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91A -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91A
KR20150050191A KR1020130131693A KR20130131693A KR20150050191A KR 20150050191 A KR20150050191 A KR 20150050191A KR 1020130131693 A KR1020130131693 A KR 1020130131693A KR 20130131693 A KR20130131693 A KR 20130131693A KR 20150050191 A KR20150050191 A KR 20150050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h
gain
chain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903B1 (ko
Inventor
이홍탁
권대현
백상현
야오시
이종수
이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03B1/ko
Priority to US14/329,042 priority patent/US10116342B2/en
Priority to EP14858065.7A priority patent/EP3063875A4/en
Priority to CN201480059019.1A priority patent/CN105684317B/zh
Priority to PCT/KR2014/006352 priority patent/WO2015064888A1/en
Publication of KR2015005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신 장치에서 송신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송신 장치는,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서 공유하는 복수의 믹서(mixer)들을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GAIN IN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송신 장치의 신호 이득(gain) 제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송수신 장치는, 물리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기저대역(BB: BaseBand) 모뎀 및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를 구비한다. 상기 RFIC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전파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수신 신호를 왜곡 없이 기저대역 모뎀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RFIC의 송신 회로는 무선 통신 규격의 진화에 따라 더욱 복잡한 신호를 선형적으로 증폭 및 처리하도록 발전되어 왔다. 성능 및 효율의 관점에서, 상기 RFIC의 신호 처리는 최소한의 전류 소모로 수행되는 것이 요구된다.
3세대 통신 규격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및 4세대 통신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는 출력 전력(output power)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요구한다. 통신 규격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RFIC에서의 이득은 80dB 이상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계(step)를 가지고 정교하게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80dB 이상의 동적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해, 아날로그(analog) 기저대역 회로 및 RF VGA(Variable-Gain Amplifier)는 이득을 가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아날로그 기저대역 단에서의 이득 변화는 DC(Direct Current) 오프셋(offset)의 크기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DC 오프셋은 송신 출력단에서 LO(Local Oscillator)의 누출(leakage) 형태로 나타나며, 그 결과, EVM(Error Vector Magnitude)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날로그 기저대역 단에서의 이득 가변에 따른 DC 오프셋 크기의 변화는 켈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서 보상되어야 한다. 원하는 동적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아날로그 기저대역 단의 부담 부분이 커질수록 상기 DC 오프셋에 대해 요구되는 켈리브레이션 지점(point)이 많아지게 되며, 이는 켈리브레이션 시간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이득의 동적 범위의 확보를 위해, 상기 아날로그 기저대역 단의 부담 부분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상기 이득의 동적 범위에 대한 RF 단의 부담 부분의 비중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2 단(stage) 이상으로 구성된 다단 RF VGA 구조를 통해 60dB 이상의 동적 범위를 담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2 단 이상의 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로 하는 이득의 동적 범위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2 단 이상의 증폭기를 사용할 경우, 송신 출력단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이 증가한다. 특히, 수신 대역(band)에서의 잡음의 증가는 수신 감도(sensitivity) 성능의 열화를 일으킬 수 있다. 송신 출력단에서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상기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발생한 수신 대역에서의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수신 대역에서의 잡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송신 출력단에서 발생한 수신 대역 잡음은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filter)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SAW 필터의 사용은 이득 유실(loss)을 일으키며, 상기 이득 유실을 보상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류 소모가 요구된다. 또한, 하나의 트랜시버(transceiver)로 다중 대역·다중 모드(multi-band multi-mode)를 지원하고자 하는 경우, 필요로 하는 SAW 필터의 개수가 증가한다. 상기 SAW 필터 개수 증가는 단말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면적 증가뿐만 아니라, BOM(Bill of material)의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수신 대역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SAW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최선의 해결책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전류 소모 및 BOM을 줄이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송신 출력단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억제하는 것이다. 잡음 발생의 억제를 위해, 상기 RF VGA를 단일 단계(single stage)로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필요로 하는 이득을 제공하기 위해, 이하 도 1과 같이 증폭 소자들을 병렬로 결합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송신 장치에서 RF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증폭 소자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믹서(mixer)(110)의 출력은 N개의 증폭 소자들(120-1 내지 120-N)로 입력된다. 상기 N개의 증폭 소자들(120-1 내지 120-N)을 각각을 턴 온/오프(turn on/off)함으로써, 이득이 제어된다. 상기 도 1의 경우, 하나의 증폭 소자(120-1)만이 온 상태이고, 나머지 증폭 소자들(120-2 내지 120-N)은 오프 상태이다. 이때, 상기 믹서(110)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증폭 소자들(120-1 내지 120-N)의 입력단들에서 공유되므로, 상기 믹서(11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누출 신호의 형태로 상기 오프 상태인 상기 나머지 증폭 소자들(120-2 내지 120-N)에 전달된다. 상기 누출 신호는 상기 출력 소자(120-1)의 출력과 합산되기 때문에, 최종 출력 신호에 영향을 준다. 특히, 매우 작은 출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오프 상태의 증폭 소자가 오프 상태의 증폭 소자보다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최종 출력에서 기생 성분의 영향이 더 크다. 즉, 상기 누출 신호는 낮은 레벨(level)의 출력을 생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누설 신호가 정상 신호의 크기와 유사할 경우, 3G 및 4G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ILPC(inner-loop power control) 또는 이득 단계 정확도(accuracy)가 만족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의 동적 범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송신 장치에서 정교한 이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송신 장치에서 누설 신호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 제어를 위해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는,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서 공유하는 복수의 믹서(mixer)들을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출력 레벨이 요구되는 경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제1믹서를 포함하는 제1경로를 통해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과정과, 제2출력 레벨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제2믹서를 포함하는 제2경로를 통해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송신 장치가 RF(Radio Frequency) 단에서의 이득 제어를 위한 복수의 경로들을 구비함으로써, 누설 신호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송신 장치에서 RF(Radio Frequency)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증폭 소자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에서 활성화되는 이득 제어 경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송신 장치(radio transmitting device)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송신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표현하는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후술되는 용어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RF 이득 제어를 위한 신호 처리 경로는 믹서(mixer), LO(Local Oscillator) 체인(chain), 증폭기(amplifier) 등이 둘 또는 셋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원하는(desired) 출력 레벨(level)에 따라 동작하는 믹서, 증폭기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는 서로 다른 출력 레벨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 경로들을 구비하며, 출력 레벨에 따라 동작하는 경로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신호 처리 경로들 각각은 믹서 및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 경로는 출력 정합의 앞 단에서 결합된다.
상기 신호 처리 경로들이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각 경로에 포함되는 증폭기들을 구성하는 증폭 소자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폭 소자는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많거나 크기가 클수록, 증폭기는 큰 출력 레벨의 신호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에서 활성화되는 이득 제어 경로를 도시한다. 상기 도 2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의 요구 출력 레벨 변화 및 상기 요구 출력 레벨에 따른 모드(mode) 및 활성화되는 이득 제어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레벨(예: L1) 이상의 출력을 얻기 위한 동작 모드는 고이득 모드(high gain mode)(210), 특정 레벨(예: L2) 이하의 출력을 위한 동작 모드는 저이득 모드(low gain mode)(220)라 지칭된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시각 t0 내지 시각 t1의 구간에서, 요구 출력 레벨이 L1를 초과하며,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고이득 모드(210)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제1경로가 활성화된다. 이때, 제2경로는 불활성, 즉, 턴-오프(turn-off) 상태이다. 이후, 시각 t1 내지 시각 t2의 구간에서, 요구 출력 레벨이 L2 미만이며, 사이 무선 송신 장치는 저이득 모드(220)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제2경로가 활성화되고, 제1경로는 턴-오프 상태이다.
시각 t2 이후, 상기 요구 출력 레벨이 L2 미만, L1 이상이다. 즉, 상기 요구 출력 레벨이 상기 고이득 모드(210)의 출력 범위 및 상기 저이득 모드(220)의 출력 범위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고이득 모드(210) 및 상기 저이득 모드(220) 중 어느 것으로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다른 지표(metric)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선형성의 제한이 더 크게 될 경우 고 성능(high performance)을 가지는 경로를, 전류소모 제한의 요구가 더 크게 될 경우는 저전력 소모(low power consumption) 특성을 가지는 경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3은 2개의 신호 처리 경로를 포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310), 필터(320), 기저대역 VGA(Variable-gain Amplifier)(330), 제1LO 체인(340-1), 제2LO 체인(340-2), 제1믹서(mixer)(350-1), 제2믹서(350-2), 제1RF VGA(360-1), 제2RF VGA(360-2), 합산기(370), PAM(Power Amplifier Module)(38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320) 및 상기 기저대역 VGA(330)은 '송신 아날로그 기저대역(TXABB: Transmit Analog BaseBand) 처리부'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LO 체인(340-1), 상기 제2LO 체인(340-2), 상기 제1믹서(350-1), 상기 제2믹서(350-2), 상기 제1RF VGA(360-1), 상기 제2RF VGA(360-2), 상기 합산기(370)는 'RF 신호 처리부'로 통칭될 수 있다.
상기 DAC(31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endocing) 및 변조함으로써 상기 DAC(310)로 입력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32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서 의도하지 아니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32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DAC 이미지(image)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DAC 이미지는 상기 DAC(310)의 클럭(clock) 주파수의 배수의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복사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필터(320)는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일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 VGA(330)는 상기 필터(3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기저대역 VGA(330)에 의한 이득 제어는 신호 이득의 동적 범위의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저대역 VGA(330)는 상기 동적 범위 중 기저대역에서의 부담 부분을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저대역 VGA(330)는 상기 제1믹서(350-1) 및 상기 제2믹서(350-2)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제1LO 체인(340-1)은 상기 제1믹서(350-1)에서 RF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LO 체인(340-2)은 상기 제2믹서(350-2)에서 RF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은 PLL(Phase Locked Loop)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레벨에 따른 동작 경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 중 하나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믹서(350-1)는 상기 제1LO 체인(340-1)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저대역 VGA(33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승 변환(up-conversion)한다. 상기 제2믹서(350-2)는 상기 제2LO 체인(340-2)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저대역 VGA(33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승 변환한다. 상기 제1믹서(350-1) 및 상기 제2믹서(350-2)는 상기 기저대역 VGA(330)의 출력 신호를 공유한다. 출력 레벨에 따른 동작 경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믹서(350-1) 및 상기 제2믹서(350-2) 중 하나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신호 처리 경로마다 별개의 믹서를 포함함으로써, 상승 변환된 RF 대역 신호가 각 경로의 입력으로서 공유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제1믹서(350-1) 및 상기 제2믹서(350-2)로 인해, 각 경로 내의 증폭기들(360-1 및 360-2)로 별개의 입력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믹서(350-1) 및 상기 제2믹서(350-2)로 인해, 각 경로 내의 증폭기들(360-1 및 360-2)의 입력단에서 하나의 신호가 공유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제1RF VGA(360-1)는 상기 제1믹서(350-1)에서 출력되는 RF 대역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제2RF VGA(360-2)는 상기 제2믹서(350-2)에서 출력되는 RF 대역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RF VGA(360-1) 및 상기 제2RF VGA(360-2)는 서로 다른 출력 레벨로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제1RF VGA(360-1) 및 상기 제2RF VGA(360-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증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증폭 소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RF VGA(360-1)가 상기 제2RF VGA(360-2)보다 더 큰 출력 레벨을 담당하는 경우, 상기 제1RF VGA(360-1)가 상기 제2RF VGA(360-2)보다 더 많은 개수의 출력 소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더 큰 크기의 출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레벨에 따른 동작 경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RF VGA(360-1) 및 상기 제2RF VGA(360-2) 중 하나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합산기(370)는 상기 제1RF VGA(360-1) 및 상기 제2RF VGA(360-2)로부터의 이득 제어된 신호들을 합산한다. 즉, 상기 제1RF VGA(360-1) 및 상기 제2RF VGA(360-2)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상기 PAM(380)은 상기 합산기(370)를 통해 합산된 이득 제어된 신호들의 전력을 증폭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LO 체인(340-1), 상기 제1믹서(350-1), 상기 제1RF VGA(360-1)가 제1경로를, 상기 제2LO 체인(340-2), 상기 제2믹서(350-2), 상기 제2RF VGA(360-2)가 제2경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는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의 신호를 생성하며, 선택적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출력 레벨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경로에 속하는 상기 제1LO 체인(340-1), 상기 제1믹서(350-1), 상기 제1RF VGA(360-1)가 동작하고, 상기 제2경로에 속하는 상기 제2LO 체인(340-2), 상기 제2믹서(350-2), 상기 제2RF VGA(360-2)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 상태는 각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비활성 신호가 인가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은 동일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능은 원하는 주파수 외 다른 주파수의 신호, 즉, 잡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잡음 특성을 포함한다. 성능이 우수함은 잡음 특성이 양호함, 즉, 잡음의 크기가 작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은 동일한 양의 전류를 소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은 서로 다른 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득 제어 과정에서 잡음 또한 함께 증폭되므로, 상기 잡음 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이 속한 경로에 대응되는 출력 레벨이 클수록 최종 출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출력 레벨이 작다면, 상기 잡음 신호에 의한 악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므로, 작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경로에 속한다면, 상대적으로 잡음 특성이 열악한 LO 체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류 소비량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1경로에 비해 작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LO 체인(340-2)은 상기 제1LO 체인(340-1)에 비하여 열악한 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LO 체인(340-2)은 상기 제1LO 체인(340-1)에 비하여 적은 양의 전류 소비만으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경로는 상기 제1LO 체인(340-1)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2LO 체인(340-1)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각 경로를 위한 별도의 LO 체인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LO 체인(340-1) 및 상기 제2LO 체인(340-2)의 역할을 하나의 LO 체인이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 각각을 위한 복수의 LO 체인들이 아닌, 하나의 공통 LO 체인이 상기 제1믹서(350-1) 및 상기 제2믹서(350-1)로 고주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통 LO 체인은 신호 이득 제어를 위해 선택된 경로와 무관하게 항상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목적한 출력 레벨에 따라,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 중 동작할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로 외 나머지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4는 N개의 신호 처리 경로를 포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DAC(410), 필터(420), 기저대역 VGA(430),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 합산기(470), PAM(48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420) 및 상기 기저대역 VGA(430)은 '송신 아날로그 기저대역 처리부'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 상기 합산기(470)는 'RF 신호 처리부'로 통칭될 수 있다.
상기 DAC(41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상기 DAC(410)로 입력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서 의도하지 아니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42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DAC 이미지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DAC 이미지는 상기 DAC(410)의 클럭 주파수의 배수의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복사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필터(420)는 SAW 필터일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 VGA(430)는 상기 필터(4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기저대역 VGA(430)에 의한 이득 제어는 신호 이득의 동적 범위의 일부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저대역 VGA(430)는 상기 동적 범위 중 기저대역에서의 부담 부분을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저대역 VGA(430)는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은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에서 RF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및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은 일대일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은 PLL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레벨에 따른 동작 경로 선택에 따라,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중 일부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 각각은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저대역 VGA(43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승 변환한다.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은 상기 기저대역 VGA(430)의 출력 신호를 공유한다. 출력 레벨에 따른 동작 경로 선택에 따라,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 중 일부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신호 처리 경로마다 별개의 믹서를 포함함으로써, 상승 변환된 RF 대역 신호가 각 경로의 입력으로서 공유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로 인해, 각 경로 내의 증폭기들(460-1 내지 460-N)로 별개의 입력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로 인해, 각 경로 내의 증폭기들(460-1 내지 460-N)의 입력단에서 하나의 신호가 공유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 각각은 상기 N개의 믹서들(450-1 내지 450-N) 각각에서 출력되는 RF 대역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은 서로 다른 출력 레벨로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증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증폭 소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RF VGA(460-1)가 상기 제N-RF VGA(460-N)보다 더 큰 출력 레벨을 담당하는 경우, 상기 제1RF VGA(460-1)가 상기 제N-RF VGA(460-N)보다 더 많은 개수의 출력 소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더 큰 크기의 출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레벨에 따른 동작 경로 선택에 따라,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 중 일부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합산기(470)는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로부터의 이득 제어된 신호들을 합산한다. 즉, 상기 N개의 RF VGA들(460-1 내지 460-N) 전부 또는 일부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상기 PAM(480)은 상기 합산기(470)를 통해 합산된 이득 제어된 신호들의 전력을 증폭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N개의 경로들이 구성된다. 상기 N개의 경로들은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의 신호를 생성하며, 선택적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출력 레벨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경로에 속하는 모듈들이 동작하고, 나머지 경로에 속하는 모듈들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일부 경로들에 속하는 모듈들이 동작하고, 나머지 경로에 속하는 모듈들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 상태는 각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비활성 신호가 인가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은 동일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능은 원하는 주파수 외 다른 주파수의 신호, 즉, 잡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잡음 특성을 포함한다. 성능이 우수함은 잡음 특성이 양호함, 즉, 잡음의 크기가 작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은 동일한 양의 전류를 소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은 서로 다른 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잡음 신호의 크기는 출력 레벨이 클수록 최종 출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출력 레벨이 작다면, 상기 잡음 신호에 의한 악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므로, 작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경로에 속한다면, 상대적으로 잡음 특성이 열악한 LO 체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류 소비량이 감소한다.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간 서로 다른 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경우, 상기 N개의 경로들은 출력 레벨 및 전류 소모량의 조합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출력 레벨이 동일한 복수의 경로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출력 레벨이 동일한 복수의 경로들은 서로 다른 전류 소모량으로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소모량이 동일한 복수의 경로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전류 소모량이 동일한 복수의 경로들은 서로 다른 출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경로를 위한 별도의 LO 체인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의 역할을 하나의 LO 체인이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N개의 LO 체인들(440-1 내지 440-N) 중 일부의 역할을 하나의 LO 체인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목적한 출력 레벨에 따라, N개의 경로들 중 동작할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로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로 외 나머지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501단계에서, 제1출력 레벨이 필요한 경우, 제1믹서 및 제1증폭기를 포함하는 제1경로를 이용하여 RF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즉,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RF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로들은 다른 경로와 독립적인 믹서 및 증폭기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로들은 각 믹서의 입력단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제2출력 레벨이 필요한 경우, 제2믹서 및 제2증폭기를 포함하는 제2경로를 이용하여 RF 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RF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제2믹서로 고주파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제1믹서로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는 LO 체인을 재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믹서로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LO 체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믹서로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LO 체인이 구비된 경우, 상기 별도의 LO 체인은 상기 제1믹서로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LO 체인과 상이한 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상기 도 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이득 제어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601단계에서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RF 이득 제어 경로를 결정한다. 즉,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RF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경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로들은 다른 경로와 독립적인 믹서 및 증폭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출력 레벨 및 RF 이득 제어 경로 간 대응 관계를 정의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경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구비된 복수의 경로들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경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6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결정된 경로 외 나머지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신호 이득을 제어할 경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전류 소모량에 기초하여 신호 이득을 제어할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출력 레벨 및 상기 전류 소모량에 기초하여 신호 이득을 제어할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의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에서, 가로축은 이득 제어 코드(control code)를, 좌측의 세로축은 이득을, 우측의 세로축은 이득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이득 제어 코드는 6dB 간격의 일정한 이득 단계에 대응하도록 정의된다.
상기 이득 제어 코드가 증가할수록 작은 출력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작은 출력으로 갈수록 이득 단계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아니하고, 점차 감소한다. 이는, 턴-오프된 증폭 소자들을 통한 누설 신호에 의해, 최종 출력의 크기가 원하는 레벨에 대비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경우, 이득 단계의 크기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작은 출력 레벨의 최종 출력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RFIC 구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누설 신호의 최소화를 통한 동적 범위의 확보 및 동작 전류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설 신호의 측면을 살펴보면, 믹서에서 경로가 나누어지므로 각 경로 내의 증폭기들에 별개의 입력이 인가된다. 저이득 모드를 위한 경로에서의 증폭기가 작은 출력을 위해 최적화되므로, 병렬로 연결된 증폭 소자들의 크기가 종래 기술에 비하 작아고, 이에 따라, 기생 성분이 감소한다. 또한, 믹서 역시 상기 저이득 모드에 적합하도록 작은 크기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믹서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LO 신호의 누설도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동적 범위 확보가 용이하게 하고, 이특 제어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감소한다.
상기 전류 소모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출력 레벨에 따라 증폭기에서 소모되는 전류 량이 달라지므로, 종래 기술보다 더 많은 전류가 소모되지는 아니한다. 추가적으로, 저이득 모드의 경우 동작하는 믹서, LO 체인이 고이득 모드를 위한 경로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믹서 및 상기 LO 체인이 상기 저이득 모드에 적합하게 상대적으로 작은 셀(cell)로 구성된다면, 고이득 모드에 비하여 더 적은 전류가 소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LO 체인의 경우, 송신 잡음의 요구 조건에 민감하게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신 규격에 따르면,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나타나는 잡음의 절대값이 LO 체인 설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상기 요구 조건은 송신 신호가 큰 출력을 가질 때 민감한 경향을 가지며, 작은 출력 시에는 충분한 마진(margin)을 가진다. 상기 LO 체인의 저잡음 설계를 위해 더 많은 전류 소모가 요구되며, 따라서, 저이득 모드에서의 LO 체인은 잡음 특성보다 저전력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드 별 회로 구성이 가능해지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RFIC의 전류소모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송신 장치는 같은 출력 레벨에 대해 고성능 모드 및 저전력 소비 모드로 구분되는 구조로 설계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함으로써, 고성능이 필요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서 공유하는 복수의 믹서(mixer)들을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들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 처리 경로들에 별개의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믹서들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 경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처리 경로들은, 서로 다른 이득으로 출력 레벨(level)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처리 경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믹서들 중 적어도 하나,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신호 처리 경로들에 포함된 증폭기들은, 서로 다른 개수의 증폭 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신호 처리 경로들에 포함된 증폭기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증폭 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송신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승 변환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를 상기 믹서들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LO(Local Oscillator) 체인(cha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O 체인은, 서로 다른 전류 소모량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O 체인은, 서로 다른 잡음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요구되는 출력 레벨, 전류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호 이득을 제어할 경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출력 레벨이 요구되는 경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제1믹서를 포함하는 제1경로를 통해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과정과,
    제2출력 레벨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제2믹서를 포함하는 제2경로를 통해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요구되는 출력 레벨, 전류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호 이득을 제어할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결정된 경로에 속하는 신호 처리 모듈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결정된 경로 외 다른 경로에 속하는 신호 처리 모듈들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131693A 2013-10-31 2013-10-31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7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93A KR102073903B1 (ko) 2013-10-31 2013-10-31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4/329,042 US10116342B2 (en) 2013-10-31 2014-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gain in wireless transmitter
EP14858065.7A EP3063875A4 (en) 2013-10-31 201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gain in wireless transmitter
CN201480059019.1A CN105684317B (zh) 2013-10-31 2014-07-15 在无线发送器中控制信号增益的装置和方法
PCT/KR2014/006352 WO2015064888A1 (en) 2013-10-31 201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gain in wireless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93A KR102073903B1 (ko) 2013-10-31 2013-10-31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91A true KR20150050191A (ko) 2015-05-08
KR102073903B1 KR102073903B1 (ko) 2020-03-02

Family

ID=5299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693A KR102073903B1 (ko) 2013-10-31 2013-10-31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16342B2 (ko)
EP (1) EP3063875A4 (ko)
KR (1) KR102073903B1 (ko)
CN (1) CN105684317B (ko)
WO (1) WO2015064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9434B (zh) * 2019-05-28 2022-03-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率调整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02738B2 (en) * 2021-01-15 2022-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mitter with multiple signal path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7212A1 (en) * 2008-09-30 2010-04-08 Nortel Networks Limited Enhanced doherty amplifier with bias supply modulation
US20100222011A1 (en) * 2005-04-04 2010-09-02 Broadcom Corporation Gain control in a multiple rf transceiver integrated circuit
US20130183917A1 (en) * 2012-01-18 2013-07-18 Qualcomm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512A (en) 1991-06-03 1994-04-26 Motorola, In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chieving wide dynamic range in a transmitter
JP2000068958A (ja) * 1998-08-26 2000-03-03 Toshiba Corp 無線送信装置
GB0204108D0 (en) * 2002-02-21 2002-04-10 Analog Devices Inc 3G radio
US7130604B1 (en) * 2002-06-06 2006-10-3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armonic rejection mixer and method of operation
US7272370B2 (en) * 2002-08-08 2007-09-18 Nxp B.V. Mixers with a plurality of local oscillators and systems based thereon
US7746967B2 (en) 2003-04-30 2010-06-29 Intel Corporation Beam-former and combiner for a multiple-antenna system
US7164899B2 (en) * 2003-09-16 2007-01-16 Microtune (Texas), L.P.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translation with harmonic suppression using mixer stages
ATE439699T1 (de) * 2004-03-12 2009-08-15 R F Magic Inc Mischer und tuner mit oberschwingungsunterdrückung
US7421259B2 (en) * 2004-04-16 2008-09-02 Broadcom Corporation RF mixer with high local oscillator linearity using multiple local oscillator phases
EP1820277B1 (en) 2004-12-10 2010-02-03 Maxlinear, Inc. Harmonic reject receiver architecture and mixer
US8139685B2 (en) 2005-05-10 2012-03-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control
KR100838521B1 (ko) 2006-12-05 2008-06-17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통신용 디지털 중간 주파수 송신기
US8249130B2 (en) 2007-06-11 2012-08-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st synchronization and data reception for frequency hopp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206235A2 (en) * 2007-10-29 2010-07-14 Nxp B.V. Passive harmonic-rejection mixer
CN101316105A (zh) 2008-06-11 2008-12-03 苏州中科半导体集成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多标准多模无线收发器
US8831073B2 (en) * 2009-08-31 2014-09-09 Sony Corporatio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509351B1 (en) * 2009-09-30 2013-08-13 Rf Micro Devices, Inc. Multi-mode radio frequency modulation circuitry
US8873662B2 (en) * 2012-04-05 2014-10-28 Ericsson Modems Sa MIMO configur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8787854B2 (en) * 2012-07-25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local oscillator signal gene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2011A1 (en) * 2005-04-04 2010-09-02 Broadcom Corporation Gain control in a multiple rf transceiver integrated circuit
WO2010037212A1 (en) * 2008-09-30 2010-04-08 Nortel Networks Limited Enhanced doherty amplifier with bias supply modulation
US20130183917A1 (en) * 2012-01-18 2013-07-18 Qualcomm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4317B (zh) 2019-01-18
KR102073903B1 (ko) 2020-03-02
US10116342B2 (en) 2018-10-30
CN105684317A (zh) 2016-06-15
US20150118979A1 (en) 2015-04-30
EP3063875A4 (en) 2017-06-14
WO2015064888A1 (en) 2015-05-07
EP3063875A1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0452B2 (en) Envelope power supply calibration of a multi-mod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9107167B2 (en) Envelope tracking signal bandwidth control
US8648657B1 (en) Mobile device including a power amplifier with selectable voltage supply
US20130135043A1 (en) Multimode rf amplifier system
TWI521895B (zh) 自測試收發器及其自測試的方法
US8583062B2 (en) Methods for determining optimum power supply voltages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ry
KR20140126671A (ko)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의 엔벨로프 정형화 장치 및 방법
US20150011256A1 (en) High-frequency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422970B1 (en) RMS power detection with signal-independent dynamics and rel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4706871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及びその利得調整方法
KR102073903B1 (ko)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095988B2 (en) Apparatus for linear transmitter with improved loop gain stabilization
US7366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F power control
US20240106467A1 (en) Envelope tracking for radio frequency (rf) front end modules
US11984916B2 (en) Transmission setting selection
US20220021406A1 (en) Concept for an RF Frontend
KR101805314B1 (ko)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KR100517633B1 (ko) 전력 증폭기의 출력전압 제어 회로
KR20000044529A (ko) 무선단말기의 무선신호 송신전력 제어장치
KR20050024703A (ko) 수신기에서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KR20060014815A (ko) 송신 전력 세기에 따른 매칭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