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523A -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523A
KR20150048523A KR1020130128706A KR20130128706A KR20150048523A KR 20150048523 A KR20150048523 A KR 20150048523A KR 1020130128706 A KR1020130128706 A KR 1020130128706A KR 20130128706 A KR20130128706 A KR 20130128706A KR 20150048523 A KR20150048523 A KR 2015004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electronic device
content
thumbnail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535B1 (ko
Inventor
권현정
김성왕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535B1/ko
Priority to US14/290,166 priority patent/US9652120B2/en
Priority to EP14185220.2A priority patent/EP2866159B1/en
Publication of KR2015004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본 개시는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thumbnail)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본 개시는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에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폰, 휴대폰, 노트 PC 및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이 가능하고, 터치 기능의 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내에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애플리케이션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 장치의 복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자 장치는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다양한 썸네일들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스크린(105)에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들을 임의의 순서로 스크린(105)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카테고리는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영화(110), 게임(120), TV 프로그램(130) 및 책(140)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영화 카테고리는 터보(111), DEXTER(112), 몬스터 대학교(113)의 순으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며, 게임 카테고리(120)는 당구(121), 모바일 게임(122), 야구(123)의 순으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TV 프로그램 카테고리(130)는 토론(131), 축구(132), 달리기(133)의 순으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고, 책 카테고리(140)는 정글만리(141), 관계의 힘(142) 및 편지와 그림들(143)의 순서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썸네일들의 디스플레이 순서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썸네일들을 자신의 취향, 관심분야에 맞게 조절할 욕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입력되는 키워드에 맞춰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취향 또는 관심 분야에 맞게 새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1차 카테고리 > 2차 카테고리 > 3차 카테고리와 같이 통상적인 개념 구조에 맞춰 운영자가 정의하거나 메타 태그로서 분류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기반하여 썸네일의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하거나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운영자가 일괄적으로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타입의 썸네일을 동시에 비교하거나 선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상품이나 기획의도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자와 연관성이 높은 복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썸네일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사용자와 연관성이 높은 복수의 썸네일을 사용자의 욕구에 맞춰 정확도가 높은 조합형 테마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전시 사용성을 높이고 관련 사업 매출에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thumbnail)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썸네일은 전송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의 썸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성은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은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성된 화면을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된 화면은 다른 전자 장치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은 스크린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구성된 각각의 썸네일은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상기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각각의 썸네일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각각의 썸네일의 수신에 대응하여 스크린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 중 제1 영역에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의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각각의 섬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을 구성하되, 상기 우선순위는 수신된 키워드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익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thumbnail)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컨텐츠간 조합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 장치의 복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구성된 복수의 썸네일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40), 커넥터(미도시), 및 이어폰 연결잭(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2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 예컨데, 휴대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디지타이저, 입력 장치, 카메라 및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22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컨트롤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스크린(220), 스크린 컨트롤러(230), 통신부(240), 멀티미디어부(250), 전원 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입/출력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전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3D-TV, 스마트 TV, LED TV, LCD TV, 테이블 PC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도 주변 기기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터치 및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문자열 입력 등)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크린은 입력 유닛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을 이용한 입력을 인식하는 호버링 인식 장치(221) 및 손가락 및 입력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이용한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장치(222)를 포함하여, 각각은 호버링 인식 패널 및 터치 패널로 각각 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호버링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해당 스크린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스크린 별로 터치 또는 호버링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스크린 컨트롤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크린은 힌지의 연결을 통한 복수의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스크린들이 힌지 연결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하나의 스크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유닛은 디지타이저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과 같은 비접속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에 명령 또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손가락, 전자펜, 디지털 타입의 펜, 집적 회로가 구비되지 않은 펜, 집적 회로가 구비된 펜, 집적 회로와 메모리가 구비된 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펜, 부가적인 초음파 검출부를 구비한 펜, 옵티컬 센서를 구비한 펜, 조이스틱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CPU, 전자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크린(220), 호버링 인식 장치(221), 터치 인식 장치(222), 스크린 컨트롤러(230), 통신부(240), 멀티미디어부(250), 전원 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입/출력부(28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스크린(220) 상에 다양한 컨텐츠 또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다양한 입력 유닛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객체에 근접함에 따른 호버링이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호버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썸네일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입력 유닛까지의 높이와, 높이에 따른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입력 유닛에 형성된 버튼 눌림, 입력 유닛에 대한 두드림, 입력 유닛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객체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스크린(220)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thumbnail)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로 전송된 화면은 다른 전자 장치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은 상기 전송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의 썸네일일 수 있다. 상기 연관성은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순위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공급자 또는 상기 키워드를 수신하는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키워드의 검색 순위, 컨텐츠 제공 횟수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스크린(220)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나머지 영역에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분류된 카테고리 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구성된 썸네일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의 스크린(220)의 크기 또는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은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구성된 각각의 썸네일은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은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썸네일은 삭제, 다운로드 및 공유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대응하여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이러한 명령이 수신되면,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썸네일을 삭제하거나,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하는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썸네일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화면에 구성된 임의 썸네일의 선택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해당 컨텐츠를 스크린(220)에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된 컨텐츠를 해당 썸네일의 영역에 재생하거나 또는 스크린(220) 전체 또는 상기 구성된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화면에 구성된 각각의 썸네일은 우선순위에 따라서 위치 또는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임의 썸네일을 삭제하기 위한 명령이 감지되면, 해당 썸네일을 삭제하고,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각각의 썸네일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10)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썸네일의 삭제, 전송, 공유 및 다운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각각의 썸네일에 추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각각의 썸네일의 수신에 대응하여 스크린(220)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각각의 영역의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영역에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제1 영역에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220) 전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구성된 화면에서 임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에 대응하여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 썸네일의 크기를 확대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상기 명령의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썸네일을 확대하고, 스크린(220)의 크기가 고정된 이유로 인해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명령은 터치 및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제스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임의 썸네일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상기 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키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위치 역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중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및 위치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비율로 조절되거나 또는 동일한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의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삭제될 수 있는데, 제어부(210)는 이러한 어느 하나 이상의 썸네일의 삭제에 대응하여 해당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 또는 영역에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어느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삭제된 썸네일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또는 높은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22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예,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220)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 펜과 같은 펜을 통해서 입력되면, 입력 방법에 따라 이를 인식하는 호버링 인식 장치(221)와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인식 장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호버링 인식 장치(221)는 펜과 스크린(220)간의 거리를 자기장 또는 초음파 또는 옵티컬 정보 또는 Surface acoustic wave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터치 인식 장치(222)는 터치에 의해 이동되는 전하를 이용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 인식 장치(222)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입력 유닛인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2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및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는 입력 방법에 따라서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플릭(flick),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 스윕(swipe), 멀티 스윕(multi swipes), 핀치(pinches), 터치 앤 홀드(touch & hold), 쉐이크(shake) 및 로테이트(ro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touch)는 스크린(220) 위에 입력 유닛을 올려놓는 제스처이고, 탭(tap)은 스크린(220)을 입력 유닛으로 짧고 가볍게 두드리는 제스처이고, 더블 탭(double tap)은 스크린(220)을 재빠르게 두번 두드리는 제스처이고, 플릭(flick)은 입력 유닛을 스크린(220)위에 올려 빠르게 움직인 후, 떼는 제스처(예: 스크롤)이고, 드래그(drag)는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이동시키거나 스크롤하는 제스처이고,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은 스크린(220)을 터치한 상태에서 객체를 움직인 다음 정지한 상태에서 입력 유닛을 떼는 제스처이고, 스윕(swipe)은 입력 유닛을 스크린(220)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제스처이고, 멀티 스윕(multi swipes)은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유닛(또는 손가락)을 스크린(220)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제스처이고, 핀치(pinches)는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유닛(또는 손가락)을 스크린(220)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자 움직이는 제스처이고, 터치 앤 폴드(touch & hold)는 풍선 도움말과 같은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스크린(220)에 터치 또는 호버링을 입력하는 제스처이고, 쉐이크(shake)는 전자 장치를 흔들어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스처이고, 로테이트(rotate)는 스크린(220)의 방향을 수직에서 수평 또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하는 제스처이다. 또한, 본 개시의 제스처는 스크린(220)을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스윕, 스크린(220)을 터치한 상태에서 빠르게 움직이고 스크린으로부터 터치를 떼는 플릭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220) 상에서 호버링을 이용한 스윕과 스크린(220) 상에서 호버링을 이용한 플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스처 이외에 전자 장치가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및 호버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220)은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크린 컨트롤러(23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터치는 스크린(22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스크린(22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 접촉하지 않고 검출가능한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22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전자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데, 스크린(22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스크린(22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스크린(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호버링 인식 장치(221) 또는 터치 인식 장치(222)는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2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입력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스크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스크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스크린(220)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2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또는 입력되는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스크린(220)은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을 통한 입력을 유도 기전력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터치 패널과, 스크린(220)에 핑거 또는 입력 유닛을 통한 접촉을 감지하는 패널이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일부 이격되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220)은 다수의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입력 유닛 또는 손가락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22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LED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20)은 표면에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이 닿거나, 스크린(220)의 일정 거리에 놓이게 되면, 놓인 위치를 파악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 각각은 코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로 형성되는 센서층은 각각의 센서들이 기 설정된 패턴들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터치 인식 장치(222)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을 통해 스크린(220)에 접촉이 발생되면, 센서층과 입력 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에 기인하여 파형이 변경된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데, 스크린(220)은 발생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유닛과 호버링 인식 장치(221)간의 일정 거리는 코일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세기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스크린 컨트롤러(230)는 스크린(220)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열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제어부(210)는 스크린 컨트롤러(23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린(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크린(22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컨트롤러(230)는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컨트롤러(230)는 스크린(22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스크린(22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통신 방식, 전송 거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부(미도시), 서브통신부(미도시), 무선랜부(미도시) 및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통신부(240)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전자 장치(2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부는 무선랜부(미도시)와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통신부는 무선랜 모듈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부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부와 근거리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통신부는 입력 유닛과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와 입력 유닛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입력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필드, 입력 유닛과의 스크린(220)간의 터치 또는 호버링을 감지한 필드, 입력 유닛에 구비된 버튼의 눌림 또는 입력을 감지하는 필드, 입력 유닛의 식별자, 입력 유닛이 위치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나타내는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랜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부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200)와 화상 형성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서브통신부 및 무선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인접한 통신 장치 또는 원격에 위치한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인터넷 망을 통해서 이미지, 이모티콘, 사진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 제어할 수 있고, 입력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2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부, 무선랜부, 및 근거리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부, 무선랜부, 및 근거리 통신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부, 무선랜부, 스크린 및 근거리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송수신부라 칭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하지 않는다.
멀티미디어부(250)는 방송통신부(미도시), 오디오 재생부(미도시) 또는 동영상재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부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 또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부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부(25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60)는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6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2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저장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40), 멀티미디어부(250), 스크린(220), 입/출력부(28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전자 장치(200) 또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스크린(220)에 입력되는 키워드, 키워드 입력 횟수, 컨텐츠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컨텐츠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70)는 스크린(220)에 입력되는 문자, 단어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이미지, 이모티콘, 아이콘, 컨텐츠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70)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상기 전자 장치(2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부(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270)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또한, 입/출력부(280)는 복수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모터, 커넥터, 키패드, 이어폰 연결잭 및 입력 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28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부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210)와의 통신을 통해 스크린(220) 상의 커서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부(280)에서 스피커(미도시)는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제어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고, 진동모터(미도시) 역시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제어에 대응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워드가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키워드에 연관되는 컨텐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310, S312). 제어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썸네일의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각 컨텐츠의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신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썸네일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대응된다. 상기 연관성은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한다(S314, S316). 키워드가 서버로 전송되면, 전자 장치(200)는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각 컨텐츠의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은 전송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의 썸네일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구성된 각각의 썸네일은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다. 그리고,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18). 제어부(210)는 스크린(220)의 화면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나머지 영역에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분류된 카테고리 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해당 썸네일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되는 컨텐츠의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스크린(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400)는 제어부(410), 송수신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송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을 송수신부(420)를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부(410)는 수신된 키워드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판단 모듈(411)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는 화면 구성 모듈(412)과, 구성된 화면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제공되는 경우, 제공된 화면에 의한 과금을 계산하고 부과하는 과금 계산 모듈(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모듈(411), 화면 구성 모듈(412) 및 과금 계산 모듈(413)은 제어부(410) 내에 구성되거나 서버(400) 내에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 모듈(411)은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200)의 현재 위치,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키워드와,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은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의 썸네일이다. 그리고, 화면 구성 모듈(412)은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구성 모듈(412)은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우선순위는 수신된 키워드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과금 계산 모듈(413)은 구성된 화면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과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과금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부과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 서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키워드를 해당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각 컨텐츠의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의 썸네일(thumbnail)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을 저장부(430)에 저장하거나 상기 키워드를 전송한 전자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42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키워드 또는 상기 키워드에 해당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장치의 요청에 응답하여, 구성된 화면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부(420)는 통신 방식, 전송 거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부(미도시), 서브통신부(미도시), 무선랜부(미도시) 및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키워드 및 썸네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송수신부(420)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각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각각의 전자 장치가 검색한 키워드의 수신을 통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취향과 취미를 판단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각 전자 장치가 입력한 키워드 횟수, 컨텐츠 별로 다운로드한 횟수, 사용자 선호도, 현재 각 분야, 장르별로 인기 순위 및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구성된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워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키워드에 연관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해당 컨텐츠 서버에 각각 전송한다(S510, S512).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의 수신에 대응하여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정보를 해당 컨텐츠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썸네일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4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서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관성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S514). 서버(400)는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수신된 키워드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성된 화면을 상기 키워드를 전송한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S516). 서버(400)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키워드를 전송한 전자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0)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400)는 해당 컨텐츠 서버(미도시)로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는 스크린(220)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스크린(220)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을 스크린의 제1 영역(6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6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620)에 상기 입력되는 키워드에 해당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키워드가 '인기 순위'인 경우, 영화, 게임,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재 인기가 가장 높은 컨텐츠의 썸네일을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다양한 분야 또는 카테고리 별로 스크린(220)의 제2 영역(62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는 영화(110), 게임(120) 및 TV 프로그램(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영화 카테고리는 터보(111), DEXTER(112), 몬스터 대학교(113)의 순으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며, 게임 카테고리(120)는 당구(121), 모바일 게임(122), 야구(123)의 순으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TV 프로그램 카테고리(130)는 토론(131), 축구(132), 달리기(133)의 순으로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을 제1 영역(610)에 디스플레이한다.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은 카테고리 별로 가장 인기가 높은 썸네일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썸네일일 수 있다. 상기 연관성은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제1 영역(610)에 포함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는 연관성, 우선순위에 따라서 크기 또는 위치가 조절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키워드가 '인기 순위'인 경우, 제어부(210)는 각 카테고리 별로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의 썸네일을 포함한 화면을 구성하여 제1 영역(61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키워드가 '인기 순위'인 경우, 제1 영역(610)에는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컨텐츠의 썸네일인 영화(611), 게임(612), 스포츠(613, 614, 615)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영역(610)에 포함된 썸네일은 제2 영역(620)에 포함된 카테고리별 썸네일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되는 키워드가 '홍길동'인 경우,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썸네일(예: 홍길동이 출연한 영화, 홍길동이 작사/작곡한 노래, 홍길동 저자의 책, 홍길동에 관련된 신문 기사 등등)을 포함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을 제1 영역(6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의 크기를 제어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예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구성된 복수의 썸네일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스크린(710)은 복수개의 썸네일을 포함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러한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복수의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스포츠나 영화와 같은 분야의 키워드 입력 횟수가 많은 경우,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러한 스포츠나 영화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으로 인해, 전자 장치(200)는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입력된 키워드의 분야, 횟수, 다운로드한 컨텐츠 종류, 선호도, 기설정된 사용자 조건,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사용자 일정, 컨텐츠 재생 횟수등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분야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입력된 키워드를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예: 야구, 축구, 당구 등)과 영화에 주로 관심이 많지만, 시사 프로그램이나 TV 프로그램 또는 마라톤에 관심이 없다고 판단된 상태에서, 입력된 키워드가 스포츠 선수인 '홍길동'인 경우, 연관성이 가장 높은 홍길동이 선수로서 활동하고 있는 스포츠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썸네일(711)을 가장 크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홍길동이 출연한 영화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썸네일(713), 홍길동이 취미로 하는 축구 및 당구에 해당되는 컨텐츠(712, 716)를 상기 스포츠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썸네일(711)보다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시사 프로그램에 홍길동이 패널로서 참석한 경우, 시사 프로그램의 썸네일(715)을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마라톤와 같은 분야에 관심도가 낮은 경우, 홍길동이 참여한 마라톤에 해당되는 썸네일(714)를 가장 작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썸네일(711 내지 716)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7b는 도 7a의 스크린(710)에서 임의 썸네일의 크기를 축소한 예시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00) 입력되는 제스처를 감지하고, 스크린(710)에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730a, 730b)을 이용하여 스크린(710)의 상측 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가 감지된 지점에 해당되는 썸네일의 크기를 제스처가 종료된 지점에 대응되는 크기로 축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a의 썸네일(711)의 크기는 도 7b의 썸네일(721)의 크기로 조절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도 7a의 다른 썸네일(712 내지 716)의 크기 역시 도 7b의 썸네일(722 내지 726)과 같이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710 또는 720)은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구매(741)하거나, 장바구니(742)에 담거나 다른 사용자와 공유(743)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741 내지 743)을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나중에 구매하기 위해 장바구니에 담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이러한 선택(예: 구매, 장바구니에 담기 또는 공유)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이를 저장하여 향후에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응하여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썸네일은 크기 및 위치 이동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임의 썸네일이 롱 터치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해당 썸네일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팝업 창(미도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 창은 썸네일에 해당되는 컨텐츠의 종류 또는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삭제, 다운로드, 업로드, 공유, 전체화면으로 보기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제어부 220: 스크린
230: 스크린 컨트롤러 240: 통신부
250: 멀티미디어부 260: 전원 공급부
270: 저장부 280: 입/출력부

Claims (28)

  1.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thumbnail)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은 상기 전송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컨텐츠의 썸네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된 화면은 다른 전자 장치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화면은 상기 스크린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구성된 썸네일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구성된 각각의 썸네일은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되,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상기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은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입력된 키워드 횟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구성된 임의 썸네일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제어 방법.
  12.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해당되는 각각의 썸네일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워드 입력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린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되,
    제1 영역에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된 화면에서 임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위치 이동 및 삭제에 대응하여 다른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임의 썸네일의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삭제된 썸네일의 위치에 임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 썸네일을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각각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관성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컨텐츠의 태그, 컨텐츠에 대한 리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구성되되,
    상기 우선순위는 수신된 키워드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1. 제18 항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해당 컨텐츠 서버로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3.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크기 조절 및 위치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일정, 컨텐츠 구매 정보, 컨텐츠 재생 횟수 및 입력된 키워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연관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썸네일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을 구성하되,
    상기 우선순위는 수신된 키워드 횟수, 다운로드 횟수, 사용자 선호도, 인기 순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30128706A 2013-10-28 2013-10-28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2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706A KR102226535B1 (ko) 2013-10-28 2013-10-28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290,166 US9652120B2 (en) 2013-10-28 2014-05-2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EP14185220.2A EP2866159B1 (en) 2013-10-28 2014-09-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706A KR102226535B1 (ko) 2013-10-28 2013-10-28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523A true KR20150048523A (ko) 2015-05-07
KR102226535B1 KR102226535B1 (ko) 2021-03-11

Family

ID=5162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706A KR102226535B1 (ko) 2013-10-28 2013-10-28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52120B2 (ko)
EP (1) EP2866159B1 (ko)
KR (1) KR102226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1214A (zh) * 2018-04-26 2018-11-06 天津工业大学 一种自适应表面磁场测量平台及测量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130B1 (ko) * 2013-09-02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US10089346B2 (en) 2014-04-25 2018-10-02 Dropbox, Inc. Techniques for collapsing views of content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91794B2 (en) * 2014-04-25 2018-02-13 Dropbox, Inc. Browsing and 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user gestures
US9785288B2 (en) * 2015-06-02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96778B (zh) * 2017-12-29 2021-08-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状态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12449A (zh) * 2020-05-20 2020-09-01 安徽理工大学 一种超市智能购物车
US11200740B1 (en) * 2020-09-04 2021-12-14 Amazon Technolgoies, Inc. Systems for generating image-based user interfaces
CN112822394B (zh) * 2020-12-30 2024-03-2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948B1 (en) * 2000-04-07 2011-06-14 Virage, Inc. Video-enabled community building
US7548936B2 (en) * 2005-01-12 2009-06-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web image search results for effective image browsing
TW200704183A (en) 2005-01-27 2007-01-16 Matrix Tv Dynamic mosaic extend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for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and display
US20080147711A1 (en) 2006-12-19 2008-06-19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laylist recommendations
US7921221B2 (en) * 2007-01-22 2011-04-05 Minborg Invent I Goteborg Ab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igital objec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224427B2 (en) * 2007-04-02 2015-12-29 Napo Enterprises LLC Rating media item recommendations using recommendation paths and/or media item usage
US9060034B2 (en) * 2007-11-09 2015-06-16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of filtering recommenders in a media item recommendation system
JP2009200699A (ja) * 2008-02-20 2009-09-03 Pfu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9269090B2 (en) * 2008-08-18 2016-02-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dications regarding recommended content
KR101114796B1 (ko) 2009-01-21 201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시스템에서의 썸네일을 이용한 이미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JP5005835B2 (ja) * 2009-10-22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555170B2 (en) * 2010-08-10 2013-10-08 Apple Inc. Tool for presenting and editing a storyboard representation of a composite presentation
KR20130041484A (ko) 2011-10-17 201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뉴스크린 운용 방법 및 장치
US8965908B1 (en) * 2012-01-24 2015-02-24 Arrabon Management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nd accessing multimedia content
US20130204862A1 (en) * 2012-02-03 2013-08-08 Volunia Italia S.R.L. Internet searching and social interaction techniques
US9406072B2 (en) * 2012-03-29 2016-08-02 Spotify Ab Demographic and media preference prediction using media content data analysis
US9454289B2 (en) * 2013-12-03 2016-09-27 Google Inc. Dyanmic thumbnail representation for a video playli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1214A (zh) * 2018-04-26 2018-11-06 天津工业大学 一种自适应表面磁场测量平台及测量方法
CN108761214B (zh) * 2018-04-26 2023-11-17 天津工业大学 一种自适应表面磁场测量平台及测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535B1 (ko) 2021-03-11
US20150121242A1 (en) 2015-04-30
EP2866159A1 (en) 2015-04-29
US9652120B2 (en) 2017-05-16
EP2866159B1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35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519402B2 (en) Screen display metho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9244584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previewing content items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15019303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047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playlist thereof
KR101971067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050143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11934640B2 (en) User interfaces for record labels
KR102102157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65950A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US201500620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U2014312481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KR20140025869A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1790A (ko) 가상 키보드에서 난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501067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CN105210023A (zh) 装置及相关方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3022746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4035710B (zh) 具有在对象上的预执行的功能的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2350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468254A (zh) 内容搜索设备和用于搜索内容的方法
KR20140113757A (ko)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