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770A -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힘 축적기 - Google Patents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힘 축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770A
KR20150048770A KR1020157006248A KR20157006248A KR20150048770A KR 20150048770 A KR20150048770 A KR 20150048770A KR 1020157006248 A KR1020157006248 A KR 1020157006248A KR 20157006248 A KR20157006248 A KR 20157006248A KR 20150048770 A KR20150048770 A KR 2015004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etent position
locker
energy accumulator
outpu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실케 브레데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4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4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using a torsion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3/00Gearings based on repeated accumulation and delivery of energy
    • F16H33/02Rotary transmission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weights, springs, intermittently-connected fly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31Means for locking the spring in a charged st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friction, toothed, or screw-and-nut gea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2003/32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시 탭 절환기용 힘 축적기에 관한 것이다. 힘 축적기는 회전 가능 구동 샤프트 상에 배치되는 제1 기어를 갖는다. 제1 기어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기어휠을 통해 크랭크를 구동한다. 크랭크는 구동 요소가 작동되는 때에 인장력을 받게 될 수 있는 탄성복원 요소와 기계식으로 연결된다. 탄성복원 요소가 인장력을 받게 된 후에 구동 출력 요소가 트리거될수 있고, 갑작기 피봇한다. 구동 요소는 락커(rocker)이다. 락커는 제1 래치와 제2 래치를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1 락커 롤러와 제2 락커 롤러를 갖는다. 제1 래치는 출력 요소 상에서 제1 디텐트 위치(first detent position) 및 제2 디텐트 위치와 연관되며, 유사하게 제2 래치는 출력 요소 상에서 제1 디텐트 위치 및 제2 디텐트 위치와 연관되어, 제1 래치와 제2 래치가 락커의 위치에 따라 제1 디텐트 위치와 제2 디텐트 위치에 교번적으로 위치된다.

Description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힘 축적기{FORCE ACCUMULATOR FOR AN ON-LOAD TAP CHANGER}
본 발명은 부하시 탭 절환기(on-load tap changer)용의 에너지 축적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축적기는 제1 기어휠을 포함하며, 기어 휠이 회전 가능 구동 샤프트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의 기어휠을 통해 크랭크(crank)를 구동한다. 크랭크는 구동 요소가 드로우 업(draw up)되는 때에 응력을 받게 될 수 있는 탄성복원 요소와 기계적 연결을 이루고 있다. 구동 출력 요소는 탄성복원 요소가 응력을 받은 후에 트리거될 수 있고, 갑자기 피봇한다.
이러한 종류의 부하시 탭 절환기는 종래 기술로 널리 공지되어 있고 통상적인 것이다. 이들은 탭부착 변압기(tapped transformer)의 상이한 권선 탭들 간의 연속적인 스위칭 오버(uninterrupted switching over)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환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부하시 탭 절환기는 통상적으로 에너지 축적기를 갖는다.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는 에너지 축적기는, 부하시 탭 절환기의 각각의 작동의 개시 시에, 그 구동 샤프트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로우 업, 즉 응력을 받게 된다. 예컨대 독일 공개 특허 19 56 369 A 및 독일 특허 DE 28 06 282 C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에너지 축적기는 근본적으로 드로우-업 캐리지(draw-up carriage)와 점프 캐리지(jump carriage)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에너지 축적기로서의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부가하여, 가이드 로드(guide rod)가 제공되며, 이 가이드 로드 상에는, 드로우-업 캐리지와 점프 캐리지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 로드는 각각의 스프링이 각자의 가이드 로드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스프링에 대한 가이드(guide)를 형성하고 있다. 드로우-업 캐리지는 구동 샤프트(drive shaft)에 연결된 편심기구(eccentric)에 의해 상대적인 방식으로 점프 캐리지를 향해 일직선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그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이 응력을 받게 된다. 드로우-업 캐리지가 자신의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에, 점프 캐리지의 잠금(locking)이 트리거된다.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로드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드로우-업 캐리지와 점프 캐리지의 양측면에서의 길이방향의 안내에 의하여 정확도가 매우 크게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이들 에너지 축적기의 경우, 운동 방향의 이중 변환(double conversion)이 이루어진다. 구동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에너지 축적기의 길이방향 운동으로 변환되고, 해제 이후의 에너지 축적기의 길이방향 운동은 다시 탭 절환기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것은 이미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탭 절환기 또는 탭 절환기의 부하 전환 스위치에 대해서는 복잡하고, 적절하지 않으며, 필요치 않다. 더욱이, 이들 에너지 축적기는 기계적 장애를 유발하고 생산비를 증가시키는 다수의 마찰 지점을 갖게 된다.
그 결과, 구동 샤프트의 연속적인 회전 운동을 구동 출력 샤프트의 갑작스럽고 신속한 피봇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딩 마찰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저항이 낮아지게 하는 에너지 축적기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예컨대, 독일 특허 DE 10 2006 008 338 B3, DE 10 2009 034 627 B3 및 DE 10 2010 046 280 B3에 개시되어 있다. 구동 출력 샤프트의 갑작스러운 회전 운동은 응력을 받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감작기 해제된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일 수도 있고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도 있다. 그 경우, 원리는 동일하다.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들을 최대 포인트까지 응력을 가하고, 그 후 이들이 갑작스럽게 릴렉스(relax)하고, 이에 의해 이와 동시에 구동 출력 샤프트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에너지 축적기는 가장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초기의 병진 드로우-업 운동(initial translational draw-up movement)을 스위칭 접점의 작동을 위한, 실제 부하 전환에 필요한, 신속한 회전의 주운동(rapid rotational main movement)으로 복잡한 기술적 변환을 행하는 것을 제거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에 부가하여,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는 중국 실용신안 CN 201845670 U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실용신안에서는 다수의 개별 부품이 상부 마운팅 플레이트와 하부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 마운팅 플레이트 상에 탑재된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에너지 축적기가 다수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되어, 한편으로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하시 탭 절환기에서 많은 양의 구성 공간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수의 부품으로 인해, 기계적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부품의 교환이 매우 곤란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생산 비용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 손실 및 에너지 소비를 낮게 유지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공간 절감식 및 간략한 구성의 에너지 축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는 제1 기어휠을 가지며, 제1 기어휠은 회전 가능 구동 샤프트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의 기어휠을 통해 크랭크를 구동한다. 그 경우, 에너지 축적기는 각각의 스위칭-오버 프로세스를 위한 구동 샤프트에 의해 중심에서 구동된다. 구동 샤프트를 위한 중심 구동 대신에 편심 구동(eccentric drive) 또한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그 경우, 그와 동시에 셀렉터도 구동하는 회전 가능 구동 샤프트는 180도 또는 360도를 제공하는 모터(트랜스미션을 갖는)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구동 샤프트를 스텝 모터(step motor)에 의해 직접 구동되게 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샤프트는 각각의 스위칭 단계에서 180도에 걸쳐 회전되어, 구동 샤프트에 배치된 제1 기어휠이 마찬가지로 이 스위칭 단계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이롭다.
기어휠이 기계적으로 확실하고 미끄러짐이 없는 힘 전달(mechanically positive and slip-free force transfer)을 교번하는 회전 방향으로 제공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크랭크가 구동 샤프트와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갖도록, 제1 기어휠과 크랭크를 구동하는 기어휠 사이에 추가의 기어휠이 제공된다.
그 경우, 크랭크는 구동 요소가 드로우 업되는 때에 응력을 받게 되는 탄성복원 요소와 기계식으로 연결된다. 탄성복원 요소가 응력을 받게 된 후에, 구동 출력 요소가 트리거될수 있고, 갑작기 피봇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동 요소는 락커(rocker)이다. 이 경우의 락커는 제1 래치와 제2 래치를 각각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1 락커 롤러와 제2 락커 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1 래치가 구동 출력 요소에서 제1 디텐트 위치(first detent position) 및 제2 디텐트 위치와 연관된다. 동일하게, 제2 래치가 구동 출력 요소에서 제1 디텐트 위치 및 제2 디텐트 위치와 연관된다. 그러므로, 제1 래치와 제2 래치가 락커의 설정에 따라 제1 디텐트 위치와 제2 디텐트 위치에 교번적으로 위치된다.
2개의 래치를 제1 디텐트 위치 또는 제2 디텐트 위치로 가게 하기 위해, 제1 래치는 제1 래치 롤러를 포함하고, 제2 래치는 제2 래치 롤러를 포함한다. 제1 래치 롤러 및 제2 래치 롤러의 구조와 이들에 연관된 제1 디텐트 위치 및 제2 디텐트 위치를 통해, 구동 출력 요소가 터닝에 대해 안정하게 된다.
더욱이, 제1 래치는 제1 래치 베어링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 래치는 제2 래치 베어링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는 커플러가 크랭크와 락커를 기계식으로 결합한다. 이를 위해,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는 회전 운동을 기계적 커플링을 통해 커플러에 전달하여, 회전 운동으로 구동되는 커플러가 락커와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 락커의 피봇을 가능하게 한다. 락커의 피봇을 통해, 한편으로는, 탄성복원 요소가 응력을 받게 되고, 또한 예컨대 제1 락커 롤러가 제1 래치에 대하여 힘을 받게 되고, 그러므로 제1 래치가 제1 래치 베어링에 대해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1 래치 롤러가 또한 제1 디텐트 위치에서 벗어나게 이동되며, 이것은 구동 출력 요소의 고정이 무효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스위칭-오버 프로세스 후에, 제1 래치 롤러는 그러므로 제1 디텐트 위치로부터 제2 디텐트 위치로 변경되며, 그 경우에, 이와 동시에 제2 래치 롤러가 제2 디텐트 위치로부터 제1 디텐트 위치로 변경된다. 제1 래치 롤러 및 제2 래치 롤러가 각각 다시 제1 디텐트 위치 또는 제2 디텐트 위치에 도달한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는 다시 최종 설정(end setting)에 있게 되며, 부하 전환 스위치 설정이 고정된다.
탄성복원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다.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서 구성되지만,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다른 스프링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션 스프링은 구동 출력 요소의 스프링 맞닿음부 및 락커의 스프링 맞닿음부와 교번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2개의 레그(leg)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축적기는, 락커의 피봇(pivotation of the rocker)의 경우에, 토션 스프링의 제1 레그가 구동 출력 요소의 스프링 맞닿음부에 의해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의 제2 레그가 탑승(entrain)되어,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이 응력을 받게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는 래치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래치 인장 스프링은 제1 래치와 제2 래치를 기계식으로 결합하고, 제1 래치와 제2 래치를 구동 출력 요소의 외부 윤곽에 대하여 바이어스하여, 제1 래치 롤러와 제2 래치 롤러가 래치 텐션 스프링을 통해 구동 출력 요소의 제1 디텐트 위치 또는 제2 디텐트 위치로 가게 되도록 하거나 그 안으로 힘을 받게 할 수 있다. 구동 출력 요소의 외부 윤곽은 제1 래치 롤러 및 제2 래치 롤러를 위한 곡선 또는 캠(cam)으로서 형성된다.
이전 형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동 출력 요소는 구체적으로는 부하 전환 스위치 구동 휠(load changeover switch drive wheel)이다. 부하 전환 스위치 구동 휠로서의 구동 출력 요소의 더욱 상세한 설명 및 예시는, 이러한 용도를 위해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고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기계적 부품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생략된다. 그러므로, 부하 전환 스위치 구동 휠은 예컨대 롤러 베어링과 같은 추가의 부품이 끼워지는 드릴작업된 워크피스(drilled workpiece)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의 장점은, 에너지 축적기의 전체적인 구조 및 에너지 축적기에 통합되는 더 적은 부품에 의해, 공간을 절감하면서 간략한 에너지 축적기가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에 부가하여, 종래 기술로 공지된 방사상의 마찰 감소된 저손실 에너지 축적기는 방향성에 종속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는, 토션 스프링의 배치를 통하여, 교번하는 회전 또는 피봇 방향으로의 스위칭 동작 및 그에 따라 구동 방향에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동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는 또한 전반적으로 더 적은 부품이 포함됨에 따라 그 제조 및 유지 비용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의 추가의 장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출력 요소를 위한 롤러 베어링의 사용을 통해, 마찰에 의해 야기되는 에너지 손실이 낮아지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장점은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축적기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구동 출력 요소에서 제1 래치가 제1 디텐트 위치(first detent position)에 위치되고, 제2 래치가 제2 디텐트 위치에 위치되는 에너지 축적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래치, 제2 래치, 및 2개의 래치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래치 텐션 스프링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에너지 축적기의 추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시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기어휠, 크랭크 및 커플러가 예시되지 않은, 에너지 축적기의 추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에너지 축적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등가의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어 있다. 더욱이, 도시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개개의 도면에는 각자의 도면에 대한 설명에 필요한 도면부호만이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1)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에너지 축적기(1)는 여기에서는 회전 가능 구동 샤프트(11) 상에 배치되고 제3 기어휠(9)을 통해 크랭크(13)를 구동하는 제1 기어휠(5)을 포함한다. 제1 기어휠(5)과 제3 기어휠(9) 사이에는, 크랭크(13)의 회전 각도 ω2가 구동 샤프트(11)의 회전 각도 ω1과 동일하도록, 제2 기어휠(7)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1)가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기어휠(5, 7, 9)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기어휠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크랭크(13)가 탄성복원 요소(resilient element)(15)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므로, 탄성복원 요소(15)는 구동 요소(17)가 드로우 업되는 때에 응력을 받게 될 수 있다. 탄성복원 요소(15)의 스트레싱 후에, 구동 출력 요소(29)가 트리거될 수 있고, 갑작스럽게 피봇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동 요소는 락커(rocker)(17)이다. 락커(17)는 바람직하게는 내장되어(embedded) 있는 롤러 베어링(보이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마찰 발생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낮아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7)는 제1 락커 롤러(21) 및 제2 락커 롤러(23)를 포함하며, 이들 락커 롤러는 각각 제1 래치(25)와 제2 래치(27)를 교번적으로 작동하며, 제1 래치(25)는 제1 래치 베어링(31)에 대해 피봇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래치(27)는 제2 래치 베어링(33)에 대해 피봇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이에 부가하여, 도 3 및 도 4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1)의 추가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텐트 위치(39) 및 제2 디텐트 위치(41)가 구동 출력 요소(29)에서의 제1 래치(25)와 연관되고, 제1 디텐트 위치(43) 및 제2 디텐트 위치(45)가 유사하게 구동 출력 요소(29)에서의 제2 래치(27)와 연관된다. 그러므로, 제1 래치(25)와 제2 래치(27)는 락커(17)의 설정에 좌우되어 제1 디텐트 위치(39, 43)와 제2 디텐트 위치(41, 45)에 교번적으로 위치된다.
동일하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치(25)는 제1 래치 롤러(35)를 포함하고, 제2 래치(27)는 제2 래치 롤러(37)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2개의 래치(25, 27)가 제1 디텐트 위치(39, 43) 또는 제2 디텐트 위치(39, 43)에 있게 될 수 있어서, 제1 래치 롤러(35) 및 제2 래치 롤러(37)의 구조와 이들에 연관된 제1 디텐트 위치(39, 43) 및 제2 디텐트 위치(39, 43)를 통해, 구동 요소(29)가 터닝에 대해 안정하게 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1)가 래치 텐션 스프링(47)을 갖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는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래치 텐션 스프링(47)은, 특히 제1 래치(25)와 제2 래치(27)를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제1 래치(25)와 제2 래치(27)를 구동 출력 요소(29)의, 여기에서는 곡선과 같은, 외부 윤곽(30)에 대하여 바이어스(bias)하여, 제1 래치 롤러(35)와 제2 래치 롤러(37)가 래치 텐션 스프링(47)을 통해 구동 출력 요소(29)의 제1 디텐트 위치(39, 43) 또는 제2 디텐트 위치(41, 45)로 가게 되거나 그 안으로 힘을 받게 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1)는, 도 1 내지 도 4의 모두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러(19)가 크랭크(13)와 락커(17)를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탄성복원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5)이다. 스프링(15)은, 그 경우에는, 이전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4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토션 스프링(15)은 2개의 레그(leg)(49, 51)를 가지며, 이들 레그가 구동 출력 요소(29)의 스프링 맞닿음부(53) 및 락커(17)의 스프링 맞닿음부(55)와 교번적으로 함께 작동(co-operate)한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축적기(1)는, 락커(17)의 피봇(pivotation of the rocker)의 경우에, 토션 스프링(15)의 제1 레그(51)가 구동 출력 요소(29)의 스프링 맞닿음부(53)에 의해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15)의 제2 레그(55)가 탑승(entrain)되어,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15)이 응력을 받게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구동 출력 요소(29)는 바람직하게는 부하 전환 스위치 구동 휠이다. 부하 전환 스위치 구동 휠로서의 구동 출력 요소(29)의 더욱 상세한 설명 및 예시는, 이들이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고 보편적인 것이므로, 도시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1)가 기능하는 모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특징을 통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구동 샤프트(11)에 의해 구동된 크랭크(13)는, 기계식 커플링을 통해, 회전 운동을 커플러(19)에게 전달하여, 회전 운동으로 구동된 커플러(19)가 락커(17)와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 락커(17)의 피봇을 가능하게 한다. 락커(17)의 피봇을 통해, 한편으로는, 스프링(15)이 바이어스되고, 또한 예컨대 제1 락커 롤러(21)가 제1 래치(25)에 대하여 힘을 받게 되고, 그러므로 제1 래치(25)가 제1 래치 베어링(31)에 대해 회전된다. 그 결과, 제1 래치 롤러(35)가 또한 제1 디텐트 위치(39)에서 벗어나게 이동되며, 이것은 구동 출력 요소(29)의 고정이 무효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스위칭-오버 프로세스 후에, 제1 래치 롤러(35)는 그러므로 제1 디텐트 위치(39)로부터 제2 디텐트 위치(41)로 변경되며(도 3 및 도 4를 참조), 그 경우에, 이와 동시에 제2 래치 롤러(37)가 제2 디텐트 위치(45)로부터 제1 디텐트 위치(43)로 변경된다(유사하게, 도 3 및 도 4를 참조). 제1 래치 롤러(35) 및 제2 래치 롤러(37)가 각각 다시 제1 디텐트 위치(39, 43) 또는 제2 디텐트 위치(41, 45)에 도달한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축적기(1)는 다시 최종 설정(end setting)에 있게 되며, 부하 전환 스위치 설정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모든 특징이 이미 설명되었고, 추가의 도 5 내지 도 8이 단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추가의 사시도를 도시하므로, 이들 도면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이러한 점에서 필요없을 것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수정예 및 변경예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청구된 교시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1 : 에너지 축적기
5 : 제1 기어휠
7, 9 : 추가의 기어휠
11 : 구동 샤프트
13 : 크랭크
15 : 탄성복원 요소, 스프링
17 : 구동 요소, 락커
19 : 커플러
21 : 제1 락커 롤러
23 : 제2 락커 롤러
25 : 제1 래치
27 : 제2 래치
29 : 구동 출력 요소
30 : 외부 윤곽
31 : 제1 래치 베어링
33 : 제2 래치 베어링
35 : 제1 래치 롤러
37 : 제2 래치 롤러
39 : 제1 래치의 제1 디텐트 위치
41 : 제1 래치의 제2 디텐트 위치
43 : 제2 래치의 제1 디텐트 위치
45 : 제2 래치의 제2 디텐트 위치
47 : 래치 인장 스프링
49 : 제1 레그
51 : 제2 레그
53 : 구동 출력 요소의 스프링 맞닿음부
55 : 락커의 스프링 맞닿음부
ω1 : 구동 샤프트의 회전각
ω2 : 크랭크의 회전각

Claims (8)

  1.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1)로서, 회전 가능 구동 샤프트(11)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추가의 기어휠(7, 9)을 통해 크랭크(13)를 구동하는 제1 기어휠(5)을 가지며, 상기 크랭크(13)는 구동 요소(17)가 드로우 업되는 때에 응력을 받게 될 수 있는 탄성복원 요소(15)와 기계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복원 요소(15)가 응력을 받게 된 후에 구동 출력 요소(29)가 트리거될수 있고 갑작기 피봇하는, 에너지 축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는 락커(rocker)(17)이고, 락커(17)는 제1 래치(25)와 제2 래치(27)를 각각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1 락커 롤러(21)와 제2 락커 롤러(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래치(25)가 상기 구동 출력 요소(29)에서 제1 디텐트 위치(first detent position)(39) 및 제2 디텐트 위치(41)와 연관되며, 유사하게 상기 제2 래치(27)가 상기 구동 출력 요소(29)에서 제1 디텐트 위치(43) 및 제2 디텐트 위치(45)와 연관되어, 상기 제1 래치(25)와 상기 제2 래치(27)가 상기 락커(17)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디텐트 위치(39, 43)와 상기 제2 디텐트 위치(41, 45)에 교번적으로 위치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25)는 제1 래치 롤러(3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래치(27)는 제2 래치 롤러(37)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2개의 상기 래치(25, 27)가 상기 제1 디텐트 위치(39, 43) 또는 상기 제2 디텐트 위치(41, 45)로 가게 될 수 있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25)는 제1 래치 베어링(31)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래치(27)는 제2 래치 베어링(33)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13)와 상기 락커(17)는 커플러(19)에 의해 기계식으로 결합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 요소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서 구성되는 스프링(15)인,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15)은 상기 구동 출력 요소(29)의 스프링 맞닿음부(53) 및 상기 락커(17)의 스프링 맞닿음부(55)와 교번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2개의 레그(49, 51)를 갖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치 인장 스프링(47)이 상기 제1 래치(25)와 상기 제2 래치(27)를 기계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래치(25)와 상기 제2 래치(27)를 상기 구동 출력 요소(29)의 외부 윤곽(30)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요소(29)는 부하 전환 스위치 구동 휠인, 부하시 탭 절환기용 에너지 축적기.
KR1020157006248A 2012-08-28 2013-07-30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힘 축적기 KR20150048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7900.5A DE102012107900A1 (de) 2012-08-28 2012-08-28 Kraftspeich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DE102012107900.5 2012-08-28
PCT/EP2013/066003 WO2014032888A1 (de) 2012-08-28 2013-07-30 Kraftspeich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770A true KR20150048770A (ko) 2015-05-07

Family

ID=4891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248A KR20150048770A (ko) 2012-08-28 2013-07-30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힘 축적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170847A1 (ko)
EP (1) EP2891166B1 (ko)
JP (1) JP2015530745A (ko)
KR (1) KR20150048770A (ko)
CN (1) CN104704588A (ko)
BR (1) BR112015003245A2 (ko)
DE (1) DE102012107900A1 (ko)
HK (1) HK1207739A1 (ko)
WO (1) WO20140328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057A (ko) * 2017-02-16 2019-10-21 에이비비 불가리아 이오드 온-로드 탭 체인저의 파워 디버터 스위치를 위한 스프링 에너지 축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6447B2 (ja) 2018-07-23 2023-06-2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発光素子
KR102661468B1 (ko) 2019-02-15 2024-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EP3761333B1 (en) 2019-07-01 2023-08-30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Drive arrangement for a tap changer
WO2021089427A1 (de) * 2019-11-08 2021-05-14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Energiespeicher zur speicherung mechanischer energie und fahrzeugsitz
DE102019130457B3 (de) * 2019-11-12 2021-02-0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KR20210059153A (ko) 2019-11-14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장치
KR20210136224A (ko) 2020-05-06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816521B (zh) * 2020-09-01 2022-07-01 王一霖 一种断路器储能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92592A (fr) * 1944-07-12 1951-10-19 Merlin Gerin Mécanisme à ressort pour la commande des interrupteurs
DE1184580B (de) * 1961-08-23 1964-12-31 Reinhausen Maschf Scheubeck Vorrichtung zum stufenlosen AEndern des Drehmomentverlaufes von Energiespeichern, insbesondere bei Lastumschaltern von Regeltransformatoren
DE1956369B2 (de) 1969-11-08 1971-10-21 Kraftspeicher fuer lastumschalter von stufenschaltern fuer regeltransformatoren
DE2806282C2 (de) 1978-02-15 1980-04-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ebrueder Scheubeck Gmbh & Co Kg, 8400 Regensburg Lastumschalter für Stufenschalter von Stufentransformatoren
DE3626526A1 (de) * 1986-08-05 1988-02-11 Concordia Sprecher Schalt Federspeicher-antrieb fuer elektrische schaltgeraete
US5226528A (en) * 1990-11-06 1993-07-13 Schaffer John S Switch operating mechanism
DE102006008338B3 (de) 2006-02-23 2007-02-1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mit Kraftspeicher
DE102009034627B3 (de) 2009-07-24 2010-09-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mit Kraftspeicher
CN201845670U (zh) 2010-07-27 2011-05-25 上海华明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曲柄摇杆式快速机构
DE102010046280B3 (de) 2010-09-22 2011-11-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Kraftspeicher
DE102011008688B3 (de) * 2011-01-15 2012-01-26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Kraftspei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057A (ko) * 2017-02-16 2019-10-21 에이비비 불가리아 이오드 온-로드 탭 체인저의 파워 디버터 스위치를 위한 스프링 에너지 축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1166A1 (de) 2015-07-08
EP2891166B1 (de) 2016-05-11
DE102012107900A1 (de) 2014-03-06
CN104704588A (zh) 2015-06-10
JP2015530745A (ja) 2015-10-15
US20150170847A1 (en) 2015-06-18
WO2014032888A1 (de) 2014-03-06
BR112015003245A2 (pt) 2017-07-04
HK1207739A1 (en)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8770A (ko)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힘 축적기
CN101336462B (zh) 具有蓄能器的有载分接开关
US7652218B2 (en) Energy store
CN101425401B (zh) 装备有螺旋弹簧型机械制动器的电动机械致动器
CN101834074B (zh) 一种高压断路器用弹簧操动机构
US9251971B2 (en) On-load tap changer
CN101770877B (zh) 操作装置
JP6087431B2 (ja) 家具駆動装置を操作する装置
CN101882531B (zh) 高压真空永磁机构断路器的手动合闸机构
KR20030046490A (ko) 시퀀스 스위치용 에너지 저장기
CN104205273A (zh) 包括至少两个真空开关管的有载分接开关和用于包括至少两个真空开关管的有载切换开关的驱动装置
CN201812689U (zh) 一种高压断路器用弹簧操动机构
CN101307859B (zh) 三脚架头
CN201063287Y (zh) 圆筒结构的干式真空有载开关
CN202008930U (zh) 高压开关弹簧操动机构的储能装置
CN205282310U (zh) 电源开关的传动装置及具有该传动装置的电源开关
JP4087160B2 (ja) 真空バルブ式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JP2009079653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5945394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JPH11283849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4087168B2 (ja) 真空バルブ式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CN202678142U (zh) 一种滑轨型辅助开关传动装置
CN102509674B (zh) 一种高压断路器用超大功率弹簧操动机构
JP3285977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蓄勢装置
CN220335446U (zh) 缝纫机的驱动调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