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769A -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769A
KR20150050769A KR1020130131469A KR20130131469A KR20150050769A KR 20150050769 A KR20150050769 A KR 20150050769A KR 1020130131469 A KR1020130131469 A KR 1020130131469A KR 20130131469 A KR20130131469 A KR 20130131469A KR 20150050769 A KR20150050769 A KR 2015005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de
product
merchandise
p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7540B1 (en
Inventor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지에프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to KR102013013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540B1/en
Publication of KR2015005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7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ventory check on items ordered by store and the convenience of store display, provides display fixture codes to each fixture on display and loads the items ordered by store in picking box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fixture cod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ode management unit which provides and manages display fixture codes for each fixture in the store; a product management unit which takes orders on the products from the store; and a product shipment unit which categorizes the ordered products and ships the ordered products in picking boxes. The product shipment unit ships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fixture code.

Description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및 상품 배송 시스템{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ing method and a product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점포의 진열집기 순서에 따른 피킹 방법 및 상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포에서의 주문한 상품의 검수와 진열의 편의성이 증대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및 상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ing method and a produc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 shop display 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cking method and a produc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display and display of a store in which order confirmation and order convenience are enhanced .

일반적으로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의 점포에서 음료, 스낵, 담배, 주류 등과 같은 상품은 점포에서 관리회사로 주문을 하면 상기 관리회사는 주문된 내용을 검토한 후 상품의 집배 기지인 물류센터에서 출하명령을 내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류센터는 출하명령된 상품명과 수량 등을 확인한 후 각 점포에 따른 분류, 상품에 대한 분류를 한 후 피킹박스(Picking Box)에 담아 각 점포로 배송을 하게 된다. Generally, when ordering from a store such as a beverage, a snack, a cigarette or a liquor to a management company at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or a supermarket, the management company reviews the order and then orders a shipment from a distribution center The distribution center confirms the product name and the quantity of the shipment instruction, and classifies the product according to each shop, classifies the product, and delivers it to each store in a picking box.

상기 물류센터에서 상품은 주문된 상품이 원래 박스로 포장되어 있는 상품의 경우 그대로 배송되며, 주문된 상품의 수량이 많은 상품에 대하여는 하나 혹은 다수의 피킹박스로 포장되어 배송되고 있다. 또한, 낱개로 주문되거나 수량이 적은 상품에 대하여는 피킹박스에 상품을 담아 출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류센터에서의 피킹 방법은 관리회사나 물류센터에서 분류과정이나 배송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In the above-mentioned distribution center, the goods are delivered as they are when the ordered goods are packed in the original box, and are packed in one or a plurality of picking boxes for the products having a large quantity of the ordered goods. In addition, for items ordered individually or in small quantities, the products are shipped in picking boxes. The picking method in the logistics center is to reduce the cost of sorting or shipping in the management company or the logistics center.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지며 피킹 방법을 보완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40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제안되어 있다.A technique which has the above-mentioned effect and which is complementary to the picking method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64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ted invention").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포로부터 수주 테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준 적재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기준 적재율에 따라서 배송박스에 적재할 상품들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배송박스에 적재할 상품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품들의 라벨을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된 라벨을 스캔하고, 상기 라벨의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현장의 시스템에 작업을 지시하여 상품들이 피킹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박스로 포장된 상품은 물론 낱개로 주문된 상품 및 수량확인을 위한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order data from a store as shown in Figure 1; Setting a reference load ratio based on the order data; Simulating goods to be loaded in the delivery box according to the set reference loading rate; Determining merchandise to be loaded in the shipping box based on the simulation; Issuing a label of the determined goods; And scanning the issued label and instructing the on-site system to perform an operation based on a result of the scan of the label, thereby causing the products to be picked. Thus, Can be reduced.

그러나, 인용발명은 기존의 상품 피킹 방법과 마찬가지로 물류센터에서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이에 맞도록 피킹 순서와 전표 순서가 정해져 있는바, 실제 점포에 설치된 진열집기에 배치된 상품의 위치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점포에 상품이 입고된 후 주문된 상품과 그 상품의 수량이 정확한지 검수를 하는 과정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낱개상품의 경우 진열집기를 고려하지 않고 산발적으로 피킹되어 있는바 이를 진열함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milar to the existing product picking method, the cited invention takes convenience into consideration in the distribution center, and the picking order and the order of the slip are determin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oods placed on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actual store can not be considered . Accordingly, it takes a long time to check whether the ordered product and the quantity of the product are correct after the goods are placed in the actual store, an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ingle product, sporadic picking is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포에 설치된 진열집기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코드에 따라 피킹을 하여 점포에서의 검수와 진열의 편의성이 증대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및 상품 배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de is provided according to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hop and pick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de, And a merchandise delivery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방법은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별로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tore in a shop, .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은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를 부여 및 관리하는 코드관리부; 상기 점포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을 받는 상품관리부; 및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분류하여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상품출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rchandis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code management unit for assigning and managing display and display codes according to a shop display; A product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 order for a product from the store; And a merchandise shipment unit for sorting the merchandise ordered from the store and storing the classified merchandise in a corresponding picking box, wherein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loads the merchandise on the corresponding picking box according to the display kit code.

본 발명에 따르면 점포에 설치된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별로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시킴으로써, 점포에서 주문한 상품이 입고된 후 상기 진열집기코드가 동일한 상품들을 번거로운 이동없이 손쉽게 진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elf holder code is provided according to a shelf installed in a store, and goods ordered from the shelf are loaded in a picking box corresponding to each shelf code. Thus, The same products can be easily displayed without troublesome movements.

또한, 진열집기에 해당 상품을 진열하기 전 또는 진열함과 동시에 행하여지는 검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점포를 운영하는 점주나 상기 점포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편의를 증대시키게 된다.
Also,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pection work performed before or during the display of the merchandise on the shelf,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shop operating the shop or the staff working at the shop.

도 1은 종래의 상품 피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열집기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열집기상품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피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피킹시 부착되는 라벨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분피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분피킹시 부착되는 라벨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method for picking a product,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picking method according to a display of a sh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product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picking method according to a display of a sh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box pi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bel sheet to be attached at the time of box pi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subdivi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bel sheet to be attached at the time of subdivision pi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livery s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duc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서는 점포에서의 주문한 상품의 검수와 진열의 편의성이 증대시키기 위하여,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별로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을 제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inspection and ordering of an ordered product in a store, a display cod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display of the store, and the ordered product is loaded in the picking box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code And a pi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play of the shop.

또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를 부여 및 관리하는 코드관리부; 상기 점포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을 받는 상품관리부; 및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분류하여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상품출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을 제안한다.A code management unit for assigning and managing a display device code according to display of the shop; A product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 order for a product from the store; And a merchandise shipment unit for sorting the goods ordered from the store and stacking the picked merchandise on the picking box, wherein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stacks the merchandise on the picking box according to the display kit code We propose a product delivery system.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및 상품 배송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icking method and a goods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1.

본 발명인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포에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될 진열집기에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코드는 관리회사에서 이를 관리한다(110). As shown in FIG. 2, the pi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hop or installed in a shop, and the code is managed by a management company (110).

상기 점포에서 관리회사로 상품에 대하여 주문을 하면(120), 상기 관리회사는 이러한 주문내용을 물류센터로 전달하게 된다. 그 후 물류센터는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른 상품피킹순서를 설정하고 관리를 하며(130),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라벨지를 부착(140)한 다음, 상품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품들을 상기 피킹박스에 적재를 하여 피킹을 한다(150).When ordering a product from the store to a management company (120), the management company delivers the order to the distribution center. Thereafter, the distribution center sets and manages a product picking order according to the display set code (130), attaches a label to the picking box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et code (140), and then,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re picked up by the picking box (150).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진열집기의 경우 각 구획별로 별도로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구획에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이 진열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진 진열집기의 경우 반드시 각 구획별로 별도의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상품의 성질에 따라 부여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code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the compartments in the case of a display uni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o that product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can be displayed in each compartment. However,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 separate display code is not necessarily provided for each compartment, and the display cod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product.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의 종류가 빵, 컵면, 봉지면, 즉석식, 껌, 쵸코렛, 비스켓, 스낵 등인 경우 해당 상품과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을 통칭하는 "식품"으로 진열집기명이 붙여지게 되며, "A"로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된다. 이러한 상기 진열집기명은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포함된 정보로 관리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a product type is a bread, a cup surface, a sealing surface, an instant food, a gum, a chocolate, a biscuit, a snack, etc., Quot; A ", and a display code is assigned to "A ". The name of the display panel is managed b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isplay panel code.

또한, 상품의 종류가 목욕세면, 가정잡화, 생리용품, 문구, 전지 등과 같이 상기 진열집기명이 "식품"인 상품들과 성질이 상이한 경우 다른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B"로 부여되고, 진열집기명은 "비식품"으로 붙여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type of the product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oducts having the display name "food" such as bathing, household goods, sanitary article, stationary, battery, etc., The display data code is given as "B ", and the display name is assigned as" non-food ".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구분되어진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별로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를 함으로써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들이 한군데에 모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점포의 진열집기에는 어떠한 상품과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들을 근방에 비치하여 소비자가 손쉽게 상품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바, 점포에 주문한 상품이 피킹박스에 적재되어 입고시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들을 번거로운 이동없이 손쉽게 진열할 수 있으며,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이 어떠한 피킹박스에 담겨있는지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킹박스에 적재된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들에 대하여 진열 전이나 진열과 동시에 검수를 함에 있어서도 용이한바 점포를 운영하는 점주나 점포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oduc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splay and laying codes are loaded in the picking box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kit codes, so that the product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can be collected in one place. Generally, in a display device of a store, product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a product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select the products. In this case, the products ordered in the store are loaded on the picking box,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s can be easily displayed without troublesome movements, and there is no time required to find out which picking box the product to display is stored in. Also,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employees working in a store or a store, which is easy to carry out inspection at the time of display or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roduct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loaded in the picking box.

한편, 상품은 각각에 진열집기상품코드가 부여될 수 있는데, 상기 진열집기코드와 진열집기상품코드는 1:N (N은 정수)의 관계를 이룬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집기코드가 "A"인 상품을 살펴보면, 빵은 진열집기상품코드가 "11", 컵면은 진열집기상품코드가 "12", 봉지면은 진열집기상품코드가 "13" 등으로 부여되며, 이와 같이 각각의 상품에 부여된 진열집기상품코드로 인해 관리회사나 물류센터에서는 각각의 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rchandise may be assigned shelf item codes each of which has a relation of 1: N (N is an integ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a commodity having a display and cooking code of "A" is displayed, the bread has a shelf item code of "11 ", a cup surface thereof has a shelf item code of" 12 &Quot;, "13 ", and so on. Thus, due to the display article codes assigned to each product, the management company or the distribution center can manage each product more easily.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명칭, 체적, 무게, 재질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바,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만을 통하여 피킹박스에 어떠한 위치에 적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와 배송시 어떠한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information on the name, volume, weight, and material of the product is included in the display product cod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oduct should be loaded in the picking box through only the display product code, And whether it should be done.

상기 진열집기코드와 진열집기상품코드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5를 살펴보면, 점포에서 상품에 대하여 관리회사로 주문을 하게 되면(210), 관리회사에는 이를 자체적으로 검토하는 본부마감을 하게 된다(220). 이후 관리회사에서는 점포에서 주문받은 상품내용을 물류센터로 전달하게 되며(230), 이에 따라 물류센터는 피킹작업을 진행하게 된다(240).In order to explain the display code and display product code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illustrating a pi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play of the sh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rdering a product from a store to a management company, (210), and the management company is made to close the headquarters itself (220). Thereafter, the management company transfers the contents of the goods ordered in the store to the distribution center (230), and the distribution center proceeds with the picking operation (240).

상기 물류센터는 피킹작업시 우선적으로 상기 진열집기코드 혹은 상기 진열집기코드와 진열집기상품코드를 고려하여 피킹박스에 상품들이 적재될 순서를 정하게 된다.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명칭, 체적, 무게, 재질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바, 이를 기초로 상기 피킹박스에 적재될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In the picking operation, the distribution center firstly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the products are loaded in the picking box, considering the display and / or display code or the display and warehouse code. As described above, the shelf merchandise code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name, volume, weight, material, and the like for the merchandise, and determines the order to be loaded on the picking box based on the information.

일 예로 하나의 피킹박스에 무게가 무거운 상품에서 가벼운 상품 순으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두꺼운 재질로 이루어진 상품에서 얇은 재질로 이루어진 상품 순으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에 포함된 상품의 정보를 기초로 적재가 이루어짐으로써 피킹과정이나 배송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one picking box may be loaded with a light weight product or a light weight product, or a thick product may be stacked with a thin produc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ading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included in the display instrument product c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ducts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picking process or the delivery process.

한편, 상기 피킹작업은 해당 상품이 포장된 상태나 수량에 따라서 박스피킹과 소분피킹으로 나뉜다. 박스피킹은 주문된 해당 상품이 원래 박스로 포장되어 있거나 주문된 수량이 많아 박스를 그대로 점포로 전달하는 경우에 하는 피킹작업을 말하며, 소분피킹은 해당 상품이 원래 박스로 포장되어 있지 않거나 부피가 작은 경우, 혹은 주문된 수량이 적은 경우에 하는 피킹작업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picking operation is divided into box picking and sub-division picking depending on the packed state and quantity of the product. Box picking refers to a picking operation when the ordered product is packed in the original box or when the ordered quantity is large and the box is transferred to the store as it is. The sub-picking is performed when the product is not packed in the original box or is small , Or when the quantity ordered is small.

상기 물류센터에 보관되어 있는 각각의 상품에는 그 위치를 나타내는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가 부여될 수 있는데, 상기 진열집기코드와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는 1:N (N은 정수)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진열집기코드가 점포에 해당 상품들이 진열집기에 진열되어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들을 묶어 코드를 부여한 것이라면, 상기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는 해당 상품들이 물류센터에 보관되어 있는 위치를 고려한 것으로, 상기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를 이용하여 박스피킹할 상품이나 소분피킹할 상품을 물류센터에서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되는바, 피킹작업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Each merchandise stor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may be assigned a shelf merchandise location code indicative of its location, and the shelf store code and the shelf merchandise location code have a relationship of 1: N (N is an integer) . If the display and hold code is a bundle of codes having the same similar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produc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store, the display device product location code is a code indicating that the products are stor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The merchandise to be box-picked or the merchandise to be sub-picked can be easily searched at the distribution center by using the merchandise location code. As a result, the time required for the picking operation can be shortened.

이하, 피킹작업을 박스피킹과 소분피킹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Hereinafter, the pick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box picking and subdivision picking.

박스피킹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지출력(241a), 해당 상품 박스에 라벨지 부착 및 적재(242a), 박스검수(243a) 순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라벨지가 출력되고 부착되는 작업은 출하준비를 위해 해당 상품 박스를 적재한 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5, the box pick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a label paper output 241a, labeling and loading label 242a, and box labeling 243a in the corresponding merchandise box. Of course, be carried out after the corresponding merchandise box is loaded.

상기 해당 상품이 박스로 이루어진 상품의 경우 이 자체가 피킹박스가 되는바,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대응되는 라벨지를 출력하고 상기 라벨지를 피킹박스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부착되는 라벨지는 상기 진열집기코드가 직접적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집기코드에 대응되는 진열집기명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진열집기명을 표시한 경우 점포에서 일하는 직원이나 점주들이 용이하게 그 상품이 어떠한 분류의 상품인지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열집기명 뿐만 아니라 박스순번, 점포명, 납품예정일 등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product is a box, the label itself becomes a picking box, an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code is output and the label is attached to the picking box. At this time, the label paper to be attached may be directly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display cod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codes as shown in FIG. When the name of the display device is displayed, it is advantageous that employees or shoppers working at the shop can easily know the category of the product. In addition, not only display name but also box order, store name, delivery date,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together.

상기와 같이 라벨지가 부착된 피킹박스는 적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면, 스낵 등과 같이 비교적 가벼운 상품이 담긴 경량피킹박스가 보관된 장소(B)와 주류, 음료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상품이 담긴 중량피킹박스가 보관된 장소(C)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킹박스들은 진열집기코드 진열집기상품코드,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를 고려하여 출고대기장(E)으로 적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picking box to which the label paper is attached can be loa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light picking box containing a relatively light product such as a snack, (C) where the heavy picking box containing a relatively heavy commodity is stored may be different. These picking boxes may be loaded into the waiting queue (E) in consideration of the shelf code display and shelf place code .

그 후 출고대기장으로 적재가 이루어진 피킹박스들은 출고 전 최종적으로 주문된 내용과 일치되는지 검수를 함으로써 피킹작업이 마무리 되게 된다. The picking boxes that have been loaded into the waiting area are then checked to see if they match the final order before shipment and the picking operation is completed.

한편, 소분피킹은 대부분 상품이 낱개로 이루어진 것을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것인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수량 송신(241b), 박스에 라벨지 부착(242b), 작업수량에 따라 박스에 적재(243b), 박스검수(244b) 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라벨지 부착의 경우 박스피킹과 마찬가지로 해당 상품 박스를 적재한 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5, the work amount transmission 241b, the labeling 242b on the box, and the loading on the box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work (see FIG. 5) 243b, and box verification 244b.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label paper, after the corresponding commodity box is loaded like the box picking.

상기 라벨지는 진열집기코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바, 소분피킹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킹박스에 담기는 상품들의 진열집기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이한 진열집기명에 해당하는 상품이 하나의 피킹박스에 담기는 경우 이를 모두 표시함으로써 검수와 진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박스피킹과 마찬가지로 진열집기코드가 직접적으로 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스순번, 점포명, 납품예정일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The label paper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tag code, and in the case of the subpixel picking, the display name of the products to be included in the picking box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a product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display name is included in one picking box,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inspection and display by displaying all of them. In addition, like the box picking, the shelf code can be directly displayed, and the box order, shop name, delivery date,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together.

작업수량을 고려한 피킹박스가 마련이 되면, 피킹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상품들이 구역별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피킹박스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며 각 구역을 지날 때 작업자 또는 자동시스템에 의해 각 해당 상품들이 작업수량에 따라 상기 피킹박스로 적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적재시 진열집기코드 진열집기상품코드,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를 고려됨은 물론이다.When the picking box considering the quantity of work is provided, the pick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earne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the goods are divided into zones, the picking box moves along the conveyor belt, The worker or the automatic system loads each corresponding product into the picking box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work.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display code of the display panel code and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panel.

이후, 적재가 이루어진 피킹박스들은 출고 전 최종적으로 주문된 상품과 수량을 확인하는 검수를 함으로써 피킹작업이 마무리 되게 된다. Thereafter, the picking boxes that have been stacked are finalized by performing inspection to confirm the final product order and quantity before shipment.

상기와 같이 박스피킹과 소분피킹이 완료되면, 이를 배송차량에 적재하게 되며(250), 점포로 배송되어(260) 점주나 점포에서 일하는 직원에 의해 검수가 이루어진 다음 진열되게 된다. 점포에 배송한 후 점주나 직원에게 납품전표를 전달해야 되는데, 상기 납품전표는 상기 피킹박스에 상품을 적재한 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상품이 표기되어 발행될 수 있다. When the box picking and the subdivision picking are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y are loaded on the delivery vehicle (250), then delivered to the shop (260), and are inspected by an employee working in the shop or shop and then displayed. After delivering to the store, the delivery slip must be delivered to the store or the staff. The delivery slip can be issued after the goods are loaded in the picking box and the good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isplay house code.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열집기코드가 동일한 상품별로 상품을 정리하여 상기 납품전표를 발행할 수 있으며, 진열집기명을 상기 납품전표에 표기되도록 함으로써 점주나 직원이 검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검수를 하며 동시에 해당 물품이 어느 곳에 설치된 진열집기에 진열해야 하는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display kit can arrange products for the same commodities to issue the delivery slip, and the name of the display can be displayed on the delivery slip,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dicting in advance whether or not the article should be displayed on the shelf where the article is installed.

본 발명인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관리부(310), 상품관리부(320), 상품출고부(330)가 포함된다. 상기 코드관리부(310)는 진열집기코드, 진열집기상품코드,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점포에 설치된 진열집기에 따라 코드가 부여되며,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는 상기 진열집기코드와 1:N (N은 정수)의 관계를 가지고, 각각의 상품에 대한 체적, 무게, 재질 등을 포함하는 상품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는 각각의 상품이 물류센터에 보관된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코드관리부(310)는 이와 같은 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11, the produc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e management unit 310, a product management unit 320, and a product delivering unit 330. The code management unit 31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code, a display panel product code, and a display panel product location code.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nel code is provided with a code according to the display panel installed in the store, The display instrument product code has a relationship of 1: N (N is an integer) with the display instrument code, and is made up of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volume, weight, and material for each product. Further, the shelf merchandise location code indicates the position where each merchandise is stor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The code management unit 310 functions to assign and manage such codes.

한편, 상품관리부(320)는 점포로부터 상품을 주문을 받아 이를 검토하며, 검토 후 물류센터로 주문된 상품과 그 수량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품관리부(320)와 코드관리부(310)는 관리회사에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20 receives an order for a product from the store, examines the item, and delivers the product ordered to the distribution center after the review and the quantity thereof. Therefor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320 and the code management unit 310 are preferably operated by a management compan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상품출고부(330)는 상기 관리회사로부터 전달받은 상품, 즉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분류하여 피킹박스에 적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품출고부(330)는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피킹박스에 적재하므로 추후 해당 상품이 점포에 입고시 검수와 진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330 classifies the merchandis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company, that is, the merchandise ordered from the store, into the picking box. At this time, Since the product is loaded in the picking box, the product can be easily inspected and displayed at the time of arrival at the store.

또한, 상기 상품출고부(330)는 피킹박스에 상기 진열집기코드와 대응되는 라벨지를 부착할 수 있는데, 상기 라벨지는 해당 상품을 피킹박스에 담기 전 또는 후에 부착되어도 무관하며, 진열집기명, 박스순번, 점포명, 납품예정일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delivering unit 330 may attach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code to the picking box. The label may be attached before or after the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icking box, Information such as order number, shop name, delivery date,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기 피킹박스에 상품을 적재한 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상품을 표기한 납품전표를 발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납품전표를 발행함으로써 점주나 점포에서 일하는 직원이 검수를 함에 있어 해당 상품이 담겨있는 피킹박스가 어떠한 것인지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비용정산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Also,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may issue a delivery slip indicating the merchandise according to the display set code after loading the goods in the picking box. By issuing the delivery slip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what the picking box containing the product is when the employee working at the store or the shop inspects it, thereby facilitating the cost settlemen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품출고부(330)는 물류센터에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goods issue unit 330 is preferably operat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과 상품 배송 시스템은 점포의 점주나 그 곳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검수 및 진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류센터에서의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 등을 이용할 수 있는바, 물류센터에서의 효율성도 보장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icking method and the produc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ps of the shops or the employees who work there can facilitate inspection and display, and as a result, In order to prevent the work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it is possible to use the display location code and the like, and the efficiency in the distribution center is also guaranteed.

Claims (13)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별로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하여 배송함으로써 점포에서의 상품 검수와 진열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A display cod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display of the store, and the goods ordered from the store are loaded and delivered to the picking box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code,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commodity inspection and display in the shop Picking method according to display of sho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각각에 진열집기상품코드가 부여되되,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진열집기상품코드와 1:N (N은 정수)의 관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merchandise is assigned a shelf item code,
And the display / display code has a relationship of 1: N (N is an integer) with a display instrument product c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는 상품의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helf product code includes information on a produ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박스에 상품을 적재시,
상기 상품은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에 포함된 상품의 정보 중 체적, 무게, 재질을 기초로 적재되는 순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goods are loaded on the picking box,
Wherein the order of stacking the products based on the volume, weight, and material of the goods included in the display goods code is determ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각각에는 물류센터에서 보관된 위치를 나타내는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가 부여되되,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와 1:N (N은 정수)의 관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merchandise is provided with a merchandise location code indicating a position stored in the warehouse,
And the display data code has a relationship of 1: N (N is an integer) with a display instrument product location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박스에는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대응되는 라벨지가 부착되어 피킹박스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cking box is provided with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code, so that the picking box is di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박스에 상품을 적재한 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상품을 표기한 납품전표가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loading the goods in the picking box,
And a delivery slip indicating a product is issued according to the display data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집기에는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별로 진열되되,
상기 진열집기코드에는 해당 상품과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진 상품을 통칭하는 진열집기명의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피킹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s are displayed for each commodity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the display information cod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ame of a display devic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roduct having the same properties as thos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라 진열집기코드를 부여 및 관리하는 코드관리부;
상기 점포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을 받는 상품관리부; 및
상기 점포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분류하여 피킹박스에 적재하는 상품출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품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대응되는 피킹박스에 적재하여, 상기 상품의 검수와 진열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
A code management unit for assigning and managing a display house code according to a display of a shop;
A product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n order for a product from the store; And
And a merchandise shipment unit for sorting the products ordered from the store and loading the products into a picking box,
Wherein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loads the merchandise on the picking box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ack cod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inspection and display of the merchandis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관리부는 각각의 상품에 대한 체적, 무게, 재질을 포함하는 상품의 정보로 이루어진 진열집기상품코드를 부여 및 관리하되,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기 진열집기상품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de management unit assigns and manages a display instrument product cod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roduct including a volume, a weight, and a material for each product,
Wherein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loads the merchandise so that the merchandise is not damag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isplay merchandise c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관리부는 상품 각각에 대하여 물류센터에서 보관된 위치를 나타내는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를 부여 및 관리하되,
상기 진열집기코드는 진열집기상품로케이션코드와 1:N (N은 정수)의 관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de management unit assigns and manages a merchandise location code indicating a location stor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for each of the merchandise,
And the display instrument code has a relationship of 1: N (N is an integer) with a display instrument product location c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기 피킹박스에 진열집기코드와 대응되는 라벨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roduct delivering unit attaches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helf holding code to the picking box.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출고부는 상기 피킹박스에 상품을 적재한 후 상기 진열집기코드에 따라 상품을 표기한 납품전표가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포의 진열집기에 따른 상품 배송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rchandise shipment unit issues a delivery slip indicating the merchandise according to the shelf holding code after loading the product in the picking box.
KR1020130131469A 2013-10-31 2013-10-31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KR101657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69A KR101657540B1 (en) 2013-10-31 2013-10-31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69A KR101657540B1 (en) 2013-10-31 2013-10-31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769A true KR20150050769A (en) 2015-05-11
KR101657540B1 KR101657540B1 (en) 2016-09-19

Family

ID=5338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469A KR101657540B1 (en) 2013-10-31 2013-10-31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54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9853A1 (en) * 2019-11-19 2021-05-27 Coupang Corp.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orders based on system parameters
US11097898B1 (en) 2020-02-17 2021-08-24 Coupang Corp. Appratus for conveying produ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3171846A1 (en) * 2022-03-10 2023-09-14 쿠팡 주식회사 Logistics processing system, logistics processing apparatus, logistics processing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710A (en) * 1996-10-18 1998-06-30 Nkk Corp Sorting method for goods, horizontal circulation sorter employing thereof, and picking device using it
JP2004030407A (en) * 2002-06-27 2004-01-29 Inter Db:Kk Articl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display furnitur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2008239337A (en) * 2007-03-29 2008-10-09 Nippon Express Co Ltd Picking work control system
KR20110006404A (en)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The picking method using product cubic information and vehicle loading rate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710A (en) * 1996-10-18 1998-06-30 Nkk Corp Sorting method for goods, horizontal circulation sorter employing thereof, and picking device using it
JP2004030407A (en) * 2002-06-27 2004-01-29 Inter Db:Kk Articl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display furnitur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2008239337A (en) * 2007-03-29 2008-10-09 Nippon Express Co Ltd Picking work control system
KR20110006404A (en)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The picking method using product cubic information and vehicle loading rate management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9853A1 (en) * 2019-11-19 2021-05-27 Coupang Corp.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orders based on system parameters
CN113228073A (en) * 2019-11-19 2021-08-06 韩领有限公司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order distribution based on system parameters
TWI813909B (en) * 2019-11-19 2023-09-01 南韓商韓領有限公司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orders based on system parameters
US11097898B1 (en) 2020-02-17 2021-08-24 Coupang Corp. Appratus for conveying produ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60572B2 (en) 2020-02-17 2023-09-19 Coupang Corp. Apparatus for conveying produ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3171846A1 (en) * 2022-03-10 2023-09-14 쿠팡 주식회사 Logistics processing system, logistics processing apparatus, logistics processing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540B1 (en)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3921B (en) Supplement retailing facility
Van Zelst et al. Logistics drivers for shelf stacking in grocery retail stores: Potential for efficiency improvement
WO2016132534A1 (en)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arehouse, and warehouse management method
US9089227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 lighting control, product display lighting method and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roduct lighting, and -method for setting product display location lighting
US202003946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t Least One Dish
KR101098580B1 (en) Chceking method for multi-article delivery and delivery system thereof
US20140279660A1 (en) Overnight productivity dashboard
KR20150089793A (en) method of processing pick and pass framework in warehouse management system
KR20180061687A (en) Packaging management system of product
KR101657540B1 (en) The Picking method considering display stand in store and Transport system thereof
KR101847194B1 (en) A System Providing Cloud Storage
JP5652529B2 (en) Sorting equipment
US20210163225A1 (en) Light assisted pack wall carton selection and replensihment system
JPH06223091A (en) Commodity management system
JP2019034806A (en) Picking system, picking cart and program
JP4696219B2 (en) Article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192124A (en) Method and device for sorting articles
KR20200087520A (en) Chceking method for multi-article delivery and delivery system thereof
Tostar et al. Lean Warehousing-Gaining from Lean thinking in Warehousing
JP3867958B2 (en) Article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177810A (en) Article inspecting method and device in picking system
JP5561306B2 (en) Sorting equipment
JP7275419B2 (en) Goods picking work device with means for notifying goods loading completion
US202302674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a plurality of different goods
Tostar et al. Lean ware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