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660A -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660A
KR20150048660A KR1020140147636A KR20140147636A KR20150048660A KR 20150048660 A KR20150048660 A KR 20150048660A KR 1020140147636 A KR1020140147636 A KR 1020140147636A KR 20140147636 A KR20140147636 A KR 20140147636A KR 20150048660 A KR20150048660 A KR 2015004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creen
screens
input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129B1 (ko
Inventor
치앙 가오
진롱 주
홍보 완
화용 쉬
쩐화 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4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7Arrangements and methods specific for the display of internet doc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하고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한 화면에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서브 화면들이 표시되고 각 서브 화면은 서로 다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되는데, 입력 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에 보내진 제어 명령은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며 바인딩되지 않은 다른 서브 화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의 사용자는 넓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독립적인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큰 화면을 공유하여 각자 원하는 컨텐츠를 동시에 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SUB-SCREENS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연결된 복수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대한 제어 권한은 한명의 사용자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동시에 공유하여 사용하기 어려운데, 이러한 환경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큰 화면을 고려할 때 효율적이지 않다. 특히, 스마트 TV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능 외에 웹 브라우저, 게임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에서는 한번에 하나의 서비스(예를 들면, 방송 컨텐츠 또는 웹 브라우저)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 TV의 능력이 충분히 활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 중 상기 제어 명령을 보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하여 다른 서브 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웹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를 해당 서브 화면에 대해 독점적인 제어 권한을 가지는 입력 기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는 상기 메뉴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가 위치한 서브 화면을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입력 기기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모두 표시하는 멀티 스크린 모드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합친 크기의 단일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 화면에 대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탭 모드 간에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제어 방법은,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TV PIP(Picture In Picture)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와 바인딩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기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TV PIP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보다 앞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TV PIP 윈도우를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TV PIP 윈도우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는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 내에서만 표시되고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되지 않은 서브 화면 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면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화면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 중 상기 제어 명령을 보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하여 다른 서브 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딩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웹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를 해당 서브 화면에 대해 독점적인 제어 권한을 가지는 입력 기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의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는 상기 메뉴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가 위치한 서브 화면을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입력 기기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모두 표시하는 멀티 스크린 모드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합친 크기의 단일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 화면에 대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탭 모드 간에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그램은,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TV PIP(Picture In Picture)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와 바인딩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기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TV PIP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보다 앞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TV PIP 윈도우를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TV PIP 윈도우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는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 내에서만 표시되고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되지 않은 서브 화면 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은 동시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각자 원하는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들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과 입력 기기들 간의 바인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과 입력 기기들을 바인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멀티 스크린 설정 메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면들이 하나의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경우에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면들이 서로 다른 입력 기기들과 바인딩된 경우에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 PIP 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 및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서브 화면들을 표시 및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서브 화면들과 TV PIP 윈도우를 표시 및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의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단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컨텐트 웹 브라우저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단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컨텐트 웹 브라우저에서 복수의 입력 기기들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의 서브 화면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스마트 TV, 일체형 PC 등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시각적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을 모두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화면에는 두 개의 서브 화면(110,120)이 표시되었는데, 이 서브 화면들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두 개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되었다.
현재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두 개의 입력 기기들(130,140)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입력 기기들(130,140)은 각각 하나의 서브 화면과 ‘바인딩’되어 있다. 입력 기기와 서브 화면이 바인딩 된 경우, 그 입력 기기는 다른 서브 화면들과는 독립적으로 자신과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대한 독점적인 제어 권한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30)은 왼쪽 서브 화면(110)과 바인딩되었고 마우스(140)는 오른쪽 서브 화면(120)과 바인딩되었으므로, 리모컨(130)의 왼쪽 서브 화면(110)에 대한 제어 명령에 의해 오른쪽 서브 화면(120)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리모컨(130)의 사용자가 리모컨(130)을 통해 제어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웹 페이지 A를 스크롤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다른 웹 페이지를 액세스하더라도 그 제어 명령은 오른쪽 서브 화면(120)에 표시된 웹 페이지 B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오른쪽 서브 화면(120)은 마우스(140)와 바인딩되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서브 화면을 가정하였으나 서브 화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 방법에 따라 서브 화면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주소창, 뒤로가기, 앞으로 가기, 즐겨찾기 추가 등의 메뉴들을 포함하는 컨트롤 바가 포함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식의 웹 브라우저가 이용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분할하는 경우 서브 화면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새로운 웹 브라우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에서 컨트롤 바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컨트롤 바가 차지하던 공간을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서브 화면은 반드시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 서브 화면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서브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 하나의 서브 화면은 웹 브라우저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서브 화면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명의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브라우징하는 동안 동시에 다른 사용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하고 각 서브 화면들을 서로 다른 입력 기기에 바인딩시킴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200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이 입력 기기들과 바인딩된다. 하나의 서브 화면에 대해 둘 이상의 입력 기기들이 바인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서브 화면이 마우스 및 키보드와 바인딩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복수의 서브 화면들에 대해 하나의 입력 기기가 바인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한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서브 화면을 통해 웹 비디오를 재생하는 동시에 다른 서브 화면을 통해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 기기를 조작하면 하나의 서브 화면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함께 후술한다.
또한, 입력 기기들과 서브 화면들과의 바인딩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함께 후술한다.
단계 210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입력 기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의 화살표 버튼을 누르거나 마우스의 휠을 위쪽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그러한 입력 기기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 기기와 디스플레이 기기 간에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달된다.
단계 220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중 단계 210에서 제어 명령을 송신한 입력 기기와 바인딩되어 있는 서브 화면, 즉 타겟 서브 화면이 결정된다. 만약 제어 명령을 송신한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일 경우, 그 서브 화면들 중 현재 그 제어 기기의 식별자 커서가 위치한 서브 화면을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별자 커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자로서, 일반적으로 마우스에 의해 사용되는 포인팅 커서 뿐 아니라 텍스트 입력 창에서 사용되는 커서, 블록 단위의 오브젝트 선택에 사용되는 커서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단계 230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된 서브 화면들 중 단계 220에서 결정된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해 입력 기기가 보낸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타겟 서브 화면이 아닌 다른 서브 화면들은 이 제어 명령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과 입력 기기들 간의 바인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00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에게 서브 화면들 각각에 대해 바인딩할 수 있는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즉,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기기와 입력 기기들의 연결에는 블루투스, Wi-Fi Direct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요구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310에서, 각 서브 화면들에 대해 표시된 입력 기기들의 목록으로부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입력 기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입력 기기를 선택하면 그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 기기에 수신된다.
단계 320에서, 사용자가 단계 310에서 각 서브 화면들에 대해 선택한 입력 기기를 해당 서브 화면에 대해 독점적인 제어 권한을 가지는 입력 기기로 설정한다. 다른 말로 하면, 해당 서브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기기간의 바인딩이 완료된다. 따라서, 그 서브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기기에 의해서 제어되며 다른 입력 기기들에서 송신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서브 화면들 각각을 어떤 입력 기기와 바인딩할 것인지 직접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과 입력 기기들을 바인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서브 스크린 설정 메뉴(400)는 레이아웃, 서브 화면 개수, 바인딩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항목별로 드롭 다운(drop-down) 메뉴를 통해 제공한다. 그러나, 서브 스크린 설정 메뉴(400)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나 메뉴 형식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이아웃(layout) 항목을 통해 서브 스크린들이 수평으로 배열될 것인지 수직으로 배열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브 화면 개수 항목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서브 화면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바인딩 항목에서 각 서브 화면들과 바인딩될 입력 기기를 지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서브 화면 개수 항목을 통해 2개의 서브 화면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두 서브 화면들 각각에 대해 바인딩할 입력 기기를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서브 화면에 대해서는 블루투스 키보드를 지정하였고, 제2 서브 화면과 바인딩할 입력 기기를 선택하기 위해 드롭 다운 메뉴를 펼친 상태이다. 드롭 다운 메뉴에서는 이미 제1서브 화면과 바인딩된 블루투스 키보드는 물론,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모든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만약 여기서 사용자가 제1 서브 화면과 바인딩된 입력 기기, 즉 블루투스 키보드를 다시 선택하게 되면 모든 서브 화면들은 하나의 입력 기기(블루투스 키보드)와 바인딩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서브 화면들 중에서 입력 기기의 제어 명령을 적용할 하나의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기기의 식별자 커서를 포함하는 서브 화면이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서브 스크린 설정 메뉴(400)에서는 PIP 항목을 통해 TV PIP(Picture In Picture) 창도 특정 입력 기기와 바인딩될 수 있도록 한다. TV PIP 윈도우도 서브 화면들과 마찬가지로 자신과 바인딩된 입력 기기에 의해 독점적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TV PIP 윈도우가 리모컨과 바인딩된 경우, 사용자가 리모컨의 채널 증가 버튼을 누르면 다른 서브 화면들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TV PIP 윈도우에 표시되는 방송 컨텐츠의 채널만 변경된다.
서브 화면들의 크기가 반드시 동일해야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서브 스크린 설정 메뉴(400)에서 각 서브 화면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서브 스크린 설정 메뉴(400)는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스크린 설정 메뉴(400)는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의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웹 브라우저 내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화면들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 화면들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지정한 서브 화면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면 서브 화면 하나의 크기가 그에 비례해서 작아지기 때문에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서브 화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임계값 개수 만큼의 서브 화면들만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나머지 서브 화면들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임계값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서브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서브 화면들을 슬라이드하여 순차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브 화면들을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으로 불러올 수 있다.
도 5는 화면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는 서브 화면 개수의 임계값이 3일 때 사용자가 서브 화면의 개수를 4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의 서브화면 레이아웃을 보여준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는 동시에 3개의 서브화면들(510,520,530)만 표시되고 나머지 서브 화면들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데 사용자는 슬라이드 버튼(540,550)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할 서브화면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른쪽 슬라이드 버튼(550)을 선택하면 제1 서브화면(510), 제2 서브화면(520), 제3 서브화면(530)이 하나씩 왼쪽으로 슬라이드되어 결국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는 제2서브화면(520), 제3서브화면(530), 제4 서브화면(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면들이 하나의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경우에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입력 기기와 복수 개의 서브 화면들이 바인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기기에서 보내지는 제어 명령은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 중 하나에 대해서만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기기들 중 어떤 서브 화면에 대해 제어 명령을 수행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한데, 입력 기기의 식별자 커서를 포함하고 있는, 즉 현재 식별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서브 화면에 대해 제어 명령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2개의 서브 화면들(610,620)이 표시되어 있고 이 서브 화면들은 모두 하나의 입력 기기(630)과 바인딩되어 있다. 이 입력 기기(630)의 식별자 커서(650)가 제1 서브 화면(610) 내에 위치할 때는 제어 명령이 제1 서브 화면(610)에서 제어 명령이 수행되고 제2 서브 화면(620) 내에 위치할 때는 제어 명령이 제2 서브 화면(620)에 대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 기기(630)인 마우스의 휠을 돌리면 제1 서브 화면(610) 및 제2 서브 화면(620)에 각각 스크롤이 가능한 웹 페이지들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마우스의 포인팅 커서(650)가 제1서브 화면(610) 내에 있으면 제1 서브 화면(610)에 표시된 웹 페이지가 스크롤되고, 포인팅 커서(650)가 제2 서브 화면(620) 내에 있으면 제2 서브 화면(620)에 표시된 웹 페이지가 스크롤된다.
물론,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서브 화면(610) 및 제2 서브 화면(620) 외에 입력 기기(630)와 바인딩되지 않은 제3 서브 화면이 있다면 그 서브 화면은 입력 기기(630)의 조작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브 화면들이 서로 다른 입력 기기들과 바인딩된 경우에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두 개의 서브 화면들(710,720)이 표시되어 있는데, 제1 서브 화면(710)은 입력 기기 X(730)와 바인딩되어 있고 제2 서브 화면(720)은 입력 기기 Y(740)와 바인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자 커서(750)는 입력 기기 X(730)의 것이다. 따라서, 입력 기기 X(730)의 사용자가 입력 기기 X(730)를 조작하여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신하면 그 제어 명령은 제1 서브 화면(710)에 대하여 수행되고 제2 서브 화면(720)은 그 제어 명령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2 서브 화면(720)은 입력 기기Y(740)와 바인딩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기기Y(740)에 의해 독점적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 기기의 식별자 커서는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 내에 위치할 때와 바인딩되지 않은 서브 화면 내에 위치할 때 각각 다르게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는 제1 서브 화면(710) 내에 위치할 때에만 표시되고 제2 서브 화면(720) 내에 위치할 때는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가 제2 서브 화면(720) 내에 위치할 때에는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를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기기 X(730)를 조작할 때 사용자에게 제2 서브 화면(720)에 대하여는 제어 권한이 없음을 효과적으로 상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가 제2 서브 화면(720) 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2 서브 화면(720)을 사용 중인 입력 기기 Y(740)의 사용자가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에 의해 제2 서브 화면(720)의 컨텐츠를 보는데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가 제2 서브 화면(720) 내에 위치할 때는 그 모양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제1서브 화면(710) 내에 위치할 때와는 다른 모양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가 제1 서브 화면(710) 내에 위치할 때에는 일반적인 식별자 커서 모양(예를 들면, 마우스의 포인팅 커서 모양)으로 표시되지만 제2 서브 화면(720) 내에 위치할 때에는 X자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입력 기기 X의 사용자에게 제2 서브 화면(720)에 대하여는 제어 권한이 없음을 상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 기기의 식별자 커서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의존하여 제어 명령의 수행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가 제1 서브 화면(710) 내에 위치한 경우에만 입력 기기 X(730)의 제어 명령이 제1 서브 화면(710)에 대해 수행된다. 따라서, 입력 기기 X(730)의 식별자 커서(750)가 제2 서브 화면(720)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입력 기기 X(730)에서 보내진 제어 명령은 제2 서브 화면(720)은 물론 제1 서브 화면(710)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반대로, 입력 기기에 의해 보내지는 제어 명령은 그 입력 기기의 식별자 커서의 위치와 관계 없이 모두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멀티 스크린 모드(multi-screen mode)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복수 개의 서브 화면들이 동시에 표시되고 탭 모드에서는 서브 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 화면만 표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두 개의 서브 화면들(810,820)이 표시되는데, 왼쪽의 서브 화면(810)에는 웹 페이지 A(811)가 표시되고 오른쪽의 서브 화면(820)에는 웹 페이지 B(821)가 표시된다. 두 서브 화면들(810,820)은 모두 입력 기기 X(830)와 바인딩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 명의 사용자가 자신의 거실에서 스마트 TV를 통해 웹 페이지 A(811)에서 제공되는 뉴스 기사를 읽으면서 동시에 웹 페이지 B(821)에서 제공되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있다.
사용자는 입력 기기 X(830)를 이용하여 스마트 TV의 표시 모드를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다.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버튼은 입력 기기 X(830) 상에, 또는 화면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8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모드(tab mode)에서는 서브 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 화면이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된다. 위의 예에서, 사용자는 뉴스 기사를 좀 더 큰 화면으로 읽고 싶을 때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탭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전환시킴으로써 스마트 TV의 화면(840)이 웹 페이지 A(811)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서브 화면(820)은 종료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웹 페이지 B(821)에서 이용 중이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종료된 것이 아니므로 재생 중이던 음악은 끊기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입력 기기 X(830)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B(821)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탭 모드 내에서 사용자는 입력 기기 X(8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서브 화면을 두 서브 화면들(810,820) 간에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다. 서브 화면들 간의 전환을 실행시키는 버튼 역시 입력 기기 X(830) 상에, 또는 화면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세 개의 서브 화면들(910,920,930)이 표시되는데, 왼쪽의 서브 화면(910)에는 웹 페이지 A(911)가 표시되고 가운데 서브 화면(920)에는 웹 페이지 B(921)가 표시되며, 오른쪽의 서브 화면(930)에는 웹 페이지 B(931)가 표시된다. 두 서브 화면들(910,920)은 입력 기기 X(940)와 바인딩 되어 있고, 나머지 한 서브 화면(930)은 입력 기기 Y(950)와 바인딩 되어 있다.
입력 기기 X(940)의 사용자는 입력 기기 X(940)를 이용하여 입력 기기 X(940)와 바인딩 된 서브 화면들(910,920)의 표시 모드를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탭 모드로 전환한다. 그 결과,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기 X(940)와 바인딩된 두 서브 화면들(910,920)을 합친 크기의 단일 화면(960)을 이용하여 두 서브 화면들(910,920) 중 하나에 대한 컨텐츠만을 표시한다. 즉, 웹 페이지 A(911) 또는 웹 페이지 B(921)가 두 서브 화면들(910,920)을 합친 크기의 단일 화면(960)을 통해 전체 화면 모드로 표시된다.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입력 기기 X(940)의 사용자는 입력 기기 X(940)를 이용하여 탭 모드 내에서 웹 페이지 A(911)와 웹 페이지 B(921) 간의 전환(서브 화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화면 전환을 실행시키는 버튼은 입력 기기 X(940) 상에 구현될 수도 있고 입력 기기 X(940)와 바인딩된 영역, 즉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의 두 서브 화면들(910,920) 및 탭 모드에서의 단일 화면(96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입력 기기 Y(950)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930)은 입력 기기 Y(950)에 의해 독립적/독점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입력 기기 X(940)를 이용한 표시 모드 전환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 PIP 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TV PIP 윈도우(1030)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화면들(1010,1020)보다 앞쪽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TV PIP 윈도우(1030)를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의 서브 화면이 예약되고 TV PIP 윈도우(1030)가 켜지면 예약된 서브 화면에 TV PIP 윈도우(1030)가 배치되도록 하여 TV PIP 윈도우(1030)가 다른 서브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TV PIP 설정 메뉴(1040)를 통해 TV PIP 윈도우(1030)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화면과 마찬가지로 TV PIP 윈도우(1030)도 입력 기기와 바인딩시킬 수 있다. TV PIP 윈도우(1030)와 바인딩된 입력 기기는 TV PIP 윈도우(1030)를 독점적으로 제어하며 다른 서브 화면들은 제어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TV PIP 윈도우는 TV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두 개의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TV PIP 윈도우는 한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고 배경에서는 다른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가 표시한다. 따라서, 기존의 TV에서 활용되던 TV PIP 윈도우는 배경에 표시되는 방송 컨텐츠를 가장 적게 가리도록 하기 위해 네 구석 중 한곳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며 그 크기 또한 사용자 임의로 자유롭게 변경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넓은 화면이 조밀하고 다양하게 활용되기 때문에 각 서브 화면들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에 따라 또는 사용자들의 이용 상태에 따라 TV PIP 윈도우(1030)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면, 서브 화면들 중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서브 화면의 경우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가 어느 정도 가려져도 음악 감상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TV PIP 윈도우(1030)를 그 서브 화면 위에 배치하는 것이 화면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또는, 서브 화면들의 사용자들 중 한명이 잠시 전화를 받느라 서브 화면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TV PIP 윈도우(1030)를 그 서브 화면 위로 이동하고, 나아가 창의 크기도 적절하게 늘리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동적으로 TV PIP 윈도우(103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TV PIP 윈도우(1300)의 크기 및 위치를 설정 메뉴(1040)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드래그 입력을 통해서도 변경할 수 있다. 즉, TV PIP 윈도우(1030)와 바인딩된 입력 기기의 사용자는 그 입력 기기를 이용하여 TV PIP 윈도우(1030)를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할 수 있고, 또한 TV PIP 윈도우의 가장 자리나 모서리 부분을 드래그하여 그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디스플레이부(1170)뿐만 아니라 튜너부(1120), 통신부(130), 및 입/출력부(1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디스플레이부(1170)뿐만 아니라 튜너부(120), 통신부(1130), 및 입/출력부(1160)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7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튜너부(1120), 통신부(1130), 마이크(1140), 카메라부(1145), 광 수신부(1150), 입/출력부(1160), 디스플레이부(1170), 오디오 출력부(1175), 저장부(1180) 및 전원부(119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110)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20 내지 1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10)는 저장부(118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유닛들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저장부(118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서브 화면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서브 화면 제어 모듈(도시하지 않음)이 포함된다.
따라서, 제어부(1110)는 서브 화면 제어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70)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한다. 대표적으로, 서브 화면 제어 모듈은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을 디스플레이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하고, 입력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여 그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하여 다른 서브 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이 외에도, 서브 화면 제어 모듈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1)는 화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1)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1)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튜너부(112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12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1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17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튜너부(1120)은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120)은 디스플레이 기기(1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16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1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무선 랜(1131), 블루투스(113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13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은 무선랜(1131), 블루투스(113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13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30)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의 원격 조정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또는 RF 신호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3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40)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140)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1140)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140)는 통신부(1130) 또는 입/출력부(1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1145)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카메라부(1145)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145)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145)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145)이 복수인 경우, 베젤의 제1 카메라(1145)와 인접하는 제2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145)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145)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130) 또는 입/출력부(1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 수신부(1150)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1150)는 외부에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에서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160)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1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16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16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162), PC 포트(PC port, 1163), 및 USB 포트(USB port, 116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0)는 HDMI 포트(1161), 컴포넌트 잭(1162), PC 포트(1163), 및 USB 포트(116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디스플레이부(1170)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컨텐츠, 통신부(1130) 또는 입/출력부(11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저장부(118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75)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175)는 통신부(1130) 또는 입/출력부(116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175)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18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75)는 스피커(1176), 헤드폰 출력 단자(1177) 또는 S/PDIF 출력 단자(1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75)는 스피커(1176), 헤드폰 출력 단자(1117) 및 S/PDIF 출력 단자(117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8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1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튜너부(1120), 통신부(1130), 마이크(1140), 카메라부(1145), 광 수신부(1150), 입/출력부(1160), 디스플레이부(1170), 오디오 출력부(1175) 및 전원부(1190)의 구동에 의해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80)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80)에 저장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제어부(1110)에 의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이들 중 특히 서브 화면 제어 모듈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브 화면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저장부(1180)는 롬(ROM), 램(RAM),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18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90)는 디스플레이 기기(1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20 내지 1180)에게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 및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201에서, 스마트 TV에서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다.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는 미리 설정된 숫자 N 에 따라 N 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된다. 분할되는 화면의 개수 N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시스템 초기값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에 따라 N이 설정되는 경우 화면 분할 설정 메뉴가 표시되고 예를 들면 2, 3과 같이 화면 분할 개수가 설정된다. 사용자는 지정된 입력 기기를 통해 스마트 TV로 커맨드를 보낼 수 있다.
N개의 서브 화면들에 대한 레이아웃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고 시스템 초기 레이아웃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서브 화면들은 수평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수직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서브 화면들의 크기는 균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1202에서,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는 N개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하고 각 서브 화면은 하나의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복수의 웹 페이지들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열리며 동시에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의 N개의 서브 화면에 동시에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웹 페이지들을 동시에 브라우즈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 화면에서는 웹 페이지를 브라우즈하고 다른 서브 화면에서는 네트워크 비디오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는 둘 이상의 웹 페이지가 동시에 표시된다. 탭 모드에서는 하나의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되고 다른 웹 페이지들은 감춰지거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
단계 1203에서,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의 각 서브 화면과 바인딩되는 입력 기기가 설정된다.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서브 화면 A에 대해, 스마트 TV에 연결된 복수의 입력 기기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그 서브 화면 A와 바인딩된다.
바인딩된 입력 기기는 TV 리모컨, 터치 기기, 마우스나 키보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입력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 화면과 바인딩될 수 있다. 바인딩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행된다.
단계 1204에서, 입력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고,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해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제어 명령이 어떤 입력 기기 B로부터 수신되면, 우선 입력 기기 B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판단되고, 그 입력 기기 B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 상의 페이지에 대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만약 입력 기기 B가 단지 하나의 서브 화면과 바인딩 되어있다면, 제어 동작은 입력 기기 B와 바인딩된 그 서브 화면에 대해 직접 수행된다. 예를 들어, TV 리모콘이 서브 화면 C와 바인딩되어 있으면, TV리모콘을 통해 보내진 제어 명령은 오직 서브 화면 C만을 제어한다. TV 리모콘을 통한 제어 명령이 수신된 후, TV단말은 서브 화면 C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하여 페이지를 넘기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TV 화면 상에서 그 입력 기기를 표시하는 식별자 커서가 현재 바인딩된 서브 화면의 응답 영역 내에 있는지가 판단된다. 만약 그렇다면, 제어 동작이 그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대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그 제어 명령은 응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우스가 서브 화면 C와 바인딩되어 있고 그 마우스를 표시하는 식별자 커서가 현재 서브 화면 C의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서브 화면 C 상에 표시된 페이지는 마우스가 동작되더라도 그에 응답하지 않는다. 물론, 첫번째의 응답 모드를 사용하여, 마우스가 입력 기기일 때 마우스의 식별자 커서가 서브 화면의 응답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마우스를 통해 제어 명령이 보내지면 마우스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대해 제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입력 기기 B가 복수의 서브 화면들과 바인딩되어 있으면, 현재 동작의 타겟 서브 화면이 정해지고 나서, 제어 동작은 그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입력 기기가 마우스 B일 때, 마우스 B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TV단말에 의해 수신되면 우선 마우스 B를 표시하는 식별자가 판단된다. 만약 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화면이 마우스 B와 바인딩 되었다면 그 서브 화면이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되고 제어 동작은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해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마우스 B의 제어 명령은 응답되지 않는다. 결국, 입력 기기는 자신과 바인딩되지 않은 서브 화면은 제어할 수 없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300)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서브 화면들을 표시 및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주소창, 뒤로 가기 버튼, 앞으로 가기 버튼, 설정 바 등을 포함하는 컨트롤 메뉴(1301)가 구비된 웹 브라우저, 즉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가 사용되고 있다.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는 n개의 서브 화면들(1310,1320,1330)로 분할되어 있는데 각 서브 화면들(1310,1320,1330)은 각각 리모컨(1350), 마우스(1360), 키보드(1370) 등 서로 다른 입력 기기들과 바인딩 되어 있다.
가장 왼쪽의 서브 화면(1310)은 웹 비디오(1311)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1을 표시하고 있는데 이 서브 화면(1310)은 리모컨(1350)과 바인딩 되어 있다. 따라서, 리모컨(1350)의 사용자는 리모컨(1350)을 통해 웹 페이지 1을 제어할 수 있으며 리모컨(1350)의 조작에 의해 다른 서브 화면들(1360,1370)의 컨텐츠들, 즉 웹 페이지2 내지 웹 페이지 n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브 화면들(1310,1320,1330)이 하나의 제어 메뉴(1301)를 공유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제어 메뉴(1301)를 통한 제어 명령이 어느 서브 화면에 적용될 것인지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메뉴(1301)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한 입력 기기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서브 화면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리모컨(1350)을 이용하여 주소창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하면 리모컨(1350)과 바인딩된 첫번째 서브 화면(1310)에서 해당 URL에 접속하고 나머지 서브 화면들(1320,1330)은 주소창에 입력된 URL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400)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서브 화면들(1410,1420,1430)과 TV PIP 윈도우(1411)를 표시 및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TV(1400)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사용자들의 더 많은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TV PIP 윈도우(1411)가 웹 브라우저의 앞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 TV PIP 윈도우(1411)의 크기 및/또는 위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V PIP 윈도우(1411)는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 컨텐츠를 보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의 어떤 서브 화면(1410) 상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의 서브 화면과 유사하게, TV PIP 윈도우(1411)와 바인딩되는 입력 기기(1450)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며, TV PIP 윈도우(1411)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그 입력 기기(14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다. TV PIP 윈도우(1411)와 바인딩된 입력 기기는 TV리모콘(1450)이 될 수도 있고, TV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입력 기기도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던 제어 명령의 처리 메커니즘들이 TV PIP 윈도우(1411)와 바인딩된 입력 기기(1450)를 통해 TV PIP 윈도우(1411)를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기기(145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그 제어 동작은 바인딩된 TV PIP 윈도우(1411)에 대해 바로 수행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그 입력 기기의 식별자 커서가 어디 있는지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만약 TV PIP 윈도우(1411)와 바인딩된 입력 기기(1450)가 TV 화면상에 식별자 커서를 가진다면, 우선 그 식별자 커서의 위치가 판단되고, 식별자 커서가 TV PIP 윈도우(1411)의 응답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어 동작이 TV PIP 윈도우(1411)에 대해 실행된다. 만약 식별자 커서의 위치가 TV PIP 윈도우(1411)의 응답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제어 명령은 TV PIP 윈도우(1411)에 의해 응답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500)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1510,1520,1530)을 단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TV(1500)는 제어 메뉴(1501)가 있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는 n개의 서브 화면들(1510,1520,1530)로 분할되어 있다.
n개의 서브 화면들(1510,1520,1530)은 모두 단일하게 제어된다. 즉, n개의 서브 화면들(1510,1520,1530)은 단수든 복수든 동일한 입력 기기(1550)와 바인딩 되어 있다. 이 경우, 입력 기기(1550)의 제어 명령에 대해 모든 서브 화면들(1510,1520,1530)이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입력 기기(1550)와 바인딩된 n개의 서브 화면들(1510,1520,1530) 중 하나만 제어 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선택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기기(1550)의 식별자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서브 화면이 제어 동작을 수행할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600)에서 실행되는 컨텐트 웹 브라우저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단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텐트 웹 브라우저(1601)는 입력 기기의 조작이 어려운 스마트 TV 환경에서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와는 달리 제어 메뉴, 상태 바 등을 생략함으로써 더 넓은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확보한, 스마트 TV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저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 웹 브라우저(1601)에서는 서브 화면들 간에 공유해야 할 제어 메뉴나 상태 바 등이 없기 때문에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 비해 서브 화면 하나의 공간이 보다 넓어지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깔끔해진다.
도 1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텐트 웹 브라우저(1601)에서는 서브 화면들이 공유하는 제어 메뉴가 없으므로, 주소창이 각 서브 화면에서 메시지 박스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서브 화면 내에서 URL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15에서와 마찬가지로 n개의 서브 화면들(1610,1620,1630)은 모두 단일하게 제어된다. 또한, n개의 서브 화면들(1610,1620,1630)과 바인딩된 입력 기기(1650)의 제어 명령에 대해 입력 기기(1650)의 식별자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서브 화면에서 제어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700)에서 실행되는 컨텐트 웹 브라우저(1701)에서 복수의 입력 기기들(1750,1760,1770)로 복수의 서브 화면들(1710,1720,1730)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메뉴와 상태 바가 생략된 컨텐트 웹 브라우저(1701)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는 n개의 서브 화면들(1710,1720,1730)로 분할되어 있고 각 서브 화면들(1710,1720,1730)은 서로 다른 웹 페이지들을 표시하고 있다. 입력 기기들(1750,1760,1770)은 서로 다른 서브 화면과 바인딩되어 있으므로 한 입력 기기의 제어 명령은 바인딩되지 않은 다른 서브 화면의 웹 페이지를 제어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첫번째 서브 화면(1710)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리모컨(1750)을 조작하여 웹 비디오(1711)를 제어하더라도 나머지 서브 화면들(1720,1730)에서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들은 리모컨(175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PC 스타일의 웹 브라우저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와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1820,1830,1840)이 동시에 표시되는 멀티 스크린 모드와 하나의 서브 화면(1810)만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탭 모드 간에 표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탭 모드에서는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대상을 서브 화면들(1820,1830,1840) 간에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세 개의 서브 화면들을 통해 각각 A, B, C 세 개의 웹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리모컨의 <표시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면 탭 모드로 전환되면서 웹 페이지 A가 스마트 TV의 화면 전체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리모컨의 <서브 화면 전환>을 누를 때마다 스마트 TV의 화면은 순차적으로 웹 페이지 B, C,A,B,C...의 순으로 전환된다.
<표시 모드 전환> 버튼 및/또는 <서브 화면 전환> 버튼은 입력 기기 상에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스마트 TV의 화면 내에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TV(1900)는 서브 화면 설정 유닛(1901), 바인딩 유닛(1902), 제어 유닛(1903), 디스플레이 유닛(1904)을 포함한다.
서브 화면 설정 유닛(1901)은 스마트 TV(1900)를 통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후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N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한다.
바인딩 유닛(1902)은 스마트 TV과 연결된 복수의 입력 기기들 중에서 하나의 입력 기기를 선택하여 하나의 서브 화면과 바인딩한다. 만약 사용자가 모든 서브 화면에 대해 동일한 입력 기기를 지정하면, 그 입력 기기는 모든 서브 화면들과 바인딩된다. 또한, 바인딩 유닛(1902)은 TV PIP 윈도우에 대한 입력 기기를 선택하고 그 입력 기기를 TV PIP 윈도우와 바인딩한다.
제어 유닛(1903)은 입력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해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유닛(1903)은 TV PIP 윈도우와 바인딩된 입력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TV PIP 윈도우에 대해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904)은 복수의 열려있는 웹 페이지들을 N개의 서브 화면들 상에 표시하고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된 제어 동작의 결과를 표시한다. 각 서브 화면은 하나의 열려있는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TV PIP 화면을 제어하기 위해 서브 화면들 앞에 PIP 윈도우를 표시하고, PIP 윈도우의 크기 및/또는 위치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조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904)은 TV PIP 윈도우에 대해 제어 유닛이 수행한 제어 동작의 결과를 표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2000)에서의 웹 브라우저 서브 화면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서브 스크린 표시 및 제어 방법을 웹 브라우저 코어(웹 브라우저 엔진) 인터페이스(2200)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입력 기기(2001)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는 스마트 TV(2000)에 설치된 디바이스 드라이버(2300)에 의해 해석되어 그 결과가 제어 모듈(2220)로 전달된다.
제어 모듈(2220)은 원칙적으로 입력 기기(2001)가 제어 명령을 보내면 그 이벤트를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보내는데, 입력 기기(2001)의 식별자 커서 위치에 따라 입력 이벤트를 바인딩된 서브 화면에 적용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웹 브라우저 엔진(2200)의 입력 바인딩 모듈(2210)은 웹 브라우저(2100)의 설정 모듈(2110)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대로 입력 기기(2001)와 서브 화면을 바인딩한다.
브라우저 엔진(2200)의 멀티 디스플레이 모듈(2230)은 브라우저 엔진(2200)의 렌더러 모듈(2240)의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화면 개수에 따라 다른 서브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윈도우 영역을 렌더링한다. 렌더링 결과가 웹 브라우저(2100)의 웹 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에 반영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됨으로써 복수의 서브 화면들이 표시되는 멀티스크린 UI(2120)가 완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 중 상기 제어 명령을 보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하여 다른 서브 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웹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를 해당 서브 화면에 대해 독점적인 제어 권한을 가지는 입력 기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는 상기 메뉴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가 위치한 서브 화면을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입력 기기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모두 표시하는 멀티 스크린 모드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합친 크기의 단일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 화면에 대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탭 모드 간에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TV PIP(Picture In Picture)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와 바인딩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기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TV PIP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보다 앞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TV PIP 윈도우를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TV PIP 윈도우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는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 내에서만 표시되고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되지 않은 서브 화면 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1.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화면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바인딩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 중 상기 제어 명령을 보낸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타겟 서브 화면에 대하여 다른 서브 화면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웹페이지 표시 인터페이스를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들 각각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를 해당 서브 화면에 대해 독점적인 제어 권한을 가지는 입력 기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의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화면들의 개수는 상기 메뉴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브 화면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가 위치한 서브 화면을 타겟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입력 기기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모두 표시하는 멀티 스크린 모드와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들을 합친 크기의 단일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화면들 중 하나의 서브 화면에 대한 컨텐츠만을 표시하는 탭 모드 간에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TV PIP(Picture In Picture)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입력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기기와 바인딩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기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TV PIP 윈도우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보다 앞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TV PIP 윈도우를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TV PIP 윈도우를 드래그(drag)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TV PIP 윈도우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입력 기기의 커맨드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인 식별자 커서는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된 서브 화면 내에서만 표시되고 상기 입력 기기와 바인딩되지 않은 서브 화면 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면들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47636A 2013-10-28 2014-10-28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6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15639.9A CN103561220A (zh) 2013-10-28 2013-10-28 一种电视终端及其多屏显示和控制的方法
CN201310515639.9 2013-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660A true KR20150048660A (ko) 2015-05-07
KR102216129B1 KR102216129B1 (ko) 2021-02-17

Family

ID=5001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636A KR102216129B1 (ko) 2013-10-28 2014-10-28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12471B2 (ko)
EP (2) EP3040848B1 (ko)
KR (1) KR102216129B1 (ko)
CN (1) CN103561220A (ko)
WO (1) WO201506501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25A1 (ko) * 2015-07-13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022931A1 (ko) *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34298A1 (ko) * 2015-08-26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10263992B2 (en) 2016-02-23 2019-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browser using browser processes separated for respective access privileg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72316B1 (ko) 2020-09-21 2021-07-02 주식회사 온비즈스타 웹 기반 기업 자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46800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249131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843B1 (ko) * 2014-04-22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CN104093058A (zh) * 2014-06-27 2014-10-08 张�林 平板显示屏的多窗口显示系统及一种智能电视
CN104267894B (zh) * 2014-09-03 2018-05-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分屏控制方法和系统
EP2996346A1 (en) 2014-09-12 2016-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multiple window applications
CN104244105B (zh) * 2014-09-19 2018-10-0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多终端控制智能机顶盒多应用的方法
CN104360830A (zh) * 2014-12-02 2015-02-18 北京控制与电子技术研究所 一种用于演示系统的多屏显示控制方法
JP6476306B2 (ja) 2015-01-29 2019-02-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Mtcデバイスに適したpdcchの初期化
CN104618817B (zh) * 2015-02-26 2018-07-1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网站视频的控制方法及装置
TWI561086B (en) * 2015-07-29 2016-12-01 Hon Hai Prec Ind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plitting screen
DE102015221383A1 (de) * 2015-11-02 2017-05-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chnersystems
CN105426063A (zh) * 2015-11-02 2016-03-23 四川效率源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Dock技术的多屏UI布局的方法
US10719289B2 (en) * 2015-11-05 2020-07-21 Topcon Positioning Systems, Inc. Monitoring and control display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displays in a work environment
WO2018101514A1 (ko) * 2016-12-01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 시스템
CN110020273B (zh) * 2017-08-16 2021-06-29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生成热力图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08008877B (zh) * 2017-11-30 2021-08-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tab的移动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008929B (zh) * 2017-12-19 2021-07-27 重庆满惠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屏pc网页浏览器的建立方法及系统
US20190251884A1 (en) * 2018-02-14 2019-08-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ared content display with concurrent views
CN108762626B (zh) * 2018-04-13 2020-12-11 广州讯立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一体机的分屏显示方法及触摸一体机
US11074116B2 (en) * 2018-06-01 2021-07-27 Apple Inc. Direct input from a remote device
CN109308155A (zh) * 2018-08-21 2019-02-05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调整页面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271121B (zh) * 2018-08-31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显示方法和移动终端
WO2020086162A1 (en) * 2018-09-04 2020-04-30 DraftK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display content and parameters on a display device
DE102018122035A1 (de) * 2018-09-10 2020-03-12 B. Braun Avitum Ag Darstellungsvorrichtung eines medizinischen Behandlungsgeräts
CN111290689B (zh) * 2018-12-17 2021-11-09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及其主控装置、控制方法、触控共享系统
CN109683839B (zh) * 2018-12-25 2022-02-25 福建凯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与多终端交互的方法、设备及系统
CN109803162A (zh) * 2019-01-22 2019-05-2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装置及智能电视
CN110381345B (zh) * 2019-07-05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078491B (zh) * 2019-10-12 2022-09-20 中国平安财产保险股份有限公司 监控信息显示方法、装置、监控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CN110968231B (zh) * 2019-12-16 2021-02-09 福建星网视易信息系统有限公司 多屏场景下的应用显示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14441B (zh) * 2020-01-21 2022-10-11 维达力实业(深圳)有限公司 基于多区域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11314442B (zh) * 2020-01-21 2023-07-18 维达力实业(深圳)有限公司 基于分时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设备
CN113157227A (zh) * 2020-01-23 2021-07-2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画面的控制方法及显示系统
TWI727785B (zh) * 2020-05-06 2021-05-11 有成精密股份有限公司 太陽能模組檢測系統
CN111601050B (zh) * 2020-05-29 2021-08-03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驾驶舱显示装置、方法和飞机
CN111897502A (zh) * 2020-06-10 2020-11-06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一种分屏控制系统和方法
CN112019896B (zh) * 2020-08-27 2022-03-01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投屏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4296580A (zh) * 2021-04-30 2022-04-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用户界面的控制方法
CN113342293B (zh) * 2021-05-21 2022-07-08 亿咖通(湖北)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与装置
CN113438536B (zh) * 2021-06-22 2023-05-19 北京飞讯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535059A (zh) * 2021-07-05 2021-10-22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终端控制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3687765A (zh) * 2021-08-10 2021-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输入功能控制方法、输入功能控制装置及存储介质
CN113691855A (zh) * 2021-08-11 2021-11-23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电视的多窗口控制处理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14115691B (zh) * 2021-10-27 2023-07-07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交互方法、介质
CN116068945B (zh) * 2023-03-07 2023-06-27 鼎擎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智能设备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227A (en) * 1995-02-28 1999-02-02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receiver
US20070150924A1 (en) * 2005-12-06 2007-06-28 Pioneer Corporatio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sub-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7712041B2 (en) * 2006-06-20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multi-input desktop workspaces and applications
US20100188579A1 (en) * 2009-01-29 2010-07-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nd Present a Picture-In-Picture (PIP) Window Based on Movement Data
US20120299815A1 (en) * 2011-05-26 2012-11-29 Kim Hoyou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480B1 (en) * 1995-07-17 2002-05-28 Gateway, Inc. Context sensitive remote control groups
JP4358939B2 (ja) 1999-08-24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0433006C (zh) 2001-03-26 2008-11-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在浏览器的单一窗口中显示多个网页的方法和浏览系统
US7131068B2 (en) * 2001-05-25 2006-10-31 Learning Tree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esentations having simultaneous display windows in a control screen
JP4447886B2 (ja) * 2002-11-19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04318121A (ja) * 2003-04-04 2004-11-11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及びtv装置
US8004491B2 (en) * 2004-10-05 2011-08-23 Jeff Maynard System for and methods of storing and comparing computer generated continuous vector lines through a non-secure or a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JP4795906B2 (ja) 2006-09-22 2011-10-1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多画面表示方法
KR101335842B1 (ko) * 2006-11-01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각적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JP4633044B2 (ja) * 2006-12-28 2011-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コンユニット及び多画面表示装置
JP4283334B1 (ja) 2007-11-16 2009-06-24 株式会社 セル アドバンスト マルチビューブラウザ
US8418076B2 (en) 2008-05-15 2013-04-09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inputs from a plurality of user input device actuators
CN101583019B (zh) * 2009-06-01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网络电视中实现画中画的方法、系统及机顶盒
EP2299699A3 (en) * 2009-09-04 2012-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2354914A1 (en)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271286A (zh) * 2011-08-10 2011-12-07 深圳国微技术有限公司 提供多屏控制的条件接收系统及实现方法
JP5462851B2 (ja) * 2011-11-10 2014-04-0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79553A (ja) * 2012-01-30 2013-09-09 Sharp Corp 画面分割表示システム及び画面分割表示方法
KR101349180B1 (ko) * 2012-04-05 2014-01-09 (주)유아이투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905183A (zh) * 2012-10-11 2013-0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电视分屏观看的方法、机顶盒及电视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227A (en) * 1995-02-28 1999-02-02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receiver
US20070150924A1 (en) * 2005-12-06 2007-06-28 Pioneer Corporatio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sub-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7712041B2 (en) * 2006-06-20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multi-input desktop workspaces and applications
US20100188579A1 (en) * 2009-01-29 2010-07-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nd Present a Picture-In-Picture (PIP) Window Based on Movement Data
US20120299815A1 (en) * 2011-05-26 2012-11-29 Kim Hoyou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25A1 (ko) * 2015-07-13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022931A1 (ko) *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31342B2 (en) 2015-08-06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7034298A1 (ko) * 2015-08-26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10945023B2 (en) 2015-08-26 2021-03-09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US10263992B2 (en) 2016-02-23 2019-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browser using browser processes separated for respective access privileg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72316B1 (ko) 2020-09-21 2021-07-02 주식회사 온비즈스타 웹 기반 기업 자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46800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55211A1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249131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129B1 (ko) 2021-02-17
WO2015065018A1 (ko) 2015-05-07
US20160241905A1 (en) 2016-08-18
US10212471B2 (en) 2019-02-19
US20190110100A1 (en) 2019-04-11
EP3040848A4 (en) 2017-04-26
EP3040848A1 (en) 2016-07-06
EP3822767A1 (en) 2021-05-19
CN103561220A (zh) 2014-02-05
EP3040848B1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12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82729A1 (en) Windows management in a television environment
US10657928B2 (en) Projected content bas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5453581A (zh) 从单个容器输出多种语言的音频和关联音频的系统和方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13014939A (zh) 显示设备及播放方法
CN102572568A (zh) 一种在显示屏幕上点播在线视频的方法、系统和装置
CN114302204B (zh) 一种分屏播放方法及显示设备
US111696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0536662B2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30098460A (ko)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
WO2012139343A1 (zh) 播放控制系统和方法
CN112788423A (zh) 一种显示设备及菜单界面的显示方法
WO2021008137A1 (zh) 显示设备及视频画面缩放方法
CN113965785A (zh) 一种资源同步播放方法及显示设备
CN114302070A (zh) 显示设备和音频输出方法
KR1025825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188069A1 (en) Content-based voice output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JP2011509482A (ja) 入力要素選択情報表示の方法及び装置
CN116248944A (zh) 一种显示设备及菜单的显示方法
CN115914766A (zh) 一种显示设备及在游戏画面上显示菜单的方法
CN117981327A (zh) 一种显示设备及文件展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