 장치(11) 상을 지시하면, 시인 불가능으로 하고 있었던 지표를 피험자에게 다시 시인 가능으로 한다.
또, 표시 장치(11)는 지표의 표시 위치를 괴리량 산출부(16)에 통지한다. 또, 표시 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1) 상의 좌표를 채용할 수 있다.
괴리량 산출부(16)는 지표의 표시 위치와 피험자에 의한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 즉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와 지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와의 괴리량(양 좌표간의 거리)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평가부(17)에 통지한다.
평가부(17)는 괴리량 산출부(16)에 의해 산출된 괴리량에 의거해서(예를 들면, 정상인의 괴리량의 통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괴리 정도를 평가한다. 평가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평가부(17)는 피험자의 괴리량이 큰 경우 (절대값이 큰경우, 또는 정상인의 괴리량의 통계값과 비교한 상대값이 큰 경우 등)에는 정상인과의 사이에 유의차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도록 괴리량을 표시(인쇄, 화면 출력 등)한다. 이때, 평가부(17)는 시험을 반복해서 실시했을 경우의 괴리량의 변화의 경향도 표시한다.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의 구체적 구성]
계속해서, 도 1에 나타내는 기능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도 1에 나타내는 기능을 발휘 가능하면 다른 구성에 의해 실현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은 관리 단말(2)과, 클라이언트 단말(3)과, 안경(4)과, 터치 센서(5)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관리 단말(2)은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 의한 시험을 관리하는 관리자(Z)(예를 들면, 의사 또는 시험기사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 장치이고, 클라이언트 단말(3)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관리 단말(2)에는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고, 관리자(Z)에 의해서 실행되는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표시 위치의 결정, 괴리량의 산출 및 정상인의 통계값과의 비교 등의 각종 기능을 실현시킨다.
클라이언트 단말(3)은 시험이 수행되는 피험자(X)에 대면하도록 설치된 단말 장치이고, 디스플레이(31)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31)는 액정 디스플레이이고, 클라이언트 단말(3)의 제어에 따라서 피험자(X)를 향해서 지표를 표시한다. 또, 디스플레이(31)의 전면에는 터치 패널(311)이 배치되고, 피험자(X)에 의해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안경(4)은 전면측에 프리즘 렌즈(41)를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피험자(X)에 장착된다. 프리즘 렌즈(41)는 안경(4)의 좌측면에서 빼고 넣음으로써 착탈 가능한 판상 프리즘 렌즈이고, 피험자(X)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한다. 또, 안경(4)의 최전면에는 전압의 인가의 유무로 투명 또는 불투명이 되는 전자 셔터가 편입되어 있고, 디스플레이(31)에 표시된 지표를 피험자(X)에 시인 가능으로 하고, 또는시인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터치 센서(5)는 피험자(X)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USB(Universal Serial Bus)나 무선 LAN 등을 통해서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3) 및안경(4)에 대해서 그 검지 결과를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 클립형의 터치 센서(5)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란 귀에 장착된 터치 센서(5)의 위치를 말한다.
이러한 구성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3)(디스플레이(31))이 표시 장치(11)로서 기능하고, 프리즘 렌즈(41)가 삽입된 안경(4)이 시선교정부(12)로서 기능한다. 즉, 안경(4)을 장착한 피험자(X)의 시선은 안경(4)의 전면측에 꽂아진 프리즘 렌즈(41)에 의해 교정되고, 피험자(X)에게는 디스플레이(31)에 표시된 지표가 실제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보이게 된다. 여기에서, 프리즘 렌즈(41)는 피험자(X)의 시선을 7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도이상 40도 이하의 범위에서 우 또는 좌로 교정한다. 교정량이 15도(특히 7도) 미만이 되면 시선의 어긋남이 작아져서 실질적으로는 교정이 안되고, 40도(특히 60도)보다 커지면 운동 기능의 학습 한도를 넘게 되어서 소뇌의 기능 평가가 어렵게 된다. 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터치 센서(5)가 기준 위치 검지부(13)로서 기능하고, 터치 패널(311)이 지시 위치 특정부(14)로서 기능한다. 즉, 귀에 장착한 터치 센서(5)를 피험자(X)가 손가락으로 만짐으로써, 지시부(피험자(X)의 손가락)가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이 검지되고, 터치 센서(5)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짐으로써, 지시부(피험자(X)의 손가락)가 기준 위치에 없는 것이 검지된다. 또, 지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1)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 패널(311)에 대해서 피험자(X)의 손가락이 접촉한 위치가 피험자(X)에 의해 지시된 지시 위치로 특정된다.
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안경(4)의 전자 셔터가 시인 제어부(15)로서 기능한다. 즉, 관리 단말(2)이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 위치를 랜덤으로 결정해서 클라이언트 단말(3)에 대해서 통지하면, 클라이언트 단말(3)이 이 통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31)의 표시 위치에 지표를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 센서(5) 및 터치 패널(31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안경(4)의 전자 셔터는 터치 센서(5)가 손가락의 접촉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피험자(X)에 대해서 지표를 시인할 수 있게 하고, 터치 센서(5)가 손가락의 접촉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후 터치 패널(311)이 손가락의 접촉을 검지할 때까지 피험자(X)에게 지표를 시인할 수 없도록 한다.
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관리 단말(2)이 괴리량 산출부(16) 및 평가부(17)로서 기능한다. 즉, 관리 단말(2)은 터치 패널(311)이 특정한 지시 위치를 클라이언트 단말(3)로부터 수신하고, 지표의 표시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피험자(X)가 지시한 지시 위치가 지표의 표시 위치로부터 어느 만큼 괴리하고 있는지를 산출한다. 또, 클라이언트 단말(3)은 시험의 결과 수득된 소정 횟수분의 괴리량의 경향에 대해서, 정상인과의 사이에 유의차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게 화면 표시 또는 인쇄 출력하고, 관리자(Z)가 피험자(X)의 뇌기능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의 시험 방법]
이상, 본 실시형태의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계속해서,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을 사용한 시험의 순서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해서설명한다.
피험자(X)는 터치 패널(311)에 대해서 자신의 손가락이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 가능한 위치(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1)의 전방 50cm 정도이고, 피험자(X)의 팔 길이에 의해 적당하게 조정된 위치)에 대기하고, 안경(4) 및 터치 센서(5)를 장착한다. 또, 피험자(X)는 받침(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 위에 턱을 둔 상태에서 앉아서 대기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선을 교정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험과, 시선을 교정한 상태에서의 시험을, 각각 소정 횟수씩 반복해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안경(4)에는 필요에 따라서 시선을 교정하지 않은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 또는 시선을 교정하는 프리즘 렌즈(41)를 삽입한다. 또, 도 3에서는 피험자(X)는 프리즘 렌즈(41)를 삽입한 안경(4)을 장착, 즉 피험자(X)의 시선은 교정되어 우측 방향으로 25도 어긋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X)가 터치 센서(5)를 자신의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디스플레이(31)의 관리 단말(2)로부터 지시된 표시 위치(P1)에 지표가 표시된다. 이때, 도 3에서는 피험자(X)의 시선은 교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험자(X)에게는 실제의 표시 위치(P1)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25도 어긋난 교정 위치(P2)에 지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 도 3(A)에서는 디스플레이(31a) 및 교정 위치(P2)를 디스플레이(31) 및 표시 위치(P1)의 우측 상방에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암소 내에서 시험을 받는 피험자(X)의 목이 기우는 경우가 있는 것을 고려해서 기재한 것이다.
그 후에 피험자(X)가 터치 센서(5)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고, 터치 패널(311)상의 지표를 손가락으로 지시하는 것에 의해 시험이 이루어진다. 이 때, 지시 동작 도중에 피험자(X)가 손가락의 위치를 지표를 향해서 의식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험자(X)는 지시 동작을 일정한 속도로 리드미컬하게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험자(X)가 터치 센서(5)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면, 안경(4)의 전자 셔터의 작용에 의해, 피험자(X)는 디스플레이(31)의 지표를 시인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지시 동작 도중에 피험자(X)가 손가락의 위치를 지표를 향해서 의식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피험자(X)의 의사에 의한 조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대뇌의 작용을 커팅한다.
그 후에 피험자(X)가 터치 패널(311)을 손가락으로 지시하면(터치 패널(311)에 피험자(X)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1)의 지표가 다시 피험자(X)에게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서는 피험자(X)의 시선이 교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험자(X)는 표시 위치(P1)가 아니라 교정 위치(P2)의 근방의 지시 위치(P3)를 지시하게 된다. 이 지시 위치(P3)와 표시 위치(P1)는 관리 단말(2)에 송신되고, 지시 위치(P3)와 표시 위치(P1)의 괴리량(거리)이 산출된다.
그 후에 피험자(X)가 터치 패널(311)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고, 터치 센서(5)를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디스플레이(31)에는 다음 시험용 지표가 전회와는 다른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동시에, 피험자(X)는 그 지표를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을 사용한 시험에서는 이러한 지표에 대한 지시 동작을 반복해서 실시하고, 피험자(X)의 지시 위치(P3)와 표시 위치(P1)의 괴리량, 더 상세하게는 괴리량의 변화의 경향으로부터 피험자(X)의 뇌기능을 판단한다.
[실시예]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을 사용한 시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정상인(도 4(A)), 척수소뇌 실조증31형의 환자(도 4(B)), 만발성 소뇌 피질 위축증의 환자(도 5(C)), 및 파킨슨병의 환자(도 5(D))를 피험자로 해서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을 사용한 시험을 실시했다. 이들 피험자 중, 정상인은 대뇌ㆍ소뇌에 관계하지 않고 뇌에 장애가 인정되지 않는 피험자이고, 척수소뇌 실조증31형의 환자 및 만발성 소뇌피질 위축증의 환자는 소뇌에 장애가 인정되는 피험자이고, 파킨슨병의 환자는 소뇌에는 장애가 인정되지 않고 대뇌에 장애가 인정되는 피험자이다.
실시예에서는 피험자가 프리즘 렌즈(41) 대신에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을 삽입한 안경(4)을 장착한 상태에서 50회의 시험을 반복한 후에, 우측 방향으로 25도 시선이 어긋난 프리즘 렌즈(41)를 삽입한 안경(4)을 장착한 상태에서 100회의 시험을 반복하고, 그 후 다시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을 삽입한 안경(4)을 장착한 상태에서 50회의 시험을 되풀이함으로써 실시했다. 또,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을 사용하는것은 시선의 교정의 유무를 피험자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처음에, 도 4(A)를 참조해서 정상인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 50회의 시험에서는 프리즘 렌즈(41)가 삽입되어 있지 않고,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이라는 점에서 시선이 교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상인은 지표의 근방을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계속되는 100회의 시험에서는 정상인은 처음에는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지시하고 있었지만, 반복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서서히 지표의 근방을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프리즘 렌즈(41)에 의해 시선이 교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초 교정분만큼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 그 후의 반복에 의해 소뇌의 운동 학습 기능이 작용해서 지표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 후의 50회의 시험에서, 삽입하고 있었던 프리즘 렌즈(41)을 제거하고,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으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시선의 교정을 해제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소뇌가 학습하고 있었던 분만큼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지시하고 있었지만, 반복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다시 학습 기능이 작용해서 서서히 지표의 근방을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계속해서, 도 4(B)를 참조해서 척수소뇌 실조증31형의 환자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의 50회의 시험에서는, 시선이 교정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여기 저기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피험자에 운동 기능 장애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계속되는 100회의 시험에서는, 시선의 교정에 따라 지표로부터의 어긋남이 교정분만큼 시프트되는 경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여기 저기 흩어진 지시로, 반복 실시해도 지표의 근방에 근접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것은 소뇌의 장애에 의해 운동 학습 기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계속되는 50회의 시험에서는, 시선의 교정을 해제한 것에 동반해서, 교정분의 시프트가 해제되어 있지만, 최초의 50회의 시험과 동일하게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여기 저기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또, 정상인과 같이 당초 교정분과는 역방향으로 어긋나는 경향은 볼 수 없었다. 이것은, 100회의 시험에 있어서 운동 학습 기능이 작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상인과 같이 학습한 분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도 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뇌에 장애가 있는 만발성 소뇌 피질 위축증의 환자에서는 척수소뇌 실조증31형의 환자와 유사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즉, 시선을 교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여기 저기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는 동시에, 시선을 교정한 상태에서는 지표로부터의 어긋남이 교정분만큼 시프트하지만 반복 실시해도 지표의 근방에 근접하지 않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계속해서, 도 5(D)을 참조해서 대뇌에 장애가 인정되는 파킨슨병의 환자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의 50회의 시험에서는, 시선이 교정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지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지만, 척수소뇌 실조증31형이나 만발성 소뇌 피질 위축증의 환자에 비해서 편차 정도는 작다. 이것은 피험자에게, 소뇌에 기인하지 않는 운동 기능 장애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계속되는 100회의 시험에서는,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당초 교정분만큼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었지만, 그 후의 반복에 의해 지표를 대체로 지시할 수 있게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반복에 의해 소뇌의 운동 학습 기능이 작용해서 지표를 지시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계속되는 50회의 시험에서도,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소뇌가 학습하고 있었던 분만큼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지시하고 있었지만, 반복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다시 학습 기능이 작용해서 서서히 지표의 근방을 지시하게 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31)에 표시한 지표를 피험자에게 지시시키고, 그 괴리량의 경향을 관찰함으로써, 피험자에게 대뇌 또는 소뇌의 장애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최초의 50회의 시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피험자는 정상인과 같이 정확하게 지표를 지시할 수 없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괴리량의 관찰로부터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시선을 교정한 피험자에게 지표를 지시시켰을 경우의 괴리량의 경향을 관찰함으로써, 피험자에게 소뇌의 장애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계속되는 100회의 시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뇌에 장애가 없고 운동 학습 기능이 작용하는 피험자는 시선이 교정된 상태에서도 반복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서서히 지표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소뇌의 장애에 의해 운동 학습 기능이 작용하지 않는 피험자는 반복 시험을 실시해도 괴리량의 개선을 볼 수 없다. 또, 계속되는 50회의 시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선의 교정을 해제하면, 소뇌에 장애가 없는 피험자에는 당초 학습하고 있었던 분만큼 지표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지시하고, 그 후 서서히 정확한 위치를 지시하는 경향에 있지만, 소뇌에 장애가 있는 피험자에는 시선을 교정하고 있었던 상태의 학습에 따른 교정분과는 역방향으로 어긋나는 경향을 볼 수 없고, 또, 그 후의 반복에 의한 괴리량의 변화도 볼 수 없다. 그 때문에 시선을 교정해서 지표를 지시시킴으로써 소뇌를 원인으로 하는 운동 기능 장애를 감별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을 사용한 추가 시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추가 시험 방법은 도 4 및 도 5에서 실시한 시험 방법과 동일하다. 또, 도 6 및 도 7에서는 각 피험자에 있어서의 적응 지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적응 지수는 임의의 정상인(일례로서는 도 4(A)의 정상인)의 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나타내고, 적응 지수가 1에 가까울 수록 정상인임을 나타낸다.
추가 시험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병의 환자(도 6(E)), 고령의 정상인(도 6(F)), 파킨슨병의 환자(도 7)을 피험자로 해서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을 사용한 시험을 실시했다. 이들 피험자 중, 알츠하이머병의 환자는 기억력의 저하는 인정되지만 일반적인 소뇌 장해는 없는 피험자이고, 고령의 정상인은 이 알츠하이머병의 환자보다도 고령의 피험자(배우자)이다.
도 6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환자(도 6(E))와 당해 환자보다도 고령의 정상인(도 6(F))과의 비교를 실시했다. 또, 도 7에서는 파킨슨병의 환자에 대해서 치료전(도 7(G))과 치료 후(도 7(H))와의 비교를 실시했다. 즉, 도 7(G)(H)에서는 동일한 환자에 대해서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G)는 약물치료를 하지않고 있는 초진 단계에서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도 7(H)는 파킨슨병에 대한 약을 수개월간 복용하고, 생활이 편하게 된 시점에서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해서, 알츠하이머병의 환자와, 당해 환자보다 고령의 피험자를 비교하면, 알츠하이머병의 환자 쪽이 적응 지수가 낮다. 이것은, 알츠하이머병의 환자는 디스플레이(31)에 표시된 지표를 기억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으로부터,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 의하면, 작업 기억으로 불리는 인간의 기억 기능의 좋고 나쁨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추가 시험에 의해, 알츠하이머병의 환자에서는 결과가 저하됨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은 알츠하이머병 등의 인지증의 시험에 응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해서, 파킨슨병의 환자에 대해서 치료 전후에 있어서 실시한 시험에서는, 치료 전에 있어서 낮았던 적응 지수가, 치료 후에 있어서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즉, 전체적인 편차가 감소하고, 동작이 개선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치료에 의해 개선된 파킨슨병의 증상이 시험 결과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 의하면, 파킨슨 증상의 평가나 약효 평가에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피험자의 손 떨림 등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 의하면, 피험자의 지시 위치와 지표와의 괴리량에 의거해서 피험자의 뇌기능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손 떨림 등과 같이 운동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괴리량이 커지기 때문에, 정상인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뇌기능을 객관적 또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없는 새로운 방법으로 뇌질병에 동반하는 운동 기능 장애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시선을 교정한 상태에서의 지시 위치와 지표와의 괴리량의 변화 경향을 정상인의 괴리량의 변화 경향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뇌기능을 평가한다. 소뇌에 장애가 없는 정상인이라면, 시선이 교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소뇌의 운동 학습에 의해 점차로 지표를 지시할 수 있게 되지만, 소뇌에 장애가 있는 피험자는 운동 학습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 시험을 실시해도 지표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소뇌의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할 수 있고, 뇌질병이 소뇌를 원인으로 하는 것인지, 아니면 대뇌를 원인으로 하는 것인 것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
일례로서, 척수소뇌 실조증31형이나 척수소뇌 변성증과 같이 소뇌 질병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소뇌를 장애하지 않는 파킨슨병이나 본태성 진전 등의 추체외로계 질병과, 파킨슨 증상을 동반하며, 또 소뇌도 장애할 수 있는 다계통위축증 등의 추체외로계 질병을 감별할 수 있다. 일상의 임상에서는, 병조기나 복잡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 등에서, 이 양자의 감별이 어려운 장면이 있기 때문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의 유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진찰이나 MRI에서는 구별하기 어려운 소뇌장해 유사 증상, 예를 들면, 뇌혈관 장애나 다발성 경화증에서 일어나는 운동 실조성 부전편마비에서도 소뇌 장해의 제외에 유용하다. 즉, 소뇌를 침범하는 질병 이외에도 다수의 질병이나 뇌발달ㆍ노화의 감별에까지 널리 응용 가능하다.
이때, 뇌기능 평가 시스템(1)에서는 피험자가 지표를 지시하는 도중 단계에서 디스플레이(31) 상의 지표를 시인할 수 없게 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지표에 가까이 할 때에, 피험자는 손가락의 도중 위치와 지표와의 위치 관계를 특정할 수 없고, 지시 동작의 도중에 위치 어긋남의 수정을 실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피험자의 의사에 의한 지시 위치의 수정을 방지할 수 있고, 대뇌의 작용을 커팅한 후, 소뇌의 운동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은 뇌 속의 기능 연관이나 소아의 뇌성숙의 평가와 같은 뇌기능의 해명을 위해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뇌기능 평가 시스템(1)은 소뇌가 관계하는 것이 확실시 되고 있는 자폐증 스펙트럼에서의 기능 평가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표의 시인의 가부를 시인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실현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1)(디스플레이(31))의 전면에 물리적인 셔터를 설치하고, 피험자로부터 지표를 물리적으로 시인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 전압이 걸려 있지 않는 상태에서 흰 화면이 되는 소위 노멀리 화이트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관리 단말(2)이나 클라이언트 단말(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지표를 표시 또는 비표시로 하는 것으로 실현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 우측 방향으로 25도 시선이 어긋나는 프리즘 렌즈(41),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의 순서로 안경(4)에 삽입해서 시험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 우측 방향으로 25도 시선이 어긋나는 프리즘 렌즈(41), 좌측 방향으로 25도 시선이 어긋나는 프리즘 렌즈(41),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의 순서가 되도록, 도중에 역방향으로 시선이 어긋나는 프리즘 렌즈(41)를 삽입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역방향으로 시선이 어긋나는 프리즘 렌즈(41)에 의해, 더미의 투명 아크릴판보다도 현저한 경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 시선의 어긋남 각도는 25도에 한정하지 않고, 15도, 40도에서도 동일한 시험 결과가 수득되고, 7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라면 실용적인 시험이 가능하다.
1: 뇌기능 평가 시스템
11: 표시 장치
12: 시선 교정부
13: 기준 위치 검지부
14: 지시 위치 특정부
15: 시인 제어부
16: 괴리량 산출부
17: 평가부
2: 관리 단말
3: 클라이언트 단말
31: 디스플레이
311: 터치 패널
4: 안경
41: 프리즘 렌즈
5: 터치 센서

Claims (10)

  1.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 상의 상기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지시 위치 특정부와,
    상기 지표의 표시 위치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괴리량 산출부를 구비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하는 시선 교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시 위치 특정부는 상기 시선 교정부에 의해 시선이 교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피험자의 지시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괴리량 산출부는 산출된 복수 회의 상기 괴리량의 변화를 기억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기준 위치 검지부와,
    상기 지표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시인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인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 검지부에 의해 상기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다고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또는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고, 상기 지시부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기까지의 사이는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4.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지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 장치 상의 상기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표의 표시 위치와 상기 피험자의 상기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지시시키는 스텝은, 상기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하는 시선 교정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실시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부가 기준 위치에 있다고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부가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는 스텝과,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7.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지표를 지시하는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자신의 귀 위의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기준 위치 검지부와,
    상기 표시 장치 상의 상기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지시 위치 특정부와,
    상기 지표의 표시 위치와 상기 피험자의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괴리량 산출부와,
    상기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하는 시선 교정부와,
    상기 지표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시인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인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 검지부에 의해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기준 위치에 있다고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고,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고,
    상기 지시 위치 특정부는 상기 시선 교정부에 의해 시선이 교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피험자의 지시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괴리량 산출부는 산출된 복수 회의 상기 괴리량의 변화를 기억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제어부는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져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기까지의 사이는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고,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뇌기능 평가 시스템.
  9.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되는 지표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지표를 지시하는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자신의 귀 위의 기준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지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기준 위치에 있다고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스텝과,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불가능으로 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장치 상의 상기 피험자에 의해서 지시된 지시 위치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지표의 표시 위치와 상기 피험자의 지시 위치와의 괴리량을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지시시키는 스텝은, 상기 피험자의 시선이 어긋나도록 교정하는 시선 교정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실시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끝이 상기 표시 장치 상을 지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지표를 상기 피험자에게 시인 가능으로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뇌기능 평가 방법.
KR1020157006175A 2012-08-31 2013-08-30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 KR20150052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2339 2012-08-31
JP2012192339 2012-08-31
JP2012193894 2012-09-04
JPJP-P-2012-193894 2012-09-04
PCT/JP2013/073344 WO2014034856A1 (ja) 2012-08-31 2013-08-30 脳機能評価システム及び脳機能評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078A true KR20150052078A (ko) 2015-05-13

Family

ID=5018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175A KR20150052078A (ko) 2012-08-31 2013-08-30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320350A1 (ko)
EP (1) EP2891456A4 (ko)
JP (1) JP6218286B2 (ko)
KR (1) KR20150052078A (ko)
CN (1) CN104602613A (ko)
CA (1) CA2883505A1 (ko)
IN (1) IN2015DN02508A (ko)
TW (1) TW201422208A (ko)
WO (1) WO20140348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619A (ko) * 2016-12-30 2018-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모델을 이용하는 시각 자극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34995B1 (ko) * 2020-12-31 2021-04-01 주식회사 델바인 가상 객체 모델을 이용한 인지기능 재활훈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7800B (zh) * 2013-09-11 2019-04-26 麦克赛尔株式会社 脑功能障碍评价装置及存储介质
JP6152355B2 (ja) * 2014-03-13 2017-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認知症診断支援装置
FR3027206B1 (fr) * 2014-10-21 2021-06-04 Univ Paris Descartes Procede de test d'un nourrisson et dispositif adapte pour mettre en oeuvre le procede de test
EP3305206A4 (en) * 2015-06-05 2018-06-20 Shikuukankoubou Co., Ltd. Program and system for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mild dementia
WO2017113375A1 (zh) * 2015-12-31 2017-07-06 深圳市洛书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触屏的数据处理方法和人体健康检测系统
WO2018085193A1 (en) * 2016-11-01 2018-05-1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Oculo-cognitive addition testing
EP3645091A4 (en) 2017-06-28 2021-07-14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ETHODS AND MATERIALS FOR TREATMENT OF HYPOCAPNIA
IT201900004269A1 (it) * 2019-03-25 2020-09-25 Restorative Neurotechnologies S R L Sistema per il potenziamento o la riabilitazione cognitiv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643A1 (en) * 1994-12-29 1996-07-11 Burgan, Pin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arkinson's disease
US6485417B1 (en) * 1997-09-15 2002-11-26 Bowles-Langley Technology, Inc. Alzheimer's tester
JP3785554B2 (ja) * 2002-07-26 2006-06-14 財団法人くまもとテクノ産業財団 運動機能評価方法
US7981058B2 (en) * 2004-03-12 2011-07-19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Intelligent wearable monitor systems and methods
JP5154558B2 (ja) * 2007-08-31 2013-02-27 公益財団法人東京都医学総合研究所 定量的運動機能評価システム及び運動機能評価用プログラム
EP2484281A4 (en) * 2009-09-30 2015-05-06 Mitsubishi Chem Corp BODY MOTION SIG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ODY MOVEMENT SIGN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BODY MOTION SIG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RECORDED PROGRAMS, PROGRAM, BODY MOVEMENT SIGNAL DETECTION DEVICE, BODY MOTION SIGNAL DETECTION METHOD, OUTPUT DEVICE, OUTPUT METHOD, DIAGNOSTIC METHOD OF DISEASE, DIAGNOSTIC SYSTEM OF DISEASE AND DEVICE FOR DIAGNOSING A DISEA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619A (ko) * 2016-12-30 2018-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모델을 이용하는 시각 자극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34995B1 (ko) * 2020-12-31 2021-04-01 주식회사 델바인 가상 객체 모델을 이용한 인지기능 재활훈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2145690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델바인 가상 객체 모델을 이용한 인지기능 재활훈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22208A (zh) 2014-06-16
JP6218286B2 (ja) 2017-10-25
JPWO2014034856A1 (ja) 2016-08-08
CA2883505A1 (en) 2014-03-06
CN104602613A (zh) 2015-05-06
WO2014034856A1 (ja) 2014-03-06
EP2891456A4 (en) 2016-06-01
US20150320350A1 (en) 2015-11-12
IN2015DN02508A (ko) 2015-09-11
EP2891456A1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2078A (ko) 뇌기능 평가 시스템 및 뇌기능 평가 방법
US8931905B2 (en) Binocular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JP5498375B2 (ja) 視野検査システム、視野検査装置の駆動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媒体もしくは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およびプロセッサ
EP2640256B1 (en) Self guided subjective refraction instruments and methods
JP2020509790A5 (ko)
US10405742B2 (en) Apparatus for assisting in establishing a correction for correcting heterotropia or heterophoria and method of operating a computer for assisting in establishing a correction for correcting heterotropia or heterophoria
EP3551036B1 (en) Stimulus, ey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170065168A1 (en) Quantification of inter-ocular suppression in binocular vision impairment
BR112017009973B1 (pt) Produção ou preparação ou cálculo ou seleção de um dispositivo de correção óptico,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para determinar uma parametrização desejada do efeito dióptrico
CA2793902C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mild perceptual impairment
CN113288044B (zh) 动态视力检测系统和方法
Schroth et al. Effects of aligning prisms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fixation disparity in far distance
Johansson et al. Methodological aspects of using a wearable eye-tracker to support diagnostic clinical evaluation of prolonged disorders of consciousness
RU2648204C2 (ru) Способ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ля зрения и контроля фиксации взгляда
Gore et al. Correlation between Visual Impairments and H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20240081636A1 (en) Method for Visual Function Assessment Using Multistable Rivalry Paradigms
RU2798076C1 (ru)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я диплопии
Hirano The validation of a novel dynamic visual acuity test, an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different factors on dynamic visual acuity
Predebon Convergence responses to monocularly viewed objects: implications for distance perception
KR20220168883A (ko) 사시선별검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wakowski et al. Eye tracking by 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provides biofeedback for gaze stabilisation exercises and enables on-the-fly measurement of Vestibulo-Ocular Reflex gain
Arnoldi Orthoptic evaluation and treatment
Ali The relationship between ocular sensory dominance and stereopsis
Singh et al. Concomitant Strabismus: Diagnostic Methods
Gowrisankaran Influence of sustained vergence and accommodative convergence on disparity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