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314B1 -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314B1
KR101805314B1 KR1020160108583A KR20160108583A KR101805314B1 KR 101805314 B1 KR101805314 B1 KR 101805314B1 KR 1020160108583 A KR1020160108583 A KR 1020160108583A KR 20160108583 A KR20160108583 A KR 20160108583A KR 101805314 B1 KR101805314 B1 KR 10180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consumption
receiver
noise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구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와,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하는 모뎀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METHOD AND DEVICE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RFIC의 수신기와 송신기는 통신 환경에 따라 게인 제어(gain control)를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까가운 거리에 있어서 신호의 세기가 클 경우 수신기는 작은 게인을 사용하고, 송신기의 출력 전력이 줄어든다.
종래의 RFIC의 전력 소모는 셀의 통신 환경과 무관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수신하기 원하는 신호의 세기가 크던지 작던지 간에 동일한 전력을 소모한다. 이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이 줄어든다.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RFIC의 전력 소모 최적화가 요구된다.
실시예들은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RFIC의 전력 소모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동작에 대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회로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와,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하는 모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각 구성의 전력 소모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성능 지표는 잡음 지수, 선형성, 및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 회로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출력 신호 생성을 위한 이득 코드 비트 정보와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대응하는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포함하는 RF 레지스터와, 상기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이득 코드 비트 정보 및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컨트롤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 회로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서 상기 신호의 크기 별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구성의 전력 소모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뎀 회로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작은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모뎀 회로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선형성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RFIC에 포함된 송신기 및 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각 구성의 전력 소모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성능 지표는 잡음 지수, 선형성, 및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출력 신호 생성을 위한 이득 코드 비트 정보와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대응하는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이득 제어 비트 정보 및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서 상기 신호의 크기 별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구성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작은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선형성을 고려하여 선형성과 연관성이 높은 수신기의 구성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선형성과 연관성이 떨어지며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회로와, 상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최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수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른 수신기의 SNR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뎀 회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도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최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는 안테나(ANT) 및 통신 회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저전력 이동 통신 장치 또는 초저지연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3GPP2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에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스마트 디바이스(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회로(200)는 안테나(ANT)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회로(200)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200)는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210), 컨버터(converter; 230) 및 모뎀 회로(modem circuit; 250)을 포함할 수 있다.
RFIC(210)는 수신기(213) 및 송신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13)는 안테나(ANT)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215)는 안테나(ANT)를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컨버터(230)는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컨버터(230)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233)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235)를 포함할 수 있다. ADC(233)는 수신기(213)로부터 출력된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모뎀 회로(250)로 출력할 수 있다. DAC(235)는 모뎀 회로(250)로부터 출력된 신호, 즉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기(215)로 출력할 수 있다.
모뎀 회로(250)는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수신기(213) 및 송신기(215)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 회로(250)는 신호가 수신 신호인 경우 ADC(233)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수신기(233)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뎀 회로(250)는 신호가 송신 신호인 경우 DAC(235)로 출력될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송신기(15)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모뎀 회로(250)는 컨트롤 로직(control logic; 253) 및 RF 레지스터(255)를 포함할 수 있다. RF 레지스터(255)는 이득 제어 비트 정보와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13) 및 (송신기(215)에 대응하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은 RF 레지스터(25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득 제어 비트 정보와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는 신호의 크기(예를 들어 P-1~P-M, M은 1보다 큰 자연수)에 따라 신호의 크기마다 마련될 수 있다. 이득 제어 비트 정보는 신호의 크기마다 요구되는 출력 신호 생성을 위해 수신기(213)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k; k는 1보다 큰 자연수) 및/또는 송신기(215)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n; 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는 신호의 크기마다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대응하는 수신기(213)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k) 및/또는 송신기(215)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n)의 전력 소모를 위한 전력 소모 제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신기(213)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k) 및/또는 송신기(215)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n)의 전력 소모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지표는 수신기(213) 및/또는 송신기(215)의 성능 지표로, 잡음 지수(noise figure), 선형성(linearity), 및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SND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로직(253)은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통해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이득 코드 비트 정보 및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를 수신기(213) 및 송신기(215)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여 수신기(213)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k) 및/또는 송신기(215)에 포함된 각 구성(구성1~구성n)의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뎀 회로(250)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RFIC(210)의 전력 소모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동작에 대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FIC(210)의 수신기(213)에 대한 이득 및 전력 소모 제어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수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5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른 수신기의 SNR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신기(213)는 LNA(low noise amplifier; 213-1), 믹서(mixer; 213-3), TIA(trans impedance amplifier; 213-5), LPF(low pass filter; 213-7), 및 VGA(variable gain amplifier; 213-9)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13)의 각 구성(213-1~213-9)은 수신 신호의 크기에 따라 이득 제어 및 전력 소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수신기(213)의 SNR(또는 CNR) 그래프는 도 5와 같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제1 크기 범위에서, SNR은 수신 신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수신 신호의 제2 크기 범위에서, SNR은 saturation될 수 있다. 수신 신호의 제3 크기 범위에서, SNR은 SNR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SNR은 수신 신호의 크기가 커짐에 따리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어느 수신 신호의 크기가 되면 saturation되고, 신호의 크기가 아주 커지게 되면 감소될 수 있다.
도 5에서 SNR이 비례하여 증가되는 부분은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에 대한 잡음 우세 영역(noise dominant region, 또는 잡음 지배 영역)일 수 있다.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수신기(213)의 잡음 지수에 의해서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예를 들어, 가장 영향력이 큰) 수신기(213)의 LNA(213-1)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적은(예를 들어, 영향력이 적은) 수신기(213)의 구성들(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회로인 LPF(213-7)와 VGA(213-9))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잡음 우세 영역에서,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적은 수신기(213)의 구성들의 전력 소모는 전체 잡음 지수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기 때문에, 최소화되어도 된다.
도 5에서 SNR이 saturation 되는 부분은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에 대한 선형성 우세 영역(linearity dominant region, 또는 선형성 지배 영역)일 수 있다.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잡음 지수보다는 다른 성능 지표인 선형성이 더 중요한 지표일 수 있다. 이에,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잡음 지수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에 LNA(213-1)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선형성에 연관성이 큰 구성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수신기(213)의 성능 지표는 달라지고, 이에 따라 각 구성(213-1~213-9)에서 요구되는 전력 소모도 달라 지므로, SNR 그래프에서 신호의 크기 별로 SNDR 성능 지표를 기준으로 수신기(213)의 각 구성(213-1~213-9)의 전력 소모를 컨트롤하여 필요 없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수신기(213)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신기(215)의 각 구성의 전력 소모도 이와 같이 컨트롤하여 필요 없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모뎀 회로(250)는 수신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에서 수신 신호 크기 별로 SNDR 성능 지표를 기준으로 수신기(213)의 각 구성(213-1~213-9)의 전력 소모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 회로(250)는 수신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에 대한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수신기(213)의 잡음 지수를 고려하여 LNA(213-1)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TIA(213-5), LPF(213-7) 및 VGA(213-9)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모뎀 회로(250)는 수신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에 대한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수신기(213)의 선형성을 고려하여 LNA(213-1)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13)의 각 구성(213-1~213-9)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를 이득 제어 비트 정보와 함께 스마트 게인 테이블에 넣음으로써, 모뎀 회로(250)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통해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신기(213)의 전력 소모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뎀 회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 로직(253)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신호는 수신 신호 또는 송신 신호일 수 있다.
컨트롤 로직(253)은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RFIC(210)에 포함된 송신기(215) 및 수신기(21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S63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및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하고,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상기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작은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선형성과 연관성이 높은 상기 수신기의 구성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상기 선형성과 연관성이 떨어지며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모뎀 회로
    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각 구성의 전력 소모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지표는 잡음 지수, 선형성, 및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회로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출력 신호 생성을 위한 이득 코드 비트 정보와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대응하는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포함하는 RF 레지스터; 및
    상기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이득 코드 비트 정보 및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컨트롤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회로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서 상기 신호의 크기 별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구성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통신 회로.
  6. 삭제
  7. 삭제
  8.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RFIC에 포함된 송신기 및 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득 및 전력 소모를 동시에 제어하고,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잡음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상기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작은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 대한 선형성 우세 영역에서는 상기 수신기의 선형성과 연관성이 높은 상기 수신기의 구성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상기 선형성과 연관성이 떨어지며 상기 수신기의 잡음 지수에 연관성이 큰 상기 수신기의 구성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각 구성의 전력 소모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지표는 잡음 지수, 선형성, 및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출력 신호 생성을 위한 이득 코드 비트 정보와 상기 신호의 크기 마다 요구되는 성능 지표에 대응하는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로 구성되는 스마트 게인 테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이득 제어 비트 정보 및 전력 소모 제어 비트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크기에 따른 SNR 또는 CNR에서 상기 신호의 크기 별 신호 대 잡음 및 왜곡비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구성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상기 제1 항의 통신 회로; 및
    상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160108583A 2016-08-25 2016-08-25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KR10180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583A KR101805314B1 (ko) 2016-08-25 2016-08-25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583A KR101805314B1 (ko) 2016-08-25 2016-08-25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314B1 true KR101805314B1 (ko) 2017-12-06

Family

ID=6092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583A KR101805314B1 (ko) 2016-08-25 2016-08-25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3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0349A1 (en) * 2007-09-24 2009-03-26 Broadcom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in a mimo transceiver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20110299434A1 (en) * 2010-06-04 2011-12-08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aking advantage of superior in-circuit duplexer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0349A1 (en) * 2007-09-24 2009-03-26 Broadcom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in a mimo transceiver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20110299434A1 (en) * 2010-06-04 2011-12-08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aking advantage of superior in-circuit duplexer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148B2 (en) Digital predistortion for full-duplex radio
US20170201277A1 (en) Passive inter-modulation pim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module
KR102251970B1 (ko) 풀 듀플렉스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간섭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US10338118B1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electromagnetic emissions
US20150065064A1 (en) A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nalog domain
KR201800511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575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mory clock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93749B2 (en) Receiver architecture with analog complex filter for OFDMA reception
US20180262994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beamforming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20120031456A (ko) 자체 진단 트랜스시버 아키텍처 및 관련된 방법
CN105900341A (zh) 使用rx分集天线的机会主义主动干扰消除
CN111670540A (zh) 使用开关调节器将电压选择性地供应到多个放大器的方法和装置
US11632098B2 (en) Polyphase filter with interphase coupling
US100282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3155482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justing adaptive control loop behavior based on measured artifacts
KR101805314B1 (ko)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및 장치들
US11177849B2 (en) Multimode transceiving
KR20140034634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무선 통신 방법
KR20170046432A (ko)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170991A1 (en) Agile a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aic) for multi-radio mobile devices
US9807693B2 (en) Method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CN110463084A (zh) 调整接收机系统的参数
US2014016103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073903B1 (ko) 무선 송신 장치에서 신호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04661B2 (en) Adaptively selecting from among multiple base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