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007A -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007A
KR20150050007A KR1020130131299A KR20130131299A KR20150050007A KR 20150050007 A KR20150050007 A KR 20150050007A KR 1020130131299 A KR1020130131299 A KR 1020130131299A KR 20130131299 A KR20130131299 A KR 20130131299A KR 20150050007 A KR20150050007 A KR 2015005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arbonate
silicone
composition
powdery mildew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류영현
연일권
김승한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3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007A/ko
Publication of KR2015005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중탄산염 및 제2중탄산염으로 구성된 중탄산염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의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용 조성물은 기존의 농약 사용으로 인해 야기되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곰팡이균 중에서 특히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탁월하다.

Description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plant powdery mildew}
본 발명은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흰가루병 방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에서 곰팡이에 의해 발병하는 병은 노균병, 탄저병, 시들음병,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등 다양하다. 그 중 흰가루병은 참외, 수박, 메론, 딸기, 고추, 토마토 등 대부분의 과채류에서 발병이 되며, 잎, 줄기, 열매에 흰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발생되어 생육저하와 수확량의 감소를 초래한다. 원인균으로는 박과류(참외, 메론, 오이, 호박 등)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스패로테카 풀리지니아(Sphaerotheca fuliginea), 장미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스패로테카 파노사(S. pannosa), 딸기의 스패로테카 휴무리(S. humuli), 고추, 토마토의 레베이루라 타우리카(Leveillula taurica), 사과나무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포도스패라 류코트리차(Podosphaera leucotricha), 가지의 에리시페 시코라세아룸(Erysiphe cichoracearum), 맥류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블루메리아 그라미니스(Blumeria graminis) 등과 그 외 Sphaerotheca macularis , Sphaerotheca humuli , Sphaerotheca phaseoli , Sphaerotheca glycines , Eryshipe cichoraeearum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참외 주산지인 성주지역에서는 농가들이 흰가루병을 가장 방제가 어려운 병으로 언급하였으며, 발생 시기도 4월 중하순부터 발생하여 참외수확이 끝나는 9~10월까지 계속 발생하고 7월 상중순에 가장 발생량이 많다(경북농진원, 1996).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약제로는 피페라진(piperazine), 피리미딘(pyrimidine), 이미다졸(imidazole), 트리아졸(triazole) 등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와 벤지미다졸(benzimidazole)계의 살균제, 스트로빌루린(strobilurin)계의 화학합성농약이 사용되고 있다. 흰가루병은 화학농약의 살포로 방제가 가능하지만 약제 저항성 균주가 쉽게 출현하여(Schroeder 및 Provvidenti, Plant Dis. Rep., 53, 271, 1969; Wolfe 및 Fletcher, Neth. J. Plant Pathol., 87, 239, 1981; Gilmour, Proc. Br. Crop Prot. Conf., 1, 109, 1984) 약효가 감소됨으로 흰가루병 방제는 농약 종류를 바꾸어가며 교차 살포를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발생으로 흰가루병 방제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화학 농약의 지속적인 사용은 인축에 대해 직간접적인 독성 및 독성의 잔류, 토양 및 수계의 오염 등이 문제시됨에 따라 새롭고도 환경 친화적인 살균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채소류의 잔류농약 검출로 인해 농약이 처리된 과채류가 소비자들에게 배척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길항 미생물 제제의 개발(이상엽 등, 2004, 한국농약과학회지 8,71-78), 계면활성제 처리(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2001-0078568; 장경수 등 2001, 한국농약과학회지 5, 51-57), 탄산수소나트륨과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혼용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남명현 등 2003, 원예과학기술지, 21. 98-101), 베이킹소다, 점토, 오일 및 계면활성제, 미생물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흰가루병 방제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05819호), 산초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흰가루병 방제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102367호), 계면활성제를 농약과 함께 처리하는 흰가루병 방제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49109호) 등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경제성과 효과성 면에서 농업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탁월한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흰가루병 방제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 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중탄산염을 이용하여 흰가루병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는 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 조성물은 농약잔류 문제, 수질 및 토양 등의 오염 문제 등을 야기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중탄산염 및 제2중탄산염으로 구성된 중탄산염 혼합물; 및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살진균용 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식품첨가제로도 이용될 정도로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한 2 종 이상의 중탄산염 혼합물과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작물에 처리하는 경우 곰팡이병 방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 조성물은 제1중탄산염 및 제2중탄산염으로 구성된 중탄산염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탄산염 혼합물은 2 종 이상의 중탄산염을 혼합하는 경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중탄산나트륨(NaHCO3), 중탄산칼륨(KHCO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중탄산염 및 중탄산암모늄((NH4)HCO3)으로 구성된 제2중탄산염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탄산나트륨(NaHCO3), 중탄산칼륨(KHCO3), 중탄산암모늄((NH4)HCO3) 등은 무색투명한 결정 또는 백색의 입상 분말로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재료이다. 중탄산나트륨(NaHCO3)과 중탄산칼륨(KHCO3)은 독성이 없고 물에 쉽게 용해되며, 식품을 연하게 하여 맛을 좋게 하고 소화를 돕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된 상기 중탄산암모늄((NH4)HCO3)은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암모늄염은 작물에 필수 양분인 질소질 비료를 엽면시비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제1중탄산염이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키고, 살균효과가 우수한 제2중탄산염이 팽창된 세포벽을 통해 세포내로 용이하게 침투해 살균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중탄산염 혼합물은 제1중탄산염 및 제2중탄산염이 1:0.2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탄산염이 상기 비율보다 적으면, 곰팡이 세포의 세포벽 팽창 효과가 미비하여 제2탄산염이 곰팡이 세포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따라서 살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중탄산염이 상기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작물에 약해(藥害)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제 조성물은 물에 희석한 후 사용할 수 있다.
희석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제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200 내지 600배로 희석시켜 사용할 수 있다. 200배 미만으로 희석시켜 사용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약해 발생의 염려가 있으며, 600배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충분한 병해 치료 효과를 얻기 어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방제 조성물은 상기 중탄산염 혼합물에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방제 조성물을 살포 시, 작물에 부착성을 높여주고, 작물에 골고루 살포될 수 있도록 도와, 낮은 농도에서도 오랫동안 우수한 곰팡이균 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중탄산염 혼합물 중량대비 0.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 중탄산염이 식물의 잎에 충분하게 부착되지 않아 방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잎에서 방제 조성물이 흘러내려 충분한 방제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규소원자와 산소원자가 교대로 결합하여 사슬식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화합물인 실록산을 포함하며,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페닐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아크릴 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어느 것일 수도 있지만, 특히 대부분이 -[Si-O-]n-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리콘 오일은 분자 내의 일부에 -Si-(CH2CH2)-Si- 결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실리콘 오일일 수 있다.
<식 1>
R1aSiO(4-a)/2
(식 중, R1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불소 치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내지 30의 아랄킬기를 나타내고, a는 0≤a≤2.5이다.)
상기 실리콘계 비이온계면활성제는 변형된 폴리디메틸실록산(modified polydimethylsiloxane)(예를 들어, 알킬-변성, 페닐-변성, 아미노-변성, 폴리에테르-변성, 및 폴리옥시알킬렌-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 유기실리콘(organosilicone), 폴리알킬렌 변형 헵타메틸 트리실록산(polyalkylene modified heptamethyl trisiloxane),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polyalkyleneoxide modified dimethylpolysiloxane),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 트리실록산(polyalkyleneoxide modified heptamethyl trisiloxane),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실록산(polyalkyleneoxide modified heptamethylsiloxane),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코폴리머(polyether-polymethylsiloxane-copolymer), 폴리에톡실화 다이메틸 실록산(polyethoxlated dimethyl siloxanes), 폴리메틸실록산 코폴리머(Polymethylsiloxane copolymer),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럭 코폴리머(polyoxpropylene-polyoxyethylene block copolymers), 실리콘-폴리에테르 코폴리머(silicone-polyether co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실리콘계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폴리에테르 변성 트리실록산(polyether modified trisiloxane)으로, EVONIK 사의 BREAK-THRU S 240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추가적으로 점토광물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토광물은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과 혼합하여 방제 조성물이 작물에 부착되는 정도나 살포 시 퍼지는 정도를 증가시켜 방제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점토광물은 카오린[예를 들어, 카오리나이트(kaolinite), 디카이트(dick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내크라이트(nacrite)], 스멕타이트(Smectite)[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일라이트(Illite)[예를 들어 운모질점토(clay-micas)], 해포석(sepiolite), 아타플자이트(attapulgite clay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토광물은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토광물이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0.5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되면, 제형화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 특히 분제로 만들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3 중량비를 초과하는 경우, 흰가루병 방제 시 희석배율이 높아지므로, 제제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방제 조성물은 곰팡이 방제에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흰가루병에 대해 살진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살진균”의 의미는 작물에 해를 입히는 곰팡이(fungi)로부터 작물이 병해를 입는 것을 예방, 방지, 치료 및/또는 개선하는 것으로, 곰팡이 균을 사멸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작물이 곰팡이균에 감염되는 것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모든 의미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방제”의 의미는 예방, 치료, 방지 및/또는 개선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제 조성물은 가지, 고추, 딸기, 멜론, 사과, 오이, 참외, 토마토, 호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작물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참외에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방제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 조성물은 식물에 해를 입히는 곰팡이에 대하여 살진균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식물의 생장에는 무해하며, 수용성으로 물에 잘 용해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식물 및 토양에 흡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살진균 효과가 탁월하여 식물의 곰팡이균, 특히 흰가루병의 방제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농약 사용으로 인해 야기되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농약 살포 시 작물에 잔류하는 농약으로 인해 생태계 파괴, 인체 내 농축, 수질 및 토양 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방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암모늄염에 의해 방제 효과뿐만 아니라, 질소질 비료 시비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곰팡이균, 특히 흰가루병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흰가루병에 감염된 참외에 중탄산염 혼합물을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을 1차 처리한 후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병반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흰가루병에 감염된 참외에 중탄산염 혼합물을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을 2차 처리한 후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병반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중탄산염 혼합물을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을 처리한 참외 잎의 흰가루병 병반의 변화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흰가루병에 감염된 참외 잎에서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외는 5월 이후 9월까지의 연장재배 시에 흰가루병이 발병하면 흰가루병이 감염되기 쉬운 노후된 잎이 많고, 시설 하우스 내 여름철 고온으로 발병이 급격히 이루어져 열매의 계속적인 수확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에, 아래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제 조성물을 참외를 대상으로 살포하였다.
-실리콘 오일 (실루엣TM, 동부한농(주), 실록산 30% 함유 제품)
-전착제 (카바액제TM, 신젠타, alkylaryl polyethoxylate와 alkylsulfonated alkylate의 혼합물 60%)
[실시예]
처리구 1 [ NaHCO 3 : ( NH 4 ) HCO 3 : 실루엣 TM 혼합물 = 3 : 2 : 0.6]
NaHCO3 300 g, (NH4)HCO3 200 g, 실루엣TM 혼합물60 g (몬모릴로나이트 40 g + 실루엣TM 2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2 [ KHCO 3 : ( NH 4 ) HCO 3 : 실루엣 TM 혼합물 = 3 : 2 : 0.6]
KHCO3 300 g, (NH4)HCO3 200 g, 실루엣TM 혼합물 60 g (몬모릴로나이트 40 g + 실루엣TM 2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3 [NaHCO 3 : KHCO 3 : (NH 4 )HCO 3 : 실루엣 TM 혼합물 = 1.5 : 1.5 : 2 : 0.6]
NaHCO3 150 g, KHCO3 150 g, (NH4)HCO3 200 g, 실루엣TM 혼합물 60 g (몬모릴로나이트 40 g + 실루엣TM 2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4 [NaHCO 3 : (NH 4 )HCO 3 : 실루엣 TM 혼합물 = 1 : 1 : 0.2]
NaHCO3 100 g, (NH4)HCO3 100 g, 실루엣TM 혼합물 20 g (카오리나이트 15 g + 실루엣TM 5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처리구 5 [ KHCO 3 : ( NH 4 ) HCO 3 : 실루엣 TM 혼합물 = 1 : 1 : 0.2]
KHCO3 100 g, (NH4)HCO3 100 g, 실루엣TM 혼합물 20 g (카오리나이트 15 g + 실루엣TM 5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6 [ NaHCO 3 : KHCO 3 : ( NH 4 ) HCO 3 : 실루엣 TM 혼합물 = 1 : 1 : 1 : 0.3]
NaHCO3 100 g, KHCO3 100 g, (NH4)HCO3 100 g, 실루엣TM 혼합물 30 g (카오리나이트 20 g + 실루엣TM 1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7 ( NaHCO 3 )
NaHCO3 300 g을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8 [( NH 4 ) HCO 3 ]
(NH4)HCO3 300 g을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9 [( KHCO 3 )]
KHCO3 300 g을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0 [ NaHCO 3 : ( NH 4 ) HCO 3 = 3 : 2]
NaHCO3 300 g과 (NH4)HCO3 200 g을 믹서기에 넣고 2분간 혼합한 후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1 [ KHCO 3 : ( NH 4 ) HCO 3 = 3 : 2]
KHCO3 300 g과 (NH4)HCO3 200 g을 믹서기에 넣고 2분간 혼합한 후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2( NaHCO 3 : KHCO 3 : ( NH 4 ) HCO 3 = 1.5 : 1.5 : 2)
NaHCO3 150 g, KHCO3 150 g, (NH4)HCO3 200 g을 믹서기에 넣고 2분간 혼합한 후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3 [ NaHCO 3 : ( NH 4 ) HCO 3 : 일반 전착제 = 3 : 2 : 0.6]
NaHCO3 300 g, (NH4)HCO3 200 g, 일반 전착제 60 g (몬모릴로나이트 40 g + 일반 전착제 2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4 [ KHCO 3 : ( NH 4 ) HCO 3 : 일반 전착제 = 3 : 2 : 0.6]
KHCO3 300 g, (NH4)HCO3 200 g, 일반 전착제 60 g (몬모릴로나이트 40 g + 일반 전착제 2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5 [ NaHCO 3 : KHCO 3 : ( NH 4 ) HCO 3 : 일반 전착제 = 1.5 : 1.5 : 2 : 0.6]
NaHCO3 150 g, KHCO3 150 g, (NH4)HCO3 200 g, 일반 전착제 60 g (몬모릴로나이트 40 g + 일반 전착제 20 g)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믹서기로 2분간 혼합하고 200 mesh 채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시료 50 g을 물 20리터에 녹여(400배액) 시험에 사용하였다.
처리구 16 ( 훼나리유제 )
비교용으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화학 살균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참외 흰가루병용 시판농약인 훼나리유제를 물 20리터당 6.7㎖(3,000배액) 섞어 사용하였다.
[참외 흰가루병 치료 효과 시험]
농촌진흥청 고시 제2012-13 호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참외(금노다지은천참외/신토좌)에 발생한 흰가루병 치료 효과를 조사하였다. 참외는 토성이 사양토인 시설하우스에서 재식거리 180× 45cm로 구당 11주씩(시험면적 9 ㎡) 정식하여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임의배치 3반복으로 하였다. 참외 흰가루병이 발병한 포장의 처리구에는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처리구 1 내지 16의 시료를 3.3 ㎡ 당 500 ㎖ 정도로 엽면살포를 실시하였으며, 일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였다. 기타 시비 및 관리는 관행에 준하였고 시험기간 중 다른 살균제의 살포는 하지 않았다.
1) 참외 흰가루병의 발병도 조사
1차 살포 후 2일 경과한 시점과 2차 살포 후 5일 경과한 시점에서 달관조사를 실시하였다. 달관조사는 각 처리구에서 흰가루병이 발생된 잎을 대상으로 발병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발병도 조사방법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중탄산염 혼합물을 함유하는 방제 조성물이 처리된 구에서는 식물이 건강하게 잘 자랐고 무처리구에서는 흰가루병이 만연되었고 생육이 불량하였다. 상기와 같이 흰가루병(기주작물 : 참외) 방제 실험을 한 결과 중탄산염 1종만 처리한 구 및 중탄산염 혼합물과 일반 전착제 혼합처리구는 28~69%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중탄산염 혼합물에 실록산이 포함된 혼합물을 첨가한 경우 최고 90%의 방제가를 보였다.
다시 말해 처리구 1 내지 6과 같이, 중탄산염 혼합물과 실록산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탄산염 1종만 처리한 구 또는 일반 전착제를 사용한 경우, 흰가루병의 치료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1 및 도 1 내지 3에서 볼 수 있듯이, 중탄산염 단독 처리구(7, 8, 9)에 비하여 중탄산염 혼합물 처리구(10, 11, 12) 또는 중탄산염 혼합물에 일반전착제를 첨가한 처리구(13, 14, 15)에서 흰가루병의 치료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탄산염 혼합물에 실록산 혼합물을 첨가한 처리구(1, 2, 3, 4, 5, 6)가 가장 참외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이는 합성농약인 훼나리의 방제 효과와 유사한 최고 90%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회 엽면살포 후 처리구 1 내지 6의 참외 잎은 도 1 및 2와 같이 흰가루병 곰팡이가 살균되어 흰가루병 포자가 사라지고 갈색으로 변한 부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농약대체재의 우수한 살균,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탄산염 혼합물을 함유하는 농약대체재는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시험작물인 참외에 약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중탄산염 혼합물과 일반 전착제를 혼합하여 엽면 살포한 처리구(10, 11, 12)에서는 무처리와 대비할 때 수치상으로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엽면 살포시 제제가 흰가루 곰팡이에 잘 묻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흰가루병 치료 효과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중탄산염 혼합물에 실록산 혼합물을 첨가한 처리구 1 내지6은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이 유독한 농약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살포에 따른 작물 생육상의 부작용 없이도 흰가루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참외 흰가루병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제 조성물은 수용성으로 물에 잘 녹으며, 잎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부착력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독성은 5배 적고, 방제 효과는 2 내지 5배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흰가루병균의 표면은 포자(가루)로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물이 묻지 않고 굴러 떨어지는데 반해, 본 발명의 방제 조성물은 흰가루병이 발생된 잎에서 중탄산염의 부착력을 높임으로써 흰가루병의 방제 효율을 2 내지 5 배 가량 높이면서 약제 사용량 및 방제 횟수를 줄여줄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1)

  1. 제1중탄산염 및 제2중탄산염으로 구성된 중탄산염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의 진균병 방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용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변형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유기실리콘, 폴리알킬렌 변형 헵타메틸 트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 트리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폴리메틸실록산-코폴리머, 폴리에톡실화 다이메틸 실록산, 폴리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럭 코폴리머 및 실리콘-폴리에테르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탄산염은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중탄산염은 중탄산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탄산염 혼합물은
    제1중탄산염 및 제2중탄산염이 1:0.2 내지 1(제1중탄산염:제2중탄산염)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중탄산염 혼합물 중량대비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점토광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카오리나이트(kaolinite), 디카이트(dick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내크라이트(nacr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의 카오린;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사포나이트(sapon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의 스멕타이트(Smectite);
    일라이트(Illite);
    해포석(sepiolite);
    아타플자이트(attapulgite clay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상기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 조성물은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 조성물은 가지, 고추, 딸기, 멜론, 사과, 오이, 참외, 토마토, 호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작물의 방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용 조성물.
KR1020130131299A 2013-10-31 2013-10-31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KR2015005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299A KR20150050007A (ko) 2013-10-31 2013-10-31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299A KR20150050007A (ko) 2013-10-31 2013-10-31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007A true KR20150050007A (ko) 2015-05-08

Family

ID=5338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299A KR20150050007A (ko) 2013-10-31 2013-10-31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5184A (zh) * 2015-05-21 2015-08-26 秦廷廷 一种草莓种植白粉病防治方法
CN107041379A (zh) * 2017-06-06 2017-08-15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甜瓜白粉病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5184A (zh) * 2015-05-21 2015-08-26 秦廷廷 一种草莓种植白粉病防治方法
CN107041379A (zh) * 2017-06-06 2017-08-15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甜瓜白粉病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9817C (zh) 含有化合物2-氰基-3-氨基-3-苯基丙烯酸乙酯的杀菌组合物
CN102958366B (zh) pyrion化合物与聚乙烯亚胺的抗微生物组合
KR101844844B1 (ko) 식물병원성 곰팡이 방제용 조성물
ES2369731T3 (es) Combinaciones de pirimetanil y compuestos de plata.
CN102037963B (zh) 补骨脂查尔酮类化合物与补骨脂二氢黄酮防治植物病害混合制剂
CN101877968A (zh) 杀真菌的吡咯化合物和pyrion化合物的组合
US20130217575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water systems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50050007A (ko)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CN104705326B (zh) 一种含有中生菌素和琥胶肥酸铜的杀菌组合物
CN109315400A (zh) 一种杀菌剂组合物
CN101932243A (zh) 苯基吡咯和吡啶酮*化合物的组合
CN101755836B (zh) 一种以氟啶胺为主要成分的杀菌组合物
RU2342833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овощных культур и клубней картофеля от бактериальных болезней
CN1025650C (zh) 一种复合杀菌剂——菌毒清的用途
CN110402929A (zh) 一种含井冈霉素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4705325B (zh) 一种含有中生菌素和氯溴异氰尿酸的杀菌组合物
CN103239429B (zh) 速干型手用消毒凝胶及其制备方法
RU2542278C2 (ru) Био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FI72254B (fi) Enprodukt foer utbredning pao huden foer hygieni och/eller efohindrande av inflammationer
JPH08198713A (ja) 土壌病害防除剤
JP2000290113A (ja) 種子消毒剤
CN109105384A (zh) 一种防治梨树黑心病的复配杀菌组合物
WO2012054391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microbial levels on a surface
CN106689131A (zh) 含有甲壳素类物质与溴菌腈的杀菌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