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017A -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017A
KR20150050017A KR1020130131327A KR20130131327A KR20150050017A KR 20150050017 A KR20150050017 A KR 20150050017A KR 1020130131327 A KR1020130131327 A KR 1020130131327A KR 20130131327 A KR20130131327 A KR 20130131327A KR 20150050017 A KR20150050017 A KR 2015005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weight
adhesive composition
compositio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현
최현영
Original Assignee
돈이다 주식회사
최현영
윤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돈이다 주식회사, 최현영, 윤정현 filed Critical 돈이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017A/ko
Publication of KR2015005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joint fil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외벽이나 바닥 등의 마감재인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으면서 항균력이 우수하여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타일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은 (a) 타일을 시공할 바탕면(1)을 정리하는 바탕처리단계; (b) 바탕면(1)에 아크릴 바인더 40~65중량%, 포졸란 20~35중량%, 용제 5~15중량%, 로진 3~15중량%,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0.1~0.5중량%, 첨가제 0.5~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 과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혼합물; 을 1:0.01~0.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 조성물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는 단계; (d) 타일 사이에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 30~80중량%와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릭 폴리머 20~70중량%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 과 대마 분말 45~50중량%와 황토 분말 50~55중량%를 혼합한 제4혼합물; 을 1:0.2~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을 충전하는 단계; 및 (e) 양생 및 보양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 시공에 이용되는 타일 접착제, 코팅제, 줄눈제 조성물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타일 자체 또는 타일이 시공된 마감면이 오염되지 않아 항균성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ECO-FRIENDLY TIL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외벽이나 바닥 등의 마감재인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으면서 항균력이 우수하여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타일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타일은 조적조와 철근 콘크리트조 등의 내외벽이나 바닥을 보호 또는 장식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감싸는 부재로, 일반적인 타일 시공은 바탕면의 청소 및 물축임 후 접착제를 소요 두께로 균일하게 바른 다음 타일을 붙이고, 타일 사이에 줄눈제를 충전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타일 시공에 이용되는 타일 접착제와 타일 줄눈제는 인체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배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일 시공은 부엌이나 욕실, 기타 수분에 노출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곰팡이나 세균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다.
곰팡이나 세균은 타일면 또는 타일 줄눈제 부분을 쉽게 오염시킬 수 있는 반면, 일단 오염이 진행되면 오염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워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타일이 시공된 마감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타일 표면을 보호하면서 타일 줄눈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 타일 시공법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출원번호 : 10-2001-0052849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타일 자체 또는 타일이 시공된 마감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항균성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타일을 시공할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처리단계; (b) 바탕면에 아크릴 바인더 40~65중량%, 포졸란 20~35중량%, 용제 5~15중량%, 로진 3~15중량%,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0.1~0.5중량%, 첨가제 0.5~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 과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혼합물; 을 1:0.01~0.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 조성물 상부에 타일을 부착하는 단계; (d) 타일 사이에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 30~80중량%와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릭 폴리머 20~70중량%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 과 대마 분말 45~50중량%와 황토 분말 50~55중량%를 혼합한 제4혼합물; 을 1:0.2~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을 충전하는 단계; 및 (e) 양생 및 보양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타일 표면은 질석, 펄라이트, 석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팽창성 항균 분말 5~20중량%;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되는 결손 충전 분말 10~15중량%; 게르마늄,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원적외선 방출 분말 5~10중량%;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 수지 20~40중량%; 물 30~50중량%; 실리콘 오일 0.5~2중량% 및 첨가제 1~5중량%; 로 이루어지는 타일 코팅제 조성물에 의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 시공에 이용되는 타일 접착제, 코팅제, 줄눈제 조성물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타일 자체 또는 타일이 시공된 마감면이 오염되지 않아 항균성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타일 시공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 타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타일(10) 시공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은 (a) 타일(10)을 시공할 바탕면(1)을 정리하는 바탕처리단계; (b) 바탕면(1)에 아크릴 바인더 40~65중량%, 포졸란 20~35중량%, 용제 5~15중량%, 로진 3~15중량%,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0.1~0.5중량%, 첨가제 0.5~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 과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혼합물; 을 1:0.01~0.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접착제 조성물(2)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 조성물(2) 상부에 타일(10)을 부착하는 단계; (d) 타일(10) 사이에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 30~80중량%와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릭 폴리머 20~70중량%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 과 대마 분말 45~50중량%와 황토 분말 50~55중량%를 혼합한 제4혼합물; 을 1:0.2~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을 충전하는 단계; 및 (e) 양생 및 보양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의 바탕처리단계에서는 바탕면(1)의 레이턴스, 먼지 등을 청소하고,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바탕면(1) 부분을 고르게 덧바르거나 깎아내어 바탕면(1)의 마감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바탕면(1) 정리가 완료된 다음에는 바탕면(1) 물 축이기, 타일나누기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는 바탕면(1)에 아크릴 바인더 40~65중량%, 포졸란 20~35중량%, 용제 5~15중량%, 로진 3~15중량%,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0.1~0.5중량%, 첨가제 0.5~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 과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혼합물; 을 1:0.01~0.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접착제 조성물(2)을 도포한다.
여기에서 상기 아크릴 바인더는 타일 접착제 조성물(2)을 구성하는 주성분이며,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성분을 소량 첨가하여 아크릴 바인더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포졸란은 다공질 재료로 포름알데히드 등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흡수·흡착시키며,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와 음이온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포졸란 대신 규조토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용제로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기포를 억제하기 위한 소포제, 원료의 분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분산제, 방부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혼합물을 구성하는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은 무기질 소재의 항균력이 우수한 성분이다. 특히, 제올라이트는 다공질 구조로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의 타일 접착제 조성물(2)은 타일 접착제 조성물(2) 100 중량부 대비 대마 분말 5~15 중량부, 황토 분말 5~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마 분말과 황토 분말은 탁기 및 오염물질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실내의 살균, 제습, 제독, 항균의 효과도 제공한다.
다음으로, (c)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 상부에 타일(10)을 부착한다.
타일(10)은 타일(10) 두께의 1/3 이상이 타일 접착제 조성물(2)에 묻히도록 충분히 두들겨 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일(10) 표면은 질석, 펄라이트, 석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팽창성 항균 분말 5~20중량%;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되는 결손 충전 분말 10~15중량%; 게르마늄,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원적외선 방출 분말 5~10중량%;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 수지 20~40중량%; 물 30~50중량%; 실리콘 오일 0.5~2중량% 및 첨가제 1~5중량%; 로 이루어지는 타일 코팅제 조성물에 의하여 코팅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팽창성 항균 분말은 열에 의하여 발포 팽창하여 타일(10) 표면의 코팅층(20) 상부에 미세한 다공성 발포층(30)을 형성하며, 다공성 발포층(30)은 이산화탄소, 유해가스, 습도, 세균, 곰팡이 등의 유해 물질을 흡착한다. 그리고 이렇게 흡착된 유해 물질은 후술할 원적외선 방출 분말에 의하여 유독 성분이 분해 또는 제거된다.
상기 팽창성 항균 분말은 5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유해 물질을 흡착할만한 수준의 발포층(30) 두께를 확보하기 어렵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것은 필요 이상의 첨가량으로 불필요하다.
상기 팽창성 항균 분말은 타일(10) 표면에 미세한 크기의 다공성 발포층(30)을 형성하도록 1~10㎛ 크기의 입자로 미분쇄 가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손 충전 분말은 모재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도록 타일의 원재료 성분에 포함되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한다.
상기 결손 충전 분말은 타일(10)의 기능을 저해하는 타일(10) 표면의 미세 구멍을 메울 수 있는 크기의 것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500㎛ 이내의 크기로 분말화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결손 충전 분말은 자중으로 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0) 상면에 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결손 충전 분말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타일 코팅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 대비 함량 미달로 충분한 결손 충전 능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1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것은 과량으로 불필요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 분말은 원적외선 방출 및 유해 물질 분해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팽창성 항균 분말로 인하여 형성된 다공성 발포층(30)에 흡수된 유해 물질을 분해 및 제거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 분말은 5중량% 미만으로 첨가시 충분한 유해 물질 분해 능력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10중량% 이상에서는 비슷한 수준의 유해 물질 분해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접착 수지는 타일 코팅제 조성물을 타일(10) 표면에 고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20중량% 미만으로 첨가시 접착력 부족으로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40중량% 이상 첨가시 접착력이 과다해져, 오히려 유해 물질 흡착 및 분해 능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물은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된 분말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30~50중량%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분산제, 탈포 작용을 하는 소포제, 재료의 점성을 증가시키는 증점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오일은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타일 코팅제 조성물의 도포시, 최상층부에 떠 있는 상태에서 건조되어 실리콘 피막층(40)을 형성한다. 따라서 타일(10) 자체의 내수성, 광택성, 내후성, 내약품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다공성 발포층(30)에 유해 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타일(10) 표면에 얇은 실리콘 피막층(40)을 형성할 정도인 0.5~2중량% 첨가한다.
상기 타일 코팅제 조성물은 타일(10) 상면에 0.2~0.6㎜의 두께의 코팅층(2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타일(10)은 (1) 타일(10) 상면에 타일 코팅제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2) 상면에 타일 코팅제 조성물이 위치된 타일(10)을 상온에서 4~6시간 건조하여 타일(10) 상면에 타일 코팅제 조성물을 고착시키는 단계; (3) 상기 상온 건조된 타일(10)을 120~200℃ 온도의 열풍으로 10~20분 동안 고온 건조하여 타일(10) 상면에 미세한 발포층(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고온 건조된 타일(10)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통하여 타일(10) 상면에 코팅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는 타일(10)을 상온에서 자연 건조하여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된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타일(10) 상면에 코팅제 조성물을 고착시킨다.
그리고 (3) 단계에서는 자연 건조된 타일(10)에 고온의 열풍을 가하여, 타일(10) 상면에 팽창성 항균 분말의 발포로 인한 다공성 발포층(30)을 형성시킨다.
상기 (c) 단계의 타일(10) 부착 다음에는 일정시간 건조 후, (d) 타일(10) 사이에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 30~80중량%와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릭 폴리머 20~70중량%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 과 대마 분말 45~50중량%와 황토 분말 50~55중량%를 혼합한 제4혼합물; 을 1:0.2~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을 충전한다.
상기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은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과 고분자 수지인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릭 폴리머(Acrylic polymer)를 포함함으로써, 방수와 결합력이 좋고 탄성력이 우수하여 줄눈에 발생하는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아크릭 폴리머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ethyl hexyl acrylate monomer) 40~60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butyl acrylate monomer) 5~10중량%, 아크릭산(acrylic acid) 1~5중량%, 물(H2O) 30~40중량%, 계면활성제 0.1~2중량%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 아크릭 폴리머(Acrylic polymer)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ethyl hexyl acrylate monomer)를 40~60중량% 포함하기 때문에, 줄눈제에 적절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타일 줄눈제 시공은 시멘트 40~70중량%, 모래 10~30중량%, 상기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적당량의 물을 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은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0 중량부 대비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5혼합물을 제3혼합물과 제4혼합물로 이루어진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0 중량부 대비 1~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타일 줄눈제 시공을 한 후에는, (e) 양생 및 보양 단계를 거쳐 타일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 경우, 타일 마감면이 고온, 직사광선, 풍우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일정 기간 동안 진동 및 보행을 금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타일 접착제 조성물(2) 또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3)에 포함되는 은-수산화아파타이트는 물 1리터에 수산화칼슘 30~40g, 질산은 또는 과염소산은 100~200g, 인산 30~50g의 비율로 투입하여 혼합 교반시킨 다음, 200~50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과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은 각각 타일 접착제 조성물(2)과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0 중량부 대비 나노 실버(NANO SILVER) 0.01~5.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식물성 향기원료 0.01~0.02 중량부를 투입하여 1,000~2,000 rpm으로 5~60분 동안 교반한 다음, 20~60℃의 온도에서 6~12시간 동안 숙성시킨 뒤, 500~70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노출시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은-수산화아파타이트를 형성하는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는 중금속 이온의 제거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 실버(NANO SILVER) 물질은 미립자로서,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항균·제균력이 탁월하다. 나노 실버의 첨가량은 거듭된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치로서, 0.01 중량부 이하를 첨가하면 항균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고, 0.02 중량부 이상을 첨가하면 그 이하로 첨가하였을 때와 효과의 차이가 미미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에 대한 실험의뢰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실험예]
1. 타일 접착제 조성물 제조: 아크릴 바인더 44중량%, 포졸란 30중량%, 용제 15중량%, 로진 10중량%, 수산화나트륨 0.5중량%, 첨가제 0.5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제올라이트를 1:0.01 중량비로 혼합한다. 그리고 여기에 대마분말을 제1혼합물 대비 0.1 중량비로 투입하여 타일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2. 타일 제조: 타일 코팅제 조성물 1000g을 기준으로 입도 1~5㎛의 질석 분말 200g, 탄산칼슘 분말 100g, 게르마늄과 수산화아파타이트의 혼합 분말 95g, 아크릴 수지 250g, 실리콘 오일 5g, 분산제 10g, 소포제 10g, 증점제 30g를 혼합기에 넣어 혼합하고, 여기에 물 300g을 더하여 20℃의 온도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타일 코팅제 조성물을 생산하였다.
상기 타일 코팅제 조성물을 소성 및 건조가 완료된 도기질 타일(10)에 두께 0.5㎜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된 타일(10)을 일정한 용기에 넣고, 150℃의 고온의 열풍을 15분 동안 주입한 후, 상온에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3. 타일 줄눈제 조성물 제조: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 65중량%,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릭 폴리머 15중량%, 대마 분말 8중량%, 황토 분말 8중량%를 혼합하여 타일 줄눈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타일 줄눈제 1000g 대비 시멘트 650g, 모래 150g, 타일 줄눈제 조성물 200g로 혼합하여 실제 시공할 타일 줄눈제를 제조한다.
[실험 결과]
상기와 같은 타일 코팅제, 타일, 타일 줄눈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타일 시공을 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타일 시공을 한 대조군과 대비하여 원적외선 방출, 세균 감소율, 곰팡이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 측정온도: Black Body- 40℃, Sample Surface- 40℃
*실험결과
대조군 실험예
원적외선 방사율
(파장 5∼20㎛)
0.859 0.910
원적외선 방출 에너지
(W/m2*㎛, 40℃)
351.500 355.720
세균 감소율 95% 99.9%
곰팡이 사멸률(%)
Aspergillus niger ATCC 9642
- 0
상기 실험결과에서 원적외선 방사율과 원적외선 방출 에너지를 비교해 보면, 실험예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원적외선 방사율과 원적외선 방출 에너지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세균 감소율은 네지오넬라를 시험균으로 하여 대조군과 실험예의 타일 마감면을 대상으로 항균성을 실험한 결과, 12시간 후 대조군의 경우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예의 경우 99.9%의 세균 감소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시험용 곰팡이인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CC 9642 배양액을 대조군과 실험예의 시료에 접종한 후, 1주, 2주, 3주 후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실험예의 시료에서는 곰팡이의 성장이 관찰되지 않아, 곰팡이에 대한 저항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바탕면
2: 접착제 조성물
3: 줄눈제 조성물
10: 타일
20: 코팅층
30: 다공성 발포층
40: 실리콘 피막층

Claims (9)

  1. (a) 타일(10)을 시공할 바탕면(1)을 정리하는 바탕처리단계;
    (b) 바탕면(1)에 아크릴 바인더 40~65중량%, 포졸란 20~35중량%, 용제 5~15중량%, 로진 3~15중량%,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0.1~0.5중량%, 첨가제 0.5~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 과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혼합물; 을 1:0.01~0.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접착제 조성물(2)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 상부에 타일(10)을 부착하는 단계;
    (d) 타일(10) 사이에 공중합 형태의 스티렌 코폴리머 에멀젼(Styrene copolymer emulsion) 30~80중량%와 수용성 공중합 형태의 탄성 아크릴 폴리머 20~70중량%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 과 대마 분말 45~50중량%와 황토 분말 50~55중량%를 혼합한 제4혼합물; 을 1:0.2~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을 충전하는 단계; 및
    (e) 양생 및 보양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타일(10) 표면은 질석, 펄라이트, 석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팽창성 항균 분말 5~20중량%;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되는 결손 충전 분말 10~15중량%; 게르마늄,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원적외선 방출 분말 5~10중량%;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 수지 20~40중량%; 물 30~50중량%; 실리콘 오일 0.5~2중량% 및 첨가제 1~5중량%; 로 이루어지는 타일 코팅제 조성물에 의하여 코팅층(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0 중량부 대비 제올라이트, 수산화아파타이트, 은-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 지르코늄, 실리카겔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5혼합물을 1~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 또는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의 은-수산화아파타이트는 물 1리터에 수산화칼슘 30~40g, 질산은 또는 과염소산은 100~200g, 인산 30~50g의 비율로 투입하여 혼합 교반시킨 다음, 200~50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 100 중량부 대비 대마 분말 5~15 중량부, 황토 분말 5~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과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은 각각 타일 접착제 조성물(2)과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0 중량부 대비 나노 실버(NANO SILVER) 0.01~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타일 접착제 조성물(2)과 타일 줄눈제 조성물(3)은 각각 타일 접착제 조성물(2)과 타일 줄눈제 조성물(3) 100 중량부 대비 식물성 향기원료 0.01~0.02 중량부를 투입하여 1,000~2,000 rpm으로 5~60분 동안 교반한 다음, 20~60℃의 온도에서 6~12시간 동안 숙성시킨 뒤, 500~70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노출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팽창성 항균 분말은 1~10㎛ 크기의 입자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9. 제2항에서,
    상기 타일(10)은
    (1) 타일(10) 상면에 제2항의 타일 코팅제 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2) 상면에 타일 코팅제 조성물이 위치된 타일(10)을 상온에서 4~6시간 건조하여 타일(10) 상면에 코팅제 조성물을 고착시키는 단계;
    (3) 상기 상온 건조된 타일(10)을 120~200℃ 온도의 열풍으로 10~20분 동안 고온 건조하여 타일(10) 상면에 미세한 발포층(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고온 건조된 타일(10)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통하여 타일(10) 상면에 코팅층(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KR1020130131327A 2013-10-31 2013-10-31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KR20150050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327A KR20150050017A (ko) 2013-10-31 2013-10-31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327A KR20150050017A (ko) 2013-10-31 2013-10-31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017A true KR20150050017A (ko) 2015-05-08

Family

ID=5338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327A KR20150050017A (ko) 2013-10-31 2013-10-31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01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010B1 (ko) * 2016-08-08 2016-10-11 박종묵 의자용 기능성 커버직물
KR101699284B1 (ko) 2016-07-29 2017-01-2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방수 및 오염방지 성능을 가지는 타일 시공방법
KR20200001280A (ko) * 2018-06-27 2020-01-06 (주)뉴다안 건축용 기능성 친환경 텍스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8564A (ko) 2019-03-11 2020-09-21 정인교 친환경 게르마늄 힐링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타일
CN112062519A (zh) * 2020-09-03 2020-12-11 北京华阳众信建材有限公司 一种高耐候性的瓷砖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102289858B1 (ko) * 2020-09-17 2021-08-17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항바이러스 잉크 및 그 제조방법
US11225795B2 (en) * 2018-07-06 2022-01-18 Naser Saniepey Construction assembly made with fiber glass
KR102501019B1 (ko) * 2022-09-26 2023-02-20 주식회사 에이지벤처스 다목적 분말용 시멘트를 활용한 접합제 배합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84B1 (ko) 2016-07-29 2017-01-2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방수 및 오염방지 성능을 가지는 타일 시공방법
KR101665010B1 (ko) * 2016-08-08 2016-10-11 박종묵 의자용 기능성 커버직물
KR20200001280A (ko) * 2018-06-27 2020-01-06 (주)뉴다안 건축용 기능성 친환경 텍스보드 및 그 제조방법
US11225795B2 (en) * 2018-07-06 2022-01-18 Naser Saniepey Construction assembly made with fiber glass
KR20200108564A (ko) 2019-03-11 2020-09-21 정인교 친환경 게르마늄 힐링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타일
CN112062519A (zh) * 2020-09-03 2020-12-11 北京华阳众信建材有限公司 一种高耐候性的瓷砖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102289858B1 (ko) * 2020-09-17 2021-08-17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항바이러스 잉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501019B1 (ko) * 2022-09-26 2023-02-20 주식회사 에이지벤처스 다목적 분말용 시멘트를 활용한 접합제 배합방법
KR102501017B1 (ko) * 2022-09-26 2023-02-20 주식회사 에이지벤처스 타일용 다목적 접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0017A (ko) 친환경 타일 시공 방법
CN100350119C (zh) 内装修用建筑材料、内装修用建材板和内装修用建材薄片
KR101535151B1 (ko) 흡습성 및 방습성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용 건축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0740A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KR20100046834A (ko) 기능성 친환경 건축용 퍼티
KR100738359B1 (ko)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킨 몰탈 접착 증강제 및 이 몰탈 접착 증강제를 함유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방법
JP2006291509A (ja) 壁材、及び塗り壁の施工方法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JP4767678B2 (ja) 吸湿性塗壁材とその施工方法、および、建築物の壁面構造
KR101044239B1 (ko)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1197732B1 (ko)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KR101299551B1 (ko) 화산토를 이용한 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81908B1 (ko) 항균기능을 구비한 점토벽돌과 그 제조방법
JP4604245B2 (ja) 建築物の表装仕上げ構造および表装仕上げ層の形成方法
KR100951322B1 (ko) 황토석파우더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없는 건물의바닥과 벽면 및 천정면 시공방법
KR101253321B1 (ko) 건축물 외부 단열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외부 단열 시공방법
KR20190018827A (ko) 욕실 바닥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77527B1 (ko) 천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옥 도료 및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42437B1 (ko) 건축용 미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장 방법
KR101269449B1 (ko) 무기질계 마감 코트재 조성물
KR101240571B1 (ko) 분진 비산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진 비산방지방법
KR100640258B1 (ko) 황토 미장재 제조방법
JP2007153627A (ja) ゼオライト建材の製造方法
KR100888137B1 (ko) 황토석파우더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없는 방바닥시공방법 및 그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