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585A -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 - Google Patents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585A
KR20150050585A KR1020157007969A KR20157007969A KR20150050585A KR 20150050585 A KR20150050585 A KR 20150050585A KR 1020157007969 A KR1020157007969 A KR 1020157007969A KR 20157007969 A KR20157007969 A KR 20157007969A KR 20150050585 A KR20150050585 A KR 2015005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air
composition
inhaler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580B1 (ko
Inventor
알렉스 헌
Original Assignee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20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2Particle size control by flow deviation causing inertial separation of transported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3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without arming or cocking, e.g. acting directly on the deliver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2Equipment for testing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 A61M2209/045Tools for specific apparatus for filling, e.g. for filling reservo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zzl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흡입가능한 조성물의 소스를 포함한 흡입기. 소스로부터 흡입기의 배출구 단부에 있는 조성물 배출구로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10)가 제공된다. 흡입이 배출구 단부에 가해질 경우 조성물 배출구 밖으로 그리고 배출구 흐름경로를 따라 소스로부터 조성물의 흐름을 발생하기 위해 수단(12,13,14)이 제공된다. 배출구 단부에 있는 한 쌍의 공기 배출구(21)는 흡입이 배출구 단부에 가해질 경우 각각의 에어제트에 공기가 끌려 들어가는 조성물 배출구의 맞은편 측면에 배열된다. 조성물과 공기 배출구는 사용시 조성물 플룸에 에어제트 쌍이 부딪히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A Breath Operated Inhaler with Plume Impinging Air Jets}
본 발명은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모조담배용 흡입기, 즉, 일반적인 담배 모양과 크기를 갖는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천식 약물 또는 다른 형태의 약물을 분주하기 위한 흡입기와 같이 다른 형태의 흡입기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흡입기들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기는 사용자의 입에 넣어지는 배출단부에 있는 하나의 오리피스를 갖는다. 그런 후, 사용자는 배출단부를 빨아당겨 입으로 조성물의 흐름을 촉발시킨다. 동시에, 배출 오리피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공기가 끌려 들어간다.
한가지 이러한 예는 WO2006/079751로서, 상기 참고문헌은 볼루스(bolus)에 액제를 수송할 수 있어, 용기의 대부분을 비우는 고출력의 방출 액제로 사용자에게 용기의 전체 약물을 수송하는 것이 필요한 흡입용 약물을 방출하는 트리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몇몇 예들은 관형 플로우를 이용해 미립자들을 흡기 싸이클로 가속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US 6,234,169는 용기와 배출단부 및 오리피스를 통해 들어간 공기가 용기를 지나 용기로부터 약물을 끌어당기도록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는 용기 챔버내에 오리피스 간에 도관을 필요로 한다.
다른 예들은 디바이스의 성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이나, 장치 특징들을 바꾸어 사용자의 호흡에 대한 디바이스의 저항에 영향을 끼친다. 예컨대, WO 2008/151796은 마우스피스와 공기공급개구를 갖고, 유체가 흐르게 용기를 촉발하는 에어졸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 흡입기는 적어도 60000Pa1 /2s/m3의 흐름저항을 갖는다. 이는 흐름저항을 높이고/높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공기공급개구를 통해 들어가는 공기의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해 마우스 피스내 인서트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과 대조적으로, 주요 태양은 적어도 60000Pa1 /2s/m3의 흐름저항을 갖도록 디바이스의 흐름저항을 높이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타입과 유사한 종전 흡입기보다 끌어당김 저항 면에서 상당히 더 크다. 이런 흡입기는 통상보다 더 큰 저항을 전달하는 장치가 약제의 급속한 볼루스를 사용자에 높은 흡입율로 수송해, 흡입이 수행됨에 따라 방출된 유출량을 폐 속 깊숙이 가속화시킬 것이므로 종래 정량분무식 작동 흡입기에 있어 발전으로 여겨진다.
모조담배 장치에 대해, 흡입율에 있어 매우 다른 특징들을 갖는 게 필요하다. 특히 방출되는 볼루스보다는 흐름 기간이 가능한 한 완만하고 점진적으로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가압된 정량분무식 흡입기(pMDI)에 대해, 흡입 수준은 가능한 한 60 l/m만큼 높을 수 있으나, 모조담배 장치에 대해, 이는 1-2 l/m에 더 가까울 것이 요구된다.
모조담배 분야에서, 시장에 현재 많은 장치들이 있다. 한가지 이런 장치는 Nicorette(RTM) 흡입기이다. 이것에는 하우징에 놓인 니코틴을 담은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그런 후 하우징의 일단을 빨아당김으로써 맞은편 단부를 통해 공기를 끌어들여 흡입된 니코틴에 들어가는 관류(through flow)를 형성한다. 따라서, 공기와 니코틴 함유 조성물이 하나의 오리피스를 통해 흡입된다.
두번째 타입의 장치는 전자담배이다. 이 경우, 전자담배의 배출단부를 빨아당기면 내부 압력이 떨어져 배출단부에서 흡입되어 지는 니코틴을 기류로 증발시키도록 히터의 동작을 촉발시킨다.
다양한 다른 모조담배들이 종래 해당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나, 어느 것도 장치들을 소정의 특징들에 맞추는 것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US 4635651은 자가추진 담배 대체물을 기술하고 있으나 흡입 단서에 대한 정확한 역학을 고려하지 못한다.
DE 4030257은 호흡촉진 밸브가 달린 니코틴을 분주하는 모조담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재료의 소스가 흡입되게 원형 디스크가 축방향 로드를 통해 배출구 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흡입하는 경우, 공기가 플레이트의 상류에 있는 홀들을 통해 장치로 끌려 들어가고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주위로 흡입된다. 그러나, 압력강하와 끌어당김 저항(draw resistance)이 어떻게 제어되는 지에 대한 참고가 전혀 없다.
FR2873584은 또한 2마이크론 이하로 미립자들을 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가압 약제, 공간, 및 방출 노출을 포함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 흡입에 적합하고 조정될 수 있는 방출 역학에 대한 고려가 없다.
모조담배의 최근 설계는 본 출원인의 초기 국제특허출원 WO 2011/015826에 개시되어 있다. 유사한 장치가 WO 2011/015825 및 WO 2011/107737에 개시되어 있다. 이 참조문헌은 가압 용기를 갖는 모조담배를 개시한 것으로, 그 배출구는 밸브부재에 의해 핀치된 변경가능 튜브에 의해 닫혀 있다. 밸브부재는 멤브레인 상에 지지된 베인의 일부이다. 사용자가 담배의 배출단부를 흡입하면, 공기가 많은 더 작은 유입구 오리피스들을 통해 들어가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멤브레인 위의 챔버 밖에서 빨아 당겨져 멤브레인 위의 압력이 떨어져 밸브가 들어올려 진다. 장치의 배출단부에서, 흡입가능한 조성물은 멤브레인 아래의 조성물 흐름경로를 따라 나가고, 멤브레인 위의 챔버로부터 별도의 기류가 있게 된다. 밸브 설계의 특성은 흐름경로가 반드시 다른 오리피스 위의 한 오리피스와 이 위치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기로부터 조성물의 수송에 있어 한가지 중요한 요인은 사용자의 흡입 역학이 유효한 대체물이게 종래 흡연 흡입과 아주 닮을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압력강하와 끌어당김 저항이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요인은 조성물의 미립자 크기가 소정의 수송 지역에, 즉, 구강, 폐 등이든지 그리고 소정의 농도로 흡입을 위한 최적 크기로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수송된 조성물의 미립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잘 정의되며 쉽게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강화된 조성물 수송을 흡입기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가능한 조성물의 소스, 상기 소스로부터 조성물 배출구로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 흡입이 배출구 단부에 가해질 경우 조성물 배출구 밖으로 그리고 배출구 흐름경로를 따라 소스로부터 조성물의 흐름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및 흡입이 배출구 단부에 가해질 경우 각각의 에어제트에 공기가 끌려 들어가는 조성물 배출구의 맞은편 측면에 배열된 배출구 단부에 있는 한 쌍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조성물과 공기 배출구는 사용시 조성물 플룸에 에어제트 쌍이 부딪히도록 배열되는 흡입기가 제공된다.
에어제트는 조성물 플룸 내에 난류를 생성하고, 이로써 플룸내 임의의 더 큰 미립자들의 조성물을 분쇄시킨다. 그 결과, 더 균일하고 전반적으로 더 작은 미립자 크기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3개 배출구들의 상대적인 크기 및 간격을 변경시킴으로써 간단히 행해질 수 있는 미립자 크기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조담배장치가 감각적 성능을 강화하고 약동학적 효과(pharmacokinetic effect)를 증가시키도록 압력강하, 끌어당김 저항 및 최적화된 드롭렛 크기를 흉내 낼 수 있는 흡입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배출구 오리피스의 배열이 밸브가 동작하는 방식으로 지시됨에 따라 미립자 크기 및 호흡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WO 2011/015826에 개시된 장치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공기 배출구의 제공은 조성물 배출구의 일측에만 공기 배출구가 있어 조성물 플룸(plume)이 편향되는 WO 2011/015826의 단일 공기 배출구보다 이점을 제공한다. 이 편향은 가해진 흡입량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플룸의 정확한 수송이 어려워진다. 조성물 플룸의 일측에 에어제트를 갖는 것은 에어제트에 의해 플룸에 가해진 힘이 밸런스를 이룸으로써 원치않는 플룸의 편향 없이 조성물을 분쇄하는 긍정적 효과가 얻어짐을 보장한다.
단 2개의 공기 배출구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 배출구를 갖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3 이상의 배출구들로 인해 한 배출구가 플룸에 상당한 편향을 야기하는 능력이 크게 줄어들므로, 이런 추가 배출구들이 이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추가 공기 배출구들이 있으면,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항 쌍으로 있게 된다.
공기 배출구로부터 나온 공기가 플룸의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흡입기를 나가면, 이들이 흡입기로부터 멀리 발산하므로 에어제트와 조성물 플룸에 소정의 간섭이 있게 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구들이 조성물 배출구를 향해 기울어져 있어 에어제트가 조성물 플룸을 향해 수렴된다. 이는 에어제트가 조성물 플룸내에 있는 더 큰 미립자를 분쇄하는 능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경사각은 조성물 배출구에서 소정 크기의 미립자들을 보유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치의 한층 더한 "조정" 정도를 제공한다.
흡입이 가해질 경우 조성물 플룸으로서 조성물 배출구 밖으로 그리고 배출구 흐름경로를 따라 소스로부터 조성물의 흐름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들은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성물은 담배를 관통하는 기류 경로에 노출될 수 있어, 담배 단부의 흡입시, 공기의 관류(through flow)가 조성물 중 일부에 들어가게 된다. 대안으로, 흡입이 가해질 경우 니코틴 량을 기화시키도록 촉발되는 담배 내에 배터리 구동 히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 흡입가능한 조성물의 소스는 가압용기이고 조성물의 흐름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호흡동작 밸브이다. 이 경우, 공기 배출구 쌍은 작동장치와 별개인 기류 경로와 관련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 공기 배출구 쌍은 호흡동작밸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류 경로와 관련 있다.
공기 배출구를 호흡동작밸브의 작동방식의 일부가 되게 하는 것은 모조담배를 조정하기 위한 더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공기 배출구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호흡동작밸브에 가해진 압력차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호흡동작밸브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흡입력은 공기 배출구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간단히 조정될 수 있다.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와 떨어져 있는 한 쌍의 공기 배출구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되는 호흡동작밸브를 갖는 다른 이점은 (기본적으로 용기 압력과 최소 조성물 배출구 면적에 의해 정해지는) 분주되는 조성물의 비율이 공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기류와 별개이다. 이는 밸브가 촉발되는 흡입력과 끌어당김 저항이 (공기 배출구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분주되는 조성물 량에 무관하게 설정되게 한다. 이는 공기 배출구 오리피스가 필요한 압력강하와 끌어당김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되게 한다. 그러나, 필요한 조성물량을 생산하는데 이상적인 상대적으로 큰 조성물 배출구도 또한 가능하다. 그러므로, 단일 오리피스를 갖는 종래 기술의 위험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기로, 호흡동작밸브는 바이어스 힘에 의해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를 막는 위치로 바이어스된 밸브요소; 밸브요소를 움직이도록 배열된 가요성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정의된 제 1 기류 경로와, 다이어프램의 맞은편에 부분적으로 정의된 제 2 기류 경로를 포함하고, 각 기류 경로는 배출단부에 배출개구가 있으며, 기류 경로는 배출단부에서 흡입으로 인해 1 기류 경로내 압력 감소 및 제 2 기류 경로내 상대적인 압력 증가가 야기되어, 다이어프램 양단에 압력차를 발생해 다이어프램을 움직이고 이에 따라 바이어스 힘에 대해 밸브요소를 움직여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가 개방되고, 공기 배출구 쌍은 제 2 기류 경로의 배출단부에 개구를 제공한다.
공기 배출구는 흡입기내에 폐쇄된 챔버로부터 간단히 인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 공기 배출구들은 공기 유입구에서 공기 배출구까지 관류 경로가 있도록 배출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과 관련 있다. 공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체험하는 끌어당김 저항이 변할 수 있다.
흡입기는 구체적으로 모조담배가 되도록 설계되었으나, 가령, 특히 낮은 트리거 힘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약물을 분주하기 위한 흡입기로서 광범위한 응용을 갖는다. 이는 종래 흡입기에 비해 신속한 수송과 더 큰 협력을 필요로 하는 약물 또는 백신, 가령 β2-효능약(beta2-adrenergic agonists), 합성 및 반합성을 포함한 오피오이드 부류, 호르몬 또는 신경전달물질 및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칸나비노이드, PDE4-억제제, LTD4-길항제, EGFR-억제제, 도파민 효현제, 항히스타민제, PAF-길항제 및 PI3-키나아제 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 항바이러스, 항생제, 항원 또는 치료 단백질에 국한되지 않는 약물 또는 백신을 수송할 경우 특히 이점적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흡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 평면에서 흡입기의 배출단부를 통한 개략적 축횡단면도로서, 명확히 하기 위해 베인은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기류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커버, 베인 및 다이어프램이 생략된 흡입기의 배출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흡입기의 배출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흡입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흡입기의 전체 횡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6의 선 6A-6A를 지나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유량 시험장치 도식도이다.
본 발명은 WO 2011/015826에 개시된 바와 같은 흡입기에 대한 배출밸브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장치의 더 상세한 내용과 재충진 방식에 대해, WO 2009/001078을 참조하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크게 2 부분으로 나누어진 하우징(1)을 구비한다. 원단부는 용기(2)이고 근단부는 호흡촉진 밸브장치(3)이다. 원단부(4)에는 용기가 충진되게 하는 리필밸브(5)가 있다. 용기는 PCT/GB2011/000285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윅(wick)(6)을 포함할 수 있다. 맞은편에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배출단부(5)가 있다.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는 실질적으로 이 지점에서 흡입기의 전체 횡단면을 차지하는 원단부(4)에 인접한 부분(8)을 갖는다. 배출단부(7)에 더 가까운 제 2 부(9)는 흡입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횡단면 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의 이 부분은 또한 후술된 밸브장치를 수용하고 또한 후술된 기류 경로에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의 이런 제 2 부(9)는 하우징(1)과 동일한 몰딩부이고 흡입기의 아래쪽 부분을 따라 이어진다.
양 단부에서 튜브 개구의 형태로 엘라스토머 인서트(10)가 원단으로부터 삽입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경로의 근단부에 배출 기류 경로를 형성한다. 이 인서트(10)는 통상 스프링(11)에 의해 하방으로 바이어스된 밸브요소(11)에 의해 핀치식으로 폐쇄된다. 이 핀치폐쇄식 밸브장치는 WO 2011/015825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밸브요소(11)는 대부분 흡입기의 배출단부를 따라 뻗어 있는 베인(13)의 일부이다. 베인(13)은 밸브요소(11)가 돌출한 오리피스를 제외하고 베인(13)의 전체 하부면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다이어프램(14)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밸브요소는 외주를 두르며 둘러싼 하우징에 밀봉된다. 디이어프램(14)의 원단부에는 베인(13)이 상하로 이동하는 소정의 자유도를 제공하는 킹크(kink)(15)가 있다. 베인과 프레임은 둘 다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반면, 다이어프램은 더 투명한 가요성 재료이다. 멤브레인의 재료라기보다는 힌지로서 작동하고 있는 텅(tongue)의 재료이도록 프레임의 재료와 텅의 재료 간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베인(13)의 맞은편 단부는 베인이 선회하는 힌지를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과 베인 간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박힌 주변 프레임과 통합된다.
스프링(12)의 동작에 대해 밸브요소(11)를 개방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한다.
이는 제 1(16) 및 제2(17) 기류 경로에 의해 달성된다. 제 1 기류 경로(16)는 다이어프램(14) 위쪽인데, 밸브요소가 적소에 있은 다음 기류 경로의 상단이 하우징(1)에 고정된 하우징부(18)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기류 경로는 필연적으로 다이어프램(14) 위에 베인(13)이 차지한 공간으로 이끄는 제 1 기류 경로 배출구 오리피스(19)에 의해 형성된다. 이 기류 경로에는 다른 오리피스들이 없다.
제 2 기류 경로(17)는 다이어프램(14) 아래쪽에 있고 제 2 기류 경로 유입구 오리피스(20) 쌍에 의해 정의된다(그 중 단 하나만 도 2에 도시되어 있음). 본 예에서, 제 2 기류 경로는 실제로 하부면의 하우징(1)과 상부면의 다이어프램(11)에 의해 정의된 통로(17)를 따라 유입구 오리피스(20)로부터 뻗어 있고, 용기의 제 2 부(9)를 따라 해당 유입구 오리피스(20)보다 더 작은 제 2 기류 경로 배출구 오리피스(21) 쌍에서 종결되는 배출단부까지 뻗어 있는 2개의 별도의 경로에 의해 정의된다. 제 2 기류 경로를 지나는 흐름이 도 2 및 도 3의 하부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배플(22)은 이 경로에서 팔로우 저항(follow resistance)을 높이기 위해 제 2 기류 경로(17)를 따라 제공된다.
사용자가 배출단부(7)에서 빨아당기면, 공기가 제 1 기류 경로 배출구 오리피스(15) 밖에서 흡입됨으로써, 제 1 기류 경로(16)내 압력을 떨어뜨린다. 동시에, 공기는 기류 경로 유입구 오리피스(20)를 통해 끌려 들어간다. 베인 위의 감소된 압력과 베인 아래 상당한 압력 감소의 방지의 조합으로 베인은 다이어프램을 변형시켜 위로 이동되고 스프링(12)의 동작에 대해 밸브요소를 올리게 된다. 사용자가 배출단부에서 빨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다이어프램 상하의 압력이 같아져 스프링(12)은 밸브요소(11)를 인서터(10)를 핀치한 페쇄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1,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터(10)와 기류 경로 배출구 오리피스(21)를 포함한 부분에서 배출단부(7)는 오목한 구성(23)을 갖는다. 그 결과, 배출구 오리피스(21)는 인서트(10)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흡입시, 배출구 오리피스(21)를 나가는 공기는 인서트(10)로부터 나온 조성물의 플룸(plume)을 향해 기울어져 공기가 재빨리 조성물에 부딪혀 더 큰 난류를 생성하고 조성물의 평균 입자크기를 줄이게 된다.
종래의 흡연 담배에 대해, 국제표준 ISO:6565 및 ISO 7210은 흡연 담배의 끌어당김 저항과 압력강하에 대한 테스트와 방법을 결정한다. 이는 제품 품질 사양과 기계적 흡연에 의한 분석적 판단과 매칭시키기 위한 중요 척도이다.
도 7은 이들 표준 하에서 테스트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도면이며 다른 유량으로 흡입기 장치를 가로지르는 압력강하를 평가할 수 있는 유량 시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가변 흐름제한장치(31)의 제어 하에서 진공펌프(30)를 이용해 압력강하가 가해지고 대기압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테스트 전에 압력 게이지를 0으로 맞춘 적절한 압력 게이지(32)를 이용해 측정된다. 흐름관(34)에서 플로트(33)의 상단으로터 유량이 측정된다. ISO 7210:1997에 따라 각 흡입을 측정한다.
에어제트의 크기는 제 2 기류경로 배출구 오리피스의 직경에 대해 ISO: 7210 하의 공기 배출구 오리피스를 가로질러 측정된 압력강화와 직접 상관되는 것이 발견되므로 흡입의 끌어당김 저항에 영향을 끼친다. 예컨대, 2개의 이런 오피피스들 각각이 직경이 0.45mm이면, 100개의 장치들에 대해 테스트된 평균 끌어당김 저항은 2.8kPa이다. 오피피스들이 직경이 0.40mm이면, 이들은 평균 압력강하가 3.7kPa로 주어지고, 직경이 0.33mm이면, 평균 압력강하가 5.2kPa로 주어진다. 본 발명에 대해 이는 평균 압력강하가 에어졸식 모조담배에 대한 흡연자용의 최적의 성능 특징을 위해 2kPa 내지 4kPa 사이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약제의 특정 농도에 맞게 장치를 선택 조정하게 한다. 가령, 더 큰 농도의 약제에 대해 더 큰 저항 장치가 맞추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의 동계류중인 특허출원 GB 1215273.2는 조성물에 대한 적절한 약제를 개시하고 있다. 직경이 0.38mm의 트윈 에어제트를 갖는 더 큰 끌어당김 저항장치는 더 큰 농도, 가령 0.084 w/w%의 니코틴 약제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는 더 많은 니코틴을 함유한 담배들은 더 큰 끌어당김 저항과 상관 있기 때문에 종래 흡연담배와 유사하다. 따라서, 흡입기는 확장된 제품범위와 강화된 소비자 수용을 돕기 위해 약제의 특정 농도로 에어제트를 가로질러 압력강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흡입가능한 조성물의 소스, 상기 소스로부터 조성물 배출구로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 흡입이 배출구 단부에 가해질 경우 조성물 배출구 밖으로 그리고 배출구 흐름경로를 따라 소스로부터 조성물의 흐름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및 흡입이 배출구 단부에 가해질 경우 각각의 에어제트에 공기가 끌려 들어가는 조성물 배출구의 맞은편 측면에 배열된 배출구 단부에 있는 한 쌍의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조성물과 공기 배출구는 사용시 조성물 플룸(composition plume)에 에어제트 쌍이 부딪히도록 배열되는 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공기 배출구만이 있는 흡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 배출구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맞은편 쌍에 있는 흡입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는 에어제트가 조성물 플룸을 향해 수렴하도록 조성물 배출구를 향해 기울어져 있는 흡입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가능한 조성물의 소스는 가압용기이고, 조성물의 흐름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호흡동작 밸브인 흡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 쌍은 호흡동작밸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류 경로와 관련 있는 흡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호흡동작밸브는 바이어스 힘에 의해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를 막는 위치로 바이어스된 밸브요소; 밸브요소를 움직이도록 배열된 가요성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정의된 제 1 기류 경로와, 다이어프램의 맞은편에 부분적으로 정의된 제 2 기류 경로를 포함하고, 각 기류 경로는 배출단부에 배출개구가 있으며, 기류 경로는 배출단부에서 흡입으로 인해 1 기류 경로내 압력 감소 및 제 2 기류 경로내 상대적인 압력 증가가 야기되어, 다이어프램 양단에 압력차를 발생해 다이어프램을 움직이고 이에 따라 바이어스 힘에 대항해 밸브요소를 움직여 조성물에 대한 배출구 흐름경로가 개방되고, 공기 배출구 쌍이 제 2 기류 경로의 배출단부에 개구를 제공하는 흡입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들은 공기 유입구에서 공기 배출구까지 관류 경로가 있도록 배출단부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과 관련 있는 흡입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준 흡입시, 공기 배출구 모두를 지나는 흐름은 총합 0.5 l/m에서 60 l/m, 바람직하게는 1.0 l/m에서 5 l/m, 더 바람직하게는 1.5 l/m인 흡입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배출구의 출구 직경은 0.1mm에서 1mm, 바람직하게는 0.2mm이고, 배출구 쌍들 각각의 직경은 0.1mm에서 1.2mm, 바람직하게는 0.4mm인 흡입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배출구의 출구 노즐의 출구 횡단면적 대 공기 배출구의 총 횡단면적 비는 16: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1인 흡입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배출구의 총 횡단면 출구면적은 0.008㎟에서 0.8㎟, 바람직하게는 0.07㎟에서 0.2㎟이고, 공기 배출구의 총 횡단면적은 0.14㎟에서 1.0㎟이며, 두 면적의 비는 2:1에서 8:1이고, 드롭렛 크기는 D50으로서 5 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0.3마이크론,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마이크론인 흡입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SO 6565 및 ISO 7210 하에서 트윈 에어제트로 측정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 오리피스를 가로지르는 압력강하는 0.5 - 4kPa인 흡입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ISO 6565 및 ISO 7210 하에서 트윈 에어제트로 측정된 바와 같이 압력강하는 2 - 4kPa인 흡입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 직경이 1mm인 ISO 6565 및 ISO 7210 하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 오리피스를 가로지르는 압력강하는 3kPa - 4kPa인 흡입기.
KR1020157007969A 2012-08-28 2013-08-27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 KR101735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15282.3 2012-08-28
GBGB1215282.3A GB201215282D0 (en) 2012-08-28 2012-08-28 An inhaler
PCT/GB2013/052240 WO2014033439A1 (en) 2012-08-28 2013-08-27 A breath operated inhaler with plume impiging air j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85A true KR20150050585A (ko) 2015-05-08
KR101735580B1 KR101735580B1 (ko) 2017-05-15

Family

ID=4704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969A KR101735580B1 (ko) 2012-08-28 2013-08-27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10441734B2 (ko)
EP (1) EP2890258B1 (ko)
JP (1) JP6078157B2 (ko)
KR (1) KR101735580B1 (ko)
CN (1) CN104812259B (ko)
AR (1) AR092263A1 (ko)
AU (1) AU2013308231B2 (ko)
BR (1) BR112015004230B1 (ko)
CA (1) CA2883143C (ko)
CL (1) CL2015000484A1 (ko)
DK (1) DK2890258T3 (ko)
ES (1) ES2606548T3 (ko)
GB (1) GB201215282D0 (ko)
HK (1) HK1211186A1 (ko)
IL (1) IL237465B (ko)
MX (1) MX365394B (ko)
MY (1) MY177618A (ko)
PH (1) PH12015500684B1 (ko)
PL (1) PL2890258T3 (ko)
RU (1) RU2646581C2 (ko)
TW (1) TWI595899B (ko)
UA (1) UA113666C2 (ko)
WO (1) WO2014033439A1 (ko)
ZA (1) ZA201502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8068B (en) 2014-07-08 2017-02-15 Kind Consumer Ltd An inhaler
CN104223363B (zh) * 2014-08-20 2017-02-15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吸入器
WO2016030369A1 (en) * 2014-08-25 2016-03-03 Janing Holding Aps Device with compositions for delivery to the lungs, the oral mucosa and the brain
TWI579008B (zh) * 2015-03-06 2017-04-21 崑山科技大學 Drug mist inhalation auxiliaries
PL3155907T3 (pl) 2015-10-15 2018-12-31 Fontem Holdings 1 B.V. Papieros elektroniczny z wielokomorowym zbiornikiem płynu
US10440992B2 (en) * 2015-12-07 2019-10-15 Rai Strategic Holdings, Inc. Motion sensing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MX2018007314A (es) * 2015-12-21 2018-09-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entrada de aire variable.
WO2018146736A1 (ja) 2017-02-08 2018-08-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吸引器
GB2560527B (en) * 2017-03-13 2021-09-22 Copley Scient Limited Apparatus for inhaler testing
GB201707805D0 (en) 2017-05-16 2017-06-28 Nicoventures Holdings Ltd Atomiser for vapour provision device
CN107290490A (zh) * 2017-07-31 2017-10-24 重庆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评吸抽吸深度口径校对器
GB2567240B (en) * 2017-10-09 2022-04-06 Senzer Ltd An inhaler particularly a cannabinoid inhal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such an inhaler
GB201805268D0 (en)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Apa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from an aerosolisable medium, an article of aerosolisable medium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ES2929474T3 (es) 2018-07-23 2022-11-29 Juul Labs Inc Gestión del flujo de aire para dispositivo vaporizador
CN110605036B (zh) * 2019-08-30 2022-05-10 扬州大学 一种可非等动量受限射流撞击混合的方法
GB2595692A (en) 2020-06-03 2021-12-08 Senzer Ltd A refill for an inhaler particularly a cannabinoid inhaler
GB202215358D0 (en) * 2022-10-18 2022-11-30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1551A (en) * 1954-05-17 1955-10-25 Lobl Otto Tubular mouth inhaler simulating a smoking device
US3155573A (en) * 1958-05-06 1964-11-03 Benger Lab Ltd Inhal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GB1017032A (en) 1963-12-12 1966-01-12 Aerosmoke Ltd Aerosol compositions
US4393884A (en) * 1981-09-25 1983-07-19 Jacobs Allen W Demand inhaler for oral administration of tobacco, tobacco-like, or other substances
US4655229A (en) * 1984-01-30 1987-04-0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lavor delivery system
US5388572A (en) * 1993-10-26 1995-02-14 Tenax Corporation (A Connecticut Corp.)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piston to aerosolize dose and deliver same
US6413496B1 (en) 1996-12-04 2002-07-02 Biogland Ireland (R&D)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devices for their administration
NZ504021A (en) * 1997-10-17 2003-04-29 Systemic Pulmonary Delivery Lt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erosolized medication having air discharged through air tube directly into plume of aerosolized medication
US6196218B1 (en) * 1999-02-24 2001-03-06 Ponwell Enterprises Ltd Piezo inhaler
SE0101233L (sv) * 2001-04-05 2002-10-01 Microdrug Ag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rigörande av pulver och inhalatoranordning för administrering av medicinskt pulver
US20030235538A1 (en) * 2002-04-09 2003-12-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Method for the administration of an anticholinergic by inhalation
RU2311859C2 (ru) * 2002-05-13 2007-12-10 Тинк! Глобал Б.В. Ингалятор
SE0201669D0 (sv) 2002-06-03 2002-06-03 Pharmacia Ab New formulation and use thereof
US20040002520A1 (en) 2002-07-01 2004-01-01 Soderlund Patrick 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essation of Nicotine cravings
US7819115B2 (en) * 2004-01-30 2010-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haler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irflow in inhalers
CN2719043Y (zh) * 2004-04-14 2005-08-24 韩力 雾化电子烟
GB0427856D0 (en) * 2004-12-20 2005-01-19 Glaxo Group Ltd Maniflod for use in medicament dispenser
US7845359B2 (en) * 2007-03-22 2010-12-07 Pierre Denain Artificial smoke cigarette
GB0712308D0 (en) 2007-06-25 2007-08-01 Kind Group Ltd An inhalable composition
GB0800709D0 (en) 2008-01-16 2008-02-20 Dunne Stephen T Double jet impinging nozzle
GB0808154D0 (en) 2008-05-06 2008-06-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erosol dispensing device
EP2401013B1 (en) * 2009-02-27 2017-04-12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An aerosol inhalation device
NZ597287A (en) * 2009-08-07 2013-03-28 Kind Consumer Ltd An inhaler with a flexible diaphragm within a housing defining an air flow path
EP2319334A1 (en) 2009-10-27 2011-05-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moking system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GB201003552D0 (en) * 2010-03-03 2010-04-21 Kind Consumer Ltd A simulated cigarette
US9050431B2 (en) * 2010-10-18 2015-06-09 Jeffrey turner Device for dispensing a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92263A1 (es) 2015-04-08
CA2883143A1 (en) 2014-03-06
RU2646581C2 (ru) 2018-03-05
ZA201502014B (en) 2016-07-27
JP6078157B2 (ja) 2017-02-08
US20150297844A1 (en) 2015-10-22
AU2013308231A1 (en) 2015-04-09
JP2015526226A (ja) 2015-09-10
EP2890258A1 (en) 2015-07-08
RU2015110695A (ru) 2016-10-20
CA2883143C (en) 2017-07-11
TWI595899B (zh) 2017-08-21
CN104812259B (zh) 2018-01-19
BR112015004230B1 (pt) 2020-10-27
EP2890258B1 (en) 2016-11-23
IL237465A0 (en) 2015-04-30
MY177618A (en) 2020-09-23
WO2014033439A1 (en) 2014-03-06
BR112015004230A2 (pt) 2017-08-08
MX365394B (es) 2019-05-31
PH12015500684A1 (en) 2015-05-18
PH12015500684B1 (en) 2015-05-18
DK2890258T3 (en) 2017-01-09
GB201215282D0 (en) 2012-10-10
KR101735580B1 (ko) 2017-05-15
CN104812259A (zh) 2015-07-29
CL2015000484A1 (es) 2015-10-02
PL2890258T3 (pl) 2017-03-31
HK1211186A1 (en) 2016-05-20
AU2013308231B2 (en) 2016-04-14
UA113666C2 (xx) 2017-02-27
TW201410279A (zh) 2014-03-16
US10441734B2 (en) 2019-10-15
MX2015002477A (es) 2015-06-05
IL237465B (en) 2020-06-30
ES2606548T3 (es)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580B1 (ko)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
KR101783335B1 (ko) 흡입기
JP6157542B2 (ja) 強化排出装置設計
JP5663017B2 (ja) 吸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