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777A -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777A
KR20150049777A KR1020130130743A KR20130130743A KR20150049777A KR 20150049777 A KR20150049777 A KR 20150049777A KR 1020130130743 A KR1020130130743 A KR 1020130130743A KR 20130130743 A KR20130130743 A KR 20130130743A KR 20150049777 A KR20150049777 A KR 2015004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pplication module
execution
functions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990B1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3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9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12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간의 시간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하고, 해당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여 호출함으로써 각각의 응용 모듈들이 가지는 기능들이 독립적으로 실행 및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that controls the execution of application modules}
본 발명은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간의 시간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하고, 해당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여 호출함으로써 각각의 응용 모듈들이 가지는 기능들이 독립적으로 실행 및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및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배터리(Battery) 즉, 이차 전지는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때, 다수의 이차 전지가 충전과 방전을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배터리가 적정한 동작 상태 및 성능을 유지하도록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의 상태 및 성능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구비된다. BMS은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ing; SOC)을 추정하며, 연료 소비 효율이 가장 좋아지도록 SOC를 제어한다. SOC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충방전을 행하고 있는 배터리의 SOC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용 모듈간의 실행 관계가 서로 복잡하게 섞이게 되었고, 그에 따라 특정 응용 모듈의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타 응용 모듈의 내용도 함께 변경되거나 혹은 특정 응용 모듈의 내용 변경으로 인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동차 표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의미하는 오토사(AUTomotive System Architecture; AUTOSAR)에서 있어서, 종래에는 AUTOSAR Compliant 표준 소프트웨어 모듈이 개방형 오토사(AUTOSAR)와 비개방형 오토사(NON-AUTOSAR)의 응용 계층(Appliction Layer)에 동시에 적용될 수 없었으며, 그에 따라 AUTOSAR Compliant 표준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방형 오토사와 비 개방형 오토사에 맞춰 개별적으로 개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용 모듈 간의 실행 관계가 서로 복잡하게 섞여있기 때문에 1)응용 모듈 별로 내용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2)해당 응용 모듈을 타 응용 모듈로 변경 시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용 모듈들은 시간에 관하여 독립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실행되었기 때문에, 특정 응용 모듈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선 타 응용 모듈의 실행 시간을 고려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종래의 표준화되지 못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간의 시간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하고, 해당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여 호출함으로써 각각의 응용 모듈들이 가지는 기능들이 독립적으로 실행 및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간의 시간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하고, 해당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여 호출함으로써 각각의 응용 모듈들이 가지는 기능들이 독립적으로 실행 및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응용 모듈 간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모드신호에 따른 응용 모듈의 모드 변경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형 오토사(AUTOSAR)와 비 개방형 오토사(NON-AUTOSAR)의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에 동시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트(Task)와 직접 연결되어 실행되는 호출함수를 포함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중에서 특정한 응용 모듈이 변경되더라도 타 응용 모듈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는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과 연결된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신호 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중에서 상기 수신된 모드신호에 상응하는 응용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하는 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는 상기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순서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에 따라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의 호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는 측정(Measurement) 함수, 판단(Estimation) 함수, 진단(Diagnosis) 함수, 산출(Calculation) 함수, 통신(Communication) 함수, 제어(Control) 함수 및 기록(Recording) 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각각의 기능에 대한 실행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간의 독립적인 기능에 대한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은 모드신호 수신부가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과 연결된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호출부가 상기 기본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Task)로부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 및 호출부가 상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중에서 상기 수신된 모드신호에 상응하는 응용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은 순서 결정부에서 상기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에 따라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호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의 호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호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간의 독립적인 기능에 대한 실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응용 모듈 간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모드신호에 따른 응용 모듈의 모드 변경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응용 모듈 각각의 모드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들이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트(Task)와 직접 연결되어 실행되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과 기본 프로그램 간의 하드웨어적 연관성 또는 기능적 연관성에 대한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전기 자동차(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출부(1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함수들이 기본 프로그램(10)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11)로부터 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출부(130)가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각각의 기능을 실행 및 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전기 자동차(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2),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 ECU(Electronic Control Unit, 4), 인버터(5) 및 모터(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2)는 모터(6)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이다. 배터리(2)는 모터(6) 또는 내연 기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5)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2)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는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팩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배터리(2)를 형성할 수도 있다.
BMS(3)는 배터리(2)의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2)를 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2)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ing; SOC), 잔존 수명(State Of Health; SOH),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출력 전압 등 배터리(2)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2)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며, 나아가 배터리(2)의 교체 시기 추정도 가능하다.
ECU(4)는 전기 자동차(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 장치이다. 예컨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브레이크(break), 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정도를 결정하고, 모터(6)의 출력이 토크 정보에 맞도록 제어한다.
또한, ECU(4)는 BMS(3)에 의해 전달받은 배터리(2)의 SOC, SOH 등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2)가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도록 인버터(5)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인버터(5)는 ECU(4)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2)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한다.
모터(6)는 배터리(2)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ECU(4)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한다.
상술한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2)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므로, 배터리(2)와 모터(6)는 다양한 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2)에 대한 BMS(3)는 해당 BMS(3)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되는 각각의 응용 모듈은 기능 실행 시점 및 순서가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후술되는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4를 통해 이러한 응용 모듈 간의 기능 실행 시점 또는 호출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응용 모듈실행제어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출부(1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함수들이 기본 프로그램(10)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11)로부터 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출부(130)가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각각의 기능을 실행 및 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는 모드신호 수신부(110), 순서 결정부(120) 및 호출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모드신호 수신부(110)는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 10)과 연결된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라 함은 상술한 BMS(3)의 구동에 필요한 모드의 변동을 관리하는 모듈(Module)을 의미할 수 있으며, 모드 변경에 따른 응용 모듈(30)의 동작수행이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각각의 모드 독립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모드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받은 모드신호를 후술되는 순서 결정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본 프로그램(10)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BMS 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기본 프로그램(10)의 동작을 보조해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Task, 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순서 결정부(120)는 상술한 모드신호 수신부(110)가 수신 받은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각각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순서 결정부(120)는 BMS 기능의 실행 타이밍과 순서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는 응용 모듈(30) 간의 실행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정 응용 모듈(30)의 변경이 타 응용 모듈(30)의 내용 변경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호출부(130)는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중에서 수신된 모드신호에 상응하는 응용 모듈(30)을 선택하고, 선택된 응용 모듈(30)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호출부(130)는 상술한 기본 프로그램(10)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11)로부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응용 모듈(30)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 및 실행 시킬 수 있다.
이때, 호출부(130)는 상술한 순서 결정부(120)에 의하여 결정되는 응용 모듈(30)의 기능 실행 시점 및 순서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30)을 선택하고 또한 기능을 호출 및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호출부(130)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태스크(11)와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호출함수는 측정(Measurement) 함수, 판단(Estimation) 함수, 진단(Diagnosis) 함수, 산출(Calculation) 함수, 통신(Communication) 함수, 제어(Control) 함수 및 기록(Recording) 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함수는 이차 전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판단 함수는 이러한 이차 전지의 SOC 및 SOH를 판단하고, 진단 함수는 이차 전지의 오류 등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함수는 전기 자동차와 슬레이브(Slave)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제어 함수는 이차 전지에 제공되는 팬(Fan)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호출함수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호출부(130)는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각각의 기능에 대한 실행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간의 실행 관계가 섞이지 않고 응용 모듈(30) 간의 내용변경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호출부(130)는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간의 기능이 서로 관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응용 모듈(30)은 서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권한을 부여받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호출부(130)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각각의 기능에 대한 실행 관계가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100)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호출부(1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와 기본 프로그램(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11) 각각을 직접 연결한다(S501).
다음으로, 모드신호 수신부(110)가 기본 프로그램(10)과 연결된 모드제어장치(20)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한다(S502).
다음으로, 순서 결정부(120)에서 상술한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응용 모듈(30)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한다(S503).
다음으로, 호출부(130)가 기본 프로그램(10)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11)로부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하고(S504), 만약 동작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호출부(130)는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30) 중에서 기 수신된 모드신호에 상응하는 응용 모듈(30)을 선택하고 해당 응용 모듈(30)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 및 실행한다(S5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전기 자동차 2 : 배터리
3 : BMS 4 : ECU
5 : 인버터 6 : 모터
10 : 기본 프로그램 11 : 태스크
20 : 모드제어장치 30 : 응용 모듈
100 :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110 : 모드신호 수신부
120 : 순서 결정부
130 : 호출부

Claims (14)

  1.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과 연결된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신호 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중에서 상기 수신된 모드신호에 상응하는 응용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하는 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기본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Task)로부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순서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에 따라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의 호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는,
    측정(Measurement) 함수, 판단(Estimation) 함수, 진단(Diagnosis) 함수,
    산출(Calculation) 함수, 통신(Communication) 함수, 제어(Control) 함수 및 기록(Recording) 함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각각의 기능에 대한 실행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간의 독립적인 기능에 대한 실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9. 모드신호 수신부가 기본 프로그램(Basic Software; BSW)과 연결된 모드제어장치(Mode manager)로부터 모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호출부가 상기 기본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의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Task)로부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 및
    호출부가 상기 동작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Application module) 중에서 상기 수신된 모드신호에 상응하는 응용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순서 결정부에서 상기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응용 모듈에 포함된 기능의 실행 시점 및 순서에 따라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호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함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태스크 각각의 호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기능의 호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용 모듈 간의 독립적인 기능에 대한 실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모듈 실행제어방법.
KR1020130130743A 2013-10-31 2013-10-31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KR10165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43A KR101650990B1 (ko) 2013-10-31 2013-10-31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743A KR101650990B1 (ko) 2013-10-31 2013-10-31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77A true KR20150049777A (ko) 2015-05-08
KR101650990B1 KR101650990B1 (ko) 2016-08-24

Family

ID=5338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743A KR101650990B1 (ko) 2013-10-31 2013-10-31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843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안 정책에 따라 공유 데이터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272A (ja) * 2004-09-24 2006-04-06 Fujitsu Ten Ltd 制御システム
KR20070021278A (ko) * 2004-05-28 2007-02-22 노키아 코포레이션 일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278A (ko) * 2004-05-28 2007-02-22 노키아 코포레이션 일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JP2006092272A (ja) * 2004-09-24 2006-04-06 Fujitsu Ten Ltd 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843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안 정책에 따라 공유 데이터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990B1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7422B (zh) 辅助电池充电控制方法和装置
KR20200050900A (ko) 전류 센서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00384884A1 (en) Battery state determining system, in-vehicle device, server, battery state determining method, and program
JP5126150B2 (ja) 蓄電容量推定装置および蓄電容量推定方法
KR101591150B1 (ko) 배터리의 표준화를 위한 응용 모듈 제어 및 하드웨어 호출 장치
KR101650990B1 (ko) 응용 모듈 실행제어장치 및 그 실행제어방법
KR101498764B1 (ko)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584405B1 (ko) 고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응용 모듈
KR101748904B1 (ko) 모듈 중계 장치 및 그 중계 방법
KR101635665B1 (ko) 응용 모듈 데이터제어장치 및 그 데이터제어방법
KR20180008215A (ko)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79650B1 (ko) 응용 모듈 모드제어장치 및 그 모드제어방법
KR102263578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듀얼 배터리 시스템 운영 방법
KR101783924B1 (ko)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내부 구조를 가지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전지 관리 시스템
KR101787635B1 (ko)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내부 구조를 가지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전지 관리 시스템
KR20190131250A (ko) 차량의 능동형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4663A (ko) 모듈 간 데이터 통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
JP2007198834A (ja) 異常検出装置および異常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