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744A -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744A
KR20150048744A KR1020157005152A KR20157005152A KR20150048744A KR 20150048744 A KR20150048744 A KR 20150048744A KR 1020157005152 A KR1020157005152 A KR 1020157005152A KR 20157005152 A KR20157005152 A KR 20157005152A KR 20150048744 A KR20150048744 A KR 2015004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ng
neck
neck reg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934B1 (ko
Inventor
피테르 제라드 위테
아리 마르텐 파우웨
바트 잔 백스
해럴드 마르셀 블롬
Original Assignee
하이네켄 서플라이 체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네켄 서플라이 체인 비.브이. filed Critical 하이네켄 서플라이 체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4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7Openings for emptying, e.g. taped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5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on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29C2949/08Preforms made of several individual parts, e.g. by welding or gluing part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8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a mould carrier rotatab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and closing axis of the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2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넥(neck) 영역은 외부 컨테이너와 인접한 내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관통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고, 상기 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압력 유체(pressure fluid)를 주입(introducing)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 장치를 커플링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반대편에 원주 방향으로 보여지는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인-컨테이너 타입, 및 상기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태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백-인-컨테이너 타입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태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디스펜스 라인 또는 디스펜스 튜브 또는 이와 같은 디스펜스 엘리먼트 및 가스 라인을 컨테이너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인 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와 연관되고,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성형체들의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딱딱한 금속 또는 저장용 통(keg)와 같은 목재 컨테이너, 배럴, 압력이 가해진 CO2가스와 같은 가스를 컨테이너로 공급하고, 컨테이너 밖으로 음료를 강제하는 것에 의한 통(cask)로부터 탄산 음료, 특히 맥주와 같은 음료를 디스펜스하는 것이 알려진다.
하이네켄(Heineken)의 DraughKeg(등록 상표)로부터 예시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은 대체적인 시스템(예를 들어, EP1064221)에서 논으되고 있는)에서, 음료 컨테이너에는 예를 들어, 통합된(integrated) 내부 가압기가 마련된다. 내부 가압기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스는 컨테이너 안쪽에서 가능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디스펜싱을 위한 음료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안으로 자동적으로 유입된다.
추가적으로,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는 것이 하이네켄의 BeerTender(등록상표)로부터 예시적으로 알려진다. (WO00/03944)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에서, 음료는 플렉서블한 내부 컨테이너 안에 보관(포함)되고, 플렉서블한 내부 컨테이너는 더 단단한 외부 컨테이너에 매달려진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압력이 가해진 가스는 내부 컨테이너와 외부 컨테이너 사이에서 컨테이너 안으로 가해지고, 이를 통하여 백 또는 내부 컨테이너를 압축하고 다이렉트 컨택으로 들어오는 압력이 가해진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를 이용하여, 음료를 밖으로 짜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EP2148771에서, 음료를 보유하거나 디스펜싱하기 위한 통합적으로 취입 몰딩된 백-인-컨테이너가 개시되며, 거기서, 적어도 하나의 벤트(vent)는 내부 컨테이너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평행하게 마련된다. 거기서, 벤트는 백-인-컨테이너의 마우스와 대략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그 마우스와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를 개방한다. EP2148771은 디스펜싱 어셈블리에서 이 컨테이너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개시하지 못하며, 특히 이것이 태핑 라인 또는 태핑 장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개시하지 못한다.
WO2011/002295는 컨테이너에 함유된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컨테이너가 압력 챔버 내에서 압축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것은 강한 압력 챔버와 컨테이너에 대한 압력 챔버의 공기 밀폐 클로져를 요구한다.
WO2011/002294는 통합적으로 취입 몰딩된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를 개시하며, 내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에서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개방하는 오프닝이 마련된다. 상기 공간으로 저압력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오프닝으로 연결하는 밸브와 가스 공급 채널이 클로져에 마련될 수 있다. 풀(full) 가스 압력은 외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 상에서 가해진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오프닝은 외부 성형체의 넥 또는 컨테이너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체적인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BIC 타입의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컨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체 세트에서, 특히, BIC-타입 컨테이너의 성형체 세트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음료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대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목적들은 광범위하지 않다. 다른 목적들 역시 본 명세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고, 실현될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에 특징이 있으며, 외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은 외부 컨테이너와 인접한 내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관통하게 연장된다. 상기 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압력 유체(pressure fluid)를 주입(introducing)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 장치를 커플링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반대편에 원주 방향으로 보여지는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구비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에 특징이 있으며, 그 성형체 세트는 내부 성형체와 외부 성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체들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은 상기 외부 성형체와 인접한 상기 내부 성형체의 일부 사이의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관통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고, 상기 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압력 유체(pressure fluid)를 주입(introducing)하기 위해 BIC 컨테이너와 연결 장치를 커플링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반대편에 원주 방향으로 보여지는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구비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컨테이너는 넥 부분을 갖고 제2 컨테이너는 넥 부분으로부터 제1 컨테이너에 매달린다. 제2 컨테이너의 넥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컨테이너 내에서 완전히 연장되며, 예를 들어, 제1 컨테이너의 넥 영역 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는 어셈블리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 어셈블리는 넥 부분과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엘리먼트는 압력 유체, 바람직하게는 압력이 가해진 가스의 소스와 연결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컨테이너는 제2 컨테이너보다 더 단단하며, 적어도 바디 부분에서는 더 단단하다.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은 넥 영역의 세로 축에 직교하는 방향인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방향에 있는 공간으로 개방된다. 연결 엘리먼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사상 방향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엘리먼트는 오프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오프닝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진 릴리즈 위치와 상기 오프닝과 가스 밀폐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 위치 사이에서 원주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일 수 있고, 백-인-컨테이너는 적어도 두 개의 중첩된 성형체들로부터 또는 통합적, 멀티계층 성형체로부터 통합적으로 취입 몰딩될 수 있고, 외부 컨테이너와 내부 컨테이너 또는 백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취입 몰딩한 이전 또는 이후에, 클로져 링은 예를 들어 내부 성형체 및 외부 성형체 상으로 링을 스핀 웰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그것은 취입 몰딩된 컨테이너들과 내부 성형체 및 외부 성형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두 개의 성형체들 또는 컨테이너들은 웰딩될 수 있고, 특히 스핀 웰딩되거나 컨테이너들 사이 또는 성형체들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넥 영역들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은 공간으로 저압의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외부 컨테이너 내의 내부 컨테이너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넥 영역의 주변 벽에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으로 개방하는 외부 컨테이너에 마련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취입 성형한 이후에, 내부 컨테이너는 음료로 채워질 수 있고, 밸브는 상기 내부 컨테이너로 개방하는 상기 링에 있는 오프닝 상에 또는 오프닝에 마운트될 수 있다.
성형체들 중 어나의 통합적인 부분이 될 수 있는 링 또는 개별적인 링이 될 수 있는 링에 의하여 성형체들을 연결하는 경우에, 넥 영역 내에서 두 개의 미로 모양의 단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웰딩(특히, 스핀 웰딩) 동안에 형성되는 잔해가 내부 컨테이너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한 잔해들은 예를 들어, 작은 플라스틱 조각 등이며, 특히, 내부 및/또는 외부 컨테이너를 구멍 낼 수 있는 것과 같이 피해를 줄 수 있는데, 이것은 미로 모양의 단면에 의해 방지된다.
성형체들 및 성형체 어셈블리들은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논의되고 개시된다.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와 함께 컨테이너의 넥 영역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와 함께 컨테이너의 넥 영역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어셈블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 도 3의 라인 IV-IV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도 3의 라인 V-V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대체적인 실시예의 도 5에 따른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14C, 도 14D 및 도 15A와 같은 밸브 및 컨테이너의 대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연결 장치는 회전되며, 연결 엘리먼트들은 컨테이너와 연관된다.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6에 있는 라인 VII-VII를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도 6에 있는 라인 VIII-VIII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탑 및 바닥쪽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연결 장치의 가스 연결 유닛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1의 라인 X-X을 따라 취해진 가스 연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가스 연결 유닛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대체적인 실시예에서의 분해 조립도로서, 도 1에 있는 라인 X-X을 따라 취해진 가스 연결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도 11A-C는 상면도, 단면도와 사시도로서 컨테이너의 넥 영역을 나타낸다.
도 12는 클로져 링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컨테이너의 넥 영역과 커플링되는 연결 장치에 대한 부분적으로 투명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는 성형체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면도와 라인 A-A를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C 및 도 14D는 대체적인 성형체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면도와 라인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성형체들에 마운트된 클로져 링을 보여주며, 도 14A와 도 14B의 성형체 어셈블리의 부분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5A는 도 14C와 14D의 단면에서 성형체 어셈블리의 부분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내며, 성형체 어셈블리에 마운트된 클로져 링을 보여준다.
도 16은 도 14A, 14B 및 도 15에 따른 성형체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16A는 도 14C, 14D, 15A에 따른 성형체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조립도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7A는 점선 내에 있는 컨테이너를 나타내며, 컨테이너가 취입 몰딩되는 성형체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도 18은 도 15와 비교되는 도면으로서, 넥 영역의 단면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8A는 도 11A와 비교되는 도면으로서, 넥 영역의 단면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9A, 19B는 조립되고, 사전에 조립하는 성형체 세트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C 및 19D는 도 19A의 라인 B-B를 따르는 어셈블리의 단면도와 도 19C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20A 및 20B는 조립된, 그리고 사전에 조립하는 성형체 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0C와 20D는 도 20A에 있는 라인 B-B를 따르는 어셈블리의 단면도와 도 20C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에 의해 개시되고 보여진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이해되거나 해석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엘리먼트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기호들에 의하여 지시된다. 이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참고적으로 탄산 음료, 특히 맥주와 함께 논의될 것이다. 하지만, 다른 음료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지 않는 한, 위와 아래, 탑과 바닥 등과 같은 용어들은 바닥 부분 위에 서 있고, 실질적으로 윗 방향으로 속을 채우고, 디스펜싱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하는 넥 영역을 갖는 컨테이너의 정상적인 배치에서 고려될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보여지며, 특히, 도 17에서 보여진다. 거기에서, 탑, 바닥, 위, 아래는 오로지 지시하는 목적으로 위하여 화살표들과 적절한 워딩에 의하여 지시된다. 이것은 필수적으로 본 발명의 태핑 장치 또는 그들의 부분들이 사용되어야만 하는 배치를 반영하지는 않는다.
이 명세서에서, 백-인-컨테이너는 외부 홀더 및 내부 홀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서, 내부 홀더는 음료를 보관하기 위하여 설계되고, 외부 홀더보다 더 유연하고 압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외부 홀더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일 수 있으며, 그것은 넥, 바디를 갖는 병 모양의 컨테이너, 박스 모양의 홀더, 이와 유사한 것 등일 수 있다. 반면에, 내부 홀더는 유연한 컨테이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백일 수 있다. 내부 및/또는 외부 홀더는 단일 재료 또는 혼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및/또는 취입 몰딩, 회전 몰딩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백-인-컨테이너는 통합적인(integrally) 취입 몰딩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백-인-컨테이너는 다른 성형체로 적어도 하나의 성형체를 삽입하고, 그들을 함께 백-인-컨테이너 타입 컨테이너로 취입 몰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백-인-컨테이너는 멀티 계층화된 성형체를 형성하고, 그들을 함께 백-인-컨테이너 타입 컨테이너로 취입 몰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성형체를 오버-몰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외부 컨테이너와 백을 개별적으로(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 이후에 백은 외부의 컨테이너 내에 매달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테이너 내의 백은 예를 들어 층을 이루면서 포개진 두 개의 플리스틱 성형체를 포함하는 성형체 세트로부터 통합적으로 취입 밀딩되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여기서, 층을 이루면서 포개졌다는 것은 성형체들이 함께 알려진 방식으로 BIC로 취입 몰딩된 이후에 성형체들 중 하나가 다른 성형체로 삽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서, 취입 몰딩하는 것 이전에 클로져 링은 성형체들 위에서 피팅되고, 성형체들을 서로 연결하고, 공간(상기 공간은 성형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 스페이스로 언급될 수 있으며, 적어도 취입 몰딩 이후에 그 공간은 컨테이너의 넥 영역에 마련되는 단지 하나 이상의 오프닝을 통해서만 주변 환경이거나 주변 환경과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오프닝은 특히, 외부 성형체 그리고/또는 컨테이너의 넥 영역의 벽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외부 오프닝을 일 수 있다.)을 밀폐한다. 성형체들을 제조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은 마련될 수 있고, 특히, 사출 성형 동안에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나중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펀칭, 드릴링 또는 다른 기계적인 공법을 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링은 성형체들 중 하나의 통합적인 부분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태핑 어셈블리는 아래와 같이 묘사될 것이다. 태핑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 컨테이너, 특히 백 인 컨테이너(BIC) 타입 컨테이너, 컨테이너와 커플링되는 탭 또는 이와 같은 장치, 압력이 가해진 가스(공기와 같은)의 소스를 포함한다. 탭 및 가스의 소스는 명시적으로 논의되지 않을 것이며, 왜냐 하면, 이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유리한 실시예들에서, 컨테이너로 유입되는 가스로서, 공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스 라인(특히, 가스 호스)에 의하여 연결 장치로 연결되는 컴프레서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압력 플레듐으로서, 다른 가스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또는 물 같은 다른 플레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레듐은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탭으로서, 임의로 고정된 탭 도는 모바일 탭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되는 태핑 라인에 의존적이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태핑 라인은 교체 가능한 태핑 라인일 수 있으며, 특히,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태핑 라인으로서 예를 들어, 하이네켄의 David(등록 상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태핑 라인, EP1289874 또는 US2004226967에 개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탭이 사용될 수 있는 케이스에서, 태핑 라인은 릴리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라인 밸브 사용함에 의하여 또는 호스 밸브 타입의 밸브 어셈블리를 형성함에 의하여, 빠른 커플링 타입의 커플링을 함에 의하여 릴리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태핑 라인은 음료 디스펜스 시스템의 고정된 태핑 라인일 수 있다. 두 유형의 시스템들 모두는 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이므로, 추가적으로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태핑 어셈블리 1에 대한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부분을 보여주며, 컨테이너 3의 넥 영역 2, 에어 라인 또는 에어 호스와 같은 가스 라인 6과 연결되는 연결 장치 5의 가스 연결 유닛 4 및 태핑 라인 8과 연결되는 커넥터 7을 보여준다. 특히, 태핑 라인 8은 플렉서블 라인일 수 있다. 가스 연결 유닛 4가 넥 영역 2와 연결될 수 있는 반면에, 커넥터 7은 컨테이너 3의 클로져 링 10에 마운트된 밸브 9와 커플링될 수 있거나, 적어도 밸브 9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 3이다.
도 2는 태핑 어셈블리 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부분을 보여주며, 컨테이너 3의 넥 영역 2, 에어 라인, 에어 호스와 같은 가스 라인 6과 연결되는 연결 장치 5의 가스 연결 유닛 4, 태핑 라인 8과 연결되는 커넥터 11(특히, 플렉서블 태핑 라인)을 보여준다. 가스 연결 유닛 4은 넥 영역 2와 연결될 수 있는 반면에, 커넥터는 가스 유닛 4와 컨테이너 3의 클로져 링 10에 마운트된 밸브 9 위의 위치에서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백-인-컨테이너 타입의 컨테이너 3이다.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대체 실시예로서, 커넥터 11은 또한 연결 장치 5와 통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태핑 라인 8에는 연결 장치 5와 컨테이터 3을 연결하고, 밸브 9를 개방하는 경우에 태핑 라인 8을 밀폐하기 위하여 커넥터 11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진 곳에 또는 커넥터 내에 밸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언급될 것이다. 음료는 태핑 라인 8 밖으로 의도하지 않은 채로 흐리지 않을 것이다. 밸브는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EP1289874 또는 US2004226967에 개시된 것들이 예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서, 컨테이너 3과 유닛 4는 동일한 것일 수 있는 반면에, 커텍터 7과 커넥터 11은 다른 것일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의 커넥터 7은 서로 다른 컨테이너에 대하여 재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핑 라인 8과 함께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단독 사용(예를 들어, 하나의 컨테이너만의 단독 사용)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설계된 것일 수 있다. 반면에, 제2 실시예에서의 커넥터 11은 반복 사용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설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컨테이너들 3의 시리즈와 함께 반복 사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명세서의 연결 장치는 에어 유닛 4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의도된 사용에 의존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커넥터들 7, 11 모두 또는 둘 중 하나에 의존할 수 있다. 제1 어셈블리의 커넥터 7가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각 후속 컨테이너 3에 대하여 새로운 커넥터 7가 사용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3과 함께 폐기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식적으로 태핑 장치 200이 보여지며, 태핑 라인 8은 알려진 적절한 방식으로 태핑 장치 200과 연결되며, 태핑 장치 200의 태핑 핸들 201이 동작하는 경우에, 컨테이너 3으로부터 음료가 태핑 라인 8을 통하여 그리고, 태핑 장치 200 밖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에어 유닛 4 및 컨테이너 3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논의될 것이며, 반면에, 커넥터들은 관련된 도면들에서 명시적인 참조와 함께 묘사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3은 바디 13과 함께 외부 컨테이너 12를 가질 수 있으며, 바디 13의 어깨 부분은 도 1에서도 시각화될 수 있다. 여기서, 그 바디 13은 넥 영역 2의 부분을 형성하는 실질적인 원통형 넥 15을 갖는다. 넥은 링 모양의 테두리 14를 포함하고, 이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상식적이다. 그리고, 넥은 예를 들어, 제조, 채우기, 핸들링하기 동안의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컨테이너가 형성될 때부터 성형체를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테두리 14는 넥 15의 견고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넥 15에는 다수의 커플링 엘리먼트들 16이 마련될 수 있음, 바람직하게는 테두리 14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이것은 호환 가능한 가스 유닛 4의 커플링 감시 17와 협업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커플링 엘리먼트들 16과 감시들은 함께 총검(bayonet) 타입 커플링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서, 컨테이너 3의 넥 영역 2가 보여지며, 반면에, 도 14 내지 18은 성형체 어셈블리 19를 보여준다. 성형체 어셈블리 19는 컨테이너 3뿐만 아니라 그러한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성형체 어셈블리 19는 외부 성형체 20 및 내부 성형체 21을 포함하며, 내부 성형체 21은 외부 성형체 20으로 삽입된다. 비록 아래에서 언급되는 오프닝 22이 이산적인 위치들에서 마련되어 있을지라도, 두 개의 성형체 20, 21들이 기본적으로 세로 축 X-X 주변을 대칭 회전하는 것이 보여진다. 다른 모양들, 디멘젼들 역시 가능할 것이다. 왜부 성형체는 취입 성형되는 경우에, 외부 컨테이너 12를 형성할 것이며, 반면에, 내부 성형체 21은 취입 몰딩에 의하여 내부 컨테이너 35를 형성할 것이다. 여기서, 내부 컨테이너는 외부 컨테이너 12보다 더 플렉서블할 것이고, 예를 들면, 백, 풍선 또는 이러한 컨테이너일 수 있다.
외부 성형체 20은 넥 또는 넥 영역 15를 가지며, 이것은 지시되는 바와 같으며, 내부에서는 어깨 23이 마련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테두리의 상위 속(face) 14A와 같은 세로 레벨에서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성형체 21은 넥 또는 넥 영역 24를 가지며, 그것은 부분 25를 형성하는 몸체보다 더 넓고, 어깨 26은 형성된다. 이 때, 어깨 26은 외부 성형체 20의 어깨 23에서 받쳐질 수 있다. 그래서, 삽입 깊이는 정의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어깨 26 및 내부 성형체 21의 넥 24에는 스페이서 엘리먼트들 27이 마련되며, 예를 들어, teeth, 채널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다른 주변 위치들에서 갭들이 넥의 성형체들과 어깨 영역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그들이 클로즈 컨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왜냐 하면, 이러한 클로즈 컨택은 어깨 23, 26 및 넥 15, 24을 봉인할 수 있기 때문이며, 어깨 23, 26을 통과하여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들 12, 35 사이에 있는 컨테이너의 바디 32로 유입되는 공기와 같은 가스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이다.
보여지는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 엘리먼트들 27은 테두리 또는 마루(ridge) 121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마루는 내부 성형체 21의 넥 영역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홈(groove) 49의 외부 벽 부분 49B의 바로 아래 부분 또는 하부의 종단 부분의 레벨에서 대략적으로 연장하며, 동일한 레벨에서 외부 성형체의 넥의 내부 직경보다 단지 약간 작은 홈 49는 외부 직경을 갖는다. 그래서, 이러한 테두리 또는 마루 121은 외부 성형체 21 내에 있는 어깨 23에서 받쳐지기 위한 어깨 2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테두리 또는 마루 121은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cut-trough 122들을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cut-troughs 122는 각각 채널 122A와 맞닿을 수 있으며, 채널 122A는 외부 성형체의 내부 속 및/또는 내부 성형체의 외부 속 내에서 연장한다. 그리고, 어깨를 형성하는 부분 123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연장한다. 성형체들 20, 21로부터의 BIC를 통합적으로 취입 몰딩하는 것에 따라, 어깨 형성 부분 123은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들의 어깨를 형성하기 위하여 방사상 및 접선상의 방향으로 확장될 것이다. 채널들 122A가 약간 변형되더라도, 컷 스루들 122 및 채널들 122A는 개방된 채로 남겨지며, 압력이 가해진 가스를 위한 깨끗한 통과는 바디가 형성하는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들의 부분들 사이의 공간 32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22로부터 얻어지거나 유지된다.
도 15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성형체 21의 넥 24 및 외부 성형체 20의 넥 15 및/또는 외부 및 내부 컨테이터들 12, 35는 클로져 링 10에 연결되고, 공기 밀폐 연결이 넥 26, 링 10 사이에서 그리고, 넥 15 및 링 10 사이에서 제공된다. 그래서, 링 10은 외부 및 내부 성형체 20, 21 또는 그들로부터 형성된 컨테이너들 12, 35 사이 인터페이스 28 또는 공간의 상부 종단을 밀폐한다.
보여지는 실시예들에서, 링 10은 외부 성형체 및 내부 성형체 21의 개별적인 넥들 15, 26의 자유 종단들 30, 31 또는 컨테이너들 12, 35 상에 마운트된다. 자유 종단들 30, 31은 컨테이너 3의 바디 32로부터 원격의 측면의 개별적인 넥들 15, 26의 사이드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자유 종단들 30, 31은 제1 및 제2 세로 레벨들 A, B에서 위치한다. 각 레벨 A, B는 예를 들어, 세로축 X-X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으로 나타내어진다. 레벨 A, B는 일치할 수 있지만, 실시예에서, 외부 성형체 20 또는 외부 컨테이너 12의 자유 종단 30이 놓여진 레벨 A는 더 높은 세로 레벨 A에 위치한다. 즉, 더 높은 세로 레벨 A는 레벨 B보다 컨테이너의 바디 32로부터 추가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레벨 B에는 내부 성형체 21의 자유 종단 31 또는 컨테이너 35가 형성된다. 그래서, 위치하는 것은 백일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성형체 21은 외부 성형체 20의 세로 길이 X_2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세로 길이 X_1을 가질 수 있으며, 실질적인 개방 면적은 내부 성형체 20의 바닥 부분들 33A, 33B과 외부 성형체 21 사이에서 형성된다. 이것은 바닥이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넥 영역 아래에 있는 내부 컨테이너의 외부 세로 길이가 넥이 형성하는 부분 아래에 있는 외부 컨테이너의 내부 세로 길이보다 상당히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컨테이너 안으로 성형체들을 취입 몰딩하는 경우에, 외부 성형체 역시 늘어나기 이전에 내부 성형체 21은 우선 세로 방향으로 늘어날 것이다. 이것은 내부 컨테이너 35 도는 형성된 백의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 28의 벽 두께가 외부 컨테이너 12가 늘어날 때의 벽 두께보다 더 의미있게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것은 동일한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조차도, 형성된 내부 컨테이너 및 외부 컨테이너의 서로 다른 재료 특성들을 유도할 수 있다. 동일한 재료는 동일한 유형의 플라스틱으로서 적어도 이해될 수 있다. 물론, 그들이 다른 등급의 플라스틱들 또는 이 응용의 컨텍스트 내에서 적어도 동일한 것으로 고려되는 다른 혼합(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들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 퍼센트를 가지고 포함하는 경우에)의 플라스틱들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중량 비의 측면에서 10퍼센트 이내의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플라스틱은 그들이 동일한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그들이 서로 다른 그레이드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서로 동일한 플라스틱을 갖는다면, 중량비에 의한 차이의 양이 성형체들 또는 컨테이너들의 전체 중량의 10퍼센트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실시예들에서, 내부 및 외부 성형체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성형체들 및/또는 그들의 부분들 사이에서 릴리즈 에이전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제공될 수 있다. 실질적인 개방 영역은 아래와 같이 이해될 수 있다. 그 영역은 성형체들의 세로 길의 방향에서 사출 성형된 성형체들의 제조 허용치와 내부 성형체의 바닥 부분 33B에서 형성된 가능한 스터브 수용하기 위하여 엄격하게 필요한 정도보다 더 크다. 여기서, 스터브는 성형체의 사출 포인트가 상기 바닥 부분 33B에서 중심이 되도록 한다. 단지 예시적으로, (X2-X1)/X2는 0.1과 0.3 사이의 예시적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4D의 실시예들에서, 내부 및 외부 성형체 21, 20의 길이 X1, X2는 내부 성형체 21의 바닥 부분 33B가 가까이 하도록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외부 성형체 20의 바닥 33A와 물리적으로 가능한 만큼 가능한 가까이 하도록 선택된다. 이 선택을 위하여 내부 성형체 21의 사출 포인트로부터 야기되는 스터브를 수용하기 위한,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성형체들의 정렬과 성형체들의 정상적인 생산 관용치가 고려된다. 실시예들에서, 길이 X2와 X1에 있는 차이가 몇 밀리미터 정도 밖에 안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스핀 웰딩 공정 동안에 내부 성형체와 외부 성형체의 상대적인 회전을 수용하기 위해 충분하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기술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는 아니 되지만, 15 및 20 리터 사이의 음료를 위한 내부 부피를 갖는 BIC에 대하여, 약 250 밀리미터의 예시적인 외부 성형체 20의 전체 외부 길이에서 길이 X2 및 X1에 있어서의 차이는 5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밀리미터 이할 수 있다. 관계 (X2-X1)/X2는 예시적으로 약 0.05 또는 그 이하일 수 있으며, 0.1 이하가 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성형체들을 만듦으로써, 그들을 하나의 BIC로 함께 취입 볼링하는 동안의 성형체들 20, 21의 확장 비율은 더 잘 조절될 수 있고,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모두의 재료 특성들에 대하여 더 잘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컨테이너는 초과하여 확장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내부 컨테이너를 초과 확장하는 것은 그것의 강도에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고, 깨지기 수윈 내부 컨테이너를 만들어낼 수 있다. 외부 컨테이너는 과소 확장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컨테이너의 과소 확장(under stretch)은 그것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도의 불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컨테이너를 유도할 수 있고, 그것은 내부 컨테이너를 보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부 컨테이너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압박함으로써 내부 컨테이너를 짜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력 배럴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재료들과 특히, 취입 몰딩을 위한 처리 파라미터들은 아래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내부 컨테이너의 바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짜냄으로써 음료를 적절히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으로 그들 사이의 공간 32이 압박되는 경우에, 내부 컨테이너 35는 외부 컨테이너 12의 바디 13로부터 릴리즈될 것이고, 이를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들과 특히, 취입 몰딩을 위한 처리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것이다. 릴리즈 압력은 특히 가스(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이산화탄소 등)와 같은 플레듐의 압력과 내부 컨테이너 안쪽에서의 압력(예를 들면, 내부에 담아진 반드시 맥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산 음료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의 차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차이는 바림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작으며, 예를 들어, 약 1 Bar(1.10^5Pa)보다 작을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0.5 Bar (0.5.10^5 Pa) 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0.2 Bar (0.2.10^5Pa)보다 작을 수 있다. 낮은 릴리즈 압력은 공간 32 내에 있는, 그래서 BIC 내의 절대 압력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며, 이것은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에서의 압력은 4 barg이하로 유지될 수 있으며, 특히 3 barg (절대값)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및 내부 성형체들 20, 21 또는 컨테이너들 12, 35는 바디 32 내에서 임의의 실질적인 영역에 걸쳐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11, 15,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오프닝은 외부 컨테이너 12의 넥 15의 벽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오프닝들 22가 존재하며, 서로는 직격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오프닝 또는 오프닝들 22는 레벨 A와 레벨 B 사이에 있는 가로 레벨 C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테두리 14의 상위에, 외부 성형체 20 또는 컨테이너 12의 자유 종단 30의 하단에 위치한다.
실시예들에서, 자유 종단들 30, 31은 세로 길이 거리 W를 초과하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클로져 링 10은 더 상세하게는 11, 12, 14, 15, 15A, 18, 18A, 19A-D 및 20A-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의 오프닝 34를 포함한다. 중앙의 오프닝 34는 내부 성형체 21 또는 내부 컨테이너 35의 내부 부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하며, 클로져 링 10은 밸브 9를 홀딩하기 위하여 디자인된다. 클로져 링 10에는 외부 성형체 20의 자유 종단 30 또는 외부 컨테이너 12 상에 위치할 수 있는 제1 링 모양의 부분 또는 테두리 36인 외부에 마련될 수 있고, 중간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2 주변 링 모양의 테두리 또는 내부 성형체 21의 자유 종단 31 또는 내부 컨테이너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부분 37, 그리고,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제3 주변 링 모양의 테두리 도는 부분 38에 마련될 수도 있다. 외부 및 중간 부분 36, 37은 제1 주변 벽 39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1 주변 벽 39는 중간 부분 37의 외곽 엣지 43으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중간 부분 37 및 내부 부분 38은 제2 주변 벽 40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2 주변 벽 40은 중간 부분 37의 내부 엣지 44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부 부분 38의 내부 엣지 41로부터, 제3 주변 벽 42는 위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프닝 34를 적어도 밀폐하거나, 형성한다. 벽들 39, 40, 42는 실질적으로 동심원의 스커트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2 벽 40, 제3 벽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세로 축 X-X에 대해서도 평행한 반면에, 제1 벽은 상위 방향에서 약간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벽 39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성형체 20 또는 컨테이너 12의 넥의 내부 속 45과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연장되며, 외곽 엣지는 어깨 23, 26 위에서 위치하고, 자유 엣지 31과 어깨 26 사이의 넥 24의 넥 부분 24A는 상기 엣지 43 및 어깨 23 사이에서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에지 43과 근접한 제1 벽 39의 하위 종단에서, 갭은 벽 43과 내부 속 45 사이에서 제공된다. 제2 벽 40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성형체 21 또는 내부 컨테이너 35의 넥 24의 내부 속 46과 인접하게 연장된다. 클로져 링 10의 내부 부분 38은 어깨 23 및/또는 테두리 14의 세로 레벨에서 위치한다. 그래서, 내부 성형체 21 또는 컨테이너 35의 넥 24는 잘 밀폐된다. 제3 또는 내부 벽 42는 부분 38로부터 레벨 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 D로 상위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부분 37의 탑 표면 47 아래에로 연장된다. 링 10과 자유 종단 30, 31 사이의 컨택 표면은 임의의 적절한 모양과 배치(configuration)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링 10은 기계적인 또는 물리적인 수단에 의하여 성형체들과 연결될 수 있고, 그 예들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팅을 가하는 것, 나사들을 박는 것, 총검 커플링을 하는 것, 접착, 웰딩, 오버 몰딩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히 웰딩이 개시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스핀 웰딩이 예시적으로 개시된다. 언급된 연결 테크닉들의 조합들 또한 가능하다. 아래에서 언급되는 배치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스핀 웰딩과 같은 웰딩의 장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4C, 14D 및 15D,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서, 링 10은 외부 컨테이너의 넥 부분 내에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마운트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링 10에는 모서리 36 또는 외부 컨테이너의 넥의 탑에서 받쳐지기 위한 적어도 모서리와 같은 것이 마련되지 않으며, 다만, 외부 성형체 20의 넥의 내부 부분과 결합되거나 그 내부 부분으로 강제되는 스핀 웰딩 동안에는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링 10 및 성형체들 혹은 컨테이너들의 자유 종단 30, 31은 미로(labyrinth) 32A 타입의 연결을 형성하고, 이것은 스핀 웰딩 또는 다른 방식의 부분들을 연결 과정 동안에 플라스틱으로부터 발생하는 잔해가 공간으로 또는 내부 성형체 또는 내부 컨테이너 35의 내부 부피 48로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부 성형체 21 및/또는 내부 컨테이너의 자유 엣지 31에는 고리 모양의 홈 49가 마련되고, 그것은 내부 벽 부분 49A와 외부 벽 부분 49B 사이에 마련되고, 바디 32로부터 떨어져서 상위 방향으로 개방한다. 중간 부분 38로부터 스커트 50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의 스커트는 홈 49로 연장된다. 홈 49는 바람직하게는 스커트 50의 높이 51보다 다소 깊을 수 있는 반면에, 그것의 높이 51의 부분을 적어도 초과하여 스커트는 홈 49보다 약간 넓을 수 있다. 도 15에서, 홈의 탑 우수(오른 손) 코너에서 재료들을 오버랩핑하는 것이 보여지며, 홈은 스핀 웰딩 동안에 링 10과 내부 성형체 21 또는 컨테이너 35를 병합하는 데에 사용된다. 외부 성형체 20 및/또는 외부 컨테이너 35의 자유 종단 30은 추가적인 고리 모양의 또는 주변의 스커트 52와 함께 제공되는 반면에, 링의 외부 부분 37에는 자유 엣지 30의 사이드 속(facing)에서 고리 모양의 홈 53이 마련된다. 홈 53의 깊이는 자유 종단 30의 상위에 있는 스커트 53의 높이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웰딩하는 동안에, 링 10 및/또는 성형체 20, 21 또는 컨테이너 12, 35로부터 개별적으로 릴리즈되는 임의의 재료는 홈 49, 53 내에서 적어도 크게 연장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4C, 14D, 15A, 18A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제2 미로 32B 타입의 연결은 내부 및 외부 성형체 21, 20와 링 사이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 컨테이너 21의 홈 49의 외부 벽 부분 49B(외부 방향으로 경사진 주변 립 부분 49C를 형성하는)은 내부 벽 49A에 대해 상대적으로 윗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연장하고, 립 부분 49C의 자유 엣지 49D는 내부 성형체 또는 외부 성형체의 넥의 내부 표면 45와 연결되거나 근접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유 종단 30, 31을 향하여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22의 사이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22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링 10을 예를 들어, 스핀 웰딩 또는 링에서 현존하는 다른 방식 등에 의하여 특히 외부 성형체로 연결하는 동안에 잔해가 형성하는 것은 립 부분 49C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트랩핑될 것이며, 이것은 공간 32으로 잔해 들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클로져 링 10에 대한 실시예에서, 제2 벽 40에는 스핀 웰딩 동안에 링 1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 엘리먼트들 54이 마련되며, 링과 성형체들 20, 21 및/또는 컨테이너들 12, 35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로 축 X-X 주변을 특정 스피드 및 압력으로 회전한다. 링 10과 성형체 20, 21 및/또는 컨테이너들 12, 35의 재료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녹으면서 병합되고, 가스 및 액체 밀폐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는 도 18의 단면도에서 특히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스핀 웰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이고, 그래서 보다 자세하게는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결속 엘리먼트들 54는 이빨로 보여지며, 클로져 링 10의 쉽고 확고한 그립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의 방법에 대한 실시예에서, 성형체들 20, 21과 링 10은 취입 몰딩하기 전에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그들은 성형체들의 사출 성형과 채우는 스테이션으로의 이동 이후에, 직접적 또는 단기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거기서, 그들은 음료로 컨테이너를 채우기에 앞서 직접적으로 컨테이너로 취입 몰딩될 수 있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성형체 및 링 10은 링이 두 개의 성형체 20, 21과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적어도 그 들 중 어느 하나가 아닌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 성형체는 컨테이너를 취입 성형을 하기 전에 직접적으로 외부 성형체로 삽입될 수 있고, 취입 몰딩 장치 및 컨테이너로 음료를 채우기 위하여 채우는 시스템과 정렬되거나 전형적으로 가까이 될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릴리즈 에이전트가 내부 성형체 및 외부 성형체 사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에서의 적어도 부분적인 접착을 방지하는 데에 장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릴리즈 에이전트는 취입 성형을 하기에 앞에서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여기서, 취입 성형은 릴리즈 에이전트의 비정상적인 기능과 불균등한 분포를 유도할 수 있는 릴리즈 에이전트가 실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릴리즈 에이전트(그것 내부는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임)는 예를 들어, (딥: dip) 코팅 도는 스프레잉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예를 들어, 실리콘 기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링은 예를 들어, 릴리즈 에이전트를 적용한 이후에 먼저 내부 성형체로 그리고, 외부 성형체로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링 10은 성형체들의 세트로부터 컨테이너를 취입 몰딩한 이후에만 외부 성형체들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내부 성형체는 외부 성형체로부터 취입 몰딩된 컨테이너로 취입 몰딩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성형체들을 컨테이너로 취입 몰딩하기에 앞서, 내부 및 외부 성형체들을 직접적으로 어셈블링하는 경우에, 장점은 다음과 같다. 성형체들, 특히 내부 성형체는 외부 성형체로 내부 성형체를 삽입하기에 앞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것은 추가적으로 성형체들의 정확한 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컨테이너 3의 취입 몰딩 동안에, 취입 몰딩 장치의 도구(예를 들면, 스트레치 로드(rod), 가열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는 링 10(이전에 마련되었다면) 내에 있는 오프닝 34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성형체들의 내부 부피의 압력 릴리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툴을 지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 15, 18의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프닝 또는 오프닝들 22는 레벨 B의 바로 위 레벨에서 넥들 15, 24 사이에 있는 인터페이스 28 또는 공간으로 개방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러한 오프닝 22을 통하여, 벽 39 및/또는 립 부분 49C(적용 가능하다면), 보여질 수 있다. 오프팅을 관통하여 또는 오프닝으로 주입되는 공기와 같은 임의의 가스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상기 벽 위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바디 32를 향하여 아래로 강제될 것이다. 넥 영역 2에 있는 각 오프닝을 제공함에 의하여, 컨테이너 3의 취입 몰딩 동안에, 오프닝 또는 오프닝들 22는 변형되거나 변위되지 않을 것이며, 왜냐 하면, 넥 영역 2는 취입 몰딩 동안에 변형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 11의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에어로졸 밸트 타입의 밸브와 같은 밸브 9는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고, 예를 들면, WO00/35803 또는 EP1506129에 묘사된 바와 같다. 밸브 9는 클린치 플레이트 55에 마운트되며, 예를 들면,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이 재료 도는 플라스틱은 내부 벽 42의 상위 종단 56으로 클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9는 암컷 유형의 에어로졸 타입의 밸브이다. 자명하게도, 이러한 다른 밸브들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수컷 에어로졸 밸브 및/또는 틸팅 에어로졸 밸브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연결 장치 또는 커넥터 또는 디스펜스 어댑터에 의하여 개발되기 위한, 그리고 디스펜스 오프닝을 닫기 위해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밸브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9는 클로져 링 10의 외부 부분의 레벨 47 아래에서 연장되고, 밸브 9는 잘 보호될 것이다. 클린치 플레이트 55와 함께 밸브 9는 오프닝 34를 다고, 그래서 내부 컨테이너 35의 내부 볼륨을 닫는다. 도 4, 5, 7,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밸브 9는 딥 튜브 108와 연결된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딥 튜브 108는 생략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탑에 있는 밸브 9(내부 컨테이너의 헤드 공간은 최초에 밸브 9를 개방하는 것, 컨테이너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존하여 즉시적으로 제거되거나 비어질 것이다), 그것의 바닥에서 지지하는 컨테이너가 사용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태핑 동작과 음료의 퀄리를 개선하는 충분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내부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남아 있는 볼륨(부피)가 음료로 채워질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밸브 9의 밸브 바디 130은 하우징 132 내에 동봉된 스프링에 의하여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밸브들로부터 잘 알려진 방식으로 바이어스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플로우를 과도하지 않게 제한하기 위하여 상대적을 큰 측면 오프닝들 133이 마련된다.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4는 오프닝 60을 포함하며, 그것은 유닛 4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유닛 4는 컨테이너 3의 넥 영역 2의 위에 위치한다. 오프닝 60은 넥 영역, (특히 상기 오프닝 60에 대하여 넥 15가 상대적으로 아늑하게)이 터두리 14까지 닿도록(예를 들어,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멘젼될 수(그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0A는 가스 연결 유닛 4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조립도를 보여준다. 유닛 4는 제1 파트 61 또는 하우징, 동작하는 링 62로 언급될 수 있는 제2 파트 6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61은 제2 파트 62를 밀폐할 수 있고, 스크류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는 탑 부분 61A과 바닥 부분 61B를 포함한다. 스크류들 63은 도면에서 보여진다. 제2 파트 62는 실질적으로 링 모양의 벽 64를 가지며, 링 모양의 벽 64은 오프닝 60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는 그 부분의 주변을 연장하는 중심 오프닝 65을 정의한다. 두 개의 날개들 66은 링 모양의 벽 64의 반대편 사이드들로부터 연장된다. 벽 64의 표면(facing side) 안쪽에서는 리세스들 67이 마련되어서 아래로부터 커플링 엘리먼트들 16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의 하위 파트 61A는 리세스들 67을 이용하여 리세스들 67의 안 또는 밖으로 정렬되는 경우에, 커플링 엘리먼트들 16이 통과할 수 있는 상보적인 리세스들 69을 갖는 주변 엣지 68을 포함한다. 제2 파트 62는 제1 파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리세스들 67 및 69는 정렬이 될 수 있거나 안될 수 있도록 하며, 정렬된 경우에, 유닛 4는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거나 컨테이너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반면에 정렬이 안된 경우에, 유닛 4의 위치는 컨테이너 상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적어도 그러한 곳에 위치하는 것 또는 그 유닛을 제거하는 것은 금지된다. 실시예에서, 상대적인 이동은 세로 축 X-X 주변 또는 오프닝 60의 세로 축 Y-Y 주변의 회전이며, 그 유닛이 컨테이너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세로 축 Y-Y 주변의 회전은 축 X-X와 일치할 수 있다.
도면들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제1 파트 61은 제공되어서, 제2 파트 62가 각도를 넘어서 제1 파트 61 안에서 상기 축 Y-Y 주변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각도를 넘는 것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트랜스레이션 또는 다른 회전들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엣지 68에 의한 것이다.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리세스들 67 내에서 유닛 4를 컨테이너 3에 위치시킴으로써, 제2 파트가 커플링 엘리먼트들 16과 리세스들 67을 결속함에 의하여 축 X-X 주변을 회전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그래서, 제1 파트의 회전은 축 X-X 주변의 컨테이너 3과 제2 파트 62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유도하며, 에지 68에 의하여 리세스들 67 내에서 커플링 엘리먼트들 16을 록킹하는 것을 유도할 것이다. 상기 엣지 68은 커플링 엘리먼트들의 하위 사이들을 결속할 수 있다. 동등하지 않은 주변의 스페이싱에서 엘리먼트들 16을 포지셔닝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상의 상기 유닛의 위치는 정의되거나 적어도 오리지 제한되고, 잘 정의된 개수의 위치들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네 개의 커플링 엘리먼트들(쌍으로 위치하고 있는)이 존재하며, 그 유닛의 두 개의 위치들이 가능하며, 이 둘은 180도를 넘는 오리엔테이션에서 차이를 갖는다. 자명하게도, 엘리먼트들 16을 위치시키는 것은 가능하며, 단지 하나의 위치가 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네 개도 가능할 수도 있다. 오프닝 또는 오프닝들 22는 두 개의 인접한 커플링 엘리먼트들 16 사이에서 위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인접한 엘리먼트들 16이 그 엘리먼트들 16의 다른 쌍 또는 다음 커플링 엘리먼트 16에서 보다 서로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연관된 리세스들 67 사이에 있는 벽 64에서, 오프닝 69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날개들 66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제공된다. 연결 엘리먼트 70은 오프닝 69(예를 들어, 도 10의 왼손 쪽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집어 넣어진 위치와 앞쪽 또는 연장된 위치 사이에 있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사이에서 연결 엘리먼트 70은 오프닝 70으로부터 오프닝 60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앞쪽 종단 71은 오프닝 22에서 컨테이너 3의 넥 12을 결속하도록 하고, 가스가 외부 컨테이너 12 안에 있는 내부 컨테이너 35를 압축하기 위하여 연결 엘리먼트 70을 관통하여 스페이스 28 안으로 그리고, 오프닝 22을 관통하여 스페이스 28으로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메커니즘 72는 확장된 위치 및 집어들어간 위치와 그 역 사이의 연결 엘리먼트 70의 이동을 강요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메커니즘 72는 예를 들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기학상으로 압력 가스 소스로부터 압력 가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또는 거기로부터 분리된 압력 가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커플링 엘리먼트들 16 상으로 유닛 4를 록킹하는 것으로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의 왼손 쪽에 예시적으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메커니즘 72는 기계적이고, 제2 파트 6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닛의 제1 파트의 회전에 의하여 동작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엘리먼트 70은 날개의 가이드들 74를 이용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바디 73를 포함하며, 여기서 바디 73은 방사상 인렛 76으로부터 전진 종단 77으로 연장되는 채널 75를 갖는 엘리먼트 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진 종단 77은 개방되고, 바람직하게는 오프닝 22 주변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영역 79을 종단적으로(sealingly) 결속하기 위한 실링 링 78에 의하여 둘러 쌓인다. 스프링 엘리먼트 90은 확장된 위치를 향하는 엘리먼트를 바이어싱하기 위하여 엘리먼트 70의 종단과 바디 73 사이서 제공될 수 있다. 방사상의 인렛 76은 연결 엘리먼트가 연장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가스 인렛 라인과 연결되며, 반면에, 방사상의 인렛은 엘리먼트 70이 집어들어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스 인렛 라인으로부터 고립된다. 바디 73에는 그것의 측면에 이빨 80이 마련되고, 하우징 61 내에서 날개 66 상에서 중심적으로 지지되는 팔(arm) 82의 상보적인 이빨 81에 의하여 결속된다. 이빨 81의 반대편에 있는 팔 32의 종단 83에서, 스프링 엘리먼트 84는 상기 팔 82과 결속하는 위치에서 이빨 80, 81을 바이어싱 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 있는 방향 U로 제2 파트에 대하여 상대적인 제1 파트 61의 회전에 따라, 팔 82는 피봇팅될 것이며, 이빨 80, 81은 방향 R로 연결 엘리먼트 70의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바디 73을 밀어낼 것이다. 그래서, 유닛 4는 컨테이너 3의 넥 영역 2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파트 61은 컨테이너 3에서 유닛 4를 록킹하기 위하여 회전되며, 메커니즘 72는 연결 엘리먼트 70을 오프닝 22 주변의 영역을 갖는 실링 결속에서, 그리고 오프닝 22와 맞닿는 유체에서 밖으로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강제할 것이다. 오프닝 22과 맞닿는 유체라는 것은 유체적으로 가스 공급과 오프닝 22 및 공간 28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면에, 하우징 61이 반대 방향으로 돌아간 경우, 연결 엘리먼트 70은 집어들어갈 것이며, 유닛 4는 컨테이너 3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하여 해제될 것이다.
도 1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들 66에서, 인디케이터 엘리먼트 91은 제공될 수 있으며, 상위 하우징 파트 61A의 윈도우 93을 관통하여 보여진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엘리먼트 91은 유닛 4가 컨테이너 상으로 록킹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유닛 4에는 오프닝 22로 가스 공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엘리먼트만이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예서, 컨테이너에는 바람직하게는 오프닝 22만이 마련되며, 또한 유닛에는 그러한 각각 추가적인 오프닝 22을 밀봉하기 위한 실링 엘러먼트가 마련된다.
도 10 및 10A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연결 엘리먼트 80의 반대쪽에는 압력 릴리즈 감시 109가 제공되고, 이것은 연결 엘리먼트 70의 메커니즘 72과 유사한 디자인의 메커니즘 94을 가질 수 있다. 도 10과 10A는 오프닝 60의 오른손 사이드에서 그러한 것을 보여준다. 바디 74A가 다시 제공되며, 그것은 날개 6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이며, 여기서, 팔 82A와 이빨 81A는 다시 바디 74A 상에 있는 이빨 80을 결속한다. 제2 파트 62에 대하여 상대적인 하우징 61의 회전에 따라, 바디는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방향 R로 이동한다. 바디 74A에서, 채널 75A를 갖는 연결 엘리먼트 70A가 제공되며, 그것은 스프링 90A에 의하여 바이어스되고, 자유 전잔 종단 77A에서 실링 링을 가지며, 따라서 공간 28로 가스를 허용하기 위한 앞에서 언급된 오프닝의 반대편에 있는 오프닝 22 주변의 영역을 결속하게 된다. 채널 75A는 방사상의 배기 오프닝 76A을 포함하고, 방사상 배기 오프닝 75A는 이러한 케이스에서 압력 해제 밸브 시스템 95로 연결되며, 특히 엘리먼트 70A가 오프닝 22를 결속하는 전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연결된다. 압력 해제 밸브는 원하는 안전 압력에서 음료를 디스펜싱하는 경우에, 내부 컨테이너 35를 압축하기 위하여 원하거나 요구되는 압력보다 충분히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컨테이너 3에서 허용할 수 있는 안전 최대 압력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안전 압력은 예를 들어, 5 Bar (절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 Bar (절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Bar (절대값) 이상의 압력에서 해제될 수 있다(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압력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은 밸브 시스템 95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이 개방된 경우에만 설정가능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설정이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아예 설정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별한 툴을 갖는 유닛을 닫거나, 밀봉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조치함으로써 금지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해제 압력은 컨스트럭션에 의하여 정해지며, 연결 장치의 제조 이후에 셋팅이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0B 및 10C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 또는 유닛 4는 도 10, 10A에서 보여지는 것과는 다르며, 도 10의 왼손쪽에 보여지는 연결 엘리먼트 70은 가스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반면에, 다른 연결 엘리먼트 70A는 '블라인드'되며, 이것은 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컨테이너 내의 오프닝 22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나, 가스는 연결 엘리먼트 70A를 통과할 수 없고, 따라서, 이러한 엘리먼트는 기능적으로 그것이 연결하고 있는 오프닝 22을 밀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채널 75A가 이 종단으로 클로즈하고, 방사상의 배기 오프닝 76A가 클로즈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스 라인 6과 연결 엘리먼트 70 사이의 압력 해제 감시 109A는 인라인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감시 109A는 가스 라인 6과 연결되고 주변 환경으로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11이 마련된 제1 하우징 파트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파트 112는 연결 엘리먼트로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렉서블한 배관 1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1 및 제2 하우징 파트 110, 112는 서로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내에 제1 하우징 파트 110의 인렛 오프닝 116에 대하여 헤드 119를 가지고 밸브 바디 115를 강제하는 스프링 114를 내장한다. 밸브 바디는 워시어 118 또는 그러한 실(seal)을 관통하여 스템 117을 가지고 연장한단다. 밸브 바디를 관통하여 채널 120은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을 가지고 연장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헤드 119는 하우징 파트 110의 내부에 대하여 강제되고, 채널 120의 인렛 사이드는 가스 인렛과 맞닿는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11은 헤드 119에 의하여 가스 채널 6로부터 차단된다. 가스는 가스 라인 6으로부터 공간 32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채널 120을 관통하여 그리고, 배관 113을 관통하여 연결 엘리먼트 70으로 흐른다. 그러나, 가스 라인 6에서의 가스 압력이 너무 높다면(그것이 설정된 제한보다 높다면), 밸브 바디 115는 스프링 114에 대하여 뒤로 밀려질 것이며, 헤드 119를 제1 하우징 파트 110의 가스 인렛으로부터 멀어지게 강요할 것이며, 가스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11을 통하여 달아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오프닝들은 주변 환경으로의 흐름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된다 압력이 설정된 제한보다 밑으로 떨어진다면, 밸브 바디는 가스 라인 6과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11 사이가 다시 맞닿도록 하는 원래의 위치를 회복할 것이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밸브 바디와 하우징 110, 112는 가스 공급 라인 6을 통하여 상한 압력 이상의 가스 공급의 압력이 증가함에 의존하여, 밸브 바디가 가스 라인 6을 잠금으로써 오프닝 22으로의 가스 공급을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가스 공급 라인의 파열 또는 느슨함(loose)를 유도할 수 있으며, 그러나, 컨테이너 안으로 여전히 가스가 흐르는 것에 대한 리스크를 방지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해제 커넥터는 가스 공급 라인 6에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엘리먼트가 이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된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그러나, 클로즈 오프(잠금) 또는 블라인드와 같은 동작을 제외하고 연결 장치를 채우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7 및 17A에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가 통합적으로 취입 몰딩되는 것으로부터 점선들로 된 성형체 20, 21에 대한 측면도로 보여진다. 도 17에서, 컨테이너의 바닥은 꽃잎 모양을 가지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이다. 도 17A의 실시예에서, 바닥은 반구형이다. 특히, 도 17A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박스와 같은 외부의 패키지에 패키지될 수 있고, 그 박스는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및/또는 이동, 저장, 디스펜싱 및 다른 사용 중에 컨테이너의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카드 보드, 파이버 보드, 플라스특 또는 우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과 10A에 예시적으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유닛의 실시예에 있어서, 컨테이너 3에 상대적인 하우징 61의 회전은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방향 R(실질적으로 세로 축 X-X와 수직인)로 엘리먼트들 70, 70A를 이동하게 하는 것을 강제한다. 여기서, 이것은 안전한 이동, 실링을 제공하고, 마모를 방지하며, 용이한 조작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용이한 조작을 허용하는 것은 넥과 연결 장치의 디멘젼과 사이즈들의 허용처에 관한 조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3-5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밸브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로져 링 10으로 커넥터 7를 피팅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제3 벽 43 및/그리고 클린치 플레이트 55로 피팅함으로써 가능하다. 그 종단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7은 실질적으로 벽 43에 대하여 상기 엣지 102 아래에서 스냅하고, 클린치 플레이트 55의 외부 엣지 위에서 스냅이 피팅하는 것과 같이 피팅하는 가장 자리 부분 101을 갖는 돔 모양의 하우징 10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스냅 핏은 커넥터 6에 대한 손상, 클린치 플레이트 55에 대한 손상 없이는 돔과 커넥터가 한 번 피팅될 때 제거될 수 없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대로 커넥터 7을 동일한 또는 다른 컨테이너 3으로 재피팅하는 것이 금지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 7은 밸브 9를 결속하는 스템 103을 포함하며, 밸브 9는 개방되고, 음료는 내부 컨테이너 35로부터 밸브를 관통하여 스템 103으로 흐를 수 있고, 추가적으로 그것과 연결된 디스펜싱을 위한 탭으로 공급되는 태핑 라인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 7을 컨테이너 3과 제대로 피팅함으로써(특히, 밸브 9 위에서), 밸브는 개방되고,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으로 개방 또는 닫혀지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는 컨테이너 3 위에서 유닛 4를 위치시키기 전에 피팅될 수 있고, 유닛 4를 위치시킨 후에 피팅될 수도 있다. 커넥터 7은 오프닝 60 안쪽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반면에, 태핑 라인은 오프닝 60으로부터 또는 그것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위 하우징 파트 61A에는 태핑 라인을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엣지 10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11은 유닛 4와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상위 하우징 파트 61A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크류 나사들, 총검 결속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2, 9, 10Ad에서, 도시적으로 협업하는 엘리먼트들 105A, B가 보여진다. 도 8에서, 엘리먼트들 105A가 보여지며, 엘리먼트들 105B 아래에서 록킹된다. 축 Y-Y 주변의 커넥터 11의 회전의 의하여, 그것은 이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고, 릴리즈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시 스템 103A가 마련되며, 그것은 오프닝 60의 세로 축 Y-Y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스템 103A는 밸브 상에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동작하며, 커넥터 11와 연결된 태핑 라인으로 내부 컨테이너 35의 내부 볼륨으로부터 지나가는 음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동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태핑 라인은 예를 들어, 인라인 쿨러 106을 갖는 태핑 장치의 일부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리턴 밸브 107은 스템 103A와 태핑 라인 사이에 있는 커넥터 11에서 보여지며, 액체 또는 가스가 태핑 라인으로부터 스템으로 플로우 백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유닛이 컨테이너 상에 위치한 이후에 또는 이전에, 커넥터 11이 유닛 4에 위치할 수 있고, 유닛이 컨테이너 3으로부터 제거된 이후에 또는 이전에 커넥터 11은 유닛 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커넥터 7, 11의 플레이스먼트 또는 제거가 있는 경우에 또는 컨테이너, 커넥터로부터 또는 컨테이너, 커텍터 상에서 장치의 제거 및 플레이싱 과정으로부터 적어도 독립적인 경우에, 특히 커넥터 11은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압축 해제 없이 클리닝을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4, 5, 7 및 8에서, 연결 엘리먼트들은 명확성을 위하여 집어 들어간 위치에서 보여진다. 연결 장치가 적절히 위치하고 회전하는 경우에(설명되는 것처럼), 그들은 넥과의 밀접한 연결을 야기할 수 있으며, 전에 묘사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22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성형체 20은 세로 축 X-X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을 가지며, 그것은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에 의하여 바닥에서 클로즈 오프된다. 원통형 부분은 최대 단면 또는 최대 직경 Db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14와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 사이에서 그것의 원통 길이 Lb를 초과하여 상수 외부 직경 유를 가질 수 있고,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은 사출 성형 몰드로부터의 해제를 위하여 적합하게 상기 길이 Lb를 초과하는 드래프트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는 알려져 있다. 최대 직경 유는 바람직하게는 도 14의 그것보다 작을 수 있다. 넥 부분 또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의 세로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세로 축 X-X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도 있다. 넥 영역의 실질적인 원통형 파트는 평균 외부 직경 Dn(out)을 가지며, 그것은 최대 직경 Db보다 크다. 실시예에 있어서, 넥 부분은 모서리 14 위에서 실질적인 상수 최대 직경 Dn(out)을 갖는다. 외부 성형체 20의 넥 영역의 벽 두께는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의 적어도 최대값보다는 약간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의 내부 표면 45는 상기 성형체 20의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성형체 20의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또한 단지 약간 안쪽으로 위치하며, 내부 컨테이너가 지지될 수 있는 어깨를 위하여 제공한다. 외부 성형체 20의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의 내부 표면은 모서리 14와 직접적으로 인접한 부분 위에서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어진다. 경사면을 포함하는 벽 파트는 취입 성형 동안에 외부 컨테이너의 어깨의 적어도 최대값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사면 및/또는 내부 컨테이너 스페이싱 엘리먼트들과 인접한 페이싱하는 표면 부분 및/또는 채널이 형성하는 부분들은 제공되며, 성형체들로부터 컨테이너를 취입 몰딩하는 동안에 그리고, 그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게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컨테이너의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들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간 22으로부터 가스가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외부 성형체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몰드에 있는 움직일 수 있는 부분들이 얽히는 것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과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성형체들의 세로 축 X-X와 평행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사출 형성 몰드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커플링 엘리먼트들 16은 적어도 하나의 오프팅의 릴리즈 방향과 평행한 몰드 내의 릴리즈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튜브로된 엘리먼트 16와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동일한 몰드 파트에 의하여 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D에서, 성형체 어셈블리 19의 실시예가 다시 보여지며, 도 19C에 있는 라인 A-A를 따르는 중간 단면의 평면을 통하여 세로 섹션에, 도 19A에 있는 어셈블링 조건과 도 19B에 있는 프리어셈빌링 조건 둘 다에서, 도 19C에서, 도 19A에 있는 라인 B-B를 따른 단면에서 성형체 어셈블리 19의 실시예가 보여진다. 도 19D는 도 19C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20A 내지 D에서, 성형체 어셈블리 20의 실시예가 다시 보여지며, 도 20C에 있는 라인 A-A를 따르는 중간 단면의 평면을 통하여 세로 섹션에, 도 20A에 있는 어셈블링 조건과 도 20B에 있는 프리어셈빌링 조건 둘 다에서, 도 20C에서, 도 20A에 있는 라인 B-B를 따른 단면에서 성형체 어셈블리 20의 실시예가 보여진다. 도 20D는 도 20C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성형체 어셈블리들은 예를 들어, 도 14에 따른 어셈블리와 유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단지 몇 가지 구체적인 사항만 언급되지만, 성형체 어셈블리 19, 클로져 링 10을 포함하는 그들의 부분들에 대한 앞선 서술들에 추가적으로 몇몇 기술이 추가될 것이다.
도 19B는 외부 성형체 20, 내부 성형체 21 및 클로져 링 10을 나타내며, 어셈블링을 위하여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B에서 내부 성형체 21의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123은 단지 부분적으로 잘려나갈 수 있고, 컨 스루 122와 스페이싱 엘리먼트들 및/또는 채널이 형성하는 부분들 122A는 쉽게 측면도에서 보여질 수 있다. 어깨 26을 갖는 넥 영역 24이 보여지며, 그것은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 25보다 더 넓은 것이다.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123은 약간 frusto한 원뿔 모양이며,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 25로부터 넥 영역 24까지 넓어진다. 넥 영역 24의 외부 주변(periphery)의 적어도 하나에서, 두 개의 직경적으로 반대되는 컷 아웃들 22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넥 영역 24를 관통하여 제공되며, 주변 영역을 개방한다. 컷 아웃 122 직접적인 아래에서 내부 성형체 21의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123의 외부 표면에서, 스페이서 엘리먼트들 27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채널 122A를 밀봉하는 두 개의 인접한 골(rib) 122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채널 122A는 컷 아웃 12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디가 형성하는 부분 25의 사이드에서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123의 종단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어셈블리로부터 컨테이너를 취입 몰딩하는 경우에, 외부 성형체 20은 내부 컨테이너의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123의 외부 표면을 완전히 결속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며, 그래서, 형성된 내부 컨테이너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압력 플레듐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두 개의 직경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컷 스루들 122과 인접한 채널들 122A를 제공함으로써, 스페이서 엘리먼트 27은 몰드 부분들이 두 개의 반대편 사이드들로 몰딩하는 것을 상대적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어셈블링되는 경우에, 도 19A,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성형체의 외부 표면과 외부 성형체의 내부 표면은 최대로 떨어질 것이며, 그 거리는 립(rib) 122B의 방사상 높이와 거의 유사한 거리를 초과할 것이다. 립 122B들은 상대적으로 서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것이고, 채널 122A는 개방된 채로 유지되고, 컨테이너를 취입 몰딩한 이후에 조차도 개방된 채로 유지된다.
성형체들 20, 21을 어셈블링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컷 스루들 122와 인접한 채널들 122A는 포지션되어서, 오프닝들 22이 인접한 컷 스루들 122을 개방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가 지지될 수 있는 곳의 어깨 23은 계단식 표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오프닝 22로부터 진행하는 압력 플루드를 허용하기 위한 어깨들 사이의 언제나 충분한 오프닝들, 채널 또는 채널들 122A로의 오프닝들 22 및 내부 성형체와 외부 성형체 사이의 공간으로의 오프닝들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 성형체의 길이 X1은 외부 성형체 20의 길이 X2보다 상당히 작으며, 이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고, 그 이유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20에서, 성형체 어셈블리의 대체적인 실시예가 보여지며, 도 20B의 프리 어셈블링과 도 20A의 어셈블링된 조건 둘 다가 보여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페싱 엘리먼트들 7이 우선적으로 외부 성형체 2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고, 그것의 어깨를 형성하는 부분 23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도 19를 참고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엘리먼트 7은 인접한 립 122B 사이에서 채널들 122A로서 형성될 수 있고, 그 채널들은 어깨 23의 계단식 표면 7b의 낮은 부분들에서 오픈하고, 그 어깨 23은 내부 성형체의 어깨 26이 지지할 수 있는 곳에 놓여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가지 채널들 122A가 존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 예를 들어,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23의 내부 표면의 주변 주위에 배치된 6개일 수 있다.
채널들 122A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오프닝 또는 오프닝들 22로부터터 흐르는 압력 매개를 허용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고, 취입 몰딩 이후에 내부 컨테이너와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의 정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더 잘 보장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채널들은 취입 몰등 과 동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잘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성형체 20 위에 포지셔닝하는 것 때문이다. 취입 몰딩 동안에, 내부 성형체는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고, 그들이 내부 성형체 위에서 제공된다면, 채널들에게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내부 성형체는 취입 몰딩 동안에 더 액체화될 것이고, 이것은 남아 있는 채널들의 모양, 립들의 모양에 대한 정확성을 낮출 것이다. 특히, 취입 몰딩 과정 동안에,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해진 압력은 안쪽으로부터 바끝으로 나갈 것이고, 이것은 내부 성형체가 외부 성형체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밀어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 성형체에 있는 립들과 채널들을 제공하는 것은 립들과 채널들의 제대로된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줄 것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립들 122B의 높이 H는 넥 영역 및/또는 성형체들의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23에 있는, 성형체들 20, 21 시에의 방사상의 거리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밀리미터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 X1과 X2는 가능하다면, 유사하고,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 또는 유사한 이유에서다.
자명하게도, 엘리먼트들 7의 배치(configuration) 및/또는 도 20의 넥 영역 배치는 도 19 또는 그 역에 따른 성형체들의 세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4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엘리먼트들 및/또는 채널이 형성하는 부분들 122를 스페이싱하는 것은 적어도 외부 성형체 20의 내부 표면에서 주요하게 형성되고,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또는 영역 123에서 적어도 형성된다. 이것은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는데,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외부 성형체의 벽 두께가 커질 수 있으며, 취입 몰딩 동안에 외부 성형체에의 변형이 덜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또는 영역 123에서의 변형이 덜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채널이 형성하는 부분들 122 및/또는 엘리먼트들을 스페이싱하는 모양 및 규격은 쉽게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어깨가 형성하는 부분 123이 개방 상위 종단 30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우에, 이러한 엘리먼트들 및/또는 채널이 형성하는 부분들 122을 스페이싱하는 것은 사출 성형 몰드의 코어를 릴리즈함에 의하여 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충분한 드래프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외부 성형체에서 그들을 제공함에 의하여, 형성된 컨테이너 내에서의 스트레스가 작아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스 또는 그러한 압력 풀루드는 컨테이너의 넥 영역의 실질적인 방사상 방향 A_in으로 유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넥의 축 X-X에 대한 상대적인 각도 α가 적용될 수 있고, 이 각 α는 바람직하게는 30도와 150도 사이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5도와 135도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90도일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을 통하여, 어셈블리의 안정성은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스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은 연결 장치가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한 방향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방향성은 가스가 컨테이너들 사이의 공간으로 가스에 대한 통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것이다. 게다가, 넥 영역의 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제공함에 의하여, 가스 인렛은 음료 디스펜스 라인의 위치 또는 튜브의 위치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그들의 제거에도 방해를 주지 않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방향에 있는 연장된 위치 및 집어 넣어진 위치 사이의 연결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들을 이동함으로써, 엘리먼트들의 마모가 방지되고, 따라서 안전성이 증가한다. 초과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컨테이너에 초과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의 안전성은 쉽게 회피되고 해결될 수 있다. 링의 벽 부분과 대면하는 레벨로 적어도 하나의 인렛 오프닝 22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내부 컨테이너 21의 자유 종단 위의 레벨로), 오프닝 22 및 컨테이너들 사이의 공간 32 사이의 가스 경로는 방해받지 않으며, 이것이 추가적으로 보증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가 흐르는 lip 부분 49C을 갖는 것은 공간 32를 향한 립 부분의 경사면에 의하여 지정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이 가해진 가스의 소스는 에어를 위한 컴프레서일 수도 있고, 적어도 컴프레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컴프레서의 방향은 리버시블(역전 가능한)한 것일 수 있으며, 내부 컨테이너가 원하는 내용물로 비어지는 경우에, 그 공기는 여전히 닫혀 있는 밸브 9를 이용하여 관계된 오프닝 22를 통하여 스페이스 28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 9는 컨테이너의 볼륨을 줄이는 것을 유도할 수 있으며, 왜냐 하면, 외부 컨테이너 12는 그 내에 압력 감소에 의하여 압축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폐기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볼륨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개시되고 논의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많은 변화들이 가능하고, 실시예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22은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링 1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방향에서 밖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내부 표면 39를 통하여 또는 링의 벽 40을 통하여 컨테이너들 사이의 공간 32로의 방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과 제대로 맞닿기 위하여 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에는 여러 개의 오프팅들과 넥에서의 단 하나의 오프닝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 장치의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상대적인 이동은 상대적인 트랜스레이션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Claims (31)

  1. 백-인-컨테이너 타입(bag-in-container type)의 컨테이너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넥(neck) 영역은 외부 컨테이너와 인접한 내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관통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고, 상기 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압력 유체(pressure fluid)를 주입(introducing)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 장치를 커플링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반대편에 원주 방향으로 보여지는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플라스틱 성형체 및 외부 플라스틱 성형체로부터 흡입 성형(blow moulding)에 의하여 제조되고, 상기 내부 성형체 및 외부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인-컨테이너 타입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통합적으로 흡입 성형되며, 상기 외부 성형체는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성형체는 상기 백 또는 내부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클로져 링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폐쇄하는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테이너 및 내부 컨테이너는 제1 및 제2 넥 영역을 각각 가지며, 상기 링은 바람직하게는 웰딩(welding)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넥 영역의 자유 단(free ends)에 연결되는 컨테이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상기 넥 영역에 있는 상기 백의 넥 영역에 의하여 매달리며(suspended), 두 개의 넥 영역들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 부분과 대향하는(opposite) 자유 단을 가지며, 클로져 링은 바람직하게는 웰딩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의 자유 단에 마운트되고,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의 자유 단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의 자유 단의 모서리보다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 부분과 더 가까운 레벨로 놓여지며, 상기 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넥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은 상기 링이 연결되는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들의 자유 단 사이의 레벨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6. 이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컨테이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위에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내부 표면과 맞닿거나 또는 가까이에 위치한 모서리를 갖고 특히 클로져 링이 상기 내부 및/또는 외부 컨테이너에 마운트된 동안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debris)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의 넥 영역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외부 향 플랜지(outward facing flange)를 상기 넥 영역에 구비하는 컨테이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 부분과 대향하는(opposite) 자유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자유 모서리는 상기 바디 부분과 대향하는 측면으로 개방된 환형 그루브(annular groove)를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로 연장되는 스커트(skirt)를 갖는 링이 상기 자유 모서리에 마운트되는 컨테이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링이 스핀 웰딩(spin welding)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에 마운트된 컨테이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링은 상기 백 또는 내부 컨테이너로 개방된 오프닝을 구비하고, 상기 오프닝은 밸브(valve),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타입 밸브 및/또는 클린칭에 의하여 상기 링에 마운트된 밸브에 의해 닫혀지는 컨테이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테이너 또는 적어도 상기 넥 영역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벽체(circumferential wall part)를 구비하고, 스핀 웰딩 툴(spin welding tool)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벽체상에 치아(teeth)가 구비된 컨테이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및 외부 성형체는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의 넥 영역과 바디 부분 사이의 전환 영역(transition area) 내에,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가까운 접촉을 방지하는 스페이서 엘리먼트들(spacer elements)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13. 백-인-컨테이너 타입(bag-in-container type)의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로서, 내부 성형체와 외부 성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체들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은 상기 외부 성형체와 인접한 상기 내부 성형체의 일부 사이의 공간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관통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구비하고, 상기 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으로 압력 유체(pressure fluid)를 주입(introducing)하기 위해 BIC 컨테이너와 연결 장치를 커플링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반대편에 원주 방향으로 보여지는 커플링 엘리먼트들을 구비하는 성형체들의 세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인-컨테이너 타입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통합적으로 흡입 성형되며, 클로져 링이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에 마운트되어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폐쇄하는 성형체들의 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성형체 및 내부 성형체는 제1 및 제2 넥 영역을 각각 가지며, 상기 링은 바람직하게는 웰딩(welding)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넥 영역의 자유 단(free ends)에 연결되는 성형체들의 세트.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성형체는 상기 내부 성형체의 넥 영역에 의하여 상기 외부 성형체 내에 매달리며(suspended), 두 개의 넥 영역들은 바디 부분과 대향하는(opposite) 자유 단을 가지며, 클로져 링은 바람직하게는 웰딩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의 자유 단에 마운트되고, 상기 내부 성형체의 넥 영역의 자유 단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의 자유 단의 모서리보다 상기 외부 성형체의 바닥 형성 부분과 더 가까운 레벨로 놓여지며, 상기 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으로 연장되는 성형체들의 세트.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넥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은 상기 링이 연결되는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들의 자유 단 사이의 레벨에 위치하는 성형체들의 세트.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성형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 위에 상기 외부 성형체의 내부 표면과 맞닿거나 또는 가까이에 위치한 모서리를 갖고 특히 클로져 링이 상기 내부 및/또는 외부 성형체에 마운트된 동안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debris)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들 사이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외부 향 플랜지(outward facing flange)를 상기 넥 영역에 구비하는 성형체들의 세트.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성형체는 바닥 형성 부분과 대향하는(opposite) 자유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자유 모서리는 상기 바닥 형성 부분과 대향하는 측면으로 개방된 환형 그루브(annular groove)를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로 연장되는 스커트(skirt)를 갖는 링이 상기 자유 모서리에 마운트되는 성형체들의 세트.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링이 스핀 웰딩(spin welding)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및/또는 외부 성형체에 마운트된 성형체들의 세트.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링은, 상기 내부 성형체로 개방되고 성형체들이 BIC 타입 컨테이너로 흡입 성형 중에 가령 스트렛치 로드(Stretch Rod)와 같은 흡입 성형 코어 툴(blow moulding core tool)이 상기 내부 성형체로 들어가고 상기 툴에 가해진 압력 해제(pressure release)를 위해 충분히 큰 오프닝을 구비한 성형체들의 세트.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체 또는 적어도 상기 넥 영역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벽체(circumferential wall part)를 구비하고, 스핀 웰딩 툴(spin welding tool)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벽체상에 치아(teeth)가 구비된 성형체들의 세트.
  23.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 각각은 각각의 넥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디 형성 부분을 가지며, 상기 바디 형성 부분은 바닥 형성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성형체의 바디 형성 부분의 길이 방향의 외부 길이는 상기 외부 성형체의 바디 형성 부분의 길이 방향 내부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형체들의 세트.
  24.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성형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substantially cylindrical) 넥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바디 형성 부분을 가지며, 상기 바디 형성 부분과 상기 넥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는 길이 방향 축을 갖고, 상기 바디 형성 부분의 최대 외부 횡단면(maximum outer cross section)은 상기 넥 영역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부분의 평균 횡단면(average cross section)보다 작은 성형체들의 세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넥 영역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부분과 상기 외부 성형체의 바디 형성 부분 사이에 플랜지(flange)가 구비되는 성형체들의 세트.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은 내부 도달 숄더(inward reaching shoulder)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성형체는 상기 숄더에 인접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숄더 상에 있는 외부 도달 플랜지(outward reaching flange)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 및/또는 상기 숄더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숄더 사이에 통로(passage)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엘리먼트(spacer element) 또는 통로를 포함하는 성형체들의 세트.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상기 플랜지의 레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구비되는 성형체들의 세트.
  28. 제1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및 외부 성형체는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의 넥 영역과 바디 부분 사이의 전환 영역(transition area) 내에, 상기 외부 컨테이너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가까운 접촉을 방지하는 스페이서 엘리먼트들(spacer elements)을 구비하는 성형체들의 세트.
  29. BIC 타입 컨테이너를 통합적으로 흡입 성형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내부 성형체는 외부 성형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성형체는 적어도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 단에 용접 또는 접착된(welded or glued) 링에 의해서 상기 외부 성형체에 연결되며, 상기 링은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의 필수 부분(integral part)이거나 다른 내부 및 외부 성형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 사이의 공간이 상기 링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공간으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이 상기 내부 성형체 또는 외부 성형체의 넥 영역을 통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 영역의 벽을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관통하게 연장되는 방법.
  30. 제1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체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BIC 타입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방법 또는 제29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흡입 성형 툴의 일부는 상기 내부 및 외부 성형체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상기 링 또는 링 내의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성형체에 삽입되고 상기 성형체들의 세트를 상기 컨테이너로 통합적으로 흡입 성형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 영역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통해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의 흡입 성형 중에 상기 공간과 상기 컨테이너의 환경 간 압력 평형(pressure equilibration)을 허용하는 방법.
  31. 음료를 위한 태핑 어셈블리(Tapping assembly)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또는 제1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체들의 세트로부터 형성되거나 제29항 또는 제30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컨테이너의 넥 영역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한 연결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엘리먼트는 가압된 가스의 소스(source of pressurised gas)에 연결되는 태핑 어셈블리.
KR1020157005152A 2012-07-26 2013-07-26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KR102134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9235 2012-07-26
NL2009235A NL2009235C2 (en) 2012-07-26 2012-07-26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PCT/NL2013/050555 WO2014017908A1 (en) 2012-07-26 2013-07-26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744A true KR20150048744A (ko) 2015-05-07
KR102134934B1 KR102134934B1 (ko) 2020-07-17

Family

ID=4719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152A KR102134934B1 (ko) 2012-07-26 2013-07-26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4) US9815676B2 (ko)
EP (2) EP2882679B1 (ko)
KR (1) KR102134934B1 (ko)
CN (2) CN110272010B (ko)
AR (2) AR091920A1 (ko)
AU (2) AU2013293703B2 (ko)
CA (1) CA2880068C (ko)
DK (1) DK2882679T3 (ko)
ES (1) ES2703149T3 (ko)
MX (1) MX354041B (ko)
NL (1) NL2009235C2 (ko)
PL (1) PL2882679T3 (ko)
PT (1) PT2882679T (ko)
RU (1) RU2680419C2 (ko)
SG (1) SG11201501449YA (ko)
TR (1) TR201819881T4 (ko)
WO (1) WO2014017908A1 (ko)
ZA (2) ZA2015006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9235C2 (en) *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NL2009234C2 (en) *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ssembly and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731C2 (en) 2012-10-30 2014-05-06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valve for a container.
NL2009732C2 (en) 2012-10-30 2014-05-06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container and valve for a beverage container.
NL2009802C2 (en) 2012-11-13 2014-05-14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DE102013105760A1 (de) * 2013-06-04 2014-12-04 Krones Ag Getränkeflasche mit Zuführmöglichkeit für gasförmiges Medium
NL2017109B1 (en) 2016-07-05 2018-01-12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US10596765B2 (en) * 2017-05-16 2020-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erosol dispenser having annular seals and method of making an aerosol container therefor
EP3403948B1 (en) * 2017-05-16 2022-1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aerosol dispenser, aerosol dispenser having a container and preform container for an aerosol dispenser
NL2018956B1 (en) 2017-05-19 2018-11-2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NL2018955B1 (en) 2017-05-19 2018-11-2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US20180339841A1 (en) * 2017-05-26 2018-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ath to protect an aerosol valve stem
US10501258B2 (en) 2017-05-26 2019-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erosol dispenser having annular seals and aerosol container therefor
KR20200054951A (ko) * 2017-07-31 2020-05-20 코라빈, 인크. 컨테이너 결합 해제 특징부를 갖는 음료 추출기
GB2566286A (en) * 2017-09-07 2019-03-13 Polykeg S R L Valve closure incorporating an over-pressure relief valve
JP6910735B2 (ja) * 2017-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CN110451069B (zh) * 2018-05-07 2023-04-18 嘉兴优逸客智能家居有限公司 一体式塑料袋多层组合体
US11358851B1 (en) * 2018-06-29 2022-06-14 Mercury Plastics Llc Ganged reservoir system
CN113165213B (zh) 2018-12-19 2023-04-28 宝洁公司 具有视觉效应的制品
EP3898154A1 (en) 2018-12-19 2021-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no-layer blow molded article with functional, visual, and/or tactile effects and method of making such articles
EP3825096A1 (en) 2019-11-22 2021-05-26 Molecular Plasma Group SA Method for obtaining a coated preform and container
US20230286722A1 (en) 2020-08-14 2023-09-14 Heineken Supply Chain B.V. Bag in container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bag in container to a tapping device
CN112200037B (zh) * 2020-09-29 2023-12-26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微弱信号检测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IT202000024688A1 (it) * 2020-10-20 2022-04-20 Emanuela Covi Assieme di preforme per realizzare un contenitore e relativo contenitore
IT202100017447A1 (it) * 2021-07-02 2023-01-02 Lumson Spa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per un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a sostanza fluida, e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tale sostanza fluid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0978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 two layer preform,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process for producing a blow-moulded bag-in-container, and bag-in-container thus produced
JP2010030659A (ja) * 2008-07-31 2010-02-1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器
EP2165968A1 (en) * 2008-09-19 2010-03-24 InBev S.A. Bag-in-container with prepressurized space between inner bag and outer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1791B1 (ko) 1969-12-27 1975-10-15
US3910450A (en) * 1972-12-21 1975-10-07 Wilhelm Hammes Bung drum made of plastics with one or more bung openings
US4305421A (en) * 1977-09-28 1981-12-15 Draft Systems, Inc. Fluid dispensing system
US4318882A (en) * 1980-02-20 1982-03-09 Monsanto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collapse resistant polyester container for hot fill applications
US4362255A (en) 1980-10-24 1982-12-07 Liqui-Box Corporation Barrier spout and cap for flexible bags or pouches
US5115938A (en) * 1987-10-30 1992-05-26 Tri-Tech Systems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and cans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NZ227284A (en) * 1987-12-22 1991-08-27 Abplanalp Robert H Extruded plastics container with ends of body portion heat sealed into recessed undercuts of the end panels
US5242085A (en) * 1990-12-17 1993-09-07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344045A (en) * 1990-12-17 1994-09-06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JP3062309B2 (ja) * 1991-07-29 2000-07-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内壜形成用の二軸延伸可能な合成樹脂製ピースと、内外二重壜の成形方法および内外二重壜
US5261565A (en) * 1992-06-11 1993-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US5335821A (en) 1992-09-11 1994-08-09 Now Technologies, Inc. Liquid chemical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JP3595571B2 (ja) * 1993-05-07 2004-12-0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二重壁ボトル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US5508076A (en) * 1994-02-10 1996-04-16 Electra Form, Inc. Layered preform
DE69632354T2 (de) * 1995-03-10 2005-05-04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aus laminiertem, leicht schälbarem Material
CA2261148A1 (en) * 1996-08-07 1998-02-12 Robert Slovak Additive dispensing apparatus
US5875921A (en) * 1997-03-12 1999-03-02 Now Technologies, Inc. Liquid chemical dispensing system with sensor
NL1008601C2 (nl) 1998-03-16 1999-09-17 Heineken Tech Services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een fluïdum.
NL1009654C2 (nl) 1998-07-15 2000-01-19 Heineken Tech Services Klepsamenstel voor een drankcontainer, container voor drank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en legen van een drankcontainer.
ES2188275T3 (es) 1998-12-16 2003-06-16 Heineken Tech Services Recipiente previsto para almacenar y distribuir bebida, mas particularmente.
JP4586223B2 (ja) * 1999-11-19 2010-11-24 大成化工株式会社 吐出容器
NL1015368C2 (nl) 2000-05-31 2001-12-12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samenstel alsmede houder voor drank, in het bijzonder koolzuurhoudende drank, en drankafgifteleid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amenstel.
NL1015359C2 (nl) * 2000-05-31 2001-12-03 Heineken Tech Services Tapinrichting en houder daarvoor, alsmede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JP4749572B2 (ja) * 2001-03-13 2011-08-17 大成化工株式会社 分与容器の口栓構造
US6820763B2 (en) * 2002-03-13 2004-11-23 Sb Partnership, Inc.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systems
NL1020651C2 (nl) 2002-05-22 2003-11-25 Heineken Tech Services Drankcontainer voorzien van afgifteventiel met verbeterd bedieningsmiddel en antidruppel middelen.
US6943808B2 (en) * 2002-12-16 2005-09-1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aliasing in printed images
US20060065992A1 (en) * 2004-04-16 2006-03-30 Hutchinson Gerald A Mono and multi-layer articles and compression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1595810A1 (de) * 2004-05-10 2005-11-16 Createchnic AG Behälter mit Inliner-Beutel und Einweg-Spenderventil
US7721921B2 (en) * 2004-05-14 2010-05-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ap unit for a beverage dispenser
ATE457277T1 (de) 2005-12-29 2010-02-15 V A P S R L Vorrichtung zur flüssigkeitsabgabe, insbesondere getränkeabgabe
ITRN20060041A1 (it) * 2006-06-23 2007-12-24 Celli Spa Dispositivo di spillatura e dispositivo di erogazion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di spillatura
US20080257847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for
US20080257846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NL1035761C2 (nl) * 2008-07-28 2010-02-05 Dispensing Technologies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gedoseerd afgeven van een vloeistof uit een houder.
NL1034895C2 (nl) * 2008-01-08 2009-07-13 Dispensing Technologies Bv Samengestelde houd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EP2078602A1 (en) * 2008-01-09 2009-07-15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stretch-blow-moulding a beverage container
EP2080709A1 (en) * 2008-01-15 2009-07-22 InBev S.A. Assembly of a container and a closure
KR100947072B1 (ko) 2008-03-27 2010-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DE102008056346A1 (de) * 2008-11-07 2010-05-12 Krones Ag Verfahren zur Vorbehandlung von Vorformlingen und Streckblasmaschine zur Vorbehandlung und zum Streckblasen von Vorformlingen zu Behältern
NL2003133C2 (en)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pparatus and compressible bottle therefore, and a preform for forming such container.
NL2003132C2 (en) *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NL2003131C2 (en) *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Preform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CN102574673B (zh) 2009-07-16 2015-11-25 琥珀酿酒有限公司 饮料分配设备
US8733598B2 (en) * 2009-12-30 2014-05-2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losure/connector for liner-based dispense containers
IT1398945B1 (it) * 2010-03-17 2013-03-28 Lumson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da utilizzare con una pompa ermetica.
US8579158B2 (en) * 2010-04-06 2013-11-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Product-dispensing container with pressurizable and collapsible product-storage bag
DE102010042965A1 (de) * 2010-10-26 2012-05-10 Krone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behältern und/oder Kunststoffvorformlingen
NL2009235C2 (en) *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0978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 two layer preform,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process for producing a blow-moulded bag-in-container, and bag-in-container thus produced
JP2010030659A (ja) * 2008-07-31 2010-02-1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器
EP2165968A1 (en) * 2008-09-19 2010-03-24 InBev S.A. Bag-in-container with prepressurized space between inner bag and oute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819881T4 (tr) 2019-01-21
WO2014017908A1 (en) 2014-01-30
NL2009235C2 (en) 2014-01-28
ZA201802784B (en) 2019-07-31
US20180044160A1 (en) 2018-02-15
CN104684838B (zh) 2019-06-14
AR091920A1 (es) 2015-03-11
EP3444088A1 (en) 2019-02-20
CN104684838A (zh) 2015-06-03
AR115371A2 (es) 2021-01-13
CA2880068C (en) 2021-02-02
US10640355B2 (en) 2020-05-05
DK2882679T3 (en) 2019-01-21
CN110272010A (zh) 2019-09-24
ZA201500679B (en) 2021-09-29
US11040865B2 (en) 2021-06-22
KR102134934B1 (ko) 2020-07-17
RU2680419C2 (ru) 2019-02-21
RU2015106358A (ru) 2016-09-20
EP2882679A1 (en) 2015-06-17
CA2880068A1 (en) 2014-01-30
SG11201501449YA (en) 2015-04-29
AU2017272251A1 (en) 2018-01-04
CN110272010B (zh) 2022-02-18
ES2703149T3 (es) 2019-03-07
MX354041B (es) 2018-02-07
US20150210523A1 (en) 2015-07-30
PL2882679T3 (pl) 2019-04-30
AU2013293703B2 (en) 2017-09-07
US20210284519A1 (en) 2021-09-16
AU2017272251B2 (en) 2019-10-31
MX2015001184A (es) 2016-01-22
US9815676B2 (en) 2017-11-14
US20200231422A1 (en) 2020-07-23
AU2013293703A1 (en) 2015-03-12
PT2882679T (pt) 2019-01-08
EP2882679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8744A (ko)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KR20150048746A (ko)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태핑 어셈블리, 연결 장치와 컨테이너 및 방법
KR102134935B1 (ko)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체들의 세트
KR20150048743A (ko) 음료 디스펜싱을 위한 연결 장치, 태핑 어셈블리, 컨테이너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